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4076B1 - 신체 지지구 - Google Patents

신체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4076B1
KR100824076B1 KR1020047007538A KR20047007538A KR100824076B1 KR 100824076 B1 KR100824076 B1 KR 100824076B1 KR 1020047007538 A KR1020047007538 A KR 1020047007538A KR 20047007538 A KR20047007538 A KR 20047007538A KR 100824076 B1 KR100824076 B1 KR 100824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oisture
body support
shape
gran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7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2632A (ko
Inventor
마쓰시마세이야
요시타케마코토
Original Assignee
카부시키 가이샤 혼다 아쿠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부시키 가이샤 혼다 아쿠세스 filed Critical 카부시키 가이샤 혼다 아쿠세스
Publication of KR20040072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2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4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4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9Seat parts of non-adjustable shape adapted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8Seat parts having foamed material included in cushioning par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47C7/386Detachable covers for head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60N2/7005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detachable

Abstract

본 발명의 신체 지지구(1)는 습기 경화형 수지를 코팅한 다수의 입상체를 구비한 지지부(4)를 가지고, 상기 지지부(4)를 가압 변형 가능한 투습성 부재(3)로 피복하고, 상기 투습성 부재를 신체 부분에 접촉시켜서 상기 입상체(2)를 상호 이동시키고, 상기 지지부(4)를 그 부분에 합치된 형상으로 하여 습기 경화형 수지를 경화시켜서 사용하는 신체 지지구(1)이며, 상기 지지부 내의 입상체의 상호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수단을 마련하고, 이 규제수단에 의하여 상기 신체 지지구의 외형 형상을 형성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신체 형상에 꼭 맞는 형상을 유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형태에 따른 착석감을 제공할 수 있다.
신체 지지구, 습기 경화형 수지, 투습성 부재, 입상체, 규제수단

Description

신체 지지구{BODY SUPPORT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좌석이나 의자 등의 시트 등에 착석할 때에 사용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체형에 맞춘 형상을 유지하고, 사용자 개인의 체형에 대응한 착석감을 얻을 수 있는 신체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좌석이나 의자 등의 시트, 예를 들면 각종 자동차의 시트나 사무용 의자, 휠체어 등은 평균적인 사용자에게 적합하도록 제작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에 따라서는 다소 착석감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에 착안하여, 각종 신체 유지구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224796호 공보에는 습기 경화형 우레탄 프리폴리머로 코팅한 입상체의 소정량을 입상체의 크기보다도 작은 개구를 가지는 물 투과성 재료로 싸고, 이 입상체를 싼 물 투과성 재료를 습분 불투과성 재료로 밀봉하고, 습기 경화형 우레탄 프리폴리머와 투습성 부재는 서로 비반응성이고 저접착성인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신체 지지구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공개 특허공보 특개2000-51255호 공보에는 탄성을 가지는 소요량의 입상체와, 경화 후에도 탄성을 가지는 습기 경화형 수지를 구비하고, 상기 습기 경화형 수지는 상기 입상체에 대하여 경화 후에 있어서 입상체 사이를 연결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혼합되어 있고, 경화 전에는 적용하고자 하는 체위의 형상을 따라서 입상체의 상호 이동이 가능한 덩어리체를 형성하고 있는, 개인 신체에 대응한 체위 유지구재로서의 신체 지지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 신체 지지구들은 발포 폴리우레탄 등의 입상체가 개개의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변형된 후, 습기 경화형 수지가 경화함으로써, 이 변형된 상태에서 입상체가 고정화하여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며, 신속 그리고 정확하게 개개의 사용자의 몸을 지지할 수 있고, 제작 순서도 간단하며, 의료용 등에 있어서 머리부(頭部) 등을 지지하는데 특히 적합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들 신체 지지구는 좌석이나 의자 등 설치 면적이 한정된 용도에 있어서의 시트용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는 것이었다. 즉, 이들 종래의 신체 지지구는 발포 폴리우레탄 등의 입상체가 상호 이동함으로써 신체에 꼭 맞게 되는 것이지만, 이 때 입상체를 포함하는 지지부가 몸의 압력에 의하여 편평화하면서 신체에 맞는 것이기 때문에 지지부의 면적이 증대되고, 또한, 이 편평화에 따르는 면적의 증대는 개개의 사용자의 몸의 압력이나 체격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지지부의 형상도 불규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폭 등의 크기가 규정되어 있는 좌석이나 의자 등의 시트용으로서 그대로 채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들 문제점을 해소하고, 또한 신체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는 동시에, 체압을 분산하는 효과를 가지고, 통기성 등도 우수한 신체 지지구를 제공할 수 있으면, 보다 그 제품 가치를 높일 수 있어서 유리하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사용자의 체형에 맞춘 형 상을 유지하고, 사용자 개인의 체형에 맞는 착석감을 얻을 수 있는 신체 지지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는, 습기 경화형 수지를 코팅한 다수의 입상체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가압 변형 가능한 투습성 부재로 피복하고, 상기 투습성 부재를 신체 부분에 접촉시켜서 상기 입상체를 상호 이동시키고, 상기 지지부를 그 부분에 합치된 형상으로 하여 습기 경화형 수지를 경화시켜서 사용하는 신체 지지구로서, 상기 지지부 내의 입상체의 상호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수단을 마련하고, 이 규제수단에 의하여 상기 신체 지지구의 외형 형상을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예를 들면 시트의 엉덩이나 허리나 등 등의 부분이 접촉하는 위치, 즉 시트의 유지성이 요구되는 부위와, 사용자의 신체와의 사이에 습기를 부여한 신체 지지구를 세트하고, 사용자가 착석하면서 이 신체 지지구를 가압하면, 지지부 내의 입상체가 상호 이동하여 사용자의 엉덩이, 허리나 등 등의 접촉 부분에 맞는 형상으로 변형된 상태로 습기 경화형 수지가 경화하여 입상체가 고정화되고, 사용자 개인의 착석 형상에 따른 형상으로 유지된다. 이 때, 지지부 내의 입상체의 상호 이동을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지지부의 형상이 크게 흐트러지지 않고, 좌석이나 의자 등의 시트용 신체 지지구로서 적합한 것이 되었다. 특히 입상체를 그 자신이 탄력성을 가지는 것으로 함으로써 체위를 확실하게 고정 또는 유지할 수 있고, 체압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통기성도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체 지지구에 있어서, 상기 규제 수단은 상기 지지부의 외주연을 둘러싼 틀이어서 지지부 내의 입상체가 틀체로부터 삐져나오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틀에 따른 외주 형상으로 신체 지지구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체 지지구는 상기 투습성 부재가 투습성을 가지는 변형성 성형체 용기이며, 상기 규제 수단은 상기 지지부를 일측 방향으로부터 상기 성형체 용기로 덮는 동시에, 상기 성형체 용기의 개방측을 봉쇄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성형체 용기의 형태에 따라 입상체가 상호 이동하여 사용자의 엉덩이나 허리나 등 등의 접촉부분에 꼭 맞는 형상으로 변형된 상태로 경화하고, 사용자 개인의 착석 형상에 따른 형상으로 유지되므로, 성형체 용기에 대응한 형상의 신체 지지구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체 지지구는 상기 투습성 부재가 투습성을 가지는 변형성 성형체 용기이며, 상기 규제수단은 상기 지지부의 전체 둘레를 상기 성형체 용기로 덮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지부 내의 입상체는 성형체 용기로 덮어져 있으므로, 성형체 용기의 변형에 의하여 입상체가 상호 이동하여 사용자의 엉덩이나 허리나 등 등의 접촉 부분에 꼭 맞는 형상으로 변형된 상태로 경화하여, 사용자 개인의 착석 형상에 따른 형상으로 유지되므로, 성형체 용기에 따른 형상의 신체 지지구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체 지지구는 상기 투습성 부재가 상기 습기 경화형 수지를 코팅한 입상체를 원하는 형상으로 경화시킨 경화층이며, 상기 규제 수단이 상기 경화층을 구비하기 때문에, 미경화의 입상체가 외표면의 경화층에 의하여 포위되어, 그 내측에서 상호 이동하여 변형되므로, 외표면의 경화층에 따른 형상의 신체 지지 구로 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와 투습성 부재를 동일한 재질로 동시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나 경제성이 향상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체 지지구는 상기 투습성 부재가 투습성을 가지는 변형성 시트상체이고, 상기 규제수단은 상기 가소성 시트상체에 의하여 지지부의 양면을 피복하여 이들 양측의 시트상체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를 복수로 구획하도록 바둑무늬상으로 접합하여 이루어지므로, 지지부 내의 입상체는 이 구획 내에서만 상호 이동 가능하고, 가소성 시트상체에 따른 형상의 신체 지지구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의 용적 가변수단을 구비하고, 이 용적 가변수단에 의하여 상기 신체 지지구의 외형 형상을 형성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예를 들면 시트의 엉덩이나 허리나 등 등의 부분이 접촉하는 위치, 즉 시트의 유지성이 요구되는 부위와, 사용자의 신체와의 사이에 습기를 부여한 신체 지지구를 세트하고, 사용자가 착석하면서 이 신체 지지구를 압박을 가하면, 지지부 내의 입상체가 상호 이동하여 사용자의 엉덩이나 허리나 등 등의 접촉 부분에 꼭 맞는 형상으로 변형된 상태로 습기 경화형 수지가 경화하여 입상체가 고정화되고, 사용자 개인의 착석 형상에 따른 형상으로 유지된다. 이 때, 지지부 내의 입상체가 가압되는 분만큼 편평화하여 그 만큼 면적이 넓어지게 된다. 이 때, 그 만큼 지지부의 용적을 변화시킴으로써 신체 지지구의 형상이 크게 흐트러지지 않고, 좌석이나 의자 등의 설치 면적이 규정되는 용도에 있어서 시트용으로서 적합한 것으로 되어 있다. 특히 입상체를 그 자신 탄력성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체위를 확실하게 고정 또는 유지할 수 있고, 체압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통기성도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지구는 상기 용적 가변수단은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일측을 소정 형상의 성형체 용기로 덮고, 상기 성형체 용기에 역개구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성형체 용기의 개방측을 가압 변형 가능한 투습성 부재로 피복하고, 상기 투습성 부재를 신체의 부분에 접촉시켜서 가압 변형함으로써 상기 지지부 내의 입상체의 압력을 증가시켜서 역개구부를 만들고, 상기 입상체를 배출하여 상기 지지부의 용적을 변화시킴으로써, 지지부 내의 입상체가 가압되어서 입상체에 의한 압력이 증대되면, 성형체 용기에 역개구부가 만들어져 입상체가 이 역개구부로부터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지지부의 용적을 변화시켜 신체 지지구의 외형을 규정하므로 지지부의 형상이 크게 흐트러지지 않는다.
또한 상기 용적 가변수단은 상기 지지부 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의 용적 변화를 흡수하는 완충부이기 때문에, 완충부에 입상체가 유입하여 지지부의 용적을 변화시킴으로써 신체 지지구의 외형을 규정하고 있으므로 지지부의 형상이 크게 흐트러지지 않게 않는다.
또한 상기 완충부를 발포체로 할 수 있다.
또한 규제수단을 설치한 지지부에 발포체를 포함시켜도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시트의 등받이부에 배치되어 허리 대응부와 어깨 대응부를 가지고, 상기 어깨 대응부를 향하여 얇아지도록 형성하거나, 상기 지지부는 시트의 등받이부에 배치되는 등받이 대응부와 시트의 좌석부에 배치되는 좌석 대응부를 구비하도록 하거나 홀드부를 설치하거나 하여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체 지지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체 지지구를 나타내는 부분 파단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체 지지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체 지지구의 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체 지지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체 지지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체 지지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체 지지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체 지지구를 가리키는 단면도이다.
도 l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신체 지지구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신체 지지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신체 지지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신체 지지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신체 지지구를 나타내는 도 13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신체 지지구를 나타내는 도 1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신체 지지구를 나타내는 도 13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신체 지지구의 수용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신체 지지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신체 지지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신체 지지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신체 지지구의 제조에 사용하는 형(型)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신체 지지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신체 지지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신체 지지구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신체 지지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신체 지지구의 사용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신체 지지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신체 지지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신체 지지구의 사용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신체 지지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신체 지지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의한 신체 지지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의한 신체 지지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의한 신체 지지구의 사시도로서, 도 35a는 틀체의 사시도, 도 35b는 신체 지지구의 사시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의한 신체 지지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의한 신체 지지구의 사시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의한 신체 지지구의, 도 37의 A-A선 단면 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의한 신체 지지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의한 신체 지지구의, 도 39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의한 신체 지지구의 틀체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신체 지지구의 제1 실시예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1)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습기 경화형 수지를 코팅한 입상체(2, 2 …)를 가압 변형 가능한 투습성 부재인 편물, 직포, 부직포 또는 모노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신축성의 직물(3)에 의하여 피복하여 지지부(4)를 형성하고, 이 지지부(4) 내에 평면의 대략 8각형으로 3차원적으로 굴절한 틀체(5)를 배치하여 골격으로 하고 있다. 이 직물(3)의 크기는 접촉하는 부위의 신체 폭보다 다소 크게 설정하고, 접촉하는 부위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싸듯이 홀드(hold)하여 극히 양호한 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이 예에서는 틀체(5)에 의하여, 지지부(4) 내의 입상체(2)의 상호 이동을 억제하는 규제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틀체(5)에 직물(3)을 접착하거나, 봉착하거나 하여 틀체(5)에 직물(3)을 고정하여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도 신체 지지구(1)에 있어서, 입상체(2)로서는 적당한 탄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후술하는 습기 경화형 수지와 미경화 상태에 있어서 비반 응성 또는 비반응성으로 가공한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연화제나 가소제로 탄력성을 부여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이들의 공중합체 등의 올레핀계 입상체, 마찬가지로 탄력성을 부여하거나 또는 그 자체가 탄력성을 가지는 초산 비닐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네오프렌, 폴리부타디엔, 실리콘, 기타 고무계의 재료 등으로 형성한 입상체가 있다. 또한 습기 경화형 수지와 비반응성 탄성체나 겔상체의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이 입상체(2)로서는, 예를 들면 코스모 겔(gel)(상품명, 주식회사 코스모 계기 제조), MNCS(상품명, 주식회사 브리지스톤 제조), 알파 겔(상품명, 주식회사 시겔 제조), 펩(상품명, 주식회사 토레이 제조), 미쓰후크 폼(상품명, 미후쿠 공업 주식회사 제조), 에크세실(상품명, 이노아크 주식회사 제조), 칼소프트(상품명, 타키론 주식회사 제조), 네오프렌 고무(야마모토 화학공업 주식회사 제품), CR고무(다이와 방적주식회사 제품, 마루노부 화공 주식회사 제품), 실리콘 스폰지(치요다 고무 주식회사 제품, 이노아크 주식회사 제품, 신에츠 화학공업 주식회사 제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입상체(2)는 구상, 봉상, 입방체, 직방체, 원주상, 원반상 기타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각이 둥글려진 형상, 특히 구상으로 하면 좋다. 또한 이 입상체는 특히 얻어지는 신체 지지구의 탄력성이라는 점에서 속을 채우거나 또는 중공으로 형성하거나 발포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체의 경우에는 후술하는 습기 경화형 수지가 입상체 중에 스며들어 가지 않도록 독립 기포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표면에 스킨층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입상체의 크기는 신체 지지구(1)로서 사용하는 부위나 사용하는 입상체의 재료나 습기 경화형 수지의 종류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지나치게 크면 높은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지만, 채형성(採形性)이나 표면의 평활성이 저하되어 신체 지지구(1)로서의 착석감이 떨어지므로 그 크기를 약 8cm3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125cm3 이하로 함으로써 사용하기 쉽고 표면이 평활한 신체 지지구(1)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입상체(2)는 전술한 바와 같은 재질, 형상, 성질, 크기 등의 다른 두 종류 이상의 것을 병용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입상체(2)를 형성하고 있는 소재의 경도는 쿠션용 연질 우레탄폼의 경도 시험(JIS K640l5.4)에 의하여, 25% 압축 경도 약 2kg/cm2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1.0kg/cm2 이하로 하면 좋다. 또한 이 때의 압축 잔류 변형(JISK64015.5)은 약 15%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13%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압축 경도가 2kg/cm2를 넘거나, 또는 잔류 변형이 15% 이상이면 지나치게 단단하거나, 사용 중에 변형이 일어나 사용감이 악화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입상체(2, 2 …)에 코팅하는 습기 경화형 수지로서는 물을 가함으로써 수지를 용이하게 경화시킬 수 있으므로, 수경화성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경화성 우레탄 프리폴리머는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에 의하여 얻어지는 단말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프리폴리머이다. 또한 다른 습기 경화형 수지, 예를 들면 습기 경화형 실리콘 수지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이 습기 경화형 수지는 경화 후에 있어서도 적당한 탄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상체(2)는 습기 경화형 수지에 물을 가함으로써 반응하여 경화된 때에, 습기 경화형 수지와 결합 상태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습기 경화형 수지와 결합 상태를 형성하지 않고 습기 경화형 수지에 둘러싸이도록 하여 싸여진 상태로 고정화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습기 경화형 수지에는 경화 시간, 저장 안정성, 경화시의 탈포 촉진, 마무리 색조 등을 고려하여 촉매, 안정제, 소포제, 산화방지제, 착색제, 요(搖)변성부여제, 충전제 등을 적당하게 배합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는 상기 습기 경화형 수지의 성분에 따른 공지의 화합물을 적당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습기 경화형 수지에는 경화 촉매로서 수경화성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경우, 예를 들면 비스(2,6 디메틸몰폴리노)디에틸에테르, 트리에틸렌디아민, 시클로헥실아민, 디메틸에탄올아민, 치환몰포린, 디메틸피페라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요변성부여제를 사용하면, 습기 경화형 수지와 입상체(2)가 혼합된 상태로 보존되고 있는 사이에, 습기 경화형 수지가 편재화되는 것을 막고, 양자가 균일하게 섞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요변성 부여제로서 수경화성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경우에는, 실리카, 산화티타늄, 유기계의 폴리알킬렌글리콜의 말단 수산기를 수산기 처리제로 처리한 폴리알킬렌 변성화합물로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 공중합체를 염화메틸, 지방산 등으로 처리한 것이나, 방향족 카본산에스테르류, D-솔비톨(sorbitol)과 방향족 알데히드의 아세탈화 반응에 의하여 합성된 벤질리덴솔비톨, 디트릴리덴솔비톨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량으로서는 수경화성 우레탄 프리폴리머에 대하여 약 0.01 내지 6% 정도,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3% 정도이다.
상기 습기 경화형 수지의 물성으로서는 사용 대상에 따라 다르지만, 경화 시간이 물에 접촉시킨 후 약 3분 내지 30분 정도로 체중 부하를 걸 수 있는 정도의 외관 경도를 얻을 수 있고, 반응에 의한 체적의 변화가 적고, 인체에 대하여 발열이나 자극 등의 악영향이 적은 것으로, 저장 안정성도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물성을 가지는 수경화성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습기 경화형 수지의 혼합량은 입상체(2, 2)의 표면을 적실 수 있는 양이면 되고, 통상 입상체의 체적 1리터당 약 7.5g 이상 사용하면 되며, 바람직하게는 약 45 내지 420g 정도 사용하면 좋다. 이 입상체와 습기 경화형 수지의 혼합은 바람직하게는, 20℃, 상대습도(RH) 20% 이하의 환경 하에서, 만능 혼합기, 콘크리트 믹서 기타 혼합기를 사용하고, 혼합 용기 중에 건조 질소 가스를 채우고, 소정량의 입상체를 투입하여 교반하면서 습기 경화형 수지를 소정량 가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상기 입상체(2)와 습기 경화형 수지가 혼합된 것은 입상체(2) 사이를 연결하는 데 충분한 양으로 입상체(2)의 표면이 습기 경화형 수지로 코팅되어 있고, 각 입상체(2, 2)는 상기 미경화의 습기 경화형 수지에 의하여 점결되어 하나의 통합체로 되어 있으나, 각 입상체(2)는 상호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입상체(2)와 수지가 섞인 것은 알루미늄 박 등을 포함한 포장 자루나 상자, 깡통 등의 방습성을 가지는 것에 수납하면, 경화되지 않게 보존할 수 있다.
또한, 직물(3)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 아크릴, 폴리우레탄, 스틸렌·이소플렌·스틸렌 코폴리머(SIS), 폴리아미드 기타 합성섬유, 레이온, 면, 마, 기타 재생 섬유나 천연섬유, 유리섬유 기타 무기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습기 경화형 수지와의 반응성이 있거나 수분 함유량이 높은 것은 미리 표면 처리를 하여 비반응성으로 하거나,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하면 좋다. 수경화성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경우에 바람직한 소재로서는 상기 미경화의 우레탄 프리폴리머와 반응하지 않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SIS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열 실성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펠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SIS나, 이들 중 어느 하나를 혼방한 섬유를 들 수 있다. 상기 소재는 편물, 직물, 부직포, 용융 네트 등으로 형성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사용 시에 적용 부위의 요철 형상에 맞는 유연성, 신축성을 얻기 쉬운 것으로 하면 좋다. 이러한 유연성, 신축성으로서는, 적어도 가로 세로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약 15% 정도 이상의 신장을 가지면 바람직하다. 이 이하인 경우에는, 변형시켰을 때, 신체에 대한 추종성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또한 틀체(5)로서는 어느 정도의 강성과 탄력성을 가지는 소재이면 되고, 스틸제의 선재, 합성수지 등에 의하여 형성되고, 예를 들면 스틸(steel)제의 선재 철강의 경우,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서 원하는 형상으로 3차원적으로 굴곡 형성하여 양단을 코킹부(5A)에 의하여 접합함으로써 형성하면 된다. 또한, 발포 스티롤 등의 합성수지에 의하여 같은 형상으로 한 것을 사용하여도 된다.
본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1)는 모두 미도시한 방습성 자루에 밀봉 수납하고 있다. 따라서, 이 수납 상태에서는 입상체(2)가 습기에 노출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확실하게 경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방습성 자루를 개봉하여 물을 가하거나 수분을 포함시키거나, 나아가 촉매액을 분무하거나 하는 등 습기에 노출시켜 입상체(2)에 코팅한 습기 경화형 수지가 단시간에 경화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1)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차량 등의 시트(11)에 피복 장착되는 시트 커버(12)에 신체 지지구(1)를 배치한다. 구체적으로는 시트(11)의 등받이부(11A)에 틀체(5)의 상변(5B) 및 하변(5C)을 지점으로 하여 신체 지지구(1)를 재치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등에서부터 허리부를 지지하는 신체 지지구(1)로서 기능하도록 한 사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추가적으로 등받이 커버(12A)에 또한 신축성 패브릭 등의 자동차의 시트로서 적합한 커버 시트(미도시)를 피복함으로써, 신체 지지구(1)는 외관상 완전히 보이지 않게 되어, 이 유지(장비)상태에서의 시트(11)의 외관이 극히 양호하게 유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면 부호 13은 헤드레스트, 14는 좌석부이다. 또한 신체 지지구(1)는 시트(11)에 앉은 사용자의 어깨부에서 허리부를 지지하고, 허리부측으로부터 어깨부측을 향하여 지지부(4)의 두께가 점차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등과 등받이부(11A) 사이에 간격이 없고, 어깨부도 신체 지지구(1)에 의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머리부를 헤드레스트(13)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과 관련하여 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방습성 자루(미도시)로부터 신체 지지구(1)를 꺼낸다. 이 신체 지지구(1)의 투습성 부재인 직물(3) 에 분무 등으로 물을 뿌림으로써 습기 경화형 수지가 경화를 시작한다. 그와 같이 하면, 틀체(5)를 시트(11)의 등받이부(11A)에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커버 시트를 씌운다.
이어서, 사용자(미도시)가 착석하면서 이 신체 지지구(1)에 몸을 대고 누르면, 신축성을 가진 직물(3)이 신장하여 지지부(4)내의 입상체(2, 2 …)가 상호 이동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꼭 맞는 형상으로 빠르게 변형되고, 단시간(3 내지 5분)에 입상체(2, 2 …)의 표면에 코팅된 습기 경화형이 경화하여 입상체(2, 2)가 고정화되어 이 가압 변형된 형이 유지된다. 이 때, 눌려진 분만큼 입상체(2, 2)는 중앙부에서 얇아지고, 지지부(4)의 평면 형상을 변형시키려 하지만, 이 지지부(4)는 틀체(5)에 의하여 둘러싸여져 있어, 이 틀체(5)보다도 외측으로 밀려나올 일이 없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부(4)의 좌우 테두리부가 부풀려져 좌우로부터 감싸듯이 신체를 유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단시간에 간단하게 사용자 개인의 착좌 형상의 신체 지지구(1)로 성형할 수 있는 동시에, 이 신체 지지구(1)의 시트(11)측에 접하고 있는 부분도 시트(11)에 맞은 형상으로 매끄럽게 변형하여 고화하기 때문에, 시트(11)에 대하여 위치가 어긋나기 어려운 상태로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이 신체 지지구(1)는 상기 입상체(2, 2 …)에 코팅한 습기 경화형 수지가 경화하여, 그 형상을 유지하는 것으로, 각 입상체(2)가 자체 탄력성을 가지고, 이들 입상체(2, 2 …)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므로, 단단할 뿐만 아니라 적당한 유연성을 얻을 수 있고, 또한 통기성이 있으므로 장시간 사용시에도 습기가 차는 일이 없이, 양호한 유지성과 착석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1)는 습기 경화 수지를 코팅한 입상체(2, 2 …)를 틀체(5)를 골격으로 하여 신축성 있는 직물(3)로 피복하는 것만으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간편하게 설계 실현이 가능하고, 양산성이 우수하여, 저렴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신체 지지구(1)는 방습성 자루에 밀봉 수납하여 보존하므로, 방습성 자루로부터 꺼내지 않는 한, 입상체(2, 2)가 상호 접합하여 지지부(4)가 고화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운반·유통·보관성이 우수하고 취급도 극히 용이하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1)는 습기 경화형 수지를 코팅한 입상체(2, 2 …)를 다수 포함하는 지지부(4)를 가압 변형 가능한 투습성 부재된 신축성 있는 직물(3)로 피복하고, 이 직물(3)을 신체의 부분에 접촉시켜서 입상체(2, 2)를 상호 이동시키고, 지지부(4)를 그 부분에 합치한 형상으로 하여 습기 경화형 수지를 경화시켜서 사용하는 신체 지지구(1)이며, 지지부(4) 내의 입상체(2, 2)의 상호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수단인 틀체(5)를 설치하고, 이 틀체(5)에 의하여 신체 지지구(1)의 외형 형상을 형성하도록 하고, 지지부(4)내의 입상체(2, 2)의 상호 이동을 지지부(4)의 외주연(테두리)을 틀체(5)로 둘러쌈으로써 규정한 것이므로, 시트(11)와 사용자의 신체와의 사이에 습기를 부여한 신체 지지구(1)를 세트하고, 사용자가 착석하면서 이 신체 지지구(1)를 가압하면, 지지부(4) 내의 입상체(2, 2)가 상호 이동하여 사용자의 엉덩이나 허리나 등 등의 접촉부분에 꼭 맞는 형상으로 변형된 상태로 습기 경화형 수지가 경화되고, 입상체(2, 2)가 고정화되어, 사용자의 착석 형상에 따른 형상으로 유지된다. 이 때, 지지부(4)내의 입상체(2)의 상호 이동을 틀체(5)에 의하여 규정하고 있으므로 지지부(4)의 형상이 크게 흐트러지지 않고, 좌석이나 의자 등의 폭이 규정되어 있는 시트용 신체 지지구로서 적합한 것이 되었다. 특히 입상체(2, 2)는 그 자체가 적당한 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체위를 확실하게 고정 또는 유지시킬 수 있고, 체압도 효과적으로 분산되어 통기성이 우수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는 기본적으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1)는 습기 경화형 수지를 코팅 한 입상체(2, 2 …)를 변형성 성형체 용기(21)에 수납하고, 그 개방면측을 필름(23) 등으로 피복하여 지지부(4)를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이 예에서는 지지부(4) 내의 입상체(2, 2)의 상호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수단은 지지부(4)를 일측 방향으로부터 성형체 용기로 덮는 동시에, 상기 성형체 용기(21)의 개방측을 필름(23) 등으로 봉쇄하여도 된다. 상기 성형체 용기(21)는 가소성을 가지는 소재인 유연한 합성 수지제의 메쉬재로 이루어져, 투습성을 가지고 있고,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방형의 모서리부를 비스듬히 재단한 8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지는 상자체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변형성의 성형체 용기란 가소성 또는 역파괴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성형체 용기이며, 가소성을 가지는 소재로서는, 보드지(cardboard), 데님지,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등의 합성수지제 메쉬(mesh) 등 통기성·투습성도 갖춘 것을 이용하는 것이 좋고, 또한, 통기성·투습성을 가지지 않는 각종합성 수지성의 유연성을 가지는 시트, 필름이어도 다수의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역파괴성을 가지는 소재로는 하중을 걸 경우 붕괴되지 않지만 균열이 생겨서 변형되고, 외부와의 통기성, 즉 투습성을 발휘하는 소재이며, 구체적으로는, 얇은 글래스, 얇은 아크릴, 탄산칼슘제의 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신체 지지구(1)에 있어서, 입상체(2), 습기 경화성 수지로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1)는 모두 미도시한 방습성 자루에 밀봉 수납된다.
상기 구성과 관련하여 그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방습성 자루(미도시)로부터 신체 지지구(1)를 꺼낸다. 이 신체 지지구(1)의 메쉬(mesh)제의 성형체 용기(21)에 물을 분무하는 등으로 함으로써 수분이 진입하여 입상체(2, 2)에 코팅한 습기 경화형 수지가 경화를 시작한다. 그 후, 성형체 용기(21)에 필요에 따라서 커버 시트를 씌우고, 성형체 용기(21)측이 표면측이 되도록 하여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이 차량의 시트(11)에 세트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이 신체 지지구(1)에 허리, 등, 다리 등의 신체의 소정의 부위를 대고 누르면, 성형체 용기(21)가 변형하여 지지부(4) 내의 입상체(2, 2 …)가 상호 이동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꼭 맞는 형상으로 빠르게 변형하여 단시간(3 내지 5분)에 입상체(2, 2)의 표면에 코팅된 습기 경화형이 경화하여 입상체(2, 2)의 고정화에 따라 성형체 용기(21, 21)가 그 변형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 때, 가압된 분만큼만 지지부(4)의 형상을 변형시키려고 하지만, 이 지지부(4)가 일측으로부터 성형체 용기(21)에 의하여 덮어져 있기 때문에, 일측 방향 및 이 성형체 용기(21) 둘레의 벽부(21A)로 둘러싸인 바닥면(21B)에 대한 가로방향으로의 상호 이동이 규정되어 성형체 용기(21)로부터 밀려나올 일이 없기 때문에, 성형체 용기(21)에 따른 형상의 신체 지지구(1)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신체 지지구(1)는 상기 입상체(2, 2 …)에 코팅한 습기 경화형 수지가 경화하여 상호 접합하여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지만, 각 입상체(2) 자체의 탄력성을 가지는 데 있어서, 이들 입상체(2, 2 …) 사이에는 틈이 생기므로, 단단할 뿐만 아니라 적당한 유연성을 얻을 수 있고, 또 통기성이 있어 장시간 사용하여도 습기가 차는 일이 없고, 양호한 유지성과 착석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하여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는 기본적으로는 전술한 제2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1)는 습기 경화형 수지를 코팅한 입상체(2, 2··)를 한 쌍의 변형성 성형체 용기(21, 21)에 수납하여 지지부(4)를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이 예에서는 지지부(4)내의 입상체(2, 2)의 상호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수단은 지지부(4)의 전 주위를 성형체 용기(21, 21)로 덮어서 된다. 상기 성형체 용기(21, 21)는 메쉬(mesh)재로 이루어지는 유연한 합성 수지제로 투습성을 가지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신체 지지구(1)에 있어서, 입상체(2), 습기 경화성 수지로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1)는 모두 미도시한 방습성 자루에 밀봉 수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3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1)는 전술한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지지부의 양측을 성형체 용기(21)로 하고 있으므로, 앞뒤 구별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대하여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4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는 기본적으로는 전술한 제2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1)는 습기 경화형 수지를 코팅한 입상체(2, 2 …)를 변형성의 성형체 용기(24)에 수납하고, 그 개방면측을 필름(23) 등으로 피복하여 지지부(4)를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이 예에서는, 지지부(4) 내의 입상체(2, 2)의 상호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수단은 지지부(4)를 일측 방향으로부터 성형체 용기(24)로 덮는 동시에, 상기 성형체 용기(24)의 개방측을 필름(23) 등으로 봉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성형체 용기(24)는 메쉬재로 이루어지는 유연한 합성 수지제로 투습성을 가지고 있고, 도 2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본 장방형으로 상하 단부에서 매끄럽게 그 두께가 점감하는 테이퍼부(25)를 형성한 상자체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신체 지지구(1)에 있어서, 입상체(2), 습기 경화성 수지로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1)는 모두 미도시한 방습성 자루에 밀봉 수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4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1)는 전술한 제2 실시예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성형체 용기(24)의 상하 단부에 매끄럽게 그 두께가 점감하도록 테이퍼부(25)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차량의 시트(11) 등에 설치하였을 때에 시트와의 사이에 단차부가 생기지 않고, 착석시 등의 위화감을 해소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대하여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5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는 기본적으로는 전술한 제2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1)는 습기 경화형 수지를 코팅한 입상체(2, 2 …)를 변형성 성형체 용기(26)에 수납하고, 그 개방면측을 필름(23) 등으로 피복하여 지지부(4)를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이 예에서는, 지지부(4) 내의 입상체(2, 2)의 상호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수단은 지지부(4)를 일측 방향으로부터 성형체 용기(26)로 덮는 동시에 상기 성형체 용기(26)의 개방측을 필름(23) 등으로 봉쇄하여도 된다. 상기 성형체 용기(26)는 메쉬(mesh)재로 이루어지는 유연한 합성수지제로 투습성을 가지고 있고, 도 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장방형으로 좌우 단부에 두께를 증대시킨 홀드부(27)를 형성한 상자체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신체 지지구(1)에 있어서, 입상체(2), 습기 경화성 수지로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1)는 모두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방습성 자루에 밀봉 수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5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1)는 전술한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것은 좌우 단부에 두께를 증대시킨 홀드부(27)를 형성한 버킷 시트(bucket seat) 타입이며, 통상 이러한 복잡한 형상의 것은 그 제조가 매우 번거롭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성형체 용기(26)를 대응하는 형상으로 성형하기만 하면 되고, 각종 형상으로 하는 데도 적합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1)에 있어서는, 지지부(4)는 시트(11)의 등받이부(11A)에 배치되어, 지지부(4)의 좌우 단부에 홀드부(27, 27)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사용자의 등을 양측으로부터 유지하기 위해서, 허리로부터 등의 근육에 부담의 없는 상태에서 착석할 수 있고, 허리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복잡한 형상의 신체 지지구(1)의 경우, 가소성 또는 역파괴성의 성형체 용기(26)로 이루어지므로, 보관, 반송 과정에서 홀드부(27)가 변형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체 지지구(1)의 상측 반 정도의 형상에 대응한 오목부(28A)를 가지는 발포 폴리스틸렌제 등 위(上) 수용 용기(28)와, 신체 지지구(1)의 하측 반 정도의 형상에 대응한 오목부(29A)를 가지는 발포 폴리스틸렌제 등 아래(下) 수용 용기(29)에 의하여 초기 형상을 고정한 상태로 주위를 잘 싼 후, 방습성 봉투(30)로 밀봉 포장하여 외력을 차단함으로써 성형체 용기(26)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외력을 차단한 수용 용기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적용 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1)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습기 경화형 수지를 코팅한 입상체(2, 2 …)를 가압 변형 가능한 투습성 부재인 섬유 집합체로 이루어지는 실로 형성된 편물, 직포, 부직포 또는 모노 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2장의 신축성 직물(3, 3)에 의하여 피복하고, 이 두 장의 직물(3, 3)을 바둑무늬 모양으로 봉제함으로써, 복수의 구획(4A)에 의하여 지지부(4)를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이 직물(3,3)의 크기는 접촉하는 부위의 신체 폭보다 다소 크게 설정하고, 접촉하는 부위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감싸 유지시켜 극히 양호한 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신체 지지구(1)에 있어서, 입상체(2), 습기 경화성 수지 및 직물(3)로서는 전술한 제l 실시예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1)는 모두 미도시한 방습성 자루에 밀봉 수납된다.
상기 구성과 관련하여 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방습성 자루(미도시)로부터 신체 지지구(1)를 꺼낸다. 이 신체 지지구(1)의 투습성 부재인 직물(3)에 분무 등으로 물을 압입함으로써 습기 경화형 수지의 경화를 개시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착석하면서 이 신체 지지구(1)에 몸을 대고 누르면, 신축성이 있는 직물(3)이 신장하여 지지부(4)내의 입상체(2, 2 …)가 상호 이동하고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형상으로 빠르게 변형하여 단시간(3 내지 5분)에 입상체(2, 2 …)의 표면에 코팅된 습기 경화형이 경화하여 이 가압 변형한 형이 유지된다. 이 때, 눌려진 입상체(2, 2)는 중앙부에서 얇아지고, 지지부(4)의 형상을 변형시키게 하지만, 이 지지부(4)는 눌려진 분만큼 복수의 구획(4A)으로 구획되어 있으므로, 이 구획(4A)보다도 외측으로 밀려나오는 경우는 없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좌우의 가장자리부만 부풀어 좌우로부터 감싸듯이 신체를 홀드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단시간에 간단하게 사용자 개인의 착석 형상의 신체 지지구(1)로 성형할 수 있는 동시에, 이 신체 지지구(1)의 시트(11)측에 접하고 있는 부분도 시트(11)에 맞는 형상으로 매끄럽게 변형하여 고정화되므로, 시트(11)에 대하여 위치가 어긋나기 어려운 상태로 설치할 수 있게 되고, 그 밖에도 이 신체 지지구(1)는 상기 입상체(2, 2 …)에 코팅한 습기 경화형 수지가 경화하여 그 상호 접합하여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지만, 각 입상체(2) 자체 탄력성을 가지고, 이들 입상체(2, 2 …)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므로, 단단할 뿐만 아니라 적당한 유연성을 얻을 수 있고, 또 통기성이 있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여도 습기가 차는 일이 없고, 양호한 유지성과 착석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습기 경화 수지를 코팅한 입상체(2, 2 …)를 신축성 있는 직물(3)로 피복하여 봉제하는 것만으로 본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1)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 실현 가능하고, 양산성이 우수하며, 저렴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신체 지지구(1)는 방습성 자루에 밀봉 수납하고 있으므로, 방습성 자루로부터 꺼내지 않는 한 입상체(2, 2 …)가 상호 접합하여 지지부(4)가 고정화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운반·유통·보관성이 우수하고 취급도 극히 용이하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제6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1)는 지지부(4)내의 입상체(2, 2)의 상호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수단은 가소성 시트상체인 직물(3, 3)에 의하여 지지부(4)의 양면을 피복하여 이들 양측의 직물(3, 3)에 의하여 지지부(4)를 복수로 구획하도록 바둑무늬상으로 접합하고 있고, 습기 경화형 수지를 코팅한 입상체(2, 2 …)를 다수 포함하는 지지부(4)를 복수의 구획(4A)을 형성하도록 봉제하여 입상체(2, 2)의 상호 이동을 규정한 것이므로, 지지부(4)내의 입상체(2, 2)는 이 구획 내(4A)에서만 상호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신축성 있는 직물(3)에 대응한 형상의 신체 지지구(1)로 할 수 있다. 특히, 입상체(2, 2)는 그 자체가 적당한 탄성을 가지고 있고 체위를 확실하게 고정 또는 유지할 수 있고, 체압도 효과적으로 분산되어 통기성도 우수하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1)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습기 경화형 수지를 코팅한 입상체(2,2 …)를 소망하는 형상으로 외표면만을 경화시켜서 가압 변형 가능한 투습성 부재인 경화층(2A)을 형성하여 지지부(4)로 한 것이다. 또한, 이 예에서는 지지부(4) 내의 입상체(2, 2)의 상호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수단은 상기 경화층(2A)을 구비한다. 이 때문에, 입상체(2, 2)는 외측 표면의 경화층(2A)에 의하여 포위되어, 그 내측에서 상호 이동하여 변형되므로, 외측 표면의 경화층(2A)에 의하여 그 변형이 규정되고, 크게 변형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1)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것과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지지부와 투습성 부재를 동일한 재질로 동시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나 경제성이 향상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는, 아래와 같이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즉,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체 지지구(1)의 일측면과 동일한 형상의 캐비티(32)를 가지는 형(31)을 제조해 두고, 이 캐비티(32)내에 입상체(2, 2)를 얇게 부설하고, 분무 등에 의하여 수분을 뿌려 습기 경화형 수지를 경화 시킴으로써 일측면측의 경화층(33)을 형성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타측면측의 경화층(34)을 형성해 두고, 이들 경화층(33, 34)을 그 내부공간에 미경화의 입상체(2, 2)를 봉하도록 하여 접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은 어디까지나 개념적인 것이며, 예를 들면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형(32)에 투습성을 가지는 표피재(35)를 부설하고 나서 입상체(2, 2)를 얇게 부설하고, 표피재(35)와 일체적으로 경화층(33,34)을 형성함으로써, 경화층(33, 34)이 붕괴되거나 하는 경우가 없 이, 외관이 향상된 것으로 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태양이 가능하다.
상기 제2 내지 제7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의 규제수단은 지지부(4)내의 입상체(2, 2)의 상호 이동을 규제할 수 있으면 여러 가지 태양으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대하여 도 2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8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는 기본적으로는 전술한 제3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1)는 전술한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부(4)의 중심부에 발포 폴리우레탄 등의 탄성을 가지는 발포체(41)를 포함시킨 것이다. 또한 이 예에서는 발포체(41)가 용적 가변수단이며, 이 용적 가변수단에 의하여 신체 지지구(1)의 외형 형상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고, 또한 발포체(41)는 지지부(4)내에 마련되어 지지부(4)의 용적 변화를 흡수하는 완충부이다.
이와 같이 지지부(4) 내에 발포체(41)을 포함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착석하면서 이 신체 지지구(1)에 몸을 대고 누르면, 성형체 용기(21, 21)가 변형하여 지지부(4)내의 입상체(2, 2 …)가 상호 이동하는 동시에, 발포체(41)가 수축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형상으로 빠르게 변형된다. 또한, 단시간(3 내지 5분)에 입상체(2, 2 …)의 표면에 코팅된 습기 경화형이 경화하여 입상체(2, 2)가 고정화하고, 발포체(41)는 그 수축한 형상으로 유지되어 이 가압 변형된 형이 유지될 수 있다. 특히 이 신체 지지구(1)는, 전기한 각 입상체(2)의 자체 탄력성을 가지는 것 이외에도 지지부(4) 내에 발포체(41)를 가지므로, 유연성이 뛰어나다. 또한, 비교적 고가여서 취급하기 어려운 습기 경화형 수지를 코팅 한 입상체(2, 2)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신체 지지구의 제9 실시예에 대하여, 도 24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1)는 습기 경화형 수지를 코팅한 입상체(2, 2 …)을 일측(배면측)을 구성하는 변형성 성형체 용기(52)와 타측(표면측)을 구성하는 변형성 성형체 용기(53)의 사이에 수납하여 지지부(4)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이 성형체 용기(52, 53)는 메쉬재로 이루어지는 유연한 합성수지제(20)로 투습성을 가지고 있고, 도 24에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평면 장방형으로 좌우 단부에 두께를 증대시킨 홀드부(54)를 형성한 버킷 형의 신체 지지구(51)로 되어 있다. 또한 이면측을 구성하는 성형체 용기(52)의 좌우 홀드부(54)를 구성하는 벽면에는, 성형체 용기(52)의 입상체(2, 2)의 지름보다도 충분하게 큰 원형의 역개구부(5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역개구부(55)는 성형체 용기(52)의 벽면을 원형으로 단속적으로 파단하여 박음질 상의 파탄부를 형성한 것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지부(4)내의 압력이 상승하면 파단부가 벌어져 원형의 개구부를 개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신체 지지구에 있어서, 입상체(2), 습기 경화성 수지로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51)는 미도시한 방습성 자루에 밀봉 수납되어 보관 등에 제공된다. 따라서, 이 수납 상태에서는 입상체(2)가 습기에 노출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확실하게 경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방습성 자루를 개봉하여 물을 가하거나 수분을 포함시키거나, 또한 촉매액을 분무하거나 하는 등 습기에 노출됨으로써 입상체(2)가 단시간에 경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신체 지지구(51) 에는 신축성의 패브릭 등의 자동차 시트로서 적합한 커버 시트(도시 생략)를 피복함으로써, 신체 지지구(51)가 외관상 전혀 보이지 않아, 이 장착 상태에서의 외관이 극히 양호하게 유지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51)는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 등의 시트(61)에 피복 장착되는 시트 커버(62)에 배치한다. 또한, 도면 중 부호 63은 헤드 레스트이다.
상기 구성과 관련하여 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방습성 자루(도시 생략)로부터 신체 지지구(51)를 꺼낸다. 이 신체 지지구(51)의 투습성 부재인 성형체 용기(52, 53)에 분무 등으로 물을 분무함으로써 구멍으로부터 수분이 진입하여 습기 경화형 수지가 경화를 시작한다 (도 27a). 그 후, 신체 지지구(51)를 시트(61)의 등받이부(61A)에 장착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이 신체 지지구(51)에 허리, 등, 발 등의 신체의 소정의 부위를 대고 누르면, 가소성의 성형체 용기(52, 53), 특히 표면측의 성형체 용기(53)가 변형하여 지지부(4)내의 입상체(2, 2 …)가 상호 이동하는 동시에 지지부(4)내의 입상체(2, 2)에 의한 압력이 증대되고, 역개구부(55)의 파단부가 벌어져 원형의 개구부를 개구한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눌려진 분만큼 지지부(4)내의 압력이 높아져 그 형상을 변형시키게 되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성형체 용기(52)에 역개구부(55)를 형성하고, 입상체(2, 2)에 의한 압력이 소정의 압력을 넘으면 이것이 개구하고, 누르는 힘, 즉 사용자의 체격에 대응하는 양의 입상체(2, 2 …)가 습기 경화형 수지의 경화에 따르는 고점도화에 의하여 천천히 역개구부(55)로부터 배출된다(도 27b). 이것에 의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형상으로 빠르게 변형하여 단시간(3 내지 5분)에 입상체(2, 2 …)의 표면에 코팅된 습기 경화형이 경화하여 입상체(2, 2)의 고정화에 따라 성형체 용기(52, 53)가 그 변형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역개구부(55)로부터 배출된 입상체(2, 2)를 잘라낸다(도 27c).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지부(4)가 일측으로부터 성형체 용기(52)에 의하여 덮어져 있는 동시에 홀드부(54)에 역개구부(5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체격에 대응하여 입상체(2, 2 …)가 역개구부(55)로부터 배출되어, 규정의 형상으로부터 변형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더군다나 이 신체 지지구(1)는 상기 입상체(2, 2 …)에 코팅한 습기 경화형 수지가 경화하여 상호 접합하여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지만, 각 입상체 그 자체가 탄력성을 가지고, 이들 입상체(2, 2 …)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므로, 단단할 뿐만 아니라 적당한 유연성을 얻을 수 있고, 또 통기성이 있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 시에도 습기가 차는 경우가 없고, 양호한 유지성과 착석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제9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51)는 습기 경화형 수지를 코팅한 입상체(2, 2)를 다수 포함하는 지지부(4)를 가압 변형 가능한 투습성 부재인 변형성의 성형체 용기(52, 53)로 피복하고, 이 성형체 용기(52,53)를 신체의 부분에 접촉시켜서 입상체(2, 2)를 상호 이동시켜서 지지부(4)를 그 부분에 합치한 형상으로 하여 습기 경화형 수지를 경화시켜서 사용하는 신체 지지구(51)이며, 지지부(4)의 용적 가변수단을 설치하고, 이 용적 가변수단에 의하여 신체 지지구(51)의 외형 형상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용적 가변수단은 지지부(4)의 적어도 일측을 성형체 용기(52)로 덮고, 이 성형체 용기(52)에 역개구부(55)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성형체 용기(52)의 개방측을 가압 변형 가능한 투습성 부재인 성형체 용기(53)로 피복하고, 이 성형체 용기(53)를 신체의 부분에 접촉시켜서 상기 지지부 내의 압력을 증가에 의하여 역개구부(55)를 열어 입상체(2, 2)를 배출하여 상기 지지부(4)의 용적을 변화시키고, 이에 따라 신체 지지구의 외형을 규정한 것이므로, 지지부(4)내의 입상체(2, 2)가 가압되어서 입상체(2, 2)에 의한 압력이 증대되면, 성형체 용기(52)의 역개구부(55)가 열려 입상체(2, 2)가 이 역개구부(55)로부터 외부로 유출됨으로써 지지부(4)의 용적을 변화시켜 신체 지지구의 외형을 규정하기 때문에 지지부의 형상이 크게 흐트러지지 않고, 좌석이나 의자 등의 시트용 신체 지지구(51)로서 적합한 것이 된다. 특히 입상체(2, 2)를 그 자체가 탄력성을 가지는 것으로 함으로써 체위를 확실하게 고정 또는 유지할 수 있고, 체압도 효과적으로 분산되어서 통기성도 우수하다. 또한 홀드부(54)에 의하여 양호한 착석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체 지지구의 제10 실시예에 대하여, 도 28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71)는 습기 경화형 수지를 코팅한 입상체(2, 2 …)를 일측(밑면측)을 구성하는 가소성 또는 역파괴성의 성형체 용기(72)와 타측(윗면측)을 구성하는 가소성 또는역파괴성의 성형체 용기(73)와의 사이에 수납하여 지지부(4)를 형성하고 있고, 이 성형체 용기(72,73)는 합성수지제의 메쉬재로 이루어져 투습성을 가지고 있으며, 평면적으로는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서리부를 둥글린 장방형이고, 단면적으로는 도 29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중앙부에 반구모양의 돔부(74)를 형성한 신체 지지구(71)로 되어 있다. 이 신체 지지구(71)에 있어서, 성형체 용기(72,73)는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또한 밑면측을 구성하는 성형체 용기(72)의 돔부(72A)에는, 입상체(2, 2)의 지름보다도 충분하게 큰 원형으로 단속적으로 파단부를 형성하여 원형의 역개구부(7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역개구부(7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지부(4)내의 압력이 상승하면 단속적인 파단부가 벌어져 원형의 개구부를 개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예의 용적 가변수단은 지지부(4)의 적어도 일측을 소정 형상의 성형체 용기(72)로 덮고, 상기 성형체 용기(72)에 역개구부(75)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성형체 용기(72)의 개방측을 가압 변형 가능한 투습성 부재인 성형체 용기(73)로 피복하고, 이 성형체 용기(73)를 신체의 부분에 접촉시켜서 가압 변형함으로써 지지부(4)내의 입상체(2, 2)의 압력을 증가시켜서 역개구부(75)를 개구하고, 입상체(2)를 배출하여 지지부(4)의 용적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신체 지지구에 있어서, 입상체(2), 습기 경화성 수지로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71)는 도시하지 않은 방습성 자루에 밀봉 수납되어서 보관 등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수납 상태에서는 입상체(2)가 습기에 노출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확실하게 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방습성 자루를 개봉하여 물을 가하거나 수분을 포함시키거나, 또한 촉매액을 분무하거나 하는 등 습기에 노출되는 것으로 입상체(2)가 단시간에서 경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신체 지지구에는 또한 신축성의 직물(미도시)로 피복함으로써, 신체 지지구(1)의 외관을 향상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71)는, 예를 들면 구두 바닥의 장심 부분에 위치하도록 구두 속에 배치한다.
상기 구성과 관련하여 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방습성 자루(미도시)로부터, 신체 지지구(71)를 꺼낸다. 이 신체 지지구(71)의 투습성 부재인 성형체 용기(72,73)에 분무 등으로 물을 뿌림으로써 구멍으로부터 수분이 진입하여 습기 경화형 수지가 경화를 시작한다(도 29). 이와 같이 하면, 신체 지지구(71)를 구두 바닥의 장심 부분에 설치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이 신체 지지구(71)를 설치한 구두 안에 발을 넣으면, 가소성 또는 역파괴성의 성형체 용기(72,73), 특히 상측의 성형체 용기(73)가 변형하여 지지부(4)내의 입상체(2, 2 …)가 상호 이동하는 동시에 지지부(4)내의 입상체(2, 2)에 의한 압력이 증대하고, 역개구부(75)의 파단부가 개열하여 원형의 개구부를 개구한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가압된 분만큼 지지부(4) 내의 압력이 높아져 그 형상을 변형시키려고 하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성형체 용기(72)에 역개구부(75)를 형성하고, 입상체(2, 2)에 의한 압력이 소정의 압력을 넘으면 이것이 개구하고, 가압력 즉 사용자의 체격에 따른 양의 입상체(2, 2 …)가 습기 경화형 수지의 경화에 따르는 고점도화에 의해 천천히 역개구부(75)로부터 배출된다(도 30). 이에 따라 사용자의 발형에 꼭 맞는 형상으로 빠르게 변형하여 단시간(3 내지 5분)에 입상체(2, 2 …)의 표면에 코팅된 습기 경화형이 경화하여 입상체(2, 2)의 고정화에 의하여 성형체 용기(72, 73)가 그 변형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는 구두의 안창 등 소형의 지지구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3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지지부(4)의 중심부에 발포 폴리우레탄 등의 탄성을 가지는 발포체(76)을 포함시켜도 좋다. 이와 같이 지지부(4) 내에 용적 가변수단인 발포체(76)를 포함시킴 으로써, 지지부(4)내의 입상체(2, 2 …)가 상호 이동하는 동시에 발포체(76)가 수축되어 사용자의 발 형상에 꼭 맞는 형상으로 빠르게 변형된다. 그리고, 단시간(3 내지 5분)에 입상체(2, 2 …)의 표면에 코팅된 습기 경화형이 경화하여 입상체(2, 2)가 고정화되고, 발포체(76)는 그 수축된 형상으로 유지되어 이 가압 변형된 형을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신체 지지구의 제11 실시예에 대하여, 도 32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1)는 사용자의 어깨부(U1)로부터 허리부(U2)를 지지하고, 허리 대응부(102)로부터 어깨 대응부(101)를 향하여 지지부(4)의 두께가 점차로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U)의 등과 등받이부(11A)와의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지 않고, 어깨부(102)도 신체 지지구(1)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사용자의 머리부를 헤드레스트(13)에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이 신체 지지구(1)는 상기 각 실시예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깨 대응부(101)과 허리 대응부(102)는 등받이부(11A)에 배치되는 등받이 대응부이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서는 지지부(4)는 시트(11)의 등받이부(11A)에 배치되어 허리 대응부(102)와 어깨 대응부(101)를 가지고, 어깨 대응부(101)를 향하여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U)의 어깨부(U1)측과 등받이부(11A)와의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사용자(U)의 머리부를 헤드레스트에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신체 지지구의 제12 실시예에 대하여, 도 3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1)는 등받이부(11)에 접촉하는 등받이 대응부(81)와, 시트(11)의 좌석부(14)에 접촉하는 좌석 대응부(82)를 가지고, 상기 등받이 대응부(81)는 허리부(U2)의 상방까지 뻗어 있고, 신체 지지구(1)는 등받이부(11)의 전면 하부와 좌석부(14)의 상면 후부와의 모서리부 공간(K)를 막는 형상을 되어 있다. 그리고 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리사이클링식의 시트(11)의 경우, 사용자와 시트(11)에 모서리부 공간(K)이 발생함으로써, 허리부(U2)에의 부담을 일으키는데 대하여, 본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1)는 상기 모서리부 공간(K)을 막음으로써 착석감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이 신체 지지구(1)는, 상기 각 실시예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4)는 시트(11)의 등받이부(11A)에 배치되는 등받이 대응부(81)와 시트(11)의 좌석부(14)에 배치되는 좌석 대응부(82)를 구비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허리부(U2)로부터 어깨부(U3)에 걸쳐서 홀드할 수 있고, 신체 지지구(1)에 의한 체중의 압박을 받는 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허리부(U2)에 가해지는 부분적인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따라서, 착석 자세에서의 운전 등에 의한 요통의 파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신체 지지구의 제13 실시예에 대하여, 도 34 내지 도 3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12 실시예의 신체 지지구(1)에 틀체(5)를 사용하고 있다. 도 34 내지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체 지지구(1)는 측면으로부터 보아서 대략 3각 기둥 형상을 이루고, 이 삼각 단면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11A)에 접촉하는 등받이 접촉면과, 상기 좌석부(14)에 접촉하는 좌석 접촉면(1B)과, 나머지 사면(1C)을 가지고, 상기 좌석 접촉면(1B)의 길이(LB)보다 등받이 접촉면(1A)의 길이(LA)가 길어, 이 길이(LA)보다 나머지의 사면(1C)의 길이(LC)가 길게 형성되고 있고, 그 사면(1C)에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한다. 또한 규제수단으로서 틀체(5)를 사용하고, 이 틀체(5)는 신체 지지구(1)의 측면 테두리에 대응하는 삼각 틀부(91, 91)를 구비하고, 이들 삼각 틀부(91,91)를 신체 지지구(1)의 폭 방향의 연결 테두리부(92)에 의하여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삼각 테두리부(91)의 모서리부는 만곡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신체를 접촉하는 상기 사면(1C)의 상하에는 틀체(5)가 마련되어지지 않기 때문에, 착석시에 사용자가 틀체(5)를 의식할 일이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규제수단은 지지부(4)의 외주연을 둘러싸는 틀체(5)이며, 틀체(5)에 따른 외주형상에 신체 지지구(1)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신체지지구의 제14 실시예에 대하여, 도 3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예의 신체 지지구(1)는 규제수단으로서 틀체(5)를 구비하고, 등받이부(11A)에 배치되는 등받이 대응부(81)의 좌우 단부에 두께를 증대시킨 홀드부(111)를 형성한 버킷 시트(bucket seat)타입이다. 또한, 등받이 대응부(81)의 상부는 사용자의 어깨부(U1)까지 뻗어 있다. 상기 홀드부(111)는 높이 방향 중앙에, 뒤측으로 만곡상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112)를 가지고, 그 상하에 각각 전측에 만곡상으로 돌출된 볼록부(113, 114)를 가지며, 위의 볼록부(113)가 사용자(U)의 어깨부(U1)을 홀드하고, 아래의 볼록부(114)가 사용자의 허리부(U2)의 주위를 홀드한다. 도 38은 사용 전의 신체 지지구(1)의 단면을 나타내고, 상기 홀드부(111)는 미리 등받이 대응부(81)의 가장자리측을 전측 비스듬히 바깥 방향으로 접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틀체(5)는 등받이부(81)의 상하와 좌우의 홀드부(111,111)의 전 가장자리 형상을 모방한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좌우의 홀드부(111,111)는 사용자의 신체를 좌우로부터 끼우는 위치에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4)는 시트(11)의 등받이부(11A)에 배치되어, 지지부(4)의 좌우 단부에 홀드부(111,111)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사용자의 등을 양측으로부터 홀드하므로, 허리로부터 등의 근육에 부담이 없는 상태로 착석할 수 있고, 허리에 대한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신체 지지구의 제15 실시예에 대하여, 도 39 내지 도 4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이 예의 신체 지지구(1)는 규제수단으로서 틀체(5)를 구비하고, 좌석부(14)에 부설하는 등의 방식으로 배치되어, 좌우의 단부에 두께를 증가시킨 홀드부(121, 121)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홀드부(121)는 좌우의 가장자리측을 상측 비스듬한 바깥 방향으로 접어 형성되어 있고, 좌우의 홀드부(121, 121)가 신체(5)를 좌우로부터 사이에 끼우는 위치에 있다. 또한 도 4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틀체(5)는 홀드부(121)에 대응하는 측테두리부(131)를 좌우에 가지고, 좌우의 측테두리부(131, 131)의 후부를 연결 테두리부(132)에 의하여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4)는 시트(11)의 좌석부(14)에 배치되어, 지지부의 좌우 단부에 홀드부를 형성한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U)의 엉덩이부(U3)를 양측으로부터 홀드하기 때문에, 착석 자세를 바르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가압 변형 가능한 투습성 부재로서 신축성의 직물(3)을 사용하고, 습기 경화형 수지를 코팅한 입상체를 피복하여 테두리부에 개더(gather)를 두어 지지부의 용적을 변화시켜도 좋다. 또한 가압 변형 가능한 투습성 부재로서는, 가압 변형 가능하여 투습성 가지는 재료이면 되고, 직물이나 플라스틱제의 용기에 한하지 않으며, 종이, 천연 또는 합성 피혁 등으로 나누어도 좋다. 또한 그 자체가 투습성을 가지지 않아도 니들 펀치 등에 의하여 구멍을 형성하여 투습성을 부여한 재료로 하여도 되고, 그러한 재료이면 합성수지제의 필름, 시트이어도 된다.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습기 경화형 수지를 코팅한 다수의 입상체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가압 변형 가능한 투습성 부재로 피복하고, 상기 가압 변형 가능한 투습성 부재를 신체의 부분에 접촉시키고 상기 입상체를 상호 이동시켜 지지부를 상기 신체 부분에 합치한 형상으로 하고 습기 경화형 수지를 경화시켜서 사용하는 신체 지지구로서, 상기 지지부의 용적 가변수단을 설치하고, 이 용적 가변수단에 의하여 상기 신체 지지구의 외형 형상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용적 가변수단은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일측을 소정 형상의 성형체 용기로 덮고, 상기 성형체 용기에 역개구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성형체 용기의 개방 측을 가압 변형 가능한 투습성 부재로 피복하고, 상기 투습성 부재를 신체의 부분에 접촉시켜서 가압 변형함으로써 상기 지지부 내의 입상체의 압력을 증가시켜서 역개구부를 개구하고, 상기 입상체를 배출하여 상기 지지부의 용적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지지구.
  9. 습기 경화형 수지를 코팅한 다수의 입상체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가압 변형 가능한 투습성 부재로 피복하고, 상기 가압 변형 가능한 투습성 부재를 신체의 부분에 접촉시키고 상기 입상체를 상호 이동시켜 지지부를 상기 신체 부분에 합치한 형상으로 하고 습기 경화형 수지를 경화시켜서 사용하는 신체 지지구로서, 상기 지지부의 용적 가변수단을 설치하고, 이 용적 가변수단에 의하여 상기 신체 지지구의 외형 형상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용적 가변수단은 상기 지지부 내에 설치된 상기 지지부의 용적 변화를 흡수하는 완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지지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가 발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지지구.
  11. 습기 경화형 수지를 코팅한 다수의 입상체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가압 변형 가능한 투습성 부재로 피복하고, 상기 가압 변형 가능한 투습성 부재를 신체의 부분에 접촉시키고 상기 입상체를 상호 이동시켜서, 상기 지지부를 상기 신체 부분에 합치된 형상으로 하고 습기 경화형 수지를 경화시켜서 사용하는 신체 지지구로서, 상기 지지부 내의 입상체의 상호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을 설치하고, 이 규제 수단에 의하여 상기 신체 지지구의 외형 형상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지지부에 발포체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지지부의 용적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지지구.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47007538A 2001-12-11 2002-12-10 신체 지지구 KR1008240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77878 2001-12-11
JPJP-P-2001-00377878 2001-12-11
PCT/JP2002/012890 WO2003049578A1 (fr) 2001-12-11 2002-12-10 Dispositif de support pour le corp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2632A KR20040072632A (ko) 2004-08-18
KR100824076B1 true KR100824076B1 (ko) 2008-04-22

Family

ID=19185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7538A KR100824076B1 (ko) 2001-12-11 2002-12-10 신체 지지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50040685A1 (ko)
EP (1) EP1454570A4 (ko)
JP (1) JP4022922B2 (ko)
KR (1) KR100824076B1 (ko)
CN (1) CN1633251A (ko)
AU (1) AU2002354125A1 (ko)
WO (1) WO20030495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7894A (ja) * 2005-08-05 2007-02-15 Honda Access Corp 身体サポート具
US20070200417A1 (en) * 2005-11-19 2007-08-30 York Julie L Seat cushion using vertically lapped fiber
US20070152488A1 (en) * 2005-12-30 2007-07-05 York Julie L Arm rest using vertical lapped fiber
JP2008188285A (ja) * 2007-02-06 2008-08-21 Bridgestone Corp バックパッド及び車両用シート
CA2852308C (en) 2011-10-27 2018-08-14 Crane Ip Pty Ltd Wearable reflective device
USD704945S1 (en) 2013-05-16 2014-05-20 Steelcase Inc. Chair
USD708466S1 (en) 2013-05-16 2014-07-08 Steelcase Inc. Chair
USD705561S1 (en) 2013-05-16 2014-05-27 Steelcase Inc. Chair
CN104670053B (zh) * 2013-11-30 2017-04-19 西德科东昌汽车座椅技术有限公司 防止面套褶皱的汽车座椅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9978A (ja) * 1992-12-03 1994-06-21 San Appro Kk 湿気速硬化性成形材料
JPH10229930A (ja) * 1997-02-20 1998-09-02 Araco Corp 座席構造
JP2001128803A (ja) * 1999-11-05 2001-05-15 Honda Access Corp シートサポート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13697A (en) * 1971-05-04 1973-01-30 Gen Fireproofing Co Chair cush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US3899210A (en) * 1973-06-01 1975-08-12 Lederman S Inc Bean-bag chair
US4011611A (en) * 1975-09-26 1977-03-15 Lederman's Incorporated Outdoor bean bag
US4027888A (en) * 1976-01-30 1977-06-07 Wilcox Thomas J Variable contour seating device
US4171549A (en) * 1977-09-07 1979-10-23 Gray Harold A Cushion ensemble and method of arranging cushions to provide the same
US4230365A (en) * 1979-01-18 1980-10-28 Alexander Messinger Article of furnitur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4347213A (en) * 1980-03-28 1982-08-31 Rogers Jr John E Method of forming contoured cushion
US4471993A (en) * 1981-11-13 1984-09-18 Watson Steven R Personalized low back support device
US4926866A (en) * 1985-10-11 1990-05-22 Lee Arnold St J System for gathering physiological data
US4667356A (en) * 1986-02-03 1987-05-26 Marsha Holmquist Adjustable infant bed and seat
US4761011A (en) * 1986-04-02 1988-08-02 Sereboff Joel L Water cushion stress-reducing assemblies for chairs and other seating devices
US4828325A (en) * 1986-05-16 1989-05-09 University Of Tennessee Research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 custom fitted composite foamed cushion, a preform kit and the resultant product of the process
WO1988006857A1 (en) * 1987-03-10 1988-09-22 Jitsuo Inagaki Bag-shaped body for cushion such as sheet, back support for automobile seat, pillow, sitting cushion, etc.
US4875732A (en) * 1987-05-04 1989-10-24 Miller Anthony D Chair construction
US4909573A (en) * 1989-03-23 1990-03-20 Barry Timothy P Child's chair
US5437614A (en) * 1993-02-16 1995-08-01 Royce Medical Company Soft-goods type, custom "in situ" formable back support
US5454993A (en) * 1994-05-31 1995-10-03 Kostich; Jeffrey V. Method for immobilizing the inferior portion of the human anatomy
US5556169A (en) * 1994-07-15 1996-09-17 Parrish; Milton E. Multi-layer conformable support system
US5572757A (en) * 1995-03-06 1996-11-12 O'sullivan; Dennis C. Body support having hingedly connected semi-cylindrical cushions
US5634685A (en) * 1995-03-20 1997-06-03 Herring; Charles Inflatable/deflatable motorcycle seat cushion
US5618131A (en) * 1995-06-07 1997-04-08 Weber; Edward A. Modified artificial surface and method and apparatus of making the same
US5707572A (en) * 1996-02-08 1998-01-13 Kostich; Jeffrey Vincent Method for immobilizing the central nervous system of the human anatomy
JP3345545B2 (ja) 1996-02-21 2002-11-18 アルケア株式会社 成形材
US5771506A (en) * 1996-10-22 1998-06-30 Joiner; Glenda P. Protection apparatus
US5733012A (en) * 1997-03-11 1998-03-31 Jones; Robert A. Therapeutic medical chair
US6467841B1 (en) * 1997-12-18 2002-10-22 A & H Design Concepts, Inc. Lumbar support
AU9587098A (en) * 1998-02-20 1999-09-06 Sand Therapeutic, Inc. Therapeutic support for the reduction of decubitus ulcers
US6053829A (en) * 1998-04-29 2000-04-25 Conley; James Game ball and method of playing a game
US6079784A (en) * 1998-07-10 2000-06-27 Peachey; James L. Adjustable back support pillow
JP3465235B2 (ja) * 1998-08-03 2003-11-10 アルケア株式会社 個対応体位保持具材
US6045178A (en) * 1998-10-30 2000-04-04 Istari, Inc. Outdoorsman's support or chair
RU2150223C1 (ru) * 1998-12-15 2000-06-10 Мелвин Собел Предмет мягкой мебели
JP2000253961A (ja) * 1999-03-05 2000-09-19 Toshiba Tec Corp 物体の外形形状維持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用いた椅子、マッサージ機
US6226820B1 (en) * 1999-07-12 2001-05-08 Polymer Concepts, Inc. Gel pad with integral shape retainer
US6152892A (en) * 1999-08-18 2000-11-28 Parker Athletic Products, Llc Lightweight custom-fitted body protective device
US6666509B2 (en) * 2000-03-17 2003-12-23 Honda Access Corp. Body support tool and seat cover holding body support tool
US6364416B1 (en) * 2000-03-17 2002-04-02 Steelcase Development Corporation Multi-function article of furniture
JP3590331B2 (ja) * 2000-07-06 2004-11-17 株式会社ホンダアクセス 身体サポート具
US6234577B1 (en) * 2000-05-08 2001-05-22 Joke, Inc. Chai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9978A (ja) * 1992-12-03 1994-06-21 San Appro Kk 湿気速硬化性成形材料
JPH10229930A (ja) * 1997-02-20 1998-09-02 Araco Corp 座席構造
JP2001128803A (ja) * 1999-11-05 2001-05-15 Honda Access Corp シートサポ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3049578A1 (ja) 2005-04-21
CN1633251A (zh) 2005-06-29
US20050040685A1 (en) 2005-02-24
WO2003049578A1 (fr) 2003-06-19
EP1454570A4 (en) 2005-07-27
JP4022922B2 (ja) 2007-12-19
EP1454570A1 (en) 2004-09-08
AU2002354125A1 (en) 2003-06-23
KR20040072632A (ko) 2004-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78266B1 (en) Physical position-retaining device for individuals
US4272898A (en) Resin-coated fiber mass containing catalyst-filled hollow fibers
US4385024A (en) Method for making a molded article from a curable material and a curing agent, the curing agent being in a container initially flexible and infrangible which is made frangible
JP3345545B2 (ja) 成形材
US6991610B2 (en) Orthopedic fixture
US6704962B2 (en) Elastic body,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attress including the same
KR100824076B1 (ko) 신체 지지구
KR20090005358A (ko) 겔 섹션을 구비한 매트리스 또는 매트리스 패드
CA3014546C (en) Position-retaining device
CN102985036B (zh) 呈身体部位形状的模具以及使用该模具的方法
US20020165295A1 (en) Forming material
JP4269288B2 (ja) 身体サポート具
US10085872B2 (en) Position-retaining device
JPH11113687A (ja) シートサポート、シートサポート用キット及びシートサポートの製造方法
KR100764901B1 (ko) 겔이 부착된 일체형 발포 성형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제조된 일체형 발포 성형체
JP3207571B2 (ja) 湿気速硬化性成形材料
JP2007037894A (ja) 身体サポート具
KR100876350B1 (ko) 점착성을 띤 겔(Gell) 튜브(tube)와 결합된 탄성스폰지쿠션지지부층 제조방법.
EP3454812A2 (en) Position-retaining device
JPH0695970B2 (ja) 椅子における座席用芯体の製造方法
JP2004142200A (ja) クッション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