KR100829496B1 - 조립형 배수관 - Google Patents

조립형 배수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9496B1
KR100829496B1 KR1020070017543A KR20070017543A KR100829496B1 KR 100829496 B1 KR100829496 B1 KR 100829496B1 KR 1020070017543 A KR1020070017543 A KR 1020070017543A KR 20070017543 A KR20070017543 A KR 20070017543A KR 100829496 B1 KR100829496 B1 KR 100829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atching
pipe body
pip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7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창현
전장언
형원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70017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94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03F3/046Open sewage cha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배수관에 관한 것으로서, 체가 유입되도록 상측이 개구된 제1관체 및 제2관체와, 상기 제1관체의 일측에서 돌출형성된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관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제1걸림부가 삽입되어 끼움결합되는 제1걸림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관체 및 상기 제2관체와 같은 복수의 관체들이 상호 결합되어 연결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관체들이 이격 및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물의 흐름이 상기 관체를 따라 물이 원활하게 흐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관체들이 상호 결합됨으로써, 자외선 및 지반변화등의 외부작용에 의해 상기 관체들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관체의 부지가 쇄굴되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 관체들을 유비보수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제1관체, 제2관체, 제1걸림부, 제2걸림부, 공간부, 제1걸림홈, 제2걸림홈

Description

조립형 배수관{assembly water channe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배수관이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배수관이 도시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배수관의 걸림부가 도시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배수관의 결합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10 : 제1관체 120 : 제1걸림부
120 a: 공간부 120b : 테이퍼
130 : 제2걸림홈 210 : 제2관체
220 : 제2걸림부 230 : 제1걸림홈
본 발명은 조립형 배수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기구가 있는 조립형 배수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나 혹은 농로의 배수구나 산마루측구에는 물의 원활한 이동 을 위해 배수관이 설치된다.
상기 배수관은 콘크리트 설비 공장에서 대량으로 만들어지는 PC (Precasting)형 콘크리트 배수관 및 PE(Poly ethylene)배수관 등이 사용된다.
상기 PE 배수관은 콘크리트 기초나 앵커로 지반과 연결되어 있고 각 PE배수관은 별도의 연결장치 없이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구성된 PE배수관은 별도의 연결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바, 설치 후 지반의 변화 및 자외선에 의한 변형 등에 의해 벽면과 연결된 부위가 수시로 이격 및 이탈되고, 상기와 같은 이탈 및 이격은 PE배수관을 흐르는 물의 흐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어 PE배수관 주변 부지에 쇄굴등의 문제를 방생시키게 된다. 결국, 수시로 상기 PE배수관의 유지 보수를 해야만 하는 어려움과 아울러 이에 따라 많은 유지관리비가 소요되는 경제적인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배수관이 서로 연결되어 물이 원활이 흐를 수 있고 별도의 유지보수가 필요 없는 조립형 배수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유체가 유입되도록 상측이 개구된 제1관체 및 제2관체와, 상기 제1관체의 일측에서 돌출형성된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관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제1 걸림부가 삽입되어 끼움결합되는 제1걸림홈을 포함하는 조립형 배수관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배수관이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배수관이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배수관의 걸림부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빠른 조립형 배수관은 유체가 유입되도록 상측이 개구된 제1관체(110) 및 제2관체(210)와, 상기 제1관체(110)의 일측에서 돌출형성된 제1걸림부(120)와, 상기 제2관체(210)의 일측에 형성되며, 제1걸림부(120)가 삽입되어 끼움결합되는 제1걸림홈(2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관체(110) 및 제2관체(210)는 상측으로 유체가 유입될 있도록 상면이 개구되며, 상기 제1관체(110) 및 제2관체(210)를 따라 물이 흐를 수 있도록 전후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관체(110)의 제1걸림부(120)는 상기 제1관체(110)에서 연장형성되며 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관체(210)의 제1걸림홈(230)은 내면에서 입구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되, 입구의 폭이 상기 제1관체의 제1걸림부의 끝단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며, 상기 제1관체(110)의 제1걸림부(120)는 끝단에서 상기 제1관체(120)방향으로 절개된 공간부(120a)가 형성되어 상기 제1걸림홈(230)에 삽입시 상기 끝단이 상기 제1걸림홈(230)의 입구를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걸림부(120)는 상기 제1관체(110)의 일측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형성되며, 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기울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관체(210)의 제1걸림홈(230)은 상기 제1관체(110)의 제1걸림부(120)와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내면에서 입구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기울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관체(210)의 제1걸림홈(230)에 삽입된 상기 제1관체(110)의 제1걸림부(120)가 상기 제1걸림홈(23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관체(210)의 상기 제1걸림홈(230)의 입구는 상기 제1관체(110)의 제1걸림부(120)의 끝단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관체(110)의 제1걸림부(120)에 구비된 공간부(120a)는 상기 제2관체(210)의 제1걸림홈(230)에 삽입시 상기 제1관체(110)의 제1걸림부(120)의 끝단이 상기 제2관체(210)의 제1걸림홈(230)의 입구보다 좁아지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제1걸림부(120)가 상기 제2관체(210)의 제1걸림홈(230)에 삽입시 상기 제1관체(110)의 제1걸림부(120)가 상기 공간부(120a)로 회피되어 상기 제1걸림부(120)의 끝단의 폭이 상기 제2관체(210)의 제1걸림홈(230)의 입구보다 작아지게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관체(110)의 제1걸림부(120)가 상기 제2관체(210)의 제1걸림홈(230)에 삽입시 상기 제1걸림부(120)가 상기 공간부(120a)로 원활히 회피되기 위하여 상기 제1걸림부(120)의 끝단에서 십자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관체(110)의 제1걸림부(120)의 끝단은 상기 제1관체(110)의 제1걸림부(120)가 상기 제2관체(210)의 제1걸림홈(230)에 원활히 삽입되기 의하여 모서리 가 테이퍼(120b)지게 형성된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관체(110)의 제1걸림부(120)의 끝단은 상기 제2관체(210)의 제1걸림홈(230)에 삽입시 상기 제1관체(110)의 제1걸림부(120)가 상기 제2관체(210)의 제1걸림홈(230)의 입구와 접촉되어 상기 제1관체(110)의 제1걸림부(120)가 상기 공간부(120a)로 회피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관체(210)의 타측에는 상기 제1관체(110)의 제1걸림부(120)와 동일한 형상의 제2걸림부(220)가 구비되고, 상기 제1관체(110)의 타측에는 상기 제2관체(210)의 제1걸림홈(230)과 동일한 형상의 제2걸림홈(130)이 형성된다. 즉, 상기와 같은 제1관체(110) 및 제2관체(210)와 같은 복수의 관체들이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관체(110)에는 제2걸림홈(130)이 형성되고, 상기 제2관체(210)에는 제2걸림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관체(210)의 제2걸림부(220)의 끝단은 모서리가 테어퍼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2관체(210)의 제2걸림부(220)는 상기 제1관체(110)의 제1걸림부(120)와 동일하게 테이퍼(120b)지게 구비된다.
상기 제1관체(110)의 제1걸림부(120) 및 제2걸림홈(130)과 상기 제2관체(210)의 제1걸림홈(230)과 제2걸림부(220)는 각각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관체(110)의 제1걸림부(120)와 상기 제2관체(210)의 제2걸림부(220)는 삽입의 편리함 및 이탈방지를 위해 탄성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배수관의 결합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관체(110)의 제1걸림부(120)는 상기 제2관체(210)의 제1걸림홈(230)에 삽입되어 상기 제1관체(110)와 상기 제2관체(210)가 연결된다.
상기 제1관체(110)의 제1걸림부(120)를 상기 제2관체(210)의 제1걸림홈(230)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관체(110)의 제1걸림부(120)를 상기 제2관체(210)의 제1걸림홈(230)에 대응시킨 후 상기 제1걸림부(120)가 상기 제1걸림홈(230)에 삽입되도록 외력을 가한다.
이때, 상기 제1관체(110)의 제1걸림부(120)의 끝단이 상기 제2걸림부(220)의 제1걸림홈(230)의 입구에 접촉하게 된다. 즉, 상기 제2관체(210)의 제1걸림홈(230) 입구에 제1관체(110)의 제1걸림부(120)의 끝단에 형성된 테이퍼(120b)가 접촉하게 된다.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제1관체(110)의 제1걸림부(120)의 끝단은 상기 공간부(120a)로 이동된다. 즉, 계속해서 가해지는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2관체(210)의 입구와 접촉된 제1관체(110)의 제1걸림부(120) 끝단의 테이퍼(120b)에 의해 상기 제1걸림부(120)가 상기 공간부(120a)로 회피된다. 즉, 상기 제1관체(110)의 제1걸림부(120) 끝단이 상기 공간부(120a)로 이동되어 상기 제1관체(110)의 제1걸림부(120) 끝단의 폭이 상기 제2관체(210)의 제1걸림홈(230)의 폭보다 좁게된다.
따라서, 상기 제1관체(110)의 제1걸림부(120)의 끝단이 상기 제2관체(210)의 제1걸림홈(230)의 입구를 통과하게 되고 상기 제1관체(110)의 제1걸림홈(230)은 상 기 제2관체(210)의 제1걸림홈(230)에 삽입된다. 상기 제1관체(110)의 제1걸림부(120)에 구비된 테어퍼에 의해 상기 제1걸림부(120)의 끝단이 이동될 수 있어 상기 제1관체(110)의 제1걸림부(120)가 상기 제2관체(210)의 제1걸림홈(230)에 원활히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관체(210)의 제1걸림홈(230)에 삽입된 제1관체(110)의 제1걸림부(120)는 끝단이 폭이 상기 제2관체(210)의 제1걸림홈(230)의 입구의 폭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제1관체(110)의 제1걸림부(120)가 상기 제2관체(210)의 제1걸림홈(23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상기와 같이 상기 제1관체(110)의 제1걸림부(120)가 상기 제2관체(210)의 제1걸림홈(230)에 삽입되어 끼움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관체(110)와 상기 제2관체(210)의 쉽게 연결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1관체(110)와 상기 제2관체(210)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물론, 상기 제1관체(110)의 제2걸림홈(130)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다른 관체의 걸림부가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관체(210)의 제1걸림부(220)는 또 다른 관체의 걸림홈에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관체(110) 및 상기 제2관체(210)와 같은 복수의 관체들이 상호 연결되어 배수로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배수관은 상기 제1관체 및 제2관체와 같은 복수의 관체들이 상호 결합되어 연결됨으로써, 상기 관체들이 이격 및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 어 물의 흐름이 상기 관체를 따라 물이 원활하게 흐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관체들이 상호 결합됨으로써, 자외선 및 지반변화등의 외부작용에 의해 상기 관체들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관체의 부지가 쇄굴되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 관체들을 유비보수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삭제
  2. 유체가 유입되도록 상측이 개구된 제1관체 및 제2관체;
    상기 제1관체의 일측에서 돌출형성된 제1걸림부; 및
    상기 제2관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제1걸림부가 삽입되어 끼움결합되는 제1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관체의 제1걸림부는 상기 제1관체에서 연장형성되며 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관체의 제1걸림홈은 내면에서 입구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되, 입구의 폭이 상기 제1관체의 제1걸림부의 끝단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며,
    상기 제1관체의 제1걸림부는 끝단에서 상기 제1관체방향으로 절개된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걸림홈에 삽입시 상기 끝단이 상기 제1걸림홈의 입구를 통과하는 조립형 배수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관체의 제1걸림부의 끝단은 모서리가 테이퍼된 조립형 배수관.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관체의 타측에는 상기 제1관체의 제1걸림부와 동일한 형상의 제2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관체의 타측에는 상기 제2관체의 제1걸림홈과 동일한 형상의 제2걸림홈이 형성된 조립형 배수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관체의 제2걸림부의 끝단은 모서리가 테어퍼된 조립형 배수관.
KR1020070017543A 2007-02-21 2007-02-21 조립형 배수관 KR100829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543A KR100829496B1 (ko) 2007-02-21 2007-02-21 조립형 배수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543A KR100829496B1 (ko) 2007-02-21 2007-02-21 조립형 배수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9496B1 true KR100829496B1 (ko) 2008-05-16

Family

ID=39664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7543A KR100829496B1 (ko) 2007-02-21 2007-02-21 조립형 배수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949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14838A (zh) * 2016-04-12 2016-06-29 山东大学 可装配可回收的基坑排水及防护体系
CN105821893A (zh) * 2016-04-12 2016-08-03 山东大学 适用于地下工程用的可回收排水装置及其施工方法
CN105839656A (zh) * 2016-04-12 2016-08-10 山东大学 可装配可回收的基坑排水及防护体系的施工方法
CN105887901A (zh) * 2016-04-12 2016-08-24 山东大学 适用于工业化生产的装配式基坑排水及防护体系的施工方法
CN108412014A (zh) * 2018-03-19 2018-08-17 王俊铎 一种快装及防堵下水道
CN109281375A (zh) * 2018-10-09 2019-01-29 安徽海米新材料有限公司 一种基于hdpe成品排水沟的四通连接件
CN109944133A (zh) * 2019-03-06 2019-06-28 中国建筑西北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山地光伏项目道路排水装置的预制装配式构件
CN109944132A (zh) * 2019-03-06 2019-06-28 中国建筑西北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山地光伏项目的装配式道路排水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5197U (ko) * 1991-01-24 1992-08-17 김덕호 배수로
KR200403156Y1 (ko) * 2005-09-07 2005-12-09 합명회사 남부산업 연결식 산마루측구용 블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5197U (ko) * 1991-01-24 1992-08-17 김덕호 배수로
KR200403156Y1 (ko) * 2005-09-07 2005-12-09 합명회사 남부산업 연결식 산마루측구용 블록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14838A (zh) * 2016-04-12 2016-06-29 山东大学 可装配可回收的基坑排水及防护体系
CN105821893A (zh) * 2016-04-12 2016-08-03 山东大学 适用于地下工程用的可回收排水装置及其施工方法
CN105839656A (zh) * 2016-04-12 2016-08-10 山东大学 可装配可回收的基坑排水及防护体系的施工方法
CN105887901A (zh) * 2016-04-12 2016-08-24 山东大学 适用于工业化生产的装配式基坑排水及防护体系的施工方法
CN105714838B (zh) * 2016-04-12 2018-06-08 山东大学 可装配可回收的基坑排水及防护体系
CN105821893B (zh) * 2016-04-12 2018-08-28 山东大学 适用于地下工程用的可回收排水装置及其施工方法
CN108412014A (zh) * 2018-03-19 2018-08-17 王俊铎 一种快装及防堵下水道
CN109281375A (zh) * 2018-10-09 2019-01-29 安徽海米新材料有限公司 一种基于hdpe成品排水沟的四通连接件
CN109281375B (zh) * 2018-10-09 2023-11-24 安徽海米新材料有限公司 一种基于hdpe成品排水沟的四通连接件
CN109944133A (zh) * 2019-03-06 2019-06-28 中国建筑西北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山地光伏项目道路排水装置的预制装配式构件
CN109944132A (zh) * 2019-03-06 2019-06-28 中国建筑西北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山地光伏项目的装配式道路排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9496B1 (ko) 조립형 배수관
US20050042030A1 (en) Drainage and irrigation approach and structure as well as its implementation
KR20110132809A (ko) 생태통로형 지면밀착 조립식 개거 수로관
KR200493656Y1 (ko) 교량의 선배수장치
CN108412014B (zh) 一种快装及防堵下水道
US6202700B1 (en) Self-flushing pipe
AU733361B2 (en) Drainage channel and pipe assembly
KR100681844B1 (ko) 도로의 가변에 설치되는 배수박스구조
KR100786220B1 (ko)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연결구
US10435875B2 (en) Debris trap
KR101476101B1 (ko)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
KR101394129B1 (ko) 다단식 지하유입구
KR20060118245A (ko) 하천의 하구 폐쇄방지 방법 및 장치
CN207829139U (zh) 用于市政雨水管道截污的截流井
KR100733608B1 (ko) 하수암거 부착식 우오수 분리장치
KR102403819B1 (ko) 야외 배수로 인근 침하 방지 장치
KR102038142B1 (ko) 배수와 보수보강이 용이한 배수로 조립체
DE202008017453U1 (de) Schmaler Siphon
KR102326135B1 (ko)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
US1068303A (en) Trap.
KR101668220B1 (ko) 하수,오수,폐수관용 세정장치
KR200286172Y1 (ko) 폐합성수지제의 농수로관의 접속구
KR200301134Y1 (ko) 개거용 구조물
KR200310763Y1 (ko) 수로관
KR100851425B1 (ko) 친환경 수로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