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8759B1 -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용 무단변속기의 스위칭 밸브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용 무단변속기의 스위칭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8759B1
KR100828759B1 KR1020060068882A KR20060068882A KR100828759B1 KR 100828759 B1 KR100828759 B1 KR 100828759B1 KR 1020060068882 A KR1020060068882 A KR 1020060068882A KR 20060068882 A KR20060068882 A KR 20060068882A KR 100828759 B1 KR100828759 B1 KR 100828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forward clutch
clutch
engine
variabl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8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9382A (ko
Inventor
신성호
김현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8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8759B1/ko
Publication of KR20080009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9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8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8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6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6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 F16H2061/6604Special control features generally applicable to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용 무단변속기의 스위칭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에는 엔진 정지(idle stop)시 포워드클러치 실린더 내부의 유량이 클러치콘트롤밸브를 통해 배출되어 포워드클러치 실린더 내부와 유로가 빈공간이 되므로, 엔진이 재가동되었을 경우에 포워드클러치 실린더 내부에 유체를 채우기 위한 시간이 필요하여 발진 응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포워드클러치 및 매뉴얼밸브를 연결하는 유로에 스위칭 밸브를 설치함으로써, 엔진 정지시에도 포워드클러치 실린더 및 유로에 유량을 채울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용 무단변속기의 스위칭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측에 포워드클러치와 연결되는 클러치연결유로와, 하측에 매뉴얼밸브와 연결되는 제1연결유로 및 우측단에 제2레귤레이터밸브와 연결되는 제2연결유로가 형성된 밸브하우징과;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부에 클러치연결유로와 제1연결유로를 연결 및 차단하도록 설치된 제1작동플런저와; 상기 제1작동플런저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제1작동플런저와 나란하게 설치된 제2작동플런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엔진정지시 제2레귤레이터밸브의 압력이 0bar가 되면 스프링에 의해 제1작동플런저가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클러치연결유로와 제1연결유로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용 무단변속기의 스위칭 밸브를 제공한다.
포워드클러치, 클러치콘트롤밸브, 매뉴얼밸브, 작동플런저, 스프링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용 무단변속기의 스위칭 밸브{Switching valve of continuousle variable transmission for Hybrid Electric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워드클러치 제어용 스위칭 밸브를 나타내는 유압회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밸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엔진상태에 따른 포워드클러치의 압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4는 종래의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용 무단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도 5는 종래의 엔진상태에 따른 포워드클러치의 압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포워드클러치 10a : 클러치연결유로
11 : 클러치콘트롤밸브 12 : 매뉴얼밸브
12a : 제1연결유로 13 : 밸브하우징
14 : 제1작동플런저 15a,15b : 제2작동플런저
16 : 제2연결유로 17 : 스프링
18 : 리버스브레이크 19 : 클러치 축압기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용 무단변속기의 스위칭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에는 엔진 정지(idle stop)시 포워드클러치 실린더 내부의 유량이 클러치콘트롤밸브를 통해 배출되어 포워드클러치 실린더 내부와 유로가 빈공간이 되므로, 엔진이 재가동되었을 경우에 포워드클러치 실린더 내부에 유체를 채우기 위한 시간이 필요하여 발진 응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포워드클러치 및 매뉴얼밸브를 연결하는 유로에 스위칭 밸브를 설치함으로써, 엔진 정지시에도 포워드클러치 실린더 및 유로에 유량을 채울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용 무단변속기의 스위칭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단변속기를 탑재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엔진의 동력을 가변하여 출력하는 토크컨버터 및 무단변속기가 설치되며, 상기 무단변속기에서 출력되는 구동력은 바퀴를 회전하게 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엔진과 무단변속기 사이에는 모터가 설치되어 가속시 구동력을 제공하고 감속시 차량의 운동에너지를 전기로 전환하게 된다.
물론 엔진을 스타팅하기 위하여 엔진과 직접 연결되는 다른 모터도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의 하이브리드 무단변속 시스템은 엔진의 구동력을 토크컨버터가 받아서 회전력을 가변하게 되며, 상기 토크컨버터의 구동력은 무단변속기에 입력되어 회전수가 가변되어 바퀴를 구동하게 된다.
이때 엔진의 최적 운전점을 위하여 무단변속기가 제어되며, 가속 및 감속시에 모터가 사용되게 된다.
물론 모터는 엔진을 시동하게 되며, 엔진이 시동된 뒤에는 배터리에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용 무단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의 구동력을 유체마찰로 토오크 변환시키는 토오크 컨버터와, 엔진의 구동과 함께 구동되어 라인압을 생성하는 오일펌프와, 변속레버의 조작으로 상기 라인압을 전진압관로 또는 후진압관로로 선택적으로 분배시켜서 라인압을 ″R레인지″에서 작동하는 리버스 브레이크(18) 또는 ″D레인지″에서 작동하는 포워드 클러치(10)로 분배시키는 매뉴얼 밸브(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오일펌프에서 발생한 유압을 일정압인 라인압으로 조절하고 토오크 컨버터 및 각 유압구동요소에 압유를 공급하며 제1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듀티제어되는 제1레귤레이터밸브 및 제2레귤레이터밸브, 제1 및 제2레귤레이터밸브를 통한 라인압을 매뉴얼밸브(12)측에 소정압으로 공급하며 제3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하여 듀티제어되는 클러치콘트롤밸브(11)를 포함한다.
그 외에도 드로틀개도 및 차속의 상태에 따라 제2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하여 듀티제어되며 메인풀리에 유압을 공급하는 변속제어밸브와; ″D레인지″에서 ″R레인지″로 변환시 포워드 클러치(10)압이 해제되기전 리버스 브레이크(18)압이 작동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세이프티밸브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무단변속기에 있어서, ″D레인지″로 매뉴얼 변속시에는 클러치콘트롤밸브(11) 및 매뉴얼밸브(12)를 경유하여 포워드클러치(10)에 유압이 공급되고, 제2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듀티제어되는 변속제어밸브를 경유하여 메인풀리에 유압이 공급된다.
그리고 ″R레인지″로 매뉴얼 변속시에는 라인압이 제3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듀티제어되는 클러치콘트롤밸브(11) 및 매뉴얼밸브(12)를 경유하여 리버스브레이크(18)에 유압이 공급되게 된다.
한편, 엔진 정지시 오일펌프의 작동이 정지되어 유압형성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제2레귤레이터밸브의 압력 즉, 클러치콘트롤밸브에 공급되는 압력이 0bar가 된다.
그런데, 상기 클러치콘트롤밸브는 노멀 로우(normal low) 타입으로, 포워드클러치 실린더의 유량이 클러치콘트롤밸브를 통해 배출되어 포워드클러치 실린더 내부와 유로가 빈공간이 발생된다.
따라서, 엔진 정지후 엔진이 재가동되었을때 포워드클러치 실린더 내부에 유체를 채우기 위한 시간이 필요하게 되므로, 발진 응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엔진 정지시에는 스프링에 의하여 밸브가 포워드클러치 및 매뉴얼밸브를 연결하는 유로를 차단함으로써, 포워드클러치 실린더 내부 및 유로에 일정유량이 채워진 상태로 되고, 엔진이 재가동되면서 오일펌프가 작동되고 제2레귤레이터밸브의 압력이 형성됨에 따라 밸브가 원래위치로 이동되어 포워드클러치 및 매뉴얼밸브의 유로를 다시 연결함으로써, 포워드클러치 실린더 내부에 유체를 채우기 위한 시간이 필요없게 되므로, 발진 응답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용 무단변속기의 스위칭 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용 무단변속기의 스위칭 밸브에 있어서,
상측에 포워드클러치와 연결되는 클러치연결유로와, 하측에 매뉴얼밸브와 연결되는 제1연결유로 및 우측단에 제2레귤레이터밸브와 연결되는 제2연결유로가 형성된 밸브하우징과;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부에 클러치연결유로와 제1연결유로를 연결 및 차단하도록 설치된 제1작동플런저와; 상기 제1작동플런저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제1작동플런저와 나란하게 설치된 제2작동플런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엔진정지시 제2레귤레이터밸브의 압력이 0bar가 되 면 스프링에 의해 제1작동플런저가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클러치연결유로와 제1연결유로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엔진 정지시 상기 제1작동플런저에 의해 클러치연결유로가 차단될 경우에 상기 포워드클러치 유로의 압력은 일정압력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엔진정지시 오일펌프의 작동이 정지되고 유압형성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제2레귤레이터밸브의 압력이 0bar가 된다.
본 발명은 포워드클러치(10) 실린더 내부의 유량이 클러치콘트롤밸브(11)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포워드클러치(11)와 매뉴얼밸브(12)를 연결하는 유로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스위칭 밸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밸브는 포워드클러치(10) 및 매뉴얼밸브(12)를 연결하는 유로에 설치되고, 밸브 하우징(13)의 내부에는 포워드클러치(10) 및 매뉴얼밸브(12) 사이의 유로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제1작동플런저(14) 및 제2작동플런저(15a,15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밸브하우징(13)의 상측에는 포워드클러치(10)와 연결되는 클러치연결유로가 형성되고, 클러치연결유로(10a)와 나란하게 축압기연결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밸브하우징(13)의 하측에는 매뉴얼밸브(12)와 연결되는 제1연결유로(12a)와, 제2레귤레이터밸브와 연결되는 제2연결유로(16)가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작동플런저(14)는 제1연결유로(12a)와 클러치연결유로(10a)를 연결 및 차단하는 역할을 하고, 스프링(17)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2작동플런저(15a,15b)는 제1작동플런저(14)와 나란하게 연결되고, 제2레귤레이터밸브의 압력을 받게 되면 제1작동플런저(14)에 압력을 전달하게 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용 무단변속기의 스위칭 밸브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엔진정지시에는 오일펌프의 작동이 정지되어 유압형성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제2레귤레이터밸브의 압력이 0bar가 되고, 스프링(17)의 탄성력에 의해 제1작동플런저(14)가 오른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하여 레귤레이팅 포인트까지 이동하게 된다.
이때, 포워드클러치(10)의 압력은 1bar(압력수준은 필요에 따라 변경가능하다.)로 유지되고, 엔진정지 유지시 제1작동플런저(14)가 완전히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포워드클러치(10)와 매뉴얼밸브(12)를 연결하는 유로를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포워드클러치(10) 실린더 및 유로에는 유량이 채워져 있고, 제2작동플런저(15a,15b)는 제1작동플런저(14)의 가압력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2연결유로(16)를 차단하게 된다.
엔진 정지후 엔진이 재가동되었을 경우에 오일펌프가 작동되고, 제2레귤레이터밸브의 압력이 형성되어 4bar이상(필요에 따라 변경가능함)이면 제2작동플런저(15a,15b)가 제2레귤레이터밸브의 압력을 받아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제1작동플런저(14)가 왼쪽으로 이동하게된다.
이때, 스프링(17)이 압축되면서 제1작동플런저(14)가 포워드클러치(10)와 매뉴얼밸브(12) 유로가 완전히 연결됨으로써, 클러치콘트롤밸브로 포워드클러치를 제어하여 차량을 발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작동상태에 따라 제1작동플런저(14)가 포워드클러치(10)와 매뉴얼밸브(12) 유로를 차단함으로써, 포워드클러치(10) 실린더 및 유로에 유량이 채워지게 되므로, 엔진 재가동시 포워드클러치(10) 실린더 내부에 유체를 채우기 위한 시간이 필요없어 발진 응답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밸브를 모의실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엔진 온 및 차량 정지 상태인 경우(0~1초)에는 포워드클러치(10)의 압력이 0bar가 되고, 엔진 온 및 차량 출발 상태인 경우(1~3.5초)에는 포워드클러치(10)의 압력이 증가하면서 차량은 발진하게 된다.
계속해서, 엔진 온 및 차량 정지상태인 경우(3.5~4초)에는 차량이 서서히 감속하면서 정지 직전의 포워드클러치(10)의 압력이 감소하고, 엔진 오프 및 차량 정지상태인 경우(4초이상)에는 엔진이 정지하였으나 포워드클러치(10)의 압력은 일정 압력(1bar)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포워드클러치(10) 실린더와 유로에 유체가 채워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 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용 무단변속기의 스위칭 밸브에 의하면, 엔진정지시 제1작동플런저가 포워드클러치와 매뉴얼밸브 유로를 차단함으로써, 포워드클러치 실린더 및 유로에 유량이 채워지게 되므로, 엔진 재가동시 포워드클러치 실린더 내부에 유체를 채우기 위한 시간이 필요없어 발진 응답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Claims (3)

  1.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용 무단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에 있어서,
    포워드클러치(10)와 매뉴얼밸브(12)를 연결하는 유로 사이에 설치된 스위칭 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스위칭밸브가 엔진정지시에는 상기 포워드클러치(10)와 매뉴얼밸브(12)의 연결을 차단하고, 엔진 재가동시에는 상기 포워드클러치(10)와 매뉴얼밸브(12)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용 무단변속기의 스위칭 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밸브는 상측에 포워드클러치(10)와 연결되는 클러치연결유로(10a)와, 하측에 매뉴얼밸브(12)와 연결되는 제1연결유로(12a) 및 우측단에 제2레귤레이터밸브와 연결되는 제2연결유로(16)가 형성된 밸브하우징(13);
    상기 밸브하우징(13)의 내부에 상기 클러치연결유로(10a)와 제1연결유로(12a)를 연결 및 차단하도록 설치된 제1작동플런저(14);
    상기 제1작동플런저(14)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17);
    상기 밸브하우징(13)의 내부에 상기 제1작동플런저(14)와 나란하게 설치된 제2작동플런저(15a,15b);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엔진정지시 상기 제2레귤레이터밸브의 압력이 0bar가 되면 상기 스프링(17)에 의해 상기 제1작동플런저(14)가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클러치연결유로(10a)와 제1연결유로(12a)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용 무단변속기의 스위칭 밸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엔진 정지시 상기 제1작동플런저(14)에 의해 상기 클러치연결유로(10a)가 차단될 경우에 상기 포워드클러치(10)의 압력은 일정(특정)압력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용 무단변속기의 스위칭 밸브.
KR1020060068882A 2006-07-24 2006-07-24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용 무단변속기의 스위칭 밸브 KR100828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882A KR100828759B1 (ko) 2006-07-24 2006-07-24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용 무단변속기의 스위칭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882A KR100828759B1 (ko) 2006-07-24 2006-07-24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용 무단변속기의 스위칭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9382A KR20080009382A (ko) 2008-01-29
KR100828759B1 true KR100828759B1 (ko) 2008-05-09

Family

ID=39221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8882A KR100828759B1 (ko) 2006-07-24 2006-07-24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용 무단변속기의 스위칭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87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963Y2 (ja) * 1988-04-01 1995-05-17 新潟コンバーター株式会社 クラッチ油圧切換制御装置
JP2002021993A (ja) * 2000-07-10 2002-01-23 Nissan Motor Co Ltd エンジン自動停止車両用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回路
JP2006132774A (ja) * 2004-11-02 2006-05-25 Hyundai Motor Co Ltd 車両用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963Y2 (ja) * 1988-04-01 1995-05-17 新潟コンバーター株式会社 クラッチ油圧切換制御装置
JP2002021993A (ja) * 2000-07-10 2002-01-23 Nissan Motor Co Ltd エンジン自動停止車両用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回路
JP2006132774A (ja) * 2004-11-02 2006-05-25 Hyundai Motor Co Ltd 車両用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9382A (ko) 2008-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6618B2 (en) Hydraulic control device for starting device
JP5304226B2 (ja) 油圧制御装置
US8572956B2 (en) Hydraulic pressure supply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US8845488B2 (en) Hydraulic control apparatus and hydraulic control method
US20100311538A1 (en) Hydraulic pressure supply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US20140349811A1 (en) Vehicle driving system
US20100241326A1 (en) Control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
WO2010021218A1 (ja) 油圧制御装置
KR20170118158A (ko) 차량용 유압 제어 장치 및 유압 제어 방법
US7036310B2 (en) Hydraulic controller for hydraulic actuator
CN101255917B (zh) 油压供应装置
JP2011132993A (ja) 油圧制御装置
KR100844725B1 (ko) 통합형 스위칭 윤활방향 밸브
JP2007120720A (ja) 油圧制御装置
CN108930785B (zh) 用于变速器的液压回路
JP2011163393A (ja) 油圧制御装置および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KR100828759B1 (ko)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용 무단변속기의 스위칭 밸브
CN109070894B (zh) 用于运行机动车动力传动系的方法和这种机动车的动力传动系模块
JP6190985B2 (ja) 駆動力配分装置の油圧制御装置
JP2018138419A (ja) 油圧制御装置
JP2011231867A (ja) 車両用油圧制御装置
JP2014105812A (ja) 油圧制御装置
JP2019148296A (ja) 自動変速機の油圧回路
JP2011052797A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KR101916183B1 (ko)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