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93Y1 - 이동 키버튼을 가지는 키패드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키버튼을 가지는 키패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93Y1
KR200400393Y1 KR20-2005-0024368U KR20050024368U KR200400393Y1 KR 200400393 Y1 KR200400393 Y1 KR 200400393Y1 KR 20050024368 U KR20050024368 U KR 20050024368U KR 200400393 Y1 KR200400393 Y1 KR 2004003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key button
button
keypad
recognition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3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영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243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3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키버튼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 키버튼을 가지는 키패드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은 키버튼의 눌림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의 키인식접점부를 통전시켜 키버튼의 기능을 지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돌기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버튼과; 상기 키관통공의 하부에 상기 키돌기의 눌림을 인식하는 키인식접점부가 위치되도록 상기 키패드부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키돌기의 눌림 위치에 따라 키버튼의 기능에 대응되는 전기신호로 출력하는 인쇄회로기판(PCB)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키버튼을 가지는 키패드 장치{Keypad with movable key button}
본 고안은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키버튼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 키버튼을 가지는 키패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키패드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키패드 장치의 A-A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키패드(1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키버튼(12)이 서로 간섭을 받지 않도록 배치되고, 이 키버튼(12)은 접착제(14)에 의하여 고정된다.
또한, 상기 키패드(10)의 저면에는 누름돌기(16)가 키버튼(12)의 해당위치 마다 각각 접착제(15)에 의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키패드(10)는, 첨부된 예시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 케이스(18)의 단턱(20)에 끼워져 결합되는데, 이때 키패드(10)의 누름돌기(16)는 하부에 위치되는 인쇄회로기판(22)의 도전체(24)에 서로 맞닿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해 해당 키버튼(12)를 눌러 누름돌기(16)가 하강하게 되면, 이 누름돌기(16)의 누름력에 의하여 도전체(24)가 변형되면서 하강하여 도시되지 아니한 패턴에 접촉되고, 그와 동시에 전기적 신호가 통전되어 해당 기능이 동작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키패드 장치는 키버튼(12)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며, 또한, 키버튼(12)의 기능이 인쇄회로기판(22)의 각 도전체(24)마다 정해져 있는 키맵에 의해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편리성에 맞게 키버튼(12)을 재배치할 수 없으며, 또한, 재 배치가 가능하다고 하여도, 키버튼(12)에 할당되는 기능이 인쇄회로기판(22)의 각 도전체(24)에 할당되는 키맵에 의해 고정되므로 키버튼(12)의 위치를 변경한다고 하여도 키버튼(12)에 표시된 기능까지 다른 위치로 이동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키버튼(12)이 동일한 기능을 가지도록 키패드상에서 위치를 변경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키버튼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며, 키버튼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해당 키버튼에 지정된 기능 또한 변경됨으로써 사용자가 키패드장치에서 자신의 사용 용도에 맞게 키버튼을 재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키버튼을 가지는 키패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키버튼의 눌림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의 키인식접점부를 통전시켜 키버튼의 기능을 지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돌기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버튼과; 상기 키버튼 각각이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키돌기가 이동되는 키관통공을 가지는 키패드부와; 상기 키관통공의 하부에 상기 키돌기의 눌림을 인식하는 키인식접점부가 위치되도록 상기 키패드부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키돌기의 눌림 위치에 따라 키버튼의 기능에 대응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인쇄회로기판(PC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은, 하부에는 키값에 대응되는 키돌기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버튼과; 상기 키버튼이 사각퍼즐 형태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키버튼이 고정되는 위치에는 하부에 키인식접접부가 노출되는 키인식접점부노출공이 형성된 키케이스부와; 상기 키인식접점노출공의 하부에 상기 키돌기의 눌림을 인식하는 키인식접점부가 위치되도록 상기 키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키돌기의 눌림 위치에 따라 키버튼의 기능에 대응되는 전기신호로 출력하는 인쇄회로기판(PC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은, 외주연을 따라 돌출 형성된 키지지날개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키값에 대응되는 키돌기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버튼과; 상기 키버튼이 노출되는 키버튼노출공이 상기 키버튼이 위치되어야 할 위치에 격자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키인식접점부가 노출되는 키인식접점부노출공가 형성되며, 내측벽에는 상기 키버튼이 유도되 제1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키버튼노출공의 사이에는 외벽에 상기 키버튼이 유도되는 제2가이드홈이 형성된 키지지구가 구비되고 일측에는 상기 제1가이드홈이 연장형성되어 상기 키버튼의 키지지날개가 상기 제1가이드홈에 안착되어 유도됨에 의해 삽입되는 키버튼삽입홈이 형성된 키케이스부와; 상기 키인식접점노출공의 하부에 상기 키돌기의 눌림을 인식하는 키인식접점부가 위치되도록 상기 키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키돌기의 눌림 위치에 따라 키버튼의 기능에 대응되는 전기신호로 출력하는 인쇄회로기판(PC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은, 하부에 제1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에서 제1후크의 내측으로 원통형의 탄성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지지부의 내측으로 키돌기가 하부에 구비되는 키돌기지지구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버튼과; 상기 키돌기에 의해 통전되는 키인식접점부가 노출되는 키인식접점부노출공이 상기 각각의 키버튼에 대응되는 위치마다에 형성되며, 키인식접점부노출공의 측부 위치에 상기 제1후크와 결합되는 제2후크가 형성되는 키패드부와; 상기 키인식접점노출공의 하부에 상기 키돌기의 눌림을 인식하는 키인식접점부가 위치되도록 상기 키패드부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키돌기의 눌림 위치에 따라 키버튼의 기능에 대응되는 전기신호로 출력하는 인쇄회로기판(PC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키버튼의 키맵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키인식접점부는, 상기 키돌기에 의해 통전되는 제1접점과 제2접점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인식접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르는 접착식 키버튼을 가지는 키패드 장치의 분해사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키버튼 및 키인식접점부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이고, 도 6은 키맵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이동식 키버튼을 가지는 키패드 장치는, 키버튼(101)의 눌림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의 키인식접점부를 통전시켜 키버튼(101)의 기능을 지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돌기(T1, T2: 이하 키돌기들을 나타내는 경우 " T"라 함)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버튼(101)과; 상기 키버튼(101) 각각이 탈부착 가능하게 접착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키돌기(T)가 이동되는 키관통공(111)을 가지는 키패드부(110)와; 상기 키관통공의 하부에서 상기 키돌기의 눌림을 인식하는 키인식접점부(121)를 구비하여 상기 키돌기의 눌림 위치에 따라 키버튼의 기능에 대응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인쇄회로기판(PCB)(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키패드 장치는 상기 키버튼(101)에 할당된 기능정보를 가지는 키맵을 저장하는 저장부(도면에 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장부는 인쇄회로기판(120)에 탑재되는 메모리 소자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돌기(T)는 도전체로 이루어지며, 키버튼(101)의 기능에 따라 지정된 갯수가 하기에 설명될 키인식접점부(121)를 통전시켜 키버튼 눌림 신호를 출력하도록 키버튼(101)의 하부 일정 위치에 형성된다.
도 3 및 도 4에서는 숫자 "1"의 값을 가지는 키버튼(101)의 하부에 하기에 설명될 S1 키인식접점과 S2 키인식접점에 접촉되는 T1 키돌기와 T2 키돌기가 구성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상술한 키돌기(T)는 키버튼(101)마다 해당 키버튼의 값을 출력하도록 지정된 갯수를 가지고 지정된 위치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키버튼(101)은 눌림이 발생되는 경우 키돌기(T)가 키인식접점(S)을 눌러 통전시키도록 변형되는 탄성력을 가지는 가요성 재질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 4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키버튼(101)과 하나의 키인식접점부(121)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하나의 키인식접점부(121)에는 하나의 키버튼(101)에 대응되는 영역에 키인식접점(S1~S9)들이 장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4에서는 9개의 키인식접점(S1)이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그리고, 상기 키인식접점(S)들은 키돌기(T)에 의해 통전되는 제1접점(122)과 제2접점(12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키버튼(101)은 가압되는 경우 접착력을 발생시키고, 감압되는 경우 접착력이 없어 지는 압력접착제 형태의 접착제(30)에 의해 키패드부(110)에 부착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키버튼(101)을 키패드상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에서 상술한 키버튼(101)은 9개의 키돌기(T1~T9)가 형성되고 키인식접점부(121) 또한 이에 대응되어 9개의 키인식접점(S1~S9)을 할당하여 전체 9!개의 키 값을 할당할 수 있도록 도시하였으나, 키돌기와 키인식접점의 갯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키버튼부(100)와 키패드부(110)와 인쇄회로기판(120)의 결합된 상태에서의 하나의 키버튼부(101)에 대하여 a-a 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버튼(101)은 접착제(30)에 의해 키패드부(110)에 부착되고, 키패드부(110)는 키버튼(101)과 키인식접점부(121)가 대응되도록 인쇄회로기판(120)과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결합된 후에 키버튼(101)이 눌리어 지면 키버튼(101)이 변형되고 이에 따라 키돌기(T1, T2)가 하부로 이동하여 키인식접점(S1, S9)과 접촉되고, 키인식접점(S1,S9)이 통전되어 키버튼(101)의 기능에 대응되는 전기신호를 출력한다.
도 6은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이동 키버튼을 가지는 키패드 장치의 키버튼(101)에 할당되는 키 기능 값을 설정한 키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키맵은 키인식접점부(121) 중 S1과 S9가 키돌기(T1,T9)에 눌리는 경우 S1과 S9가 통전되는 경우 "1"의 값을 출력하며, 키인식접점부(121) 중 S1과 S2와 S9가 키돌기(T1, T2, T9: 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통전되는 경우 "2"의 값을 출력하도록 설정된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3", "4" 등의 값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된 키맵은 별도의 메모리소자 등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키버튼의 눌림에 따라 해당 키버튼이 가지는 신호 값을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소자는 인쇄회로기판(120)에 탑재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경우 키돌기 T1과 T9를 가지는 키버튼은 인쇄회로기판(120)에 위치된 어떠한 키인식접점부(121)에서 눌리어 지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S1과 S9의 키인식접점을 통전시키게 되므로 동일하게 "1"의 값을 출력한다. 키돌기 T1과 T2와 T9가 형성된 키버튼 또한 인쇄회로키판(120)에 위치된 어떠한 키인식접점부(121)에 위치되더라도 눌리어지는 경우 동일하게 "2"의 값을 출력한다.
따라서,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키패드 장치의 경우 키버튼이 이동되는 경우 해당 키에 지정된 기능 또한 이동되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키버튼들을 자신이 사용하기에 편한 위치로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르는 이동식 키버튼을 가지는 키패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키(101')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B-B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의 키패드 장치는 키버튼(101)을 조각퍼즐 형태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또 다른 이동 키버튼을 가지는 키패드 장치는, 외주연을 따라 돌출 형성된 키지지날개(10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키값에 대응되는 키돌기(T)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버튼(101')과; 상기 키버튼(101')이 노출되는 키버튼노출공(131)이 키버튼이 위치되어야 할 위치에 격자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키인식접점부(121)가 노출되는 키인식접점부노출공(135)이 형성되며, 내측벽에는 상기 키버튼이 유도되 제1가이드홈(131)이 형성되고, 상기 키버튼노출공(131)의 사이에는 외벽에 상기 키버튼이 유도되는 제2가이드홈(133)이 형성된 키지지구(132)가 구비되고, 일측에는 상기 제1가이드홈(131)이 연장형성되어 상기 키버튼(101')의 키지지날개(102)가 상기 제1가이드홈(131)에 안착되어 유도됨에 의해 삽입되는 키버튼삽입홈(134)이 형성된 키케이스(130)와; 상기 키인식접점노출공(135)의 하부에 상기 키돌기(T)의 눌림을 인식하는 키인식접점부(121)가 위치되도록 상기 키케이스(13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키돌기(T)의 눌림 위치에 따라 키버튼의 기능에 대응되는 전기신호로 출력하는 인쇄회로기판(PCB)이 구비된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키버튼(101')에 형성되는 키지지날개(102)는 탄성을 가지는 가요성 재질로 형성되어 키버튼노출공(131) 상에 키버튼이 위치된 상태에서 눌리어지는 경우 키돌기(T)가 하부로 이동되록 키지지날개(10)가 변형되고, 이에 따라 키돌기(T)가 인쇄회로기판(120)의 키인식접점부(121)를 통전시켜 해당 키버튼에 대응되는 전기신호를 출력한다. 이 후 키버튼을 누르는 힘이 해제되는 경우 키지지날개(102)의 탄성력에 의해 윈위치로 복귀됨으로써 키버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키버튼에 할당된 키버튼의 기능에 대한 키맵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의 키케이스(130) 및 키버튼(101')을 가지는 구성의 경우, 사용자는 키버튼삽입홈(134)을 통해 키버튼을 삽입 이탈시킬 수 있다. 그리고, 키버튼(101')을 제 1 가이드홈(131)과 제 2 가이드홈(133)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키버튼(101')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에도 키돌기(T)에 의해 키버튼의 기능 값이 출력되므로 키버튼(101')이 이동되는 경우에도 키맵을 변경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사용자는 자유롭게 키버튼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후크 결합식 키버튼을 가지는 키패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키버튼(201)에는 하부에 제1후크(204)가 형성되고, 제1후크(204)의 내측의 위치에는 원통형의 탄성지지부(202)가 형성되며, 탄성지지부(202)의 원통 내측으로 키돌기(T1, T2)가 하부에 구비되는 키돌기지지구(205)가 형성된다.
그리고, 키패드부(300)에는 인쇄회로기판(120)에 형성되는 키인식접점부(121)가 노출되는 키인식접점부노출공(310)이 각 키버튼(201)에 대응되는 위치마다에 형성되며, 키인식접점부노출공(310)의 측부의 위치에는 상기 제1후크(204)와 결합되는 제2후크(303)가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에서 제1후크(204) 및 제2후크(303)는 키인식접점부노출공(310)의 네 개의 모서리마다에 위치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경우 제1후크와 제2후크는 긴밀한 결합이 아닌 키버튼(201)이 키인식접점노출공(310) 상에서 이탈되지 않고 상하방향으로 일정 유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술한 결합에 의해 키버튼(201)이 눌리어지는 경우 탄성지지부(202)가 변형되어 키버튼(201)이 하부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키돌기(T)가 키인식접점부(121)의 키인식접점(S)과 접촉되어 통전됨으로써 키버튼의 기능에 대응되는 전기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키버튼(201)의 눌림이 해제되는 경우 탄성지지부(202)의 탄성력에 의해 키버튼(201)이 원위치로 복귀된다.
상술한 도 9의 구성의 경우에 사용자는 키버튼(201)을 키패드부(300)로부터 분리한 후 원하는 위치에 다시 결합시킴으로써 키버튼(201)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종래기술의 사각퍼즐과 같이 결합되는 키버튼(401)과 상기 키버튼(401)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키케이스(400)와 도 2 내지 도 9의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된 이동 키버튼을 가지는 키패드 장치를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버튼(401) 들은 하부에 각 키의 기능에 대응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키돌기를 가지며, 키케이스(400)에 일측으로 키버튼이 삽입되는 삽입공(410)을 가진다. 그리고 키케이스(400)의 하부에는 키버튼이 고정되는 위치에 키돌기가 이동되고 인쇄회로기판의 키인식접점부(121)가 노출되는 노출공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사용자는 키버튼(401)을 사각퍼즐과 같이 위치 이동시킴으로서 자신이 원하는 키버튼(401)들을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부, 컴퓨터의 키보드 등의 모든 키입력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은 사용자가 키입력장치의 키버튼을 원하는 방식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키입력장치의 이용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키패드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키패드 장치의 A-A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르는 접착식 키버튼을 가지는 키패드 장치의 분해사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키 및 키인식접점부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이고,
도 6은 키맵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르는 이동식 키버튼을 가지는 키패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키(101')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B-B 단면도이며,
도 9 는 본 고안의 후크(hook) 결합식 키버튼을 가지는 키패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으로서 키버튼을 사각퍼즐과 같이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키패드장치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 110, 300: 키패드 12, 101, 101', 201: 키버튼
14, 15: 접착제 16: 누름돌기
18: 케이스 20: 단턱
22: 인쇄회로기판 24: 도전체
30: 접착제 100: 키버튼부
101, 101', 201, 401: 키버튼
T(T1~T9): 키돌기 S(S1~S9): 키인식접점
102: 키지지날개 120: 인쇄회로기판
121: 키인식접점부 122: 제1접점
123: 제2접점 130: 키케이스
131: 제1가이드홈 132: 키지지구
133: 제2가이드홈 134: 키버튼삽입홈
135, 310: 키인식접점부노출공 202: 탄성지지부
203: 키돌기지지구 303: 제2후크
400: 키케이스

Claims (6)

  1. 키버튼의 눌림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의 키인식접점부를 통전시켜 키버튼의 기능을 지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돌기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버튼과;
    상기 키버튼 각각이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키돌기가 이동되는 키관통공을 가지는 키패드부와;
    상기 키관통공의 하부에 상기 키돌기의 눌림을 인식하는 키인식접점부가 위치되도록 상기 키패드부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키돌기의 눌림 위치에 따라 키버튼의 기능에 대응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인쇄회로기판(PC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키버튼을 가지는 키패드 장치.
  2. 하부에는 키값에 대응되는 키돌기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버튼과;
    상기 키버튼이 사각퍼즐 형태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키버튼이 고정되는 위치에는 하부에 키인식접접부가 노출되는 키인식접점부노출공이 형성된 키케이스부와;
    상기 키인식접점노출공의 하부에 상기 키돌기의 눌림을 인식하는 키인식접점부가 위치되도록 상기 키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키돌기의 눌림 위치에 따라 키버튼의 기능에 대응되는 전기신호로 출력하는 인쇄회로기판(PC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키버튼을 가지는 키패드 장치.
  3. 외주연을 따라 돌출 형성된 키지지날개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키값에 대응되는 키돌기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버튼과;
    상기 키버튼이 노출되는 키버튼노출공이 상기 키버튼이 위치되어야 할 위치에 격자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키인식접점부가 노출되는 키인식접점부노출공가 형성되며, 내측벽에는 상기 키버튼이 유도되 제1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키버튼노출공의 사이에는 외벽에 상기 키버튼이 유도되는 제2가이드홈이 형성된 키지지구가 구비되고 일측에는 상기 제1가이드홈이 연장형성되어 상기 키버튼의 키지지날개가 상기 제1가이드홈에 안착되어 유도됨에 의해 삽입되는 키버튼삽입홈이 형성된 키케이스부와;
    상기 키인식접점노출공의 하부에 상기 키돌기의 눌림을 인식하는 키인식접점부가 위치되도록 상기 키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키돌기의 눌림 위치에 따라 키버튼의 기능에 대응되는 전기신호로 출력하는 인쇄회로기판(PC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키버튼을 가지는 키패드 장치.
  4. 하부에 제1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에서 제1후크의 내측으로 원통형의 탄성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지지부의 내측으로 키돌기가 하부에 구비되는 키돌기지지구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버튼과;
    상기 키돌기에 의해 통전되는 키인식접점부가 노출되는 키인식접점부노출공이 상기 각각의 키버튼에 대응되는 위치마다에 형성되며, 키인식접점부노출공의 측부 위치에 상기 제1후크와 결합되는 제2후크가 형성되는 키패드부와;
    상기 키인식접점노출공의 하부에 상기 키돌기의 눌림을 인식하는 키인식접점부가 위치되도록 상기 키패드부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키돌기의 눌림 위치에 따라 키버튼의 기능에 대응되는 전기신호로 출력하는 인쇄회로기판(PC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키버튼을 가지는 키패드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키버튼의 키맵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키버튼을 가지는 키패드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인식접점부는,
    상기 키돌기에 의해 통전되는 제1접점과 제2접점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인식접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키버튼을 가지는 키패드 장치.
KR20-2005-0024368U 2005-08-24 2005-08-24 이동 키버튼을 가지는 키패드 장치 KR2004003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368U KR200400393Y1 (ko) 2005-08-24 2005-08-24 이동 키버튼을 가지는 키패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368U KR200400393Y1 (ko) 2005-08-24 2005-08-24 이동 키버튼을 가지는 키패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3Y1 true KR200400393Y1 (ko) 2005-11-03

Family

ID=43701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368U KR200400393Y1 (ko) 2005-08-24 2005-08-24 이동 키버튼을 가지는 키패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9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613B1 (ko) * 2008-07-11 2009-12-31 파인트론 주식회사 Dvr
KR20170001079U (ko) * 2014-08-08 2017-03-22 애플 인크. 키보드
CN110491703A (zh) * 2018-05-15 2019-11-22 和硕联合科技股份有限公司 按键模组及电子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613B1 (ko) * 2008-07-11 2009-12-31 파인트론 주식회사 Dvr
KR20170001079U (ko) * 2014-08-08 2017-03-22 애플 인크. 키보드
CN110491703A (zh) * 2018-05-15 2019-11-22 和硕联合科技股份有限公司 按键模组及电子装置
CN110491703B (zh) * 2018-05-15 2024-03-01 和硕联合科技股份有限公司 按键模组及电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4979B2 (en) Switching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US4029915A (en) Miniaturized calculator keyboard switch assembly having universally pivoted key actuators
CN101296266A (zh) 侧键结构及应用该侧键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JPH09120748A (ja) キー組立体
GB2086804A (en) Keyblock assembly
KR200400393Y1 (ko) 이동 키버튼을 가지는 키패드 장치
US5256843A (en) Keyboard switch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997583B1 (ko) 다기능 키 조립체
US20070023268A1 (en) Electronic device and key assembly thereof
JP2770962B2 (ja) 押ボタンスイッチ装置
US20080164132A1 (en) Button input device using E-paper
CN106298327B (zh) 按键及其键盘
EP2287706A2 (en) Small form-factor keypad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US8345432B2 (en) Electronic device with slim button
KR100972340B1 (ko) 버튼방식을 이용한 키패드 구조
WO2017204341A1 (ja) 押釦スイッチ
JPS584411B2 (ja) ランプ表示付押釦スイッチ
KR10059630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JP4364037B2 (ja) 電子部品用操作板
KR200344315Y1 (ko) 키보드
JPS63254628A (ja) 押しボタンスイツチ
KR100459772B1 (ko) 키버튼 어셈블리
KR101211612B1 (ko) 데코레이션키, 키어셈블리 및 이동단말기
JP2555882Y2 (ja) キーボードスイッチ
JPH021265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