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0611B1 - 전자 모듈용 소켓 - Google Patents

전자 모듈용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0611B1
KR100820611B1 KR1020050005705A KR20050005705A KR100820611B1 KR 100820611 B1 KR100820611 B1 KR 100820611B1 KR 1020050005705 A KR1020050005705 A KR 1020050005705A KR 20050005705 A KR20050005705 A KR 20050005705A KR 100820611 B1 KR100820611 B1 KR 100820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ocket
locking
circumferential wall
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5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3150A (ko
Inventor
와다순타로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03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3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0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0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50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 G02B6/504Installation in solid material, e.g. undergroun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높이가 낮아도 충분한 휘어짐변위를 갖는 걸림수단을 갖는 전자 모듈용 소켓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둘레벽 (12) 과 이 둘레벽 내로 수용되는 상대 모듈 (M) 의 수용위치를 정하는 규제부로 이 모듈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형성하는 모듈용 소켓 (41) 에 있어서, 이 모듈의 둘레벽 (12) 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편을 이 둘레벽에 직접 형성하거나 또는 이 탄성편을 둘레벽을 따라 설치하여 걸림부재 (20) 로 하고, 걸림부재는 고정부 (22) 와 이 탄성편의 휘어짐에 의해 둘레벽의 외측을 향해 탄성변위되는 걸림부 (23) 가 서로 둘레방향에서 떨어진 위치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 내에 모듈이 수용될 때, 상기 탄성편이 모듈로부터 맞닿음력을 받아 탄성휘어짐변위를 생기게 하여 수용부에 대한 모듈의 수용을 가능하게 하고, 이 모듈이 소정 위치까지 도달했을 때 상기 탄성휘어짐변위가 해제 또는 저감되어 걸림부가 모듈과 걸릴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전자 모듈용 소켓{A SOCKET FOR ELECTRONIC MODULE}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소켓의 사시도로, 각 부재의 조립 전의 분리상태를 나타낸다.
도 2 는 도 1 의 각 부재가 조립된 소켓 및 이것에 장착되는 전자 모듈의 사시도로, (A) 는 전자 모듈, (B) 는 소켓을 나타내고, (C) 는 모듈이 소켓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 은 도 2 의 소켓에 사용되는 모듈 취출용 치공구를 나타내고, (A) 는 요부의 측면도, (B) 는 저면도, (C) 는 (A) 에서의 C-C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소켓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소켓의 다른 변형예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은 도 1 의 소켓에 사용되는 걸림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 은 걸림부재에 대한 추가적인 변형예를 나타내는 소켓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8 은 걸림부재에 대한 추가적인 변형예를 나타내는 소켓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9 는 도 1 의 소켓에 사용되는 걸림부재의 추가적인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A) 는 평면도, (B) 는 일측면만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 은 종래예의 개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우징 11 규제부 (바닥벽)
12 둘레벽 12A 슬릿
12B 걸림부 (갈고리부) 20 걸림부재
22 고정부 22' 고정부
23 걸림부 (갈고리부) 23' 걸림부
27 슬릿 30 단자
32 접촉부 33 접속부
41 소켓 J 치공구
M 모듈
본 발명은 전자 모듈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전자회로나 부품을 내장시키는 전자 모듈을 회로기판에 접속할 때 이 모듈을 직접 회로기판과 땜납접속하지 않고 회로기판에 소켓을 땜납접속한 후 이 소켓 내에 상기 모듈을 삽입장착하여 서로의 단자끼리 접촉접속하는 방책이 취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 방책은 모듈 내의 일부 부품이 열에 약한 경우 땜납시 열로 인해 손상되지 않도록 배려하기 위해 실시된다.
이 종류의 소켓은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33021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의 소켓은 첨부 도면의 도 13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절연재료로 만들어지고 바닥벽 (51) 과 둘레벽 (52) 에 의해 전자 모듈 (M) 을 상방으로부터 수용할 수 있는 수용오목부 (53) 를 형성하고 있다. 둘레벽 (52) 의 대향벽에는 단자 (54) 가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이 단자 (54) 는 바닥벽 (51) 의 하면과 거의 같은 레벨에 위치하는 L 자형상의 접속부 (54A) 와, 둘레벽의 내면측에서 S 자로 굴곡된 탄성접촉부 (54B)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둘레벽 (52) 에는 다른 대향벽의 각각에 2 개의 홈 (55) 에 의해 탄성을 갖는 걸림아암 (56)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아암 (56) 은 둘레벽 (52) 의 높이보다 짧은 아암길이를 갖고, 그 상단 내측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갈고리부 (56A) 가 형성되어 있다.
사용시에는 우선, 상기 소켓을 소정의 회로기판 위에 배치하고, 상기 단자 (54) 의 접속부 (54A) 를 대응회로부와 땜납접속한다. 이 후, 회로기판에 접속된 상기 소켓의 상기 수용오목부 (53) 내로 모듈 (M) 을 삽입장착한다. 모듈 (M) 에는 측면에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이 상기 단자 (54) 의 접촉부 (54B) 와 탄성접촉한다. 이렇게 하여 모듈은 땜납시 열을 받지 않고, 상기 소켓을 통하여 회로기판과 전기적 접속을 도모할 수 있다. 이 모듈 (M) 은 상기 소켓의 걸림아암 (56) 의 갈고리부 (56A) 에 의한 걸림에 의해 빠짐이 방지되어 상기 서술한 접속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공보의 소켓에 있어서는, 걸림아암은 소켓의 바닥벽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아암의 길이는 소켓의 둘레벽의 높이치수 이하가 되어 보다 저배화가 요구되고 있는 현상황에서는 이 걸림아암은 충분한 탄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 즉, 걸림아암의 갈고리부에서의 탄성이 충분히 크지 않으므로 모듈을 삽입장착할 때의 삽입장착력이 매우 크게 필요해져 걸림아암에 과대한 힘을 미치게 되어 그 손상으로 이어지기 쉽다.
그렇다고 해서, 상기 둘레벽의 높이를 그대로 하고 걸림아암만을 길게 하면, 이 걸림아암으로 인해 소켓의 높이가 높아져 취급상 불리해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소켓의 둘레벽의 둘레방향의 벽면 영역을 걸림아암으로 이용하여 작은 힘으로 충분한 탄성휘어짐변위량을 확보할 수 있는 걸림부재를 가진 전자 모듈용 소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전자 모듈용 소켓은 둘레벽과 이 둘레벽 내로 수용되는 상대 모듈의 수용위치를 규제하는 규제부로 이 모듈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형성하 고, 둘레벽을 따라 복수개의 단자가 배열되고, 이 단자의 일단이 회로기판과 접속가능한 접속부를 형성하고 있는 동시에 타단이 수용부에 수용되는 모듈의 대응부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모듈용 소켓에 있어서, 본 발명은 둘레벽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편을 이 둘레벽에 직접 형성하거나 또는 이 탄성편을 둘레벽을 따라 설치하여 걸림부재로 하고, 걸림부재는 고정부와 이 탄성편의 휘어짐에 의해 둘레벽의 외측을 향해 탄성변위되는 걸림부가 서로 둘레방향에서 떨어진 위치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 내에 모듈이 수용될 때, 상기 탄성편이 모듈로부터 맞닿음력을 받아 탄성휘어짐변위를 생기게 하여 수용부에 대한 모듈의 수용을 가능하게 하고, 이 모듈이 소정 위치까지 도달하였을 때 상기 탄성휘어짐변위가 해제 또는 저감되어 걸림부가 모듈과 걸릴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통상, 모듈은 높이 (소켓에 대한 삽입장착방향치수) 에 대해 가로치수가 큰 블록형상을 이루고, 전체 높이가 수용부에 수용되는 것이 아니고 하반부가 피수용부로서 소켓의 수용부에 수용된다. 즉, 소켓은 수용부를 형성하는 둘레벽의 높이는 작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걸림부를 이루는 걸림부재의 탄성편을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여 둘레벽의 높이에 관계없이 이 탄성편의 길이가 충분히 확보되어, 모듈의 수용부에 장착할 때 상기 맞닿음력을 받아 수용부에 대해 외측으로 크게 탄성적으로 휜다. 즉, 걸림부는 크게 변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용부는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이 규제부로서의 바닥벽과 이 바닥벽으로부터 드리워지게 세워지는 둘레벽을 구비하여 형성할 수 있 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걸림부재는 고정부에 의해 둘레벽에 설치되는 금속판부재로 형성할 수 있다. 걸림부재가 금속판부재이면 둘레벽에서의 두께가 증가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휘어짐과 강도를 크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시일드 효과도 있다. 그 경우, 걸림부재는 탄성편의 자유단에 걸림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유단에서 최대 휘어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걸림부재의 걸림부는 둘레벽의 면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굴곡되어 있고 수용부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어 모듈에 대해 걸림이 가능한 갈고리부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걸림부재는 하우징의 둘레벽 거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고, 둘레방향의 한 곳 또는 복수 곳에서 분리형성되어 하나의 걸림부재 또는 복수개의 걸림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각 걸림부재가 걸림부와 고정부를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듈의 피수용부의 외형이 다각형을 이루고 있을 때에는 하우징의 둘레벽은 모듈 수용방향에서 보아 모듈의 외형에 적합한 다각형을 이루도록 복수개의 벽부를 구비하고, 인접하는 벽부의 경계가 되는 한 곳 또는 복수 곳의 모서리부에서 각 걸림부재끼리 분리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각 걸림부재는 자유단인 길이방향의 일단에 걸림부를, 타단에 고정부를 구비하도록 할 수도 있고, 상기 길이방향의 양단에 걸림부를, 중간부에 고정부를 구비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 때, 각 걸림부재는 둘레벽의 인접되는 2 개의 벽부에 걸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걸림부재는 자유단인 길이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이 형성되고, 이 슬릿의 길이범위에서 탄성편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탄성편은 가늘고 길어지므로 휘기 쉬워진다.
걸림부재는 금속판부재로 만들어지고 둘레벽의 외면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는데, 그 경우 하우징의 둘레벽은 이 걸림부의 갈고리부가 수용부를 향해 연장되는 것을 허용하는 절결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걸림부재는 금속판부재로 만들어지고 서로 인접배치된 걸림부끼리 접촉하는 접촉부위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하면, 걸림부재끼리 전기적으로 도통하므로 시일드 케이스로서 접지성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둘레벽을 하우징의 일부로 형성한 경우, 둘레벽은 걸림부재의 걸림부의 근방 위치에, 탄성편을 외측방향으로 벌리는 치공구를 상방으로부터 모듈과 탄성편 사이에 삽입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개방된 몰입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하면, 몰입부에 대한 간단한 치공구의 삽입에 의해 용이하게 모듈을 발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절결부가 몰입부를 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걸림부재 그리고 그 탄성편은 금속판부가 아니고 하우징의 둘레벽의 일부에 만들어져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고정부와 걸림부는 둘레방향에서 떨어진 위치관계가 아니어도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편을 형성하기 위한 랜싱, 예를 들어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에 대해 서로 반대측에 오도록 하면 둘레방향에서는 가깝게 되 어 있어도 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전자 모듈용 소켓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조립 전의 분리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면부호 10 은 전기절연재로 만들어진 하우징으로, 이 하우징 (10) 에 대해 금속판으로 만들어진 걸림부재 (20), 그리고 단자 (30) 가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 (10) 은 판형상의 바닥벽 (11) 과 그 둘레가장자리로부터 드리워지게 세우는 사각형의 둘레벽 (12) 을 구비하고 있다. 이 둘레벽 (12) 은 그 내부에 모듈 수용을 위한 수용부로서의 공간을 형성하고, 모듈은 바닥벽 (11) 으로 수용방향의 진행이 규제되도록 하여 이 수용부에 수용된다. 둘레벽 (12) 의 네변의 각 벽부는 둘레방향에서 동일하게 만들어져 있다. 각 벽부는 외측방향에서 그 측면을 보았을 때, 우측에서 상단면이 1 단, 그리고 좌측에서 상단면이 2 단을 이루어 중앙부 상단면보다 아래에 있다. 우측 상단면에는 아래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홈 (13) 이 형성되어 있고, 좌측 상단면에는 첫번째단에 몰입부 (14) 그리고 또한 좌측 두번째단으로서 절결부 (15)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둘레벽의 외면 좌측아래 코너부에는 2 개의 돌출부 (18, 19) 에 의해 걸림홈 (16)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하우징 (10) 은 아래방향 그리고 내측방향으로 개구되는 복수개의 단자홈 (17)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재 (20) 는 도면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 의 둘 레벽 (12) 의 네변의 각 벽부의 각각에 설치할 수 있도록 4 개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각 걸림부재 (20) 는, 상기 둘레벽 (12) 의 외측면으로 넓게 면이 접하는 평탄부 (21) 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평탄부 (21) 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우단측에서 내측방향 그리고 아래방향으로 역 U 자형상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고정부 (22) 와, 좌단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걸림부를 이루는 갈고리부 (23)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 (22) 의 하단은 상기 걸림부재 (20) 가 하우징 (10) 의 둘레벽 (12) 에 설치되었을 때, 하우징의 바닥면보다 약간 돌출되어 있고, 또 이 고정부 (22) 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이 고정부 (22) 가 하우징 (13) 의 고정홈 (13) 내로 압입되었을 때 홈 내면과 걸리는 돌기 (22A, 22B) 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 (22) 의 하단 가장자리는 회로기판 등에 땜납으로 고정되도록 하면 설치 금구로 기능할 수도 있다.
상기 걸림부인 갈고리부 (23) 는 평탄부 (21) 의 좌단 상부에서 굴곡되어 내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그 상측 가장자리는 선단측으로 아래방향을 향하는 테이퍼부 (23A) 의 가장자리를, 그리고 하측 가장자리는 상기 평탄부 (21) 의 면에 대하여 직각인 가장자리부를 이루는 스토퍼 가장자리 (23B) 를 형성하고 있다.
또, 평탄부 (21) 의 우단부에서는 둘레방향으로 직각으로 굴곡되고 그 뒤에 아래방향을 향하는 걸림편 (24)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편 (24) 은 하우징의 둘레벽 (12) 에 형성된 상기 걸림홈 (16) 에 압입되도록 되어 있고, 양측 가장자리에 걸림돌기 (24A) 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걸림홈 (16) 의 내측 가장자리와 걸리도록 되어 있다.
상기 평탄부 (21) 는 상측 가장자리 그리고 하측 가장자리가 상기 하우징의 둘레벽 (12) 의 중앙부에서의 상측 가장자리 그리고 하측 가장자리와 각각 일치하여 위치하고 있으며, 이 둘레벽의 외면을 거의 완전히 덮도록 되어 있다. 이 평탄부 (21) 의 하측 가장자리측은 좌우 양단에서 절결부 (25, 26) 가 형성되어 있고, 이 평탄부 (21) 의 하측 가장자리측이 상기 하우징의 돌출부 (18, 19) 사이로 들어가 위치한다.
상기 하우징 (10) 의 단자홈 (17) 에 아래방향으로부터 압입되는 단자 (30) 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편을 굴곡시켜 역 U 자형상으로 만들어지고 평평한 고정부 (31) 와 접촉부 (32) 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부 (31) 는 양측 가장자리에 걸림돌기 (31A, 31B) 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홈 (17) 에 압입되었을 때 이 걸림돌기 (31A, 31B) 에 의해 이 단자홈 (17) 의 홈 내면과 걸린다. 고정부 (31) 의 하단은 단차형상으로 가늘게 형성되고 하단 가장자리가 하우징의 하면보다 약간 아래방향에 위치하는 접속부 (33) 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평탄한 고정부 (31) 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굴곡되어 아래방향을 향해 형성된 접촉부 (32) 는 아래방향을 향해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く」자형상을 형성하고, 그 정상부에서 상대 모듈의 대응부와 탄성접촉하도록 탄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접촉부 (32) 는 하우징의 단자홈 (17) 의 내측 개구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위치한다.
이러한 하우징 (10) 에 상방으로부터 걸림부재 (20) 그리고 아래방향으로부터 단자 (30) 가 설치되어 도 2의(B) 와 같은 소켓 (41) 이 얻어진다.
우선, 걸림부재 (20) 가 하우징 (10) 의 둘레벽 (12) 의 외면에 면이 접하도록 설치되면, 이 걸림부재 (20) 의 고정부 (22) 가 하우징의 고정홈 (13) 에 의해 그리고 걸림편 (24) 이 걸림홈 (16) 에 의해 각각 하우징에 대하여 위치고정된다. 이 고정부 (22) 와 걸림편 (24) 의 양 위치는 대략 직사각형 평면의 평탄부 (21) 의 대각선상에 위치하므로 모듈로부터의 힘을 받아 탄성편이 탄성변위될 때 균형있게 상기 힘에 대항한다.
그러나, 평탄부 (12) 는 이들 위치고정 부위보다 좌측방향을 향해 갈고리부 (23) 에 이르기까지의 범위에서 전혀 하우징과 걸리지 않고 탄성편을 형성한다. 즉, 외력을 받으면 상기 고정부 (22) 를 베이스부로 하여 외측방향을 향해 (판면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탄성휘어짐이 가능하며 갈고리부 (23) 에 의해 최대 휘어짐변위를 얻는다. 이 갈고리부 (23) 는 자유상태시에는 하우징 (10) 의 절결부 (15) 내에 있고 이 갈고리부 (23) 의 선단은 둘레벽 (12) 에 의해 내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후술하는 모듈과 간섭하는 위치까지 도달하고 있다.
한편, 상기 소켓 (41) 에 장착되는 모듈 (M) 은, 예를 들어 도 2의(A) 와 같이 비교적 평평한 직육면체 블록을 이루는 베이스부 (M1) 위에 짧은 원통부 (M2) 를 갖는 형상으로, 내부에 필요한 전자부품 그리고 회로를 내장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부 (M1) 는 피수용부를 이루고 있으며, 이 베이스부 (M1) 가 상기 소켓 (41) 의 둘레벽 (12) 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 수용부로서의 공간 내에 수용된다. 이 베이스부 (M1) 의 주위 벽면에는 도시하지 않는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켓 (41) 의 대응단자 (30) 의 접촉부 (32) 와 접촉한다.
상기 베이스부 (M1) 의 네 코너 상면에는 걸림절결부 (M3) 가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부 (M1) 가 소켓 (41) 내에 수용되었을 때 소켓 (41) 의 걸림부재 (20) 의 갈고리부 (23) 가 이 걸림절결부 (M3) 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의 소켓은 다음 요령으로 사용되어 모듈이 장착된다.
(1) 소켓 (41) 은, 예를 들어 회로기판 (도시생략) 에 설치되고, 단자 (30) 의 접속부 (33) 는 그 하단면에서 회로기판의 대응회로부와 땜납접속된다.
(2) 이어서, 모듈 (M) 을 상기 소켓 (41) 에 장착한다 (도 2의(C) 참조). 장착과정에서 모듈 (M) 의 베이스부 (M1) 가 그 주위 하측 가장자리에서 걸림부재 (20) 인 갈고리부 (23) 의 테이퍼부 (23A) 를 상방으로부터 가압하기 때문에, 갈고리부 (23) 는 이 가압력의 분력에 의해 외측으로 눌려져 걸림부재 (20) 는, 고정부 (22) 를 베이스부로 하고 갈고리부 (23) 가 위치하는 부분을 자유단으로 하여 둘레벽 (12) 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휘어진다. 이 휘어짐의 변위량은 자유단인 갈고리부 (23) 에서 가장 크다. 이 변위에 의해, 상기 모듈 (M) 의 베이스부 (M1) 는 추가적인 진입이 가능해지고, 이 모듈 (M) 의 걸림절결부 (M3) 가 갈고리부 (23) 의 위치까지 오면 걸림부재 (20) 의 휘어짐은 해제되어 갈고리부 (23) 가 상기 걸림절결부 (M3) 와 걸리고 모듈 (M) 은 이 갈고리부 (23) 에 의해 빠짐이 방지되어 그 결과 확실하게 유지된다. 베이스부 (M1) 가 소정 위치에 수용되면, 이 모듈 (M) 은 상기 단자 (30) 를 통하여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3) 소켓 (41) 에 장착된 모듈 (M) 의 베이스부 (M1) 의 측면과 걸림부재 (20) 사이에는 하우징의 둘레벽 (12) 의 몰입부 (14) 부분에서 이 둘레벽 (12) 의 벽두께에 상당하는 공간이 상방을 향해 개구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공간을 이용하여, 도 3 과 같은 치공구를 사용함으로써 모듈 (M) 의 분리가 가능하다. 치공구 (J) 는 도 3의(B)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은 사각형의 틀형상을 이루고, 그 바닥부에는 테이퍼면을 가진 다리부 (J1)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다리부 (J1) 는 소켓 (41) 의 4 곳의 몰입부 (14) 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치공구 (J) 의 둘레방향 일부에는 핸들부 (J2) 가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작업자는 이 핸들부 (J2) 를 파지하여 상기 다리부 (J1) 를 대응몰입부 (14) 로 상방으로부터 밀어넣으면, 이 다리부 (J1) 는 걸림부재 (20) 를 평탄부 (21) 로 눌러 외측방향으로 휘어짐변위시켜 걸림부로서의 갈고리부 (23) 가 모듈 (M) 의 걸림절결부 (M3) 로부터 해제되어 이 모듈 (M) 의 발출이 가능해진다. 걸림부재의 탄성편은 둘레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부뿐만 아니라 그 근방 위치에서도 치공구에 의한 외측방향으로 휘어짐변위시킬 수 있으므로 분리가 용이하여 걸림부의 형상설계에도 자유도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4 와 같이 상기 걸림부재 (20) 의 평탄부 (21) 에 갈고리부가 위치하는 자유단측으로부터 슬릿 (27) 을 고정부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해 두면, 상기 슬릿 (27) 보다 상부의 탄성편이 더욱 충분한 탄성을 갖게 되어 이 탄성편의 자유단에서의 걸림부로서의 갈고리부는 변위되기 쉬워진다. 또, 도 4 의 고정부 (22) 를 형성하지 않고 걸림편 (24') 만으로 걸림부재의 위치고정을 할 수 도 있고, 걸림부 (23) 와 걸림편 (24') 이 둘레방향에서 근방 또는 동위치에 있었다고 해도 탄성편과 걸림편 (24') 사이에 슬릿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이 탄성편이 걸림편 (24') 과 관계없이 둘레방향으로 길어져 충분한 탄성을 얻을 수 있다.
걸림부재 (20) 를 금속판으로 만들었을 때에는 이 걸림부재 (20) 는 하우징의 둘레벽 (12) 을 전체 둘레로 감싸도록 되기 때문에 시일드판으로서 기능하지만, 그 때 4 개의 걸림부재 (20) 끼리 예를 들어 반구형상의 돌출부 (28) 를 통하여 접촉하도록 하면 서로를 도통시킬 수 있어 접지가 쉬워진다.
도 1 및 도 2 의 걸림부재는 하우징의 둘레벽을 형성하는 4 개의 벽부의 각각에 대응하여 4 개의 걸림부재가 독립 형성되어 있었지만, 예를 들어 하나의 걸림부재가 복수개의 벽부에 걸쳐 있어도 된다.
도 6 내지 도 8 의 예에서는 하나의 걸림부재가 인접하는 2 개의 벽부에 걸쳐 있고 L 자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다. 도 6 의 예에서는 도 1 의 2 개의 걸림부재를 굴곡된 모서리부에서 연결부 (28) 로 연결한 것이다. 이 경우, 걸림부로서의 갈고리부 (23) 를 자유단에 구비하고 있는 걸림부재 (20) 는, 도 1 의 것과 완전히 동일해도 되지만, 상기 연결부 (28) 에 가까운 위치에 갈고리부 (23') 를 구비하고 있는 걸림부재 (20') 는 갈고리부 (23') 에서의 변위를 확보하기 위해, 도 4 와 같이 슬릿을 구비하는 형태로 하는 것이 요망된다. 또, 도 6 에서 고정부는 도면부호 22, 22' 로 나타내고 있다.
도 7 의 예는, 모서리부에서의 연결부 (28) 근방에만 고정부 (22) 를 구비하고, 양단측을 자유단으로 하여 그곳에 각각 걸림부로서의 갈고리부 (23) 를 구비하 고 있다. 따라서, 이 예의 경우 걸림부재 (20) 는 상기 고정부 (22) 를 중앙으로 하여 그 양단측에서 파선과 같이 변위된다.
도 8 의 예에서는, L 자형상의 걸림부재 (20) 는 일단측에 고정부 (22) 를 구비하고 타단측에 갈고리부 (23) 를 구비하고 있다. 이 예의 경우, 굴곡부인 모서리부에서의 연결부 (28) 근방에는 고정부는 존재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걸림부재 (20) 는 고정부 (22) 를 베이스부로 하여 한변이 휘어져 연결부 (28) 가 변위되고, 이 연결부 (28) 에 대하여 갈고리부 (23) 가 변위된다. 따라서 갈고리부 (23) 에서의 변위는 2 개의 휘어짐변위가 중첩되는 형태로 되어 갈고리부 (23) 는 크게 변위된다.
하나의 걸림부재가 2 개의 벽부에 걸쳐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걸림부재의 평면형상을 대략 「ㄷ」자형상으로 하고, 벽부의 둘레방향 중앙에서 다른 동일한 형상의 걸림부재와 근접시켜 벽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 하나의 걸림부재가 모든 벽부, 즉 둘레벽의 전체 둘레에 걸쳐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9 의 경우, 도 1 의 4 개의 걸림부재 (20) 를 3 곳 모서리부에서의 연결부 (28) 로 연결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 걸림부재는 3 개의 연결부 (28) 에 의한 굴곡성형을 순차적으로 실시함으로써 형태를 얻는다. 이 경우도, 도 6 의 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자유단이 아닌 부분에 갈고리부 (23) 를 구비하고 있는 걸림부재는 도 4 와 같은 슬릿을 구비하고 있다. 벽부가 둘레방향으로 충분한 길이를 갖고 있는 경우에는 벽부의 중앙위치에 걸림부재의 고정부를 형성하여 양단의 자유단에 걸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걸림부재는 금속판으로 만들어져 있을 필요는 없으며, 하우징의 둘레벽에 슬릿을 형성하여 둘레벽의 일부에서 걸림부재의 탄성편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0의(A) 는 이러한 예의 평면도, 그리고 도 10의(B) 는 그 하우징의 둘레벽의 4 개의 벽부 중 하나의 외측 측면을 나타내고 있다. 하나의 벽부에는 우측단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뒤에 좌측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되고 있는 슬릿 (12A) 이 형성되어 있고, 이 슬릿 (12A) 보다 상방 부분이 탄성편을 이루고, 그 자유단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부로서의 갈고리부 (12B) 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모듈을 장착할 때 탄성편은 도 10의(A) 에서의 파선과 같이 휘어져 갈고리부 (12B) 는 외측방향을 향해 변위된다. 시일드가 요구되지 않을 때에는 하우징만으로 걸림부재도 겸하기 때문에 부품 점수가 적어져 경제적이다.
걸림부재는 걸림부로서 갈고리부를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걸림부재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편 (片) 을 형성하여 수용부 내부를 향해 절곡하여 구성해도 되고, 탄성편의 도중을 랜싱하여 랜스형상으로 구성해도 되고, 도 11 과 같이 걸림부는 창(窓)부 (29) 로서 형성하고 모듈에 걸림돌출부 (M4) 를 형성해 둘 수도 있다. 이 경우, 걸림돌출부 (M4) 가 창부 (29) 의 하측 가장자리와 맞닿는 부분에 테이퍼부 M5 를 형성해 둠으로써 모듈 장착시에 창부 (29) 와의 걸림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둘레벽을 하우징으로 형성하지 않고, 이 둘레벽을 걸림부재 자체로 형성하고 하우징은 맞닿음부인 바닥벽만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 에 있어서 판형상의 하우징 (10) 에 금속판으로 만들어진 4 개의 걸림부재 (20) 를 설치하여 둘레벽을 형성하고 있다. 하우징 (10) 의 상면에는 단자 (30) 의 접촉부 (32) 가 노출배열되어 있다. 걸림부재 (30) 는 일단측에서 고정부인 설치다리 (20A, 20B) 가 하우징의 대응구멍에 압입되어 있고, 타단측이 자유단을 이루어 휘어짐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자유단측에는, 도 11 의 걸림부재와 동일한 창부 (29) 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도 12 의 예에서는 장착되는 모듈은 도 11 의 것과 동일한 걸림돌출부 (M4)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모듈의 외형이 바뀌면 이에 대응하여 걸림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모듈의 소켓에 대한 피수용부가 직사각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외주가 원형을 이루고 있을 때 걸림부재는 이에 따른 원호형상을 형성하고 원둘레방향의 적절한 부분에서 분할형성하면 된다.
또, 걸림부재는 예를 들어 금속판으로 만들어져 있는 경우, 하우징의 외주면에 설치하지 않고 하우징의 모듈 형성시에 심금(芯金)으로서 둘레벽 내부에 매몰되어 있어도 된다. 단, 그 경우 탄성편만은 당연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의 둘레벽에 형성된 치공구를 삽입하기 위한 몰입부와, 갈고리부를 위한 절결부는 양쪽을 겸하도록 형성해도 된다.
또한, 단자 배열은 둘레벽을 따르고 있으면 직선형상이 아니어도 되며, 또 복수열로 배열되어 있어도 된다.
걸림부재의 걸림부는, 상대 모듈과 맞닿아 탄성변위되고 그리고 그 변위를 해제시키지 않고도 항상 모듈과 접촉상태에서 탄성변위되고 있어 그 변위를 대소로 변동시킴으로써 걸어 그 걸림을 해제하도록 해도 되고, 또는 모듈이 소정 위치로부 터 의도하지 않고 빠지는 경우에 규제하도록 모듈과는 비접촉상태로 규제 위치에 있는 것이어도 된다.
또, 상대 모듈을 수용하는 수용부는 하우징에 의하지 않고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둘레벽을 겸한 금속판의 걸림부재를 그 고정부에 의해 접속대상부재에 설치하여 이 접속부재의 상면과 상기 걸림부재로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접속부재의 상면이 모듈에 대한 규제부를 형성한다. 또한, 모듈이 직접 상기 접속부재와 맞닿지 않을 때에는 걸림부재에 돌출부 등을 형성하여 수용위치를 정하는 규제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소켓의 둘레벽을 따라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방향을 향해 휘어질 수 있는 탄성편을 형성하고, 이 탄성편 베이스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걸림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모듈과 걸 때에는 둘레방향으로 긴 탄성편이 용이하게 소켓의 외측으로 변위되어 그 변위량을 충분히 크게 확보할 수 있어, 그 결과 소켓의 높이를 높게 하지 않고 작은 힘으로 모듈을 삽입장착할 수 있고, 또 걸림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편은 소켓의 둘레벽 자체에 형성할 수도 있고, 또 둘레벽에 설치되어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걸림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Claims (17)

  1. 둘레벽과 상기 둘레벽 내로 수용되는 상대 모듈의 수용위치를 규제하는 규제부로 상기 모듈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형성하고, 상기 둘레벽을 따라 복수개의 단자가 배열되고, 상기 단자의 일단이 회로기판과 접속가능한 접속부를 형성하고 있는 동시에 타단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모듈의 대응부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형성하고 있는 모듈용 소켓에 있어서, 상기 둘레벽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편을 상기 둘레벽에 직접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탄성편을 상기 둘레벽을 따라 설치하여 걸림부재로 하고, 상기 걸림부재는 고정부와 상기 탄성편의 휘어짐에 의해 상기 둘레벽의 외측을 향해 탄성변위되는 걸림부가 서로 둘레방향에서 떨어진 위치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 내에 상기 모듈이 수용될 때, 상기 탄성편이 상기 모듈로부터 맞닿음력을 받아 탄성휘어짐변위를 생기게 하여 상기 수용부에 대한 상기 모듈의 수용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모듈이 소정 위치까지 도달하였을 때 상기 탄성휘어짐변위가 해제 또는 저감되어 상기 걸림부가 상기 모듈과 걸릴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모듈용 소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이 규제부로서의 바닥벽과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드리워지게 세워지는 둘레벽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전자 모듈용 소켓.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고정부에 의해 상기 둘레벽에 설치되는 금속판부재로 형성되는 전자 모듈용 소켓.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탄성편의 자유단에 상기 걸림부를 구비하고 있는 전자 모듈용 소켓.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의 상기 걸림부는 상기 둘레벽의 면에 대해 직각으로 굴곡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모듈에 대해 걸림이 가능한 갈고리부를 형성하고 있는 전자 모듈용 소켓.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하우징 둘레벽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고, 둘레방향의 한 곳 또는 복수 곳에서 분리형성되어 하나의 걸림부재 또는 복수개의 걸림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걸림부재가 상기 걸림부와 상기 고정부를 구비하고 있는 전자 모듈용 소켓.
  7. 제 6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둘레벽은 상기 모듈 수용방향에서 보아 다각형을 이루도록 복수개의 벽부를 구비하고, 인접하는 상기 벽부의 경계가 되는 한 곳 또는 복수 곳의 모서리부에서 상기 각 걸림부재끼리가 분리형성되어 있는 전자 모듈용 소켓.
  8.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걸림부재는 자유단인 길이방향의 일단에 상기 걸림부를, 타단에 상기 고정부를 구비하고 있는 전자 모듈용 소켓.
  9.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걸림부재는 자유단인 길이방향의 양단에 상기 걸림부를, 중간부에 상기 고정부를 구비하고 있는 전자 모듈용 소켓.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걸림부재는 상기 둘레벽의 인접되는 2 개의 벽부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전자 모듈용 소켓.
  11.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자유단인 길이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의 길이범위에서 상기 탄성편이 형성되어 있는 전자 모듈용 소켓.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금속판부재로 만들어지고 상기 둘레벽의 외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하우징의 둘레벽은 상기 걸림부의 갈고리부가 상기 수용부를 향해 연장되는 것을 허용하는 절결부를 구비하고 있는 전자 모듈용 소켓.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걸림부재는 금속판부재로 만들어지고 서로 인접배치된 상기 걸림부끼리 접촉하는 접촉부위를 구비하고 있는 전자 모듈용 소켓.
  14. 제 1 항, 제 3 항, 제 5 항,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둘레벽은 상기 걸림부재의 상기 걸림부의 근방 위치에, 상기 탄성편을 외측방향으로 밀어 벌리는 치공구를 상방으로부터 상기 모듈과 상기 탄성편 사이에 삽입할 수 있도록 상방에 개방된 몰입부를 구비하고 있는 전자 모듈용 소켓.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가 몰입부를 겸하고 있는 전자 모듈용 소켓.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의 상기 탄성편은 하우징의 둘레벽의 일부로 만들어져 있는 전자 모듈용 소켓.
  17. 둘레벽과 상기 둘레벽 내로 수용되는 상대 모듈의 수용위치를 규제하는 규제부로 상기 모듈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형성하고, 상기 둘레벽을 따라 복수개의 단자가 배열되고, 상기 단자의 일단이 회로기판과 접속가능한 접속부를 형성하고 있는 동시에 타단이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모듈의 대응부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형성하고 있는 모듈용 소켓에 있어서, 상기 둘레벽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편을 상기 둘레벽을 따라 설치하여 걸림부재로 하고, 상기 걸림부재는 고정부와 상기 탄성편의 휘어짐에 의해 상기 둘레벽의 외측을 향해 탄성변위되는 걸림부가 상기 탄성편을 형성하기 위한 랜싱에 대해 서로 반대측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 내에 상기 모듈이 수용될 때, 상기 탄성편이 상기 모듈로부터 맞닿음력을 받아 탄성휘어짐변위를 생기게 하여 상기 수용부에 대한 상기 모듈의 수용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모듈이 소정 위치까지 도달하였을 때 상기 탄성휘어짐변위가 해제 또는 저감되어 상기 걸림부가 상기 모듈과 걸릴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모듈용 소켓.
KR1020050005705A 2004-04-23 2005-01-21 전자 모듈용 소켓 KR1008206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28325A JP2005310651A (ja) 2004-04-23 2004-04-23 電子モジュール用ソケット
JPJP-P-2004-00128325 2004-04-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150A KR20050103150A (ko) 2005-10-27
KR100820611B1 true KR100820611B1 (ko) 2008-04-10

Family

ID=34934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5705A KR100820611B1 (ko) 2004-04-23 2005-01-21 전자 모듈용 소켓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589617A2 (ko)
JP (1) JP2005310651A (ko)
KR (1) KR100820611B1 (ko)
CN (1) CN100414784C (ko)
TW (1) TWI2873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99327B2 (ja) * 2006-09-06 2011-10-2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モジュール用ソケッ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4327A (en) 1991-02-28 1992-04-14 Amp Incorporated Wire form socket connector
US5273442A (en) 1992-12-24 1993-12-28 The Whitaker Corporation Modular chip carrier socket
JPH075436A (ja) * 1993-06-15 1995-01-10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の駆動回路
JPH07211416A (ja) * 1994-01-10 1995-08-11 Texas Instr Japan Ltd ソケット
JPH0822875A (ja) * 1994-07-05 1996-01-23 Nippon Steel Corp Icソケッ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4720A (en) * 1980-10-20 1982-10-19 Amp Incorporated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latching means
US4761140A (en) * 1987-02-20 1988-08-02 Augat Inc. Minimum insertion force self-cleaning anti-overstress PLCC receiving socket
JP2637647B2 (ja) * 1991-08-30 1997-08-06 山一電機 株式会社 Icキャリア又はicソケット
JP2001188155A (ja) * 1999-12-28 2001-07-10 Kuurii Components Kk 撮像素子の固定手段
US6435882B1 (en) * 2001-07-27 2002-08-20 Agilent Technologies, Inc. Socketable flexible circuit based electronic device module and a socket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4327A (en) 1991-02-28 1992-04-14 Amp Incorporated Wire form socket connector
US5273442A (en) 1992-12-24 1993-12-28 The Whitaker Corporation Modular chip carrier socket
JPH075436A (ja) * 1993-06-15 1995-01-10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の駆動回路
JPH07211416A (ja) * 1994-01-10 1995-08-11 Texas Instr Japan Ltd ソケット
JPH0822875A (ja) * 1994-07-05 1996-01-23 Nippon Steel Corp Icソケ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310651A (ja) 2005-11-04
TWI287322B (en) 2007-09-21
TW200536191A (en) 2005-11-01
CN1691436A (zh) 2005-11-02
KR20050103150A (ko) 2005-10-27
CN100414784C (zh) 2008-08-27
EP1589617A2 (en) 2005-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9172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nti-mismating arrangement
KR101567356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US6515450B1 (en) Internal battery holding structure in mobile equipment
US7029308B2 (en) Socket for electronic module
US20050287841A1 (en) Housing case for electronic circuit board
CN108140992B (zh) 连接器和连接器组装体
KR101418887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JP3905518B2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US7731532B2 (en) Connector
KR20170106199A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WO2007041484A1 (en) Module socket
KR100715015B1 (ko) 전자부품부착용 소켓
TW201212400A (en) Assembly body with electrical connector and cover, cover for electrical connector, and installation method for electrical connector
JP6555028B2 (ja) ケーブル圧着端子実装体
TWI736828B (zh) 連接器及連接器組件
US20070020963A1 (en) Land grid array connector
KR20070089048A (ko) 전기커넥터조립체
JP3119612B2 (ja) プリント基板用コネクタ及びその実装構造
CN116784002A (zh) 布置在印刷电路板上的电子电路的壳体
KR100820611B1 (ko) 전자 모듈용 소켓
JPH0587861U (ja) 電気コネクタ
JP5673786B1 (ja) 電気コネクタ
JP5659212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22066929A (ja) 平型導体付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KR20170127305A (ko) 기판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