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5129B1 - 신규 유산균 - Google Patents

신규 유산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5129B1
KR100825129B1 KR1020067020660A KR20067020660A KR100825129B1 KR 100825129 B1 KR100825129 B1 KR 100825129B1 KR 1020067020660 A KR1020067020660 A KR 1020067020660A KR 20067020660 A KR20067020660 A KR 20067020660A KR 100825129 B1 KR100825129 B1 KR 100825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obacillus delbrueckii
animal
feed
lactic acid
impr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0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6251A (ko
Inventor
다구 미야모토
요시오 나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바이오 바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바이오 바란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바이오 바란스
Publication of KR20060116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6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5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5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3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sw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571Microorganisms;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0Antimyco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37Delbrueckii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r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항곰팡이 활성을 가진 신규 유산균으로서 항곰팡이 활성을 가진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Lactobacillus delbrueckii)가 제공된다.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Lactobacillus delbrueckii)는,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Lactobacillus delbrueckii) ANTIMUFFA(FERM BP-10663)이다.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 (Lactobacillus delbrueckii)는, 페니실리움속의 곰팡이류에 대한 항곰팡이 활성을 가지며, 또한 단독으로 이용해도 프로바이오틱스 활성이 뛰어나다.

Description

신규 유산균{NOVEL LACTIC ACID BACTERIUM}
본 발명은, 항곰팡이 활성(antifungal activity)을 가지며, 또한 프로바이오틱스 활성(probiotic activity)이 뛰어난 신규 유산균에 관한 것이다.
유산균은, 유산, 유기산, 휘발성 지방산, 과산화수소, 벤조산, 박테리오신(니아신, 콜리신 등) 등 여러가지 항균성물질(항세균성 물질)을 생산하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유제품의 스타터로서 뿐만 아니라, 항세균성을 이용하여 식품의 보존 (바이오 프리저베이션)에도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식품의 보존중에, 병원균이나 부패균으로서 세균이 번식할 뿐만 아니라 곰팡이류도 번식하여, 대부분의 유산균은 곰팡이의 번식에는 유효하지 않았다. 특히, 동물용 사료에는 곰팡이가 번식하기 쉽고, 곰팡이의 번식에 의한 사료의 발열이나 악취 때문에, 동물의 사료 섭취율의 저하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곰팡이의 번식에 의해 사료용 탱크의 호퍼의 출구가 막혀, 사료가 나오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한편, 곰팡이의 번식을 방제하기 위해, 동물용 사료에 항곰팡이 활성이 있는 항생 물질이나 포름산 등의 항곰팡이제가 첨가되는 경우가 있었지만, 항곰팡이제가 부식을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나, 항생물질에 의해 동물에 설사나 소화불량을 초래하거나, 내성균의 출현이나 장내 플로라(flora)의 이상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종래, 항곰팡이 활성 을 가진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샌프란시센시스(Lactobacillus sanfranciscencis)(특허문헌 1 참조), 락토바실러스·플랜트럼(Lactobacillus plantrum)(비특허문헌 1 참조) 이외에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또한, 종래, 유산균은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것으로서, 락토바실러스·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를 함유하여 이루어진 가축용 약제(특허문헌 2 참조), 균수가 N×106 이상의 유산구균 및 아포균을 주로 하여 이루어진 혼합 미생물을, 적어도 0.1% 함유한 소취성(deodorant) 사료(특허문헌 3 참조), 고급 유기물에 항산화물질과 생균제를 첨가하고, 밀폐 용기에 넣어서 25℃∼37℃의 온도하에서 발효시킨 사료첨가물(특허문헌 4 참조) 등 많은 제안이 있다. 여기서,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란, 생균제로도 불리며, 가장 일반적인 정의에 의하면, '장내 미생물의 밸런스를 개선함으로써 숙주 동물에게 유익하게 작용하는 살아있는 미생물 첨가물'(Fuller, R.:Probiotics in man and animals., J. Appl. Bacteriol., 66, 365-378(1989))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숙주의 건강 유지에 유익한 기능을 하는 미생물'(Lee, Y. K. and Salminen, S.:The coming of age of probiotics., Trends Food Sci. Technol.6, 241-245(1995))로서 넓은 의미로 이용되기도 하며, 사균체(死菌體)로도 프로바이오틱스에 함유된다고 하는 생각도 보인다(Salminen, S. 등: probiotics: how should they be defined?, Trends Food Sci. Technol., 10, 107-110(1999)). 그리고, 프로바이오틱스로서 대표적인 미생물이, 비피더스균을 함유한 유산균이다. 한편, 그 외, 고초균 (bacillus subtilis), 낙산균(butyric acid bacteria), 프로피온산균, 효모 등도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이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일본 특허공개공보 2002-291466호
비특허문헌 1:Paola Lavermicocca 등,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Sept.2000, p4084∼p4090, vol.66, No9)
특허문헌 2:일본 특허공개공보 소화50-132115호
특허문헌 3:일본 특허공개공보 평성9-322714호
특허문헌 4:일본 특허공개공보 2001-299230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지금까지 항곰팡이 활성을 가진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Lacto bacillus delbrueckii)에 대한 보고는 없다. 또한, 종래의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이용되는 유산균은,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유산균 단독으로 이용하는 제안도 있지만,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유산균과 다른 미생물을 병용하는 것이나 다른 유용 물질을 병용하는 것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최근에는, 단독으로 충분한 프로바이오틱스 활성을 얻을 수 있는 유산균에 대한 제안은 거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항곰팡이 활성을 가지며, 또한 단독으로 이용해도 프로바이오틱스 활성이 뛰어난 신규 유산균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형태(관점)와 관련된 신규 유산균은, 항곰팡이 활성을 가진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Lactobacillus delbrueckii)를 요지로 한다.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Lactobacillus delbrueckii)로서는,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Lactobacillus delbrueckii) ANTI MUFFA(FERM BP-10663)가 바람직하다.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Lactobacillus delbrueckii)는, 페니실리움속의 곰팡이류에 대한 항곰팡이 활성을 가진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Lactobacillus delbrueckii)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형태(관점)와 관련된 동물용 사료는, 상기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Lactobacillus delbrueckii)가 첨가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3 형태(관점)와 관련된 동물용 음료는, 상기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Lactobacillus delbrueckii)가 첨가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4 형태(관점)와 관련된 유산균 생균제는, 상기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Lactobacillus delbrueckii)를 유효 성분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형태(관점)와 관련된 동물용 사료 첨가제는, 상기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Lactobacillus delbrueckii)를 유효 성분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 형태(관점)와 관련된 동물 사육의 향상 방법은, 상기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Lactobacillus delbrueckii)를 이용한다.
동물 사육의 향상은, 동물의 배설물의 소취의 향상, 동물의 생존율의 향상, 채란계의 산란율의 향상 혹은 젖소의 유질의 향상중의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동물 사육의 향상이란, 본 발명의 유산균이 가진 프로바이오틱스 활성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효과를 넓게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7 형태(관점)와 관련된 발효식품은, 상기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Lactobacillus delbrueckii)를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8 형태(관점)와 관련된 발효식품의 제조방법은, 상기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Lactobacillus delbrueckii)를 이용한다.
본 발명의 제9 형태(관점)와 관련된 발효식품의 보존 방법은, 상기의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Lactobacillus delbrueckii)를 이용한다.
본 발명의 제10 형태(관점)와 관련된 축사의 정화 방법은, 상기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Lactobacillus delbrueckii)를 축사의 마루면(floor) 또는 지면에 산포한다.
본 발명의 제11 형태(관점)와 관련된 수중의 정화 방법은, 상기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Lactobacillus delbrueckii)를 직접 수중에 산포, 또는 투수성을 가진 수용체에 수용하여 수중에 퇴적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과 관련된 신규 유산균은, 항곰팡이 활성을 가지므로, 식품의 보존중의 곰팡이의 방제(防除), 사료의 곰팡이의 방제 등에 유용하고, 항생물질이나 항곰팡이제의 첨가에 의한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신규 유산균은, 프로바이오틱스 활성이 뛰어나므로, 장내 플로라를 개선하여, 가금이나 가축 등의 숙주의 사육을 향상시킨다. 또한, 이러한 신규 유산균을 이용한 동물용 사료, 동물용 음료, 유산균 생균제, 동물용 사료 첨가제, 동물 사육의 향상 방법, 발효식품,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식품 보존방법, 축사의 정화방법 및 수중의 정화 방법도,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Lactobacillus delbrueckii)는,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Lactobacillus delbrueckii) ANTI MUFFA(이하, 본 균 내지 본 균주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가 바람직하고, 이 균주는 재단법인 특허기탁센터(일본 이바라키현 츠쿠바시동 1-1-1 중앙 제6)에 기탁되어 있으며, 수탁 번호는 FERM BP-10663이다
본 균은, 유산균의 항균 활성의 검색중에 발견되었다. 본 균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16s rDNA 염기 서열 분석에 의한 계통 해석의 결과,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 서브스피시즈 락티스(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Lactis)와 99.5%의 상동성이 있어,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 서브스피시즈 락티스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Lactis)에 속하는 균주로 생각된다. 여기서, 유산균계 대용 액체 배지(글루코오스 5.0g, 락토스 5.0g, 트립톤 10.0g, 효모 엑기스 5.0g, 트윈-80 1.0g, L-시스테인염산염 9.1g에 증류수를 가하여 전량 1000ml로 하고, pH 6.8∼7.0로 조정한 후, 121℃, 15분간 고압 멸균)를 이용하여 배양한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Lactobacillus delbrueckii) ANTI MUFFA(FERM BP-10663)의 균학적 성질은 이하와 같다. 한편, 당자화성(sugar assimilation)에 대해서는, 당류 발효성 시험용 기초 배지(트립톤 10.0g, 효모 엑기스 5.0g, 브롬크레졸퍼플 0.06g에 증류수를 가하여 전량 1000ml로 하고, pH6.8로 조정한 후, 121℃, 15분간 고압 멸균)을 이용하여 배양하였다.
세포의 형태: 간균(Bacillus),
포자 형성: 없음,
운동성: 없음,
그램 염색: +,
산소에 대한 태도: 통성 혐기성(facultative anaerobic),
15℃에서의 생육: -,
45℃에서의 생육: +,
유산 발효: 호모형,
글루코오스로부터의 가스의 생성: -,
아르기닌으로부터의 암모니아의 생성: -,
마뇨산나트륨(sodium hippurate)의 가수분해성: -,
4% 염화나트륨 내성: -,
당자화성: 아라비노스-, 크실로오스-, 람노스-, 리보스-, 글루코오스+, 맨노스+, 프럭토스+, 갈락토오스+, 스쿠로오스+, 말토스+, 셀로비오스+, 락토스+, 트레할로스+, 멜리비오스-, 라피노스-, 멜레지토스-, 만니톨-, 소르비톨-, 에스큘린+, 살리신+, 아미그달린-, 글루콘산나트륨-,
생성유산:D유산,
생성 유산의 입체이성(HPLC, 24Hrs):D(-)(90.7%), L(-)(9.3%),
DNA의 GC함유량(HPLC):48.7%
본 균은, 유산균의 배양에 일반적인, MRS 배지, TYLG 배지, 밀크 배지 등을 이용하여 배양할 수 있다. 배양 온도는, 20∼50℃, 바람직하게 30∼40℃, 배양 pH는 pH 3.5∼9.0, 바람직하게는 4.5∼7.0, 배양 시간은 6∼30시간이 바람직하다. 본 균은, 항곰팡이 활성을 가지며, 특히 페니실리움속의 곰팡이류에 대한 항곰팡이활성을 가지며, 동물용 사료에 번식하기 쉬운 페니실리움·올소니(Penicillium olsonii)의 저지 작용을 가진다. 또한, 곰팡이독 마이코톡신 생산능을 가진 페니실리움·크리소게눔(Penicillium chrysogenum) 및 페니실리움 로쿠에포르티이 (Penicillium roquefortii)의 저지 작용을 가진다. 또한, 본 균주는, 케피어 (kefir)에 존재하는 대표적인 효모인 크루이베로마이세스·마르키시아누스·바라에티·락티스(Kluyveromyces marxianus var. lactis 5Y307)에 대해서도, 그 생육을 강하게 억제한다.
본 균은, 가금용 사료나 소나 돼지 등의 가축용 사료, 개나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용 사료, 뱀장어 등 어류의 양식용 사료 등에 첨가하여 이용하여, 항곰팡이 활성에 의해 사료의 곰팡이를 방제할 수 있다. 또한, 본 균은 가금이나 가축, 애완동물에게 주는 음료수 등의 음료에 첨가하더라도 좋다.
본 균은, 이것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유산균 생균제로서 이용할 수 있다. 유산균 생균제는, 통상 본 균만으로 조제해도 좋지만, 옥수수, 왕겨, 쌀겨 등 본 균의 영양원이 되는 물질을 혼합해도 좋다. 또한, 유산균 생균제는, 본 균의 생육을 저해하지 않는 다른 미생물이나 다른 유용 물질을 병용해도 좋다. 유산균 생균제는, 동물용 사료나 동물용 음료에 첨가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균은, 안전성이 있어 발효식품의 스타터(starter)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항곰팡이 활성을 가진 것으로, 식품에 첨가하여 병원균이나 부패균을 방제하고, 식품의 보존에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균은 유용한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이용할 수 있다. 프로바이오틱스란, 숙주의 장내 플로라를 개선하여 숙주에게 유익한 효과를 가져오는 경구 섭취 가능한 미생물을 말한다. 숙주에 가져오는 유익한 효과는, 동물이 섭취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동물의 성장의 촉진, 사료 요구율의 개선, 장질환의 예방·개선, 배설물의 소취, 생존율의 개선, 채란계의 산란율의 향상, 젖소의 유질의 향상 등 여러가지를 말하며, 동물 사육의 향상과 같은 의미이다. 본 균은, 이것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동물용 사료 첨가제가 첨가된 동물용 사료를 동물에 섭취시켜, 프로바이오틱스 활성에 의해 동물 사육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Lactobacillus delbrueckii) ANTI MUFFA(FERM BP-10663)의 16S rDNA 유전자 염기 서열 해석에 의한 계통 분류를 나타낸다.
도 2는 비교예 1의 가축용 사료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가축용 사료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Lactobacillus delbrueckii) ANTI MUFFA(FERM BP-10663)의 10% skim milk중에 있어서의 항곰팡이 활성과 pH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비교예와 비교하여 나타내는 그래프이다(검토예 4).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Lactobacillus delbrueckii) ANTI MUFFA(FERM BP-10663)를 사료에 첨가할 경우의 항곰팡이 활성을 비교예와 비교하여 나타내는 사진이다(검토예 5).
도 6은 도 5에 있어서의 비교예의 사료로부터 분리된 오염 청곰팡이의 현미경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Lactobacillus delbrueckii)ANTI MUFFA(FERM BP-10663)를 사료에 첨가할 경우의 항곰팡이 활성을 비교예와 비교하여 나타내는 사진이다(검토예 6).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MRS 액체 배지에 본 균을 접종하여, 30∼40℃로 24시간 1차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멸균된 왕겨에 분무하고, 30∼40℃에서 3일간 2차 배양하여 유산균 생균제를 얻었다. 얻어진 유산균 생균제에 함유되는 본 균의 균수는 5.3×109/g였다.
[항곰팡이 활성의 검토예 1]
탈지유 한천 평판(멸균10% 스킴 밀크 10ml, BCP(100mg/1) 용해 2% 한천 5 ml, TYLG 배양액(본 균을 106/ml 함유한다) 150μl) 상에 표 1의 피검균종의 곰팡이 포자를 도말(塗抹)한 후, TYLG 배양액(본 균을 106/ml 함유한다)을 50μl 첨가한 0.15% 연한천 5ml를 중층하고, 30℃에서 2일간 배양하였다. 배양후, 곰팡이 포자를 도말하지 않은 대조군와 비교하여, 곰팡이의 증식 저지 작용에 대하여 판정하였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니실리움속의 곰팡이에 대해서 강한 저지 작용을 나타냈다.
[표 1]
곰팡이의 종류 항곰팡이 저지작용
아스퍼길러스·플라버스 바라에티 플라버스 Aspergillus flavus var. flavus, JCM10252 -
아스퍼길러스·니거 (Aspergillus niger, JCM5546) -
아스퍼길러스·오리제 바라에티 오리제 (Aspergillus oryzae var. oryzae, JCM2239) -
푸사류무·옥시스포룸 에프 스피시즈 큐큐메리눔 (Fusariumu oxysporum f. sp. cucumerinum, JCM9284) -
게오트리큠·캔디둠 (Geotrichum candidum, JCM1747) -
페니실리움·캔디둠 (Penicillium candidum, SAM-2) -
페니실리움·크리소게눔 (Penicillium chrysogenum, JCM2056) +
페니실리움·올소니 (Penicillium olsonii) +
페니실리움·로쿠에포르티이 (Penicillium roquefortii, PR-2) +
리조푸스·오리제 (Rhyzopus oryzae, JCM 5557) -
[항곰팡이 활성의 검토예 2(실시예 1)]
본 균을 가축용 사료에 첨가하여, 가축용 사료의 곰팡이의 번식을 방제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시험하였다. 가축용 사료(곡류(옥수수, 호밀) 60wt%, 식물성 깻묵류 26wt%, 왕겨류 2wt%, 그 외(과자부스러기, 당밀 등) 12wt%) 20g에 상기의 제조예에서 얻은 유산균 생균제를 1g(5.3×109개)를 첨가하고, 여기에 증류수 20ml를 첨가한 것을 컵에 넣고 상온에서 377일간 방치하였다(실시예 1). 같은 가축용 사료 20g에 증류수 20ml만을 첨가한 것만을 마찬가지로 방치하였다(비교예 1). 결과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에서는, 가축용 사료의 오염 곰팡이의 페니실리움·올소니(Penicillium olsoni)가 번식하여, 청록색으로 변색하고 있었다. 한편, 실시예 1에서는 페니실리움·올소니(Penicillium olsoni)의 번식을 저지하고 있었다. 한편, 도 2의 비교예 1은, 방치로부터 31일후의 것이며, 도 3의 실시예 1은 방치로부터 377일후의 것이다.
[항곰팡이 활성의 검토예 3]
밀크 한천 배지법(milk agar plate)에 의해 스크리닝한 본 균주의 항곰팡이 활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지표균으로서는 Penicillium roqueforti PR-1주를 사용하였다(이하, PR-1주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먼저, 10% 스킴밀크(skim milk) 10ml, BCP(100mg/l)를 포함한 2% 한천 용액 5ml, 본 균주 배양액 150μl를 혼합하여, 한천이 굳어진 후, 10배 희석한 PR-1주의 곰팡이 포자를 도말하였다. 곰팡이 포자의 조제에 대해서는, 25℃에서 7일간 배양한 감자덱스트로스한천(Potate Dextrose Agar) 사면 배지에, Tween80(0.1%)을 함유한 생리 식염수를 첨가하여 교반하고, 글래스울에 의한 여과로 조제한 포자를 시험공급하였다.
계속해서, 본 균주 배양액 50μl를 첨가한 연한천(soft agar)(0.15%)를 5ml 중층하고, 30℃에서 2∼5일간 배양하였다. 그 결과, 곰팡이(PR-1주)를 단독 배양한 배지(컨트롤 플레이트)와 비교하여, 항곰팡이 활성을 가진 본 균주를 포함한 배지(테스트 플레이트)에서는, 명백하게 곰팡이(PR-1주)의 생육이 억제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컨트롤 플레이트와 테스트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곰팡이(PR-1주)의 생육도를 비교하여, 본 균주의 항곰팡이 활성을 측정하였다.
다음에, 곰팡이 10주(strains)에 대한 본 균주의 항곰팡이 활성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본 측정은, 밀크 한천 배지를 30℃에서 5일간 배양한 후에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균주는, 사료에 악영향을 주는 청곰팡이인 페니실리움속 3균종, 즉, 페니실리움·크리소게넘(Penicillium chrysogenuin(JCM2056)), 페니실리움·올소니(Penicillium olsonii(wild type)) 및 페니실리움·로쿠에포르티이 (Penicillium roquefortii(PR-1)에 대하여 항곰팡이 활성이 확인되었다. 이 중, 페니실리움·크리소게넘(Penicillium chrysogenum(JCM2056))에 대해서는, 생육이 완전하게 억제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항곰팡이 활성의 검토예 4]
본 균주의 10% 스킴밀크중에 있어서의 항곰팡이 활성(검토예 4)과 pH의,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에 대해서, 콜로니 플레이트 카운트법(colony plate count method)에 의해 검토하였다. 도 4중의 선그래프(3선)는 스킴밀크의 pH를 나타내고, 삼각점을 가진 제1선은, 본 균주만을 접종한 스킴밀크의 pH의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를, 마름모꼴점을 가진 제2선(가장 위쪽의 선)은, 페니실리움·로쿠에포르티이 (Penicillium roquefortii) PR-1주만을 접종한 스킴밀크의 pH의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를, 둥근점을 가진 제3선(제1선과 거의 겹치는 선)은, 페니실리움·로쿠에포르티이(Penicillium roquefortii) PR-1주 및 본 균주의 양자를 접종한 스킴밀크의 pH의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를 각각 나타낸다. 도 4의 선그래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균주만을 접종한 스킴밀크와 페니실리움·로쿠에포르티이(Penicillium roquefortii) PR-1주 및 본 균주의 양자를 접종한 스킴밀크에서는 pH가 저하해 가지만, PR-1주만을 접종한 스킴밀크에서는 pH저하는 볼 수 없었다.
도 4중의 막대 그래프(3개)는, 본 균주 및 PR-1주의 균수를 나타내고, 좌측의 막대 그래프는, 단독 배양한 본 균주의 균수를, 중앙의 그래프는, 단독 배양한 PR-1주의 균수를, 우측의 막대 그래프는, 본 균주를 첨가했을 때의 PR-1주의 균수를 각각 나타낸다. 도 4의 막대 그래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균주를 첨가했을 때의 PR-1주는, 그 증식이 억제되어, 36시간 후에는 PR-1주의 잔존균수는 검출되지 않았다(균수 제로). 이로부터, 본 균주는, 예를 들면, 요구르트 등의 유제품(발효식품)에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항곰팡이 활성의 검토예 5]
본 균주를 첨가한 산란계 사료와, 본 균주를 첨가하지 않은 산란계 사료를, 각각 1년간 방치하여, 곰팡이의 발생 상황을 확인하였다. 도 5중, 좌측의 사진상은, 산란계 사료에 본 균주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의 곰팡이의 발생 상황을 나타내고, 우측의 사진상은, 산란계 사료에 본 균주를 첨가한 경우의 곰팡이의 발생 상황을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균주가 무첨가된 산란계 사료는, 곰팡 이가 생겨 완전히 부패하고 있지만, 본 균주를 첨가한 산란계 사료는, 곰팡이의 발생이 인정되지 않고, 부패하고 있지 않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균주를 첨가하지 않고 부패한 산란계 사료로부터, 오염 청곰팡이를 분리하여 확인하면, 분생자병(conidiophore)이나 4개의 소병(sterigma)과 같이 세로로 나열된 분생자(conidiosphore)를 볼 수 있다. 따라서, 그 형태, 선택 배지에서의 생육, 분류학적 성질과 상태의 결과로부터, 이 곰팡이는 페니실리움·올소니(Penicillium olsonii)라고 분류되었다. 이것으로부터도, 본 균주는, 페니실리움·올소니 (Penicillium olsonii)에 대해서 강한 생육 억제 효과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항곰팡이 활성의 검토예 6]
검토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페니실리움·로쿠에포르티이 PR-1주에 대한 본 균주의 항곰팡이 활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테스트 플레이트(본 균주로서 PR-1주를 배양한 배지)와 컨트롤 플레이트(PR-1주를 단독 배양한 배지)에서, PR-1주의 생육 상황을 확인하였다. 배양은, 30℃에서 5일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 7의 위쪽의 사진상(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균주를 함유하지 않은 배지에서는, PR-1주의 생육이 다수 확인되었다. 한편, 도 7의 아래쪽의 사진상(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균주를 함유하는 배지에서는, 본 균주만 확인할 수 있고, PR-1주의 생육은 확인할 수 없었다. 즉, 본 균주는 PR-1주의 생육을 억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가금류, 가축류의 배설물의 소취 작용에 대한 검토]
돈사내, 계사내 및 우사내의 암모니아 농도를 각각 측정하여, 본 균의 소취작용을 이하와 같이 검토하였다.
[돼지용 사료에 대한 실시예(실시예 2)]
비교예 2로서 돼지용 사료(곡류(옥수수, 호밀) 60wt%, 식물성 깻묵류 26wt%, 왕겨류 2wt%, 그 외(과자부스러기, 당밀, 인산칼슘 등) 12wt%)에 납두균(bacillus natto)을 0.2wt%첨가한 것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이 비교예 2의 돼지용 사료를, 이유후 새끼돼지 사육사(breeding house), 육성사(rearing house), 어미돼지사의 각각에서 사육되고 있는 총계 2000마리의 각 돼지에 일정기간 섭취시켜, 동기간 경과후에 있어서의 돈사내의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하였다. 암모니아 농도는, 돈사내의 높이 1.5m의 위치에 암모니아 검지관(주식회사 가스텍 제조, 3DL)을 설치하여 측정하였다.
한편, 실시예 2로서, 상술한 돼지용 사료에 상기의 제조예에서 얻은 유산균 생균제를 1마리당 1일 4g(2.12×1010) 섭취할 수 있도록 첨가한 것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이 실시예 2의 돼지용 사료를, 비교예 2의 돼지용 사료에 의한 사육기간 경과후, 상기 2000마리의 각 돼지에 섭취시켜, 비교예 2의 돼지용 사료에 의한 사육기간 경과후부터 20일후와 40일후의 암모니아 농도를 각각 비교예 2와 마찬가지로 측정하였다. 즉, 실시예 2의 시험은, 비교예 2의 시험의 종료후 실시하였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가 비교예 2에 비해 현저한 소취 작용을 나타내고, 특히 40일후에는, 거의 암모니아냄새를 발생하고 있지 않았다.
[표 2]
암모니아 농도(ppm)
비교예 2 실시예 2 20일후 40일후
이유후 새끼돼지 사육사 육성사 어미돼지사 32.6 27 16.1 8.67 ND(검출한계이하) 8.11 2.5 0.7 ND(검출한계이하)
[채란계용 사료에 대한 실시예(실시예 3)]
비교예 3으로서, 채란계용 사료(옥수수 59wt%, 식물성 깻묵류 23wt%, 왕겨류 3wt%, 동물성 사료(어분) 1wt%, 그 외(탄산칼슘, 동물성 유지, 콘스팁리쿼(corn steep liquor) 등) 14wt%)에 시판의 유산균 자재(조성은 유산균, 효모균, 사상균 등. A사제)를 2.0wt%첨가한 것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비교예 3의 채란계용 사료를, 12000마리의 채란계(ISA Brown)에 일정기간 섭취시켜, 닭장내의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하였다.
한편, 실시예 3으로서, 상기와 같은 채란계용 사료에 상기의 제조예에서 얻은 유산균 생균제를 1.0wt% 첨가한 것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이 실시예 3의 채란계용 사료를, 비교예 3의 채란계용 사료에 의한 사육 기간 경과후, 상기 12000마리의 채란계(ISA Brown)에 일정기간 섭취시켜, 닭장내의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3에 나타냈다.
또한, 실시예 3과 같은 채란계용 사료를, 비교예 3의 채란계용 사료에 의한 사육기간 경과후, 상기 12000마리의 채란계(ISA Brown)에 일정기간 섭취시켜, 시험 개시후, 즉, 유산균 생균제의 첨가 후 5일째, 18일째, 25일째, 37일째의 닭장내의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4에 나타냈다. 한편, 비교예 3 및 실시 예 3에 있어서, 암모니아 농도의 측정은, 상기 실시예 2의 경우와 같은 측정 방법 및 측정 장치로 실시하였다. 또한, 실시예 3의 시험은, 비교예 3의 시험을 15개월에 걸쳐 실시하고, 그 후 3개월간 무첨가의 채란계용 사료를 채란계에 섭취시킨 후, 15개월간에 걸쳐 실시한 것이다. 또한, 비교예 3 및 실시예 3의 각 시험에서는, 비교 조건을 맞추기 위해서 사육 조건을 동일하게 하였다. 예를 들면, 계사 마리수(1마리당의 면적), 계사의 환경(설비 등)은 동일하게 하는 한편, 사육기간에 관해서는, 상기와 같이 전기, 후기와 같은 형으로 시간차를 두었다. 표 3은, 비교예 3과 실시예 3의 각 15개월의 시험기간 동안에 정기적으로 측정한 결과의 평균치를 나타낸다. 결과는,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금류에 있어서도 본 균의 소취 작용이 우수하였다. 또한,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 경과적으로 소취 작용이 높아지고 있었다. 또한, 실시예 3의 채란계용 사료로 사육한 경우는, 비교예 3의 채란계용 사료로 사육한 경우에 비하여, 생존율(87.39% : 52.07%로서, 35.32% 향상), 산란 개수(3,698,683개 : 3,389,253개로서, 309,430개 증가)의 모두에 있어서, 보다 좋은 값을 얻을 수 있었다.
[표 3]
암모니아 농도(ppm)
비교예 3 실시예 3
계사내 19.8 3.0
[표 4]
암모니아 농도(ppm)
실시예 3
본 균의 첨가전 5일째 18일째 25일째 37일째
23.00 10.8 3.00 4.36 1.79
[젖소용 사료에 대한 실시예(실시예 4)]
비교예 4로서 젖소용 사료(옥수수 5kg, 보리 3kg, 비트 1.5∼2.0kg, 면실 2kg, 탈지 대두 1.2∼1.3kg, 대두 0.8kg∼1kg, 건조초 8∼10kg, 물 150∼200ℓ)에 시판의 유산균 자재(조성은 유산균, 효모균, 누룩곰팡이등. B사 제조)를, 젖소 1마리당 1일 200g를 섭취할 수 있도록 첨가한 것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비교예 4의 젖소용 사료를 젖소(홀스타인) 130마리에 일정기간 섭취시켜, 우사내의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하였다.
한편, 실시예 4로서, 상기와 같은 젖소용 사료에 상기의 제조예에서 얻은 유산균 생균제를 젖소 1마리당 1일 40g 섭취할 수 있도록 첨가한 것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4의 젖소용 사료를, 상기 130마리의 각 젖소에 일정기간 섭취시켜, 우사내의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4의 시험은, 비교예 4의 시험의 종료후, 일정기간 무첨가의 젖소용 사료를 상기 130마리의 각 젖소에 섭취시켜, 그 후 실시한 것이다. 암모니아 농도의 측정은, 상기 실시예 2의 경우와 같은 측정방법 및 측정장치로 실시하였다. 결과는,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젖소에 있어서도 본 균의 소취작용이 우수하였다.
[표 5]
암모니아 농도(ppm)
비교예 4 실시예 4
우사내 5.52 ND(검출한계이하)
[채란계의 생존율, 산란율의 검토]
상기 실시예 3의 소취 작용의 검토로 실시한 각 15개월간에 걸친 시험에 있어서, 소취 작용의 시험과 함께 생존율과 산란율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한편, 비교예 3은, 상기와 같이, 가금용 사료에 시판의 유산균 자재를 첨가한 것을 가금류에 섭취시킨 것으로, 실시예 3은, 상기와 같이, 가금용 사료에 유산균 생균제를 첨가한 것을 가금류에 섭취시킨 것이다. 결과는,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균을 섭취한 채란계의 생존율은 극히 높았다. 또한,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균을 섭취한 채란계는, 산란율에도 우수하였다.
[표 6]
생존율(%)
실시예 3 비교예 3 87.39 52.07
[표 7]
총산란수(개) 산란율(%)
실시예 3 비교예 3 3,698,683 3,389,253 100 91.6
[유질의 향상 작용의 검토(실시예 5)]
상기 실시예 4의 소취 작용의 검토에 있어서의 젖소용 사료에 시판의 유산균 자재를 첨가한 것(비교예 4)과 같은 젖소용 사료(비교예 5) 및 젖소용 사료에 제조예에서 얻은 유산균 생균제를 첨가한 것(실시예 4)과 같은 젖소용 사료(실시예 5)를 사용하여 각각 젖소를 사육하고, 10일 간격으로 17회에 걸쳐 착유하여, 우유의 유지방율, 유단백질율 및 무지유 고형분율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비교예 5에서는, 젖소(홀스타인) 130마리에, 젖소용 사료에 시판의 유산균 자재를 첨가한 것을 섭취시켰다. 또한, 실시예 5의 시험은, 비교예 5의 시험의 종료후, 일정기간 무첨가의 젖소용 사료를 젖소에 섭취시키고, 그 후, 그 젖소(홀스타인) 130마리에, 젖소용 사료에, 제조예에서 얻은 유산균 생균제를 첨가한 것(실시예 5의 사료)을 섭취시켜 서 실시하였다. 젖소로부터 짜낸 각 우유의 유지방율, 유단백질율 및 무지유고형분율은, 유성분 분석장치(밀크 스캔 FT120, 후지히라 주식회사 제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표 8은, 시험을 실시한 17회의 측정치의 평균을 나타낸다. 결과는,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균을 섭취한 젖소로부터 생산되는 우유의 유지방율, 유단백질율 및 무지유 고형분율은, 모두 비교예 5의 경우에 비해 높고, 유질이 향상하고 있었다.
[표 8]
유지방율(%) 유단백질율(%) 무지유 고형분율(%)
실시예 5 비교예 5 4.01 3.91 3.41 3.29 9.00 8.82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균은 가금류나 가축의 장내에의 정착성이 높고, 소화 흡수를 향상시켜, 본 균 단독으로 이용해도 뛰어난 프로바이오틱스 활성을 가질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프로바이오틱스(생균제)로서 구체화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동물용 사료 첨가제 뿐만 아니라, 본 균주를 첨가하여 이루어진 동물용 사료나, 본 균주를 첨가하여 이루어진 동물용 음료로 구체화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균주는, 상기와 같이, 가축이나 가금류 등의 동물 사육의 향상에 효과를 발휘하지만, 식품에 첨가하는 것에 의해, 식품 보존 내지 식품 미생물 제어(바이오 프리저베이션)의 용도에 사용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성상 내지 특징에 의해, 종래에 없는 특유의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균주는, 상기 항곰팡이 활성의 검토예 4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발효식품에 첨가하 여 발효식품의 제조에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와 같은 성상 내지 특징에 의해, 종래에 없는 특유의 효과를 발휘한다. 덧붙여, 본 균주를 첨가한 동물용 사료 등은, 동물에의 먹이를 줄 때 등에, 축사 등의 지면, 마루면, 배수홈 등에 의도적으로 산포하거나 의도하지 않고 산포되거나 하여, 그 산포 장소에서 미생물 제어를 하여, 상기와 같은 성상 내지 특징에 의해, 그 산포 장소를 청정화하거나 무취화하거나 하여, 종래에 없는 특유의 효과를 발휘할 수도 있다. 혹은, 본 균주를 첨가한 동물용 사료 등은, 동물에 먹이를 줄 때 등에, 동물의 음료 용기의 수중 등에 직접 산포하거나 본 균주를 첨가한 사료 등을 네트 형상물 등의 투수성을 가진 수용체에 수용하여, 수중에 퇴적하거나 함으로써, 그 수중에서 미생물 제어를 실시하고, 상기와 같은 성상 내지 특징에 의해, 그 수중을 청정화하거나 소독하거나 하여, 종래에 없는 특유의 효과를 발휘할 수도 있다.

Claims (17)

  1. 항곰팡이 활성을 가진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Lactobacillus delbrueckii)로서, 상기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Lactobacillus delbrueckii)가,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Lactobacillus delbrueckii) ANTI MUFFA(FERM BP-10663)인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Lactobacillus delbrueckii).
  2. 제 1 항에 있어서, 페니실리움속의 곰팡이류에 대한 항곰팡이활성을 가진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Lactobacillus delbrueckii).
  3. 제 1 항에 기재된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 (Lactobacillus delbrueckii)가 첨가되어 이루어진 동물용 사료.
  4. 제 1 항에 기재된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 (Lactobacillus delbrueckii)가 첨가되어 이루어진 동물용 음료.
  5. 제 1 항에 기재된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 (Lactobacillus delbrueckii)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유산균 생균제.
  6. 제 1 항에 기재된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 (Lactobacillus delbrueckii)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동물용 사료 첨가제.
  7. 제 1 항에 기재된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 (Lacto bacillus delbrueckii)를 이용하는 동물 사육의 향상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동물 사육의 향상이 동물의 배설물의 소취의 향상인 동물 사육의 향상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동물 사육의 향상이 동물의 생존율의 향상인 동물 사육의 향상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동물 사육의 향상이 채란계의 산란율의 향상인 동물 사육의 향상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동물 사육의 향상이 젖소의 유질의 향상인 동물 사육의 향상방법.
  12. 제 1 항에 기재된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 (Lactobacillus delbrueckii)를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식품.
  13. 제 1 항에 기재된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 (Lactobacillus delbrueckii)를 이용하는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14. 제 1 항에 기재된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 (Lactobacillus delbrueckii)를 이용하는 식품 보존방법.
  15. 제 1 항에 기재된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 (Lactobacillus delbrueckii)를 축사의 마루면 또는 지면에 산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의 정화방법.
  16. 제 1 항에 기재된 락토바실러스·델브루엑키 (Lactobacillus delbrueckii)를 직접 수중에 산포, 또는 투수성을 가진 수용체에 수용하여 수중에 침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의 정화방법.
  17. 삭제
KR1020067020660A 2004-03-04 2005-03-04 신규 유산균 KR1008251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59912A JP4199685B2 (ja) 2004-03-04 2004-03-04 新規な乳酸菌
JPJP-P-2004-00059912 2004-03-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251A KR20060116251A (ko) 2006-11-14
KR100825129B1 true KR100825129B1 (ko) 2008-04-24

Family

ID=34917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0660A KR100825129B1 (ko) 2004-03-04 2005-03-04 신규 유산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29779B2 (ko)
EP (1) EP1726638A4 (ko)
JP (1) JP4199685B2 (ko)
KR (1) KR100825129B1 (ko)
CN (1) CN1930282B (ko)
WO (1) WO20050854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20153B2 (ja) * 2007-03-29 2014-02-19 ユニチカ株式会社 乳酸菌によるアルドン酸の製造方法
FR2924307B1 (fr) * 2007-12-04 2010-08-27 Gervais Danone Sa Utilisation de l. casei ssp. paracasei comme antifongique
JP5186431B2 (ja) * 2009-04-27 2013-04-17 株式会社バイオテックジャパン 食品用抗カビ液の製造方法
WO2013071298A1 (en) * 2011-11-11 2013-05-16 Nutrition Physiology Company, Llc Lactic acid bacteria and their use as dietary supplementals for poultry
CN102405937B (zh) * 2011-09-09 2013-10-23 湖南农业大学 一种用于畜舍及动物体表微生态改良的益生菌组合菌剂及应用方法
NZ701895A (en) 2012-05-21 2016-07-29 Dupont Nutrition Biosci Aps Strains of lactobacillus with antifungal properties
CN105338819A (zh) 2013-06-27 2016-02-17 星巴克公司,贸易用名星巴克咖啡公司 用于饮料和其他食品的生物保存方法
WO2016042710A1 (ja) * 2014-09-19 2016-03-24 株式会社バイオバランス バイオバランス(登録商標)yを利用した堆肥及びその製造方法
JP6831111B2 (ja) * 2015-08-31 2021-02-17 株式会社バイオバランス 肉質改良法
ES2819126T3 (es) * 2015-08-31 2021-04-15 Biobalance Co Ltd Método para producir carne capaz de reducir el consumo de ácidos grasos saturados
JP6864293B2 (ja) * 2015-08-31 2021-04-28 株式会社バイオバランス 悪臭低減方法
CN107373038A (zh) * 2017-09-18 2017-11-24 永州市掌望生态农业有限公司 一种改善鸡蛋品质的益生菌发酵饲料及其制备方法
KR102189273B1 (ko) * 2019-02-13 2020-12-09 의령왕메추리 영농조합법인 메추리 급이사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8982A (ja) * 1995-05-02 1996-11-19 Aasu Giken:Kk 複合微生物製剤
JP2001299230A (ja) 2000-04-27 2001-10-30 Korin Korea Co Ltd 飼料添加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333766A (ja) 2000-05-24 2001-12-04 Bhph Co Ltd 新規な感染症対応型乳酸菌および該乳酸菌を主成分とした乳酸菌製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6209B2 (ja) 1974-04-15 1984-11-10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家畜用薬剤
CA1320165C (en) 1987-08-06 1993-07-13 Microlife Technics, Inc. Process for producing novel yeast and mold inhibiting products
CN1066927C (zh) * 1995-03-31 2001-06-13 陈启忠 一种乳酸地龙液及其制备方法
JPH09322714A (ja) 1996-06-06 1997-12-16 Mizuho:Kk 消臭性飼料
JP3277251B1 (ja) 2001-03-30 2002-04-22 オリエンタル酵母工業株式会社 新規な乳酸菌及びそれを含む発酵風味液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8982A (ja) * 1995-05-02 1996-11-19 Aasu Giken:Kk 複合微生物製剤
JP2001299230A (ja) 2000-04-27 2001-10-30 Korin Korea Co Ltd 飼料添加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333766A (ja) 2000-05-24 2001-12-04 Bhph Co Ltd 新規な感染症対応型乳酸菌および該乳酸菌を主成分とした乳酸菌製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30282B (zh) 2011-04-20
EP1726638A4 (en) 2007-04-04
JP4199685B2 (ja) 2008-12-17
KR20060116251A (ko) 2006-11-14
EP1726638A1 (en) 2006-11-29
JP2005245299A (ja) 2005-09-15
US8029779B2 (en) 2011-10-04
WO2005085418A1 (ja) 2005-09-15
CN1930282A (zh) 2007-03-14
US20080286406A1 (en) 2008-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5129B1 (ko) 신규 유산균
Murry et al. Inhibition of growth of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and Clostridia perfringens on chicken feed media by Lactobacillus salivariu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AU2010231149B2 (en) Components for animal feed and use thereof
US20090257995A1 (en) Harmful bacterium control agent containing bacillus thuringiensis
KR20140148488A (ko) 대장균 및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에 대한 항균 효과 및 높은 포자 형성 능력을 갖는 항생제 민감성 바실러스 균주
PL192776B1 (pl) Pasza dla koni, szczep Lactobacillus plantarum JI:1, gatunek Lactobacillus AC:3 i zastosowanie szczepu Lactobacillus plantarum JI:1
Morishita et al. Influence of dietary lactose on the gut flora of chicks
KR101702499B1 (ko) 신규한 유산균, 진균 및 세균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용 조성물
US20220174980A1 (en) Method for Preparing Feed by Bacteria-enzyme Synergistic Fermentation
KR101580616B1 (ko) 내산성, 내담즙산성 및 항균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c14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068531B1 (ko)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유산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가축용 복합 생균제 조성물
US20130259844A1 (en) Fermented Foodstuff
Pasupathy et al. Effect of lactobacillus supplementation on growth and nutrient utilization in mongrel pups
US20240075080A1 (en) Use of lactic acid bacteria to inhibit methanogen growth or reduce methane emissions
US20150352161A1 (en) Use of hafnia alvei for reducing the carriage of escherichia coli producing shiga toxins (stec) in ruminants
JP2009044971A (ja) 反芻家畜に対するプロバイオティック効果をサイレージ調製用乳酸菌に付加する新規酵母菌およびその利用
GB2485476A (en) Lactic acid producing bacteria for use in fermented feed
Ivanov Laboratory study to determine the effect of a probiotic mixture on chicken-broiler
RU2783525C2 (ru) Композиции штаммов bacillus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в отношении жвачных животных
Kutaa Microbial conte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Namibian traditionally fermented milk
Mukodiningsih et al. The Effect of Adding Fermented Waste Cabbage as Probiotic Source to Pellet Calf Starter on Rumen Development and Calf Immune
KR100489859B1 (ko) 가금티프스 치료 및 예방용 유산균 및 이를 이용하는 가금티프스 치료방법
Nishino Progress in silage research in relation to animal production and food safe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