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7295B1 - 전자접촉기 구동회로 - Google Patents

전자접촉기 구동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7295B1
KR100827295B1 KR1020060034620A KR20060034620A KR100827295B1 KR 100827295 B1 KR100827295 B1 KR 100827295B1 KR 1020060034620 A KR1020060034620 A KR 1020060034620A KR 20060034620 A KR20060034620 A KR 20060034620A KR 100827295 B1 KR100827295 B1 KR 100827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coil
current
switching transistor
electromagnetic cont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4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2862A (ko
Inventor
김진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진스
Priority to KR1020060034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7295B1/ko
Publication of KR20070102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2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5/00Details of relays
    • H01H45/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01H50/443Connections to coi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023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of differential amplifiers or comparator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02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modify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 H01H47/04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modify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for holding armature in attracted position, e.g. when initial energising circuit is interrupted; for maintaining armature in attracted position, e.g. with reduced energising current
    • H01H2047/046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modify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for holding armature in attracted position, e.g. when initial energising circuit is interrupted; for maintaining armature in attracted position, e.g. with reduced energising current with measuring of the magnetic field, e.g. of the magnetic flux, for the control of coil curr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Relay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접촉기의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접촉기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접촉기 구동회로에 있어서, 상기 코일에 병렬로 연결되는 환류소자; 상기 코일의 일단에 드레인이 연결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 연결되는 전류센싱소자; 일단이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 연결되는 정류소자; 제 1입력단에 기준전압이 연결되고 제 2입력단이 상기 정류소자의 타단에 연결되며, 출력단이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연결되는 비교회로; 및 상기 비교회로의 제 2입력단에 연결되는 방전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구동회로를 개시한다.
전자접촉기, 구동회로, 코일, 모터, 전류제어

Description

전자접촉기 구동회로{DRIVING CIRCUIT OF MAGNETIC CONTACTOR}
도 1은 전자접촉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전자접촉기의 구동회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에서 사용된 IC 칩의 회로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 구동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 구동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 구동회로의 전류 및 전압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 구동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비교회로 120 : 스위칭 트랜지스터
130 : 전류센싱소자 140 : 정류소자
150 : 방전회로 160 : 환류소자
170 : 노이즈 필터 180 : 전류 증폭회로
190 : 이상발진 방지회로 500 : 코일
본 발명은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접촉기의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전자접촉기(Magnetic Contactor)는 부하단의 모터를 구동시키고 정지시키기 위한 스위치의 일종으로, 코일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전류에 의해 발생한 자기력으로 인해 스위치가 온(ON)/오프(OFF)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도 1은 전자접촉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전자접촉기는 프레임, 코일이 감기는 고정코어, 상기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상기 고정코어에 접촉했다 떨어지는 가동코어, 상기 가동코어에 의해 스위칭되는 전원접점 및 부하접점 및 상기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구동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종래의 전자접촉기의 구동회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사용된 IC의 회로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전자접촉기 구동회로는 도 3에 도시된 IC칩(UC3842)을 사용하며, RT/CT 단을 통하여 PWM(Pulse Width Modulation) 주파수를 고정하여 사용하며 IC 칩(UC3842) 내부에 PWM 출력과 전류센싱회로를 갖추고 있어 간단하게 코일의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자접촉기 구동회로는 기동시 PWM 풀 듀티(Full Duty)를 사용하므로 100% 듀티(Duty)를 만들지 못하므로 코일에서의 전류 상승이 늦고 IC칩 내부 회로가 복잡하여 소비전류가 많으므로 보조전원의 부담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IC칩의 가격이 고가이기 때문에 제품의 제조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보조전원을 입력전압에서 생성하여 사용하므로 본 회로를 적용시 IC칩 전원전류가 크면 입력 220V를 사용한 경우 보조전원에서의 손실은 매우 크다. 전자접촉기는 보통 구동회로가 구현되는 전자회로기판이 협소한 공간에 밀폐형 구조 안에 놓이므로 보조전원의 소비전력에 의해 과도한 발열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IC칩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회로구성을 갖는 전자접촉기 구동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전자접촉기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접촉기 구동회로에 있어서, 상기 코일에 병렬로 연결되는 환류소자; 상기 코일의 일단에 드레인이 연결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일단이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에 연결되는 전류센싱소자; 일단이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 연결되는 정류소자; 제 1입력단에 기준전압이 연결되고 제 2입력단이 상기 정류소자의 타단에 연결되며, 출력단이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연결되는 비교회로; 및 일단이 상기 비교회로의 제 2입력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에 연결되는 방전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류센싱소자를 통해 전류를 센싱할 때 노이즈의 저감을 위한 노이즈 필터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노이즈에 의해 스위칭이 이상발진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상기 비교회로의 저항과 병렬로 연결되는 이상발진 방지회로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교회로의 출력을 전류 증폭하여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비교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전류 증폭회로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교회로는 비교기, 상기 비교기의 입력과 상기 기준전압 사이에 연결되는 제 1저항, 및 상기 비교기의 입력과 출력 사이에 연결되는 제 2저항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전회로는 콘덴서, 및 상기 콘덴서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 3저항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류소자는 다이오드 또는 트랜지스터로 구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환류소자는 다이오드로 구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류센싱소자는 제 4저항으로 구현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 구동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 구동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 구동회로는 비교회로(110), 스위칭 트랜지스터(120), 전류센싱소자(130), 정류소자(140), 방전회로(150) 및 환류소자(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자접촉기 구동회로는 코일(500)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한다.
상기 환류소자(160)는 상기 코일에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120)의 드레인은 상기 코일의 일단에 연결된다.
상기 환류소자(160)로는 다이오드(D1)를 사용한다.
상기 전류센싱소자(130)의 일단은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120)의 소오스에 연결되고, 상기 전류센싱소자(130)의 타단은 접지단에 연결된다.
상기 전류센싱소자(130)로는 저항(RS)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정류소자(140)의 일단 역시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120)의 소오스에 연결된다.
상기 정류소자(140)로는 다이오드(D2) 또는 트랜지스터를 사용한다.
상기 정류소자(140)의 타단에는 방전회로(150)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방전회로(150)의 타단은 접지단에 연결된다.
상기 방전회로(150)는 저항(RDIS)과 콘덴서(C)가 병렬로 연결된 구조이다.
상기 비교회로(110)의 출력단은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120)의 게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비교회로(110)의 제 1입력단에는 기준전압이 연결되며 제 2입력단에는 상기 정류소자(140)의 타단이 연결된다.
상기 비교회로(110)는 비교기와 두 개의 저항(R1,R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두 개의 저항 중 하나(R1)는 상기 비교기의 입력과 상기 기준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나머지 저항(R2)은 상기 비교기의 입력과 출력 사이에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자접촉기 구동회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 구동회로의 전류 및 전압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입력전압 VIN이 인가 되기 이전에는 VA은 VAH이고, VA의 전압이 VB보다 높으므로 스위칭 트랜지스터(120)의 게이트 전압인 VG 전압은 하이 상태(High State)가 되며 트랜지스터(120)는 턴온(Turn on)되어 있다.
여기서,
VAH( VG = High 일 때의 VA) = VREF + (VGATE _HIGH - VREF)*(R1)/(R1+R2)
VAL ( VG = Low 일 때의 VA) = VREF*(R1)/(R1+R2)
입력전압 VIN이 인가되면 트랜지스터(120)가 도통되어 있으므로 코일전류는 상승한다( 도 6의 Ⅱ구간).
코일전류가 상승하여 전류센싱소자(RS,130)의 전압이 [VB전압 + 정류소자(D2,140)의 포워드 드롭(Forward Drop) 전압(VF)]만큼 되고, 이 전압이 VAH와 같아지면 비교기는 출력전압이 0으로 되면 트랜지스터(120)는 오프(Off)된다.
트랜지스터(120)가 오프(Off)되면서 VG의 전압은 0이 되고 VA는 VAH에서 VAL로 떨어지게 된다( 도 6의 Ⅲ구간).
트랜지스터(120)가 오프되었으므로 RS의 전압은 0이 되고 정류소자인 다이오드(D2)는 오프되며 콘덴서(Capacitor C)에 충전된 전압은 저항 RDIS를 통해 방전된다.
VB의 전압이 VAL이 되면 VA의 전압은 VAH가 되며 트랜지스터(120)는 다시 도통되고 코일의 전류는 다시 상승한다.
다시 RS에 코일전류에 의한 전압이 발생하고 [저항(RS)의 전압+다이오드(D2)의 포워드 드롭(Forward Drop) 전압(VF)]이 VAH가 되면 VG는 다시 0이 되며 이 동작을 반복한다.
그러므로,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피크치는 VAH + VF로 일정하게 제어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 구동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 구동회로는 비교회로(110), 스위칭 트랜지스터(120), 전류센싱소자(130), 정류소자(140), 방전회로(150), 환류소자(160), 노이즈 필터(170), 이상발진 방지회로(190) 및 전류 증폭회로(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비교회로(110), 스위칭 트랜지스터(120), 전류센싱소자(130), 정류소자(140), 방전회로(150), 환류소자(160), 노이즈 필터(170), 이상발진 방지회로(190) 및 전류 증폭회로(180)의 경우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와 그 기능 및 동작이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노이즈 필터(170)는 상기 전류센싱소자(130)를 통해 전류를 센싱할 때 노이즈의 저감을 위한 것이다.
상기 이상발진 방지회로(190)는 외부 노이즈에 의해 스위칭이 이상발진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며, 상기 비교회로(110)의 저항과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전류 증폭회로는 상기 비교회로(110)의 출력을 전류 증폭하여 트랜지스터(120)의 게이트를 구동(Drive)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비교회로(110)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접촉기 구동회로를 구현함에 있어 저전력 비교기를 사용하여 매우 작은 수동전류를 필요로 하므로 보조전원의 소모전력도 매우 작아 보조전원의 과도한 소비전력으로 인한 발열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IC칩을 사용하는 종래의 전자접촉기 구동회로와는 달리 IC칩을 사용하지 않아 회로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9)

  1. 전자접촉기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접촉기 구동회로에 있어서,
    상기 코일에 병렬로 연결되는 환류소자;
    상기 코일의 일단에 드레인이 연결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일단이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에 연결되는 전류센싱소자;
    일단이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 연결되는 정류소자;
    제 1입력단에 기준전압이 연결되고 제 2입력단이 상기 정류소자의 타단에 연결되며, 출력단이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연결되는 비교회로; 및
    일단이 상기 비교회로의 제 2입력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에 연결되는 방전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구동회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접촉기 구동회로는 상기 비교회로의 출력을 전류 증폭하여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비교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전류 증폭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구동회로.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회로는:
    비교기;
    상기 비교기의 입력과 상기 기준전압 사이에 연결되는 제 1저항; 및
    상기 비교기의 입력과 출력 사이에 연결되는 제 2저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구동회로.
  6.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회로는:
    콘덴서; 및
    상기 콘덴서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 3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구동회로.
  7.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소자는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구동회로.
  8.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환류소자는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구동회로.
  9.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센싱소자는 제 4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구동회로.
KR1020060034620A 2006-04-17 2006-04-17 전자접촉기 구동회로 KR100827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620A KR100827295B1 (ko) 2006-04-17 2006-04-17 전자접촉기 구동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620A KR100827295B1 (ko) 2006-04-17 2006-04-17 전자접촉기 구동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2862A KR20070102862A (ko) 2007-10-22
KR100827295B1 true KR100827295B1 (ko) 2008-05-07

Family

ID=38817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4620A KR100827295B1 (ko) 2006-04-17 2006-04-17 전자접촉기 구동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72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91081B2 (en) 2019-08-26 2023-10-17 Ls Electric Co., Ltd. Coil driv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7410A (ko) * 1996-03-26 1997-10-13 이종수 전자접촉기의 코일구동장치
KR19980029714A (ko) * 1996-10-28 1998-07-25 이종수 전자접촉기의 코일 구동장치
KR19990033116A (ko) * 1997-10-23 1999-05-15 이종수 전자접촉기의 코일구동장치
KR19990033937U (ko) * 1998-01-08 1999-08-16 이종수 전자접촉기의 코일 구동회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7410A (ko) * 1996-03-26 1997-10-13 이종수 전자접촉기의 코일구동장치
KR19980029714A (ko) * 1996-10-28 1998-07-25 이종수 전자접촉기의 코일 구동장치
KR19990033116A (ko) * 1997-10-23 1999-05-15 이종수 전자접촉기의 코일구동장치
KR19990033937U (ko) * 1998-01-08 1999-08-16 이종수 전자접촉기의 코일 구동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91081B2 (en) 2019-08-26 2023-10-17 Ls Electric Co., Ltd. Coil driv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2862A (ko) 2007-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2817B2 (en) Systems and methods of active clamp flyback power converters
JP4482913B2 (ja) 電磁弁及び電磁弁駆動回路
JP2835299B2 (ja) 自励式dc−dcコンバータ
US6198258B1 (en) DC-DC converter capable of soft starting function by slowly raising reference voltage
KR100731393B1 (ko) 스위칭 레귤레이터
JP2008541507A (ja) 電力用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fet)の駆動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US201201820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a Switch Transistor
KR100583670B1 (ko) 스위칭 전원 장치
US7151328B2 (en) Auxiliary power sour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auxiliary power source, as well as circuit arrangement for switching a load
TWI583112B (zh) 開關式電源供應器的控制方法與控制裝置
US11742763B2 (en) Switching control circuit and power supply circuit
US8237640B2 (en) LED driver circuit having a bias current drawn from a load current
JP5606877B2 (ja) バックコンバータ
KR20050013516A (ko) 반도체 장치
KR100827295B1 (ko) 전자접촉기 구동회로
JP2010507177A (ja) ハイサイド電流感知ヒステリシスled制御器
US8542510B2 (en) Power supply input device converting discharge resistance
JP3289680B2 (ja) 電源装置の突入電流防止回路
JP2006050776A (ja) 半導体スイッチ回路および電力変換装置およびインバータ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EP2662554A1 (en) Driving circuit for a magnetic valve
CN112996185B (zh) 固态光源驱动电路及应用其的投影机
US20230387805A1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and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JP4858815B2 (ja) フォワードコンバータ
JP2002345235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20000039097A (ko)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의 입력 전류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