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9665B1 - 바텐 승하강장치 - Google Patents

바텐 승하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9665B1
KR100819665B1 KR1020050060105A KR20050060105A KR100819665B1 KR 100819665 B1 KR100819665 B1 KR 100819665B1 KR 1020050060105 A KR1020050060105 A KR 1020050060105A KR 20050060105 A KR20050060105 A KR 20050060105A KR 100819665 B1 KR100819665 B1 KR 100819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ten
drum
elevator
elevators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0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7714A (ko
Inventor
신정훈
Original Assignee
신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훈 filed Critical 신정훈
Priority to KR1020050060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9665B1/ko
Publication of KR20070087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7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9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9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63J1/028Means for moving hanging scene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Landscapes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텐 승하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텐을 승하강시킬 수 있는 별도의 소형 승하강기를 마련한 후, 이 승하강기를 바텐 상단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하여 적은 동력으로 바텐이 승하강되게 하고 간편하게 설치되게 함은 물론 바텐이 승하강되는 과정에서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승하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승하강기, 정역모터, 드럼, 와이어, 바텐

Description

바텐 승하강장치{batten}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기가 바텐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기를 통하여 바텐이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기의 내부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기의 요부 블록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바텐이 한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기의 다른 설치 상태를 나타낸 일실시예.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100a,100b,100c ; 승하강기 110 ; 정역모터
120 ; 드럼 130 ; 와이어
140 ; 본체 200 ; 바텐
210 ; 설치물 300 ; 무선리모콘
400 ; 드럼 회전수 감지부 410 ; 회로기판
본 발명은 바텐 승하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텐을 승하강시킬 수 있는 별도의 소형 승하강기를 마련한 후, 이 승하강기를 바텐 상단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하여 적은 동력으로 바텐이 승하강되게 하고 간편하게 설치되게 함은 물론 바텐이 승하강되는 과정에서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승하강할 수 있도록 한 바텐 승하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극, 무용, 오페라 등 각종 무대 공연장에서 사용되는 조명, 현수막 등과 같은 설치물은 무대 상단의 바텐에 설치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바텐은 별도의 승하강장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승하강장치의 구성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와이어를 권취하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상에 다수 홈을 갖은 드럼과, 일단은 상기 드럼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바텐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연결 형성되어 드럼의 홈에 감기거나 풀리는 다수의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방향을 전환하는 도르래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바텐 승하강장치를 이용하여 바텐을 승하강시킬 수 있다는 잇점은 있으나, 하나의 구동부의 드럼에 의해 다수의 와이어가 감기면서 회전하기 때문에 많은 동력이 필요함은 물론 이에 따라 구동부의 크기가 대형화되어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할 뿐 아니라 현장에서 용접작업등 복잡한 설치공사를 해야 하므로 원가가 상승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바텐 승하강시 수평 밸런스가 중요하나, 하나의 구동부를 이용하여 각각의 드럼에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기 때문에 바텐을 승하강시키는 과정에서 바텐 이 외부 장애물에 걸릴 경우, 수평을 잃으면서 무게중심이 한쪽으로 쏠려 바텐에 설치 사용되는 설치물이 파손되어 경제적으로도 부담이 가는 제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바텐을 승하강시킬 수 있는 별도의 소형 승하강기를 마련한 후, 이 승하강기를 바텐 상단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하여 적은 동력으로 바텐이 승하강되게 함은 물론 적은 공간에서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 바텐 승하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텐을 승하강시키는 과정에서 바텐이 외부 장애물에 걸린다거나, 승하강기의 고장발생 및 모터회전속도 편차 등에 신속히 대응하므로 바텐 좌,우 기울기를 항상 수평 상태로 유지하여 바텐에 설치되어 있는 설치물(조명, 현수막 등)이 안전하게 승하강할 수 있도록 한 바텐 승하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승하강장치는 건축물의 천정면에 걸려있는 본체와,
일단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된 드럼에 연결되고 타단은 바텐과 연결된 상태에서 드럼의 회전 방향에 따라 풀리고 감기면서 바텐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가 드럼에서 풀리고 감길수 있도록 드럼을 정역 회전시키는 정역모터로 이루어진 승하강기를 형성한 후,
상기 승하강기와 동일한 내부 구조를 갖는 다수의 승하강기를 마련하여 바텐상단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하고, 이 승하강기들은 무선리모콘을 통하여 무선으로 작동되면서 바텐이 항상 수평을 유지하면서 승하강되게 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기가 바텐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기를 통하여 바텐이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기의 내부 구성도 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기의 요부 블록도 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바텐이 한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이며,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기의 다른 설치 상태를 나타낸 일실시예이다.
본 발명도 연극, 무용, 오페라 등 각종 무대 공연장에서 사용되는 조명, 현수막 등과 같은 설치물(210)이 바텐(200)에 설치 사용되고, 이 바텐(200)은 무대 상단에서 승하강장치에 의해 상하 승하강되게 하는 기본적인 목적은 종래와 같다.
다만, 본 발명은 승하강장치의 내부 구조를 변경하여 소형화하고, 소형화된 승하강기를 통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바텐(200)이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도1 내지 도5에서와 같이 건축물의 천정면에 걸려있는 본체(140)와, 일단은 상 기 본체(140) 내부에 설치된 드럼(120)에 연결되고 타단은 바텐(200)과 연결된 상태에서 드럼(1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풀리고 감기면서 바텐(20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와이어(130)와, 상기 와이어(130)가 드럼(120)에서 풀리고 감길수 있도록 드럼을 정역 회전시키는 정역모터(110)로 이루어진 승하강기(100)로 구성된다.
상기한 이와 같이 구성된 승하강기(100)는 다른 승하강기(100a)(100b)(100c)와 동일한 내부 구조를 가지며 바텐(200)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되고, 상기한 승하강기(100)(100a)(100b)(100c)들은 무선리모콘(300)에 의해 무선으로 제어되면서 바텐(200)이 항상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승하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바텐(200)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바 형태로 형성되는데, 항상 바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6에서와 같이 직사각 형상을 갖는 형태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직사각 형상의 바텐(200a)에는 종래의 승하강장치 구성으로는 설치가 거의 불가능하나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기들(100)(100a)(100b)(100c)은 소형으로서 각기 독립적으로 설치 가능하기 때문에 도6에서와 같이 바텐(200a) 모서리 상단에 설치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승하강기(100)(100a)(100b)(100c)와 무선리모콘(300)은 무선으로 송수신이 가능하게 형성되는데,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무선리모콘(300)을 통하여 승하강기(100)(100a)(100b)(100c)에 승강 또는 하강신호가 입력되면 작동하고 있는 각 승하강기의 순간 순간의 현 상태를 서로 데이터화하여 실시간으로 무선 송수신하며, 승하강 도중 어느 한 승하강기(100)(100a)(100b)(100c)에 이상 신호가 검출되면 이상이 있는 승하강기 스스로 정상 작동하는 각 승하강기에 무선 정지신호를 보내어 승하강기 전체를 정지시키거나 또는 교정 명령을 보내어 바텐이 항상 수평을 유지하면서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무선리모콘(300)으로 제어되는 승하강기(100)(100a)(100b)(100c)에는 바텐(200) 승하강시 수평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한 드럼 회전수 감지부(400)와, 상기 드럼 회전수 감지부(400)에서 감지된 회전수가 입력되면 이를 제어하는 회로기판(410)이 형성된다.
드럼 회전수를 감지하는 드럼 회전수 감지부(400)는 정역모터(11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드럼(120)이 회전하면 이 드럼(120) 회전수를 감지하고, 감지된 회전수를 회로기판(410)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회로기판(410)에는 무선리모콘(300)을 통하여 각 승하강기(100)(100a)(100b)(100c)에 하강신호가 입력되면 정역모터(110)로 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드럼(120) 회전수를 드럼 회전수 감지부(400)가 각각 감지하고 있다가, 상기한 드럼 회전 감지부(400)중 어느 하나의 드럼 회전수 감지부(400)에서 감지되는 회전수가 미리 셋팅된 회로기판(410)의 설정값 시간내에 감지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나머지 승하강기에 무선으로 정지신호를 보내어 모두 정지시키게 하는 것과, 각 승하강기(100)(100a)(100b)(100c) 중 하나의 메인 승하강기는 꼭 필요하다.
예를 들어 메인 승하강기로 승하강기(100)가 선택되면 이 승하강기(100)는 실시간 무선으로 송신되는 각 승하강기(100a)(100b)(100c)의 드럼(120) 회전량의 수를 체크하면서 만약 편차가 생길 경우, 회전수가 가장 많이 감지된 승하강기 (100)(100a)(100b)(100c)에 슬로우 신호를 보내어 천천히 회전하게 하여 각 승하강기의 드럼(120) 회전수가 모두 동일하게 감지되면 바텐(200)의 정상적인 승하강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과, 하강중 바텐(200)이 장애물에 걸리거나 또는 바닥에 닿아 어느 하나의 와이어(130)에 하중이 걸리지 않은 무부하 상태일 경우 나머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승하강기에 이상이 있는 승하강기 스스로 정지신호를 보내 모든 승하강기를 일시 정지되게 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
한편, 상기의 정역모터(110), 회로기판(410), 무선리모콘(300), 드럼 회전수 감지부(400)의 전기적인 회로 관계는 통상 사용되는 기술 내용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 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하나의 바텐(200)측에 다수의 승하강기를 설치한다. 예를 들어 길이가 짧은 바텐(200)일 경우에는 설치물(210)의 하중이 많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바텐(200) 좌우측에 두개의 승하강기만 설치하면 되고, 바텐(200) 길이가 길어 많은 하중이 발생할 경우에는 도1과 도2에서와 같이 바텐(200)측에 다수의 승하강기(100)(100a)(100b)(100c)를 설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바텐(200)측에 다수의 승하강기(100)(100a)(100b)(100c)가 설치된 상태에서 무선리모콘(300)을 이용하여 승하강기(100)(100a)(100b)(100c)에 하강 신호를 입력하면, 상기한 승하강기(100)(100a)(100b)(100c)는 동시에 작동하게 된다. 이때의 모든 승하강기(100)(100a)(100b)(100c)에는 동시에 작동할 수 있도록 수신코드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각 승하강기(100)(100a)(100b)(100c)의 정역모터(110)에 의해 드럼이 회전하면, 회전하는 드럼(120)은 드럼 회전수 감지부(400)에 의해 회전량의 수가 감지되고, 감지된 회전량의 수는 회로기판(410)의 두뇌인(칩)의 명령을 받아 무선송신모듈을 통하여 메인 승하강기(100)에 실시간으로 전달됨과 동시에 와이어(130)가 드럼에서 풀리면서 바텐(200)이 하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계속 드럼(120)이 회전하다가 회로기판(410)에 셋팅된 회전수가 각 드럼(120)의 회전수와 일치하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것으로 판단하고 계속 하강 동작이 이루어진다.
만약, 하강도중 어느 하나의 승하강기(100)(100a)(100b)(100c)에 드럼 회전수가 회로기판(410)에 셋팅된 설정값 시간이내에 감지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다른 승하강기에 무선으로 정지신호를 보내 모든 승하강기(100)(100a)(100b)(100c)를 정지시키거나, 또는 하강중 바텐(200)이 장애물에 걸리거나 또는 바닥에 닿아 어느 하나의 와이어(130)에 하중이 걸리지 않은 무부하 상태일 경우 나머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승하강기에 무선으로 정지신호를 보내 모든 승하강기(100)(100a)(100b)(100c)를 정지시킨다. 이후에는 장애요인을 해소한 후 다시 승하강기를 작동시키면 된다.
한편, 각 승하강기(100)(100a)(100b)(100c)의 드럼(120) 회전수가 모두 동일하게 감지되지 않고 편차가생길 경우, 각 승하강기(100)(100a)(100b)(100c)의 드럼 회전량의 수를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교정 명령하는 메인 승하강기(100)는 회전수가 가장 많이 감지된 승하장기를 천천히 회전시키게 된다. 즉, 회전수가 가장 많이 감 지된 승하강기는 천천히 작동하고, 다른 승하강기는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다가 각 승하강기의 드럼 회전수가 모두 동일하게 되면 바텐(200)의 정상적인 승하강 동작이 연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하나의 대형 구동부에 의해 드럼이 회전하면서 다수의 와이어를 권취하지 않고 와이어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별도의 도르래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본 고안에 따른 승하강기는 소형화 되어 있을 뿐 아니라, 이 소형화된 승하강기를 통하여 적은 공간에서 간편하게 설치작업이 이루어지며 적은 동력으로 바텐을 승하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바텐을 승하강시키는 과정에서 바텐이 외부 장애물에 걸린다거나, 승하강기의 고장발생 및 모터회전속도 편차 등에 신속히 대응하므로 바텐 좌,우 기울기를 항상 수평 상태로유지하여 바텐에 설치되어 있는 설치물(조명, 현수막 등)이 안전하게 승하강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연극, 무용, 오페라 등 각종 무대 공연장에서 사용되는 조명, 현수막 등과 같은 설치물(210)이 설치 사용되는 바텐(200)을 무대에서 상하 승하강시키는 바텐 승하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장치는 건축물의 천정면에 걸려있는 본체(140)와, 일단은 상기 본체(140) 내부에 설치된 드럼(120)에 연결되고 타단은 바텐(200)과 연결된 상태에서 드럼(1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풀리고 감기면서 바텐(20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와이어(130)와, 상기 와이어(130)가 드럼(120)에서 풀리고 감길수 있도록 드럼(120)을 정역 회전시키는 정역모터(110)로 이루어진 승하강기(100)를 형성한 후, 상기 승하강기(100)와 동일한 내부 구조를 갖는 다수의 승하강기(100a)(100b)(100c)를 마련하여 바텐 상단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하되,
    이 승하강기(100)(100a)(100b)(100c)들은 수신코드를 동일하게 형성한 후 무선리모콘(300)으로 작동시키면 각 승하강기(100)(100a)(100b)(100c)들이 동시에 동작하고 바텐(200)이 항상 수평을 유지하면서 승하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텐 승하강장치.
KR1020050060105A 2005-07-05 2005-07-05 바텐 승하강장치 KR100819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0105A KR100819665B1 (ko) 2005-07-05 2005-07-05 바텐 승하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0105A KR100819665B1 (ko) 2005-07-05 2005-07-05 바텐 승하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7714A KR20070087714A (ko) 2007-08-29
KR100819665B1 true KR100819665B1 (ko) 2008-04-04

Family

ID=38613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0105A KR100819665B1 (ko) 2005-07-05 2005-07-05 바텐 승하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966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835Y1 (ko) * 2004-02-23 2004-06-22 주식회사 두륭 무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835Y1 (ko) * 2004-02-23 2004-06-22 주식회사 두륭 무대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0429680000*
20035383500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7714A (ko) 200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7881B2 (en) Lifting apparatus for highly-mounted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9533300A (ja) 昇降リールを備える昇降装置
KR100780165B1 (ko)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그릴 승강기
KR101760019B1 (ko) 하부 구동 타워형 주차장치
KR101133858B1 (ko) 천장 설치형 중량물용 승강 장치
JP2014162634A (ja) ウェイト可変エレベータ
JP5075478B2 (ja) 横型ブラインド
KR200440832Y1 (ko) 무대소품 승강장치
JP7079087B2 (ja) 電動ブラインドの制御装置
EP3702315A1 (en) Elevating device for high-elevation installation equip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0380436Y1 (ko) 다단식 조명타워 승강장치
KR100819665B1 (ko) 바텐 승하강장치
KR100679997B1 (ko) 바텐 승하강시 수평 밸런스 유지방법
JP2010205431A (ja) 昇降式照明装置
KR101419518B1 (ko) 무대설비용 승강시스템
KR200279728Y1 (ko) 천정설치용 등기구 승강 제어장치
KR100642493B1 (ko) 드럼 회전수 감지장치를 갖는 고소 조명등 승하강장치
JP3499459B2 (ja) 電動ブラインド
KR100533583B1 (ko) 건설현장용 승강기의 추락방지구조
KR200364503Y1 (ko) 승하강 조명기
KR100963625B1 (ko) 듀얼 브레이크를 갖는 무대장치
JP4097631B2 (ja) 電動ブラインドの制御装置
JP3956451B2 (ja) 照明ポール
JP2006089238A (ja) 昇降装置及び照明装置
KR102229501B1 (ko) IoT에 기반한 무대장치 바텐의 추락방지 안전시스템의 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