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7012B1 - 플라즈마 디스플래이 패널용 투명유전체 조성물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래이 패널용 투명유전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7012B1
KR100827012B1 KR1020060124417A KR20060124417A KR100827012B1 KR 100827012 B1 KR100827012 B1 KR 100827012B1 KR 1020060124417 A KR1020060124417 A KR 1020060124417A KR 20060124417 A KR20060124417 A KR 20060124417A KR 100827012 B1 KR100827012 B1 KR 100827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
glass
pdp
transparent dielectric
plasma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4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원
강민수
민동기
김광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온
Priority to KR1020060124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70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 H01B3/0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quartz; glass; glass wool; slag wool; vitreous enam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62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 C03C3/06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62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 C03C3/06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 C03C3/06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containing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12Silica-free oxide glass compositions
    • C03C3/14Silica-free oxide 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12Silica-free oxide glass compositions
    • C03C3/14Silica-free oxide 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boron
    • C03C3/145Silica-free oxide 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boron containing aluminium or beryll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 H01B3/1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metallic oxides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래이 패널(PDP)용 투명유전체 유리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Bi2O3 10∼20mol%, BaO 1∼20mol%, Al2O3 0∼10mol%, B2O3 20∼60mol%, ZnO 20∼60mol%, SiO2 0∼10mol%, Co3O4 0∼5mol%, CuO 0~5mol%, NiO 0~5mol%를 포함하면서 납(Pb) 성분이 함유되어 있지 않아 환경친화적인 특성을 가지면서, 특히 저온소성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래이 패널용 유전체 조성물의 열팽창계수는 75∼95 x 10-7/℃, 유전상수는 11∼14, 연화점이 420∼470℃, 소성온도는 480∼540℃로서 저온소성이 가능하다. 특히 PDP용 유리기판으로 쓰이고 있는 PD200 유리기판을 소다라임 유리기판으로 대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무연 및 저온소성 투명유전체 재료를 이용한 PDP는 소자의 수명 증대와 함께 제조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다.
플라즈마, PDP, 디스플래이, 패널, 투명, 유전체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래이 패널용 투명유전체 조성물{Lead-free dielectric composition for plasma display panel}
도 1은 종래기술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래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이하‘PDP'라 한다)용 투명유전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환경 유해물질인 납(Pb)성분을 함유하지 않으며 저온소성이 가능한 투명유전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PDP는 불활성 기체의 방전에 의한 플라즈마 생성을 통하여 바탕기체를 형성하고, 형광체를 발광시키는 진공자외선(파장 약 147nm)이 적, 녹, 청색광 형광체에 조사되어 가시광을 발생시키고 이 빛을 조합해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이러한 PDP는 박형, 경량이면서 대화면 표시가 가능하고, 넓은 광시야각, 완전 컬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고화질 디지털 TV 방송 서비스 도입과 함께 고해상도 HDTV 등 차세대 디스플래이의 하나로 주목을 받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면기판(1)은 투명전극(2), 버스(bus)전극(3), 투명유전체(4), MgO 보호막(5), 블랙 스트라이프(black stripe)(6)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배면기판(7)은 어드레스(address)전극(8), 백색유전체(9), 격벽(10)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형광체(R, G, B)(11)는 두 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Xe, Ne 등 방전가스가 채워진다.
본 발명은 도 1의 투명유전체(4)를 구성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투명 유전체 조성물은 주로 PbO-SiO2-B2O3, PbO-B2O3, PbO-SiO2-P2O5계의 유리 조성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PbO계 유전체 재료는 소성온도가 비교적 높고, 중금속인 납(Pb)을 포함하고 있어 인체 및 환경적으로 매우 유해한 물질이기 때문에 세계 각국에서 규제 대상이 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2-33006호에서 Pb-free계 투명 유전체용 유리 조성물로서 BaO-B2O3-ZnO계 유리 조성물을 개시한 바 있으나, 비교적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가져 실제 PDP 패널에 적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PDP용 기판유리로는 일반 소다라임 유리와 변형온도가 높은 PD200이 있는데, 소다라임 유리의 변형점은 500℃ 부근이기 때문에 패널 제작 시 열처리 공정 중에서 열변형이 쉽게 생겨 PDP 개발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 대형화 추세에 있어 열팽창에 따른 치수변형 등의 문제로 현재는 PDP용 유리기판(PD200)이 적용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인 납(Pb)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문제점, PDP용 유리기판이 소다라임 유리기판에 비해 가격이 월등히 높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PbO를 포함하지 않는 유전체 조성물로서, 낮은 소성온도를 가지며 전극(Ag)과의 반응성이 없는 투명 유전체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DP용 유리기판 대신 소다라임 유리기판으로 대체가 가능한 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유리 조성물의 주성분이 Bi2O3, BaO, SiO2, B2O3, ZnO, Al2O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PDP용 투명유전체 재료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유전체 조성물은 Bi2O3 10∼20mol%, BaO 1∼20mol%, Al2O3 1~10mol%, B2O3 20∼60mol%, ZnO 20∼60mol%, SiO2 0∼10mol%, Co3O4 0∼5mol%, CuO 0~5mol%, NiO 0~5mol%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PDP용 투명유전체 유리 조성물은 저온에서 소성이 가능하고 높은 광투과율, 적절한 열팽창계수 및 유전상수로 투명유전체가 요구하는 특성으로 적합하다.
본 발명의 PDP용 투명유전체 유리 조성물은 소성온도가 480∼540℃로서 저온 소성이 가능하고 50∼350℃ 온도범위에서 열팽창계수가 75∼95 x 10-7/℃로 소다라임 판유리와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기 때문에 기존 PDP용 유리기판으로 대체 적용하기가 적합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Bi2O3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리형성제로 작용하여 유리를 안정화시키고 유리연화점을 낮추고 유전상수, 열팽창계수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Bi2O3의 함량 증가는 연화점이 낮아져 소성온도를 낮출 수 있으나 그 양이 많으면 유전율이 상승한다는 관점에서 10∼20mol% 범위가 적당하다.
BaO는 본 발명조성에서 유리 수식제로 작용하여 유리연화점을 낮추고 유전상수, 열팽창계수를 높이는 역할을 하며 유리를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 함량이 너무 많으면 유전상수와 열팽창계수가 매우 커지므로 1∼20mol% 범위가 적당하다.
B2O3는 유리를 구성하기 위한 필수성분인 유리형성제로 작용하여 SiO2와 함께 유리연화점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그 함량이 너무 많으면 연화점이 상승하며 겔화(gelation) 현상이 발생하므로 20∼60mol% 범위가 적당하다.
ZnO는 유리 수식제로 작용하여 유리를 화학적으로 안정화시키고 유리연화점, 유전상수, 열팽창계수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그 함량이 너무 많으면 유리조성물 소성시 전극변색이 유발되므로 20∼60mol% 범위가 적당하다.
Al2O3는 본 발명조성에서 필수성분으로써 유리를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 함량이 너무 많으면 연화점이 높아지고 그 함량이 너무 작으면 유리 안정성의 저하로 결정화가 일어나므로 1∼10mol% 범위가 적당하다.
SiO2는 본 발명에서 보조성분으로써 유리를 화학적으로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하나 유리전이온도와 연화점을 크게 높인다. 그 함량이 너무 많으면 연화점이 크게 상승하므로 0∼10mol% 범위가 적당하다.
Co3O4, CuO 및 NiO는 기능성 첨가제로써 유리조성물 기준으로 각성분이 0∼5mol%로 첨가되거는 각 조합의 성분합이 0~5mol%로 첨가되는 것이 적당하다. 기능성 첨가제의 양이 지나치게 많으면 유리 안정성의 저하가 초래되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무연 및 저온소성 투명유전체 제조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의 성분들을 적절한 mol%로 칙량 및 혼합하여 900∼1300℃에서 용융시킨 후 건식으로 급랭한다. 그리고 이 급랭물을 1차 조분쇄를 한 후 2차 미분쇄한 유리분말을 분급함으로써 본 발명의 무연 및 저온소성 투명유전체 유리분말을 얻는다.
본 발명의 유전체 유리분말은 1∼3㎛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비히클(vehicle)과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페이스트 상태로 소다-라임(soda-lime) 기판유리 위에 단위막(건조막)을 코팅한 후 건조 및 소성함으로써 목적하는 PDP용 투명유전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전체 재료는 PDP용 투명유전체용으로 적합하였다. 일반적으로 PDP용 유전체 재료가 가져야할 특징으로서는 낮은 소성온도, 소성 후 높은 광 투과율, 기판과 비슷한 열팽창계수, 적절한 유전상수의 특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유전체 조성물은 연화점이 낮아 480∼540℃에서의 저온소성이 가능하고 PbO를 함유하지 않아 환경친화적이고 인체에 무해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전체 조성물의 광 투과율은 80%이상을 보여 주었으며, 열팽창계수는 75∼95 x 10-7/℃를 나타내어 PDP용 기판과 비슷한 열팽창계수 값을 보여주어 열처리 도중에서 일어날 수 있는 균열이나 뒤틀림을 막기 위해 열팽창계수의 매칭성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유전상수는 11∼14의 값을 나타내어 낮은 유전상수를 가져 PDP용 투명유전체로서 적합하다. 특히 PDP용 유리기판으로 쓰이고 있는 PD200 유리기판을 소다라임 유리기판으로 대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실시예 1∼3>
하기 표 1과 같은 적절한 mol%로 칙량 및 혼합하여 1100℃에서 용융시킨 후 건식으로 급냉시켰다. 그리고 이 급냉물을 1차 조분쇄, 2차 미분쇄 과정을 거쳐 1∼3㎛의 평균 입경을 가지는 투명유전체 유리분말을 제조하였다.
평균입경은 입도분석기(Mastersizer 2000, Malvern, UK)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유리전이온도(Tg), 연화온도(Tdsp), 열팽창계수(TEC)는 열분석기(TMA : TMA-60, Shimadzu, Japan)를 사용하여 승온속도 10℃/min으로 측정하였으며 열팽창계수는 50∼350℃의 범위에서 기울기로부터 측정하였다.
유전상수는 LCR meter(HP-4277A, USA)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측정하였다. 시편의 준비는 5mmφ 원주형의 bulk시편을 제조하여 SiC 연마지로 경면 연마 후 Ag 전극을 형성하여 측정하였다. 유전상수는 다음 식 K=AtC/ε0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여기서 ε0는 진공에서의 유전 상수(8.854*10-12F/m-1), K는 상대적 유전 상수, t는 시편의 두께, C는 정전용량(capacitance), A는 전극의 면적을 의미한다.)
광투과율은 UV-가시광선 분광광도계(V-570, Jasco, Japan)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480℃∼540℃에서 소성된 투명유전체 막에 대해서 빛의 300~800nm 파장대에서의 투과율(R.G.B.형광체의 발광영역에 해당하는 파장대에서의 광투과율) 범위에서 기준파장 550nm에서 직진광 투과율로 측정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게시하였다.
<비교예>
산화납을 포함하는 일본 아사히 글래스사(Asahi glass)의 투명 유전체용 유리분말 YFT-340(PbO 21mo%, SiO2 16mol%, B2O3 50mol%, BaO 12mol%, CuO 0.5mol%)을 사용하여 580℃에서 소성하여 PDP 투명 유전체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리전이온도(Tg), 연화온도(Tdsp), 열팽창계 수(TEC), 유전상수 및 광투과율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게시하였다.
<표 1>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Bi2O3 10 10 15 -
PbO - - - 21
BaO 5 10 5 12
SiO2 - 5 - 16
B2O3 30 40 45 50
ZnO 30 30 30 -
Al2O3 5 5 5 -
CoO 0.1 0.1 0.1 -
CuO - - - 0.5
Tg(℃) 446 448 440 472
Tdsp(℃) 466 469 457 498
TEC(x10-7/℃) 87 85 86 83
유전상수 12.9 13.2 13.4 11.8
광투과율 (550nm) 80 83 81 82
실시예 1~3은 상기 표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낮은 연화점을 나타내기 때문에, 480∼540℃의 저온에서 소성이 가능하였고 열팽창계수는 75∼95 x 10-7/℃를 나타내었으며, 유전상수는 11∼14의 값을 나타내어 PDP용 투명유전체로서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조된 투명 유전체층은 기준파장 550nm에서 80% 이상의 높은 광투과율을 나타내었고, 황변 현상은 나타내지 않았다. 특히 이렇게 얻어진 본 발명의 투명유전체는 납(Pb)성분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친화적이고 인체에 무해하며 PDP용 유리기판 대신 소다라임 유리기판으로 대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래이 패널용 투명유전체 조성물은 결정을 제어하고 종래의 주성분인 납성분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친화적이고 인체에 무해하며, 저온소성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PDP용 투명유전체는 80% 이상의 고투과율을 가지며 열팽창계수는 75∼95 x 10-7/℃를 나타내며, 유전상수는 11∼14의 값을 나타내었다. 특히 PDP용 유리기판 대신 소다라임 유리기판으로 대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3)

  1. Bi2O3 10∼20mol%, BaO 1∼20mol%, Al2O3 1∼10mol%, B2O3 20∼60mol%, 및 ZnO 20∼60mol%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래이용 투명유전체 유리 재료.
  2. 제 1 항에 있어서, 0.1∼10mol%의 SiO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래이용 투명유전체 유리 재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0.1∼5mol%의 CoO, 0.1∼5mol%의 CuO, 0.1~5mol% NiO 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래이용 투명유전체 유리 재료.
KR1020060124417A 2006-12-08 2006-12-08 플라즈마 디스플래이 패널용 투명유전체 조성물 KR100827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417A KR100827012B1 (ko) 2006-12-08 2006-12-08 플라즈마 디스플래이 패널용 투명유전체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417A KR100827012B1 (ko) 2006-12-08 2006-12-08 플라즈마 디스플래이 패널용 투명유전체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7012B1 true KR100827012B1 (ko) 2008-05-06

Family

ID=39649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4417A KR100827012B1 (ko) 2006-12-08 2006-12-08 플라즈마 디스플래이 패널용 투명유전체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701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689B1 (ko) * 2004-11-26 2006-05-12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유전체재료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패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689B1 (ko) * 2004-11-26 2006-05-12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유전체재료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42725A1 (en) Glass composition and paste composition suitable for a plasma display panel, and plasma display panel
US20070298956A1 (en) Composition of glass for plasma display panel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2006342044A (ja) バナジウムリン酸系ガラス
JP2006282467A (ja) ガラス組成物およびガラスペースト組成物
JP2006193385A (ja) 電極被覆用ガラス、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前面基板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背面基板
JP2000226229A (ja) 誘電体形成材料及び誘電体形成ペースト
JP2005336048A (ja) ガラス組成物、ペースト組成物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4874492B2 (ja) ガラス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含むガラス形成材料
JP2009046380A (ja) 封着用ガラス組成物
JP2007126319A (ja) ビスマス系無鉛ガラス組成物
JP2000228152A (ja) 誘電体形成材料及び誘電体形成ペースト
JP2008308393A (ja) 無鉛低軟化点ガラス、無鉛低軟化点ガラス組成物、無鉛低軟化点ガラスペースト、および蛍光表示管
KR101064228B1 (ko) 봉착용 무연 유리프리트 조성물
JP2008088046A (ja) 支持枠形成用ガラス組成物および支持枠形成材料
JP2006342018A (ja) リン酸亜鉛系無鉛ガラス組成物
KR10082701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래이 패널용 투명유전체 조성물
KR20080044771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유전체 분말
KR20040080522A (ko) 무연 ac-pdp 전극용 은 페이스트 프릿 개발
KR101417009B1 (ko) 절연층을 형성하기 위한 무연 붕규산염 유리 프릿 및 그의 유리 페이스트
KR20080024086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극 피복용 유리 분말
JP2008019145A (ja) 無鉛ガラス組成物
KR100823952B1 (ko) 저융점 및 무황변의 디스플레이용 유전체유리
KR10074398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판 유전체용 유리 조성물
JP2006182589A (ja) ビスマス系無鉛ガラス組成物
KR100787618B1 (ko) 고휘도의 디스플레이용 유전체 유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