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7529B1 - 금속 테두리를 갖는 석재 구이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금속 테두리를 갖는 석재 구이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7529B1
KR100817529B1 KR1020060106784A KR20060106784A KR100817529B1 KR 100817529 B1 KR100817529 B1 KR 100817529B1 KR 1020060106784 A KR1020060106784 A KR 1020060106784A KR 20060106784 A KR20060106784 A KR 20060106784A KR 100817529 B1 KR100817529 B1 KR 100817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plate
metal
lower molds
ston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6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순덕
Original Assignee
모순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순덕 filed Critical 모순덕
Priority to KR1020060106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75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7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7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22Moulds for peculiarly-shaped cas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금속 테두리를 갖는 석재 구이판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석재 구이판은 석재를 진원이 아닌 타원형 또는 자유폐곡선으로 가공하고 그 가장자리에 금속 테두리가 결합된 것이다. 이와 같이 석재를 진원이 아닌 타원형 또는 자유폐곡선으로 가공할 수 있고, 이러한 석재판의 가장자리에 금속 테두리를 결합시킬 수 있음으로써, 모양이 단조로운 원형 석재판 대신에 외형이 다양하고 미려한 석재 구이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가장자리에 금속 테두리가 결합되므로 석재판이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석재판에 형성된 기름 배출홈 및 기름 배출공은 조리되는 음식에 의해 발생된 수분이나 기름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석재, 구이판, 보강, 금속, 테두리

Description

금속 테두리를 갖는 석재 구이판 제조방법{MANUFACTURE METHOD OF STONE ROASTING PAN HAVING A METAL RIM}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재 구이판을 제조하기 위한 금형과 석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금형 중에서 상부 금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다른 석재 구이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4a,4b,4c는 도 1에 도시된 석재판을 가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석재 구이판을 도시한 단면도.
도 6a,6b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부 금형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금형 12,12-1,22 : 유입구
14 : 주입공 18 : 내측공간
20 : 하부금형 30 : 석재판
31 : 가장자리 32 : 기름 배출홈
34 : 기름 배출공 40 : 금속 테두리
60 : 모형판 61 : 안내홈
62 : 지지부재 63 : 절단부재
64 : 링크부재 65 : 안내부재
본 발명은 금속 테두리를 갖는 석재 구이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석재판을 한 정점에서 다른 거리에 있는 점들의 자취에 의해 이루어진 곡선으로 가공한 후 그 가장자리에 보강용 금속 테두리를 성형시킴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석재 구이판을 얻을 수 있는 금속 테두리를 갖는 석재 구이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재 구이판은 석재를 일정한 두께의 판형상으로 자른 뒤 원판형으로 가공한다. 그리고, 원판형의 석재판을 상,하부 금형 사이에 위치시킨 후 원심주조법을 이용하여 원판형의 석재판 가장자리에 금속 테두리를 결합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석재 구이판은 석재판이 회전시키면서 가공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 외형이 원형으로만 형성되었다. 또한, 그 가장자리에 금속 테두리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원심주조법을 이용해야 했기 때문에 그 외형이 원판형으로 가공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즉, 금속 구이판의 경우에는 주물법을 이용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 예를 들면 원판형, 타원형, 자유곡선형, 캐릭터를 본뜬 형상 등등 아주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었으나, 석재의 경우에는 가공성이 떨어져 원판형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의 가공이 곤란하였고, 따라서 원판형 이외의 형상을 갖는 석재 구이판은 제조하기 곤란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석재를 원판형이 아닌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고, 이러한 다양한 형상의 석재판 가장자리에 보강용 금속 테두리를 결합시킬 수 있는 제조방법 및 그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석재 구이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석재판의 가장자리 외형을, 한 정점에서 다른 거리에 있는 점들의 자취에 의해 이루어진 곡선으로 가공하는 단계;
b) 상기 석재판의 가장자리에 금속 테두리를 성형하기 위한 상,하부 금형을 가공하되 상,하부 금형이 이루는 내측 공간의 형상을 상기 석재판의 가장자리 형상과 일치하도록 상,하부 금형을 성형하는 단계;
c) 용융된 금속과의 접촉에 의한 급속한 열팽창이 발생하지 않고, 자체 열처리가 되도록 상기 석재판을 점진적으로 금속 테두리를 이루는 금속의 녹는점까지 가열하는 단계;
d) 가열된 상기 석재판을 상기 상,하부 금형 사이에 설치하는 단계;
e) 상기 상,하부 금형의 내측 공간으로 주입한 후 공냉을 실시하여 금속 테두리가 구비된 석재 구이판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테두리를 갖는 석재 구이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a)단계는 원통형의 석재를 그 중심축선에 대하여 직각이 아닌 각도로 절단하여 그 가장자리 외형을, 한 정점에서 다른 거리에 있는 점들의 자취에 의해 이루어진 곡선으로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단계는 원통형의 석재의 외주연을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하고, 상기 원통형 석재를 그 중심축선에 대하여 90° - 170°각도와 소정의 두께로 절단하여 그 가장자리 외형을 불규칙한 곡선으로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단계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석재판을 그 외형을 한 정점에서 다른 거리에 있는 점들의 자취에 의해 이루어진 곡선으로 된 형상으로 가공하되,
그 외형이 한 정점에서 다른 거리에 있는 점들의 자취에 의해 이루어진 곡선으로 된 형상의 모형판 가장자리에 안내홈을 형성하고,
이 안내홈에는 모형측 지지부재 하단을 이동이 원활하게 설치하며,
상기 석재판 측에는 초경을 구비한 절단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부재와 절단부재를 링크부재로 연결하며,
상기 링크부재는 몸체에 설치된 안내부재로 지지시키고,
상기 지지부재가 모형판의 안내홈을 따라 한 정점에서 다른 거리에 있는 점들의 자취에 의해 이루어진 곡선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절단부재도 지지부재와 같은 궤적으로 회전하면서 석재판의 외형을 한 정점에서 다른 거리에 있는 점들의 자취에 의해 이루어진 곡선의 형상으로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상부금형의 상면 중앙에 주입공을 형성하고, 이 주입공의 중앙 정점에서 가까운 위치에만 상기 내측 공간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e) 단계는 상기 상,하부 금형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주입공으로 용융된 금속을 공급하여 용융된 금속이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내측 공간으로 주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상부 금형의 외주연에 내측 공간과 연통되는 유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e) 단계는 상기 상,하부 금형를 기울인 후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내측 공간으로 용융된 금속을 주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상,하부 금형의 외주연에 내측 공간과 연통되는 유입구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e) 단계는 상기 상,하부 금형을 기울인 후 각 상기 유입구로 용융된 금속을 각각 주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 단계는 석재판의 가장자리 영역 상면에 기름 배출홈을 연이어 형성하고, 상기 기름 배출홈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름 배출공을 저면으로 관통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 테두리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석재판의 가열온도는 400℃ - 7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석재판은 원판형이 아닌 타원형, 자유곡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가장자리 외형이 한 정점에서 다른 거리에 있는 점들의 자 취에 의해 이루어진 곡선으로 이루어진 석재판; 및
상기 석재판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결합된 금속 테두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테두리를 갖는 석재 구이판을 제공한다.
상기 석재판은 타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 테두리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석재판의 가장자리 영역 상면에는 기름 배출홈이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기름 배출홈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름 배출공이 저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 내지 도 6a,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명에 따른 석 재 구이판은 일정한 두께와 원형이 아닌 다른 외형을 갖는 석재판(30) 및 석재판(30)의 가장자리(31)에 결합된 금속 테두리(40)로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석재판(30)은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고, 그 가장자리(31) 외형은 한 정점에서 다른 거리에 있는 점들의 자취에 의해 이루어진 곡선으로 이루어진다. 즉, 진원이 아닌 타원형 또는 자유폐곡선의 형상을 갖는 것이다.
그리고, 석재판(30)의 가장자리(31) 영역 상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31)를 따라 기름 배출홈(32)이 연이어 형성되고, 이 기름 배출홈(3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름 배출공(34)이 저면, 즉 직하방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 기름 배출홈(32) 및 기름 배출공(34)은 조리 음식으로부터 발생된 기름 및 수분등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석재판(30)의 가장자리(31)를 감싸며 결합된 금속 테두리(40)는 석재판(30)을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금속 테두리(40)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금속 테두리를 갖는 석재 구이판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석재를 일정한 두께의 판 형태로 절단하여 가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석재판(30)의 가장자리(31) 외형을 가공하되, 한 정점에서 다른 거리에 있는 점들의 자취에 의해 이루어진 곡선으로 가공한다. 따라서, 석재판(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원이 아니고 타원형 또는 자유폐곡선의 형상을 갖는다. a)단계
이때, 석재판(30)을 진원이 아닌 다양한 외형으로 가공하는 방법은 도 4a,4b,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하게 소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후술할 각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한 것이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가공된 석재를 중심선(C)에 대한 절단각이 직각이 아닌 각도로 절단하여 타원형의 석재판(30)을 얻는다. 다시 설명하면, 원통형의 석재를 중심선(C)에 대하여 대략 95 - 170°의 각도로 절단하게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의 석재판(30)을 얻을 수 있다. 절단각이 중심선(C)에 대하여 예각일수록 길쭉한 타원형 석재판(30)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4b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공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석재 외주연을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한 후 중심선(C)에 대하여 직각 또는 대략 95 - 170°의 각도로 절단하게 되면 원형 또는 타원형이 아닌 자유폐곡선 형상의 석재판(30)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중심선(C)에 대하여 대략 95 - 170°의 각도로 절단하게 되면 자유폐곡선이면서도 타원형상으로 찌그러진 외형의 석재판(30)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원통형의 석재 외주연을 가공할 경우 캐릭터와 같이 다양한 형상의 석재판(30)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도 4c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공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공방법은 모형장치를 이용하여 판 형상의 석재를 가공하여 진원이 아닌 석재판(30)을 얻는 방법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형장치는 그 외형이 한 정점에서 다른 거리에 있는 점들의 자취에 의해 이루어진 곡선으로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안내홈(61)이 형성된 모형판(60)과, 안내홈(61)에 하단이 이동이 원활하게 설치되는 모형측 지지부재(62)와, 석재판(30) 측에 초경을 구비하여 설치되는 절단부재(63)와, 지지부재(62)와 절단부재(63)를 그 연결부위가 회전가능하도록 서로 연결하는 링크부재(64)와, 링크부재(64)를 지지하도록 몸체에 설치되는 안내부재(65)로 구성된다.
이러한 모형장치를 이용하여 석재판(30)을 성형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지부재(62)가 모형판(60)의 안내홈(61)을 따라 한 정점에서 다른 거리에 있는 점들의 자취에 의해 이루어진 곡선으로 회전할 때, 절단부재(63)도 지지부재(62)와 같은 궤적으로 회전하면서 석재판(30)의 외형을 한 정점에서 다른 거리에 있는 점들의 자취에 의해 이루어진 곡선의 형상으로 가공하는 것이다. 즉, 절단부재(63)가 지지부재(62)와 같은 궤적으로 회전할 때 절단부재(63)에 구비된 초경(절삭부재)이 석재를 절단가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석재판(30)의 가장자리 영역 상면에 기름 배출홈(32)을 연이어 형성하고, 기름 배출홈(3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름 배출공(34)을 저면으로 관통하여 형성한다. 이 기름 배출홈(32)과 기름 배출공(34)은 조리 음식으로부터 생성된 기름 및 수분을 용이하게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어서, 석재판(30)의 가장자리(31)에 금속 테두리(40)를 성형하기 위한 상,하부 금형(10,20)을 가공하되 상,하부 금형(10,20)이 이루는 내측 공간(18)의 형상 을, 한 정점에서 다른 거리에 있는 점들의 자취에 의해 이루어진 곡선으로 가공하여 상기 석재판(30)의 가장자리(31) 형상과 일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부금형(10)의 주입공(14) 중앙 정점에서 가까운 위치에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구(12)를 형성하여 상,하부 금형(10,20)을 성형한다. b)단계
즉, 상,하부 금형(10,20)의 내측 공간(18)이 이루는 형상이 석재판(30)의 형상과 동일 또는 유사하도록 상,하부 금형(10,20)을 성형하는 것이다. 이는 금속 테두리(40)를 석재판(30)의 가장자리(31)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유입구(12)는 반드시 주입공(14)의 중앙 정점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형성하여야 한다. 이는 금형과 석재판(30)을 회전시키면서(원심주조법) 그 내측 공간(18)으로 용융된 금속을 주입할 때 주입되는 금속이 다시 흘러나오는 현상과 중앙 정점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의 내측 공간(18)에도 용융된 금속이 완전히 채워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6a,6b에는 상,하부 금형(10,20)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금형(10)의 외주연에 내측 공간(18)과 연통되는 유입구(12-1)가 형성된다. 또한,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 금형(10,20)의 외주연에 내측 공간(18)과 각각 연통되는 유입구(12-1,22)가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유입구(12-1,22)들은 용융된 금속을 원심주조법을 이용하지 않고 곧바로 내측 공간(18)으로 주입하여 금속 테두리(40)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즉, 각 유입구(12-1,22)가 상부를 향하도록 상,하부 금형(10,20)을 기울인 후에 각 유입구(12-1,22)로 용융된 금속을 주입하여 내부 공간(18)을 채우는 것이 다. 이러한 방법은 소형의 제품을 제조하는데 유리하다.
한편, 상,하부 금형(10,20)의 제작이 완료되면, 용융된 금속과의 접촉에 의한 급속한 열팽창이 발생하지 않고, 자체 열처리가 되도록 석재판(30)을 점진적으로 금속 테두리(40)를 형성할 금속의 녹는점까지 가열한다. c)단계
이때, 석재판(30)을 금속 테두리(40)를 이루는 알루미늄이 녹는점 400℃ - 700℃까지 점진적으로 가열함으로써 석재판(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단계는 석재판(30)에 금속 테두리(40)를 결합할 경우에 석재판(30)이 급속하 열팽창으로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석재판(30) 자체 열처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가열된 상기 석재판(30)을 상기 상,하부 금형(10,20) 사이에 서로 기밀을 유지하여 위치시킨다. d)단계
이어서, 상,하부 금형(10,20)을 회전시키면서 용융된 금속을 상부 금형(10)의 주입공(14)을 통하여 유입구(12)로 공급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용융된 금속은 내부 공간(18)으로 주입된다.
그리고, 상,하부 금형(10,20) 사이의 내측 공간(18)에 용융된 금속의 주입이 완료되면 공냉을 실시하여 금속 테두리(40)가 구비된 석재 구이판을 얻는다. e)단계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그 외형이 단조롭지 않고, 한 정점에서 다른 거리에 있는 점들의 자취에 의해 이루어진 곡선으로 이루어진 금속 테두리를 갖는 석재 구이판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테두리를 갖는 석재 구이판 제조방법은 석재를 진원이 아닌 타원형 또는 자유폐곡선으로 가공할 수 있고, 이러한 석재판의 가장자리에 금속 테두리를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모양이 단조로운 원형 석재판 대신에 외형이 다양하고 미려한 석재 구이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가장자리에 금속 테두리가 결합되므로 석재판이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석재판에 형성된 기름 배출홈 및 기름 배출공은 조리되는 음식에 의해 발생된 수분이나 기름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3)

  1. a) 석재판(30)의 가장자리(31) 외형을, 한 정점에서 다른 거리에 있는 점들의 자취에 의해 이루어진 곡선으로 가공하는 단계;
    b) 상기 석재판(30)의 가장자리(31)에 금속 테두리(40)를 성형하기 위한 상,하부 금형(10,20)을 가공하되 상,하부 금형(10,20)이 이루는 내측 공간(18)의 형상을 상기 석재판(30)의 가장자리(31) 형상과 일치하도록 상,하부 금형(10,20)을 성형하는 단계;
    c) 용융된 금속과의 접촉에 의한 급속한 열팽창이 발생하지 않고, 자체 열처리가 되도록 상기 석재판(30)을 점진적으로 금속 테두리(40)를 이루는 금속의 녹는점까지 가열하는 단계;
    d) 가열된 상기 석재판(30)을 상기 상,하부 금형(10,20) 사이에 설치하는 단계;
    e) 상기 상,하부 금형(10,20)의 내측 공간(18)으로 주입한 후 공냉을 실시하여 금속 테두리(40)가 구비된 석재 구이판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테두리를 갖는 석재 구이판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원통형의 석재를 그 중심축선(C)에 대하여 직각이 아닌 각도로 절단하여 그 가장자리(31) 외형을, 한 정점에서 다른 거리 에 있는 점들의 자취에 의해 이루어진 곡선으로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테두리를 갖는 석재 구이판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원통형의 석재의 외주연을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하고, 상기 원통형 석재를 그 중심축선(C)에 대하여 90° - 170°각도와 소정의 두께로 절단하여 그 가장자리(31) 외형을 불규칙한 곡선으로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테두리를 갖는 석재 구이판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석재판(30)을 그 외형을 한 정점에서 다른 거리에 있는 점들의 자취에 의해 이루어진 곡선으로 된 형상으로 가공하되,
    그 외형이 한 정점에서 다른 거리에 있는 점들의 자취에 의해 이루어진 곡선으로 된 형상의 모형판(60) 가장자리에 안내홈(61)을 형성하고,
    이 안내홈(61)에는 모형측 지지부재(62) 하단을 이동이 원활하게 설치하며,
    상기 석재판(30) 측에는 초경을 구비한 절단부재(63)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부재(62)와 절단부재(63)를 링크부재(64)로 연결하며,
    상기 링크부재(64)는 몸체에 설치된 안내부재(65)로 지지시키고,
    상기 지지부재(62)가 모형판(60)의 안내홈(61)을 따라 한 정점에서 다른 거리에 있는 점들의 자취에 의해 이루어진 곡선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절단부재(63)도 지지부재(62)와 같은 궤적으로 회전하면서 석재판(30)의 외형을 한 정점에서 다른 거리에 있는 점들의 자취에 의해 이루어진 곡선의 형상으로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테두리를 갖는 석재 구이판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상부금형(10)의 상면 중앙에 주입공(14)을 형성하고, 이 주입공(14)의 중앙 정점에서 가까운 위치에만 상기 내측 공간(18)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구(12)를 형성하고, 상기 e) 단계는 상기 상,하부 금형(10,20)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주입공(14)으로 용융된 금속을 공급하여 용융된 금속이 상기 유입구(12)를 통하여 내측 공간(18)으로 주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테두리를 갖는 석재 구이판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상부 금형(10)의 외주연에 상기 내측 공간(18)과 연통되는 유입구(12-1)를 형성하고, 상기 e) 단계는 상기 상,하부 금형(10,20)를 기울인 후 상기 유입구(12-1)를 통하여 내측 공간(18)으로 용융된 금속을 주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테두리를 갖는 석재 구이판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상,하부 금형(10,20)의 외주연에 상기 내측 공간(18)과 연통되는 유입구(12-1,22)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e) 단계는 상기 상,하부 금형(10,20)을 기울인 후 각 상기 유 입구(12-1,22)로 용융된 금속을 각각 주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테두리를 갖는 석재 구이판의 제조방법.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석재판(30)의 가장자리 영역 상면에 기름 배출홈(32)을 연이어 형성하고, 상기 기름 배출홈(3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름 배출공(34)을 저면으로 관통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테두리를 갖는 석재 구이판의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금속 테두리(40)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석재판(30)의 가열온도는 400℃ - 7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테두리를 갖는 석재 구이판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석재판은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테두리를 갖는 석재 구이판의 제조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60106784A 2006-10-31 2006-10-31 금속 테두리를 갖는 석재 구이판 제조방법 KR100817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6784A KR100817529B1 (ko) 2006-10-31 2006-10-31 금속 테두리를 갖는 석재 구이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6784A KR100817529B1 (ko) 2006-10-31 2006-10-31 금속 테두리를 갖는 석재 구이판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7529B1 true KR100817529B1 (ko) 2008-03-27

Family

ID=39411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6784A KR100817529B1 (ko) 2006-10-31 2006-10-31 금속 테두리를 갖는 석재 구이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75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0201U (ko) * 1997-03-08 1998-11-05 도상오 돌구이판
KR20060098624A (ko) * 2005-03-03 2006-09-19 홍경순 고기구이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0201U (ko) * 1997-03-08 1998-11-05 도상오 돌구이판
KR20060098624A (ko) * 2005-03-03 2006-09-19 홍경순 고기구이판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9861B2 (en) Sole mold for manufacturing a sole
US201601432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wafer shaped bodies baked under pressure
JP2005536988A (ja) 外皮を有する食品の製造方法及び装置
KR100817529B1 (ko) 금속 테두리를 갖는 석재 구이판 제조방법
KR100675526B1 (ko) 귀금속 장신구 주조 방법
CH632434A5 (fr) Procede de formation d&#39;un article metallique qui comporte plusieurs aubes.
EP3034200A1 (en) Nozzle for cooling vacuum furnace
FR2822092A1 (fr) Procede de traitement de noyaux de ceramique
JP3216437U (ja) 火炎加熱可能な保温酒瓶
RU99126469A (ru) Кондитерское изделие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JP2020019047A (ja) 鋳造用金型及び鋳鉄の鋳造方法
KR102219818B1 (ko) 주방용기 제조방법
JP2008126084A (ja) 陶磁器内釜及びその製造方法
JP5382665B2 (ja) 切り餅
KR100725310B1 (ko) 이중구조 불판 및 그 제작방법
KR101994115B1 (ko) 열변형 방지 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1206981B1 (ko) 모조 장식품 제조용 왁스사출물 제조방법 및 그 사출몰드
JP4187221B2 (ja) 型焼き菓子製造装置
KR20100011058A (ko) 목재화병 제작방법
KR20160004031A (ko)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CN1804407B (zh) 散热风扇
JP2004049050A (ja) 麺の密度を均一に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KR102578361B1 (ko) 차량 디스플레이용 유리 성형금형 구조
KR101597766B1 (ko)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2127051B1 (ko) 잣과 견과류를 함유한 강정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