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8497B1 - 대칭형 스위치 인덕터 - Google Patents

대칭형 스위치 인덕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8497B1
KR100818497B1 KR1020060108878A KR20060108878A KR100818497B1 KR 100818497 B1 KR100818497 B1 KR 100818497B1 KR 1020060108878 A KR1020060108878 A KR 1020060108878A KR 20060108878 A KR20060108878 A KR 20060108878A KR 100818497 B1 KR100818497 B1 KR 100818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or
switch
loop
symmetrical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8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유삼
이창호
양기석
안민식
김택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8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84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8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8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227Inductive arrangements or effects of, or between, wir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10I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대칭인 제1 및 제2 도선으로 이루어지며, 각각 동일한 중심점을 갖는 복수개의 루프형 도선부와, 상기 복수개의 루프형 도선부가 연속되게 일렬로 연결되어 대칭을 이루기 위해 최외곽으로부터 n번째 루프의 제1 도선과 n+1번째 루프의 제2 도선을 연결하는 제1 연결 도선부(n≥1)와, 상기 복수개의 루프형 도선부가 연속되게 일렬로 연결되어 대칭을 이루기 위해, 상기 제1 연결 도선부와 다른 평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n 번째 루프의 제2 도선과 n+1번째 루프의 제1 도선을 연결하는 제2 연결 도선부(n≥1), 및 상기 연속되게 일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루프형 도선부, 제1 연결 도선부 및 제2 연결 도선부의 일부 영역을 온-오프(on-off)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루프형 도선부의 최외곽에 위치하는 제1 도선 및 제2 도선의 각각의 일단은 입력단과 출력단으로 제공되며, 상기 루프형 도선부의 최내곽에 위치하는 제1 도선 및 제2 도선은 대향하는 양단 중 일단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스위치 인덕터를 제공한다.
대칭형 인덕터(symmetric type inductor), 스위치(switch), 바디 플로팅(body - floating)

Description

대칭형 스위치 인덕터{SYMMETRIC TYPE SWITCHECD INDUCTOR}
도1a 및 도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위치 인덕터의 회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대칭형 스위치 인덕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대칭형 스위치 인덕터의 평면도 및 회로도이다.
도4a 내지 도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바디 플로팅 스위치의 개념도 및 작동 회로도이다.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대칭형 스위치 인덕터의 평면도 및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11, 221, 231 : 제1 도선 212, 222, 232 : 제2 도선
215, 225 : 제1 연결 도선부 216, 226 : 제2 연결 도선부
230 : 스위치
본 발명은 스위치 인덕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칭형 인덕터 내에 스위치를 형성하여, 인덕터의 공진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는 대칭형 스위치 인덕터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단말기와 같은 통신 장비에는 라디오 주파수 통신용 회로를 구현하는 반도체 칩 소자들이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칩 소자를 구현할 때 인덕터 소자는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특히, 통신용 회로를 구성하는데 필수적으로 채용되는 전압제어 오실레이터(VCO:Voltage Control Oscillator)는 매우 높은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나선형 인덕터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최근들어 휴대폰을 사용한 멀티미디어 가술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데, 이에 사용되는 방법으로 TDMB의 경우에는 약 174㎒ 내지 274㎒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DVB-T의 경우에는 약 85㎒ 내지 850㎒, DVB-H의 경우에는 450㎒ 내지 850㎒의 주파수를 사용하므로, 하나의 단말기로 다양한 주파수의 신호를 처리할 수 있도록 공진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는 스위치 인덕터가 요구되고 있다.
도1a 및 도1b는, 종래기술에 따른 VCO에 사용하기 위한 스위치 인덕터(switched inductor)의 회로도이다.
도1a를 참조하면, 포트 1(14) 및 2(15) 사이에 한 쌍의 인덕터 L1(11), 및 L2(12)가 직렬로 연결되고, 이중 하나의 인덕터 L2(12)에는 병렬로 스위치(13)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는 nMOS 스위치(13a)가 사용된다.
각 인덕터 L1(11), 및 L2(12)는 작은 사이즈로 설계되며 스위치(13)가 오프(OFF)될 때에는 높은 동작 주파수에 최적화되는 인덕턴스를 갖고, 스위치(13)가 온(ON) 될 때에는 낮은 동작 주파수에 최적화 되는 인덕턴스를 발생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1의 구조는 작은 인덕터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공진 주파수의 한계가 있고, 상기 스위치(13)에 큰 전력이 입력될 경우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직렬연결 인덕터에 의한 레이아웃(layout) 상의 면적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도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위치 인덕터의 다른 실시형태의 회로도이다.
도1b를 참조하면, 스위치 인덕터는 포트 1(14) 및 2(15) 사이에 형성되며, 스위치로 연결되지 않은 인덕터 L3(16)와 스위치로 연결된 인덕터 L4(17) 및 상기 L4(17)와 직렬로 연결된 스위치(1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L4(17)와 직렬연결된 스위치(13)가 오프(off)되면, L3(16)로 구성되는 인덕터의 값에 의해 공진 주파수가 발생하여 회로에 이용되며, L4에 연결된 스위치가 온(on)되면, 스위치와 연결된 인덕터 L4(17)의 인덕턴스 값에 의해 인덕터 L4(17)에 생성되는 반대 방향으로 유도 전류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인덕터 L3(16)와 L4(17) 사이의 와류 전류(eddied current)에 의해 저항이 증가하고 인덕턴스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도1b의 인덕터 구조는 저항의 증가에 따라 Q 값을 상당히 저하시킨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와류 전류 때문에 평행하게 배치해야 되므로 인덕터의 면적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신호 입력에 따라 스위치에 의해 발생되는 로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스위치를 제공하고, 또한, 작은 면적 내에서 원하는 공진 주파수를 얻을 수 있는 스위치 인덕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서로 대칭인 제1 및 제2 도선으로 이루어지며, 각각 동일한 중심점을 갖는 복수개의 루프형 도선부와, 상기 복수개의 루프형 도선부가 연속되게 일렬로 연결되어 대칭을 이루기 위해 최외곽으로부터 n번째 루프의 제1 도선과 n+1번째 루프의 제2 도선을 연결하는 제1 연결 도선부(n≥1)와, 상기 복수개의 루프형 도선부가 연속되게 일렬로 연결되어 대칭을 이루기 위해, 상기 제1 연결 도선부와 다른 평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n 번째 루프의 제2 도선과 n+1번째 루프의 제1 도선을 연결하는 제2 연결 도선부(n≥1), 및 상기 연속되게 일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루프형 도선부, 제1 연결 도선부 및 제2 연결 도선부의 일부 영역을 온-오프(on-off)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루프형 도선부의 최외곽에 위치하는 제1 도선 및 제2 도선의 각각의 일단은 입력단과 출력단으로 제공되며, 상기 루 프형 도선부의 최내곽에 위치하는 제1 도선 및 제2 도선은 대향하는 양단 중 일단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스위치 인덕터를 제공한다.
상기 복수개의 루프형 도선부는 동일 평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연결 도선부 및 제2 연결 도선부 중 하나는, 상기 루프형 도선부와 동일한 평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위치는, 바디 플로팅 스위치(body-floating switch)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복수개의 루프형 도선부, 제1 연결 도선부, 및 제2 연결 도선부가 연속적으로 연결된 전체길이의 중앙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중심점을 갖는 복수개의 루프형 도선부가 연속되게 일렬로 연결되는 제1 대칭형 인덕터와, 상기 제1 대칭형 인덕터와 다른 갯수의 루프형 도선부를 가지며 연속되게 일렬로 연결되는 제2 대칭형 인덕터와, 상기 제2 대칭형 인덕터의 일부 영역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 대칭형 인덕터의 출력단에 타단이 연결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1 스위치의 일단이 연결되는 영역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 대칭형 인덕터의 입력단에 타단이 연결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대칭형 인덕터의 일부 영역이 절단되고 상기 절단된 두 개의 단부에 상기 제2 대칭형 인덕터의 입력단 및 출력단이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스위치 인덕터를 제공한다.
상기 제2 대칭형 인덕터의 입력단 및 출력단이 연결되는 제1 대칭형 인덕터의 절단된 두 개의 단부는, 상기 제1 대칭형 인덕터의 전체 길이의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의 일단이 연결되는 상기 제2 대칭형 인덕터의 일부 영역은, 상기 제2 대칭형 인덕터의 전체 길이의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대칭형 스위치 인덕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대칭형 스위치 인덕터(200)는, 복수개의 루프형 도선부, 연결 도선부, 및 스위치부를 포함한다.
상기 루프형 도선부는, 서로 대칭이며 루프 형태를 이루는 복수개의 제1 도선 및 제2 도선의 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개의 루프는, 서로 크기가 다르지만, 그 중심점이 동일하여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루프 도선은, 최외층에 형성된 루프를 제1 루프(211,212), 상기 제1 루프의 내측에 형성된 루프를 제2 루프(221,222), 상기 제2 루프의 내측에 형성된 루프를 제3 루프(231,232)를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루프는, 가상선인 A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인 제1 도선(211,221,231) 및 제2 도선(212,222,232)으로 나눌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제1 도선 및 제2 도선은 각각의 도선끼리 서로 평행하게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다.
상기 최외층에 형성된 제1 루프의 제1 도선 및 제2 도선 각각의 일단은 각각 전류의 입력단(211a) 및 출력단(212a)으로 사용된다.
상기 복수개의 루프는 상기 제1 도선과 제2 도선이 서로 교차되게 연결되어 하나의 연속된 도선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인덕터를 구성하며, 상기 인덕터는 가상선인 A선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루프의 제1 도선(211)의 출력단(211a)의 타측 단부는 상기 제2 루프의 제2 도선(222)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루프의 제2 도선(222)의 타단은 제3 루프의 제1 도선(231)의 일단에 연결된다.
상기 제3 루프의 제1 도선(231)의 타단과, 제3 루프의 제2 도선의 일단은 스위치(230)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3 루프의 제2 도선(232)의 타단은 제2 루프의 제1 도선(221)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루프의 제1 도선(221)의 타단은 제1 루프의 제2 도선(212)의 일단에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에 의해 상기 제1 루프, 제2 루프, 및 제3 루프는 연속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대칭형 인덕터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루프의 도선간의 연결을 위해 제1 연결 도선부(215, 225) 및 제2 연결 도선부(216,226)가 사용된다.
상기 제1 연결 도선부(215,225)는, 제1 루프 제1 도선(211)의 일단과 제2 루프의 제2 도선(222)의 일단을 연결하며(215), 또한, 제2 루프의 제1 도선(221)의 일단과 제3 루프의 제2 도선(232)의 일단을 연결(225)한다.
상기 제2 연결 도선부(216,226)는 제1 루프의 제2 도선(212)의 일단과 제2 루프의 제1 도선(221)의 일단을 연결(216)하며, 또한, 제2 루프의 제2 도선(222)과 제3 루프의 제1 도선(231)의 일단을 연결(226)한다.
상기 제1 연결 도선부(215,225) 및 제2 연결 도선부(216,226)는 서로 다른 평면상에 형성되며,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체 루프의 형태가 가상선인 A 선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연결 도선부(216,226)는 상기 복수개의 루프들과 동일한 평면(201)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 도선부(215,225)는 상기 복수개의 루프들과 다른 평면(202)에 형성된다. 상기 제1 연결부는 비아홀을 통해서 상기 루프들의 단부와 연결된다.
상기 제3 루프의 제1 도선(231) 및 제2 도선(232)의 대향하는 일단은 스위치(23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위치(230)는, 복수개의 루프에 의해 형성되는 전체 인덕터의 중앙 부분에 위치한다.
상기 스위치(230)는 상기 복수개의 루프가 형성되는 평면(201)과 다른 평면(203)에 형성되며, 비아홀을 통해서 상기 제3 루프의 제1 도선(231) 및 제2 도선(232)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230)가 삽입되는 위치에 따라서, 상기 입력단(211a)에서 스위치 까지의 인덕턴스와 스위치에서 출력단(212a)까지의 인덕턴스를 조절할 수 있어서 상기 인덕터로 구현할 수 있는 공진 주파수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대칭형 스위치 인덕터의 평면도 및 등가 회로도이다.
도3a 및 도3b를 참조하면, 스위치(230)의 온-오프(on-off) 작동에 따라서 상기 인덕터의 공진 주파수가 변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스위치(230)가 온(on) 되었을 때에, 도3a에서는, 포트1(211a), 제1 루프 제1 도선(211), 제1 연결도선(215), 제2 루프 제2 도선(222), 제2 연결도선(226), 제3 루프 제1 도선(231), 스위치(230), 제3 루프 제2 도선(232), 제1 연결도선(225), 제2 루프 제1 도선(221), 제2 연결도선(216), 제1 루프 제2 연결도선(212), 및 포트3(212a)의 순서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를 등가회로로 나타낸 도3b에서 설명하면, SW1이 온 되어 포트1 및 포트3 사이에 인덕턴스가 L1/2인 인덕터 두 개가 직렬로 연결되어 전체 인덕턴스는 L1이 된다.
스위치(230)가 오프(off) 되었을 때에는, 도3a에서는, 포트1(211a)으로 입력되는 전류는 제1 루프 제1 도선(211), 제1 연결도선(215), 제2 루프 제2 도선(222), 제2 연결도선(226), 제3 루프 제1 도선(231) 및 스위치(230)를 거쳐 포트2로 출력된다. 이를 등가회로로 나타낸 도3b에서 설명하면, SW1이 오프되어 포트1과 포트2 사이에 인덕턴스 L1/2이 발생한다.
상기 스위치(230)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포트1과 포트3, 포트1과 포트2 사이에 발생하는 인덕턴스 값에 의해 공진주파수가 발생하므로, 하나의 인덕터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에 대해 사용할 수 있다.
4a 내지 도4d는 플로팅 바디 스위치(floating body switched)에 대한 등가모델 및 작동상태도이다.
도4a는 직렬형태의 스위치를 나타낸다.
도4a를 참조하면, 전원(41) 및 저항(42)이 직렬로 연결되고,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스위치의 소스(43), 게이트(44), 및 드레인(45) 단자 중 게이트 단자(44)가 상기 저항과 직렬로 연결된 직렬 트랜지스터를 나타낸다.
도4b는 상기 CMOS 스위치의 등가모델을 나타낸다.
도4b를 참조하면, 소스와 드레인 사이에 저항(R1)과 p-n 접합 다이오드(47)가 병렬로 연결되는 트랜지스터의 구조를 나타낸다.
전형적인 CMOS 스위치에서는, 게이트 단자에 역바이어스를 인가하기 위해 트랜지스터의 바디(body)를 소스 단자에 연결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CMOS 스위치가 온(on) 상태의 등가 회로도는 도4c에 나타낸다.
도4c를 참조하면, 소스(S)와 드레인(D) 사이에 온 저항(R1)과 다이오드 저항(R2)이 병렬로 연결된 구조이다. 이 경우 상기 다이오드 저항(R2)은 상기 온 저항(R1) 보다 훨씬 커서, 상기 온 저항(R1)을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경우, 입력되는 전력이 증가하게 되면, 상기 드레인(D)과 소스(S) 사이의 전압은 (-)(negative)가 되어 상기 드레인(D)- 바디(body) 사이의 다이오드가 턴온되어 MOS의 입력 임피던스가 작아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R1을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되고, 드레인(D)과 소스(S) 사이에 올바른 전력 전달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트랜지스터의 바디(body)를 그라운드에 연결된 저항(R2)과 연결한다. 상기 저항(R2)는 상기 온 저항(R1)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저항을 사용하므로, 상기 트랜지스터의 입력 임피던스는 상기 온 저항(R1)과 비슷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렇게 구현되는 스위치를 바디 플로팅 스위치(body-floating switch)라고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바디 플로팅 스위치를 사용함으로써, 인덕터의 스위 칭에 의한 전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대칭형 스위치 인덕터의 평면도 및 등가 회로도이다.
도5a의 대칭형 스위치 인덕터는 3 개의 턴수를 가진 제1 대칭형 인덕터(510)의 중앙 부분에 스위치 SW1(530), 및 SW2(540)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530,540)와 병렬로 상기 인덕터(510)와 다른 턴 수를 가진 제2 대칭형 인덕터(520)가 연결된다.
상기 제1 대칭형 인덕터(510)는 L1의 인덕턴스를 갖고, 상기 제2 대칭형 인덕터(520)는 L3의 인덕턴스를 갖는다. 상기 제1 대칭형 인덕터(510)는 도3a에서 도시한 대칭형 인덕터와 동일한 형태의 인덕터이다.
상기 제2 대칭형 인덕터(520)도 복수개의 대칭형 루프(511, 512, 551, 552) 및 상기 루프와 다른 층에 형성된 연결도선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 SW1(530) 및 SW2(540)은 각각 일단이 상기 제1 대칭형 인덕터(510)의 중앙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제2 대칭형 인덕터(520)의 중앙에 연결된다.
즉, 스위치 SW1(530)은, 상기 제1 대칭형 인덕터(510)의 최내층 루프인 제3 루프 제2 도선(232)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2 대칭형 인덕터(520)의 최내층 루프인 제5 루프 제2 도선(552)에 타단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 SW2(540)는 상기 제1 대칭형 인덕터(510)의 최내층 루프인 제3 루프 제1 도선(231)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2 대칭형 인덕터(520)의 최내층 루프인 제5 루프 제1 도선(551)에 타단이 연결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스위치(530,540)의 온-오프 작동에 따라 다양한 인덕턴스 값을 얻을 수 있어 공진 주파수를 달리 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SW1(530) 및 SW2(540)이 온(on) 되었을 때에는 포트1에 입력된 전류가 상기 제2 대칭형 인덕터(520)를 흐르지 않고 상기 제1 대칭형 인덕터(510)만을 흐르게 된다. 즉, 상기 제1 대칭형 인덕터(510)의 포트1을 통해 입력된 전류는 상기 제1 대칭형 인덕터(510) 길이의 중앙에 위치한 SW2(540)까지의 인덕턴스 L1/2와, 상기 SW2(540)에서부터 스위치1(530)을 거쳐 포트2 까지의 인덕턴스 L1/2에 의해 L1의 인덕턴스를 갖게된다.
상기 스위치 SW1(530) 및 SW2(540)가 오프(off) 되었을 때에는, 포트1에 입력된 전류가 상기 제1 대칭형 인덕터(510) 및 제2 대칭형 인덕터(520)를 흐르게 된다.
즉, 포트1을 통해 입력된 전류는 연속적으로 연결된 상기 제1 대칭형 인덕터(510)의 중앙부까지 흐르게 되고, 이 때 상기 제1 대칭형 인덕터의 인덕턴스인 L1의 1/2에 해당하는 인덕턴스 L1/2가 생기고, 상기 제1 대칭형 인덕터의 중앙부분에서 상기 스위치와 병렬로 연결된 제2 대칭형 인덕터(520)로 흐르게 된다. 상기 제2 대칭형 인덕터(520)에 흐르는 전류는, 입력단(511a)에서부터 연속적으로 연결된 5개의 턴 수를 갖는 루프를 흐르게 되고 제2 대칭형 인덕터(520)의 출력단(512a)으로 흐른다. 이 때, 상기 제2 대칭형 인덕터(520)의 인덕턴스는 L3가 생긴다.
상기 제2 대칭형 인덕터(520)를 흐른 전류는, 제2 대칭형 인덕터의 출력단(511a)으로부터 다시 제1 대칭형 인덕터로 유입되어 포트2로 흐르게 된다. 이 때, L1/2의 인덕턴스가 생긴다.
따라서, 상기 제1 대칭형 인덕터 및 제2 대칭형 인덕터를 흐르는 전류에 의해 포트1 및 포트2 사이에 L1 + L2 의 인덕턴스가 생기게 된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두 개의 스위치를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RF 스위치와 같이 고전력 용도에 사용될 때, 상기 스위치1 및 스위치2가 상기 스위치 인덕터에 제공되는 전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형성되는 루프의 형태, 루프의 갯수, 및 스위치의 갯수 및 위치 등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은 면적으로도 다양한 공진 주파수에 대해 적용될 수 있는 인덕터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신호 입력에 따라 스위치의 다이오드에 의해 발생되는 손실을 해결할 수 있다.

Claims (8)

  1. 서로 대칭인 제1 및 제2 도선으로 이루어지며, 각각 동일한 중심점을 갖는 복수개의 루프형 도선부;
    상기 복수개의 루프형 도선부가 연속되게 일렬로 연결되어 대칭을 이루기 위해 최외곽으로부터 n번째 루프의 제1 도선과 n+1번째 루프의 제2 도선을 연결하는 제1 연결 도선부(n≥1);
    상기 복수개의 루프형 도선부가 연속되게 일렬로 연결되어 대칭을 이루기 위해, 상기 제1 연결 도선부와 다른 평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n 번째 루프의 제2 도선과 n+1번째 루프의 제1 도선을 연결하는 제2 연결 도선부(n≥1); 및
    상기 연속되게 일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루프형 도선부, 제1 연결 도선부 및 제2 연결 도선부의 일부 영역을 온-오프(on-off)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루프형 도선부의 최외곽에 위치하는 제1 도선 및 제2 도선의 각각의 일단은 입력단과 출력단으로 제공되며, 상기 루프형 도선부의 최내곽에 위치하는 제1 도선 및 제2 도선은 대향하는 양단 중 일단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스위치 인덕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루프형 도선부는 동일 평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스위치 인덕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도선부 및 제2 연결 도선부 중 하나는,
    상기 루프형 도선부와 동일한 평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스위치 인덕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바디 플로팅 스위치(body-floating swit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스위치 인덕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복수개의 루프형 도선부, 제1 연결 도선부, 및 제2 연결 도선부가 연속적으로 연결된 전체길이의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스위치 인덕터.
  6. 동일한 중심점을 갖는 복수개의 루프형 도선부가 연속되게 일렬로 연결되는 제1 대칭형 인덕터;
    상기 제1 대칭형 인덕터와 다른 갯수의 루프형 도선부를 가지며 연속되게 일렬로 연결되는 제2 대칭형 인덕터;
    상기 제2 대칭형 인덕터의 일부 영역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 대칭형 인덕터의 출력단에 타단이 연결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1 스위치의 일단이 연결되는 영역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 대칭형 인덕터의 입력단에 타단이 연결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대칭형 인덕터의 일부 영역이 절단되고 상기 제1 대칭형 인덕터의 절단된 두 개의 단부에 상기 제2 대칭형 인덕터의 입력단 및 출력단이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스위치 인덕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대칭형 인덕터의 입력단 및 출력단이 연결되는 제1 대칭형 인덕터의 절단된 두 개의 단부는,
    상기 제1 대칭형 인덕터의 전체 길이의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스위치 인덕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의 일단이 연결되는 상기 제2 대칭형 인덕터의 일부 영역은,
    상기 제2 대칭형 인덕터의 전체 길이의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스위치 인덕터.
KR1020060108878A 2006-11-06 2006-11-06 대칭형 스위치 인덕터 KR100818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878A KR100818497B1 (ko) 2006-11-06 2006-11-06 대칭형 스위치 인덕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878A KR100818497B1 (ko) 2006-11-06 2006-11-06 대칭형 스위치 인덕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8497B1 true KR100818497B1 (ko) 2008-03-31

Family

ID=39412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8878A KR100818497B1 (ko) 2006-11-06 2006-11-06 대칭형 스위치 인덕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849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130A (ko) * 2002-11-13 2004-05-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적층형 가변 인덕터
JP2005057270A (ja) 2003-08-01 2005-03-03 Stmicroelectronics Sa 切換え可能なインダクタンス
JP2005191217A (ja) 2003-12-25 2005-07-14 Sharp Corp スパイラルインダクタおよびそれを備えた回路装置または差動回路
KR20060058735A (ko) * 2003-09-25 2006-05-30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집적 회로 및 인쇄 회로 기판을 위한 가변 인덕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130A (ko) * 2002-11-13 2004-05-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적층형 가변 인덕터
JP2005057270A (ja) 2003-08-01 2005-03-03 Stmicroelectronics Sa 切換え可能なインダクタンス
KR20060058735A (ko) * 2003-09-25 2006-05-30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집적 회로 및 인쇄 회로 기판을 위한 가변 인덕터
JP2005191217A (ja) 2003-12-25 2005-07-14 Sharp Corp スパイラルインダクタおよびそれを備えた回路装置または差動回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9419B1 (ko) 이중 나선형 인덕터 구조
CN102918608B (zh) 高电阻衬底中的具有可编程性的穿通孔电感器或变压器
US9252143B2 (en) Radio frequency and microwave devices and methods of use
KR100794796B1 (ko) 가변 인덕터
EP1396875B1 (en) 3-D spiral stacked inductor on semiconductor material
CN107492547A (zh) 半导体器件和通信电路
US8390386B2 (en) Variable inductor
CN104733809B (zh) 开关电路和半导体模块
JP2013527718A (ja) 高電力窒化ガリウム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スイッチ
US20200067351A1 (en) Wireless transmitter with switchable mode
US6549077B1 (en) Integrated inductor for RF transistor
CN110349936B (zh) 基于tsv垂直开关的惠斯通电桥可变电感器
CN1327611C (zh) 滤波器
KR100818497B1 (ko) 대칭형 스위치 인덕터
US10361154B2 (en) Variable inductor and integrated circuit using the variable inductor
CN206559328U (zh) 基于二极管的单刀多掷开关
JP2006005756A (ja) アンテナ装置
JP2015122627A (ja) スイッチング回路および高周波モジュール
KR100509947B1 (ko) 연속적으로 인덕턴스를 가변할 수 있는 가변 인덕터 동작 방법
US10523275B2 (en) Coupling circuit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CN109950032B (zh) 可变电感
CN217590777U (zh) 单刀双掷开关
CN116938211A (zh) 射频开关电路、集成电路芯片及电子装置
CN219164564U (zh) 电感对、高功率非对称开关以及芯片、电子装置
WO2023068127A1 (ja) 高周波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