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1955B1 - 아이지비티 방식 콘덴서 프로젝션 용접기 - Google Patents

아이지비티 방식 콘덴서 프로젝션 용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1955B1
KR100821955B1 KR1020070025598A KR20070025598A KR100821955B1 KR 100821955 B1 KR100821955 B1 KR 100821955B1 KR 1020070025598 A KR1020070025598 A KR 1020070025598A KR 20070025598 A KR20070025598 A KR 20070025598A KR 100821955 B1 KR100821955 B1 KR 100821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output
current
bipolar transistor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5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환
Original Assignee
웰메이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웰메이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웰메이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5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19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1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1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4Projection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24Electric supply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B23K11/241Electric supp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24Electric supply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B23K11/26Storage discharge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tion Of Surge Voltage And Current (AREA)

Abstract

전해 콘덴서에 충전된 에너지를 출력 변압기에 전류를 흘려 방전할 때 IGBT를 이용하는 IGBT 방식 콘덴서 프로젝션 용접기가 개시되어 있다. IGBT 방식 콘덴서 프로젝션 용접기는 직류 전원부, 전해 콘덴서, 방전용 IGBT, 출력 변압기, 출력 선택부, 구동 제어부, 보호 회로를 포함한다. 방전용 IGBT는 통전 전류 시간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전해 콘덴서에 충전된 에너지 중에서 용접기의 출력 세기만큼의 에너지를 방전할 수 있다. 따라서 한 대의 용접기로 용접기 출력의 에너지 세기를 여러 단계의 용접기 출력 에너지 세기 중에서 선택하여 출력 할 수 있으며, 전해 콘덴서를 재충전할 때 충전 시간을 단축 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충전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이지비티 방식 콘덴서 프로젝션 용접기{CONDENSER PROJECTION WELDING MACHINE USING IGB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SCR 방식 콘덴서 프로젝션 용접기의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SCR 방식 콘덴서 프로젝션 용접기의 충/방전시 전해 콘덴서 에너지 파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IGBT방식 콘덴서 프로젝션 용접기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구동 제어부의 펄스 타이밍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전해 콘덴서의 충/방전시 에너지 파형의 하나의 예를 나태내는 파형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방전용 IGBT의 IGBT 게이트 신호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IGBT방식 콘덴서 프로젝션 용접기의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 직류 전원부
202 : 전해 콘덴서
203 : 방전용 IGBT
204 : 출력 변압기
210 : 출력 선택부
220 : 구동 제어부
230 : 보호 회로부
본 발명은 콘덴서 프로젝션 용접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IGBT :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스위칭 방식 콘덴서 프로젝션 용접기에 관한 것이다.
프로젝션 용접기는 용접물에 프로젝션을 형성하고 일정한 압력으로 밀착시킨 프로젝션에 전류를 집중적으로 흘려 발생한 저항열을 이용한다. 그러므로 콘덴서 프로젝션 용접기는 용접에 필요한 에너지를 전해 콘덴서에 충전시키고 이 충전된 고압 고전류를 출력 변압기를 통하여 용접부위에 순간적으로 흐르도록 제어하기 위하여 고내압 반도체 스위칭소자를 사용하였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SCR 방식 콘덴서 프로젝션 용접기의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SCR 방식 콘덴서 프로젝션 용접기는 직류 전원부(101), 전해 콘덴서(102), 방전용 SCR(103), 출력 변압기(104)를 포함한다. SCR 방식 콘덴서 프로젝션 용접기는 전해 콘덴서와 출력 변압기 사이에 SCR을 연결하고 SCR을 스위칭 제어하여 방전회로를 스위칭한다. 통상 SCR은 게이트단자에 인가되는 트리거 전압에 의해 도통되고 이후에는 애노우드단자와 캐소우드 단자 사이의 전압이 제로가 되어야 차단상태로 복귀된다. 따라서 SCR 방식 방전회로는 용접 전류를 흘리기 시작하는 ON 시각은 조절할 수 있지만, 용접 전류가 흐르는 도중에 이를 차단할 수 없으며 충전된 전하가 모두 방전되어야 OFF 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례에 따른 SCR 방식 콘덴서 프로젝션 용접기의 충/방전시 전해 콘덴서의 에너지 파형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방전용 SCR을 이용하여 전해 콘덴서에 충전된 에너지를 출력 변압기로 방전할 때 전해 콘덴서에 충전된 에너지를 한 번에 모두 방전함에 따라 에너지가 모두 방전된 전해 콘덴서를 다시 충전하고자 할 때에는 수초의 충전 시간이 소요된다.
그러므로 SCR 방식 용접기는 용접에 소요되는 출력파워에 맞추어 대응하는 용접 출력 파워을 가진 용접기들을 각각 사용하지 않으면 아니 되었다. 용접 출력이 너무 센 용접기로 용접 용량이 작은 부위를 용접할 경우에는 요구되는 용접 전류 용량 보다 과도한 전류가 흘려서 과도 용접 현상이 발생된다. 반대로 용접용량이 큰 부위에 용접 출력이 작은 용접기를 사용할 경우 용접불량이 발생하거나 한 부위를 여러 번 용접을 하여야 비로소 용접이 완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용접시간의 증대로 작업성을 떨어드려서 비용 상승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용접출력을 가변 제어할 수 있는 IGBT 방식 콘덴서 프로젝션 용접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접부위의 용량에 적합하도록 용접출력을 조절함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절감시키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IGBT 방식 콘덴서 프로젝션 용접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장치는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스위칭 방식 콘덴서 프로젝션 용접기는 직류전류를 출력하기 위한 직류 전원부와, 직류전원부의 포지티브 단자에 애노우드가 연결된 에너지 충전용 콘덴서와, 1차측 권선의 일측 단자가 상기 콘덴서의 캐소우드에 연결되고 상기 1차측 권선의 타측 단자가 상기 직류전원부의 마이너스 단자에 연결되고, 2차측 권선의 양단사이에 유도된 용접전류를 출력하는 출력 변압기와, 콘덴서의 애노우드에 제1전류단자가 연결되고 출력 변압기의 1차 권선의 타측단자에 제2전류단자가 연결되고 제어단자에 스위칭 제어신호가 인가되는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와, 출력 변압기의 출력파워를 선택하기 위한 출력 선택부와, 출력 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출력파워에 대응하는 펄스폭을 가진 구동펄스신호를 발생하여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제어단자에 공급하는 구동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콘덴서의 최대 용량은 상기 출력 변압기가 출력할 수 있는 최대 에너지 를 충전할 수 있는 용량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2 장치는 직류전류를 출력하기 위한 직류 전원부와, 직류전원부의 포지티브 단자에 애노우드가 연결된 에너지 충전용 콘덴서와, 1차측 권선의 일측 단자가 상기 콘덴서의 캐소우드에 연결되고 상기 1차측 권선의 타측 단자가 상기 직류전원부의 마이너스 단자에 연결되고, 2차측 권선의 양단사이에 유도된 용접전류를 출력하는 출력 변압기와, 콘덴서의 애노우드에 제1전류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출력 변압기의 1차 권선의 타측단자에 제2전류단자가 연결되고 제어단자에 스위칭 제어신호가 인가되는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와, 출력 변압기의 출력파워를 선택하기 위한 출력 선택부와, 출력 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출력파워에 대응하는 펄스폭을 가진 기간동안 소정 주파수를 가진 구동펄스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어단자에 공급하는 구동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IGBT 방식 콘덴서 프로젝션 용접기에 따르면, 충전된 전해 콘덴서의 에너지를 출력 변압기에 방전하여 전류를 흘리고자 할 때 SCR을 이용하지 아니하고 IGBT를 이용함으로 인해 통전 전류 시간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전해 콘덴서에 충전된 에너지 중에서 출력 변압기의 출력 세기만큼의 에너지를 출력 변압기에 방전할 수 있고, 전해 콘덴서를 재충전 시 효과적인 충전을 할 수 있으며, 또한 한 대의 용접기로 용접기 출력의 세기를 여러 단계의 출력 세기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IGBT 방식 콘덴서 프로젝션 용접기의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IGBT 방식 콘덴서 프로젝션 용접기는 직류 전원부(201), 전해 콘덴서(202), 방전용 IGBT(203), 출력 변압기(204), 출력 선택부(210), 구동 제어부(220), 및 보호 회로부(230)를 포함한다.
직류 전원부(201)는 전해 콘덴서(201)의 애노우드에 연결된 플러스 단자와 출력 변압기(204)의 제 1차 측 제 2 단자에 연결된 마이너스 단자를 가지며 전해 콘덴서(202)에 공급할 전원 전압을 발생한다. 전해 콘덴서(202)는 직류 전원부(201)의 플러스 단자에 연결된 애노우드와 출력 변압기(204)의 제 1차 측 제 1 단자에 연결된 캐소우드를 가지며 직류 전원부(201)에서 발생한 전원 전압을 공급 받아 전하를 충전한다. 방전용 IGBT(203)는 전해 콘덴서(202)의 애노우드와 직류 전원부(201) 사이에 연결된 제1전류단자, 즉 드레인 단자와 직류 전원부(201)의 마이너스 단자와 출력 변압기(204)의 제 1차 측 제 2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2전류단자, 즉 소스 단자와 구동 제어부(220)에 연결된 제어단자, 즉 게이트 단자를 가지며 전해 콘덴서(202)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시켜 출력 변압기(204)에 전류를 흘린다. 출력 변압기(204)는 전해 콘덴서(202)의 마이너스 단자에 연결된 제 1차 측 제 1 단자와 직류 전원부(201)의 마이너스 단자 및 방전용 IGBT(203)의 소스 단자에 연결된 제 1차 측 제 2 단자와 용접 에너지를 출력하는 제 2차 측 제 1 단자와 제 2차 측 제 2 단자를 가지며 방전용 IGBT(203)를 통하여 흘러나오는 전류를 공급받아 용접 에너지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출력 선택부(210)는 용접기 출력 에너지 세기를 선택하여 그 세기에 기초하여 출력 신호를 발생한다. 출력 선택부(210)는 IGBT 방식 콘덴서 프로젝션 용접기의 출력 세기를 여러 단계로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출력 선택부(210)는 IGBT 방식 콘덴서 프로젝션 용접기의 출력 에너지 세기를 6000WS, 12000WS, 18000WS 중에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세기에 기초하여 용접기의 출력 에너지 세기가 더 큰 것이 선택 될수록 더 큰 출력 신호를 발생한다. 출력 선택부(210)의 선택 기능은 멀티플렉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구동 제어부(220)는 방전용 IGBT(203)에 공급할 IGBT 게이트 신호를 발생한다. 출력 선택부(210)로부터 받은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펄스 신호를 타이밍 조절하여 IGBT 게이트 신호를 발생한다. 구동 제어부(220)는 출력 선택부(210)의 출력 신호 세기가 클수록 외부로부터 인가된 펄스 신호의 타이밍을 길게 조절하여 긴 타이밍을 가지는 IGBT 게이트 신호를 발생한다. 방전용 IGBT(203)는 전해 콘덴서(202)가 충전 시에는 전류를 흘리지 않으며 방전 시에만 전해 콘덴서(202)에 충전된 전하가 흘러나갈 수 있는 경로를 열어준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SCR 방식 콘덴서 프로젝션 용접기는 방전용 SCR을 통하여 출력 변압기에 전류를 흘려주어 충전된 전해 콘덴서의 전하를 방전시키는데 반하여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GBT 방식 콘덴서 프로젝션 용접기는 방전용 IGBT(203)를 통하여 출력 변압기(204)에 전류를 흘려주어 충전된 전해 콘덴서(202)의 전하를 방전시킨다. 다음 수학식1은 프로젝션 용접기의 출력 에너지 산출식을 나타낸다.
[수학식1]
H=I2RT
여기서 H는 프로젝션 용접기의 출력 에너지, I는 전류, R은 전기 저항, T는 전류가 흐르는 동안의 시간을 나타낸다. IGBT 방식 콘덴서 프로젝션 용접기는 IGBT의 특성상 통전 전류 시간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전류가 흐르는 동안의 시간을 조절하여 프로젝션 용접기의 출력 에너지 세기를 조절한다. 즉, 방전용 IGBT(203)를 이용하여 전류를 흘려주면 방전용 SCR을 이용하여 전류를 흘려줄 때와 달리 전류 통전 시간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전해 콘덴서에 충전된 에너지 중에서 전부 또는 일부만을 방전시켜 출력 변압기(203)로 전류를 흘릴 수 있다. 따라서 한 대의 용접기로 용접기의 출력 세기를 여러 단계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전해 콘덴서에 방전되지 않은 에너지가 일부 남아있으면 재충전 시 충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출력 변압기(204)는 방전용 IGBT(201)을 통하여 흘러나오는 전류를 공급받아 용접 에너지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보호회로(230)는 2개의 저항(231, 232)과 2개의 다이오드(233, 234)를 포함한다. 저항(231)은 전해 콘덴서(202)의 마이너스 단자와 출력 변압기(204)의 제 1차 측 제 1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 1 단자를 가지며 방전용 IGBT(203)의 소스와 출력 변압기(204)의 제 1차 측 제 2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 2 단자를 가진다. 저항(232)은 전해 콘덴서(232)의 마이너스 단자와 저항(231)의 제 1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 1 단자를 가진다. 다이오드(233)는 저항(232)의 제 2 단자에 연결된 애노드 단자와 방전용 IGBT(203)의 소스 단자와 저항(231)의 제 2 단자 사이에 연결된 캐소드 단자를 가진다. 다이오드(234)는 저항(232)의 제 2 단자 와 다이오드(233)의 애노드 단자 사이에 연결된 애노드 단자와 전해 콘덴서(202)의 플러스 단자와 방전용 IGBT(203)의 드레인 사이에 연결된 캐소드 단자를 가진다. 보호회로부(230)의 2개의 저항(231, 232)및 2개의 다이오드(233, 234)는 출력 변압기(204)에서 역기전력이 발생했을 시 회로가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도 3의 구동 제어부의 펄스 타이밍의 일례를 나타내는 펄스 타이밍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구동 제어부는 출력 선택부에서 발생한 출력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IGBT 방식 콘덴서 프로젝션 용접기의 출력 세기를 6000WS, 12000WS, 18000WS 3가지 중에 선택할 수 있을 경우, 6000WS를 선택하면 구동 제어부는 12000WS나 18000WS를 선택했을 경우보다 더 짧은 타이밍(T1)을 가지는 IGBT 게이트 신호를 발생하고, 12000WS를 선택하면 구동 제어부는 6000WS를 선택했을 경우보다 길고 18000WS를 선택했을 경우보다 짧은 길이의 타이밍(T2)을 가지는 IGBT 게이트 신호를 발생하며, 18000WS를 선택하면 6000WS나 12000WS를 선택했을 때보다 더 긴 타이밍(T3)을 가지는 IGBT 게이트 신호를 발생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전해 콘덴서의 충/방전시 에너지 파형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IGBT 방식 전해 콘덴서 프로젝션 용접기는 18000WS에 해당하는 에너지만큼 전해 콘덴서에 전하를 충전한다(REG.1). 그 다음 용접기가 6000WS에 해당하는 에너지의 출력을 내기 위해 충전된 전해 콘덴서의 에너지 중에서 6000WS에 해당하는 만큼의 에너지를 방전용 IGBT를 통해 용접 트랜스에 전류로 흘린다(REG.2). 이 때 전해 콘덴서에는 18000WS에 해당하는 에너지 의 전하 중에서 6000WS에 해당하는 에너지의 전하만을 방전하여 12000WS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발생할 수 있는 전하를 가지고 있다. 그 다음 전해 콘덴서를 18000WS에 해당하는 에너지의 전하를 가질 때까지 재충전한다(REG.3). 다음에 용접기가 12000WS에 해당하는 에너지의 출력을 내기 위해, 충전된 전해 콘덴서의 에너지 중에서 12000WS에 해당하는 만큼의 에너지를 방전용 IGBT를 통해 용접 트랜스에 전류로 흘린다(REG.4). 이 때 전해 콘덴서에는 18000WS에 해당하는 에너지의 전하 중에서 12000WS에 해당하는 에너지의 전하만을 방전하여 6000WS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발생할 수 있는 전하를 가지고 있다. 다시 전해 콘덴서를 18000WS에 해당하는 에너지의 전하를 가질 때까지 재충전한다(REG.5). 다음에 용접기가 18000WS에 해당하는 에너지의 출력을 내기 위해 충전된 전해 콘덴서의 에너지 중에서 18000WS에 해당하는 만큼의 에너지를 방전용 IGBT를 통해 용접 트랜스에 전류로 흘린다(REG.6).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방전용 IGBT의 IGBT 게이트 신호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방전용 IGBT에 인가되는 IGBT 게이트 펄스 신호를 방전용 IGBT의 ON/OFF 스위칭 시간보다 짧은 타이밍(TA)의 펄스 신호로 반복적으로 일정시간(TB)동안 인가하면 일정시간(TB)동안 계속 펄스 신호를 인가한 것과 같은 효과를 발생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IGBT방식 콘덴서 프로젝션 용접기의 회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 비교하여 IGBT와 콘덴서 의 위치가 서로 치환된 상태로 연결된 점이 다르다. 즉 콘덴서(304)의 애노우드는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302)를 통하여 직류전원부(201)의 포지티브 단자에 연결되고 캐소우드는 직류전원부(201)의 네가티브 단자에 캐소우드가 연결된다.
IGBT(306)의 제1전류단자, 즉 콜렉터는 노드(N11)에 연결되고 제2전류단자, 즉 에미터는 노드(N13)에 연결된다. 제어단자, 즉 게이트에는 구동제어부(220)에서 공급되는 스위칭 제어신호가 인가된다.
출력 변압기(204)의 1차측 권선(W1)의 일측 단자가 상기 게이트 절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제2전류단자가 연결된 노드(N13)에 연결되고 1차측 권선(W1)의 타측 단자가 직류전원부(201)의 마이너스 단자가 연결된 노드(N14)에 연결되고, 2차측 권선(W2)의 양단 사이에 유도된 용접전류를 출력한다.
따라서 충전 동작 시에는 IGBT는 오프상태로 유지되고 다이오드(302)를 통해 직류가 콘덴서(304)에 공급되어 충전된다.
방전 동작 시에는 IGBT가 턴온되면 콘덴서(304)에 충전된 에너지가 IGBT를 거쳐서 출력 변압기(204)의 1차측 권선(W1)에 공급되게 되고 이에 2차측 권선(W2)에 고압 전류가 유도되어 용접전류로 출력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전해 콘덴서에 충전되어 있는 에너지를 IGBT를 통해 전류를 흘려 출력 변압기에 방전하고자 할 때 IGBT의 전류 통전 시간을 제어 할 수 있으므로 전해 콘덴서가 가지고 있는 최대의 에너지 용량의 범위 내에서 일부분의 에너지 양 만을 방전할 수 있어 한 대의 용접기로 여러 단계의 출력 에너지 세기를 선택할 수 있으며, 전해 콘덴서에 방전되지 않은 일부 에너지가 남아 있는 경우는 재충전 시 충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IGBT 방식 콘덴서 프로젝션 용접기는 전해 콘덴서에 충전되어 있는 에너지를 출력 변압기에 전류를 흘려 방전할 경우에 SCR을 이용하지 아니하고 그 대신 전류 통전 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IGBT를 이용하여 전해 콘덴서에 충전되어 있는 에너지 중에서 원하는 세기만큼의 에너지를 출력 변압기에 방전할 수 있어서 한 대의 용접기로 전해 콘덴서가 충전할 수 있는 최대 에너지 내에서 용접기 출력 에너지 세기를 여러 단계의 출력 에너지 세기 중에서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전해 콘덴서의 전하를 일부만 방전하여 전류를 흘렸을 경우 전해 콘덴서를 재충전 시 충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Claims (4)

  1. 직류전류를 출력하기 위한 직류 전원부;
    상기 직류전원부의 포지티브 단자에 애노우드가 연결된 에너지 충전용 콘덴서;
    1차측 권선의 일측 단자가 상기 콘덴서의 캐소우드에 연결되고 상기 1차측 권선의 타측 단자가 상기 직류전원부의 마이너스 단자에 연결되고, 2차측 권선의 양단사이에 유도된 용접전류를 출력하는 출력 변압기;
    상기 콘덴서의 애노우드에 제1전류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출력 변압기의 1차 권선의 타측단자에 제2전류단자가 연결되고 제어단자에 스위칭 제어신호가 인가되는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상기 출력 변압기의 출력파워를 선택하기 위한 출력 선택부; 및
    상기 출력 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출력파워에 대응하는 펄스폭을 가진 구동펄스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어단자에 공급하는 구동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스위칭 방식 콘덴서 프로젝션 용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의 최대 용량은 상기 출력 변압기가 출력할 수 있는 최대 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는 용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스위칭 방식 콘덴서 프로젝션 용접기.
  3. 직류전류를 출력하기 위한 직류 전원부;
    상기 직류전원부의 포지티브 단자에 애노우드가 연결된 에너지 충전용 콘덴서;
    1차측 권선의 일측 단자가 상기 콘덴서의 캐소우드에 연결되고 상기 1차측 권선의 타측 단자가 상기 직류전원부의 마이너스 단자에 연결되고, 2차측 권선의 양단사이에 유도된 용접전류를 출력하는 출력 변압기;
    상기 콘덴서의 애노우드에 제1전류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출력 변압기의 1차 권선의 타측단자에 제2전류단자가 연결되고 제어단자에 스위칭 제어신호가 인가되는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상기 출력 변압기의 출력파워를 선택하기 위한 출력 선택부; 및
    상기 출력 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출력파워에 대응하는 펄스폭에 상응하는 시간 동안 상기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온/오프 하강 시간보다 짧은 듀레이션을 가진 구동펄스신호를 반복적으로 발생하여 상기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어단자에 공급하는 구동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스위칭 방식 콘덴서 프로젝션 용접기.
  4. 직류전류를 출력하기 위한 직류 전원부;
    역류방지용 다이오드를 통하여 상기 직류전원부의 포지티브 단자에 애노우드가 연결되고 상기 직류전원부의 네가티브 단자에 캐소우드가 연결된 에너지 충전용 콘덴서;
    상기 콘덴서의 애노우드에 제1전류단자가 연결되고 제어단자에 스위칭 제어신호가 인가되는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차측 권선의 일측 단자가 상기 게이트 절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제2전류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1차측 권선의 타측 단자가 상기 직류전원부의 마이너스 단자에 연결되고, 2차측 권선의 양단사이에 유도된 용접전류를 출력하는 출력 변압기;
    상기 출력 변압기의 출력파워를 선택하기 위한 출력 선택부; 및
    상기 출력 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출력파워에 대응하는 펄스폭을 가진 구동펄스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어단자에 공급하는 구동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스위칭 방식 콘덴서 프로젝션 용접기.
KR1020070025598A 2007-03-15 2007-03-15 아이지비티 방식 콘덴서 프로젝션 용접기 KR100821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598A KR100821955B1 (ko) 2007-03-15 2007-03-15 아이지비티 방식 콘덴서 프로젝션 용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598A KR100821955B1 (ko) 2007-03-15 2007-03-15 아이지비티 방식 콘덴서 프로젝션 용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1955B1 true KR100821955B1 (ko) 2008-04-15

Family

ID=39534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5598A KR100821955B1 (ko) 2007-03-15 2007-03-15 아이지비티 방식 콘덴서 프로젝션 용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19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792B1 (ko) * 2015-12-24 2017-08-03 김희돈 인버터 씨디 스터드 용접기의 구동회로 장치
CN110421244A (zh) * 2019-08-27 2019-11-08 无锡海菲焊接设备有限公司 储能焊机的焊接控制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792B1 (ko) * 2015-12-24 2017-08-03 김희돈 인버터 씨디 스터드 용접기의 구동회로 장치
CN110421244A (zh) * 2019-08-27 2019-11-08 无锡海菲焊接设备有限公司 储能焊机的焊接控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9089A (en) Power converter apparatus having instantaneous commutation switching system
JP4126558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5992407B2 (ja) アーク消去方法及びアーク消去システム
US8937263B2 (en) Capacitive discharge welding power supply and capacitive discharge welder using the same
US9748948B2 (en) Methods for overdriving a base current of an emitter switched bipolar junction transistor and corresponding circuits
JP4753729B2 (ja) スイッチング制御回路
KR100821955B1 (ko) 아이지비티 방식 콘덴서 프로젝션 용접기
US20080049455A1 (en) Forward converter with synchronous rectification
CA3063356C (en) Ignition device for gtaw welding equipment
US20100123412A1 (en) Pulse generating circuit
JPH0990482A (ja) 閃光装置
US20080315688A1 (en) Pulsed power supply
FI87031C (fi) Avbrytningskrets foer gitterbryttyristor
JP4535029B2 (ja) プリチャージ回路
WO2005101628A1 (ja) 陽極酸化用電源装置
JP3400678B2 (ja) 充電発電機の制御装置
JP2012109916A (ja) 負荷駆動回路
KR101185284B1 (ko) Dc-dc 변환기
JP2018074619A (ja) ゲートパルス発生回路およびパルス電源装置
KR101580072B1 (ko) 콘덴서식 용접기 및 그 충전 방법
US8314573B2 (en) Discharge lamp lighting circuit
US6150770A (en) Flash apparatus
JP2006284326A (ja) サージ電流発生装置
JP2015211976A (ja) 溶接電源装置及び溶接電源装置の制御方法
JP2001335928A (ja) スパッタ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