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156Y1 - 연결식 산마루측구용 블록 - Google Patents

연결식 산마루측구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156Y1
KR200403156Y1 KR20-2005-0025774U KR20050025774U KR200403156Y1 KR 200403156 Y1 KR200403156 Y1 KR 200403156Y1 KR 20050025774 U KR20050025774 U KR 20050025774U KR 200403156 Y1 KR200403156 Y1 KR 2004031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idge
protrusion
coupling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7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만휴
Original Assignee
합명회사 남부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명회사 남부산업 filed Critical 합명회사 남부산업
Priority to KR20-2005-00257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1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1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1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원 고안에 따른 연결식 산마루측구용 블록은, 소정의 두께(h1)를 가지는 블록바닥부 및 상기 블록바닥부의 양측부에 블록의 높이방향으로 뻗어있는 측벽부를 포함하며, 2개 이상이 서로 체결되어 산마루측구를 형성하는 연결식 산마루측구용 블록으로서,
상기 블록의 일단부에는 블록의 폭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수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블록의 타단부에는 상기 결합돌기를 수용하기 위한 돌기수용홈을 포함하는 암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결합부 및 암결합부 중 어느 한쪽의 블록바닥부에는 그 저면이 블록바닥부의 두께(h1)로부터 소정의 두께(h2)만큼 깎여진 하향단차부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의 블록바닥부에는 그 상면이 이와 동일한 두께(h2)만큼 깍여져 상기 하향단차부와 상보적인 상향단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결식 산마루측구용 블록{ARTICULATED BLOCK FOR PASSAGE IN MOUNTAIN EDGE}
본 고안은 연결식 산마루측구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연속적인 블록이 서로 체결됨으로써 산마루측구를 형성하고, 각 블록은 그와 인접한 다른 블록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는 구조의 연결식 산마루측구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산마루측이나 절개지의 비탈면 상에는 우수를 집수하여 비탈면 하부로 우수를 도수하기 위한 산마루측구가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산마루측구는 우수가 비탈면 상으로 흘러내림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비탈면 상의 토사의 유실이나 이에 따른 절개지(비탈면)의 붕괴를 방지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러한 산마루측구를 설치하는 방식으로서, 비탈면 상에 산마루측구에 해당하는 부분만큼을 굴삭하고, 기초와 벽체콘크리트 타설을 별도로 시공하고 약 20M 간격으로 신축이음조인트로 합판으로 시공하므로 일정기간이 지나면 벽체와 신축이음부위가 부식되어 누수현상이 발생하여, 지반침하 및 세골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방식에서는 미리 완성된 블록을 조립하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그 설치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었고, 날씨에 따라 그 작업이 제한되는 경우가 많았다(특히, 콘크리트 타설 및 경화작업에 있어서).
다른 방식으로서는, PVC 등의 재질로 형성된 다수의 블록을 서로 조립하는 방식이 있었으나, 이 경우에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 경우 각 블록간의 조립의 방식은 도7에 모식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의 하단의 연결부에 계단형상의 단차부를 형성하여 서로 포개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는데, 이 경우에는 조립된 각 블록은 서로 완전히 밀착되기만 할 뿐, 그 길이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회동을 허용하는 구조가 아니므로, 곡선구간이나 비 직선구간에서는 수로의 형성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각 블록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여 블록 내의 우수가 그 틈새를 통하여 유실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이 경우에 각 블록 간은 서로 포개어지기만 할 뿐, 서로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이 없었으므로, 경사면 등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블록이 밀려 블록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산마루측구의 설치작업에 소요되는 공사기간 및 비용이 획기적으로 단축되며, 바닥기초 및 벽체가 일체형으로 생산되므로 누수현상이 전혀 없고, 서로 인접한 블록은 서로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될 수 있어서 곡선구간이나 비 직선구간에서도 원활한 수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서로 인접한 블록은 서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시간이 경과하여도 밀림 등으로 인하여 그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는 문제가 방지되는 구조의 연결식 산마루측구용 블록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원 고안에 따른 연결식 산마루측구용 블록은, 소정의 두께(h1)를 가지는 블록바닥부 및 상기 블록바닥부의 양측부에 블록의 높이방향으로 뻗어있는 측벽부를 포함하며, 2개 이상이 서로 체결되어 산마루측구를 형성하는 연결식 산마루측구용 블록으로서,
상기 블록의 일단부에는 블록의 폭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수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블록의 타단부에는 상기 결합돌기를 수용하기 위한 돌기수용홈을 포함하는 암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결합부 및 암결합부 중 어느 한쪽의 블록바닥부에는 그 저면이 블록바닥부의 두께(h1)로부터 소정의 두께(h2)만큼 깎여진 하향단차부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의 블록바닥부에는 그 상면이 이와 동일한 두께(h2)만큼 깍여져 상기 하향단차부와 상보적인 상향단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향단차부 영역의 블록바닥부에는 그 저면으로부터 수직하방으로 뻗어형성된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향단차부 영역의 블록바닥부에는 상기 삽입돌기와 상보적인 형상의 삽입돌기홈이 형성되거나;
상기 상향단차부 영역의 블록바닥부에는 그 상면으로부터 수직상방으로 뻗어 형성된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향단차부 영역의 블록바닥부에는 상기 삽입돌기와 상보적인 형상의 삽입돌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후속 블록에 각각 대향하는, 상기 결합돌기의 측면, 수결합부의 바닥부의 측면 및 하향단차부의 측면은 수평면에서 볼 때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선행 블록에 각각 대향하는, 상기 돌기수용홈의 측면, 암결합부의 바닥부의 측면 및 상향단차부의 측면은 수평면에서 볼 때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 및 돌기수용홈은 블록의 측벽부의 높이보다 더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삽입돌기 및 상기 삽입돌기홈은 원뿔대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돌기수용홈 내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돌기수용홈의 용적은 결합돌기의 용적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블록 측벽부의 외면에는 그 일부분이 소정의 깊이만큼 깍여진 파지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그 사시도, 도2는 도1의 측단면도, 도3은 도1의 평면도, 도4는 도1의 작동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작동도, 도5는 도3의 A-A의 단면도, 도6은 도1의 연결도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고안에 따른 연결식 산마루측구용 블록은 2개 이상의 블록이 서로 체결되어 산마루측구를 형성하는 방식의 블록으로서, 소정의 두께(h1)를 가지는 블록바닥부(10), 및 이 블록바닥부(10)의 양측부에 블록의 높이방향으로 뻗어있는 측벽부(20)를 포함한다.
이 측벽부(20)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뻗지 않고, 수직방향에 대하여 약간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도 무방하며, 그 외면에는 외면의 일부분이 파여 형성된 파지부(21)가 구비되어 있다. 이 파지부(21)는 블록을 운반 시에 파지하기 위한 지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블록이 설치된 경우에는 파지부(21) 내로 흙 또는 모래가 메워져 작용하는 토압에 의해 블록이 단단히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블록의 일단부(도면에서는 우측단부)에는 수결합부(30)가 형성되는데, 이 수결합부(30)에는 블록의 폭방향으로 돌출되는 한편, 블록의 높이방향으로 뻗어있는 결합돌기(31)와, 수결합부(30) 아래쪽에는 그 블록바닥부(35)의 저면을 소정의 높이(h2) 만큼 폭방향으로 깎아 형성된 하향단차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블록의 타단부(도면의 좌측단부)에는 암결합부(40)가 형성되는데, 이 암결합부(40)에는 상기 결합돌기(31)를 수용하기 위한 돌기수용홈(41)이 역시 블록의 높이방향으로 뻗어 형성되고, 암결합부(40)의 블록바닥부(45)의 상면을 역시 일정한 높이(h2)만큼 깍아 형성된 상향단차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수용홈(41)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의 측벽부(20)를 수평면에서 볼 때 대략 U자 형상으로 블록의 폭방향으로 돌출시켜 형성된다.
이 돌기수용홈(41) 내에 다른 블록(이하, "선행블록")의 결합돌기(31)가 수용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동하게 되므로, 돌기수용홈(41)의 용적은 결합돌기(31)의 용적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도1 내지 도3에서는 결합돌기(31) 및 돌기수용홈(41)이 블록의 측벽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결합돌기(31) 및 돌기수용홈(41)의 높이는 블록의 측벽의 높이보다 더 작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이 경우 재료절감의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 수결합부(30)의 하향단차부(33)와, 암결합부(40)의 상향단차부(43)는 서로 상보적으로 형성되어(동일한 높이(h2) 만큼 깎여 형성된 것임), 인접한 두 블록의 서로 대향하는 하향단차부(33)와 상향단차부(43)가 서로 포개져 결합하는 경우에, 그 포개진 높이는 블록바닥부(10)의 높이(h1)과 동일하게 된다.
상기 하향단차부(33)에는 블록바닥부(35)의 저면(32)으로부터 수직하방으로 뻗어형성된 삽입돌기(34)가 형성되고(도2참조), 상기 상향단차부(43)의 블록바닥부(45)에는 그 일부가 파여져 상기 삽입돌기(34)와 상보적인 형상의 삽입돌기홈(44)이 형성되어 있어, 인접한 두 블록이 서로 결합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블록의 삽입돌기(34)가 다른 블록의 삽입돌기홈(44) 내에 삽입 안착된다(도6참조).
상기 상보적인 삽입돌기(34)와 삽입돌기홈(44)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뿔대형상 또는 원기둥형상 등으로 형성되어 회동을 허용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삽입돌기(34)와 삽입돌기홈(44)은 회동축으로서 기능할 뿐만 아니라, 서로 결합된 인접한 블록을 서로에 대하여 위치고정시키는 기능도 수행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어느 하나의 블록이 밀림으로써 형성될 수 있는 틈새의 발생을 방지한다.
수결합부(30)에 있어서, 후속 블록(미도시)에 각각 대향하는 결합돌기(31)의 측면(31-1), 수결합부(30)의 바닥부(35)의 측면(35-1) 및 하향단차부(33)의 측면(33-1)은 수평면에서 볼 때 소정의 곡률(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도3참조),
암결합부(40)에 있어서, 선행블록(미도시)에 각각 대향하는, 상기 돌기수용홈(41)의 측면(41-1), 암결합부(40)의 바닥부(45)의 측면(45-1) 및 상향단차부(43)의 측면(43-1)은 수평면에서 볼 때 곡률(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서로 인접한 두 블록의 서로 맞닿는 부분에 곡률(ρ)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4에 모식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양 블록이 서로 결합된 상태로 어느 하나의 블록이 다른 블록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θ)만큼 회동하는 경우에도 양 블록은 원활한 결합상태를 유지하면서 회동을 허용하게 되며, 여기에서 전술한 상보적인 삽입돌기(34)와 삽입돌기홈(44)이 회동축으로서 기능한다.
이하, 전술한 실시예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산마루측구를 설치하고자 하는 영역을 굴삭한 후, 블록의 파지부(21)를 소정의 파지수단으로 파지하여 어느 하나의 블록을 굴삭된 영역 내에 위치시킨다. 그 후, 후속 블록을 선행블록에 인접하게 위치시키는데, 이 때, 후속블록의 결합돌기(31)가 선행블록의 돌기수용홈(41) 내에 수용되도록 하는 한편 후속블록의 삽입돌기(34)가 선행블록의 삽입돌기홈(44) 내에 삽입되어 안착된다(도6 참조). 여기에서, 굴삭된 영역의 산마루측구가 직선 형태가 아니라 어느 정도 꺾여야 할 영역인 경우에는, 후속블록을 선행블록에 대하여, 상기 삽입돌기(34)와 삽입돌기홈(44)을 회동축으로 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시켜, 꺾인 형상의 산마루측구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업을 반복하여 산마루측구를 형성한 후에, 흙을 덮어 틈새를 메움으로써 산마루측구를 완성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수결합부(30)에 하향단차부(33)가 형성되고 암결합부(40)에 상향단차부(43)가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는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며, 또한 하향단차부(33)의 영역에 삽입돌기(34)가, 상향단차부(43)의 영역에 삽입돌기홈(44)이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역시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원 고안의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것일 뿐, 본원고안의 사상과 범위가 예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원 고안에 따른 연결식 산마루측구용 블록에 의하면, 산마루측구의 설치작업에 소요되는 공사기간 및 비용이 획기적으로 단축되며, 바닥기초 및 벽체가 일체형으로 제조되므로 누수현상이 전혀 없고, 서로 인접한 블록은 서로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될 수 있어서 곡선구간이나 비 직선구간에서도 원활한 수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서로 인접한 블록은 서로를 고정하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하여도 밀림 등으로 인하여 그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는 문제가 방지된다.
도1은 본원고안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측단면도이다.
도3은 도1의 평면도이다.
도4는 도1의 작동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작동도이다.
도5는 도3의 A-A의 단면도이다.
도6은 도1의 연결도이다.
도7은 종래의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블록바닥부 20... 측벽부
21... 파지부 h1,h2... 두께
30... 수결합부 40... 암결합부
31... 결합돌기 41... 돌기수용홈
32... 블록바닥부의 저면 42... 블록바닥부의 상면
33... 하향단차부 43... 상향단차부
34... 삽입돌기 44... 삽입돌기홈
31-1,33-1,35-1...수결합부 영역측면 41-1,43-1,45-1... 암결합부 영역 측면
35,45... 블록바닥부 ρ... 곡률

Claims (8)

  1. 소정의 두께(h1)를 가지는 블록바닥부(10) 및 상기 블록바닥부(10)의 양측부에 블록의 높이방향으로 뻗어있는 측벽부(20)를 포함하며, 2개 이상이 서로 체결되어 산마루측구를 형성하는 연결식 산마루측구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일단부에는 블록의 폭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기(31)를 포함하는 수결합부(30)가 형성되고,
    상기 블록의 타단부에는 상기 결합돌기(31)를 수용하기 위한 돌기수용홈(41)을 포함하는 암결합부(4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결합부(30) 및 암결합부(40) 중 어느 한쪽의 블록바닥부에는 그 저면(32)이 블록바닥부(10)의 두께(h1)로부터 소정의 두께(h2)만큼 깎여진 하향단차부(33)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는 블록바닥부에는 그 상면(42)이 이와 동일한 두께(h2)만큼 깍여져 상기 하향단차부(33)와 상보적인 상향단차부(4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식 산마루측구용 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단차부(33) 영역의 블록바닥부(35)에는 그 저면(32)으로부터 수직하방으로 뻗어형성된 삽입돌기(34)가 형성되고,
    상기 상향단차부(43) 영역의 블록바닥부(45)에는 상기 삽입돌기(34)와 상보적인 형상의 삽입돌기홈(4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식 산마루측구용 블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단차부(43) 영역의 블록바닥부(45)에는 그 상면(42)으로부터 수직상방으로 뻗어 형성된 삽입돌기(34)가 형성되고,
    상기 하향단차부(33) 영역의 블록바닥부(35)에는 상기 삽입돌기(34)와 상보적인 형상의 삽입돌기홈(4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식 산마루측구용 블록.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속 블록에 각각 대향하는, 상기 결합돌기(31)의 측면(31-1), 수결합부(30)의 블록바닥부(35)의 측면(35-1) 및 하향단차부(33)의 측면(33-1)은 수평면에서 볼 때 곡률(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선행 블록에 각각 대향하는, 상기 돌기수용홈(41)의 측면(41-1), 암결합부(40)의 블록바닥부(45)의 측면(45-1) 및 상향단차부(43)의 측면(43-1)은 수평면에서 볼 때 곡률(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식 산마루측구용 블록.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31) 및 돌기수용홈(41)은 블록의 측벽부(20)의 높이보다 더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식 산마루측구용 블록.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34) 및 상기 삽입돌기홈(44)은 원뿔대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식 산마루측구용 블록.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31)가 상기 돌기수용홈(41) 내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돌기수용홈(41)의 용적은 결합돌기(31)의 용적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식 산마루측구용 블록.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측벽부(20)의 외면에는 그 일부분이 소정의 깊이만큼 깍여진 파지부(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식 산마루측구용 블록.
KR20-2005-0025774U 2005-09-07 2005-09-07 연결식 산마루측구용 블록 KR2004031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774U KR200403156Y1 (ko) 2005-09-07 2005-09-07 연결식 산마루측구용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774U KR200403156Y1 (ko) 2005-09-07 2005-09-07 연결식 산마루측구용 블록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3166A Division KR100870682B1 (ko) 2005-09-07 2005-09-07 연결식 산마루측구용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156Y1 true KR200403156Y1 (ko) 2005-12-09

Family

ID=43704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774U KR200403156Y1 (ko) 2005-09-07 2005-09-07 연결식 산마루측구용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15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496B1 (ko) * 2007-02-21 2008-05-16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조립형 배수관
KR100862062B1 (ko) * 2008-03-12 2008-10-09 (주)한국주조 조립식 암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496B1 (ko) * 2007-02-21 2008-05-16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조립형 배수관
KR100862062B1 (ko) * 2008-03-12 2008-10-09 (주)한국주조 조립식 암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099876A1 (zh) 一种装配式地铁车站及其施工方法
WO2010021199A1 (ja) 路面仮復旧用部材及び路面仮復旧工法
KR100870682B1 (ko) 연결식 산마루측구용 블록
KR10086297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널말뚝 시공방법
US20080307738A1 (en) Roofing Tile
KR200403156Y1 (ko) 연결식 산마루측구용 블록
JP2009114643A (ja) 地下構造物の連結構造
KR102135594B1 (ko)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
JP4656966B2 (ja) 地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継手構造とその施工方法
JP5529087B2 (ja) オープンシールド機のプレスバー
JP2005023570A (ja) アンダーパス側壁用杭及びアンダーパス側壁の止水方法
JP2009144493A (ja) 水路構造体
US20090252560A1 (en) Segmental retaining wall blocks designed for curved or straight alignment
JP4666687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構築用の連結器
JP6159295B2 (ja) マンホール補修方法
JP5822582B2 (ja) 開渠ブロックおよびその継手構造
KR20000071456A (ko) 거푸집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장치
JPH0978569A (ja) 鋼管矢板
JP7417436B2 (ja) 六角形セグメント
JP3236225U (ja) 外壁の目地用カバー材
JP5823370B2 (ja) 連壁構築方法
JP2008196229A (ja) 目地接合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950006220Y1 (ko) 조립식 암거
KR200291341Y1 (ko) 결합 기능을 부여한 옹벽블록
JP2003176564A (ja) U字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1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