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1664B1 - 탈취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탈취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1664B1
KR100821664B1 KR1020080000762A KR20080000762A KR100821664B1 KR 100821664 B1 KR100821664 B1 KR 100821664B1 KR 1020080000762 A KR1020080000762 A KR 1020080000762A KR 20080000762 A KR20080000762 A KR 20080000762A KR 100821664 B1 KR100821664 B1 KR 100821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trate
weight
acid
copper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0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Priority to KR1020080000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16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1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1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취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질산구리(II) 복합체 제조단계; 질산제이철 복합체 제조단계; 질산구리(II) 복합체 및 질산제이철 복합체를 혼합하는 혼합단계; 및 상기 혼합물에 유기 안정화제 및 방향제를 첨가하는 첨가단계를 거쳐 제조된 본 발명의 탈취제는 주된 악취원인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등과 같은 염기성 냄새와 황화수소, 메르캅탄 등과 같은 산성 냄새를 동시에 제거하여 악취제거 탈취제로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탈취제, 질산구리(II), 질산제이철, 유기 안정화제

Description

탈취제의 제조방법{Preparation method of deodorant}
본 발명은 주된 악취원인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등과 같은 염기성 냄새와 황화수소, 메르캅탄 등과 같은 산성 냄새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악취제거 탈취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서는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일상생활의 불쾌감을 주는 소음, 진동, 먼지 뿐만 아니라 악취도 공해로 규정하여 관련 법규에 의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적으로 악취는 황화수소, 메르캅탄, 황화메틸, 이황화메틸 등과 같은 산성 냄새;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스카톨 등과 같은 염기성 냄새; 또는 아세트알데히드, 스티렌 등과 같은 중성 냄새로 구별된다.
이러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종래의 탈취방법은 향료나 향기와 같은 방향성 물질을 이용하여 후각적으로 은폐하는 의화적 탈취법(마스킹법); 산화, 환원, 중화, 부가축합, 이온교환반응 등을 이용하여 분해하는 화학적 탈취법; 활성탄,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등의 다공성 물질을 이용하여 포집하는 물리적 흡착법; 또는 미생물, 효소, 방부제 등을 이용하여 억제하는 생물적 탈취법으로 대별된다.
그런데 의화적 탈취는 천연 또는 합성 성분에 따라서는 새로운 악취나 독성을 발생하기 쉽고, 물리적 흡착법은 효과가 빠르나 환경 조건 또는 장시간 사용에 따라 악취가 재생되고, 생물적 탈취법은 효과가 느리고 온습도 조건에 따라 그 활성의 차이가 커서 효능이 불균일하다.
화학적 탈취법은 다양한 발전이 가능하지만 선택성 기작에 의해 총체적인 탈취력의 발휘에 한계가 있다.
한편, 근래에 아파트나 단독주택을 불문하고 벽지와 바닥의 시공에 있어 상대적으로 저가인 포름알데히드(HCHO),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등의 유해 화학물질을 함유하는 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른바 새집증후군이란 신조어가 생겨날 정도이다. 이에 대한 대처를 위해서도 주된 악취원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탈취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주된 악취원인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등과 같은 염기성 냄새와 황화수소, 메르캅탄 등과 같은 산성 냄새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악취제거용 탈취제의 제조방법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고, 그 결과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된 악취원인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등과 같은 염기성 냄새와 황화수소, 메르캅탄 등과 같은 산성 냄새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악취제거용 탈취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질산구리(II), 킬레이트화제 및 물을 혼합하여 질산구리(II) 용액을 제조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를 3.0 내지 4.0으로 조절하는 질산구리(II) 복합체 제조단계;
질산제이철, 킬레이트화제 및 물을 혼합하여 질산제이철 용액을 제조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를 3.0 내지 4.0으로 조절하는 질산제이철 복합체 제조단계;
질산구리(II) 복합체 및 질산제이철 복합체를 혼합하는 혼합단계; 및
상기 혼합물에 유기 안정화제 및 방향제를 첨가하는 첨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질산구리(II) 복합체 제조단계(S110)에 있어서, 상기 질산구리(II) 용액은 질산구리(II) 2-20 중량%, 킬레이트화제 3-35 중량% 및 잔량의 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킬레이트화제로는 구연산(citric acid), 사과산(malic acid), 에데틱산(edetic acid), 펜테틴산(pentetic acid), 2Na-EDTA(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4Na-EDTA(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NTA(nitrilotriacetic acid) 및 DTPA(diethylene-triamine-pentaacetic aci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질산구리(II)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 과량 또는 소량으로 함유되면 제품 탈취율 등의 문제가 야기될 수 있고, 또한 킬레이트화제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 과량 또는 소량으로 함유되면 원활한 킬레이트 형성 및 알칼리성 악취원에 대한 탈취율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그리고, 질산구리(II) 용액의 pH는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하여 pH 3.0 내지 4.0으로 조절하며, 이때 상기 범위를 벗어나 pH가 높으면 복합체의 환원이 일어나 침전이 발생하며 pH가 낮으면 염기성 냄새의 제거율이 낮아진다.
또한, 질산제이철 복합체 제조단계(S120)에 있어서, 상기 질산제이철 용액은 질산제이철 2-10 중량%, 킬레이트화제 5-25 중량% 및 잔량의 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질산제이철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 과량 또는 소량으로 함유되면 제품 탈취율 등의 문제가 야기될 수 있고, 또한 킬레이트화제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 과량 또는 소량으로 함유되면 원활한 킬레이트 형성 및 알칼리성 악취원에 대한 탈취율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그리고, 질산제이철 용액의 pH는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하여 pH 3.0 내지 4.0으로 조절하며, 이때 상기 범위를 벗어나 pH가 높으면 복합체의 환원이 일어나 침전이 발생하며 pH가 낮으면 염기성 냄새의 제거율이 낮아진다.
또한, 본 발명의 혼합단계(S130)는 질산제이철 복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질산구리(II) 복합체 1 내지 7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범위를 벗어나 질산구리(II) 복합체를 과량 또는 소량으로 함유하면 복합체의 전하안전성에 따른 제품의 침전 및 탈취율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그리고, 혼합조건은 상온에서 3∼4 시간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첨가단계(S140)는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기 안정화제 2-10 중량부 및 방향제 0.01-20.0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안정화제는 금속 복합체 용액 내 전기안정화도를 높여 금속 복합체의 침전을 방지하고 전하를 안정화시키며 친유성 악취원에 대한 용해도를 증가시켜 탈취제와의 반응성을 상승시킨다.
예를들어, 유기 안정제로는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범위를 벗어나 과량 또는 소량으로 함유되면 친수성 및 친유성 물질에 대한 탈취율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상기 방향제로는 천연오일을 유효성분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라벤더, 레몬, 유칼립투스, 벌가못, 애플 또는 로즈마리 등의 천연 허브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범위를 벗어나 0.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향 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20.0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품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탈취제는 금속 복합체 형태로 용액 내에서 안정하게 존재하다가 황 및 질소화합물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배위공유결합을 통하여 제거하며, 아민류에 대하여 일부 배위결합 및 중화반응을 통하여 악취를 제거한다.
하기 반응식들을 통한 반응 메카니즘으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탈취제가 암모니아(NH3), 황화수소(H2S), 메르캅탄(R-SH) 및 트리메틸아민(TMA)을 제거한다.
Figure 112008000467223-pat00001
Figure 112008000467223-pat00002
Figure 112008000467223-pat00003
Figure 112008000467223-pat00004
Figure 112008000467223-pat00005
Figure 112008000467223-pat00006
Figure 112008000467223-pat00007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탈취제는 주된 악취원인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등과 같은 염기성 냄새와 황화수소, 메르캅탄 등과 같은 산성 냄새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어 악취제거 탈취제로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하기에 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탈취제의 제조
1) 질산구리(II) 복합체 제조단계
정제수 111.0mol에 대하여 질산구리(II)[Cu(NO3)2] 0.330mol를 투입한 후 완전히 용해하고, 그 후 상기 용액에 대하여 구연산 0.721mol를 투입하여 30분간 교반하였다. 교반 후, 5%(wt/wt) NaOH 용액을 천천히 투입하여 pH를 3.8로 조절하였 다.
2) 질산제이철 복합체 제조단계
정제수 1667.0mol에 대하여 질산철[Fe(NO3)3] 2.973mol를 투입한 후 완전히 용해하고, 그 후 상기 용액에 대하여 구연산 9.377mol를 투입하여 30분간 교반하였다. 교반 후, 5%(wt/wt) NaOH 용액을 천천히 투입하여 pH를 3.8로 조절하였다.
3) 금속 복합체 혼합단계
상기 제조된 질산제이철 복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질산구리(II) 복합체 10 중량부를 가하고 2시간 안정화시켰다.
4) 유기안정화제 및 방향제 첨가단계
상기 혼합된 금속 복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소프탄올(softanol) 0.12 중량부, SLES(sodium lauryl ethylene sulfate) 0.23 중량부, 3MMB(3-methoxymethyl-1,1-butanol) 0.05 중량부, BDG(butol glycol ether) 1.73 중량부, 향료(유칼립투스) 0.05 중량부 및 에탄올 2.31 중량부를 각각 투입하고 상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험예 1> 탈취제의 탈취력 평가
주요 악취원인 트리메틸아민(TMA), 메틸메르캅탄(CH3-SH) 및 암모니아(NH3)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탈취제의 탈취력을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다. 여기서 트리메틸아민은 GASTEC 검지관 no.180, 메틸메르캅탄은 no.71, 암모니아는 no.3 La를 사용하여 평가하고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다.
1) 용기준비
정체식 탈취력 평가를 위한 용기의 크기는 250∼500ml 용기와 검지관 시험이 가능한 실리콘 마개가 장착된 뚜껑을 이용하였다.
2) 공시료 평가
물 10g을 용기바닥에 넣은 후 준비된 악취원(트리메틸아민 3.0ml, 암모니아수 0.05ml, 메틸메르캅탄 0.1ml)을 마이크로피펫을 이용하여 용기바닥과 분리된 내부용기에 충전하고 재빨리 뚜껑을 막아주었다.
실온(25℃)에서 30분 방치한 후 악취원에 맞는 가스 탐지기(gas detector)로 100까지 흡입 및 1분 후 검지관의 악취 가스 농도를 확인하였다.
3) 시료 평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탈취제 시료 1.0% 용액 10g을 용기 바닥에 넣어주었다. 준비된 용기 안에 악취원(트리메틸아민 3.0ml, 암모니아수 0.05ml, 메틸메르캅탄 0.1ml)을 마이크로피펫을 이용하여 용기바닥과 분리된 내부용기에 충전하고 재빨리 뚜껑을 막아주었다. 실온(25℃)에서 30분 방치한 후 악취원에 맞는 가스 탐지기(gas detector)로 100까지 흡입 및 1분 후 검지관의 악취 가스 농도를 확인하였다.
Figure 112008000467223-pat00008
그 결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메틸아민(TMA), 메틸메르캅탄(CH3- SH) 및 암모니아(NH3)에 대한 악취제거능이 농도의존적으로 증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취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취제의 악취제거 능력을 나타낸 것이다.

Claims (8)

  1. 질산구리(II), 킬레이트화제 및 물을 혼합하여 질산구리(II) 용액을 제조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를 3.5 내지 4.0으로 조절하는 질산구리(II) 복합체 제조단계;
    질산제이철, 킬레이트화제 및 물을 혼합하여 질산제이철 용액을 제조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pH를 3.5 내지 4.0으로 조절하는 질산제이철 복합체 제조단계;
    질산구리(II) 복합체 및 질산제이철 복합체를 혼합하는 혼합단계; 및
    상기 혼합물에 유기 안정화제 및 방향제를 첨가하는 첨가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제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질산구리(II) 용액은 질산구리(II) 2-20 중량%, 킬레이트화제 3-35 중량% 및 잔량의 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제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킬레이트화제는 구연산(citric acid), 사과산(malic acid), 에데틱산(edetic acid), 펜테틴산(pentetic acid), 2Na-EDTA(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4Na-EDTA(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NTA(nitrilotriacetic acid) 및 DTPA(diethylene-triamine-pentaacetic aci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제의 제조방 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질산제이철 용액은 질산제이철 2-10 중량%, 킬레이트화제 5-25 중량% 및 잔량의 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제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단계는 질산제이철 복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질산구리(II) 복합체 1 내지 7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제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단계는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기 안정화제 2-10 중량부 및 방향제 0.01-20.0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제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안정화제는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제의 제조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는 라벤더, 레몬, 유칼립투스, 벌가못, 애플 및 로즈마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제의 제조방법.
KR1020080000762A 2008-01-03 2008-01-03 탈취제의 제조방법 KR100821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762A KR100821664B1 (ko) 2008-01-03 2008-01-03 탈취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762A KR100821664B1 (ko) 2008-01-03 2008-01-03 탈취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1664B1 true KR100821664B1 (ko) 2008-04-14

Family

ID=39534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0762A KR100821664B1 (ko) 2008-01-03 2008-01-03 탈취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166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488B1 (ko) * 2009-02-19 2011-11-08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얻어진 탈취제
KR102006328B1 (ko) 2019-05-16 2019-08-01 주식회사 에코코어기술 TVOCs 및 악취유발물질 제거를 위한 약액세정액 제조방법
KR102419918B1 (ko) * 2021-12-08 2022-07-29 농업회사법인(유)카야시스템 미생물 탈취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66478B1 (ko) 2024-01-29 2024-05-16 용진환경주식회사 염화동폐액을 이용한 탈취제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86522A (ja) 1986-06-03 1987-12-12 Japan Pionics Co Ltd 排ガスの浄化方法
US20070039417A1 (en) 2005-08-18 2007-02-22 Dehuan Huang Method for preparing nano-complex-powder comprising multiple components and silv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86522A (ja) 1986-06-03 1987-12-12 Japan Pionics Co Ltd 排ガスの浄化方法
US20070039417A1 (en) 2005-08-18 2007-02-22 Dehuan Huang Method for preparing nano-complex-powder comprising multiple components and silv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488B1 (ko) * 2009-02-19 2011-11-08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얻어진 탈취제
KR102006328B1 (ko) 2019-05-16 2019-08-01 주식회사 에코코어기술 TVOCs 및 악취유발물질 제거를 위한 약액세정액 제조방법
KR102419918B1 (ko) * 2021-12-08 2022-07-29 농업회사법인(유)카야시스템 미생물 탈취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66478B1 (ko) 2024-01-29 2024-05-16 용진환경주식회사 염화동폐액을 이용한 탈취제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81922B (zh) 除臭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821664B1 (ko) 탈취제의 제조방법
JP4177706B2 (ja) 消臭剤
JP3757679B2 (ja) 消臭剤
JP2616819B2 (ja) 脱臭剤組成物
KR20160018279A (ko) 축산 악취 제거용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JP2745424B2 (ja) 脱臭剤
JPS61103447A (ja) 消臭剤
JP3458808B2 (ja) 消臭剤
KR20160018276A (ko) 축산 악취 제거용 항균 조성물
LU501578B1 (en) Natural Plant Deodorant,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JPS618054A (ja) 消臭剤
JPH0663347A (ja) 脱臭処理剤
JP2786176B2 (ja) 消臭性成形物
JP2005168525A (ja) 消臭剤
KR101081488B1 (ko)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얻어진 탈취제
JPH11319051A (ja) 消臭剤
JPS61135668A (ja) 消臭剤
WO2002024237A1 (fr) Composition desodorisante liquide et son procede d&#39;utilisation
JP2006288782A (ja) 水性消臭剤
JP3146037B2 (ja) 脱臭剤
JPH0222667B2 (ko)
JPS635754A (ja) 消臭剤
JP3463202B2 (ja) 消臭剤組成物
CN114377537A (zh) 一种天然植物除臭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