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3368B1 -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 및 재생 시스템과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 및 재생 시스템과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3368B1
KR100823368B1 KR1020010027945A KR20010027945A KR100823368B1 KR 100823368 B1 KR100823368 B1 KR 100823368B1 KR 1020010027945 A KR1020010027945 A KR 1020010027945A KR 20010027945 A KR20010027945 A KR 20010027945A KR 100823368 B1 KR100823368 B1 KR 100823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virtual channel
user
recording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7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7623A (ko
Inventor
이찌오까히데또시
아사즈히데끼
이시다마사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07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7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3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3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04N21/4583Automatically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e.g. when a recording by reservation has been programmed for two programs in the same time slo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6Insert-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7PVR [Personal Video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5Housekeeping operations, e.g. prioritizing content for deletion because of storage space restri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텔레비전과 비디오 덱과 같은 일반적인 AV 장치의 하기의 조작들의 방식으로 녹화된 비디오들을 선택 및 관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해주는 방송 프로그램 녹화 재생 시스템이 제공된다. 가상 채널들은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카테고리들에 따라 할당되고, 카테고리들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들은 가상 채널들 상에 녹화된다. 녹화된 프로그램들은 각 가상 채널 상에서 동시적인 재생을 위해 시간적으로 배열되므로, 사용자는 언제라도 전원을 투입한 후 채널들을 스위칭하는 것만으로 또는 싱글 채널에 녹화된 프로그램들을 계속해서 재생시킴으로써 다양한 녹화된 프로그램들을 시청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녹화된 프로그램들을 시청하기에는 충분한 다소 소극적인 스타일을 제공한다.
Figure R1020010027945
방송 프로그램, 녹화 재생, 가상 채널, 카테고리, 싱글 채널

Description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 및 재생 시스템과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ROADCASTING PROGRA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화/재생 시스템(10)의 하드웨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리모트 컨트롤러(60) 또는 U/I(user interface) 제어 유닛(56)의 사용자 조작 패널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화/재생 시스템(10)의 프로그램 테이블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모든 카테고리에 할당된 관련 가상 채널들에 대한 녹화 내용들의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프로그램 테이블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채널 전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사용자가 관련된 프로그램 전후의 프로그램들을 시청할 수 있도록 현재 재생 처리 중에 있는 가상 채널에 적용되는 "고속 전진" 또는 "후진"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재생할 프로그램의 편성 목록이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동안 특정 가상 채널(뉴스)에서의 "고속 전진"동작을 표시하는 도면.
도 8은 임의의 가상 채널에서 프로그램들의 배열 즉, 프로그램 재생 순서를 기재한 시간표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동일한 가상 채널에 포함되는 복수의 프로그램들이 동일한 시간 동안에 생방송으로 전송되는 경우에 적용되는 가상 채널 편성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되는 "To Watch List"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재생/녹화 시스템(1)에 따라서, 자동 또는 수동 조작을 통해서 녹화되는 프로그램 컨텐츠 및 미래에 가상 채널에 녹화되도록 프로그램된 프로그램 컨텐츠들을 지정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2는 각각의 가상 채널에서 편성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3은 가상 채널의 편성표에 편성 유닛들을 위치시키는 절차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4는 각각의 가상 채널의 편성 목록과 이 편성 목록의 구성 요소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편성표를 기초로 현재 재생될 비디오를 지정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6은 스케줄링 유닛(Scheduling Unit)의 컴포넌트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플레이 유닛(Play Unit)의 컴포넌트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프로그램 정보 "TVContent"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TVContent"를 기초로 스케줄링 유닛(Scheduling Unit)을 생성하는 경우의 데이터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스케줄링 유닛(Scheduling Unit)을 기초로 플레이 유닛(Play Unit)을 생성하는 경우의 데이터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To Watch List"에 부가되는 컴포넌트 "To Watch Entry"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화/재생 시스템(10)에 있어서 가상 채널에서 프로그램 재생 순서와 함께 실제 채널의 프로그램들을 수신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녹화 재생 시스템
11 : CPU
12 : RAM
13 : ROM
15 : IEEE1394 인터페이스
16 : HDD 인터페이스
51 : 튜너
52 : 복조기
53 : 디코더
54 : RAM
55 : 믹서
56 : U/I 제어 유닛
60 : 리모트 컨트롤러
61 : 디스플레이
62 : 스피커
64 : 비디오 카메라
본 출원은 참고용으로 특별히 첨부되는 동봉물로서, 일본 특허청에 2000년 5월 23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0-150726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한다.
본 발명은 방송국으로부터 방송중에 보내진 방송 프로그램 등의 비디오를 녹화 및/혹은 재생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 조작된 비디오를 녹화하게 하고 스케줄 예약을 녹화하도록 허가하는 녹화/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자동적으로 녹화된 상당히 많은 수의 비디오들의 동작을 재생하고 볼 수 있게 지원하는 녹화/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텔레비전 및 비디오 덱(video deck)과 같은 일반 AV 장비의 다음 동작의 방식으로 녹화된 비디오의 선택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녹화/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된 AV 데이터 집단을 열화없이 기억할 수 있게 되었다. 최근, 수십 GB 이상의 용량을 갖는 HDD가 상대적으로 저비용으로 이용가능하게 됨으로써, HDD 기반 리코더가 시장에도 나오게 되었다("Apparatuses to record television programs into HDD are coming out one after another"(by Nikkei Electronics, No.727, pp. 27~28, 1998) 및 "HDD-based digital recording techniques for domestic use come out at last"(by Nikkei Electronics No.727, pp. 41~46, 1998)). 녹화 매체의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프로그램 녹화/재생 장치에 보다 많은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HDD는 거기에 녹화된 데이터에 랜덤 액세스가능한 디바이스이다. 따라서, 비디오 테이프에 녹화된 내용에 대한 종래 재생과는 다르게, HDD는 녹화된 프로그램을 최상위로부터 차례로 재생할 필요없이 사용자가 가장 좋아하는 프로그램 재생을 직접 시작할 수 있다.
그러나, 녹화 매체의 용량이 증가하여 녹화된 프로그램 수가 보다 많아질 수록, 재생할 소정의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것은 보다 어렵게 된다. 특히, 사용자의 기호 및 프로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프로그램을 녹화하도록 허가하고 스케줄 예약을 자동적으로 녹화하는 것을 허가하도록 구성된 시스템은 불충분한 녹화으로 인해 사용자가 실망하게 되는 것을 막기 위해, 필요 이상으로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재생할 소정의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선택하는데 더욱 많은 과도한 작업 부하가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녹화/재생 시스템 환경에서, 녹화된 비디오를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시청하는데 허용되는 총 시간은 녹화된 비디오 전체의 총 시간과 비교할 때 무시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그들간의 갭을 보충하기 위한 임의의 효과적인 기술이나 교정법(remedy)은 아직 개발되지 않고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 상에 녹화된 프로그램의 명칭, 채널 및 방송 데이터 등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그러한 표시 스크린을 통해 프로그램 내용을 항상 파악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표시 스크린 상에 각 프로그램의 세부 정보도 표시하려는 시도는 스크린 상에 표시된 이미지의 복잡성(complication)을 초래하여, 사용자가 스크린 상의 이미지를 시청하는 것이 극히 어렵게 된다.
시청자, 즉 사용자가 방송중인 특정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항상 주의깊게 시청하는 것은 아니다. 즉,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목적 없이 혹은 우연히 텔레비전이 켜져 있기 때문에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것과 같은 그러한 상태에서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스타일임을 가정한다. 반면에, 시청하려는 소정의 녹화된 프로그램을 차례로 판결한 이후에 사용자가 그 소정의 녹화된 프로그램을 시청하기 위해 요구되는 액션은 후자의 시청 스타일에 대해 적합하지 않다. 다시 말해, 상기 액션은 녹화된 비디오 전체의 총 시간과 녹화된 비디오를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시청하는데 허용되는 총 시간 간의 갭에 대한 어떠한 보완도 허가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사용자들 역시 특정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이 종료됨을 보는 것에 만족하여 성취감 혹은 안정감을 얻게 되는 것과 같은 심리 상태가 되는 경향이 있어, 녹화된 프로그램을 실제로 시청하려고 하지도 않을 수도 있게 한다. 그러한 이유 때문에, 대부분의 녹화된 프로그램은 단지 녹화된 것으로 남아있기 쉬운데, 즉 재생될 기회없이 아이들(idle)로 유지된다.
사용자의 기호 및 프로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녹화할 수 있게 허가하고 방송 프로그램의 스케줄 예약을 녹화할 수 있게 허가하도록 구성된 녹화/재생 시스템이 종래 기술에서 이용가능했지만, 각 녹화된 프로그램의 삭제 혹은 보전에 대한 판단 및 재생을 위해, 그들 조작을 포함하여 사용자 자신에게 수동 조작이 요구되었다. 시간표, 녹화된 프로그램의 리스트 등, 그 조작을 포함하여 모든 종류의 정보 혹은 조작을 개별적으로 표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작업에 비례하여 조작상의 실수가 쉽게 발생하여 복잡하게 된다. 우선, 상술된 녹화/재생 시스템에 있어서의 조작은 목적없이 텔레비전에서 방송중인 프로그램을 보는(시청하는) 것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수동적인 시청 스타일과 모순된다.
사용자가 녹화된 프로그램을 시청하려는 의지가 없다면, 이는 재생되지 않고 단순히 녹화된 채로 남아있는 프로그램 저장이 발생함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녹화 용량이 그 한계에 도달하므로, 사용자가 삭제할 타겟 프로그램 시청을 완료하든 완료하지 않든 그것에 관계없이 녹화된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를 삭제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보존에 대한 타당성의 조건을 설정함으로써, 시간이 만료된 프로그램의 자동 삭제를 허가하는 형태의 기능이 지금까지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녹화된 프로그램 마다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타당성의 조건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요구되고, 게다가 절절한 타당성 조건을 설정하는 것은 어렵다. 반면에, 타당성 조건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녹화/재생 시스템에 있어서, 중요한 비디오를 포함하는 비디오가 사용자의 부주의한 순간 등에 삭제될 위험이 있으므로, 사용자의 정확한 의도를 파악하면서 녹화된 비디오 보존의 관리에 상기 기능을 반영하도록 허가하는 것은 극히 어렵다. 따라서, 녹화된 비디오가 자동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집단에서 불필요한 비디오 만을 효과적으로 삭제하도록 허가하는 기능은 중대한 요구 사항이다. 상당한 수의 녹화된 프로그램에서 삭제할 타겟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것은 불가분인 것으로, 즉 시청할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것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간주된다.
반면에, 비디오 테이프와 같은 연속하는 액세스 모드의 녹화/재생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시청중인 임의의 녹화된 프로그램을 일시 중지시키더라도, 전원의 접속 해제 혹은 다른 녹화된 프로그램을 시청하기 위한 스위칭은 녹화된 프로그램 일시 정지 상태의 정보 손실을 야기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최종 일시 정지 지점에서 시청하기 위해 다시 재생하기를 원한다면, 되감기 조작 등을 위해 사용자는 카운터 값을 기억해야한다.
녹화된 프로그램의 리스트가 녹화 일자 순으로 스크린 상에 표시될 때, 사용자는 재생할 소정의 프로그램을 선택하기 전에 스크린 상에 녹화된 프로그램의 리스트를 실제로 표시하도록 해야 한다. 그러한 이유로 인해, 연속극 등을 포함하는 일련의 프로그램과 같은 연속성을 갖는 프로그램들 사이에서 조차 방송/녹화일의 간격이 있다면, 녹화될 때, 사용자가 그러한 프로그램을 기일 순으로 시청하도록 복잡한 작업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국으로부터 방송중에 보내지는 프로그램 등의 비디오의 스케줄 예약을 녹화하고 자동적으로 녹화하도록 허가될 수 있는 녹화/재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적으로 녹화된 상당히 많은 비디오를 재생하여 시청하는 조작을 지원하기에 충분한 녹화/재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텔레비전 및 비디오 덱과 같은 일반적인 AV 기기의 다음 조작 방식으로 녹화된 비디오의 선택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에 충분한 녹화/재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녹화된 비디오의 보존 관리에 반영하도록 허가하기에 충분한 녹화/재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의 관점에서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수신되거나 수신되도록 프로그램된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 및 재생하는 시스템 혹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녹화/재생 시스템 혹은 방법은 소정의 룰에 따른 카테고리로 방송 프로그램을 분류하는 프로그램 분류 수단 혹은 단계;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거나 그 녹화을 프로그래밍하는 프로그램 녹화 수단 혹은 단계; 카테고리로 분류되고, 재생 시작 순으로 관련 가상 채널에 배열된 방송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동안, 매 카테고리마다 가상 채널을 할당하는 가상 채널 관리 수단 혹은 단계; 사용자 기반 채널 선택 조작 및/혹은 프로그램 탐색 조작을 수락하는 사용자 조작 수단 혹은 단계; 및 사용자 조작 수단 혹은 단계를 통해 수락된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여 선택된 채널로부터 재생하기 위해 관련 방송 프로그램을 추출하는 프로그램 프리젠테이션 수단 혹은 단계를 포함한다.
가상 채널의 카테고리 엔트리는 사용자 프로파일 및/혹은 사용자 지시에 따라 이뤄질 수 있다.
가상 채널은 프로그램 배열을 위한 가상 채널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사용자가 관련 카테고리를 설정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임의의 카테고리 내에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프로그램 분류 수단 혹은 단계 데이터 방송을 위한 데이터의 일부로서 분배된 EPG(Electronic Programming Guide) 및 각 사용자로부터 공급된 지시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을 분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상 채널은 방송 중인 프로그램 순서, 사용자 프로파일 및 사용자 지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수립된 우선 순위에 따라 프로그램의 재생 시작 순서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상 채널 관리 수단 혹은 단계는, 실시간의 경과에 따라 선택 및 비선택 중에 가상 채널 상에 재생 시작 위치를 시프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녹화된 비디오를 재생하기 위해 능동적인 조작 혹은 시청 포즈는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구성은 수동적인 시청 스타일 등을 갖는 사용자가 쉽게 수락할 수 있고 재생될 기회 없이 단순히 아이들 상태로 유지된 녹화 프로그램의 수효의 감소를 허가한다.
사용자 조작 수단 혹은 단계는 또한 각각의 가상 채널에서 재생 지점의 일시 중지, 빨리 감기 및 되감기와 같은 프로그램 탐색 조작, 혹은 가상 채널에서 특정 프로그램에 관련있는 삭제, 보존 및 예약(추후에 시청하기 위한)을 포함하는, 녹화된 프로그램의 보존 상태를 지정하는 조작을 수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동일한 가상 채널 상에 재생된 복수의 프로그램에 걸쳐 "빨리 감기" 및 "되감기" 조작 역시 적용할 수 있다.
가상 채널 관리 수단 혹은 단계는 또한 기상 채널 상에 배열된 프로그램 설정의 보존 상태를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상 채널 관리 수단 혹은 단계는 또한 사용자에 의해 시청되든 아니든 가상 채널 상에 배열된 각 프로그램 세트를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상 채널 관리 수단 혹은 단계는 또한 각 녹화된 프로그램에 관하여 특정 보존 상태에 따라 가상 채널 상에 프로그램을 위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청된 것으로서 식별된 프로그램은 관련 가상 채널 상에서 시간축 중 가까운 과거 기간 내에 위치될 수 있고, 삭제되도록 프로그램된 것으로서 식별되는 프로그램은 시간축 중 먼 과거의 기간 내에 위치될 수 있고, 보존되는 것으로서 식별된 프로그램은 시간축 중 약간 먼 과거의 기간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가상 채널 관리 수단 혹은 단계는 또한 관련 가상 채널 상에서 시간축 중 미래의 기간 내에(방송일 및 그 이후 지점이 요구된다면), 녹화되도록 프로그램되는 것으로 식별되는 프로그램을 위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어, 사용자가 얼마나 늦게 관련 프로그램을 재생할 수 있게 되는 지에 대한 정보 프리젠테이션을 허가한다. 관련 프로그램보다 빨리 재생되도록 프로그램된 프로그램은 시간에 관해서는 오버랩되거나 동일한 시간 기간 내에 녹화되도록 희망된다면, 복수의 프로그램은 방송일 및 그 이후의 지점으로 이러한 프로그램들을 시프트하는 방식으로, 오버랩 없이 가상 채널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가상 채널 관리 수단 혹은 단계는 또한 관련 가상 채널 상에 미래 예비 시간의 기간 내에, 아직 시청(재생)되지 않고 녹화되어 남아있는 것으로 식별되는 프로그램을 위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상 채널 관리 수단 혹은 단계는 또한 우선적으로 관련 가상 채널 상에 미래 예비 시간의 기간 내에 예약되는 것으로 식별된 프로그램을 위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고, 혹은 대안으로 예를 들어 예약 기간에 따라, 프로그램을 "가까운 미래" 및 "먼 미래"로 분류하기 위해 "예약 기간"을 지정하는 방식으로 재생하기 위해 가상 채널 상에 프로그램을 위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상 채널 관리 수단 혹은 단계는 또한 미래 예비 시간의 기간이 그것의 스케줄링으로 생기는 녹화된 프로그램으로 채워지지 않을 때 오버랩된 배열로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을 위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어, 가상 채널 상에서 방송 프로그램(즉, 재생을 위한 프로그램)의 부재를 피할 수 있다.
가상 채널 관리 수단 혹은 단계는 또한 각 가상 채널 상의 프로그램 스케줄의 리스트 및 첫눈에 식별되는 형태인 각 프로그램의 시청 및 보존 상태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리스트의 표시는 또한 시청 또는 보존 상태에 따라, 혹은 채널 마다 컬러, 심볼 및 폰트를 다양화하는 방식으로 실행할 수 있다.
가상 채널 관리 수단 혹은 단계는 또한 동일한 가상 채널 상에 연속적으로 데이터를 녹화하는 위를 향하는 순서로 소위 일련의 프로그램을 배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의 배열은 프로그램 식별 정보 및 EPG에 포함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케줄될 수 있다.
가상 채널 관리 수단 혹은 단계는 또한 사용자 조작 수단 혹은 단계를 통해 제공된 "빨리 감기" 혹은 "되감기" 지시에 응답하여, 선택 중의 가상 채널상의 재생 시작 위치를 시간축의 미래 혹은 과거의 기간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방송 예정일 이전에 상응하는 프로그램에 "빨리 감기"의 조작을 허가하지 않는 지사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선택 중의 가상 채널 상의 재생 시작 위치는 사용자 조작 수단 혹은 단계를 통해 제공된 "빨리 감기" 혹은 "되감기" 지시에 응답하여, 시간축의 미래 혹은 과거의 기간으로 이동되는 반면, 비선택 중에 가상 채널 상의 재생 시작 위치는 실시간의 경과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즉, 프로그램 리스트 상에, 선택중인 가상 채널의 라인은 "빨리 감기" 혹은 "되감기" 조작에 응답하여 슬라이드되도록 설정되지만, 다른 가상 채널 라인은 슬라이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녹화/재생 시스템 혹은 방법은 또한 실제 채널을 방송중인 방송 프로그램에 할당하는 실제 채널 관리 수단 혹은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러한 경우에, 프로그램 프리젠테이션 수단 혹은 단계는 또한 상기 가상 채널의 선택에 응답하여, 사용자 조작 수단 혹은 단계를 통해 선택된 가상 채널로부터 재생을 위해 녹화된 프로그램을 추출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실제 채널의 선택에 응답하여, 사용자 조작 수단 혹은 단계를 통해 선택된 실제 채널 상에 방송중 프로그램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조작 수단 혹은 단계는 또한 실제 채널 및 가상 채널 사이의 구분 없이 채널 선택 조작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녹화/재생 시스템 혹은 방법은 각 가상 채널 상에 일시 중지된 프로그램에 관한 재생 정보 등을 관리하는 " To Watch List" 관리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o Watch List" 관리 수단 혹은 단계는 또한 일시 중지된 프로그램의 표시 상에 사용자 선택을 수용하도록 일시 중지된 프로그램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방식으로 사용자 선택에 응답하여 관련 녹화된 프로그램의 재생을 시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o Watch List"는 시스템 전원의 접속 해제 기간 동안 불휘발 홀드 상태에 놓일 수 있고, 또한 사용자로부터 명백한 지시에 따라 "To Watch List" 로부터 특정 엔트리의 삭제를 허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녹화된 비디오들이 카테고리로 분류되고, 가상 채널이 카테고리에 할당된다. 임의의 특정한 카테고리에 적합한 프로그램만이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카테고리에 따라 구성된 가상 채널에 녹화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자신은 프로그램의 어떤 종류 혹은 내용이 채널에 포함되는지 아주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또한, 가정용 등으로 복수의 사용자들 중에서 녹화/재생 시스템을 공유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가상 채널인 각 사용자에게 할당될 수 있다.
녹화된 프로그램은 각 가상 채널 상에 시간축에 배치되도록 설정되어, 각 가상 채널 상에 동시 발생하는 재생을 허가한다. 단지, 사용자에 의해 실제로 시청될 기회가 없는 가상 채널 상에는, 적절한 시간에 재생되도록 프로그램된 녹화된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공정을 활성화할 필요없이, 실시간의 경과에 따라 채널 선택 중에 재생 시작 지점을 진행시키기에 충분히 양호하다. 또한, 상기 가상 채널은 지점 대 지점 계산 필요 없이, 채널 선택 중에 재생 시작 지점을 계산하기에 충분히 양호하다. 사용자는 임의의 시간에 전원의 어플리케이션 이후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채널을 스위칭하는 동작 혹은 단일 채널 상에 녹화된 프로그램 재생을 계속하는 것을 통해서만 다양한 녹화된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녹화된 프로그램을 시청하는데 사용자가 상당히 수동적인 스타일이라도 충분하다.
본 발명에 따른 녹화/재생 시스템 혹은 방법은 채널 조작, 즉 일반 텔레비전 수상기에 아주 유사한 조작 만으로 사용자가 녹화된 프로그램을 시청하도록 허가한다. 즉, 사용자가 채널 스위칭 조작 이외의 새로운 조작 방법을 배울 필요가 없고, 뿐만 아니라 녹화된 비디오를 재생하는데 임의의 능동적 조작 혹은 시청 포즈가 사용자에게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녹화/재생 시스템 혹은 방법은 수동적인 시청 스타일을 갖는 사용자에게 쉽게 수락될 수 있고, 또한 재생될 기회 없이 아이들 상태를 유지하는 단순히 녹화된 프로그램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드 디스크 디바이스와 같은 고속 랜덤 액세스 녹화 매체에, 방송 프로그램 등의 비디오를 자동적으로 녹화할 수 있게 하는, 녹화/재생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녹화/재생 시스템은 녹화된 비디오를 사용자가 효과적이고 간단하게 볼 수 있게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비디오를 효율적으로 시청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녹화/재생 시스템은 또한 사용자에게 친숙한, 텔레비전 및 비디오 덱과 같은 AV 기기에 대한 익숙한 조작과 협력하여 직관에 의해, 녹화된 비디오 선택 및 다른 관리를 허용한다(채널 스위칭, 빨리 감기, 되감기 및 제일 처음부터 재생 등과 같은 조작을 포함함).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녹화 시스템(10)의 하드웨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녹화 시스템(10)은 사용자를 위한 녹화된 컨텐츠의 검색 및 재생 서비스와, 방송국으로부터 계속해서 방송되어 보내지는 방송 프로그램 (방송 컨텐츠)의 녹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이 재생/녹화 시스템(10)의 특징들 중 하나는 다수의 비디오들을 녹화하기에 충분한 대용량의 저장 장치를 구비하는 점과, (후술되겠지만) 사용자의 목적을 정확하게 파악하면서 녹화된 비디오의 보존 관리를 고려한다는 점이다. 재생/녹화 시스템(100)은, 예컨대 STB(Set Top Box)와 같은 텔레비전 수상기와 일체화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AV 장치로서 패키지될 수 있다.
재생/녹화 시스템(10)은, 구성 요소들의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버스(50)를 통해서 각각의 하드웨어 구성 요소들에 접속된 주 제어기로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 11)을 포함한다. 재생/녹화 시스템(10)의 각각의 구성 요소들에 대하여는 이하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안테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수신된 방송파는 튜너(51)에 공급된다. 방송파는 선정된 포맷에 따르며, 예를 들어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EPG : Electirc Program Guid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파가, 지장파에 관련된 것인지 또는 위성파에 관련된 것인 지의 여부나, 유선 방송 서비스용인지 또는 무선 방송 서비스용인 지의 여부는 특별히 상관없다.
튜너(51)는, 튜닝한 후 즉, CPU(11)의 지시에 따라서 선정된 채널의 방송파 채널을 선택한 후, 후속하는 복조기(52)로 수신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복조기(52)는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된 수신 데이터를 복조한다. 부언하면, 튜너(51)의 구성은, 송신하는 방송파가 아날로그 방송파인지 또는 디지털 방송파인 지의 여부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되거나 확장될 수 있다.
디지털 위성 방송 서비스의 경우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수신된 방송파로부터 복조된 디지털 데이터는, MPEG2(Moving Picture Experts Group 2)의 모드에서 압축된 AV 데이터와 함께 데이터 방송용의 데이터를 다중화함으로써 구성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일 수 있다. 전자의 AV 데이터는 방송 컨텐츠의 주요부를 구성하는 비디오 및 오디오 정보에 관한 것이다. 한편, 후자의 데이터 방송용의 데이터는 방송 컨텐츠의 주요부에 부가되는 데이터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를 포함한다. 부언하면, 트랜스포트 스트림은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기준 모델에서 적용되는 "트랜스포트 층(transport layer)"에 따른다.
디코더(53)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MPEG2 모드로 압축된 AV 데이터와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해석 이후의 데이터 방송용의 데이터로 분리하고, 또한 MPEG2 모드로 압축된 실시간 AV 데이터를 압축 비디오 데이터와 압축 오디오 데이터로 더 분 리한다. 다음으로, 디코더(53)는 MPEG2 모드의 비디오 데이터를 확장하여 원래의 비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한편, 오디오 데이터를 PCM(Pulse Code Modulation) 방식으로 디코딩한 후에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의 사운드를 조합하여 재생된 오디오 신호를 제공한다. 디코더(53)는 자신의 로컬 메모리로서 작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5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재생된 오디오 신호는 디코더로부터 믹서(55)를 통해서 스피커(62)로 출력된다.
디코더(53)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된 데이터 방송용 데이터를 버스(50)를 통해 CPU(11)로 전송한다. CPU(11)는 선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따라서 데이터 방송용 데이터를 처리하고, 그 결과로 얻은 데이터는 EPG 화면 등의 생성에 적용될 수 있다.
디코더(53)는, CPU(11)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확장되기 이전의 MPEG2 스트림을 버스(50)를 통해서 CPU(11)나 다른 장치 (예를 들면, HDD(17) 등)로 전송한다.
U/I 제어 유닛(56)은 사용자 입력 조작을 처리하기 위한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직접 조작한 수동 조작 버튼/스위치(도시되지 않음) 및 IR(infrared radiation) 등을 통해서 리모트 컨트롤러(60)로부터의 원격 조작을 수취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U/I 제어 유닛(56)은 현재의 설정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패널 및 LED 표시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CPU(11)는 컨텐츠 녹화/재생 시스템(10)의 전제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주 제어기로서, OS(Operation System)에 의해 제공되는 플랫폼 상에서 각종 애플리 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게 한다.
RAM(Random Access Memory; 12)은 CPU(11)의 실행 프로그램 코드들을 로딩하거나 실행 프로그램의 작업 데이터를 녹화하는 데 사용되는 녹화가능한 휘발성 메모리이다. ROM(Read Only Memory; 13)은, 컨텐츠 녹화/재생 시스템(10)으로의 전원 인가에 필요한 자기 진단/초기화 프로그램과 함께, 하드웨어 동작용 제어 코드들 등을 영구히 저장하기 위한 판독 전용 메모리이다.
IEEE 1394 (1-Link) 인터페이스(15)는 수십 Mbps의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직렬 고속 인터페이스이다. IEEE 1394 호환 외부 장치는 IEEE 1394 포트에 데이지 체인(daisy chain) 방식 또는 트리(tree) 방식으로 접속될 수 있다. IEEE 1394 호환 외부 장치는 예를 들면 비디오 카메라(64), 스캐너(도시되지 않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HDD(Hard Disk Device; 17)는 랜덤 액세스가 가능한 외부 저장 장치로서, 소정의 파일 포맷으로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예컨대 수십 GB (또는 100GB 이상)의 대용량을 갖는다. 하드디스크 저장 공간은 예를 들면 OS에 의해 관리된다. HDD(17)는 하드디스크 인터페이스(16)를 통해서 버스(50)에 접속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HDD(17)가 방송 컨텐츠의 녹화 영역으로서 사용되고, 또한 사용자 프로파일 및 시간표와 같은 정보의 저장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대용량의 외부 저장 장치가 하드디스크 장치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랜덤 액세스가 가능한 하드디스크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을 구현하는 데 보다 바람직하다.
CPU(11)는 OS의 제어 하에서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CPU(11) 는, 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60) 및 U/I 제어 유닛(56)을 통해서 공급된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컨텐츠를 녹화 또는 재생하는 지시를 발행한다 (또는, 명시된 사용자 명령의 유무에 상관없이 항상 녹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녹화 동작 시에 있어서, 확장되기 이전의 MPEG2 스트림은 CPU(11)의 지시에 따라서 디코더(53)로부터 HDD(17)로 전송된다. 데이터 전송 모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PIO(Program IO), DMA(Direct Memory Access)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방송 컨텐츠는 모든 가상 채널에서 시계열적으로 HDD(17)에 녹화된다. 부언하면, 컨텐츠가 저장되는 방법에 관하여는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녹화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데 있어서, HDD(17)로부터 검색하여 얻은 MPEG2 스트림은 CPU(11)의 지시에 따라 버스(50)를 통해서 디코더(53)로 전송된다. 수신 시의 처리와 유사하게도, 디코더(53)는 MPEG2 스트림을 압축 비디오 데이터와 압축 오디오 데이터로 분리하고 나서, 재생을 위해서 MPEG2 확장을 통해 원래의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로 복원한다.
CPU(11)에 있어서, 방송 컨텐츠를 녹화하고 재생하기 위한 지시들의 발행 외에도, 이하의 처리가 요구된다.
(1) 사용자 프로파일의 분석 및 관리
조작 패널 (또는 키보드)을 통해 공급된 사용자 프로파일, 또는 FD, CD 등의 녹화 매체로부터 판독된 사용자 프로파일을 저장하거나, 예를 들어 채널 조작 이력을 기초로 하여 지속적으로 갱신하기 위한 사용자의 취미와 기호와 같은 사용자 프로파일을 분석함.
(2) EPG 분석
예를 들어, 디지털 위성 방송 서비스의 방송 컨텐츠와 함께 배포된 데이터 방송용의 데이터에 포함된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획득하여, EPG를 분석함.
(3) 프로그램 편성
사용자 프로파일, EPG 분석 결과, 및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한 적절한 녹화 및 재생을 편성함. 이와 같이 획득된 편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녹화/재생 시스템(10)의 시간표로서 HDD(17)에 저장됨.
그래픽 처리 제어기(18)는 CPU(11)로부터 발행된 그래픽 명령에 따라 컴퓨터 화면을 생성하기 위한 전용 제어기로서, 예를 들어 SVGA(Super Video Graphic Array) 또는 XGA(Extended Graphic Array)와 동일한 그래픽 성능을 갖는다. 그래픽 처리 제어기(18)는, 예를 들면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 EPG 화면을 생성한다.
필요한 경우, 그래픽 처리 제어기(18)에 의해 생성된 컴퓨터 이미지와 함께, MPEG2 확장을 통해서 디코더(53)에 의해 복원된 재생 비디오를 겹쳐 놓기 위한 합성 처리가 컴포져(57)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녹화/재생 시스템(10)에 있어서, 녹화된 비디오는 카테고리 별로 분류되고, "가상 채널"들은 이 카테고리들에 할당된다. 본 실시예에 관련된 카테고리는, 예를 들어 "뉴스", "스포츠 & 레저", 및 "드라마 & 다큐멘터리"와 같은 프로그램 컨텐츠의 장르에 의해 결정된다. 컨텐츠는 각각의 가상 채 널 상의 실제 또는 가상 시간축 상의 배열에 설정된다. 따라서, 녹화/재생 시스템(10)은, 각각의 가상 채널이 수직선 방향으로 설정되고, 시간축이 수평선 방향으로 설정될 때, 2차원 평면 상에 녹화된 컨텐츠들 각각을 할당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두 방향 즉, 수직 및 수평 방향의 위치를 지정함으로써, 원하는 녹화된 컨텐츠를 지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리모트 컨트롤러(60) 또는 U/I 제어 유닛(56)의 사용자 조작 패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의 선택 조작을 위해 할당된 숫자 키들과 함께, 상향, 하향, 좌향, 우향으로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해 할당된 커서 키들이 조작 패널 상에 놓여 있다.
숫자 키들에 의해 지정되는 채널들은, HDD(17)에 저장된 컨텐츠에 의해 구성되는 가상 채널과 함께, 실제 방송국들로부터 방송되어 전송되어 온 방송 프로그램들용의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상 채널 상의 프로그램들을 시청할 수 있다 즉, 통상의 채널 선택과 동일한 조작을 통해서 HDD(17)로부터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지시를 할 수 있다.
실제의 방송 채널에 대해서는 사용할 수 없는 숫자 키들은 가상 채널 조작에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총 15개의 숫자 키들(1 내지 15)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채널 수 13 내지 15가 실제의 방송국들을 나타내는 실제 채널에 할당되지 않은 경우에는 가상 채널로의 할당에 적용될 수 있는 예비 채널 수로서 고려될 수 있다.
커서 키들은, 중앙의 본 위치에 대하여 실제로 상하 좌우 위치에 놓여지는 상향, 하향, 좌향, 우향 커서 키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미리 본 위치에 손가락의 끝을 대고 있다면, 특별히 조작 패널을 볼 필요 없이 (즉, TV 화면으로부터 눈을 떼지 않고), 키를 조작하는 손가락 끝으로 원하는 방향의 커서 키를 인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리모트 컨트롤러 또는 셋 톱 박스 상의 상향 또는 하향 (+ 또는 -) 커서 키가 채널 선택을 위해 눌려질 때, 채널 숫자가 하나씩 증가되거나 감소되도록 한다. 컨텐츠 녹화/재생 시스템(10)에 있어서 채널 숫자 12가 선택되었다고 가정할 때, 예를 들어, 상향 (+) 커서 키가 한번 눌려질 때마다, 채널이 채널 수 13, 14, 및 15 순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향 커서 키를 한 번 더 누르면, 채널은 채널 수 1로 복원될 수 있다.
가상 채널 상의 프로그램 컨텐츠는 HDD(17)와 같은 랜덤 액세스가 가능한 장치에 저장되어 있어서, 소정의 저장 위치로부터 소정의 속도로 재생을 개시할 수 있다. 따라서, "고속 전진", "후진", "저속 진행(slow motion)", 및 "장면 건너뛰기(scene jump)"와 같이 다양한 시청 모드가 가상 채널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하향, 좌향, 및 우향 커서 키들을 구비한 조작 패널은 시간 축에 좌향 및 우향 커서 이동 조작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향 커서 키는 가상 채널에서 관련 프로그램 직전의 프로그램에 접속하도록 할당하는 반면, 우향 커서 키는 가상 채널에서 관련 프로그램 직후의 프로그램에 접속하도록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커서 키들 각각을 오랫동안 누르면 (즉, 소정 의 시간 이상 동안 각각의 키를 계속해서 누르면), 크게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건너뛸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녹화/재생 시스템(10)의 프로그램 편성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채널이 수직선 방향으로 할당되어 있는 한편, 시간축은 수평선 방향으로 할당되어 있고, 이러한 프로그램 편성표는 시간표와 같은 유형의 형태일 수 있다.
실제로 방송되어 전송된 프로그램용의 실제 채널과 매 카테고리마다 설정된 가상 채널들은 상술한 채널들에 할당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TV Japon"은 실제 채널로서 나타나 있는 한편, 가상 채널들은 "뉴스", "스포츠 & 레저", 및 "드라마 & 다큐멘터리"와 같은 카테고리들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가사 등의 용도를 위해 다수의 사용자에게 재생/녹화 시스템을 공유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가상 채널이 모든 사용자에게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방송용의 데이터로서 배포된 EPG의 분석은 실제 채널 상의 편성 편집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가상 채널 상에서의 편성을 위해, 관련 카테고리에 분류된 녹화된 컨텐츠는 시계열적으로 즉, 재생 개시 순서로 할당된다. 각각의 가상 채널에서의 녹화된 컨텐츠는 이 시스템(10) 상에서 사용자 프로파일 등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서 배열된다.
실제 채널 상의 프로그램들의 개시 및 종료 시간은 방송국 측에서의 지시에 따라 정해진다. 반면, 가상 채널 상의 프로그램들의 개시 및 종료 시간은, 정확하게 매 시간마다, 1/4 시간, 1/2 시간 등의 기간과 같은 구분점에 항상 따를 필요가 없다.
도 4는 모든 카테고리에 할당되는 관련 가상 채널 상의 녹화 컨텐츠의 배열을 도시한다.
카테고리들은, 미리 정해진 카테고리 리스트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복수의 카테고리 설정이 적용가능함), 사용자 프로파일에 기초한 자동 선택을 통해서 설정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모든 사용자에게 가상 채널들을 할당하는 것도 또한 적용가능하다.
도 4에 도시된 최종 단계에서의 가상 채널 "그 외"는 사용자에 의해 관련 카테고리에 설정되는 것이 실패하여 어떤 카테고리에도 포함되지 않은 프로그램들을 모은 것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시간표 상에서 사용자를 위해 필요한 채널 전환 조작을 도시한다. 채널 전환 조작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조작 패널 상에서 소정의 채널 숫자의 키나 상향 또는 하향 커서 키를 누름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시청자 즉, 사용자가 "뉴스" 카테고리에 할당된 가상 채널 상의 "NNNN flash"라 명명된 프로그램을 현재 시청하는 상황에서 놓여 있다고 가정한다.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60) 등을 사용하여 채널 전환 조작을 통해 다른 채널의 프로그램들을 순차적으로 시청할 수 있다. 도 5의 최상의 단계에 있는 채널이 현재 방송 중인 "TV Japon"이라 불리는 실제 채널을 나타내지만, 실제 채널을 가상 채널로의 전환은 실제 채널과 가상 채널 간의 구별없이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향 커서 키를 계속해서 누르면, "NNNN flash", "baseball Y vs B", "Animal World", ..., 및 "quiz $ & ?"라 칭하는 프로그램 순으로 채널이 전환된다.
시간 축은 다른 채널들이 선택된 시간동안에도 각각 가상 채널 상에서 독립적으로 진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실제 시간이 20:00에 도달할 때까지 "TV Japon"이라 불리는 방송 중인 실제 채널 상에서 프로그램을 계속해서 시청한 후에 다른 가상 채널로 전환한 경우에, "CNN midnight", "baseball A vs T", 및 "24 hours"라 명명된 프로그램들이 가상 채널 상에서 재생 처리된다.
또한, 가상 채널 상에서의 시간의 진행은 시스템(10)의 전원 인가 시 뿐만 아니라 전원 단락 시 또는 대기 시 동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는, 선택된 임의의 가상 채널 상의 편성과 시스템 클럭을 동기화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실제로 시청할 기회가 없는 가상 채널들은, 적절한 시간에 재생되도록 프로그램된 녹화 프로그램을 재생하도록 편성할 필요없이, 채널을 선택할 때 실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재생 개시 시점을 앞당기는 것으로 충분함. 또한, 상술한 가상 채널은, 시점 별로 계산할 필요없이, 채널을 선택할 때 재생 개시 시점을 계산하는 것으로 충분함)
녹화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데 사용되는 가상 채널 상의 시간 경과 개념이 도입되면, 소극적인 시청 스타일의 사용자에게 쉽게 받아들여질 뿐만 아니라, 녹화될 기회가 없이 무의미하게 있는 녹화 프로그램들의 수를 간단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가상 채널 상에서 재생되는 녹화된 비디오들은 HDD와 같이 랜덤 액세스가 가 능한 고속의 저장 매체에서 저장되어, 고속 전진 또는 후진 조작을 통해서 소정의 재생 개시 시점에서 고속으로 액세스할 수 있다. 고속 전진 또는 후진 조작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조작 패널 상의 좌향 및 우향 커서 키들 각각을 누름으로써 지시된다.
도 6은 가상 채널에 적용되는 "빨리감기"(FF) 및 "되감기"(RW) 조작을 도시하는 것으로, 관련 프로그램의 이전 및 이후 프로그램을 시청하기 위해 재생 처리 중, 즉 시청되고 있는 처리 중인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특정 가상 채널에 적용되는 "빨리감기" 및 "되감기" 조작은 다른 가상 채널들상의 시간 이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뉴스"라는 카테고리에 할당되는 가상 채널이 선택된다고 가정하면, "빨리감기" 또는 "되감기" 조작은 상기 선택된 가상 채널에 할당되면 상기 선택된 가상 채널상의 관련 프로그램 이전 및 이후의 녹화 프로그램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하는 반면, 다른 가상 채널상에는 녹화된 콘텐츠의 액세스가 발생하지 않는다. 즉, "Y 대 B의 야구"는 "스포츠 & 레져"라는 카테고리에 할당되는 가상 채널상에서 재생되는 한편, "아프리카의 로망스"는 "드라마 & 다큐멘터리"라는 카테고리에 할당되는 가상 채널상에서 재생된다.
도 7은 "뉴스"라는 카테고리에 할당되는 특정 가상 채널에 적용되는 빨리감기 조작의 방법을 설명하는 한편, 재생할 프로그램의 편성 목록이 스크린상에 표시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임 베이스(즉, 재생 편성)는 프로그램 목록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빨리감기" 조작을 통해서 특정 가상 채널에 사전에 존재한다는 것이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이해된다. 상술한 "빨리감기" 조작은 "빨리감기" 조작이 적용되지 않는 다른 가상 채널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즉 사전 타임 베이스를 초래하지 않는다는 중요한 점을 고려하자. 되감기 조작에도 이와 동일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프로그램 배열을 설명하는 타임테이블, 즉, "드라마 & 다큐멘터리"라는 카테고리에 할당되는 특정 가상 채널에서의 프로그램 재생 순서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임테이블은 현재 위치 "현재", "현재"의 좌측에 "과거"의 시간 주기 및 "현재"의 우측에 "미래"의 시간 주기를 포함하는 타임 베이스를 구성한다.
"과거"의 시간 주기에서, 곧 삭제될 것으로 프로그램된 것으로서 식별되는 프로그램(즉,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1차 세계 대전")은 타임 베이스 상에서 먼 과거의 주기에 위치된다. 그리고, 예약된 프로그램(즉, "소녀와 소년") 및 시청된 것으로 식별되는 프로그램(즉, "해양 생활")이 순서대로 위치된다.
도 8에 도시된 타임테이블에서, 재생 편성상의 재생 시간은 가장 오래된 것에서부터 최신의 순서인 배열로 설정되고, 기본적으로 재생 편성상에서, 최근에 시청된 프로그램을 검색하기 위한 순간 되감기 조작 및 보다 이전에 시청된 프로그램을 검색하기 위한 가중 되감기 조작을 요구하는 방식으로 가상 채널에서 소망하는 프로그램을 직관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검색하는 것을 허용한다.
한편, 미래에 재생될 것으로 프로그램된 것으로서 식별되는 프로그램들은 재 생 편성 순서에 따라 타임테이블의 "미래"의 시간 주기에 있는 가상 채널상에 위치된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미래에 재생될 것으로 프로그램된 것으로서 식별되는 프로그램이 "아프리카의 로망스", "24시" 및 "구조대 도와주세요!"의 순서로 위치된다.
부수적으로, 타임테이블상에 위치된 녹화 프로그램은 재생할 시간으로부터의 차이에 따라 표시를 위해 색상별로 정렬되기도 한다. 따라서, 곧 삭제될 것으로 프로그램된 것으로서 식별되는 프로그램을 어둡게, 또는 미래에 재생될 것으로 프로그램 된것으로 식별되는 프로그램을 밝게 또는 가장 밝게 표시하는 방식으로 재생될 프로그램의 상태가 시각적으로 식별되기도 한다.
한편, 실제 방송국으로부터 대기중으로 전송된 프로그램들을 수신하기 위한 실제 채널이 참조되고, 복수의 채널들이 사용가능한 것으로 고려된다. 더욱이, 방송국으로부터 대기중에 전송된 프로그램의 콘텐츠는 녹화/재생 시스템(10) 상의 가상 채널 할당, 즉, 프로그램 카테고리와 무관하다. 따라서, 동일한 가상 채널에 할당될 2 이상의 프로그램들이 종종 서로 다른 방송국들로부터 대기 중에, 즉, 실제 채널상의 동일 시간 주기에 전송되기도 한다.
도 9는 동일한 가상 채널에 포함될 복수의 프로그램들이 동일한 시간 주기에 대기중에 전송될 때 특정 가상 채널상의 프로그램 편성 방법을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스포츠 & 레져"라는 카테고리에 할당되는 가상 채널에 포함될 "P 대 V 축구" 및 "낚시"라는 제목의 프로그램들이 "TV Japon" 및 "MHK"의 실제 채널들 상에서 19:00부터 동시에 방송중이라고 가정한다.
본 경우에, 이들 프로그램들의 녹화 시작은 비록 19"00부터이지만, 녹화/재생 시스템(10)은 "스포츠 & 레져"라는 카테고리에 할당되는 가상 채널에 "낚시"라는 제목의 프로그램을 먼저 재생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관련 가상 채널상의 "Y 대 B 야구"라는 제목의 마지막 프로그램의 종료 시간이 19:00를 초과한다고 가정하면, "낚시"의 재생 시작 시간은 그 초과분 이후이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P 대 V 축구"라는 제목의 프로그램은 "낚시"라는 제목의 프로그램 재생 완료 후 재생을 시작하도록 설정된다(또는 재생 시작 시간이 설정된다).
부수적으로, 동일한 가상 채널에 포함될 복수의 프로그램들이 동일한 시간 주기에 방송중인 경우는, 내정값 또는 사용자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수립된 우선순위에 따라서, 어느 프로그램이 먼저 재생되기 시작하여야 하는지, 즉, 프로그램 편성 순서가 설정될 것이다.
가상 채널들 상에서 재생될 녹화 비디오는 HDD(17)과 같은 고속 랜덤 액세스가능한 녹화 매체에 저장되기 때문에, "빨리감기" 및 "되감기" 조작과 유사하게 "일시정지"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녹화/재생 시스템(10)은, 사용자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61)상에 일시정지된 프로그램들의 목록, 즉, "목록 보기"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도 1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 표시된 "목록 보기"를 도시한다. 도 10에 표시된 "목록 보기"는 총 지속 시간이 44분 35초인 "XYZ 아침"이라는 제목의 프로그램이 현재 그 선두 지점에서 13분 22초 경과한 지점에서 일시정지된 것과, 총 지속 시간이 55분인 "동물의 세계"라는 제목의 프로그램이 현재 그 선두 지점에서 42 분 2초 경과한 지점에서 일시정지된 것을 나타낸다.
녹화 프로그램을 일시정지 상태에서 해제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목록 보기"로부터의 임의의 1개 엔트리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재생을 재개할 수 있다. 여기서, 재생을 위해 어느 가상 채널의 프로그램들을 어떠한 시각에 편성할 것인가에 무관하게 순간 재생이 실용적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재생을 재개하면, 임의의 가상 채널의 프로그램 편성이 변경되지 않고 유지된다.
"목록 보기"는 각 가상 채널의 프로그램 정지 위치를 CPU(11)에서 조작하고, 그래픽 처리 제어부(18)에서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생성하며, 조정기(57)에서 상기 생성된 윈도우 화상을 방송중인 또는 표시를 위해 재생되는 프로그램 비디오상에 중첩시킴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리모콘(60) 등의 조작 패널을 통해서 이하 설명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자 자신의 평가"를 제공하기도 한다. 즉, "삭제", "시청", "저장", "예약" 및 "평가 취소"에 대응하는 버튼들(또는 버튼에 상당하는 입력 수단들)이 조작 패널상에 제공되어 사용자가 항시 지시를 내릴 수 있게 한다. 사실상, 녹화/재생 시스템(10)은 장기간 동안 실제로 시청되지 않는 녹화 프로그램을 자동적으로 삭제하도록, 또는 특정 주기의 시간동안 비정상적으로 재생된 프로그램을 시청된 것으로서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녹화/재생 시스템(10)에 기초하는 자동 평가와 조합하여 사용자 기판 직접 평가가 사용되기도 한다.
도 11은 자동 또는 수동 조작을 통해 녹화/재생 시스템(10)상에녹화된 프로그램 콘텐츠 및 미래에 가상 채널에 녹화하도록 프로그램된 프로그램 콘텐츠를 할당하는 프로시져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본 순서도를 참조하여 위 프로시져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셋-업 조작으로서, 편성 유닛으로서 기능하는 "SU"라 불리우는 데이터가 프로그램에 대하여 생성된다(단계 S1). SU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성분들을 가지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그램 정보 "TVcontent"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TVcontent" 생성 프로시져 및 "TVcontent"에 기초하는 "편성 유닛" 생성 프로시져가 이하 설명될 것이다.
또 다른 셋-업 조작으로서, 변수 "isAdded"가 "false"로 설정되고, 현재의 채널 번호를 나타내는 "channel"은 변수 "maxChannels"에 대한 가상 채널의 총 수를 1로 설정하도록 초기화된다.
계속하여, 현재의 채널 번호 "channel"은 변수 "maxChannels"과 비교된다(단계 S2). 전자가 후자보다 작은 경우에, 처리는 단계 S3으로 진행한다. 한편, 큰 경우에, 처리는 단계 S8로 진행한다.
단계 S3에서는, "channel"로 표시되는 현재의 가상 채널에 카테고리가 아직 남아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판정 결과가 YES이면, 처리는 단계 S4로 진행한다. 한편, 판정 결과가 NO이면, 처리는 단계 S7로 진행한다.
단계 S4에서는, 현재 선택중인 가상 채널의 다음 카테고리가 변수 "cat"로 대체된다. 그리고, 단계 S5에서는, SU의 "catagories"가 변수 "cat"를 포함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판정 결과가 YES이면, 처리는 단계 S6으로 진행한다. 한편, 판정 결과가 NO이면, 처리는 단계 S7로 진행한다.
상술된 것과 유사한 처리를 반복하기 위해 단계 S2로 처리가 복귀되기 전에, 변수 "channel"은 단계 S7에서 1씩 증가된다.
위 처리에서, 단계 S2 내지 S6는 마지막 가상 채널을 제외하고 모든 가상 채널들에 대하여 실행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이 지점의 시간에서, 변수 "isAdded"가 "true"인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8). 판정 결과가 YES이면, SU는 임의의 가상 채널에 가산될 것으로 고려되어, 녹화/재생 시스템(10)은 본 처리의 전체 루틴을 종료시킨다.
한편, 변수 "isAdded"가 "false"로 판정되면, 처리는 단계 S9로 진행한다. 어떠한 가상 채널에도 SU가 가산되지 않는다는 것이 확인되기 때문에, 단계 S9에서는 시스템(10)이 본 처리의 전체 루틴을 종료시키기 전에 마지막(즉, "maxCjannel" 번째) 가상 채널에 SU를 가산하는 것이 요구된다. 마지막 가상 채널은 사용자에 의해 특정되는 카테고리들에 할당된 어떠한 가상 채널에도 매칭되지 않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해 시스템(10)에 의해 예약된 채널로 참조된다.
부수적으로, 단계 S6에서 SU를 가상 채널에 가산한 후, 단계 S2 내지 S6에서의 처리를 다음 가상 채널 및 그 이후에 반복할 것이 요구된다. 단계 S6에서 가상 채널에 가산하기 위한 "SU 복제" 생성 처리는 독립 SU로서 서로 다른 가상 채널들에 가산되는 SU(동일한 프로그램에 대응함)를 취급하기 위한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처리 루틴은 특정 녹화 프로그램(또는 녹화될 것으로 프로그램된 것으로서 식별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가상 채널을 판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제, 도 12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각 채널의 편성 프로시져에 대하여 설 명한다.
셋-업 조작으로서, 관련 가상 채널에 가산되는 프로그램의 "편성 유닛"이 변수 "SU"에 대하여 설정된다(단계 S11).
이후 처리에서는, "편성 유닛"의 "상태"에 기초하여(도 16 참조) 대응 목록으로의 SU 가산이 연속적으로 요구된다.
단계 S12에서는, SU가 삭제될 것으로 프로그램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판정 결과가 YES이면, 시스템(10)이 본 처리의 루틴을 종료시키기 전에 삭제 편성으로의 SU 오름차순 가산이 요구된다(단계 S18).
단계 S13에서는, SU가 저장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판정 결과가 YES이면, 시스템(10)이 본 처리의 루틴을 종료시키기 전에 저장 목록으로의 SU 가산이 요구된다.
단계 S14에서는, SU가 시청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판정 결과가 YES이면, 시스템(10)이 본 처리 루틴을 종료시키기 전에 시청된 프로그램 목록으로의 SU 가산이 요구된다.
단계 S15에서는, SU가 녹화되도록 프로그램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판정 결과가 YES이면, 시스템(10)이 본 처리 루틴을 종료시키기 전에 녹화 편성 목록으로의 SU 가산이 요구된다(단계 S21).
단계 S16에서는, SU가 예약 처리중인지 여부가 판정된다. 판정 결과가 YES이면, 시스템(10)이 본 처리 루틴을 종료시키기 전에 예약 목록으로의 SU 가산이 요구된다(단계 S22).
단계 S17에서는, SU가 시청(재생)가능한 데이터인지 여부가 판정된다. 판정 결과가 YES이면, 시스템(10)이 본 처리 루틴을 종료시키기 전에 재생가능한 데이터 목록으로의 SU 가산이 요구된다(단계 S23).
위의 모든 목록들이 항상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사실상, 예를 들면, "저장 목록" 및 "예약 목록"은 그 기능이 필요하지 않으면 생략되어도 좋다.
이제 도 13에 도시된 순서도를 참조하여 관련 가상 채널의 편성 테이블에 각각의 정렬된 SU를 위치시키는 프로시져를 설명한다.
셋-업 조작으로서, 관련 가상 채널에 포함되는 SU를 시계열적 배열로 저장하기 위한 목록 "allEntries"가 클리어되고, 편성 테이블의 기준 시간 "baseTime"(즉, 선두에서 SU의 재생을 시작하는 시간) 및 총 편성 길이 "totalLength"는 현재 편성 시간 "curTime"을 0으로 초기화하도록 설정된다(단계 31).
계속해서, 삭제 편성 목록의 성분들이 목록 "allEntries"에 대한 상부로부터 가산된다(단계 S32). 가산의 경우, 단계 S32에서와 유사하게, SU의 "durationTime"을 "curTime"에 가산하도록 성분 SU의 "startTime"에 대한 "curTime"을 설정할 필요도 있다.
상술한 처리는 관련 가상 채널의 시간 기준에서 "과거"의 시간 주기에 위치된 편성 유닛 그룹에 대하여 적합하도록 고려된다. 한편, 이하 처리는 "미래"에서의 편성을 위해 요구된다. 부수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는 처리 콘텐츠들이 실질적으로 단계 S32 및 S33의 것들과 유사하기 때문에 저장 목록내 성분들의 가산에 대하여는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 S34에서는, 시간 기준으로 "미래"의 시간 주기에 위치되는 "편성 유닛" 후보들이 재생가능한 데이터 목록 및 예약 목록으로부터 선택되어, 상기 선택된 후보들을 우선순위 내림차순으로 후보 목록에 가산한다. 단계 S34의 처리는, 예를 들어, 최근 24시간 이내에 방송중이었던 일부 프로그램만을 재생가능한 데이터 목록으로부터 후보로서 선택하거나, 또는 예약 목록내 성분들을 우선적으로 후보로서 선택하는 방법에 의할 수 있다. 그러나, 전체 편성 길이가 제한되기 때문에, 후보 목록내의 모든 성분들이 편성되는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단계 S35에서는, 후보 목록이 비어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판정 결과가 YES이면, 처리는 단계 S39로 진행한다. 한편, 판정 결과가 NO이면, 처리는 단계 S36으로 진행한다.
단계 S39에서는, 녹화 편성 목록내 성분들이 녹화 시작 시간 순서로 마지막 "allEntries"에 가산된다. 가산의 경우, 성분 SU의 "startTime"은 "startTime" = (녹화 시작 시간 - 기준 시간)(즉, 기준시간으로부터의 상대적 시간)으로서 설정할 필요가 있다. 한 시점에서 복수의 SU들 중첩은, 발생하면, "startTime"을 변경하도록 상기 중첩된 SU들 중 임의의 것을 뒤로 시프트시킴으로써 예방될 수 있다. 비어있으면, 녹화 편성 목록의 임의의 성분을 가산할 필요가 없다.
한편, 단계 s36에서는, 녹화 편성 목록이 비어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판정 결과가 YES이면, 처리는 단계 S40으로 진행한다. 한편, 판정 결과가 NO이면, 처리는 단계 S37로 진행한다.
단계 S40에서는, 시간 기준으로 "미래"의 시간 기준에 위치되는 "편성 유닛: 의 후보 목록들내 성분들이 마지막 "allEntries"에 순차적으로 가산된다. 가산의 경우, SU의 "durationTime"을 "curTime"에 가산하도록 성분 SU의 "startTime"에 대하여 "curTime"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curTime"이 "totallength"에 도달하지 않으면, 마지막 "allEntries"로의 후보 목록내 성분 SU의 반복적인 가산이 다시 요구된다. 본 경우에, 성분의 "복제" SU'의 가산도 요구된다. 위 성분은 앞서 설명된 순서와 동일한 순서로 또는 이와는 다른 순서로 가산될 수 있다. 가산의 경우, "curTime"이 "totalLength"를 초과할 때까지 반복적인 가산을 하도록 SU'의 "durationTime"을 "curTime"에 가산하도록, SU'의 "startTime"에 대하여 "curTime"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복제" SU'가 필요한 이유는, 비록 동일한 프로그램과 관련되더라도 SU는 "startTime"과 같은 콘텐츠에서 다르기 때문이다.
한편, 단계 S37에서는, 녹화 편성 목록내 성분들이 마지막 "allEntries"에 녹화 시작 시간 순서대로 가산된다. 가산의 경우, 성분 SU의 "startTime"은 "startTime" = (녹화 시작 시간 - 기준시간)(즉, 기준시간으로부터의 상대적인 시간)이 되도록 설정할 필요가 있다. 한 시점에서 복수의 SU 중첩은, 발생하면, 임의의 SU를 뒤로 시프트 시켜 "startTime"을 변경하도록 함으로써 예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녹화 편성 목록내 성분들은 "curTime"과 "totalLength"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계속해서, 단계 S38에서는, 후보 목록내 성분들이 이미 위치된 SU들 사이의 갭으로 순차 삽입된다. 갭에서 수신되기에는 성분들이 너무 많으면, 관련 SU에 후속하는 이미 위치된 SU들이 삽입 전에 뒤로 시프트되도록 설정된다. 삽입 및 시프 트의 경우, 다음 갭의 시작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curTime"을 적절하게 갱신하도록 관련 SU의 "startTime"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curTime"이 "totalLength"를 초과할 때까지 위 갱신에 대한 반복적인 처리가 요구되어, 편성 테이블은 "편성 유닛"으로 채워진다.
위 처리를 통해서 "편성 유닛"의 시계열적 목록이 생성된다. 도 14는 "편성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다. "편성 유닛"은 시계열적 목록으로 참조되고, 이것은 관련 가상 채널의 프로그램 재생 편성 테이블과 동등한 것으로 고려된다. 한 시점에서 중첩이 없도록 시계열적 목록은 근접하도록 구성되어, 복수의 프로그램들을 연속적으로 재생하는 것을 허용한다. 복수의 프로그램에 걸친 "빨리감기" 및 "되감기" 조작이 또한 용이하게 실행가능하다.
도 15를 참조하여, 상술한 처리에 의해 생성된 편성 테이블에 기초하여 현재 재생을 위해 타겟 비디오를 특정하는 프로시져가 설명된다.
셋-업 조작으로서, 가상 채널에서 상대적인 시간 "offsetTime"을 찾기 위해 현재 시간 "curTime"으로부터 관련 가상 채널 기준 시간 "baseTime"이 감산된다(단계 S51). 변수 "lastSU"도 또한 널 값으로 초기화된다.
계속해서, 다음 성분이 관련 가상 채널의 "allEntries"에 포함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52). 판정 결과가 YES이면, 처리는 단계 S53으로 진행한다. 한편, 판정 결과가 NO이면, 처리는 단계 S56으로 진행한다.
단계 S53에서는, "allEntries"의 다음 성분이 변수 "su"로 대체된다. 그리고, 단계 S54에서는, "su.startTime"이 "offsetTime"과 비교된다. 전자가 후자보 다 큰 경우, 처리는 단계 S47로 진행한다. 한편, 작은 경우, 처리는 단계 S55로 진행한다.
단계 S55에서는, "allEntries"의 다음 성분에 대하여 상술한 처리를 반복하기 위해 처리가 단계 S52로 복귀하기 전에, "su"가 "lastSU"로 대체된다.
단계 S52에서 다음 성분이 "allEntries"에 발견되지 않는다는 것이 확인되면, 처리는 "lastSU"가 널 값이 아니라는 조건에서 마지막 시간의 "lastSU"가 "offsetTime"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S56으로 진행한다. 판정 결과가 YES이면, 처리는 단계 S57로 진행한다. 한편, 판정 결과가 NO이면, 처리는 단계 S59로 진행한다.
단계 S56에서 판정 결과가 YES라는 것이 확인되면, "lastSU"는 현재 프로그램과 동등한 것으로 고려되어, 단계 S57에서는, "lastSU"의 "source"에 의해 도시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playUnit"의 생성을 허용한다.
단계 S58에서, "lastSU.startTime"로부터의 시간차(=offsetTime - 최종 SU.startTime)를 "playUnit"의 "currentPosition"용 현재 시간으로 대치하는 것은 시스템(10)이 현재의 종료 처리의 전체 루틴을 가져오기 전에 요구된다.
한편, 단계 S56에서의 결정의 결과가 아니오로 확인될 때, "lastSU"는 어떠한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고려된다. 따라서, 빈 "playUnit"의 발생은 시스템(10)이 현재의 종료 처리의 전체 루틴을 가져오기 전에 단계 S59에서 요구된다. 이런 경우, 가상 채널상에서는 어떠한 재생도 일어나지 않으며, 또한 디스플레이(61)상에서 어떠한 표시도 일어나지 않는다.
이런 방식으로 발생된 "playUnit"이 취해질 때, 재생 및 표시용 처리는 "playUnit"의 "currentPosition"로부터 시작된다. 이는 일반적인 비디오 플레이어의 기능으로 언급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언급되지 않더라도, 상기 절차는 단계 S51에서 "offsetTime"을 구하는 경우 "baseTime"에서 "shiftTime"을 차감하기 위하여 "shiftTime"로 언급되는 변수에서 "fast forward" 및 "rewind" 동작으로부터 생기는 시간차를 축적하는 방식으로 "fast forward" 및 "rewind" 동작을 요구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다음의 수학식 1에 의해 표현되는 "offTime"은 사용하기에 충분하다.
offTime = CurTime - (baseTime - shiftTime)
도 22는 실채널에서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절차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녹화/재생 시스템(10)에서 가상 채널의 프로그램의 재생 절차를 예시한다. 가상 채널에서의 프로그램의 재생 절차에 대해서 이후 주로 설명한다.
(1) 사용자는 원격 제어기(60)의 동작 패널 또는 채널 전환 동작과 같은 것으로 동작한다.
(2) 녹화/재생 시스템(10)은 현재 시간 및 채널수(채널 #)를 채널 전환 동작에 응답하여 가상 채널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3) 가상 채널 관리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스케줄 테이블을 기초로 하여 현재에서 재생용 타깃 비디오를 특정하는 절차"에 따라 시스템(10)에 대한 복귀값으 로서 설정되는 "playUnit"을 생성한다.(도 15 참조)
(4) 시스템(10)은 "playUnit"을 비디오 플레이어에 전달한다.
(5) 비디오 플레이어는 디스플레이(61)의 스크린상으로의 표시용 "playUnit" 정보를 기초로 하여 비디오를 생성한다.
또한, 도 22에서 가상 채널 관리자, 실채널 관리자 및 "To Watch list" 관리자는 녹화/재생 시스템(10)에서의 CPU(11)에 의해 실행되는 실질적인 프로그램이 되도록 된다. 또한, "TV 콘텐츠 녹화기" 및 "비디오 플레이오"는 CPU(1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HDD(17)에서 또는 이로부터 TV 콘텐츠를 저장 또는 추출하는 녹화/재생 기능으로 언급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6은 "Scheduling Unit"의 구성을 도시한다. "Scheduling Unit"은 녹화을 위해 녹화 또는 프로그램된 프로그램용 스케줄링 정보의 집합이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다음의 콤포넌트를 포함한다.
(1) startTime
스케줄 테이블에서의 재생 개시 시간
(2) durationTime
프로그램의 길이
(3) status(예약 및 인에이블링 재생의 프로세스에서 삭제, 시청하기 위해 프로그램되며 녹화하기 위해 프로그램된 프로그램 콘텐츠의 상태를 포함한다)
(4) title
프로그램의 제목(스케줄 리스트의 표시용에 사용된다)
(5) categories
프로그램의 카테고리(복수의 카테고리의 설정이 적용가능하다)
(6) source
연관된 스케줄링의 소스로 구성되는 프로그램
도 17은 "PlayUnit"의 구성을 도시한다. "PlayUnit"은 임의의 프로그램의 재생용 정보의 집합이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다음의 콤포넌트를 포함한다.
(1) media
녹화된 비디오 데이터; 이런 데이터의 부재는 녹화을 위해 프로그램된 경우에 현재 시간에서 일어날 수 있다.
(2) startPosition
매체의 헤드로부터 연관된 프로그램의 개시 위치: 복수의 프로그램은 하나의 매체에 포함될 수 있다.
(3) durationTime
프로그램의 길이
(4) currentTime
매체의 헤드로부터의 현재 재생 위치: "currentTime"의 갱신은 재생 프로세스에서 순간적으로 일어난다. 재생 개시 위치는 다른 채널로부터의 전환이 실행될 때 "스케줄된 테이블을 기초로 하여 현재 재생용 타깃 비디오를 특정하는 절차"에 따라 특정된다(도 15 참조). 비디오 플레이어는 이런 위치로부터 재생을 개시한 다.
도 18은 프로그램 정보 "TV 콘텐츠"의 구성을 도시한다. 프로그램 정보 "TV 콘텐츠"는 EPG등을 통해 분포된 각각의 프로그램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기초로 발생되며 도 18에 도시된 다음의 콤포넌트를 포함한다.
(1) id
프로그램 식별용 식별 정보
(2) startTime
방송 개시 시간
(3) endTime
방송 종료 시간
(4) channel
방송 채널수
(5) title
프로그램의 제목
(6) categories
프로그램의 카테고리: 복수의 카테고리는 각각의 프로그램에 대해 설정될 수 있다.
(7) description
프로그램에 관한 상세한 정보
(8) media
녹화시 설정되는 녹화된 비디오 데이터
(9) mediaOffset
매체 헤드로부터의 연관된 프로그램의 개시 위치: 복수의 프로그램은 하나의 매체에 포함될 수 있다.
(10) status
예약 프로세스에서 삭제를 위해 프로그램되며 예약되고 녹화되며 녹화을 위해 프로그램된 프로그램 콘텐츠의 상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콘텐츠의 시청용 예약 및 재생에 관한 상태
(11) reservedTime
예약시 프로그램 콘텐츠의 상태가 선택될 때만 이용가능한 콤포넌트인 예약 시간.
"TV 콘텐츠"의 상기 콤포넌트들중의 콤포넌트 (1) 내지 (7)은 데이터 방송 서비스에서 EPG 등을 통해 제공된다. 한편, 다른 콤포넌트는 녹화/재생 시스템(10)에서 임의로 설정될 필요가 있다.
콤포넌트 (1) "id"는 예컨데 일련의 id 및 각각의 방송 시간 id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며, 동일한 일련의 프로그램과 같이 프로그램을 명확하게 정의하거나, 어떤 생략도 없이 동일한 일련의 프로그램을 자동적으로 녹화하거나, 또는 동일한 가상 채널상에서 동일한 일련의 프로그램을 연속적으로 재생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콤포넌트 (10) "status"는 녹화/재생 시스템(10)으로 자동적으로, 또는 원격 제어기(60) 등의 동작 패널상에서 "삭제" 버튼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9는 "TV 콘텐츠"를 기초로 하여 "스케줄링"을 발생하는 경우에 데이터의 흐름을 개요적으로 도시한다.
"Schduling Unit"의 "durationTime"은 "startTime"와 "TV 콘텐츠"의 "endTime"사이의 차이를 기초로 하여 계산된다.
더욱이, "startTime", "title" 및 "categories"는 "TV 콘텐츠"로부터 "Schduling Unit"에 손상되지 않고 복사된다.
더욱이 "scheduling"의 "source"는 "TV 콘텐츠"에 대응하는 기준을 유지한다. "title" 및 "categories"는 여분의 콤포넌트로 여겨지며, 따라서 사용자가 효율에 대해 상관하지 않는다면 필드를 삭제함에 의해 "source"를 통해 하나씩 참조되도록 구성된다.
"Schduling Unit"의 "startTime"은 초기값으로서 프로그램 방송 시간을 유지하는 반면, 스케줄링시 갱신된다. "status"는 또한 녹화 등시 재생/녹화 시스템(10)상에서 갱신된다.
도 20은 "Schduling Unit"을 기초로 하여 "Play Unit"을 생성하는 경우 데이터의 흐름을 개요적으로 도시한다.
"Schduling Unit"의 "durationTime"은 "Play Unit"의 "durationTime"으로 복사된다.
더욱이, "media" 및 "mediaOffset"은 "TV 콘텐츠"로부터 "Schduling Unit"의 "source"를 통해 "Play Unit"의 "startPosition" 및 "media"로 각각 복사된다.
더욱이, "Play Unit"의 "currentPosition"은 영으로 초기화되며, 녹화/재생 시스템(10)상에서 임의의 시간에서 갱신된다.
도 21은 "To watch list"에 부가된 "ToWatchEntry"의 콤포넌트를 도시한다(도 10을 참조).
(1) currentPosition
현재 위치
(2) title
프로그램의 제목
(3) durationTime
프로그램의 길이
(4) status
일시정지되고 재생되는 등의 프로세스에서 프로그램의 상태를 포함하는 현재 프로그램 상태
(5) source
대응하는 프로그램 정보("TV 콘텐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ToWatchEntry"는 "To watch list"에 부가하기 위해 일시정지된 프로그램마다 생성된다. "To watch list" 관리자는 "To watch list"에 대한 예약 프로세스에서 재생 프로그램의 제목 표시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사용한다(도 10 참조). 한편, 사용자는 리스트 박스로부터의 임의의 프로그램을 선택 함에 의해 입터럽트된 프로그램 재생을 재개시(또는 개시)한다.
"To watch list"는 시스템으로부터의 전력의 단절의 지속 시간에 대한 비휘발적 유지 상태에 놓이도록, 또는 사용자로부터의 사용지시에 따라서 "To watch list"로부터의 특정 엔트리를 삭제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녹화/재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방송국으로부터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비디어 녹화 및 재생 스케줄 예약의 자동화를 허용하는데 만족된다.
본 발명은 또한 녹화/재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많은 수의 자동적으로 녹화된 비디오의 재생 및 시청 동작을 지지하는 것이 만족된다.
본 발명은 더욱이 녹화/재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텔레비젼 및 비디어 데크와 같은 일반 AV 장비의 동작에 후행하는 방식으로 녹화된 비디오의 선택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데 만족된다.
본 발명은 또한 녹화/재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히 이해하면서 녹화된 비디오의 예약의 관리시 반영하도록 하는데 만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녹화된 비디오는 카테고리로 분류되며, 가상 채널은 카테고리에 할당된다. 특정 카테고리에 적당한 프로그램만이 가상 채널로 녹화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카테고리에 따라 구성된다면, 사용자는 어떤 종류의 프로그램의 콘텐츠가 어떤 채널에 포함되는지를 높은 정확도로 추정할 수 있다. 더욱이, 자국 사용 등을 위해 복수의 사용자들중에서 녹화/재생 시스템을 공유할 필요가 생길 때 가상 채널은 물론 사용자 마다 할당될 수 있다.
녹화된 프로그램은 각각의 가상 채널을 기초한 시간상에서 어레이로 설정되며 각각의 가상 채널상에서 동시에 재생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시청될 기회가 없는 가상 채널은 영구 시간에서 재생되도록 프로그램된 녹화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프로세스를 기동하기 위한 필요가 없이 실시간의 경과로 채널을 선택하는 경우에 재생 개시 위치를 앞당기는데 충분하다. 사용자는 서로 채널을 전환하는 동작을 통해서만 다양한 녹화된 프로그램을 시청하거나, 또는 임의의 시간에서 전력의 인가후 임의의 하나의 채널상에서 녹화된 프로그램을 계속해서 재생하는 것이 발생한다. 상당히 수동적인 스타일이 사용자가 녹화된 프로그램을 시청하데 충분하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녹화/재생 시스템은 사용자로 하여금 채널 전환 동작과 같은 일반적인 텔레비젼 수신기와 친숙한 동작을 통해서만 녹화된 프로그램을 시청하게 한다. 즉, 사용자가 채널 전환 동작과는 다른 새로운 동작 방법을 학습할 필요가 없으며, 더욱이 기동 동작 또는 시청 포즈는 녹화된 비디오를 사용자가 재생하는데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녹화/재생 시스템수동적인 시청 스타일을 갖는 사용자에 대해 용이하게 수용가능하게 되며, 또한 간단히 녹화된 프로그램 수의 감소가 재생될 기회없이 아이들하게 유지되게 한다.
가상 채널상에 재생된 녹화 비디오는 HDD와 같은 고속 랜덤 액세스가능한 녹화 매체에 저장되며, "fast forward" 및 "rewind" 동작을 통해 고속으로 소정의 재생 개시 지점에 대한 액세스를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는 녹화/재생 시스템이 예컨데 비디오 데크의 "fast forward" 및 "rewind" 동작과 같은 잘 훈련된 동작 모드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새로운 동작 방법을 학습할 필요가 없게 된다.
본 발명의 녹화/재생 시스템은 시간 수 및 프로그램을 배열하기 위한 시간 주기를 제어하기 위해 가상 채널상에서 재생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스케줄링시 각각의 녹화된 프로그램의 우선순위를 반영할 수 있다. 사용자의 기호 및 프로파일 정보를 기초로 하여 각각의 프로그램의 우선순위를 설정한다면 녹화/재생 시스템은 예컨데 프로그램을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프로그램에 관심을 기울리는 가능성을 개선시키며 사용자가 텔레비젼상에서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가능성의 범위내에서 프라임 시간등의 시간 주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바람직하게 시청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녹화/재생 시스템은 용이성이 뛰어나다고 여겨진다.
본 발명의 녹화/재생 시스템은 재생된 프로그램이 시스템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시청되는 효과로 정보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녹화/재생 시스템은, 시청중인 프로그램이 가상 채널의 시간 베이스상에서 장래의 주기로 합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면, 여러번 동일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불필요한 액션을 제거할 수 있다.
녹화된 프로그램이 가상 채널마다 이들의 상태(즉, 녹화하기 위해 프로그램되며, 삭제하기 위해 녹화 및 프로그램된 상태등)을 따라 어레이에서 설정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프로그램을 연속적으로 시청하거나, 또는 "fast forward", "rewind"등의 잘 훈련된 동작을 통해 간단하게 동작 대상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프로그램의 시청동안 스크린을 시청할 필요없이 직관에 의해 재생하도록 소정의 프로그램을 탐색 및 특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녹화/재생 시스템은 녹화 스케줄 프로그램, 녹화된 프로그램 및 삭제 스케줄 프로그램(복구가능한)의 리스트와 같은 복수의 프로그램 테이블을 일관된 방식으로 재생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단일 스케줄링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의도할 때마다 스크린을 전환할 필요없이 눈으로 단일 종류의 프로그램의 리스트만이 후행되면서 패스트 포워드, 리와인드 등의 통일된 동작을 통해서만 연속적으로 재생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즉, 일련의 드라마와 같은 일련의 프로그램)의 액세스를 얻는다. 사용자는 녹화된 프로그램을 삭제, 보존 및 예약하는 지시를 하며, 또한 재생된 비디오를 시청하는 동안 원격 제어기의 버튼을 터치함에 의해 각각의 동작을 삭제하는 지시를 내어, 전환 동작을 통해 개별 동작 스크린상에 재생된 비디오의 표시를 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녹화/재생 시스템은, 동일 채널상에서 일련의 프로그램을 연속적으로 위치시키도록 구성된다면, 사용자로 하여금 일련의 프로그램을 함께 시청하게 하며, 또한 간단히 녹화된 프로그램이 아이들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녹화/재생 시스템에서 프로그램 스케줄된 가상 채널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시청되는 프로그램은 채널마다 시간 베이스로 "near past"의 주기에 위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동일 채널상에서 "rewind" 동작을 통해 "이전에 시청된 프로그램"을 구하는 방식으로 프로그램을 직관에 의해 탐색한다. 더욱이, 사용자에 의해 최근에 시청된 프로그램이 시간 베이스에서 "nearer past"의 주기에 위치되기 때문에, 이런 프로그램의 어레이는 메모리의 휴먼 메카니즘에 비추어 쉽게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삭제되도록 프로그램된 프로그램이 채널마다 "remote past"의 주기에 위치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통일된 방법에 따라 소정의 녹화된 프로그램의 액세스를 얻는다.
본 발명에 따르는 녹화/재생 시스템은 채널 동작에 무관한 리스트로서 일시정지되는 프로세스에서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의 일시정지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하드 디스크와 같은 녹화 매체에 대한 랜덤 액세스는 임의의 시간에서 일시정지된 프로그램의 빠른 재생을 재개시하는데 적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시정지된 프로그램의 재생을 재개시하는 처리는 녹화 매체의 "fast forward" 및 "rewind"들중 어느 하나로 전환되는 채널을 요구하지 않는다. 더욱이, 일시정지된 정보는 프로그램을 일시정지하거나 또는 재생을 재개시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주어진 지시에 응답하여 리스트로부터 자동적으로 부가 또는 삭제되며, 사용자 자신이 저장용 프로그램을 마크 또는 태그할 필요가 없어 동작의 간략화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녹화/재생 시스템은, 전력 단절의 지속 동안에도 비휘발성 방식으로 일시정지된 정보의 저장 리스트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면, 장래(즉, 상당한 시간 주기의 경과 후)에 프로그램의 재생을 재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사용자가 일시정지 동작을 묵시적으로 실행할 때 프로그램의 재생을 재개시하고자 한다고 가정하면, 이런 동작에서는 어떠한 불편한 동작도 고려되지 않는다. 더욱이, 본 발명의 녹화/재생 시스템은 통상의 채널 동작에 독립적인 리스트(즉, "To Watch list")로서 일시정지되는 프로세스에서 비디오의 정보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면, 동일 채널상에서 다른 프로그램의 재생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에 관한 상세히 설명되고 있다 할지라도, 본 기술 분야의 전문가들에게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및 변동이 행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실시예와 관련된 본 발명의 설명은 상기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Claims (57)

  1. 프로그램을 녹화ㆍ재생하는 녹화ㆍ재생 시스템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을 소정의 규칙에 따라 분류하는 프로그램 분류 수단;
    상기 프로그램을 녹화 또는 녹화 예정 설정하는 프로그램 녹화 설정 수단;
    상기 각 분류마다 가상 채널을 할당함과 함께, 상기 각 분류로 구분지어진 프로그램을 해당하는 가상 채널 상에 재생 시작 순서대로 배열하는 가상 채널 관리 수단;
    사용자에 의한 채널 선택 조작 또는 가상 채널 상에서의 프로그램 검색 조작을 수용하는 사용자 조작 수단;
    상기 사용자 조작 수단을 통한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여, 선택된 채널로부터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취출하는 프로그램 취득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상 채널들의 분류는 사용자 프로파일 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채널은, 사용자에 의해 해당 분류를 설정불가능하고, 어느 분류에도 속하지 않는 프로그램을 배열하기 위한 가상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분류 수단은, EPG(Electronic Programming Guide) 또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프로그램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가상 채널 상에서의 각 프로그램의 재생 시작 순서는, 온 에어된 순서, 사용자 프로파일 및 사용자 설정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부여된 우선 순위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채널 관리 수단은, 선택 중 및 비선택 중인 가상 채널 상의 재생 시작 위치를 현재 시각의 경과에 따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작 수단은, 가상 채널 상에서의 재생 위치의 일시 정지, 빨리 감기 및 되감기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검색 조작들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작 수단은, 가상 채널 상의 특정 프로그램에 관한 삭제, 보존, 보류(나중에 본다)를 포함하는 녹화 프로그램의 보존 상태의 지정 조작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채널 관리 수단은, 가상 채널 상에 배열된 각 프로그램의 보존 상태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채널 관리 수단은, 가상 채널 상에 배열된 각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시청 완료한 것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채널 관리 수단은, 각 녹화 프로그램에 대하여 지정된 보존 상태에 따라, 가상 채널 상에서 프로그램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채널 관리 수단은, 시청 완료한 것으로 식별된 프로그램을 해당하는 가상 채널 상에서 가까운 과거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채널 관리 수단은, 삭제 예정으로 식별된 프로그램을 해당하는 가상 채널 상에서 먼 과거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채널 관리 수단은, 보존으로 식별된 프로그램을 해당하는 가상 채널 상에서, 상기 삭제 예정으로 식별된 프로그램보다 가까운 과거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채널 관리 수단은, 녹화 예정으로 식별된 프로그램을 해당하는 가상 채널 상에서 미래(녹화 예정 일시 이후임)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채널 관리 수단은, 녹화는 되었지만 아직 시청(재생)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된 프로그램을 해당하는 가상 채널 상에서 미래의 배치 완료한 프로그램 사이의 갭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채널 관리 수단은, 보류로 식별된 프로그램을 해당하는 가상 채널 상에서 미래의 배치 완료한 프로그램 사이의 갭에 우선적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시스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채널 관리 수단은, 미래에 배치되는 프로그램 사이의 갭이 채워지지 않는 경우에는, 미리 배치 완료한 프로그램을 중복하여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시스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채널 관리 수단은, 각 가상 채널 상의 프로그램 편성 또는 각 프로그램의 시청 상태, 보존 상태를 한 눈에 식별가능한 형식으로 일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시스템.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채널 관리 수단은, 시리즈 프로그램을 동일 가상 채널 상에서 연속적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시스템.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채널 관리 수단은, 상기 사용자 조작 수단을 통해 빨리 감기 또는 되감기 지시가 입력된 것에 응답하여, 선택 중인 가상 채널 상의 재생 시작 위치를 미래 또는 과거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채널 관리 수단은, 녹화 예정일 이전에 상당하는 프로그램으로의 빨리 감기 조작을 허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시스템.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채널 관리 수단은, 상기 사용자 조작 수단을 통해 빨리 감기 또는 되감기 지시가 입력된 것에 응답하여 선택 중인 가상 채널 상의 재생 시작 위치를 미래 또는 과거로 이동시키지만, 비선택 중인 가상 채널 상의 재생 시작 위치는 현재 시각의 경과에 따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시스템.
  24. 제1항에 있어서,
    온 에어 중인 프로그램에 대하여 실제 채널을 할당하는 실제 채널 관리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취득 수단은, 상기 사용자 조작 수단을 통해 가상 채널이 선택된 것에 응답하여, 해당 가상 채널 상으로부터 녹화 프로그램을 취출하여 재생함 함께, 실제 채널이 선택된 것에 응답하여, 그 실제 채널 상에서 온 에어 중인 프로그램을 취득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작 수단은, 실제 채널과 가상 채널을 구별하지 않는 채널 선택 조작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시스템.
  26. 제1항에 있어서,
    각 가상 채널 상에서 일시 정지된 프로그램에 관한 재생 정보 등을 관리하는 목록 보기 관리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목록 보기 관리 수단은, 일시 정지 상태의 프로그램의 목록을 일람 표시하고, 그 일람 상에서의 사용자 선택을 수용하고, 사용자 선택에 응답하여 해당하는 녹화 프로그램의 재생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시스템.
  28. 프로그램을 녹화ㆍ재생하는 녹화ㆍ재생 방법으로서,
    각 프로그램을 소정의 규칙에 따라 분류하는 프로그램 분류 단계와,
    프로그램을 녹화 또는 녹화 예정 설정하는 프로그램 녹화 설정 단계와,
    각 분류마다 가상 채널을 할당함과 함께, 각 분류로 구분지어진 프로그램을 해당하는 가상 채널 상에 재생 시작 순서로 배열하는 가상 채널 관리 단계와,
    사용자에 의한 채널 선택 조작 또는 가상 채널 상에서의 프로그램 검색 조작을 수용하는 사용자 조작 단계와,
    상기 사용자 조작 단계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여, 선택된 채널로부터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취출하는 프로그램 취득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방법.
  29. 삭제
  30. 제28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해당 분류를 설정불가능하고, 어느 분류에도 속하지 않는 프로그램을 배열하기 위한 가상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방법.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분류 단계는, EPG(Electronic Programming Guide) 또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각 프로그램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방법.
  32. 제28항에 있어서,
    가상 채널 상에서의 각 프로그램의 재생 시작 순서는, 온 에어된 순번, 사용자 프로파일 및 사용자 설정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부여된 우선 순위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방법.
  3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채널 관리 단계에서는, 선택 중인 가상 채널 및 비선택 중인 가상 채널 상의 재생 시작 위치를 현재 시각의 경과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방법.
  34.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작 단계에서는, 가상 채널 상에서의 재생 위치의 일시 정지, 빨리 감기 및 되감기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검색 조작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방법.
  35.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작 단계에서는, 가상 채널 상의 특정 프로그램에 관한 삭제, 보존 및 보류(나중에 본다)를 포함하는 녹화 프로그램의 보존 상태의 지정 조작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방법.
  36.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채널 관리 단계에서는, 가상 채널 상에 배열된 각 프로그램의 보존 상태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방법.
  37.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채널 관리 단계에서는, 가상 채널 상에 배열된 각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시청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방법.
  38.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채널 관리 단계에서는, 각 녹화 프로그램에 대하여 지정된 보존 상태에 따라서, 가상 채널 상에서 프로그램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방법.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채널 관리 단계에서는, 각 가상 채널 상의 프로그램 편성 또는 프로그램의 시청 상태, 보존 상태를 한 눈에 식별가능한 형식으로 일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방법.
  47.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채널 관리 단계에서는, 시리즈 프로그램을 동일 가상 채널 상에서 연속적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방법.
  48.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채널 관리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 조작 단계를 통해 빨리 감기 또는 되감기 지시가 입력된 것에 응답하여, 선택 중인 가상 채널 상의 재생 시작 위치를 미래 또는 과거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채널 관리 단계에서는, 녹화 예정일 이전에 상당하는 프로그램으로의 빨리 감기 조작을 허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방법.
  5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채널 관리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 조작 단계를 통해 빨리 감기 또는 되감기 지시가 입력된 것에 응답하여 선택 중인 가상 채널 상의 재생 시작 위치를 미래 또는 과거로 이동시키지만, 비선택 중인 가상 채널 상의 재생 시작 위치는 현재 시각의 경과에 따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방법.
  51. 제28항에 있어서,
    온 에어 중인 프로그램에 대하여 실제 채널을 할당하는 실제 채널 관리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취득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 조작 단계를 통해 가상 채널이 선택된 것에 응답하여, 그 가상 채널로부터 녹화 프로그램을 취출하여 재생함과 함께, 실제 채널이 선택된 것에 응답하여, 그 실제 채널 상에서 온 에어중인 프로그램을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방법.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작 단계에서는 실제 채널과 가상 채널을 구별하지 않는 채널 조작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방법.
  53. 제28항에 있어서,
    각 가상 채널 상에서 일시 정지된 프로그램에 관한 재생 정보 등을 관리하는 목록 보기 관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방법.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목록 보기 관리 단계에서는, 일시 정지 상태의 프로그램을 일람 표시하고, 그 일람 상에서의 사용자 선택을 수용하고, 사용자 선택에 응답하여 해당하는 녹화 프로그램의 재생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녹화ㆍ재생 방법.
  55. 프로그램을 녹화ㆍ재생하는 녹화ㆍ재생 장치에 있어서,
    각 프로그램을 소정의 규칙에 따라서 분류하는 프로그램 분류 수단과,
    프로그램을 녹화 또는 녹화 예정 설정하는 프로그램 녹화 설정 수단과,
    분류마다 가상 채널을 할당함과 함께, 각 분류로 구분지어진 프로그램을 해당하는 가상 채널 상에 재생 시작 순서로 배열하는 가상 채널 관리 수단과,
    사용자에 의한 채널 선택 조작 또는 가상 채널 상에서의 프로그램 검색 조작을 수용하는 사용자 조작 수단과,
    상기 사용자 조작 수단을 통한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여, 선택된 채널로부터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취출하는 프로그램 취득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의 녹화ㆍ재생 장치.
  5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취득 수단에서 취득한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프로그램 제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의 녹화ㆍ재생 시스템.
  57.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취득 단계에서 취득한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프로그램 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의 프로그램의 녹화ㆍ재생 방법.
KR1020010027945A 2000-05-23 2001-05-22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 및 재생 시스템과 그 방법 KR1008233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50726A JP4218185B2 (ja) 2000-05-23 2000-05-23 番組録画・再生システム及び番組録画・再生方法、並びに番組録画・再生装置
JP2000-150726 2000-05-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7623A KR20010107623A (ko) 2001-12-07
KR100823368B1 true KR100823368B1 (ko) 2008-04-18

Family

ID=18656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7945A KR100823368B1 (ko) 2000-05-23 2001-05-22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 및 재생 시스템과 그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369749B2 (ko)
JP (1) JP4218185B2 (ko)
KR (1) KR100823368B1 (ko)
CN (1) CN119912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9128B1 (en) 1995-06-07 2004-07-27 United Video Properties, Inc. Electronic television program guide schedule system and method with data feed access
AU733993B2 (en) 1997-07-21 2001-05-31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and recording control interfaces
CN1867068A (zh) 1998-07-14 2006-11-22 联合视频制品公司 交互式电视节目导视系统及其方法
US6898762B2 (en) 1998-08-21 2005-05-24 United Video Properties, Inc. Client-server electronic program guide
CN100397899C (zh) 2000-10-11 2008-06-25 联合视频制品公司 提供数据存储到点播媒体传递系统中服务器上的系统和方法
EP2469850A3 (en) * 2001-02-21 2013-07-10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program guides with personal video recording features
WO2002093901A2 (en) * 2001-05-11 2002-11-21 Scientific-Atlanta, Inc. Managing time shift buffers
US8677416B2 (en) * 2001-07-17 2014-03-18 Ati Technologies, Inc. Method, system and software for display of multiple media channels
US20030018970A1 (en) 2001-07-19 2003-01-23 Digeo, Inc. Object representation of television programs within an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
WO2003009126A1 (en) * 2001-07-19 2003-01-30 Digeo,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elevision programs within an entertainment system
US7962011B2 (en) 2001-12-06 2011-06-14 Plourde Jr Harold J Controlling substantially constant buffer capacity for personal video recording with consistent user interface of available disk space
US8565578B2 (en) * 2001-12-06 2013-10-22 Harold J. Plourde, Jr. Dividing and managing time-shift buffering into program specific segments based on defined durations
US7257308B2 (en) * 2001-12-06 2007-08-14 Scientific-Atlanta, Inc. Converting time-shift buffering for personal video recording into permanent recordings
KR100456441B1 (ko) * 2002-01-18 2004-11-09 주식회사 휴맥스 저장 매체에 저장된 서비스의 중지 시점부터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6772147B2 (en) 2002-02-26 2004-08-03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ffectively implementing a personal channel for interactive television
US7457519B2 (en) * 2002-04-03 2008-11-25 Broadcom Corporation Set-top box integration of integrated drive electronics
US20030206719A1 (en) * 2002-04-23 2003-11-06 Jim Bumgardner Storage Management for a Video Recorder
AU2003225486A1 (en) * 2002-05-21 2003-12-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onic program guide system
KR100979083B1 (ko) * 2002-07-18 2010-08-31 톰슨 라이센싱 파워 온시 이용 가능한 비디오 제목들의 수를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
US7272296B2 (en) * 2002-07-24 2007-09-18 Thomson Licensing Navigating to a particular program or specific time increment in a personal video recorder
US8181205B2 (en) 2002-09-24 2012-05-15 Russ Samuel H PVR channel and PVR IPG information
US20040073924A1 (en) * 2002-09-30 2004-04-15 Ramesh Pendakur Broadcast scheduling and content selection based upon aggregated user profile information
US6775461B2 (en) * 2002-10-15 2004-08-10 Sony Corporation Data management method for recorded programs stored on a digital recording device
JP4528763B2 (ja) * 2003-01-06 2010-08-18 ペイス ピーエルシー インターネットからデータをストリーミングするリアルタイム記録エージェント
US7493646B2 (en) 2003-01-30 2009-02-17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s with digital video recording and adjustable reminders
US20040205816A1 (en) * 2003-04-11 2004-10-14 Barrett Peter T. Virtual channel preview guide
KR100470398B1 (ko) * 2004-02-07 2005-02-05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디지탈 복합 레코더 장치
JP2005348055A (ja) * 2004-06-02 2005-12-15 Toshiba Corp ユーザプロファイル編集装置及びユーザプロファイル編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806533B1 (en) 2004-10-08 2014-08-12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elevision information codes
US7689099B2 (en) * 2004-10-14 2010-03-30 Ati Technologies Ul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gramming the playback of program information
US7647419B2 (en) * 2005-02-02 2010-01-12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Client-side virtual radio station
KR20070118645A (ko) * 2005-04-07 2007-12-17 소프트뱅크비비 가부시키가이샤 콘텐츠 전송 시스템 및 콘텐츠 전송 방법
JP4349313B2 (ja) 2005-04-18 2009-10-21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再生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848618B2 (en) * 2005-05-13 2010-12-07 Microsoft Corporation Unified recording and pause buffer format
JP4651451B2 (ja) * 2005-05-17 2011-03-16 シャープ株式会社 番組情報処理装置および番組情報処理方法
KR100722046B1 (ko) 2005-06-03 2007-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그램 녹화 및 재생방법 및 장치
KR100728909B1 (ko) * 2005-08-09 2007-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Ieee 1394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주변기기의 포즈 기능제어방법 및 디지털 텔레비젼
WO2007034467A2 (en) * 2005-09-22 2007-03-29 Nds Limited Surfer's paradise
KR100700987B1 (ko) * 2005-10-08 2007-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799994B2 (ja) * 2005-10-20 2011-10-26 シャープ株式会社 録画機器、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映像コンテンツを録画、再生するシステム
CN103561300A (zh) * 2005-11-30 2014-02-05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产生对至少一个内容项目的推荐的方法和设备
WO2007072368A1 (en) * 2005-12-19 2007-06-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templates offering default settings for typical virtual channels
KR100772392B1 (ko) 2006-02-07 2007-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에서 tv 채널을 이용한 콘텐트 처리 방법 및그 장치
JP2007214651A (ja) * 2006-02-07 2007-08-23 Funai Electric Co Ltd ハードディスクレコーダ
US20070192800A1 (en) * 2006-02-10 2007-08-16 Sbc Knowledge Ventures, Lp Dynamic multimedia channel grouping
JP2007228053A (ja) * 2006-02-21 2007-09-06 Orion Denki Kk 記録再生装置
US7774294B2 (en) 2006-03-06 2010-08-10 Veveo, Inc. Methods and systems for selecting and presenting content based on learned periodicity of user content selection
US8316394B2 (en) 2006-03-24 2012-11-20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 with intelligent navigation and display features
JP2007318428A (ja) * 2006-05-25 2007-12-06 Kenwood Corp 記録再生装置
KR100830506B1 (ko) 2006-07-08 2008-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고유의 전용 채널을 설정할 수 있는 영상기기 및 그제어방법
JP4634974B2 (ja) * 2006-07-20 2011-02-16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4187029B2 (ja) * 2006-09-28 2008-11-26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デジタル放送録画装置
JP2008084057A (ja) * 2006-09-28 2008-04-10 Brother Ind Ltd コンテンツ管理装置及びコンテンツ管理プログラム
KR100864822B1 (ko) * 2006-11-16 2008-10-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송시간 편성표 및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동적 전달을지원하는 방송 프로그램 제공장치 및 방법
US7849039B2 (en) * 2006-12-29 2010-12-07 Brooks Roger K Method for using one-dimensional dynamics in assessing the similarity of sets of data using kinetic energy
US8621537B2 (en) 2007-01-08 2013-12-31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rocessing channel information and receiver
US7801888B2 (en) 2007-03-09 2010-09-21 Microsoft Corporation Media content search results ranked by popularity
JP2008252205A (ja) * 2007-03-29 2008-10-16 Yamaha Corp 電子音楽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9104987B2 (en) * 2007-07-24 2015-08-11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associating business rules with received content in a content processing system and generating a content list therefrom
US20090031367A1 (en) * 2007-07-24 2009-01-29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utilizing multiple content delivery networks for distributing content
US20090030941A1 (en) * 2007-07-26 2009-01-29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receiving normalizing content data in a content processing system using a workflow system
US8875209B2 (en) * 2007-07-26 2014-10-28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receiving content in a content processing system using a workflow system
JP2009088979A (ja) * 2007-09-28 2009-04-23 Toshiba Corp 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JP2009123293A (ja) * 2007-11-15 2009-06-04 Toshiba Corp 映像記録装置及び素材管理方法
CN101472060B (zh) * 2007-12-27 2011-12-07 新奥特(北京)视频技术有限公司 一种估算新闻节目长度的方法和装置
KR100900293B1 (ko) * 2008-01-10 2009-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장치의 데이터 재생방법
CN101516003B (zh) * 2008-02-19 2010-09-01 北京新岸线网络技术有限公司 虚拟制片系统
JP5473233B2 (ja) * 2008-02-25 2014-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方法、プログラム
WO2009120010A2 (en) * 2008-03-28 2009-10-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in internet broadcasting system
KR100937690B1 (ko) * 2008-04-08 2010-01-20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가상 채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9003465B1 (en) 2008-04-25 2015-04-07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verting content into multiple formats
JP5281332B2 (ja) * 2008-08-08 2013-09-04 キヤノン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538068B2 (ja) * 2008-10-31 2010-09-08 株式会社東芝 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EP2187627A3 (en) * 2008-11-12 2011-06-15 Kabushiki Kaisha Toshiba Recorder and recording method thereof
US10063934B2 (en) 2008-11-25 2018-08-28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Reducing unicast session duration with restart TV
KR101564415B1 (ko) * 2009-01-07 2015-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 채널 관리를 통한 컨텐트 재생 방법 및 장치
WO2010112978A1 (en) 2009-04-01 2010-10-07 Nds Limited Content sub-item substitution
WO2010131238A1 (en) * 2009-05-13 2010-11-18 Orca Interactive Ltd.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related programs comprising media content data
US9166714B2 (en) 2009-09-11 2015-10-20 Veveo, Inc. Method of and system for presenting enriched video viewing analytics
JP2011097560A (ja) * 2009-09-30 2011-05-12 Toshiba Corp デジタル放送受信機および録画番組表示方法
WO2012094564A1 (en) 2011-01-06 2012-07-12 Veveo, Inc. Methods of and systems for content search based on environment sampling
KR102044015B1 (ko) * 2011-08-02 2019-11-12 (주)휴맥스 연관 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US20130136411A1 (en) * 2011-11-28 2013-05-30 Microsoft Corporation Time-shifted content channels
US8805418B2 (en) 2011-12-23 2014-08-12 United Video Propert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actions based on location-based rules
US20140013342A1 (en) * 2012-07-05 2014-01-09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edia Content Redirection
JP5992265B2 (ja) * 2012-08-31 2016-09-14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および映像コンテンツ再生方法
KR102017699B1 (ko) 2013-03-04 2019-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08927A (ko) * 2013-03-04 2014-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462346B2 (en) * 2013-04-26 2016-10-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ustomizable channel guide
WO2016190662A1 (ko) * 2015-05-26 201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US20180139472A1 (en) * 2015-06-15 2018-05-17 Piksel, Inc. Controlling delivery of captured streams
CN105163184A (zh) * 2015-08-31 2015-12-16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电视终端的节目播放方法及装置
CN105376005A (zh) * 2015-09-30 2016-03-02 上海车音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节目推荐方法及装置
US10622018B2 (en) * 2015-10-16 2020-04-14 Tribune Broadcasting Company, Llc Video-production system with metadata-based DVE feature
US11627350B2 (en) * 2016-12-30 2023-04-11 Tivo Solutions Inc. Advanced trick-play modes for streaming video
US11463747B2 (en) 2018-04-05 2022-10-04 Tvu Network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real time control of a remote video production with multiple streams
US10966001B2 (en) * 2018-04-05 2021-03-30 Tvu Networks Corporation Remote cloud-based video production system in an environment where there is network delay
US11212431B2 (en) 2018-04-06 2021-12-28 Tvu Networks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motely controlling a camera in an environment with communication latency
US20210185406A1 (en) * 2019-12-16 2021-06-17 Hughes Network Systems, Llc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and satellite communication method
CN114786021B (zh) * 2021-01-22 2024-04-05 青岛海信宽带多媒体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机顶盒的直播节目的播放控制方法及装置
US11910044B1 (en) * 2022-06-30 2024-02-20 Amazon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witching the processing of a live content stream to another datacenter
CN115834932B (zh) * 2022-11-23 2023-12-12 广西广电新媒体有限公司 Iptv一站式虚实融合轮播导流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103A (ko) * 1996-10-23 1998-07-25 모리시타요이찌 가상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
KR19990085854A (ko) * 1998-05-22 1999-12-15 윤종용 프로그램 분류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15560A (ko) * 1998-08-31 2000-03-15 전주범 멀티미디어 텔레비젼에서의 부가 정보 서비스 방법
WO2000040012A1 (en) * 1998-12-23 2000-07-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pparatus for receiving programs
WO2000040021A1 (en) * 1998-12-23 2000-07-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pparatus for reproducing programs
JP2000341596A (ja) * 1999-05-26 2000-12-08 Sony Corp 受信機
JP2001024980A (ja) * 1999-07-05 2001-01-26 Sony Corp 信号処理装置及び方法
KR20010010916A (ko) * 1999-07-23 2001-02-15 윤종용 텔레비전 방송을 재생/녹화하기 위한 수신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0482A (en) * 1987-07-03 1989-01-13 Hashimoto Corp Control system for vtr by computer
US5390027A (en) * 1990-08-23 1995-02-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elevision program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using program data of text broadcast signal
WO1992022983A2 (en) * 1991-06-11 1992-12-23 Browne H Lee Large capacity, random access, multi-source recorder player
US6240240B1 (en) * 1995-10-27 2001-05-29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cording of television programs
JPH09180292A (ja) * 1995-12-26 1997-07-11 Sony Corp 電子機器
TW329587B (en) * 1996-02-08 1998-04-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elevision receiver, data recording method and data replaying method
PT932398E (pt) * 1996-06-28 2006-09-29 Ortho Mcneil Pharm Inc Utilizacao do topiramento ou dos seus derivados para a producao de um medicamento para o tratamento de disturbios bipolares maniaco- depressivos
DE69841510D1 (de) * 1998-07-01 2010-04-01 Hitachi Ltd Unterstützungsmethode zur betrachtung von aufgezeichneten programmen
US6564005B1 (en) * 1999-01-28 2003-05-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user video hard disk recorder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103A (ko) * 1996-10-23 1998-07-25 모리시타요이찌 가상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
KR19990085854A (ko) * 1998-05-22 1999-12-15 윤종용 프로그램 분류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15560A (ko) * 1998-08-31 2000-03-15 전주범 멀티미디어 텔레비젼에서의 부가 정보 서비스 방법
WO2000040012A1 (en) * 1998-12-23 2000-07-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pparatus for receiving programs
WO2000040021A1 (en) * 1998-12-23 2000-07-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pparatus for reproducing programs
JP2000341596A (ja) * 1999-05-26 2000-12-08 Sony Corp 受信機
JP2001024980A (ja) * 1999-07-05 2001-01-26 Sony Corp 信号処理装置及び方法
KR20010010916A (ko) * 1999-07-23 2001-02-15 윤종용 텔레비전 방송을 재생/녹화하기 위한 수신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333358A (ja) 2001-11-30
JP4218185B2 (ja) 2009-02-04
US7369749B2 (en) 2008-05-06
CN1199122C (zh) 2005-04-27
US20020009283A1 (en) 2002-01-24
KR20010107623A (ko) 2001-12-07
CN1339757A (zh) 2002-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3368B1 (ko)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 및 재생 시스템과 그 방법
JP6356097B2 (ja) デジタル格納部を備えた電子番組ガイド
KR100780152B1 (ko) 녹화 재생 장치 및 콘텐츠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