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1250B1 - 고유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튼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휴대용 음향기기 - Google Patents

고유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튼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휴대용 음향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1250B1
KR100821250B1 KR1020060098371A KR20060098371A KR100821250B1 KR 100821250 B1 KR100821250 B1 KR 100821250B1 KR 1020060098371 A KR1020060098371 A KR 1020060098371A KR 20060098371 A KR20060098371 A KR 20060098371A KR 100821250 B1 KR100821250 B1 KR 100821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rangement
button
case
button body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8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문규
김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인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인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인콤
Priority to KR1020060098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12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1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1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legends, e.g. Braille, liquid crystal displays, light emitting or optica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04Collapsible dome or bubble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기기의 케이스에 장착되어 고유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튼구조체로서, 상면에 고유작동표시가 그려져 있으며, 상면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케이스에 장착되는 버튼몸체와; 상기 버튼몸체로부터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하면에는 일정 규격의 배치배열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배치배열에 대해서 부분적으로 배치(排置)되는 배치패턴을 가지는 복수개의 가압돌기가 하부로 돌출형성되는 가압부재와; 그리고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가압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배치배열과 동일한 배열을 가지는 복수개의 접촉스위치를 구비하고, 접촉스위치들 중 상기 가압부재에 돌출형성된 상기 가압돌기에 의해서 접촉이 이루어진 접촉스위치들의 통전패턴에 따라서 전기적인 고유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버튼구조체는, 종래와 달리 배치배열에 대한 가압돌기의 부분적인 배치패턴에 따라서 고유작동신호가 발생되도록 한다. 따라서 버튼몸체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사용자가 버튼몸체로부터 인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버튼구조체, 휴대용 음향기기, 슬림화, 소형화

Description

고유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튼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음향기기{Button structure creating unique operating signal and Portable audio player using it}
도 1은 종래의 음향기기에 사용된 버튼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버튼구조체 및 휴대용 음향기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버튼구조체 중 버튼몸체를 상부 및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버튼구조체의 가압돌기 및 배치배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버튼구조체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신호발생부를 확대한 단면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버튼구조체 20 : 버튼몸체
30 : 가압부재 40 : 신호발생부
50 : 탄성부재 60 : 후크판
70 : 케이스
본 발명은 MP3 등 휴대용 음향기기의 버튼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버튼의 위치를 사용자가 임의로 변화시키더라도 동일한 고유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튼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음향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MP3 등 휴대하면서 음악을 들을 수 있는 휴대용 음향기기는, 재생, 정지, 일시정지, 선곡 및 다양한 재생 모드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외부에 버튼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버튼의 작동 원리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버튼(800)을 가압하게 되면, 하부에 위치하는 스위치(810)가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 버튼(800)은 내측에 하부로 연장되는 가압봉(840)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가압봉(840)은 케이스(820)에 형성된 홀(830)을 통해서 케이스(820) 내로 삽입된다. 이후 버튼(800)이 눌려지게 되면 상기 가압봉(840)이 하부로 이동하여 스위치(810)를 통전시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킨다. 버튼(800)은 탄성부재(850)를 매개로 케이스(820)에 대해서 탄성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지 않을 경우 상부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위의 작용에 의해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는 음향기기내에 위치된 제어장치(미도시)에 전달되고, 제어장치는 전기적 신호가 발생한 위치를 인식하고, 위치에 따 라서 미리 저장되어 있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반면 사용자는 버튼(800)의 상면에 표시된 작동표시를 통해서 버튼의 동작을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음향기기에 사용되는 버튼구조체에서는, 사용자는 버튼(800)을 통해서 고유동작을 인식하게 되나, 음향기기의 제어장치는 스위치(810)의 위치를 통해서 고유동작을 인식하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인식과 제어장치의 인식이 일치되지 않게 되면 오작동이 발생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재생작동을 하는 버튼이 조립시 착오로 녹음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 상부에 장착될 경우, 음향기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작동을 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버튼(800)의 위치가 변화하더라도 버튼(800)이 가지는 고유작동을 실행할 수 있는 버튼구조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최근에는 소비자들의 음향기기의 디자인의 변화에 대한 욕구가 강하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소비자가 직접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는 음향기기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 중 하나로 음향기기의 버튼의 구조를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는 있는 음향기기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아울러 음향기기는 소형화, 슬림화되는 추세에 있으며, 음향기기가 소형화, 슬림화됨에 따라서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배터리 공간이나 버튼의 배치 공간이 협소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버튼의 경우 종래에는 측면에 배치되는데 제품의 슬림화, 소형화로 인해서 측면의 공간이 협소해지게 되어 배치 설계상 어려운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요구에 의해서 개발된 것으로 버튼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동일한 고유작동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버튼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각각의 고유작동표시가 그려진 버튼의 형상과 크기를 동일하게 하고, 음향기기의 케이스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서 버튼의 배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 스위치를 제거하여 버튼의 수를 줄임으로써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음향기기의 케이스에 장착되어 고유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튼구조체로서, 상면에 고유작동표시가 그려져 있으며, 상면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케이스에 장착되는 버튼몸체와; 상기 버튼몸체로부터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하면에는 일정 규격의 배치배열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배치배열에 대해서 부분적으로 배치(排置)되는 배치패턴을 가지는 복수개의 가압돌기가 하부로 돌출형성되는 가압부재와; 그리고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가압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배치배열과 동일한 배열을 가지는 복수개의 접촉스위치를 구비하고, 접촉스위치들 중 상기 가압부재에 돌출형성된 상기 가압돌기에 의해서 접촉이 이루어진 접촉스위치들의 통전패턴에 따라서 전기적인 고유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버튼구조체는, 종래와 달리 배치배열에 대한 가압돌기의 배치패턴에 따라서 고유작동신호가 발생되도록 한다. 따라서 버튼몸체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사용자가 버튼몸체로부터 인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면에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장착홈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장착홈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버튼구조체를 복수개 구비하며,
상기 복수개의 버튼구조체 각각은:
상면에 고유작동표시가 그려져 있으며, 상면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케이스에 장착되는 버튼몸체와; 상기 버튼몸체로부터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하면에는 일정 규격의 배치배열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배치배열에 대해서 부분적으로 배치(排置)되는 배치패턴을 가지는 복수개의 가압돌기가 하부로 돌출형성되는 가압부재와; 그리고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가압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배치배열과 동일한 배열을 가지는 복수개의 접촉스위치를 구비하고, 접촉스위치들 중 가압돌기에 의해서 접촉이 이루어진 접촉스위치들의 통전패턴에 따라서 전기적인 고유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버튼구조체들에서 각각의 가압돌기들은, 서로 다른 배치패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르는 휴대용 음향기기는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서 버튼몸체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휴대용 음향기기의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는 이어폰 접속홀 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어폰 접속홀은 이어폰 접속단자가 삽입될 경우 전원을 온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는 버튼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버튼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휴대용 음향기기의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회사로고 등이 새겨진 별도의 라벨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르는 휴대용 음향기기는 케이스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으며, 시각적으로 사용자를 끌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버튼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음향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버튼구조체 및 음향기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버튼구조체 중 버튼몸체를 상부 및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버튼구조체의 가압돌기 및 배치배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버튼구조체(10)는 음향기기의 케이스(70)에 대해서 상면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장착되는 버튼몸체(20)를 구비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버튼몸체(20)의 상면(21)에는 각각의 버튼 고유의 동작을 시각적으로 표시한 고유작동표시(210)가 그려져 있다. 사용자는 고유작동표시(210)를 보고 버튼의 동작을 파악하게 된다. 상기 버튼몸체(20)의 내측을 살펴보면, 버튼몸체(20)의 하부로 가압부재(30)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 부재(30)는 버튼몸체(20)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후술하는 신호발생부(40)를 가압하여 전기적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가압부재(30)의 하면(31)에는 하면을 구획하는 일정한 형태의 배치배열(310)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배치배열(310)은 실제 형성되는 구조물은 아니나, 설계시 후술하는 가압돌기(300)가 배치되는 공간을 특정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는 가상의 구성요소이다. 상기 배치배열(310)의 구획된 각각의 개소에는, 가압부재(30)의 하면으로부터 하부로 돌출하는 복수개의 가압돌기(300)가 배치된다. 상기 가압돌기(300)들은, 상기 배치배열(310)에 대해서 버튼의 고유작동에 따라서 모든 개소에 대해서 배치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배치(排置)되는 배치패턴을 가진다. 따라서 버튼몸체마다 각각 가압돌기(300) 들이 배치되는 배치패턴이 다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배치배열(310)은 가로방향으로 2개소, 그리고 세로방향으로 2개소가 형성되어 있다. 2×2의 배치배열(310)에 대해서 가압돌기(300)가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배치패턴의 수를 살펴보면, 한 개소에만 배치되는 경우가 4개의 배치패턴, 2개의 개소에 배치되는 경우가 6개의 배치패턴, 3개의 개소에 배치되는 경우가 4개의 배치패턴, 4개의 개소에 모두 배치되는 경우가 1개의 배치패턴 등 모두 15개의 배치패턴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버튼몸체(20)에 형성된 구체적인 가압돌기(300)의 배치패턴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의 (a)는 배치배열(310)에 대해서 가압돌기(300)가 3개 배치되는 경우이며 상부에 2개소, 하부 좌측에 한 개소 배치되는 배 치패턴을 가지며 이는 재생 동작을 수행하는 버튼몸체에 형성된다. 도 4의 (b)는 배치배열(310)에 대해서 가압돌기(300)가 3개 배치되며, 상부에 2개소, 하부 우측에 한 개소 배치되는 배치패턴을 가지며 일시정지의 동작을 수행하는 버튼몸체에 형성된다. 또한 도 4의 (c)는 배치배열(310)에 대해서 가압돌기(300)가 모든 개소에 배치되는 배치패턴을 가지며 이는 정지를 수행하는 버튼몸체에 형성된다. 위 배치배열(310)에 형성된 가압돌기(300)의 배치패턴은 모두 다르며 이를 별개의 전기신호로 인식할 경우 버튼몸체(20)는 종래와 같이 가압 수단으로서의 역할이 아닌 가압과 동시에 고유의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으로서 작용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돌기(300)의 배치패턴에 의해서 15종류의 다른 작동을 수행할 수 있는 버튼몸체(20)를 만들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버튼구조체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신호발생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버튼구조체(10)는, 가압돌기(300)의 가압에 의해서 전기적인 고유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40)를 구비한다. 상기 신호발생부(40)는 케이스(70) 내에서 가압부재(30)의 하부에 위치하며, 가압돌기(300)에 의해서 접촉되는 접촉스위치(4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접촉스위치(400)는 가압부재(30)의 하면에 형성된 배치배열(310)과 동일한 배열로 복수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배치배열(310)이 2×2배열을 가지므로 접촉스위치(400) 역시 2×2의 동일한 배열을 가진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접촉스위치(400)는 돔형상으로 형성되며 돔형상 부분 의 내측에 마련되는 접촉부(410)와, 상기 접촉부(4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전기회로패턴(421)이 상면에 형성된 회로기판(4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접촉부(410)는 전도성 재질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부에서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눌려진다. 상기 전기회로패턴(421)은 접촉부(410)의 하부에 단락된 상태로 형성되며, 접촉부(410)가 눌려질 경우 통전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배치배열(310)에 부분적으로 배치(排置)되는 배치패턴을 가지는 가압돌기(300)가 하부로 이동하여 가압될 경우, 가압돌기(300)가 존재하는 부분의 접촉스위치(400)는 가압되어 접촉되어 직하부에 위치한 전기회로패턴(421)을 통전시키며, 가압돌기(300)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의 접촉스위치(400)는 가압되지 않아 전기회로패턴(421)이 통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하나의 버튼몸체(20)는 가압돌기(300)가 부분적으로 배치(排置)되는 배치패턴에 의해서 접촉스위치(400)들 역시 부분적으로 통전이 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접촉스위치(400)의 2×2배열 중 부분적으로 통전되는 접촉스위치의 위치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통전패턴이 특정될 수 있다. 음향기기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어장치는 부분적으로 통전된 복수개의 접촉스위치(400)의 통전패턴에 따른 음향기기의 고유작동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입력되는 접촉스위치(400)들의 통전패턴에 따라서 음향기기를 작동시킨다. 구체적으로 도 4의 (a)에 도시된 가압돌기(300)의 배치패턴에 따라서 접촉스위치(400)들 중 상부 2개 및 좌측 하부 1개가 통전되는 통전패턴이 발생하게 되고, 이 경우 제어장치는 미리 저장된 통전패턴에 따르는 음향기기의 고유작동 정보와 비교하여 이를 재생 작동으로 인식하고 음향기기를 재생시킨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버튼구조체는 버튼몸체(20)의 가압돌기(300) 배치패턴에 의해서 음향기기의 동작이 특정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버튼을 통한 동작인식과, 제어장치의 동작인식에 불일치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버튼몸체(20)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버튼몸체(20)가 가지는 고유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위에 설명한 버튼구조체를 이용한 소형화, 슬림화된 휴대용 음향기기에 대해서 도 2, 도 5 및 도 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휴대용 음향기기는 케이스(70)의 상면에, 위에서 설명한 버튼구조체(10)가 동일한 형성과 크기로 제작되어 복수개 배치된다. 이를 위해서 케이스(70)의 상면에는 상기 버튼구조체(10)가 장착될 수 있는 장착홈(720)이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버튼구조체(10)는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케이스 상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장착홈(720)들 중 어디에도 장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장착홈(720)의 저면에는 상기 장착홈(720)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두개의 측면에 걸림홈(7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홈(720)의 저면 중앙에는 관통홈(7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홈(740)의 하부 케이스 내측에는 버튼구조체(10)의 신호발생부(40)가 위치한다.
버튼구조체(10)는 케이스(70)의 장착홈(720)에 탈착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버튼몸체(20)는 서로 마주보는 두개의 측면에 후크판(60)이 형성되 어 있다. 상기 후크판(60)의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60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600)은 위에서 설명한 케이스(70)의 걸림홈(730)에 걸려지게 된다. 상기 후크판(60)은 플라스틱 등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만들어지며, 외력에 의해서 휘어질 수 있다. 따라서 버튼몸체(20)가 장착홈(720)에 삽입될 경우 후크판(60)이 내측으로 휘어져 버튼몸체(2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턱(600)이 걸림홈(730)의 위치에 위치할 경우, 후크판(60)은 다시 외측으로 복원되어 걸림턱(600)이 걸림홈(730)에 걸려지게 된다.
아울러 버튼구조체(10)가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외부로 노출된 후크판(60)의 측면 부분을 내측으로 밀게 되면 걸림턱(600)이 걸림홈(730)으로부터 이탈되어 버튼몸체(20)를 케이스(70)로부터 해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버튼몸체(20)를 임의로 장탈착할 수 있다.
상기 버튼몸체(20) 중 가압부재(30)의 외측으로 탄성부재(50)가 마련된다. 버튼몸체(20)가 장착홈(720)에 삽입될 경우 상기 탄성부재(50)는 탄성력으로 버튼몸체(20)를 상부로 밀게 된다. 상기 버튼몸체(20) 중 가압부재(30)는 케이스의 관통홈(740)을 통과하여 케이스(70) 내측으로 삽입되며, 외력이 가해질 경우 하부로 눌려지며 이때 탄성부재(50)는 탄성력을 축적하게 된다. 이후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50)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버튼몸체(20) 및 케이스(70)의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르는 버튼몸체(20)는 음향기기의 케이스 상면에 마련된 복수개의 장착홈(720) 중 어디에도 장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기호에 따라서 버튼몸체(2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 다.
각각의 버튼몸체(20) 중 가압부재(30)는 작동특성에 따라 다른 가압돌기(300)의 배치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케이스(70) 내에 위치하는 신호발생부(40)의 접촉스위치(400)들은 가압돌기(300)들의 배치패턴에 따른 가압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통전되는 통전패턴을 발생시킨다. 제어장치는 이러한 통전패턴을 인식하고 미리 입력된 통전패턴에 따른 고유작동 정보와 비교하여 음향기기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음향기기는 버튼몸체(20)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변경된 위치에서 버튼몸체가 가지는 고유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음향기기는 전원 버튼을 생략하도록 함으로써 버튼구조체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공간활용도를 넓힐 수 있다. 그 결과 초소형화 및 슬림화를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향기기 케이스(70)의 측면에 형성된 이어폰 접속홀(710)에 대해서 이어폰 단자가 삽입될 경우, 통전되는 스위치를 구비하고 이를 제어장치가 인식하여 음향기기가 온(ON)되도록 하며, 이어폰 단자가 상기 이어폰 접속홀로부터 이탈될 경우에는 오프(OFF)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음향기기는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조사의 상호 및 상품 브랜드를 표시하기 위한 공간을 별도로 마련함으로써 음향기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즉 케이스(70)의 일측 모서리에 별도의 라벨(700)을 부착하고 라벨(700)에 제조사의 상호 및 상품 브랜드를 디자인한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르는 음향기기는 최소한의 크기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별도의 다른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상기 라벨(700)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차별화된 느낌을 줄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버튼구조체는 각각 버튼몸체가 고유작동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버튼몸체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버튼몸체의 고유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는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가지도록 버튼구조체를 형성하고, 아울러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케이스의 장착홈에 장탈착가능하게 함으로써, 버튼을 사용자가 취향에 맞게 임의로 변경할 수 있으며, 아울러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변경된 위치에서 버튼이 가지는 고유작동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는 전원버튼을 제거하는 등 버튼의 수를 최소화함으로써 소형화, 슬림화된 음향기기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는 제조사의 상호 및 상품 브랜드를 표시하기 위한 공간을 별도로 마련함으로써 음향기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차별화된 느낌을 준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음향기기의 케이스에 장착되어 고유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튼구조체로서,
    상면에 고유작동표시가 그려져 있으며, 상면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케이스에 장착되는 버튼몸체와,
    상기 버튼몸체로부터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하면에는 일정 규격의 배치배열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배치배열에 대해서 부분적으로 배치(排置)되는 배치패턴을 가지는 복수개의 가압돌기가 하부로 돌출형성되는 가압부재와; 그리고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가압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배치배열과 동일한 배열을 가지는 복수개의 접촉스위치를 구비하고, 접촉스위치들 중 상기 가압부재에 돌출형성된 상기 가압돌기에 의해서 접촉이 이루어진 접촉스위치들의 통전패턴에 따라서 전기적인 고유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스위치는 돔형상의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 하부에 위치하며 상면에 전기회로패턴이 형성된 회로기판으로 구성되며, 돔형상의 접촉부가 상기 가압부재에 돌출형성된 상기 가압돌기에 의해서 가압되어 전기회로패턴이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구조체.
  3. 상면에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장착홈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장착홈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버튼구조체를 복수개 구비하며,
    상기 복수개의 버튼구조체 각각은:
    상면에 고유작동표시가 그려져 있으며, 상면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케이스에 장착되는 버튼몸체와;
    상기 버튼몸체로부터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하면에는 일정 규격의 배치배열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배치배열에 대해서 부분적으로 배치(排置)되는 배치패턴을 가지는 복수개의 가압돌기가 하부로 돌출형성되는 가압부재와; 그리고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가압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배치배열과 동일한 배열을 가지는 복수개의 접촉스위치를 구비하고, 접촉스위치들 중 상기 가압부재에 돌출형성된 상기 가압돌기에 의해서 접촉이 이루어진 접촉스위치들의 통전패턴에 따라서 전기적인 고유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버튼구조체들에 형성된 각각의 가압돌기들은, 서로 다른 배치패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버튼구조체들에 구비되는 접촉스위치는 돔형상의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 하부에 위치하며 상면에 전기회로패턴이 형성된 회로기판으로 구성되어 돔형상의 접촉부가 상기 가압부재에 돌출형성된 상기 가압돌기에 의해서 가압되어 전기회로패턴이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구조체는, 버튼몸체를 케이스에 대해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구조체는, 버튼 몸체의 측면에 후크판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크판의 하부 단부에 걸림턱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케이스의 장착홈에 마련된 걸림홈에 착탈가능하게 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는 이어폰 접속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어폰 접속홀은 이어폰 접속단자가 삽입될 경우 전원을 온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 모서리에 회사로고 등이 새겨진 별도의 라벨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KR1020060098371A 2006-10-10 2006-10-10 고유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튼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휴대용 음향기기 KR100821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371A KR100821250B1 (ko) 2006-10-10 2006-10-10 고유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튼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휴대용 음향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371A KR100821250B1 (ko) 2006-10-10 2006-10-10 고유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튼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휴대용 음향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1250B1 true KR100821250B1 (ko) 2008-04-11

Family

ID=39534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8371A KR100821250B1 (ko) 2006-10-10 2006-10-10 고유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튼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휴대용 음향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12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690B1 (ko) 2012-03-29 2015-04-21 주식회사 휴먼리그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3979A (ko) * 1997-06-27 1999-01-15 김영귀 차량의 사이드미러 구조
JP2003050657A (ja) 2001-08-03 2003-02-21 Nagano Fujitsu Component Kk キースイッチ入力装置
KR20030066839A (ko) * 2002-02-05 2003-08-14 주식회사토이테크 디지털 교육용 완구
KR20050119947A (ko) * 2004-06-17 200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단 조작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용 키 스위치 패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3979A (ko) * 1997-06-27 1999-01-15 김영귀 차량의 사이드미러 구조
JP2003050657A (ja) 2001-08-03 2003-02-21 Nagano Fujitsu Component Kk キースイッチ入力装置
KR20030066839A (ko) * 2002-02-05 2003-08-14 주식회사토이테크 디지털 교육용 완구
KR20050119947A (ko) * 2004-06-17 200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단 조작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용 키 스위치 패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690B1 (ko) 2012-03-29 2015-04-21 주식회사 휴먼리그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
US9266031B2 (en) 2012-03-29 2016-02-23 Human League Co., Ltd. Block toy for music edu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6002B2 (en) Haptic operative user interface input apparatus
US8243442B2 (en) Integrated button assembly
TW201324566A (zh) 輸入裝置及其製造方法
EP1784846B1 (en) Control device made of impact resistant material
JP2015165474A (ja) スイッチ装置及び入力装置
JP2010135319A (ja) 多段動作スイッチ
KR100821250B1 (ko) 고유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튼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휴대용 음향기기
JP2008251280A (ja) 電子機器
KR200400393Y1 (ko) 이동 키버튼을 가지는 키패드 장치
CN106298327B (zh) 按键及其键盘
JP2018125266A (ja) ハンドルスイッチ
JP2002236548A (ja) 座標入力装置およびキーボード入力装置、並びに電子機器
JP6449067B2 (ja) 多方向入力装置
KR200416016Y1 (ko) 조글 스위치용 조작레버 장치
CN219091057U (zh) 一种按键以及游戏手柄
CN218830912U (zh) 手控器及具有其的电动沙发椅
JP2021521583A (ja) 信号入力装置及びこれを含む携帯用端末
WO2023171070A1 (ja) 電子ペン
KR20120007955U (ko) 키 스위치의 교체가 용이한 키보드
JP2003338235A (ja) スライドスイッチ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H0877883A (ja) スイッチ装置
KR200200384Y1 (ko) 조명기구
JP2002344151A (ja) 電子機器
JP3122324U (ja) プッシュボタンスイッチの接続脚の位置決め構造
TWI450565B (zh) 電子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