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3583B1 - 건설현장용 승강기의 추락방지구조 - Google Patents

건설현장용 승강기의 추락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3583B1
KR100533583B1 KR10-2004-0013239A KR20040013239A KR100533583B1 KR 100533583 B1 KR100533583 B1 KR 100533583B1 KR 20040013239 A KR20040013239 A KR 20040013239A KR 100533583 B1 KR100533583 B1 KR 100533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plate
hook
elevator
winding wir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3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7441A (ko
Inventor
채찬복
Original Assignee
채찬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찬복 filed Critical 채찬복
Priority to KR10-2004-0013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3583B1/ko
Publication of KR20050087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7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3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35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26Positively-acting devices, e.g. latches,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건축물의 건설 현장에 임시 설치되는 승강기에 있어서, 승강대의 수직판 선단에 회전로드를 결합하여 그 단부에 권취와이어 또는 체인을 결합하고, 상기한 회전로드에는 하단에 회전후크를 갖는 연결로드 및 회전축이 결합되게 하며, 롤러가 내장되는 레일에는 다수의 걸림공을 형성함으로서,
권취와이어 또는 체인의 단선에 의해 승강기가 추락하는 경우 회전로드 및 연결로드가 하강하면서 상승되어 있던 후크를 하강시켜 그 후크가 레일의 걸림공으로 삽입되면서 승강기의 추락을 방지하므로 안전한 정지가 가능하면서도 내부 탑승자 및 자재가 보다 안전하게 보호 될 수 있게 한 건설현장용 승강기의 추락방지구조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설현장용 승강기의 추락방지구조 {System preventing elevators for use in construction site from falling}
본 발명은 각종 건축물의 건설 현장에 임시 설치되는 승강기에 있어서, 특히 권취와이어 또는 체인의 단선에 의해 승강기의 추락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안전하게 정지시켜 작업자 및 각종 운반자재 및 기계들을 보호할 수 있는 건설현장용 승강기의 추락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축물을 시공함에 있어 시공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벽에는 작업자 및 각종 자재의 상,하방향으로의 운반을 가능케 하는 작업용 승강기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승강기는 건축물의 상부에 마련된 구동모터로부터 인출된 권취와이어 또는 체인의 단부가 승강대와 고정되어 있어, 상기한 구동모터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한 승강대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으로, 간편하게 설치 할 수 있음은 물론 상,하방향으로의 신속한 이동이 가능하여 중, 고층의 신축건물에는 흔히 설치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통상의 승강기는 승강대 상에 탑승한 작업자의 수가 많거나 정해진 중량 이상의 자재가 올려진 상태에서 운행을 하게 되면 권취와이어 또는 체인의 한계하중을 넘어서면서 그 권취와이어 또는 체인이 단선되므로 매우 위험한 상황을 연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승강기의 권취와이어 또는 체인은 그 사용기간에 따라 점차 그 수명이 단축되는데 노후된 권취와이어 또는 체인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해진 적재 중량을 지켰더라도 급작스러운 단선에 의해 인명사고 및 자재의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자 안출된 것으로서, 승강대의 수직판 선단에 회전로드를 결합하여 그 단부에 권취와이어 또는 체인을 결합하고, 상기한 회전로드에는 하단에 회전후크를 갖는 연결로드 및 회전축이 결합되게 하며, 롤러가 내장되는 레일에는 다수의 걸림공을 형성함으로서,
권취와이어 또는 체인의 단선에 의해 승강기가 추락하는 경우 회전로드 및 연결로드가 하강하면서 상승되어 있던 후크를 하강시켜 그 후크가 레일의 걸림공으로 삽입되면서 승강기의 추락을 방지하므로 안전한 정지가 가능하면서도 내부 탑승자 및 자재가 보다 안전하게 보호 될 수 있게 한 건설현장용 승강기의 추락방지구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요부확대사시도이다.
다수의 회전롤러(9)(9')가 회전 결합된 수직판(2)을 갖는 승강대(1)와, 전기한 회전롤러(9)(9')가 삽입되어 승하강을 유도하는 레일(20)과, 전기한 수직판(2)의 선단에 권취와이어(3) 또는 체인이 결합되어 그 권취와이어(3)를 권취시키는 구동모터(4)의 작동에 의해 승강대(1)가 상하 승강되게 한 공지의 건설현장용 승강기에 있어서,
수직판(2)의 선단에는 회전로드(5)가 힌지 결합된 고정축(6)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로드(5)의 단부에는 권취와이어(3)를 결합하며,
회전로드(5)의 후측에는 멈춤핀(7)이 돌출되고, 그 중간에는 수직판(2)과 연결된 스프링(8)이 탄설되며,
상기한 회전로드(5)에는 수평의 연결대(10)와 그 연결대(10)의 양단에 힌지 고정된 연결로드(11)(11')가 하향 형성되며, 전기한 연결로드(11)(11')의 하단에는 단부에 후크(12)가 형성된 회전축(13)을 각각 형성하되.
상기한 회전축(13)의 중간부는 수직판(2)으로부터 돌출된 힌지축(14)에 고정되고 그 회전축(13)의 내측단은 수직판(2)으로부터 돌출된 고정구(15)와 스프링(16)에 의해 탄설하며,
상기한 레일(20)에는 반복된 장공상의 걸림공(21)(21')을 연속하여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연결로드(11)(11')의 상하단에는 별도의 죠인트(22)(22')를 형성하여 이에 의해 분할되는 연결로드(11)(11')가 다양한 각도로 절곡되게 하여, 그 작동성을 향상시키게 하거나,
상기한 후크(12)의 일측에는 중공상의 함체(23)를 형성하고, 그 내측에는 단부에 걸림턱(24)이 형성된 회전축(13)이 삽입되게 하되, 상기한 걸림턱(24)과 함체(23)의 이격공간에는 별도의 가이드편(26)과 스프링(25)을 탄설하여, 상기한 후크(12)의 스프링(25)에 의해 일정폭으로 출몰되게 함으로서, 추락시 급작스런 정지를 방지하여 내부 탑승자 및 적재자재 등의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승강기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건물 상부에 형성된 구동모터(4)의 작동에 의해 승,하강하는 것으로서, 구동모터(4)의 작동에 의해 권취와이어(3) 또는 체인을 잡아당기면 이와 연결된 승강대(1)가 상승하게 되고, 반대로 권취와이어(3)를 풀어주면 그 승강대(1)가 하강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동모터(4)의 작동제어 및 작동시간의 제어는 별도의 콘트롤러(도면에는 미도시함)의 조작에 의해 조작자가 원하는 높이까지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즉, 구동모터(4)에 전원이 인가되어 권취와이어(3)가 상승 권취되면 그 권취와이어(3)의 하단에 결합된 회전로드(5)가 상승하게 되고, 상기한 회전로드(5)는 고정축(6)으로부터 힌지고정되어 상승하다가 그 후단의 멈춤핀(7)에 맞닿으면서 그 승강대(1) 및 수직판(2)을 상승시키는 힘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또한, 반대로 구동모터(4)의 역회전에 의해 그 권취와이어(3)를 풀면 승강대(1) 및 수직판(2)의 자중에 의해 그 승강대(1)가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권취와이어(3)의 노후 또는 무리한 적재하중에 의해 그 권취와이어(3)가 단선되는 경우 상기한 승강대(1)가 급격한 속도로 추락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승강대(1)의 추락속도보다 그 회전로드(5)의 하강속도가 더욱 빨라 이에 의해 승강대(1)의 추락을 방지하게 되는 것인데, 상기한 회전로드(5)는 그 수직판(2)과 스프링(8)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서, 권취와이어(3)의 단선이 일어나게 되면 인장되어 있던 스프링(8)이 복원되면서 이와 연결되어 있던 회전로드(5)를 신속하게 하향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며,
회전로드(5)가 하향 회전하면 그 회전로드(5)에 고정되어 있던 연결대(10)가 하강하고, 연결대(10)의 양단에 하향 결합되어 있는 양측의 연결로드(11)(11')가 동시에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연결로드(11)(11')의 단부에는 수직의 연결로드(11)(11')가 형성되어 있고 그 연결로드(11)(11')의 하단에는 단부에 후크(12)가 형성된 회전축(13)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한 회전축(13)의 중간부에는 수직판(2)으로부터 돌출된 힌지축(14)에 고정되어 그 힌지축(14)을 축점으로 회전가능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힌지축(14)의 하단에는 수직판(2)으로부터 돌출된 고정구(15)와 스프링(16)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회전축(13)은 상기한 연결로드(11)(11')의 당김력이 해제되면 상기한 스프링(16)력에 의해 하측으로 신속하게 하강하여 그 후크(12) 단부가 도 4의 도시와 같은 레일(20)의 걸림공(21)(21')으로 삽입되면서 추락하는 승강대(1)를 멈추게 하는 것이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회전축(13)은 연결로드(11)(11') 및 연결대(10), 회전로드(5)와 연결된 권취와이어(3)에 의해 상승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한 권취와 아이(3)의 단선시 상기한 연결로드(11)(11')가 순간적으로 하강하면서 그 회전축(13)의 일단이 스프링(16)의 복원력에 의해 힌지축(14)을 축점으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며, 하강하는 회전축(13)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후크(12)는 레일(20)의 걸림공(21)(21') 내부로 삽입되면서 그 승강대(1)의 추락을 멈추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레일(20)의 걸림공(21)(21')은 그 레일(20) 측주면 전체에 일정간격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승강대(1)의 추락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어느 지점에서나 신속하게 추락을 방지하므로 관성에 의해 탑승자 및 적재자재의 충격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따라서, 급작스런 승강기의 추락사고시 보다 안전하면서도 탑승자의 충격을 최소화시키면서 그 승강기가 멈추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연결로드(11)(11')의 상,하단에 별도의 죠인트(22)(22') 즉, 공지의 유니버셜 죠인트를 결합하여 이에 의해 분할 결합된 연결로드(11)(11')의 절곡성을 향상시켜 보다 용이한 작업성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설치각도를 구현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 또는 모양을 갖는 승강기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며,
도 7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후크(12)의 일단에는 중공상의 함체(23)를 형성하고, 상기한 회전축(13)의 대응단부에는 별도의 걸림턱(24)을 형성하여 이를 상기한 함체(23)의 내측에 삽입되게 하되, 상기한 함체(23)의 내측에는 별도의 스프링(25)을 그 회전축(13)에 탄설하여 단부의 걸림턱(24)에 의해 탄력지지되게 함으로서, 권취와이어(3) 또는 체인의 단선에 의한 승강기의 추락시 후크(12)가 회전되면서 레일(20)의 걸림공(21)(21')에 걸리는 순간 그 충격을 상기한 스프링(25)에 의해 완화시켜 내부의 탑승자 및 운반자재에 걸리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함체(23)의 내측에는 별도의 가이드편(26)을 결합 형성하여 이에 의해 함체(23)의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는 회전축(13)의 직진성이 유지되게 하면서도 회전모우멘트에 의해 그 함체(23)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그 사용수명이 보다 연장되게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 건설현장용 승강기의 추락방지구조는, 권취와이어 또는 체인의 단선에 의해 승강기가 추락하는 경우 회전로드 및 연결로드가 하강하면서 상승되어 있던 후크를 하강시켜 그 후크가 레일의 걸림공으로 삽입되면서 승강기의 추락을 방지하므로 안전한 정지가 가능하면서도 내부 탑승자 및 자재가 보다 안전하게 보호 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요부확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승강기 추락방지구조의 작동설명도
도 4는 본 발명 승강기의 추락방지구조를 보인 요부확대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 승강기의 설치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승강기의 연결로드 타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 승강기의 후크 회전축의 타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승강대 2 : 수직판
3 : 권취와이어 4 : 구동모터
5 : 회전로드 6 : 고정축
7 : 멈춤핀 8 : 스프링
9,9' : 회전롤러 10 : 연결대
11,11' : 연결로드 12 : 후크
13 : 회전축 14 : 힌지축
15 : 고정구 16 : 스프링
20 : 레일 21,21' : 걸림공
22,22' : 죠인트 23 : 함체
24 : 걸림턱 25 : 스프링
26 : 가이드편

Claims (3)

  1. 다수의 회전롤러(9)(9')가 회전 결합된 수직판(2)을 갖는 승강대(1)와, 전기한 회전롤러(9)(9')가 삽입되어 승하강을 유도하는 레일(20)과, 전기한 수직판(2)의 선단에 권취와이어(3)가 결합되어 그 권취와이어(3)를 권취시키는 구동모터(4)의 작동에 의해 승강대(1)가 상하 승강되게 한 공지의 건설현장용 승강기에 있어서,
    수직판(2)의 선단에는 회전로드(5)가 힌지 결합된 고정축(6)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로드(5)의 단부에는 권취와이어(3)를 결합하며,
    회전로드(5)의 후측에는 멈춤핀(7)이 돌출되고, 그 중간에는 수직판(2)과 연결된 스프링(8)이 탄설되며,
    상기한 회전로드(5)에는 수평의 연결대(10)와 그 연결대(10)의 양단에 힌지 고정된 연결로드(11)(11')가 하향 형성되며, 전기한 연결로드(11)(11')의 하단에는 단부에 후크(12)가 형성된 회전축(13)을 각각 형성하되.
    상기한 회전축(13)의 중간부는 수직판(2)으로부터 돌출된 힌지축(14)에 고정되고 그 회전축(13)의 내측단은 수직판(2)으로부터 돌출된 고정구(15)와 스프링(16)에 의해 탄설하며,
    상기한 레일(20)에는 반복된 장공상의 걸림공(21)(21')을 연속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용 승강기의 추락방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연결로드(11)(11')의 상하단에는 별도의 죠인트(22)(22')를 형성하여 이에 의해 분할되는 연결로드(11)(11')가 다양한 각도로 절곡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용 승강기의 추락방지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후크(12)의 일측에는 중공상의 함체(23)를 형성하고, 그 내측에는 단부에 걸림턱(24)이 형성된 회전축(13)이 삽입되게 하되, 상기한 걸림턱(24)과 함체(23)의 이격공간에는 별도의 가이드편(26)과 스프링(25)을 탄설하여, 상기한 후크(12)가 스프링(25)에 의해 일정폭으로 출몰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용 승강기의 추락방지구조.
KR10-2004-0013239A 2004-02-26 2004-02-26 건설현장용 승강기의 추락방지구조 KR100533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239A KR100533583B1 (ko) 2004-02-26 2004-02-26 건설현장용 승강기의 추락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239A KR100533583B1 (ko) 2004-02-26 2004-02-26 건설현장용 승강기의 추락방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7441A KR20050087441A (ko) 2005-08-31
KR100533583B1 true KR100533583B1 (ko) 2005-12-05

Family

ID=37270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3239A KR100533583B1 (ko) 2004-02-26 2004-02-26 건설현장용 승강기의 추락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35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885B1 (ko) 2019-05-16 2020-07-30 장윤근 화물 운반 설비를 가진 비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360B1 (ko) * 2007-02-14 2009-05-27 이한성 승강기의 추락방지장치
CN103803413B (zh) * 2014-02-19 2015-08-19 江苏建筑职业技术学院 井架吊盘防坠装置
KR102012328B1 (ko) * 2017-10-26 2019-08-20 주식회사 엔스카이 고공 점프 훈련 장치 및 방법
KR102469349B1 (ko) * 2021-01-19 2022-12-07 김창주 리프트 추락 방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885B1 (ko) 2019-05-16 2020-07-30 장윤근 화물 운반 설비를 가진 비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7441A (ko) 2005-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361847B2 (en) Installation method for a lift
JP6076031B2 (ja) 仮設構造物の荷上げ装置
KR100533583B1 (ko) 건설현장용 승강기의 추락방지구조
KR20220033153A (ko) 타워작업용 곤돌라
KR102063608B1 (ko) 텔레스코핑 기구를 가지는 크레인
KR101945325B1 (ko) 비계용 화물 승강기
KR101978487B1 (ko) 홀딩장치를 가지는 무대용 바텐 승강장치
KR100739290B1 (ko)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KR100646813B1 (ko) 건설현장용 승강기의 추락방지구조
KR20060136096A (ko)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CN115749237A (zh) 一种高层装配式建筑整体作业平台
KR100772203B1 (ko) 타워크레인의 승강장치
KR100731874B1 (ko) 사일로 내부 청소용 안전 승강기
JP2005104653A (ja) エレベータ
KR101929753B1 (ko) 비계에 설치되는 조립용 케이블 레스 상하이송장치
KR101407984B1 (ko) 리프터
JPH0461948B2 (ko)
CN220950995U (en) Building material lifting machine
KR102396527B1 (ko) 작업발판 인양장치
KR102179010B1 (ko) 케이지의 추락방지 장치
KR20190012506A (ko) 엘리베이터 승강로 가이드 레일의 설치방법
CN220953009U (en) Capping beam construction device
KR102363762B1 (ko) 창호 손상방지 및 안전 운반이 가능한 창호 프레임 양중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448066Y1 (ko) 인양식 작업 발판 프레임용 자동 스토퍼
JP7148477B2 (ja) 起伏ゲート式防波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