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4704B1 - 지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조성물 - Google Patents

지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4704B1
KR100824704B1 KR1020060120845A KR20060120845A KR100824704B1 KR 100824704 B1 KR100824704 B1 KR 100824704B1 KR 1020060120845 A KR1020060120845 A KR 1020060120845A KR 20060120845 A KR20060120845 A KR 20060120845A KR 100824704 B1 KR100824704 B1 KR 100824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esity
fat
composition
ethanol extract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0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명길선
윤석영
이정희
허철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Priority to KR1020060120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47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4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470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내에서 지방의 흡수를 억제시키는 효능을 가지는 지실(枳實, Poncirus trifoliata)의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췌장 리파아제(pancreas lipase)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장 내에서 지방이 흡수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억제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비만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어 비만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의약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비만, 지방흡수, 지실(枳實, poncirus trifoliata), 리파아제

Description

지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of Poncirus trifoliata extracts as an effe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and curing obesity}
도 1은 실험동물의 각 식이군별 평균 체중을 8주간 기록한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장내에서 지방의 흡수를 억제시키는 효능을 가지는 지실(枳實, Poncirus trifoliata)의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실의 에탄올 추출물이 가지는 췌장 리파아제(pancreas lipase)의 활성 저해능을 이용하여 체내로의 지방의 흡수를 원천적으로 억제함으로써 비만을 치료 및 예방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가 섭취하는 음식물 중 일부는 지방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지방은 장내에 서 지방분해 효소의 작용에 의해 분해되어 체내로 흡수된다. 분해된 지방은 지방산(fatty acid)과 글리세롤(glycerol)형태로 혈액을 통해 운반되어 각 조직과 세포에서 에너지원으로 이용되거나 과잉된 경우 세포 내에 작은 물방울(droplet) 형태 또는 지방세포로 축적된다.
전 세계적으로 비만자의 수는 약 1억 5천만 명에 달하며 우리나라에서도 비만자의 비율은 2004년도에 약 30% 정도이고 매년 그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여서 비만은 심각한 건강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경제수준의 향상과 미용에 대한 관심 증가에 따라 기존의 식이요법이나 운동을 포함하여 약물 치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법으로 비만을 치료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국내에 범람하고 있는 일부 비만 억제제와 다이어트 소재는 효능이 과학적으로 검증되지 않았다.
비만을 예방·치료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식욕을 억제하는 방법, 에너지의 소비를 증가시키는 방법, 에너지의 흡수를 저해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에너지 흡수를 저해하는 방법의 대표적인 예가 지방분해 효소를 저해하는 올리스타트(orlistat)이다. 올리스타트는 지방을 체내로 흡수하는 소화효소인 리파아제(lipase)의 기능을 억제하여 섭취한 지방의 일부를 몸밖으로 배출하는 작용을 한다. 스위스의 로슈 제약회사가 상품화(상품명: 제니칼 Xenical)하여 1999년에 FDA의 승인을 받아 지난 2001년 2월부터 전문의약품으로 분류되어 국내에서도 시판이 허용되었다. 그러나 이 약은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를 저해하므로 비타민을 추가적으로 복용해야하며, 소화기에 흡수되지 않은 지방이 남아 복부팽만감을 느끼고 지방변이 발생하는 부작용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지실(枳實, Poncirus trifoliata Rofinesque)은 탱자 나무의 어린 열매로서, 주성분으로 이소사쿠라닌(isosakuranin), 나린진(naringin), 시트리포리오시드(citriforlioside), 폰시린(poncirin), 시네프린(synephrine)등을 함유하고 있고, 식적불화(食積不和), 위하수, 담음(痰飮), 흉복비만창통, 거담(去痰), 소식(小食), 행기관중(行氣寬中), 성한미고(性寒味苦)로서 방향성 고미건 위약으로 위부창만(胃部脹滿), 위장무력성 소화불량, 알레르기성 체질, 위 내 가스제거, 자궁하수, 내장이완성 무력증에 효과가 있다. 특히 시네프린은 저장지방의 분해촉진, 아미노산의 근육 흡수를 촉진하여 근육강화, 가벼운 공복억제 효과가 있다. 지실의 생리적 기능은 유효성분인 아드레날린 작용성 아민인 시네프린이 β- 아드레날린 수용체를 활성화 하여 GTP를 합성하고 이것이 ATP에서 cAMP를 합성하고 cAMP가 단백질 키나아제를 활성화 시켜 호르몬 감수성 리파아제(lipase)가 인산화되고 이 인산화 된 리파아제가 저장지방을 분해하여 에너지로 사용되기 때문에 체지방은 줄어들고 식품으로 섭취한 단백질은 근육에 들어가게 된다. 또한 시네프린의 아드레날린 작용에 의해 교감신경이 흥분되어 공복중추가 억제된다.
따라서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비만 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신규 식물 소재 및 물질에 대한 개발이 계속해서 요구 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자는 천연물질 중 올리스타트(orlistat)와 같이 지방분해 효소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를 갖는 물질을 찾고자 1,400여종의 천연물 추출물을 검색하였다. 그 중 탱자나 무(Poncirus trifoliata)의 어린 열매인 지실(枳實)의 에탄올 추출물이 이와 같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동물 실험을 통해 효능을 검증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방의 흡수를 장내에서 원천적으로 억제함으로서 체중의 감소와 신체의 건강을 유도할 수 있는 비만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췌장 리파아제(pancreas lipase)의 활성을 저해하여 체내로 지방의 흡수를 막는 지실(oncirus trifoliata)의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이용된 지실 추출물은 먼저 건조된 지실을 단위 질량(kg)당 1L의 50% 에탄올에 넣고 상온에서 2~3일 동안 반응시켜 얻은 것이다. 이로부터 얻어진 추출액은 여과기를 통하여 여과하고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동결건조하여 분말화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추출공정에서 얻어지는 지실의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실의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은 임상 투여시에 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당업계에서 공지된 의약품 제조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등이 첨가되어 약학적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지실의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은 실제 임상 투여시에 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 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지실의 에탄올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들이 포함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실의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의 통상적인 1일 투여량은 1 내지 30 ㎎/㎏ 체중의 범위이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실의 에탄올 추출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단,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지실의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지실을 단위 질량(kg)당 1L의 50% 에탄올에 넣고 상온에서 2~3일 동안 반응시켜 추출하였다. 이로부터 얻어진 추출액은 여과지(Whaatman No.41)로 여과하고, 상기 여과지에 의한 여과액을 진공회전농축기(Eyela NE, Japan)를 사용하여 감압 농축시킨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동결건조한 후 분말화 하여 지실의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 하였다.
실시예 2
췌장 리파아제의 저해활성 측정
췌장 리파아제의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시그마 리파아제 키트(Sigma lipase kit)를 이용하였다. 100㎖ 들이 삼각플라스크에 기질인 0.1% 소디움 아지드(sodium azide)가 포함된 50% 올리브 오일 에멀젼(olive oil emulsion)용액 10㎖와 0.1% 소디움 아지드(sodium azide)가 포함된 200mM Tris-HCl(p8.0) 1㎖을 가하였다. 여기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지실(Poncirus trifoliata)의 에탄올 추출물을 농도별(0.5mg/ml, 1mg/ml)로 500㎕을 가하고 물 2.0㎖을 첨가하여 잘 섞어주었다. 한편, 대조군으로는 추출물의 용매인 5% DMSO(Dimethyl sulfoxide)를 500㎕ 가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지방분해 효소는 돼지 췌장 리파아제(porcine pancreas lipase)로 시그마사에서 구입하였다. 위의 각 플라스크에 200 Units/㎖ 농도의 돼지 췌장 리파아제를 1㎖ 가한 후 5초간 흔들어주고 37℃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3㎖의 95% 에탄올(ethanol)을 첨가하고 지시약인 0.9% 타이놀프탈레인[thynolphthalein(in ethanol)]용액을 6방울 가하여 잘 흔들어 주었다. 이 용액을 0.05N NaOH로 용액의 색이 회녹색(grayish-green)이 될 때까지 적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0.5㎎/㎖과 1㎎/㎖의 지실 추출물이 지방분해효소의 활성을 시험 상에서 40%정도 저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군 리파아제 저해정도(%)
효소액(돼지 췌장 리파아제) 1㎖ + 지실 추출액(0.5㎎/㎖) 500㎕ 38.1
효소액(돼지 췌장 리파아제) 1㎖ + 지실 추출액(1㎎/㎖) 500㎕ 42.8
효소액(돼지 췌장 리파아제) 1㎖ + 5% DMSO 500㎕ 0
무처리 100
실시예 3
수컷 ICR mouse에서의 지방흡수 저해 효과
생체 내(in vivo)에서의 본 발명의 지실의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지방흡수 저해를 확인하기 위하여 ICR mouse를 이용하였다. 3주령의 수컷 ICR 쥐(male ICR mouse)를 1주일동안 순치 시킨 후 실험하였다. 실험 당일 5시간 동안 절식시키고 지실의 에탄올추출물을 쥐의 단위체중당(kg) 100㎎의 농도로 경구투여 하였다. 한편, 지실의 에탄올 추출물은 천연물로 제약 수준의 것이 아니기 때문에 고농도로 처리하였으나 양성 대조군으로서는 올리스타트(orlistat; 상품명 Xenical 제니칼)를 권장량에 맞게 10mg/kg으로, 음성 대조군으로서는 증류수를 동량(10㎎/㎏)으로 경구투여 하였다. 각 실험군 당 실험동물은 8마리씩 임의배치 하였다. 추출물을 경구투여하고 1시간 후 옥수수 기름(corn oil)을 1g/㎏의 농도로 전체 실험군에 각각 경구투여 하였다. 상기 옥수수기름을 투여하고 1시간 후 심장채혈을 하여 혈장을 분리하고 혈장의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과 중성지방(triglyceride)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총 콜레스테롤은 음성대조군(증류수 투여군)과 비교하여 올리스타트(orilstat) 정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중성지방은 음성대조군(증류수 투여군)과 비교하여 올리스타트(orilstat) 정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쥐의 체내로 약 75.3% 정도만 흡수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군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증류수(10㎎/㎏) 122.98 ± 4.72 138.90 ± 10.23
orlistat(10㎎/㎏) 114.07 ± 8.69* 108.25 ± 14.46*
지실 추출물(100㎎/㎗) 199.61 ± 7.65 104.88 ± 13.95**
(*P < 0.05, **P < 0.01, 증류수와 비교)
실시예 4
수컷 C57BL/6 mouse에서의 비만억제 효과
C57BL/6 mouse에게 고지방사료를 먹이면서 비만을 유도하였을 때 사료에 섞인 지실의 에탄올 추출물이 쥐의 체중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3주령인 수컷 쥐(male mouse)를 1주일 동안 고지방식이를 공급하면서 적응시킨 후 실험하였다. 정상식이군을 제외한 모든 실험군 당 실험동물을 7마리씩 임의배치 하여(정상식이군은 4마리) 사료를 제공하였다. 표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실험군은 정상식이군, 고지방식이군, 고지방식이에 올리스타트 첨가군[고지방식이+orlistat(전체 사료의 0.1% 첨가)], 고지방식이에 지실의 에탄올 추출물 첨가군[고지방식이+지실의 에탄올 추출물(전체 사료의 1% 첨가)]의 4군으로 하였다. 고지방식이로는 Research diets사의 D12451(45% fat, 5,252cal/g)을 이용하였다. 총 8주 동안 실험 식이를 공급하며 1주일에 2회 간격으로 체중을 측정하였다. 한편, 8주까지의 섭취 실험에서 체중 증가율이 감소하는 것 이외에 치사, 털색깔 변화, 행동의 이상 등 외관적인 독성 증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그 결과를 도1에 도시하였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실 추출물을 섭취한 군(고지방식이+지실의 에탄올 추출물)은 고지방 식이만 섭취한 군(고지방식이군)과 비교하여 체중증가가 현저히 억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군 개체 수 사료 조성
정상식이군 4 Normal diet
고지방식이군 7 High fat(45%) diet
올리스타트 첨가군(orlistat) 7 High fat(45%) diet+orlistat(0.1%)
지실의 에탄올 추출물 첨가군 7 High fat(45%) diet+ 지실 에탄올추출물(1%)
실시예 5
지실의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한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하기에 본 발명에 따른 지실의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의 조성물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산제의 제조
약전 제제총칙 중 산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포당 하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지실의 에탄올 추출물(건조분말).................... 300㎎
유당.............................................. 100㎎
탈크.............................................. 10㎎
정제의 제조
약전 제제총칙 중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정당 하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지실의 에탄올 추출물(건조분말)..................... 300㎎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캅셀제의 제조
약전 제제총칙 중 캅셀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캅셀당 하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지실의 에탄올 추출물(건조분말)...................... 300㎎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액제의 제조
약전 제제총칙 중 액제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액제 100㎖당 하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지실의 에탄올 추출물(건조분말)........................ 1g
이성화당.............................................. 10g
만니톨................................................ 5g
정제수................................................ 적량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실(Poncirus trifoliata)의 에탄올 추출물은 췌장 리파아제(pancreas lipase)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장 내에서 지방이 흡수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억제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비만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어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비만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의약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2)

  1. 지실(Poncirus trifoliata)의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실의 에탄올 추출물은 췌장 리파아제(pancreas lipase)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0060120845A 2006-12-01 2006-12-01 지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조성물 Active KR100824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845A KR100824704B1 (ko) 2006-12-01 2006-12-01 지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845A KR100824704B1 (ko) 2006-12-01 2006-12-01 지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4704B1 true KR100824704B1 (ko) 2008-04-24

Family

ID=39572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0845A Active KR100824704B1 (ko) 2006-12-01 2006-12-01 지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47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918B1 (ko) * 2013-01-15 2013-08-27 정은희 비만치료 조성물 및 상기 비만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483121B1 (ko) 2013-05-21 2015-01-19 주식회사 하원제약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4172325A1 (ko) * 2023-02-13 2024-08-2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지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A (ja) * 1987-11-23 1990-01-05 Polaroid Corp 写真カメ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A (ja) * 1987-11-23 1990-01-05 Polaroid Corp 写真カメラ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 흰쥐에 인진, 지실, 산사가 미치는 영향’ (반상석 저, 2006)*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918B1 (ko) * 2013-01-15 2013-08-27 정은희 비만치료 조성물 및 상기 비만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483121B1 (ko) 2013-05-21 2015-01-19 주식회사 하원제약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4172325A1 (ko) * 2023-02-13 2024-08-2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지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119837A1 (ja) リパーゼ阻害剤
KR102257023B1 (ko) 겹달맞이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위축증 또는 근감소증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EP3453398A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muscular function or for enhancing exercise performance comprising vigna angularis var. angularis
JP5752359B2 (ja) 体重増加抑制組成物及びこれを含む食品
KR100828069B1 (ko) 푸코잔틴 또는 이를 함유하는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24704B1 (ko) 지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조성물
KR102113099B1 (ko) 택란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6160710A (ja) 糖尿病の予防・治療用組成物およびその有効成分を含む健康食品
KR100828068B1 (ko) 푸코잔틴 또는 이를 함유하는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05041995A1 (ja) α-グルコシダーゼ活性阻害剤
KR20170092847A (ko) 장내 소화효소 활성 및 발현을 촉진시키는 천연물 유래 조성물
US20070009620A1 (en) Cholesterol regulating agent
TWI334783B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facilitating the reduction of blood-alcohol concentration after alcohol intake
KR100891881B1 (ko) 3,4,5-트리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고지혈증 및 mmp 과다활성으로 인한 혈관질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WO2005074961A1 (ja) 体脂肪調整剤
JP5706142B2 (ja) フユボダイジュ花のエタノール抽出物を有効成分とする血中グルコース低下剤、内臓脂肪蓄積抑制剤、tg低下剤、糞中脂肪排泄促進剤
CN105902601A (zh) 酸角壳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降血脂中的应用
JP4610730B2 (ja) カルシウム補給用の組成物
KR20200120549A (ko) 용쑥 및 서양민들레를 포함하는 체중 또는 체지방 감소용 경구용 조성물
JP2015193547A (ja) 運動様作用を有するレスベラトロール加熱処理組成物
JP2002053476A (ja) 高脂血症予防兼改善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飲食品
KR102113563B1 (ko) 하이드란제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 근기능 개선, 또는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조성물
JP2004168766A (ja) α−グルコシダーゼ阻害剤
WO2003086436A1 (fr) Inhibiteurs d&#39;absorption enterique de graisses contenant des extraits de plantes, et produits alimentaires contenant lesdits extraits
JPS60260520A (ja) 医薬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4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4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1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1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16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