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9040B1 - 이온원의 작동 방법 및 이온 주입 장치 - Google Patents

이온원의 작동 방법 및 이온 주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9040B1
KR100829040B1 KR1020060102170A KR20060102170A KR100829040B1 KR 100829040 B1 KR100829040 B1 KR 100829040B1 KR 1020060102170 A KR1020060102170 A KR 1020060102170A KR 20060102170 A KR20060102170 A KR 20060102170A KR 100829040 B1 KR100829040 B1 KR 100829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n
ion source
plasma
plasma chamber
bias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2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3652A (ko
Inventor
유타카 이노우치
쇼지로 도히
야스노리 안도
야스히로 마츠다
Original Assignee
닛신 이온기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신 이온기기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닛신 이온기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3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3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48Ion implant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02Details
    • H01J37/04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discharge,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ion-optical arrangement
    • H01J37/08Ion sources; Ion gu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009Arrangements for generation of plasma specially adapted for examination or treatment of objects, e.g. plasma sources
    • H01J37/32412Plasma immersion ion implant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37/00Discharge tubes exposing object to beam, e.g. for analysis treatment, etching, imaging
    • H01J2237/06Sources
    • H01J2237/08Ion sources
    • H01J2237/0815Methods of ionisation
    • H01J2237/082Electron bea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ectron Sources, Ion Sources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이온원(2)의 플라즈마 챔버(20) 내에 공급하는 이온원 가스(50)로서 3불화 붕소 함유 가스를 이용하여 이온원(2)으로부터 이온 빔(4)을 인출하는 경우, 이온원(2)의 플라즈마 챔버(20)에 대한 플라즈마 전극(31)의 바이어스 전압(VB)을 바이어스 회로(64)에 의해 플러스로 설정한다.

Description

이온원의 작동 방법 및 이온 주입 장치{METHOD OF OPERATING ION SOURCE AND ION IMPLANT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이온 주입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2는 도 1에서의 이온원 주위의 상세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2에서의 가스 공급원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2에서의 바이어스 회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2에서의 바이어스 회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이온원 가스로서 100%의 BF3을 이용하고 바이어스 전압을 변경한 경우에 이온 빔 내의 각종 이온 전류의 비율을 측정한 결과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이온원 가스로서 40%의 PH3/H2를 이용하고 바이어스 전압을 변경한 경우에 이온 빔 내의 각종 이온 전류의 비율을 측정한 결과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이온원
4 : 이온 빔
6 : 질량 분리 자석
8 : 분리 슬릿
10 : 기판
12 : 유지부
20 : 플라즈마 챔버
22 : 플라즈마
30 : 인출 전극 시스템
31 : 플라즈마 전극
36 : 절연체
48 : 가스 공급원
50 : 이온원 가스
64 : 바이어스 회로
66 : 바이어스 전원
80 : 제어 장치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이온 주입 장치(본 명세서에서는 이온 도핑 장치라고 불리는 것을 포함함)에 이용되는 이온원의 작동 방법 및 이 작동 방법을 실시할 수 있는 이온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이온은 플러스 이온을 의미하며, 이온 빔은 플러스 이온 빔을 의미한다.
이온 빔을 인출하는 이온원으로는 플라즈마 챔버 내의 이온원 가스를 아크 방전 등으로 인한 전자 충격에 의해 전리시키고, 이에 의해 플라즈마를 생성하는 전자 충격형 이온원이 있다.
또한, 전자 충격형 이온원로는 플라즈마 챔버의 내벽 부근에 커스프 자장(cusp magnetic field)(다극 자장)을 형성하는 이온원이 있다. 이러한 이온원은 버킷형 이온원, 다극 자장형 이온원 또는 멀티 커스프형 이온원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그러한 이온원에서, 플라즈마 챔버에 대한 플라즈마 전극의 전위가 고려된다. 플라즈마 전극은 플라즈마로부터 이온 빔을 인출하는 인출 전극 시스템을 구성하는 인출 전극 중 플라즈마 챔버 내에서 플라즈마에 가장 근접한 전극이다.
종래, 플라즈마 전극은 절연체에 의해 플라즈마 챔버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플라즈마 챔버에 대한 플라즈마 전극의 전위는 DC 전원에 의해 마이너스로 바이어스되거나, 플라즈마 챔버와 플라즈마 전극을 고저항을 통해 연결하여 플로팅 전위(floating potential)로 설정하고 있다. 플로팅 전위의 경우, 이온 빔 인출 시에 플라즈마 전극의 전위는 전자가 플라즈마 내의 이온보다 가볍고 이에 따라 그 이동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많은 전자의 입사로 인한 자가 바이어스(self-bias)에 의해 마이너스 전위로 된다.
따라서, 여하튼 이온 빔 인출 시에 플라즈마 챔버에 대한 플라즈마 전극의 바이어스 전압은 마이너스로 통상 설정된다. 이는 주로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해서이다. 바이어스 전압을 마이너스로 설정하는 경우, 플라즈마 내의 전자가 동일한 극성의 플라즈마 전극을 향해 도망치기 어렵게 되며, 이에 의해 전자의 손실이 감소되고, 플라즈마 내의 이온이 반대 극성의 플라즈마 전극을 통해 효과적으로 인출되다.
바이어스 전압을 마이너스로 설정하는 기법에 상응하는 구성의 예로서, 특허 문헌 1(일본 특허 공개 제2004-362901호 공보(단락 0041, 도 1))에 제1 인출 전극(플라즈마 전극에 대응)에 인출용 전원의 마이너스 극이 연결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 있다(도 1 참조).
실험을 통해 다음과 같이 드러났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바이어스 전압의 인가 방법, 다시 말해 이온원의 작동 방법에서, 이온원 가스로서 포스핀(PH3) 함유 가스(예를 들면, 수소 또는 헬륨으로 포스핀을 희석하여 얻어진 가스)를 이용하여 이온 빔을 인출하는 경우, 구체적으로는 PHx +(x=0∼3, x=0인 경우 P+, 이하에서도 동일하게 적용)인 원하는 이온 대 다른 이온(예를 들면, H+, H2 +, 및 H3 +)의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반면에, 이온원 가스로서 3불화 붕소(BF3) 함유 가스(예를 들면, 100% 농도의 3불화 붕소)를 이용하여 이온 빔을 인출하는 경우, 구체적으로는 B+인 원하는 이온 대 다른 이온(예를 들면, F+, BF+, 및 BF2 +)의 비율을 증가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온원 가스로서 3불화 붕소 함유 가스를 이용하여 이온 빔을 인출할 때에, 이온 빔 내의 B+의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온원의 작동 방법 및 이온 주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온원 가스로서 3불화 붕소 함유 가스와 포스핀 함유 가스를 전환하면서 이용하여 이온 빔을 인출할 때에, 3불화 붕소 함유 가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온 빔 내의 B+의 비율을 증가시키고, 포스핀 함유 가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온 빔 내의 PHx +의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온원의 작동 방법 및 이온 주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온원의 제1 작동 방법은, 이온원 가스가 안으로 도입되어 내부에서 플라즈마를 생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플라즈마 챔버와, 이 플라즈마 챔버 내에서 이온원 가스를 전자 충격에 의해 전리시켜 플라즈마를 생성하는 전리 부재와, 플라즈마 챔버의 개구부 부근에 배치되어 플라즈마로부터 이온 빔을 인출하는, 하나 이상의 전극을 갖는 인출 전극 시스템과, 이 인출 전극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극 중 플라즈마에 가장 근접한 전극인 플라즈마 전극을 플라즈마 챔버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 부재와, 플라즈마 챔버의 내벽 부근에 커스프 자장을 형성하는 복수의 자석을 포함하는 이온원을 작동시키는 이온원의 작동 방법으로서, 이온원 가스로서 3불화 붕소(BF3) 함유 가스를 이용하여 이온 빔을 인출할 때에, 플라즈마 챔버에 대한 플라즈마 전극의 바이어스 전압을 플러스로 설정하는 것인 이온 원의 작동 방법이다.
제1 작동 방법에 따르면, 바이어스 전압을 플러스로 설정하는 경우, 바이어스 전압이 마이너스 전압이거나 0 V인 경우에 비해, 이온 빔 내의 B+의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이 실험에 의해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온원의 제2 작동 방법은, 이온원 가스로서 3불화 붕소(BF3) 함유 가스를 이용하여 이온 빔을 인출할 때는, 플라즈마 챔버에 대한 플라즈마 전극의 바이어스 전압을 플러스로 설정하고, 이온원 가스로서 포스핀(PH3) 함유 가스를 이용하여 이온 빔을 인출할 때는, 플라즈마 챔버에 대한 플라즈마 전극의 바이어스 전압을 마이너스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작동 방법에 따르면, 바이어스 전압을 전술한 바와 같이 전환하게 되면, 이온원 가스로서 3불화 붕소 함유 가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온 빔 내의 B+의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포스핀 함유 가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온 빔 내의 PHx +의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이 실험에 의해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이온 주입 장치는, 이온원으로부터 인출한 이온 빔을 기판에 입사시켜 이온 주입을 수행하는 구성의 이온 주입 장치로서, (a) 이온원 가스가 안으로 도입되어 내부에서 플라즈마를 생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플라즈마 챔버와, 이 플라즈마 챔버 내에서 이온원 가스를 전자 충격에 의해 전리시켜 플라즈마를 생성하는 전리 부재와, 플라즈마 챔버의 개구부 부근에 배치되어 플라즈마로부 터 이온 빔을 인출하는, 하나 이상의 전극을 갖는 인출 전극 시스템과, 이 인출 전극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극 중 플라즈마에 가장 근접한 전극인 플라즈마 전극을 플라즈마 챔버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 부재와, 플라즈마 챔버의 내벽 부근에 커스프 자장을 형성하는 복수의 자석을 포함하는 이온원과, (b) 3불화 붕소(BF3)를 함유하는 이온원 가스를 이온원의 플라즈마 챔버 안으로 공급하는 가스 공급 유닛과, (c) 이온원 가스로서 3불화 붕소 함유 가스를 이용하여 이온 빔을 인출할 때에 플라즈마 챔버에 대한 플라즈마 전극의 바이어스 전압을 플러스로 설정하는 바이어싱 유닛을 포함하는 이온 주입 장치이다.
제1 이온 주입 장치에 따르면, 3불화 붕소를 함유하는 이온원 가스를 이용하여, 붕소 함유 이온을 포함하는 이온 빔을 이온원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고, 바이어스 전압을 플러스로 설정할 수 있어, 이온 빔 내의 B+의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이온 주입 장치는, (a) 제1 이온 주입 장치의 이온원과 동일한 식으로 구성된 이온원과, (b) 3불화 붕소(BF3)를 함유하는 이온원 가스와 포스핀(PH3)을 함유하는 이온원 가스를 전환하면서 이온원의 플라즈마 챔버 안으로 공급하는 가스 공급 유닛과, (c) 이온원으로부터 이온 빔을 인출할 때에, 플라즈마 챔버에 대한 플라즈마 전극의 바이어스 전압을 플러스 전압과 마이너스 전압 간에 전환할 수 있는 바이어싱 유닛과, (d) 가스 공급 유닛 및 바이어싱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3불화 붕소를 함유하는 이온원 가스가 상기 플라즈마 챔버 안으로 공급되는 경우 바이어스 전압을 플러스로 설정하고, 포스핀을 함유하는 이온원 가스가 플 라즈마 챔버 안으로 공급되는 경우 바이어스 전압을 마이너스로 설정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이온 주입 장치이다.
제2 이온 주입 장치에 따르면, 이온원 가스를 3불화 붕소 함유 가스와 포스핀 함유 가스 간에 전환하여, 하나의 이온원으로부터, 붕소 함유 이온을 포함하는 이온 빔과, 인 함유 이온을 포함하는 이온 빔을 전환하여 인출할 수 있고, 바이어스 전압을 전술한 바와 같이 전환하여, 3불화 붕소를 함유하는 이온원 가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온 빔 내의 B+의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포스핀을 함유하는 이온원 가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온 빔 내의 PHx +의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이온 주입 장치는, 제1 및 제2 이온 주입 장치의 구조 외에도 이온원과 기판용 유지부 사이에, 이온원으로부터 인출한 이온 빔의 질량 분리를 수행하는 질량 분리 유닛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온 주입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이 이온 주입 장치는 이온원(2)으로부터 인출된 이온 빔(4)을 기판 구동 장치(14)의 유지부(12)에 유지된 기판(10)에 입사시켜, 기판(10)에 대해 이온 주입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온원(2)으로부터 기판 구동 장치(14)에 이르는 이온 빔(4)의 경로(빔 라인)는 진공 용기(도시 생략)에 의해 둘러싸여, 이온 주입 중에 진공 분위기로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온원(2)으로부터 인출되어 기판(10)에 입사되는 이온 빔(4)은, 도 1의 지면(紙面)의 앞뒤 방향과 일치하는 Y 방향의 폭 W(도 2 참조)가, Y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두께 T보다도 충분히 큰 시트 형상을 하고 있다. 빔이 기판에 입사될 때에 이온 빔(4)의 폭 W는 동일한 방향에서의 기판(10)의 치수보다도 약간 크다.
본 실시예에서, 이온원(2)과 유지부(12) 사이에는, 이온원(2)으로부터 인출한 이온 빔(4)의 질량 분리를 수행하는 질량 분리 유닛을 구성하는 질량 분리 자석(6) 및 분리 슬릿(8)이 배치되어 있다. 질량 분리 자석(6)은 원하는 이온을 선택적으로 인출하도록 이온 빔(4)을 두께 T의 방향으로 굴곡시킨다. 분리 슬릿(8)은 질량 분리 자석(6)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원하는 이온이 선택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질량 분리 자석(6)과 협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판 구동 장치(14)는 유지부(12)에 유지된 기판(10)을 그 기판(10)에 입사되는 이온 빔(4)의 두께 T의 방향(다시 말해, 폭 W와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X 방향으로 기계적으로 왕복 구동한다. 이 실시예에서, 기판 구동 장치(14) 자체가 레일(도시 생략)을 따라 X 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기판(10)의 왕복 구동과 이온 빔(4)의 시트 형상으로 인해, 이온 주입은 기판(10)의 전체면에 이온 빔(4)을 입사시키면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온 주입은,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FPD)용 기판(예를 들면, 유리 기판)(10)의 표면에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형성하는 공정에 이용할 수 있다. 때로는, 그러한 경우의 이온 주입을 이온 도핑이라고 부르고, 이온 주입 장치를 이온 도핑 장치라고 부른다. 기판(10)은 전술한 기판 외의 기판이거나, 예를 들면 반도체 기판 등일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이온원(2) 주위의 상세예를 도시한다. 이 이온원(2)은, 이온원 가스(50)가 안으로 도입되어 내부에서 플라즈마(22)를 생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플라즈마 챔버(20)와, 플라즈마 챔버(20) 내에서 이온원 가스(50)를 전자 충격에 의해 전리시켜 플라즈마(22)를 생성하는 전리 부재(엄밀히 말하자면, 그 부재의 일부)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필라멘트(24)와, 플라즈마 챔버(20)의 개구부 부근에 배치되어 플라즈마(22)로 인한 전계의 작용에 의해 이온 빔(4)을 가속하여 인출하는 인출 전극 시스템(30)을 포함하고 있다.
복수의 필라멘트(24)는 플라즈마 챔버(20) 내에서 이온 빔(4)의 폭 W 방향으로 병렬 배치되어 있다. 각 필라멘트(24)에는 그 필라멘트를 가열하는 필라멘트 전원(26)이 연결되어 있다. 각 필라멘트(24)의 일단(본 실시예에서는 플러스 극단)과 플라즈마 챔버(20) 사이에 플라즈마 챔버를 플러스 측으로 하여, DC 아크 전원(28)이 연결되어 있다. 플라즈마 챔버(20)는 애노드를 겸하고 있다. 각 필라멘트(24)와 플라즈마 챔버(20) 사이에 아크 방전이 발생하며, 이 방전 시에 생성되는 전자의 충격에 의해 이온원 가스(50)가 이온화되고, 이에 따라 이온 빔(4)의 폭 W 방향으로 길게 분포된 플라즈마(22)가 플라즈마 챔버(20) 내에 균일하게 생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필라멘트(24), 필라멘트 전원(26) 및 아크 전원(28)이 전리 부재를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온원(2)은 전자 충격형 이온원이다.
플라즈마 챔버(20)의 주위에서, 즉 본 실시예에서는 플라즈마 챔버(20)의 측면의 주위 및 배면에서, 커스프 자장(엄밀히 말하자면 멀티 커스프 자장, 또한 다극 자장이라고도 칭함)을 형성하는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자석(40)이 플라 즈마 챔버(20)의 내벽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각 자석(40)은 영구 자석이며, 대안적으로는 전자석일 수도 있다. 이온원(2)은 전술한 바와 같이 버킷형 이온원 등으로도 불린다.
인출 전극 시스템(30)은 하나 이상의 전극을 갖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인출 전극 시스템은 플라즈마에 가장 근접한 측에서부터 하류측으로 배치된 플라즈마 전극(31), 인출 전극(32), 억제 전극(33) 및 접지 전극(34)을 갖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각 전극(31∼34)은 다수의 이온 인출 구멍을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하고 있다.
플라즈마 전극(31)으로부터 플라즈마 챔버(20)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 부재로서 기능을 하는 절연체(36)가 플라즈마 전극과 플라즈마 챔버 사이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절연체(38)가 전극(31∼34)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간단하게 말하면, 플라즈마 전극(31)은 인출되는 이온 빔(4)의 에너지를 결정하는 전극이다. 이 플라즈마 전극(31)에는 후술하는 바이어스 회로(64)를 통해 플라즈마 챔버(20)에 대해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의 바이어스 전압(VB)이 인가된다. 접지 전위를 기준으로 플러스의 고전압(가속 전압)이 DC 가속 전원(42)으로부터 플라즈마 챔버(20)에 인가된다. 인출 전극(32)은 플라즈마 전극(31)에 대한 전위차를 생성하고, 이러한 전위차에 의한 전계에 의해 플라즈마(22)로부터 이온 빔(4)을 인출하는 전극이다. 이 인출 전극에는 플라즈마 챔버(20)의 전위를 기준으로 마이너스의 전압(인출 전압)이 DC 인출 전원(44)으로부터 인가된다. 억제 전극(33)은 하류측으로부터의 전자의 역류를 억제하는 전극으로서, 이 전극에는 DC 억제 전원(46)으로부터 접지 전위를 기준으로 하여 마이너스의 전압(억제 전압)이 인가된다. 접지 전극(34)은 접지되어 있다.
플라즈마 챔버(20) 내에는 가스 공급 유닛을 구성하는 가스 공급원(48)으로부터 3불화 붕소(BF3)를 함유하는 이온원 가스(50)가 공급될 수 있다.
대안으로, 가스 공급원(48)으로는, 플라즈마 챔버(20) 내에 3불화 붕소를 함유하는 이온원 가스(50) 및 포스핀(PH3)을 함유하는 이온원 가스(50)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면서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이 채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가스 공급원(48)의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가스 공급원(48)은 가스원(52)으로부터의 3불화 붕소 함유 가스(54) 및 가스원(56)으로부터의 포스핀 함유 가스(58) 중 어느 하나를 이온원 가스로서 플라즈마 챔버(20) 안으로 공급하도록 밸브(60, 62)를 전환할 수 있다. 이 밸브(60, 62)의 전환, 즉 이온원 가스(50)의 전환은 수동 조작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밸브(60, 62)를 제어 밸브로서 구성하여, 제어 장치(80)(도 1 참조, 이하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신호(S1)에 기초하여 밸브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 점(a 내지 d)과 도 3 내지 도 5에서 점(a 내지 d)은 각각 대응한다.
통상, 3불화 붕소는 100% 또는 그 부근의 농도로 사용된다. 그러한 경우에 도 본 명세서에서는 3불화 붕소 함유 가스라고 총칭하고 있다. 통상, 포스핀은 수소 또는 헬륨으로 적절히 희석하여 사용된다. 이 경우는 문언대로, 사용되는 가스는 포스핀 함유 가스이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플라즈마 챔버(20)와 플라즈마 전극(31) 사이에는 바이어스 회로(64)가 연결된다. 이 바이어스 회로는 이온 빔(4)을 인출할 때에 플라즈마 챔버(20)에 대한 플라즈마 전극(31)의 전위[다시 말해, 플라즈마 챔버(20)를 기준으로 한 플라즈마 전극(31)의 전위]인 바이어스 전압(VB)을 제어하는 바이어싱 유닛을 구성한다. 바이어스 회로(64)에서 바이어스 전압(VB)은 플러스로 설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바이어스 전압(VB)이 플러스 전압과 마이너스 전압 간에 전환될 수 있는 구성이 바이어스 회로(64)로서 채용될 수도 있다.
바이어스 전압(VB)을 플러스로 설정하는 경우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이어스 회로(64)는 플라즈마 챔버(20)에 대해 플러스인 바이어스 전압(VB)을 플라즈마 전극(31)에 인가하는 DC 바이어스 전원(66)으로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바이어스 전원(66)은 그 출력 전압이 가변적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다른 예의 바이어스 전원(66)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이러한 바이어스 회로(64)는 3불화 붕소를 함유하는 이온원 가스(50)를 플라즈마 챔버(20) 내에 공급하고, 그 이온원 가스(50)를 이용하여 이온 빔(4)을 인출할 때에 이용한다.
바이어스 전압(VB)을 플러스 전압과 마이너스 전압 간에 전환할 수 있는 바 이어스 회로(64)는 예를 들면, 그 출력 전압을 플러스 전압과 마이너스 전압 간에 전환할 수 있는 바이폴라 전원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바이어스 전원(66)의 출력 전압의 극성의 전환(다시 말해, 반전, 이하에서도 동일하게 적용)은 수동 조작으로 행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어 장치(80)로부터 공급된 제어 신호(S2)에 기초하여 전환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바이어스 회로(64)는 도 4 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이어스 회로(64)는 통상의(즉, 출력 전압이 단일 극성을 가짐, 이하에서도 동일함) DC 바이어스 전원(66)과, 전원의 출력 전압을 극성을 반전시키면서 점(a, b) 사이에 출력하는 2개의 전환 스위치(68)를 갖고 있다. 전환 스위치(68)의 전환, 즉 바이어스 전압(VB)의 극성의 전환은 수동 조작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어 장치(80)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신호(S2)에 기초하여 그러한 전환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한 바이어스 회로(64)는 통상의 DC 바이어스 전원(66)과, 이 전원에 직렬 연결된 스위치(70)와, 이들 두 구성 요소의 직렬 회로에 병렬 연결된 저항기(72)를 갖고 있다. 저항기(72)는 플라즈마 전극(31)을 플로팅 전위로 설정하는 고저항치(예를 들면, 1 ㏀ 내지 1 ㏁)를 가질 수 있다. 스위치(70)가 ON으로 되면, 바이어스 전압(VB)은 바이어스 전원(66)으로부터의 출력 전압에 의해 플러스로 될 수 있다. 스위치(70)가 OFF로 되면, 플라즈마 전극(31)은 저항기(72)에 의 해 플로팅 전위로 되어, 플라즈마 전극(31)의 전위가 이온 빔 인출 시에 전술한 전자 입사의 작용에 의해 마이너스 전위로 될 수 있어, 바이어스 전압(VB)이 마이너스로 될 수 있다. 스위치(70)의 ON/OFF 작동, 즉 바이어스 전압(VB)의 극성 전환은 수동 조작에 의해 행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어 장치(80)로부터 공급된 제어 신호(S2)에 기초하여 그러한 전환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 장치(80)는 제어 신호(S1 및 S2)를 이용하여 가스 공급원(48) 및 바이어스 회로(64)를 제어하여, 3불화 붕소를 함유하는 이온원 가스(50)가 플라즈마 챔버(20) 내로 공급될 때에는 바이어스 전압(VB)을 플러스로 설정하고, 포스핀을 함유하는 이온원 가스(50)가 플라즈마 챔버(20) 내로 공급될 때에는 바이어스 전압(VB)을 마이너스로 설정하는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온원(2)의 제1 작동 방법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이온원 가스(50)로서 상기 3불화 붕소 함유 가스를 이용하여 이온 빔(4)을 인출하는 경우, 바이어스 전압(VB)은 플러스로 설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바이어스 전압(VB)을 마이너스 전압이나 0 V로 설정한 경우에 비해, 이온 빔(4) 내의 B+의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B+을 효과적으로 인출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이온원 가스(50)로서 100%의 BF3(즉, 100%의 농도의 BF3)을 이용 하고 바이어스 전압(VB)을 변경한 경우, 이온 빔(4) 내의 각종 이온 전류의 비율을 측정한 결과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 B+는 다음의 조건하에서 250 내지 270 ㎂/㎝의 이온 전류로 인출된다. 이온원 가스(50)의 유량은 6 ccm이고, 아크 전원(28)으로부터의 아크 전압은 80 V이며, 아크 전류는 22 A이고, 가속 전원(42)으로부터의 가속 전압은 50 ㎸이며, 인출 전원(44)으로부터의 인출 전압은 7 내지 12 ㎸이고, 억제 전원(46)으로부터의 억제 전압은 0.5 ㎸이다.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바이어스 전압(VB)을 플러스로 설정하고, 그 절대값을 크게 함에 따라, B+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커지고, 다른 이온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다시 말해, 이온 빔(4) 내에 함유되는 B+와 같은 이온종의 비율을 플러스의 바이어스 전압(VB)의 크기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도 6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바이어스 전압(VB)을 마이너스로 설정하면, B+의 비율이 더 감소하고, BF2 +의 비율은 더 증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결과를 달성할 수 있는 원리는 아직 정확하게 규명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바이어스 전압(VB)을 플러스로 설정하고, 그 플러스 전압을 크게 하면, 바이어스 전압(VB)이 마이너스로 설정된 경우에 비해, 플라즈마(22)가 플 라즈마 전극(31)에 더욱 근접하여, 플라즈마 전극(31) 부근에서 단면적이 큰 BF2 +, BF+ 등이 전자와의 재결합에 의해 중성화할 가능성이 B+의 경우에 비해 크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도 6으로부터, 이온 빔(4) 내의 B+의 비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바이어스 전압(VB)은 0 < VB ≤ 10 [V] 정도의 범위 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바이어스 전압(VB)의 상한은 10 V보다도 약간 더 높거나, 예를 들면 약 15 V로 설정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온 빔(4) 내의 B+의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B+가 원하는 이온[예를 들면, 기판(10)에 이온 주입을 위한 도펀트 이온]으로서 이용되는 경우, 도펀트 이온 이외의 불필요한 이온이 가속되는 비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온 빔(4)을 가속하기 위한 가속 전원의 용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 가속 전원은 가속 전원(42)이다. 이온원(2)의 하류측에, 즉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질량 분리 자석(6)과 분리 슬릿(8) 사이에, 후단 가속기가 배치되는 경우, 그 가속기를 위한 전원은 가속 전원에 해당한다(이하에서도 동일하게 적용).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이온원(2)의 하류측에 질량 분리 유닛[구체적으로, 질량 분리 자석(6) 및 분리 슬릿(8)]이 배치되는 경우, 불필요한 이온이 질량 분리 자석(6)의 벽면이나 분리 슬릿(8)에 충돌함으로써 아웃 가스(out-gas)를 발생시키고, 또 그러한 충돌에 의해 방출되는 금속 물질에 의해 기판(10)이 오염(즉, 금속 오염)되는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온원(2)의 제2 작동 방법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이온원 가스(50)로서 3불화 붕소 함유 가스를 이용하여 이온 빔(4)을 인출할 때에는 바이어스 전압(VB)을 플러스로 설정하고, 이온원 가스(50)로서 포스핀 함유 가스를 이용하여 이온 빔(4)을 인출할 때에는 바이어스 전압(VB)을 마이너스로 설정한다. 이러한 식으로 바이어스 전압(VB)을 전환하여 출력하는 경우, 이온원 가스(50)로서 3불화 붕소 함유 가스를 이용할 때에는 이온 빔(4) 내의 B+의 비율을 증가시켜 B+를 효과적으로 인출할 수 있고, 포스핀 함유 가스를 이용할 때에는 이온 빔(4) 내의 PHx +의 비율을 증가시켜 PHx +를 효과적으로 인출할 수 있다.
이온원 가스(50)로서 100%의 BF3을 이용한 경우의 측정 결과는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 도 7에서는 이온원 가스(50)로서 40% PH3/H2(즉, 수소로 희석한 40% 농도의 PH3)를 이용하고, 바이어스 전압(VB)을 변경한 경우에 이온 빔(4) 내의 각종 이온 전류의 비율을 측정한 결과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 도면에서, PHx +는 31 내지 34 [amu]의 질량수를 갖는 이온인 P+, PH+, PH2 +, 및 PH3 +을 모 두 지칭하는 것이다.
도 7에서는 PH+을 다음의 조건 하에서 375 내지 510 ㎂/㎝의 이온 전류로 인출한 예를 나타낸다. 이온원 가스(50)의 유량은 14 ccm이고, 아크 전원(28)으로부터의 아크 전압은 40 V이며, 아크 전류는 22 A이고, 가속 전원(42)으로부터의 가속 전압은 65 ㎸이며, 인출 전원(44)으로부터의 인출 전압은 7 ㎸이고, 억제 전원(46)으로부터의 억제 전압은 0.5 ㎸ 이다.
도 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바이어스 전압(VB)을 마이너스로 설정하고, 그 절대값을 크게 함에 따라, PHx +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커지고, 다른 이온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다시 말해, 이온 빔(4) 내에 함유되는 PHx +와 같은 이온종의 비율을 마이너스의 바이어스 전압(VB)의 크기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바이어스 전압(VB)을 0 V 또는 플러스로 설정하면, PHx +의 비율은 더 감소한다.
도 7로부터, 이온 빔(4) 내의 PHx +의 비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바이어스 전압 (VB)은 마이너스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예에서는 바이어스 전압 (VB)은 구체적으로 -30 ≤ VB < 0 [V] 정도의 범위로, 특히 -30 ≤ VB ≤ -10 [V]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바이어스 회로(64)를 구성하는 바이어스 전원(66)을 전술한 바와 같이 바이 폴라 전원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전술한 범위를 종합하면 출력의 가변 범위는 예를 들면 -30 V 내지 +15 V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작동 방법에 따르면, 원하는 이온[예를 들면, 기판(10)에 이온 주입을 위한 도펀트 이온]으로서 B+와 PHx +를 전환하여 이용하는 경우에, 두 이온종 모두에 대해, 제1 작동 방법의 경우와 동일하게 가속 전원의 용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질량 분리 유닛이 배치되는 경우의 아웃 가스 및 금속 오염의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3불화 붕소를 함유하는 이온원 가스(50)를 플라즈마 챔버(20) 내에 공급하는 가스 공급원을 가스 공급원(48)으로서 구비하고, 3불화 붕소를 함유하는 이온원 가스(50)를 이용하여 이온 빔(4)을 인출할 때에 바이어스 전압(VB)을 플러스로 설정하는 회로를 바이어스 회로(64)로서 구비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이온 주입 장치를 제1 이온 주입 장치라고 부른다. 이온원(2)의 제1 및 제2 작동 방법 등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지는 바와 같이, 제1 이온 주입 장치에 따르면, 3불화 붕소를 함유하는 이온원 가스(50)를 이용하여 이온원(2)으로부터 붕소 함유 이온을 포함하는 이온 빔(4)을 인출할 수 있고, 바이어스 전압(VB)을 플러스로 하여, 이온 빔(4) 내의 B+의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B+을 효과적으로 인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B+을 기판(10)에 이온 주입을 위한 도펀트 이온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 원하는 이온 이외의 불필요한 이온이 가속되는 비율을 감소시킬 있다. 따라서, 이온 빔(4)을 가속하기 위한 가속 전원의 용량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온원(2)과 기판(10)용 유지부(12) 사이에 질량 분리 유닛이 배치되는 경우에, 전술한 바와 같이 질량 분리 유닛에서 벽면 등에 불필요한 이온이 충돌함으로써 발생하는 아웃 가스 및 금속 오염의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질량 분리 유닛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 그 질량 분리 작용은 도펀트 이온 이외의 불필요한 이온이 기판(10) 내에 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이하에 설명하는 제2 이온 주입 장치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
3불화 붕소를 함유하는 이온원 가스(50)와 포스핀을 함유하는 이온원 가스(50)를 전환하면서 플라즈마 챔버(20) 내에 공급하는 가스 공급원을 가스 공급원(48)으로서 구비하고, 이온원(2)으로부터 이온 빔(4)을 인출할 때에 바이어스 전압(VB)을 플러스 전압과 마이너스 전압 간에 전환하는 회로를 바이어스 회로(64)로서 구비하며, 그리고 가스 공급원(48) 및 바이어스 회로(64)를 제어하여, 3불화 붕소를 함유하는 이온원 가스(50)를 플라즈마 챔버(20) 내에 공급 할 때에는 바이어스 전압(VB)을 플러스로 설정하고, 포스핀을 함유하는 이온원 가스(50)를 플라즈마 챔버(20) 내에 공급할 때에는 바이어스 전압(VB)을 마이너스로 하는 제어 장치(80)를 구비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이온 주입 장치를 제2 이온 주입 장치라고 부른다. 이온원(2)의 제1 및 제2 작동 방법 등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지는 바와 같 이, 제2 이온 주입 장치에 따르면, 이온원 가스(50)가 3불화 붕소 함유 가스와 포스핀 함유 가스 중 어느 하나로 전환되어, 하나의 이온원(2)으로부터, 붕소 함유 이온을 포함하는 이온 빔(4)과 인 함유 이온을 포함하는 이온 빔(4)을 전환하면서 인출할 수 있고, 바이어스 전압(VB)을 전술한 바와 같이 전환하여, 3불화 붕소를 함유하는 이온원 가스(50)를 이용할 때에는 이온 빔(4) 내의 B+의 비율을 증가시켜 B+를 효과적으로 인출할 수 있으며, 포스핀을 함유하는 이온원 가스(50)를 이용할 때에는 이온 빔(4) 내의 PHx +의 비율을 증가시켜 PHx +를 효과적으로 인출할 수 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기판(10)에 이온 주입을 위한 도펀트 이온으로서 B+와 PHx +를 전환하면서 이용하는 경우에, 두 이온종 모두에 대해, 제1 이온 주입 장치의 경우와 동일하게, 가속 전원의 용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질량 분리 유닛이 설치되는 경우의 아웃 가스 및 금속 오염의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방법에 따르면, 이온원 가스로서 3불화 붕소 함유 가스를 이용하여 이온 빔을 인출할 때에 바이어스 전압을 플러스로 설정하는 경우, 바이어스 전압을 마이너스 전압이나 0V로 설정하는 경우에 비해 이온 빔 내의 B+의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B+를 효과적으로 인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B+가 원하는 이온으로서 이용되는 경우, 원하는 이온 이외의 불필요한 이온이 가속되는 비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온 빔을 가속하는 가속 전원의 용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온원의 하류측에 질량 분리 유닛이 배치되는 경우에, 질량 분리 유닛에서 벽면 등에 불필요한 이온이 충돌함으로써 발생하는 아웃 가스(out-gas) 및 금속 오염(금속 물질에 의한 기판의 오염, 이하에서도 동일하게 적용)의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방법에 따르면, 바이어스 전압을 전술한 바와 같이 전환할 때에, 이온원 가스로서 3불화 붕소 함유 가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온 빔 내의 B+의 비율을 증가시켜 B+를 효과적으로 인출할 수 있으며, 이온원 가스로서 포스핀 함유 가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온 빔 내의 PHx +의 비율을 증가시켜 PHx +를 효과적으로 인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B+와 PHx +를 원하는 이온으로서 전환하여 이용하는 경우에, 두 이온종 모두에 대해 제1 방법의 발명과 동일하게 가속 전원의 용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질량 분리 유닛이 배치되는 경우의 아웃 가스 및 금속 오염의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장치에 따르면, 3불화 붕소를 함유하는 이온원 가스를 이용하 여 이온원으로부터 붕소 함유 이온을 포함하는 이온 빔을 인출할 수 있고, 바이어스 전압을 플러스로 설정하여, 이온 빔 내의 B+의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B+를 효과적으로 인출할 수 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B+를 기판에 이온 주입을 위한 도펀트 이온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 도펀트 이온 이외의 불필요한 이온이 가속되는 비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온 빔을 가속하기 위한 가속 전원의 용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온원과 기판용 유지부 사이에 질량 분리 유닛이 배치되는 경우에, 질량 분리 유닛에서 벽면 등에 불필요한 이온이 충돌함으로써 발생하는 아웃 가스 및 금속 오염의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장치에 따르면, 이온원 가스를 3불화 붕소 함유 가스와 포스핀 함유 가스 간에 전환하여, 하나의 이온원으로부터, 붕소 함유 이온을 포함하는 이온 빔과, 인 함유 이온을 포함하는 이온 빔을 전환하면서 인출할 수 있고, 바이어스 전압을 전술한 바와 같이 전환하여, 3불화 붕소를 함유하는 이온원 가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온 빔 내의 B+의 비율을 증가시켜 B+를 효과적으로 인출할 수 있으며, 포스핀을 함유하는 이온원 가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온 빔 내의 PHx +의 비율을 증가시켜 PHx +를 효과적으로 인출할 수 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기판에 이온 주입을 위한 도펀 트 이온으로서 B+와 PHx +를 전환하여 이용하는 경우에, 두 이온종 모두에 대해, 제1 장치의 발명과 동일하게 가속 전원의 용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질량 분리 유닛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의 아웃 가스 및 금속 오염의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장치에 따르면, 이온원과 기판용 유지부 사이에 질량 분리 유닛이 배치된다. 따라서, 도펀트 이온 이외의 불필요한 이온이 기판 안으로 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질량 분리 유닛에서 벽면 등에 불필요한 이온이 충돌함으로써 발생하는 아웃 가스 및 금속 오염의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9)

  1. 이온원 가스가 안으로 도입되어 내부에서 플라즈마를 생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플라즈마 챔버와,
    상기 플라즈마 챔버 내에서 이온원 가스를 전자 충격에 의해 전리시켜 플라즈마를 생성하는 전리 부재와,
    상기 플라즈마 챔버의 개구부 부근에 설치되어 상기 플라즈마로부터 이온 빔을 인출하는, 하나 이상의 전극을 갖는 인출 전극 시스템과,
    상기 인출 전극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극 중 플라즈마에 가장 근접한 전극인 플라즈마 전극을 상기 플라즈마 챔버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 부재와,
    상기 플라즈마 챔버의 내벽 부근에 커스프 자장(cusp magnetic field)을 형성하는 복수의 자석
    을 포함하는 이온원을 작동시키는 이온원의 작동 방법으로서,
    상기 이온원 가스로서 3불화 붕소(BF3) 함유 가스를 이용하여 이온 빔을 인출할 때에, 상기 플라즈마 챔버에 대한 상기 플라즈마 전극의 바이어스 전압을 플러스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온원의 작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원 가스로서 포스핀(PH3) 함유 가스를 이용하여 이온 빔을 인출할 때에, 상기 플라즈마 챔버에 대한 상기 플라즈마 전극의 바이어 스 전압을 마이너스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온원의 작동 방법.
  3. 이온원으로부터 인출한 이온 빔을 기판에 입사시켜 이온 주입을 수행하는 구성을 갖는 이온 주입 장치로서,
    이온원 가스가 안으로 도입되어 내부에서 플라즈마를 생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플라즈마 챔버와, 이 플라즈마 챔버 내에서 이온원 가스를 전자 충격에 의해 전리시켜 플라즈마를 생성하는 전리 부재와, 상기 플라즈마 챔버의 개구부 부근에 배치되어 상기 플라즈마로부터 이온 빔을 인출하는, 하나 이상의 전극을 갖는 인출 전극 시스템과, 이 인출 전극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극 중 플라즈마에 가장 근접한 전극인 플라즈마 전극을 상기 플라즈마 챔버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 부재와, 상기 플라즈마 챔버의 내벽 부근에 커스프 자장을 형성하는 복수의 자석을 구비하는 이온원;
    3불화 붕소(BF3)를 함유하는 이온원 가스를 상기 이온원의 플라즈마 챔버 내에 공급하는 가스 공급 유닛; 및
    상기 3불화 붕소를 포함하는 이온원 가스를 이용하여 상기 이온원으로부터 이온 빔을 인출할 때에, 상기 플라즈마 챔버에 대한 상기 플라즈마 전극의 바이어스 전압을 플러스로 설정하는 바이어싱 유닛
    을 포함하는 이온 주입 장치.
  4. 이온원으로부터 인출한 이온 빔을 기판에 입사시켜 이온 주입을 수행하는 구성을 갖는 이온 주입 장치로서,
    이온원 가스가 안으로 도입되어 내부에서 플라즈마를 생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플라즈마 챔버와, 이 플라즈마 챔버 내에서 이온원 가스를 전자 충격에 의해 전리시켜 플라즈마를 생성하는 전리 부재와, 상기 플라즈마 챔버의 개구부 부근에 배치되어 상기 플라즈마로부터 이온 빔을 인출하는, 하나 이상의 전극을 갖는 인출 전극 시스템과, 이 인출 전극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극 중 플라즈마에 가장 근접한 전극인 플라즈마 전극을 상기 플라즈마 챔버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 부재와, 상기 플라즈마 챔버의 내벽 부근에 커스프 자장을 형성하는 복수의 자석을 구비하는 이온원;
    상기 이온원의 플라즈마 챔버 내에 3불화 붕소(BF3)를 함유하는 이온원 가스와 포스핀(PH3)을 함유하는 이온원 가스를 전환하면서 공급하는 가스 공급 유닛;
    상기 이온원으로부터 이온 빔을 인출할 때에 상기 플라즈마 챔버에 대한 상기 플라즈마 전극의 바이어스 전압을 플러스 전압과 마이너스 전압 간에 전환할 수 있는 바이어싱 유닛; 및
    상기 가스 공급 유닛 및 상기 바이어싱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3불화 붕소를 함유하는 이온원 가스를 상기 플라즈마 챔버 내에 공급할 때에는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플러스로 설정하고, 상기 포스핀을 포함하는 이온원 가스를 상기 플라즈마 챔버 내에 공급할 때에는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마이너스로 설정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는 이온 주입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을 유지하는 유지부와, 상기 이온원과 상기 유지부 사이에, 상기 이온원으로부터 인출한 이온 빔의 질량 분리를 행하는 질량 분리 유닛을 더 포함하는 이온 주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원 가스로서 3불화 붕소 함유 가스를 이용하는 경우, 바이어스 전압을 VB라 할 때에 이 바이어스 전압을 0 < VB ≤ 15 [V]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인 이온원의 작동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원 가스로서 포스핀(PH3) 함유 가스를 이용하는 경우, 바이어스 전압을 VB라 할 때에 이 바이어스 전압을 -30 ≤ VB < 0 [V]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인 이온원의 작동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원 가스로서 3불화 붕소 함유 가스를 이용하는 경우, 바이어스 전압을 VB라 할 때에 이 바이어스 전압은 0 < VB ≤ 15 [V]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인 이온 주입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원 가스로서 3불화 붕소 함유 가스를 이용하는 경 우, 바이어스 전압을 VB라 할 때에 이 바이어스 전압은 0 < VB ≤ 15 [V]의 범위로 설정되며, 상기 이온원 가스로서 포스핀(PH3) 함유 가스를 이용하는 경우, 바이어스 전압을 VB라 할 때에 이 바이어스 전압을 -30 ≤ VB < 0 [V]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인 이온 주입 장치.
KR1020060102170A 2005-10-20 2006-10-20 이온원의 작동 방법 및 이온 주입 장치 KR1008290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05365A JP4345895B2 (ja) 2005-10-20 2005-10-20 イオン源の運転方法およびイオン注入装置
JPJP-P-2005-00305365 2005-10-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652A KR20070043652A (ko) 2007-04-25
KR100829040B1 true KR100829040B1 (ko) 2008-05-19

Family

ID=37984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2170A KR100829040B1 (ko) 2005-10-20 2006-10-20 이온원의 작동 방법 및 이온 주입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47705B2 (ko)
JP (1) JP4345895B2 (ko)
KR (1) KR100829040B1 (ko)
CN (1) CN1953129B (ko)
TW (1) TWI3243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93683B (zh) * 2008-05-29 2011-03-23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北京)有限公司 栅极及其形成方法
US8749053B2 (en) 2009-06-23 2014-06-10 Intevac, Inc. Plasma grid implant system for use in solar cell fabrications
CN102021524B (zh) * 2009-09-23 2012-06-27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在等离子体浸没离子注入中对不同质量离子分离的装置
JP5505731B2 (ja) 2011-03-10 2014-05-28 日新イオン機器株式会社 イオン源
CN102891060B (zh) * 2011-07-19 2015-02-11 上海凯世通半导体有限公司 热阴极离子源系统
JP5545452B2 (ja) * 2011-09-22 2014-07-09 日新イオン機器株式会社 プラズマ閉じ込め容器およびこれを備えたイオン源
US9324598B2 (en) 2011-11-08 2016-04-26 Intevac, Inc. Substrat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JP5800286B2 (ja) * 2012-03-09 2015-10-28 日新イオン機器株式会社 イオン注入装置
JP2014082150A (ja) * 2012-10-18 2014-05-08 Nissin Ion Equipment Co Ltd プラズマ源
TWI570745B (zh) 2012-12-19 2017-02-11 因特瓦克公司 用於電漿離子植入之柵極
US9865422B2 (en) 2013-03-15 2018-01-09 Nissin Ion Equipment Co., Ltd. Plasma generator with at least one non-metallic component
US9275819B2 (en) 2013-03-15 2016-03-01 Nissin Ion Equipment Co., Ltd. Magnetic field sources for an ion source
US9502213B2 (en) 2013-03-15 2016-11-22 Nissin Ion Equipment Co., Ltd. Ion beam line
US9142386B2 (en) 2013-03-15 2015-09-22 Nissin Ion Equipment Co., Ltd. Ion beam line
US8994272B2 (en) 2013-03-15 2015-03-31 Nissin Ion Equipment Co., Ltd. Ion source having at least one electron gun comprising a gas inlet and a plasma region defined by an anode and a ground element thereof
US9685298B1 (en) * 2016-02-01 2017-06-20 Varian Semiconductor Equipment Associat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amination control in ion beam apparatus
TWI550678B (zh) * 2016-05-11 2016-09-21 粘俊能 離子源及其熱電子產生方法
US20170352574A1 (en) * 2016-06-02 2017-12-0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wafer
JP6268680B2 (ja) * 2016-06-14 2018-01-31 日新イオン機器株式会社 イオン源の運転方法
JP7093506B2 (ja) * 2016-11-11 2022-06-30 日新イオン機器株式会社 イオン源及びイオン注入機
US9978554B1 (en) 2017-01-26 2018-05-22 Varian Semiconductor Equipment Associates, Inc. Dual cathode ion source
US9941094B1 (en) 2017-02-01 2018-04-10 Fei Company Innovative source assembly for ion beam production
CN207458887U (zh) * 2017-06-16 2018-06-05 上海凯世通半导体股份有限公司 离子注入设备
US11600473B2 (en) 2019-03-13 2023-03-07 Applied Materials, Inc. Ion source with biased extraction plat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9136A (ko) * 1995-04-28 1996-11-21 가나이 쯔도무 이온비임 처리장치
KR20010103674A (ko) * 2000-05-10 2001-11-23 가와하라 하지메 이온원의 운전방법 및 이온빔 조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2078B2 (ja) 1987-07-31 1997-02-19 東京エレクトロン 株式会社 イオン注入装置
JPH06176725A (ja) * 1992-12-04 1994-06-24 Nissin Electric Co Ltd イオン源
US5449920A (en) * 1994-04-20 1995-09-12 Northeastern University Large area ion implantation process and apparatus
US5517084A (en) * 1994-07-26 1996-05-14 The Regents, University Of California Selective ion source
JPH08241687A (ja) 1995-03-02 1996-09-17 Nissin Electric Co Ltd Ecr型イオン源
JP3577785B2 (ja) 1995-05-09 2004-10-13 日新電機株式会社 イオンビーム発生装置
JP2959508B2 (ja) * 1997-02-14 1999-10-06 日新電機株式会社 プラズマ発生装置
JPH11329270A (ja) 1998-05-08 1999-11-30 Nissin Electric Co Ltd イオン源およびその調整方法
JP3797160B2 (ja) * 2000-11-09 2006-07-12 日新イオン機器株式会社 イオン源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2004362901A (ja) 2003-06-04 2004-12-24 Sharp Corp イオンドーピング装置、イオンドーピング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
US20050061997A1 (en) * 2003-09-24 2005-03-24 Benveniste Victor M. Ion beam slit extraction with mass separation
US7943204B2 (en) * 2005-08-30 2011-05-17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Boron ion implantation using alternative fluorinated boron precursors, and formation of large boron hydrides for implantation
DE112006002412T5 (de) * 2005-09-09 2008-07-17 ULVAC, Inc., Chigasaki Ionenquelle und Plasma-Bearbeitungsvorricht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9136A (ko) * 1995-04-28 1996-11-21 가나이 쯔도무 이온비임 처리장치
KR20010103674A (ko) * 2000-05-10 2001-11-23 가와하라 하지메 이온원의 운전방법 및 이온빔 조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23338A (en) 2007-06-16
US8147705B2 (en) 2012-04-03
CN1953129A (zh) 2007-04-25
US20070089833A1 (en) 2007-04-26
JP2007115511A (ja) 2007-05-10
JP4345895B2 (ja) 2009-10-14
TWI324354B (en) 2010-05-01
CN1953129B (zh) 2010-07-21
KR20070043652A (ko) 200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9040B1 (ko) 이온원의 작동 방법 및 이온 주입 장치
US752169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oping
EP1981058B1 (en) Ion implantation apparatus and ion implantation method
US9564297B2 (en) Electron beam plasma source with remote radical source
JP4977008B2 (ja) 高電流ガスクラスターイオンビーム処理システムにおけるビーム安定性向上方法及び装置
US9006690B2 (en) Extraction electrode assembly voltage modulation in an ion implantation system
US6998625B1 (en) Ion implanter having two-stage deceleration beamline
CN113097048B (zh) 离子源、等离子体室以及调整等离子体的体积的方法
JP2011526063A (ja) イオン注入システムにおけるディセル後の磁気エネルギーフィルター
US6879109B2 (en) Thin magnetron structures for plasma generation in ion implantation systems
US10923306B2 (en) Ion source with biased extraction plate
US20130287963A1 (en) Plasma Potential Modulated ION Implantation Apparatus
TW202123283A (zh) 用於改善束電流之系統以及方法的離子源
CA2089099C (en) Broad beam flux density control
US6501081B1 (en) Electron flood apparatus for neutralizing charge build up on a substrate during ion implantation
KR20060090672A (ko) 질량 분리를 갖는 이온 빔 슬릿 추출
US20140199492A1 (en) Ion implanter and method of operating ion implanter
TW202111753A (zh) 用於改善束電流之系統以及方法的離子源
US6891173B2 (en) Ion implantation systems and methods utilizing a downstream gas source
JP6657422B2 (ja) 電荷量を調整できるプラズマ工程装置
US11600473B2 (en) Ion source with biased extraction plate
KR100774813B1 (ko) 이온주입장치의 추출 전극 및 이온 빔 포커싱 방법
EP0095879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orking surfaces with a low energy high intensity ion beam
JP2002343296A (ja) イオン注入装置
KR20060019219A (ko) 이온주입장비의 일렉트로드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