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6101B1 -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 - Google Patents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6101B1
KR101476101B1 KR20140052841A KR20140052841A KR101476101B1 KR 101476101 B1 KR101476101 B1 KR 101476101B1 KR 20140052841 A KR20140052841 A KR 20140052841A KR 20140052841 A KR20140052841 A KR 20140052841A KR 101476101 B1 KR101476101 B1 KR 101476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plate
water
groove
wal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52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희
Original Assignee
박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희 filed Critical 박재희
Priority to KR20140052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61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업 및 농업용수 등을 수원지로부터 이송·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은, 수로가 시공되는 지반 상에 구비되는 다짐판; 상기 다짐판 상에 위치하고, 유로의 하부면을 밀폐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 상에 위치하고, 시공자의 선택에 의해 경사 각도가 조절되어 유로의 폭이 조절될 수 있는 측벽판; 및 상기 측벽판(300)의 상부면을 가로지르도록 위치하고, 상기 측벽판(300)의 경사 각도를 고정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각도조절대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은 지반 지형에 구애 없이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고, 수로관 제작 및 운반·설치가 용이하고 경제적이며, 상기 측벽판 및 바닥판에 형성된 식재홀을 통해 수초와 같은 수생식물이 식생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러한 수생식물의 뿌리가 측벽판의 경사면으로 뻗어 안정되게 자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로관의 설치 후에도 수로관 주변의 생태환경(800)을 최대한 보호·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A ASSEMBLY ENVIRONMENT-FRIENDLY WATER CONDUIT FOR ECOLOGY}
본 발명은 공업 및 농업용수 등을 수원지로부터 이송·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로관을 분리형으로 구성하고 측벽판의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지반 지형에 구애없이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고, 또한, 수로관의 측벽판 및 바닥판을 통해 수초와 같은 수생식물이 식생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러한 수생식물의 뿌리가 측벽판의 경사면으로 뻗어 안정되게 자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로관의 설치 후에도 수로관 주변의 생태환경을 보호·유지할 수 있는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나 농경지 등에서 물의 원활한 흐름을 확보하기 위해 인공적인 수로가 시공되고 있는데, 이러한 수로는 도로나 농로 등에 설치되어 우,오수의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바닥판의 양측에 측벽판이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전, 후단을 상호 연결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수로는 강이나 하천으로 물을 신속하게 흘려보내 집중호우 등이 발생되더라도 침수피해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기능을 가지며, 농업용수 등을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한 기능도 갖는다.
이러한 수로를 시공함에 있어서 신속한 설치와 비용의 절감을 위해 다수 개의 수로관을 미리 제작하고, 다수 개의 수로관을 연결하여 수로를 시공하는 프리캐스트 공법(Precast method)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프리캐스트 공법에 사용되는 수로관은 콘크리트, 합성수지, 금속 등 다양한데, 콘크리트 재질의 수로관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 이유는 콘크리트 재질의 수로관이 제작도 쉽고, 견고할 뿐만 아니라 원가도 저렴하며, 무겁게 구현할 수 있어 간단한 연결구조만으로도 견고한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와 같은 수로관은 단순히 용, 배수의 목적을 넘어서 수로가 시공되는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면서 관련된 생태를 해치지 않도록 하는 친환경적인 목적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수로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속한 설치와 비용의 절감을 위해 다수 개의 수로관(50)을 미리 제작하고, 유수의 흐름만을 고려하여 다수 개의 수로관(50)이 연결되도록 시공되고 있는바, 이는 장대한 길이로 시공되는 과정에서 수량공급이나 지형상의 특징 등은 감안하지 않고 동일한 형태로 구비된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수로관(50)을 연결 설치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수로관(50)의 활용성을 떨어뜨리고 친환경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행기술로서 국내등록특허 제10-0981417호로 개시된 친환경 수로관에서는 한쌍의 측벽이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측벽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바닥면으로 구성되는 수로관과 상기 수로관 측벽의 상단부에서 바닥면까지 사선으로 뻗어 생태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경사로드와 상기 경사로드의 상부 표면에 소정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어 흙이 쌓여 풀이 자랄 수 있게 하는 요홈을 포함하여 구성하여, 수로관 내부에 빠지는 동물의 고사를 막아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으며, 식물이 자생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수로관에서는 단지 생태 통로 기능만을 수행하고 어류의 이동이나 수초의 식생과 같은 기술내용은 구비되어 있지 않고 수로관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운반 및 시공에 어려움이 있었다.
: 국내등록특허 제10-0981417호(2010년 09월 03일 등록) : 국내등록특허 제10-1112426호(2012년 01월 30일 등록) : 국내등록실용 제20-0441253호(2008년 07월 28일 등록)
본 발명은 농경지 등에 지속적으로 용수를 공급하거나 공급된 용수를 배출하는 원 기능 이외에도 수로관을 분리형으로 구성하고 측벽판의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지반 지형에 구애없이 용이하게 설치 가능한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대한 길이로 상향 개구되게 설치되는 수로관의 측벽판을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측벽판 및 바닥판에 형성된 식재홀을 통해 수초와 같은 수생식물이 식생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러한 수생식물의 뿌리가 측벽판의 경사면으로 뻗어 안정되게 자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로관의 설치 후에도 수로관 주변의 생태환경을 보호·유지할 수 있는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은, 수로가 시공되는 지반 상에 구비되는 다짐판(100); 상기 다짐판(100) 상에 위치하고, 유로(500)의 하부면을 밀폐하는 바닥판(200); 상기 바닥판(200) 상에 위치하고, 시공자의 선택에 의해 경사 각도가 조절되어 유로(500)의 폭이 조절될 수 있는 측벽판(300); 및 상기 측벽판(300)의 상부면을 가로지르도록 위치하고, 상기 측벽판(300)의 경사 각도를 고정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각도조절대(400)를 포함한다.
상기 다짐판(100) 상부면은 바닥판(200)의 하부면과 마찰력을 증가시켜 상기 바닥판(200)이 견고하게 고정 지지되도록 다수의 줄무늬 또는 요철 구조로 구성된 마찰면(1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200)은, 유로(500)를 통해 흐르는 유수(550)의 하부면을 밀폐하는 중앙 바닥부(210); 및 상기 중앙 바닥부(210) 양측에 대응되게 구비되고, 상기 측벽판(300)의 일단이 끼움 고정되는 측면 바닥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바닥부(210)는, 상기 중앙 바닥부(210)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된 상기 바닥식재홀(212); 상기 중앙 바닥부(210)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중앙 바닥부(210)의 상부면이 일정 깊이 파져 단턱진 형상으로 구성된 바닥 연결홈(214); 및 상기 중앙 바닥부(210)의 타단에 구비되고, 상기 중앙 바닥부(210)의 상부면이 상기 바닥 연결홈(214)과 대응되도록 돌출되게 구성된 바닥 연결돌기(216)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 연결돌기(216) 및 바닥 연결홈(214)의 끼움 결합에 의해 다수개의 수로관(10)이 길이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측면 바닥부(230)는, 상기 측벽판(300)의 일단이 끼움 고정되고, 일정한 깊이로 파진 홈 형상으로 구성되며, 하부면은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구성된 끼움홈(232); 및 상기 끼움홈(232) 하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측벽판(300)에 형성된 고정핀(330)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구멍(2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판(300)은, 일단이 상기 바닥판(200)의 끼움홈(232)에 끼움 고정되고, 시공자의 선택에 의해 경사 각도가 조절되어 유로(500)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벽체(310); 상기 벽체(310)를 관통하는 구멍으로 형성되고, 내측에는 토양(600)이 적층되어 수생식물(700)을 식재할 수 있는 측벽식재홀(320); 상기 벽체(310)의 하단면에 구성되고, 상기 고정구멍(234)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핀(330); 상기 벽체(310) 타단 상부면에 구비되고, 일정 깊이로 파진 홈 형상으로 구성된 걸림홈(340); 상기 벽체(310)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벽체(310)의 일측면이 일정 깊이 파져 단턱진 형상으로 구성된 측벽 연결홈(350); 및 상기 벽체(310)의 타단에 구비되고, 상기 벽체(310)의 타측면이 상기 측벽 연결홈(350)과 대응되도록 돌출되게 구성된 측벽 연결돌기(3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대(400)는, 상기 유로(500)의 폭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구성되고, 상기 측벽판(300)을 가로지르도록 위치하는 지지대(410); 및 상기 지지대(410)의 양단에 구비되고, 하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벽체(310)의 상부면에 형성된 걸림홈(340)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걸림홈(340)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벽체(310)의 경사 각도를 고정하는 걸림턱(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330)은 상기 벽체(310)의 경사 각도 조절시 상기 끼움홈(232)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핀(330)이 상기 벽체(310)의 경사 각도에 따라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측벽판(300)의 경사 각도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다짐판(100), 바닥판(200), 측벽판(300) 및 각도조절대(400)는 일정 길이 단위를 갖는 콘크리트 재질의 성형품으로 제작되는 것을 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은 농경지 등에 지속적으로 용수를 공급하거나 공급된 용수를 배출하는 원 기능 이외에도 수로관을 분리형으로 구성하고 측벽판의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지반 지형에 구애없이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고, 수로관 제작 및 운반·설치가 용이하고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은 장대한 길이로 상향 개구되게 설치되는 수로관의 측벽판을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측벽판 및 바닥판에 형성된 식재홀을 통해 수초와 같은 수생식물이 식생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러한 수생식물의 뿌리가 측벽판의 경사면으로 뻗어 안정되게 자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로관의 설치 후에도 수로관 주변의 생태환경을 최대한 보호·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측벽판 및 바닥판에 형성된 식재홀을 통해 수로관의 물이 땅속으로 침투가 가능하여 지하에 저장될 수 있으며, 수로관 내부에 정화식물의 식재로 인하여 용수의 여과기능을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로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이 연결되어 수로를 구성하는 것을 보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에서 도 4의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일 수도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의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이 연결되어 수로를 구성하는 것을 보이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에서 도 4의 단면도이고,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10)은 공업 및 농업용수 등을 수원지로부터 이송·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신속한 설치와 비용의 절감을 위해 다수개의 수로관(10)을 미리 제조하고, 상기 다수개의 수로관(10)을 상호 연결하여 수로를 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10)은 일정 길이 단위를 갖는 콘크리트 재질의 성형품으로 제작되며, 상기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10)이 전후 방향으로 이웃하게 연결됨으로써 장대한 길이로 상부가 개구되게 설치되는 수로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10)은 다짐판(100), 바닥판(200), 측벽판(300) 및 각도조절대(400)를 포함한다.
상기 다짐판(100)은 수로가 시공되는 지반 상에 구비되고,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10)의 전체 무게를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상기 다짐판(100)은 긴 장방형의 사각 판상으로 구성되고, 유로(500) 상을 흐르는 유수(550)에 의한 지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짐판(100) 상부면에는 바닥판(200)의 하부면이 직접 접촉하며, 상기 다짐판(100) 상부면은 바닥판(200)의 하부면과 마찰력을 증가시켜 상기 바닥판(200)이 견고하게 고정 지지되도록 다수의 줄무늬 또는 요철 구조로 구성된 마찰면(1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200)은 상기 다짐판(100) 상부면에 위치하고 유로(500)의 하부면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200)은 양 측면 길이 방향으로 측벽판(300)의 일단이 경사지도록 끼움 고정되어 지지되고, 중앙 바닥부(210) 및 측면 바닥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 바닥부(210)는 유로(500)를 통해 흐르는 유수(550)의 하부면을 밀폐하고, 유수(550)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평평하게 구성된다. 상기 중앙 바닥부(210)는 바닥식재홀(212), 바닥 연결홈(214) 및 바닥 연결돌기(216)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식재홀(212)은 상기 중앙 바닥부(210)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는 구멍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 바닥부(210) 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닥식재홀(212) 내측에는 토양(600)이 적재되고, 상기 토양(600)에는 수초와 같은 수생식물(700)이 식재될 수 있다. 상기 수생식물(700)은 수로관(10) 설치시 시공자가 식재할 수 있으며, 또는 유로(500)를 통한 유수(550)의 흐름에 의해 자연스럽게 토사가 적층되어 수생식물(700)이 식생할 수 있다.
상기 바닥 연결홈(214) 및 바닥 연결돌기(216)는 다수개의 수로관(10)을 연결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중앙 바닥부(210)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 연결홈(214)은 상기 중앙 바닥부(210)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중앙 바닥부(210)의 상부면이 일정 깊이 파져 단턱진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 연결돌기(216)는 상기 중앙 바닥부(210)의 타단에 구비되고, 상기 중앙 바닥부(210)의 상부면이 상기 바닥 연결홈(214)과 대응되도록 돌출되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10)에서 상기 바닥 연결돌기(216)는 상기 바닥 연결홈(214)에 삽입되어 끼움결합되고, 상기 바닥 연결돌기(216) 및 바닥 연결홈(214)의 끼움 결합에 의해 다수개의 수로관(10)이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어 장대한 길이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측면 바닥부(230)는 상기 바닥판(200) 일측과 타측에 대응되게 구성되고, 상기 측면 바닥부(230) 상에는 하기에서 설명될 측벽판(300)의 일단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측면 바닥부(230)는 끼움홈(232) 및 고정구멍(234)을 포함한다.
상기 끼움홈(232)은 상기 측벽판(300)의 일단이 끼움 고정되고, 일정한 깊이로 파진 홈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홈(232)의 하부면은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끼움홈(232)에 고정 결합되는 측벽판(300)이 유로(500)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홈(232)은 상기 바닥판(200)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이 대칭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멍(234)은 상기 끼움홈(232) 하부면에 위치하고, 일정 깊이로 파진 홈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멍(234)은 하기에서 설명될 측벽판(300)의 고정핀(330)이 삽입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핀(330)이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개수 및 크기가 가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수로관(10)에 4 개의 고정핀(330)을 형성하고, 고정구멍(234) 또한 이와 동수로 형성된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상기 측벽판(300)은 상기 측면 바닥부(230)의 끼움홈(232) 상에 위치하고,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구성되며, 유로(500)의 깊이를 한정할 수 있다. 상기 측벽판(300)은 벽체(310), 측벽식재홀(320), 고정핀(330), 걸림홈(340), 측벽 연결홈(350) 및 측벽 연결돌기(360)를 포함한다.
상기 벽체(310)는 사각의 판상으로 구성되고, 유로(500)의 폭을 한정할 수 있다. 상기 벽체(310)의 일단은 상기 바닥판(200)의 끼움홈(232)에 끼움 고정되고, 시공자의 선택에 의해 경사 각도가 조절되어 유로(500)의 폭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공자가 수로관(10)을 설치하는 지형이나 유속의 필요에 따라 끼움결합되는 상기 벽체(310)의 경사 각도를 크게 하거나 작게 함으로써 상기 벽체(310)의 경사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측벽식재홀(320)은 상기 벽체(310)를 관통하는 구멍으로 형성되고, 상기 벽체(310) 상에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벽식재홀(320) 내측에는 토양(600)이 적층되고, 상기 토양(600)에는 수초와 같은 수생식물(700)이 식재될 수 있다. 상기 수생식물(700)은 수로관(10) 설치시 시공자가 식재할 수 있으며, 또는 유로(500)를 통한 유수(550)의 흐름에 의해 자연스럽게 토사가 적층되어 수생식물(700)이 식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10)에서 상기 측벽식재홀(320)은 수로관(10) 측면의 지반과 직접 접촉될 수 있는데, 상기한 구성에 의해 상기 측벽식재홀(320)에 식재된 수생식물(700)의 뿌리가 측벽판(300)의 경사면으로 뻗어 안정되게 자랄 수 있게 됨으로써, 수로관(10)의 설치 후에도 수로관(10) 주변의 생태환경(800)을 보호·유지하여 친환경적인 수로관(10)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330)은 상기 벽체(310)의 하단면에 구성되고, 일정 길이로 연장된 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330)은 상기 측벽판(300)을 상기 바닥판(200)에 좀더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구비되고, 일정한 강도를 가지는 유연성 있는 탄성물질로 형성되어 상기 측벽판(300)의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공자가 수로관(10)을 설치하는 지형이나 유속의 필요에 따라 끼움결합되는 상기 벽체(310)의 경사 각도를 크게 하거나 작게 할 수 있는데, 상기 벽체(310)의 경사 각도 조절시 상기 끼움홈(232)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핀(330)이 상기 벽체(310)의 경사 각도에 따라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측벽판(300)의 경사 각도가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핀(330)은 상기 고정구멍(234)에 끼움 결합되어 외부적인 충격에 의해 상기 측벽판(300)이 측면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걸림홈(340)은 상기 벽체(310) 타단 상부면에 구비되고, 상기 벽체(310) 상부면에서 일정 깊이로 파진 홈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홈(340)은 하기에서 설명될 각도조절대(400)의 일단 및 타단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각도조절대(400)와 결합되어 상기 벽체(310)의 경사 각도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측벽 연결홈(350) 및 측벽 연결돌기(360)는 다수개의 수로관(10)을 연결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벽체(310)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 연결홈(350)은 상기 벽체(310)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벽체(310)의 일측면이 일정 깊이 파져 단턱진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측벽 연결돌기(360)는 상기 벽체(310)의 타단에 구비되고, 상기 벽체(310)의 타측면이 상기 측벽 연결홈(350)과 대응되도록 돌출되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10)에서 상기 측벽 연결돌기(360)는 상기 측벽 연결홈(350)에 삽입되어 끼움 결합되고, 상기 측벽 연결돌기(360) 및 측벽 연결홈(350)의 끼움 결합에 의해 다수개의 수로관(10)이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어 장대한 길이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대(400)는 상기 측벽판(300)의 상부면을 가로지르도록 위치하고, 상기 측벽판(300)의 경사 각도를 고정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10)에서 상기 각도조절대(400)는 상기 측벽판(300)의 폭, 즉,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10)에서 양측의 측벽판(300) 사이의 유로(500)의 폭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측벽판(300)의 경사 각도가 커서 상기 측벽판(300) 상단면의 폭이 작은 경우에는 좀더 길이가 짧은 각도조절대(400)를 이용하여 상기 측벽판(300)의 경사 각도를 고정할 수 있고, 상기 측벽판(300)의 경사 각도가 작아서 상기 측벽판(300)의 상단면의 유로(500) 폭이 큰 경우에는 좀더 길이가 긴 각도조절대(400)를 이용하여 상기 측벽판(300)의 경사 각도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대(400)는 지지대(410) 및 걸림턱(42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410)는 긴 막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측벽판(300)을 가로지르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걸림턱(420)은 상기 지지대(410)의 양단에 구비되고, 하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420)은 상기 벽체(310)의 상부면에 형성된 걸림홈(340)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걸림턱(420)이 상기 걸림홈(340)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벽체(310)의 경사 각도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10)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사용상의 이점을 갖는다.
즉, 농경지 등에 지속적으로 용수를 공급하거나 공급된 용수를 배출하는 원 기능 이외에도 수로관(10)을 분리형으로 구성하고 측벽판(300)의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지반 지형에 구애없이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고, 수로관(10) 제작 및 운반·설치가 용이하고 경제적이다.
또한, 장대한 길이로 상향 개구되게 설치되는 수로관(10)의 측벽판(300)을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측벽판(300) 및 바닥판(200)에 형성된 식재홀을 통해 수초와 같은 수생식물(700)이 식생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러한 수생식물(700)의 뿌리가 측벽판(300)의 경사면으로 뻗어 안정되게 자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로관(10)의 설치 후에도 수로관(10) 주변의 생태환경(800)을 최대한 보호·유지하여 친환경적으로 수로관(10)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판(300) 및 바닥판(200)에 형성된 식재홀을 통해 수로관(10)의 물이 땅속으로 침투가 가능하여 지하에 저장될 수 있으며, 수로관(10) 내부에 정화식물을 식재할 경우에는 용수의 여과기능을 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수로관 100; 다짐판
110; 마찰면 200; 바닥판
210; 중앙 바닥부 212; 바닥식재홀
214; 바닥 연결홈 216; 바닥 연결돌기
230; 측면 바닥부 232; 끼움홈
234; 고정구멍 300; 측벽판
310; 벽체 320; 측벽식재홀
330; 고정핀 340; 걸림홈
350; 측벽 연결홈 360; 측벽 연결돌기
400; 각도조절대 410; 지지대
420; 걸림턱 500; 유로
550; 유수 600; 토양
700; 수생식물 800; 주변의 생태환경

Claims (9)

  1. 수로가 시공되는 지반 상에 구비되는 다짐판(100);
    상기 다짐판(100) 상에 위치하고, 유로(500)의 하부면을 밀폐하는 바닥판(200);
    상기 바닥판(200) 상에 위치하고, 시공자의 선택에 의해 경사 각도가 조절되어 유로(500)의 폭이 조절될 수 있는 측벽판(300); 및
    상기 측벽판(300)의 상부면을 가로지르도록 위치하고, 상기 측벽판(300)의 경사 각도를 고정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각도조절대(400)를 포함하되,
    상기 바닥판(200)은,
    유로(500)를 통해 흐르는 유수(550)의 하부면을 밀폐하는 중앙 바닥부(210); 및
    상기 중앙 바닥부(210) 양측에 대응되게 구비되고, 상기 측벽판(300)의 일단이 끼움 고정되는 측면 바닥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바닥부(230)는,
    상기 측벽판(300)의 일단이 끼움 고정되고, 일정한 깊이로 파진 홈 형상으로 구성되며, 하부면은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구성된 끼움홈(232); 및
    상기 끼움홈(232) 하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측벽판(300)에 형성된 고정핀(330)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구멍(234)을 포함하며,
    상기 측벽판(300)은,
    일단이 상기 바닥판(200)의 끼움홈(232)에 끼움 고정되고, 시공자의 선택에 의해 경사 각도가 조절되어 유로(500)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벽체(310);
    상기 벽체(310)를 관통하는 구멍으로 형성되고, 내측에는 토양(600)이 적층되어 수생식물(700)을 식재할 수 있는 측벽식재홀(320);
    상기 벽체(310)의 하단면에 구성되고, 상기 고정구멍(234)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핀(330);
    상기 벽체(310) 타단 상부면에 구비되고, 일정 깊이로 파진 홈 형상으로 구성된 걸림홈(340);
    상기 벽체(310)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벽체(310)의 일측면이 일정 깊이 파져 단턱진 형상으로 구성된 측벽 연결홈(350); 및
    상기 벽체(310)의 타단에 구비되고, 상기 벽체(310)의 타측면이 상기 측벽 연결홈(350)과 대응되도록 돌출되게 구성된 측벽 연결돌기(36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핀(330)은 상기 벽체(310)의 경사 각도 조절시 상기 끼움홈(232)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핀(330)이 상기 벽체(310)의 경사 각도에 따라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측벽판(300)의 경사 각도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짐판(100) 상부면은 바닥판(200)의 하부면과 마찰력을 증가시켜 상기 바닥판(200)이 견고하게 고정 지지되도록 다수의 줄무늬 또는 요철 구조로 구성된 마찰면(1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바닥부(210)는,
    상기 중앙 바닥부(210)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된 바닥식재홀(212);
    상기 중앙 바닥부(210)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중앙 바닥부(210)의 상부면이 일정 깊이 파져 단턱진 형상으로 구성된 바닥 연결홈(214); 및
    상기 중앙 바닥부(210)의 타단에 구비되고, 상기 중앙 바닥부(210)의 상부면이 상기 바닥 연결홈(214)과 대응되도록 돌출되게 구성된 바닥 연결돌기(216)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 연결돌기(216) 및 바닥 연결홈(214)의 끼움 결합에 의해 다수개의 수로관(10)이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대(400)는,
    상기 유로(500)의 폭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구성되고, 상기 측벽판(300)을 가로지르도록 위치하는 지지대(410); 및
    상기 지지대(410)의 양단에 구비되고, 하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벽체(310)의 상부면에 형성된 걸림홈(340)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걸림홈(340)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벽체(310)의 경사 각도를 고정하는 걸림턱(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짐판(100), 바닥판(200), 측벽판(300) 및 각도조절대(400)는 일정 길이 단위를 갖는 콘크리트 재질의 성형품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
KR20140052841A 2014-04-30 2014-04-30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 KR101476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2841A KR101476101B1 (ko) 2014-04-30 2014-04-30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2841A KR101476101B1 (ko) 2014-04-30 2014-04-30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6101B1 true KR101476101B1 (ko) 2014-12-23

Family

ID=52679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52841A KR101476101B1 (ko) 2014-04-30 2014-04-30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61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35267A (zh) * 2020-03-13 2020-06-26 中交三公局第二工程有限公司 临时急流槽
CN113981909A (zh) * 2021-11-02 2022-01-28 广西大学 一种流域沟渠水体污染物的拦截净化方法
CN114486341A (zh) * 2022-02-23 2022-05-13 陇东学院 一种用于地质勘探的钻孔取芯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617Y1 (ko) * 2000-07-21 2000-12-01 보람엔지니어링주식회사 수로받침 콘크리트 블록
KR200330081Y1 (ko) * 2003-07-25 2003-10-11 이상철 조립식 수로관
KR20110004410U (ko) * 2009-10-28 2011-05-04 주식회사 세주 잔디 식재지반 배수구조
KR20130067647A (ko) * 2011-12-14 2013-06-25 주식회사 씨엠 친환경 수로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617Y1 (ko) * 2000-07-21 2000-12-01 보람엔지니어링주식회사 수로받침 콘크리트 블록
KR200330081Y1 (ko) * 2003-07-25 2003-10-11 이상철 조립식 수로관
KR20110004410U (ko) * 2009-10-28 2011-05-04 주식회사 세주 잔디 식재지반 배수구조
KR20130067647A (ko) * 2011-12-14 2013-06-25 주식회사 씨엠 친환경 수로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35267A (zh) * 2020-03-13 2020-06-26 中交三公局第二工程有限公司 临时急流槽
CN113981909A (zh) * 2021-11-02 2022-01-28 广西大学 一种流域沟渠水体污染物的拦截净化方法
CN114486341A (zh) * 2022-02-23 2022-05-13 陇东学院 一种用于地质勘探的钻孔取芯设备
CN114486341B (zh) * 2022-02-23 2023-09-15 陇东学院 一种用于地质勘探的钻孔取芯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7172B2 (en) Subsurface fluid distribution apparatus
US9297135B2 (en) Structural lining system
KR101476101B1 (ko) 친환경 조립식 생태 수로관
KR100868986B1 (ko) 담수 기능을 갖는 보도블록
KR200418383Y1 (ko) 환경 친화용 수로관
KR100914046B1 (ko) 담수용 생태 수로관
KR102141237B1 (ko) 조립식 식생 수로
KR101868974B1 (ko)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
CN105088920A (zh) 一种汇水引流的铺装路面
KR20060060639A (ko) 친환경 수로블록
KR200421297Y1 (ko) 친환경 수로블록
KR100549498B1 (ko) 건축용 조립식 옹벽블럭의 설치구조
KR101811348B1 (ko) 삼각구조 블럭
KR100744990B1 (ko) 수로용 식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수로 시공 방법
KR200390488Y1 (ko) 배수로관
KR200413509Y1 (ko) 수로용 식생 블록
KR100678870B1 (ko) 배수로관
KR101887850B1 (ko) 동물의 이동 통로가 구비된 수로구조물
JP5518512B2 (ja) コンクリートフリューム
CN210066774U (zh) 一种自稳式连锁生态砌块
KR200367365Y1 (ko) 생태계 건널목용 수로관
KR20120001579U (ko) 식생구역이 형성된 친환경 수로블록
KR20060028803A (ko) 식생블록
KR200286802Y1 (ko) 농수로용 수로관
KR102029766B1 (ko) 어도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