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5499B1 - 휴대형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휴대형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5499B1
KR100825499B1 KR1020010048569A KR20010048569A KR100825499B1 KR 100825499 B1 KR100825499 B1 KR 100825499B1 KR 1020010048569 A KR1020010048569 A KR 1020010048569A KR 20010048569 A KR20010048569 A KR 20010048569A KR 100825499 B1 KR100825499 B1 KR 100825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unit
base unit
display pane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8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4539A (ko
Inventor
김천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8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5499B1/ko
Publication of KR20030014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4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5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5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1Panel PC, e.g. single housing hosting PC and display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형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베이스유니트(30)와 상기 베이스유니트(30)에 힌지부(40)를 중심으로 선단부가 소정 각도 개폐가능하게 회전되는 디스플레이유니트(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50)의 외관은 디스플레이프레임(52)이 형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프레임(52)의 중앙에 관통 형성된 개구부(53)에는 디스플레이패널(54)이 그 양단의 힌지축(56)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패널(54)의 개구부(53) 내에서의 위치는 록커(62)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록커(62)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54)의 상하단부에 형성된 고정홈(55')에 수납되어 디스플레이패널(54)의 설치위치를 규제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유니트(50)를 닫은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패널(54)을 볼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하여 디스플레이유니트(50)의 양면으로 디스플레이패널(54)의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쪽이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게 된다.
휴대, 전자기기, 디스플레이

Description

휴대형 전자기기{Portable electronic appliances}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형 전자기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형 전자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유니트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유니트가 닫혀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이 보이도록 회전된 상태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유니트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디스플레이유니트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베이스유니트 32: 조작버튼
34: 조작버튼 40: 힌지부
50: 디스플레이유니트 52: 디스플레이프레임
53: 개구부 54: 디스플레이패널
55: 하우징 55': 고정홈
56: 힌지축 58: 플렉시블 케이블
60: 해제버튼 62: 록커
63: 연동가이드면 64: 스프링
본 발명은 휴대형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유니트를 펼치지 않은 상태로도 디스플레이부를 볼 수 있도록 구성된 휴대형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가능하게 구성되는 노트북이나 DVD재생장치에는 일반적으로 화상을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는 LCD나 PDP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부는 디스플레이유니트의 일면에 고정되어 디스플레이유니트가 개방되면 외부로 노출되고 폐쇄되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휴대형 전자기기로서 휴대형 DVD재생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형 전자기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휴대형 전자기기는 크게 베이스유니트(1)와 디스플레이유니트(7)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베이스유니트(1)와 디스플레이유니트(7)는 대체로 납작한 장방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유니트(1)의 내부에는 휴대형 전자기기의 구동을 위한 구성들이 구비되고, 베이스유니트(1)의 상면이나 전면에는 휴대형 전자기기의 조작을 위한 조작버튼(3,3')들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유니트(1)의 일측 상면에는 디스크커버(5)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크커버(5)는 그 내부에 안착되는 디스크를 동작중 에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7)는 상기 베이스유니트(1)에 힌지부(9)를 통해 개폐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영상신호를 보여주기 위한 디스플레이부(8)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유니트(7)의 내부에는 상기 베이스유니트(1)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부(8)에 표시하도록 하는 구성이 구비된다.
한편,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7)에는 소리를 내기 위한 스피커가 그 전면 양단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휴대형 전자기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7)는 상기 힌지부(9)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된다. 즉, 상기 베이스유니트(1)에 대해 디스플레이유니트(7)가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8)에 영상신호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유니트(1)의 상면에 상기 디스플레이부(8)가 마주보도록, 즉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7)가 베이스유니트(1)에 대해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형 전자기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휴대형 전자기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7)를 베이스유니트(1)에 대해 펼쳐야만 했다. 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8)가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7)의 일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 이유니트(7)가 베이스유니트(1)에 대해 펼쳐진 상태에서 휴대형 전자기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소정의 공간이 필요하였다.
한편, 실제로 디스크를 재생시켜 디스플레이부(8)에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조작버튼(3,3')을 조작할 필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항상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7)를 펼쳐 조작버튼(3)이 노출된 상태로 두고 있어, 부주의에 의해 조작버튼(3)을 조작하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유니트(7)를 펼쳐서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 때문에 이동하면서 휴대형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고, 공간여유가 많이 없는 곳에서의 사용 또한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디스플레이유니트(7)의 디스플레이부(8)를 반드시 전자기기의 전방에서만 볼 수 있어 제3자에게 디스플레이부(8)에 표시되는 영상신호를 보여주는 것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형 전자기기의 사용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형 전자기기를 보다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유니트를 닫은 상태에서도 휴대형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면에 다수개의 조작버튼이 구비되는 베이스유니트와, 상기 베이스유니트와 힌지부를 통해 일단부가 연결되어 베이스유니트에 대해 자유단부가 소정 각도 개폐되는 디스플레이유니트와, 일면을 통해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에 설치되어 상기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일면이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의 양면으로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면에 다수개의 조작버튼이 구비되는 베이스유니트와, 상기 베이스유니트와 힌지부를 통해 일단부가 연결되어 베이스유니트에 대해 자유단부가 소정 각도 개폐되는 디스플레이유니트와,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에 구비되어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의 양면으로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은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의 외관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프레임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적어도 180°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프레임과 디스플레이패널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설치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프레임의 표면에 노출되게 구비되는 해제버튼과, 상기 해제버튼과 연동되고 상기 개구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는 록커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을 상기 개구부의 내부에 고정되게 상기 록커의 선단부가 안착되는 고정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형 전자기기는 디스플레이패널이 디스플레이유니트의 양면으로 선택적으로 노출되게 구성되어, 디스플레이유니트가 닫힌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신호를 사용자가 볼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형 전자기기의 바 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서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로서 디스크 재생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베이스유니트(30)는 납작한 장방형의 외관을 가지는 것으로 내부에는 디스크를 구동하고 신호를 독취하기 위한 각종 부품들이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유니트(30)의 상면에는 베이스유니트(30)에 수납되는 디스크를 동작중에 보호하기 위한 디스크커버(31)가 설치된다. 상기 디스크커버(31)는 일단부를 중심으로 선단부가 소정 각도 개폐된다. 그리고 베이스유니트(3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조작버튼(32)이 설치되고, 전면에도 다수개의 조작버튼(34)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유니트(30)의 상면에 설치된 다수개의 조작버튼(32)은 본 실시예에서 아래에서 설명될 디스플레이패널(54)의 영상신호 표시상태라든지 전자기기의 동작모드 등을 결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유니트(30)의 전면에 설치된 조작버튼(34)은 디스크의 재생시작, 재생정지, 탐색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조작버튼(34)은 디스플레이유니트(50)가 베이스유니트(30)에 밀착된 상태에서도 베이스유니트(30)의 전면에 노출되어 있어, 디스크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유니트(30)의 일단부에는 디스플레이유니트(50)가 힌지부(40)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50)는 상기 힌지부(40)를 중심으로 그 선단부가 상기 베이스유니트(30)에 밀착되고 펼쳐지도록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50)와 베이스유니트(30) 사이의 신호전달은 상기 힌지부(40)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50)의 외관은 디스플레이프레임(52)이 형성한다. 상기 디스플레이프레임(52)의 중앙을 관통하여서는 개구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53)에는 디스플레이패널(54)이 위치된다. 이때 상기 개구부(53)의 형상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54)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패널(54)은 예를 들어 LCD패널이나 PDP패널이 채용될 수 있으며 그 외관을 하우징(55)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55)의 상단과 하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진 곡면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55)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고정홈(5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55)의 양단에는 각각 힌지축(5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축(56)은 상기 개구부(53)의 대응되는 양단에 형성된 힌지공(57)을 통해 디스플레이프레임(5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53)에 설치된 디스플레이패널(54)은 상기 힌지축(56)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부분이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50)의 양면에 선택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힌지축(56)에는 상기 디스플레이프레임(52)의 내부에 설치된 부품과의 신호연결을 위한 플렉시블 케이블(58)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겨져 있다.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58)의 일측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54)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디스플레이프레임(52)측과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패널(54)의 설치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디스플레이프레임(52)의 외면으로 그 일측이 노출되게 해제버튼(60)이 설치된다. 상기 해제버튼(60)의 내측에는 연동면(61)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 와 같은 해제버튼(60)은 각각 상기 디스플레이프레임(52)의 양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해제버튼(60)의 연동면(61)과 연동되는 연동가이드면(63)을 구비하는 록커(62)가 상기 디스플레이프레임(52)의 내부에서 스프링(64)에 의해 지지되어 그 선단부가 상기 개구부(53)의 내부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록커(62)에 형성된 연동가이드면(63)은 상기 각각의 해제버튼(60)의 연동면(6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해제버튼(60)은 상기 스프링(64)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상기 디스플레이프레임(52)의 표면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형 전자기기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휴대형 전자기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유니트(50)가 베이스유니트(30)에 밀착된 상태로 보관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유니트(50)가 베이스유니트(30)에 대해 힌지부(4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펼쳐진 상태로 사용된다.
한편,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54)의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쪽을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50)의 외면(디스플레이유니트(50)를 닫았을 때 전자기기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면)으로 노출되게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패널(54)을 상기 힌지축(56)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그 노출되는 방향을 달리한다.
즉 상기 해제버튼(60)을 눌러 상기 록커(62)가 디스플레이프레임(52)의 내부 로 수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록커(62)이 선단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54)의 고정홈(55')에서 빠져나오게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54)이 상기 힌지축(56)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54)을 상기 힌지축(56)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쪽을 디스플레이유니트(50)의 외면으로 노출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54)이 상기 힌지축(56)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시작했을 때, 상기 해제버튼(60)을 놓으면, 상기 스프링(6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해제버튼(60)과 록커(62)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한다. 즉, 상기 해제버튼(60)은 표면이 상기 디스플레이프레임(52)의 표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있게 되고 상기 록커(62)는 그 선단이 상기 개구부(53)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패널(54)이 180°회전하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54)의 하우징(55) 단부의 라운드진 곡면을 따라 상기 록커(62)가 안내되면서 점차 눌러져 상기 록커(62)가 상기 스프링(64)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디스플레이프레임(52)의 내부로 들어가고, 상기 디스플레이패널(54)의 회전이 완성되는 시점에서 상기 스프링(64)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고정홈(55')에 상기 록커(62)의 선단이 수납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54)의 설치상태가 고정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패널(54)의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쪽이 디스플레이유니트(50)의 외면으로 노출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영상신호를 볼 수 있게 된다. 물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도 상기 베이스유니트(30)의 반대쪽에 있는 제3자가 영상신호를 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전자기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미리 상기 조작버튼(32)을 조작하여 동작모드 등을 선택하고, 필요시에는 상기 베이스유니트(30)의 전면에 노출되어 있는 조작버튼(34)을 사용하여 전자기기를 조작하면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형 전자기기에서는 디스플레이패널을 디스플레이유니트의 양면에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디스플레이유니트를 베이스유니트에 밀착되게 닫은 상태에서도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의 사용시에 필요한 공간이 최소화되어 좁은 장소에서도 사용할 수 있고, 이동하면서도 충분히 사용할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는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이 디스플레이유니트의 양면에 선택적으로 노출되므로 다양한 상태로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4)

  1. 외면에 다수개의 조작버튼이 구비되는 베이스유니트와,
    상기 베이스유니트와 힌지부를 통해 일단부가 연결되어 베이스유니트에 대해 자유단부가 소정 각도 개폐되는 디스플레이유니트와,
    일면을 통해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에 설치되어 상기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일면이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의 양면으로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2. 외면에 다수개의 조작버튼이 구비되는 베이스유니트와,
    상기 베이스유니트와 힌지부를 통해 일단부가 연결되어 베이스유니트에 대해 자유단부가 소정 각도 개폐되는 디스플레이유니트와,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에 구비되어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의 양면으로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은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의 외관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프레임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적어도 180°회전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프레임과 디스플레이패널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설치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프레임의 표면에 노출되게 구비되는 해제버튼과,
    상기 해제버튼과 연동되고 상기 개구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는 록커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을 상기 개구부의 내부에 고정되게 상기 록커의 선단부가 안착되는 고정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KR1020010048569A 2001-08-11 2001-08-11 휴대형 전자기기 KR100825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569A KR100825499B1 (ko) 2001-08-11 2001-08-11 휴대형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569A KR100825499B1 (ko) 2001-08-11 2001-08-11 휴대형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539A KR20030014539A (ko) 2003-02-19
KR100825499B1 true KR100825499B1 (ko) 2008-04-25

Family

ID=27718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8569A KR100825499B1 (ko) 2001-08-11 2001-08-11 휴대형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54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6893A (en) * 1988-09-13 1992-11-24 Kabushiki Kaisha Toshiba Portable apparatus having a voltage converter unit removable from a base unit having a removable display unit
JP2693463B2 (ja) * 1988-01-27 1997-12-24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JPH1039950A (ja) * 1996-07-26 1998-02-13 Nec Shizuoka Ltd 携帯型電子機器のヒンジ構造
KR0176645B1 (ko) * 1995-12-08 1999-05-15 김광호 기능을 확장하기 위한 노트북 개인용 컴퓨터의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3463B2 (ja) * 1988-01-27 1997-12-24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US5166893A (en) * 1988-09-13 1992-11-24 Kabushiki Kaisha Toshiba Portable apparatus having a voltage converter unit removable from a base unit having a removable display unit
KR0176645B1 (ko) * 1995-12-08 1999-05-15 김광호 기능을 확장하기 위한 노트북 개인용 컴퓨터의 연결장치
JPH1039950A (ja) * 1996-07-26 1998-02-13 Nec Shizuoka Ltd 携帯型電子機器のヒンジ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539A (ko) 2003-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4038B1 (ko) 휴대 가능한 복합형 컴퓨터의 키보드 탈착 장치
EP1488533B1 (en) Rotary hinge mechanism of portable phone
US7706137B2 (en) Electronic apparatus
EP1223462B1 (en) Projector
JP2002288978A (ja) 電子機器
KR100825499B1 (ko) 휴대형 전자기기
JP2008089754A (ja) 蓋開閉装置
JP3113191U (ja) ディスク装置内蔵型テレビジョンおよびディスク装置
JP2001125668A (ja) ノート型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のヒンジ機構
JP2006147009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H05313653A (ja) 鍵盤楽器の蓋体構造
JP4569648B2 (ja) 電子機器、ヒンジ装置及び撮像装置
JP5466930B2 (ja) 携帯型電子機器
JP5199210B2 (ja) 携帯型電子機器
JP2003086965A (ja) ヒンジ装置及び電子機器
JPH0546561A (ja) 電子機器
JP2002266550A (ja) ドア装置
JP2002261468A (ja) ドア装置
JP2002261464A (ja) ドア装置
KR100737863B1 (ko) 전자기기
JP2001282129A (ja) 表示機能付き電子機器
JP4300480B2 (ja) 上蓋開閉ロック機構及び電子機器
KR100281879B1 (ko) 휴대용 컴퓨터
JP2007080011A5 (ko)
JP2505056Y2 (ja) 電子機器用外筐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