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6058B1 -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 Google Patents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6058B1
KR100816058B1 KR1020070003942A KR20070003942A KR100816058B1 KR 100816058 B1 KR100816058 B1 KR 100816058B1 KR 1020070003942 A KR1020070003942 A KR 1020070003942A KR 20070003942 A KR20070003942 A KR 20070003942A KR 100816058 B1 KR100816058 B1 KR 100816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hielding
shielding plate
fixing
fixed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3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복 성 김
Original Assignee
복 성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복 성 김 filed Critical 복 성 김
Priority to KR1020070003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60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6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6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01F15/0423Details of rails
    • E01F15/043Details of rails with multiple superimposed members; Rails provided with ski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6Anti-dazzle arrangements ; Securing anti-dazzle means to crash-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분리대용 차광판에 관한 것으로,
제작과 조립이 용이하여 원가절감을 구현하고, 충분한 강도를 보유하여 강풍 등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중앙분리대의 다양한 기구적 구성, 형태 및 규격에 구애됨 없이 범용성 있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규격표준화를 구현할 수 있는 중앙분리대용 차광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중앙분리대용 차광판을 하나의 판재로 구성하되 가로, 세로 방향의 보강 절곡부와 보강 돌기부에 의해 충분한 강도를 보유하도록 하고, 상기 보강판의 하부에는 다양한 형태의 브라켓을 선택적으로 조립하여 중앙분리대의 형태와 규격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판재로 차광판재(3)를 구성하되 보강 절곡부(32,33)와 보강 돌기부(34) 및 통기공(31)을 구비하여 휨강도 향상과 공기저항 최소화에 의해 자체손상을 근본적으로 배제할 수 있으므로 제작과 시공 및 유지관리의 용이함에 의한 원가절감을 적극 구현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 및 규격의 중앙분리대(1,1A,1B)에 맞추어 브라켓(4,4A,4B,4C)의 교환만으로 신속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규격 표준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중앙분리대, 차광판, 차광판재, 브라켓, 레일, 지주, 통기공, 보강 절곡부보강 돌출부, 삽입부.

Description

중앙분리대용 차광판{ageare shield for a median strip}
도 1 A,B는 본 발명 차광판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평면도 및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차광판의 분해 사시도.
도 3 A,B는 본 발명 차광판을 구성하는 차광판재의 평면 및 정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차광판의 설치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차광판의 제1변형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설치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차광판의 제2변형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설치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차광판의 제3변형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설치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A,1B : 중앙 분리대 2 : 차광판
3 : 차광판재 4,4A,4B,4C : 브라켓
11,11a : 레일 12 : 지주
31 : 통기공 32,33 : 보강 절곡부
34 : 보강 돌출부 35 : 삽입부
37 : 고정면 42 : 지지면
44 : 고정부
본 발명은 중앙분리대용 차광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대측 주행차량의 전조등 불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안전운전을 구현할 수 있고, 자체강도가 높아 강풍 등에 의한 휨 등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유지보수의 용이함을 도모할 수 있으며, 다양한 기구적 구성, 규격의 중앙분리대에 적용, 설치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종래에도 다양한 구성의 차광수단이 제시,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은 통상 중앙분리대 상부에 적정간격으로 지주를 입설하여 금속망재의 차광망을 설치한 것과, 입설된 지주에 금속판재의 차광판을 설치한 형태로 분류된다.
그런데, 전자의 경우에는 많은 자재가 소요되어 제작과 설치 및 유지보수가 어렵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차광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도 강풍에 의한 손상방지를 위해 2개의 판재를 대향하도록 용접하여 구성하였으므로 제작이 어려움도 물론, 충분한 강도를 나타내지 못하여 손상된 차광판의 유지보수에 많은 시간과 인력 및 경비가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 차광망 또는 차광판재들은 다양한 규격으로 제작된 기존의 중앙분리대에 설치하기 위하여 다양한 규격으로 제작해야 하므로, 제품의 규격관리가 어려워 원가상승의 주요인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이 기피된다는 또 다른 문제점을 유발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은 적극적으로 해소시킬 수 있도록 제작과 조립이 용이하여 원가절감을 구현하고, 충분한 강도를 보유하여 강풍 등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중앙분리대용 차광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앙분리대의 다양한 기구적 구성, 형태 및 규격에 구애됨 없이 범용성 있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규격표준화를 구현할 수 있는 중앙분리대용 차광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중앙분리대용 차광판을 하나의 판재로 구성하되 가로, 세로 방향의 보강 절곡부와 보강 돌기부에 의해 충분한 강도를 보유하도록 하고, 상기 보강판의 하부에는 다양한 형태의 브라켓을 선택적으로 조립하여 중앙분리대의 형태와 규격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에서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 다.
도 1은 표준형 중앙분리대(1)에 본 발명 차광판(2)을 설치한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를 나타내었고, 도 2는 본 발명 차광판(2)의 분해 사시도로서, 도 3A,B에서는 그 평면과 정면구성을 나타내었으며, 도 4에서는 본 발명 차광판(2)을 중앙분리대(1)에 조립한 설치상태를 도시하였다.
본 발명 차광판(2)은, 상대 측 차량의 전조등 불빛을 막아주는 차광판재(3)와;
상기 차광판재(3)의 하부에 조립되어 중앙분리대(1)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4); 으로 구성된다.
상기 차광판재(3)는 필요 규격으로 절단된 단일 판재로 형성되며, 정면에 등간격으로 분포되어 공기저항을 감소시키는 통기공(31)과; 중앙과 양측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수직방향 휨강도를 보강하는 보강 절곡부(32.33)와; 상기 보강 절곡부(12) 양측 복수개소에 상,하 적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수평방향 휨강도를 보강하는 보강 돌출부(34)와; 상기 보강 절곡부(32)의 하단에 절개 형성되어 브라켓(4)에 끼워지는 삽입부(35)와; 상기 삽입부(35)에 의해 그 양측에 형성되며 중앙에 체결공(36)을 구비한 고정면(37); 으로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4)은, 상기 체결공(36)에 대응하는 체결공(41)을 구비하고 고정면(37)과 접촉하도록 삽입부(35)에 삽입되는 지지면(42)과; 상기 지지면(42)의 양측단에 절곡 형성되어 중앙분리대(1)를 구성하는 레일(11)에 체결 고정되도록 고정장공(43)을 구비한 고정부(44); 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차광판재(3)의 양측 보강 절곡부(33) 외측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표시부(38)를 형성시켜 야광 반사시트를 접착시켜 육안으로 차광판재(3)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브라켓(4)에도 표시부(45)를 형성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 차광판(2)을 표준형 중앙분리대(1)의 구성과 관련하여 설치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상세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표준형 중앙분리대(1)는, 지면에 적정 간격으로 매립 고정된 지주(12)와; 상기 지주(12)의 상단에 상, 하 적정 간격으로 체결 고정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원통형의 연결관(13)과; 상기 연결관(13)의 외측에 서로 대향하도록 중첩되게 고정 설치되는 금속 절곡판재의 레일(11); 로 구성됨은 주지와 같다.(도 4 참조)
본 발명 차광판(2)은 브라켓(4)의 지지면(42) 상부에 차광판재(3)의 하면에 형성된 삽입부(35)를 끼워주게 되는데, 이 경우 차광판재(3) 하면의 고정면(37)은 보강 절곡부(32)에 의해 일정한 전후간격, 즉 브라켓(4)의 두께만큼 벌어져 있으므로 고정면(37)은 지지면(42)의 전후에 면접촉된 상태가 되며, 따라서 작업자는 지지면(42)과 고정면(37)에 대응 형성된 체결공(36,41)을 체결부재로 체결 고정시키게 된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 차광판(2)을 구성하는 브라켓(4A,4B)의 다른 실시 예와 그 설치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종래 중앙분리대(1A)에 적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표준형 중앙분리대(1)가 채용되기 이전의 종래 중앙분리대(1A)는, 지면에 적정 간격으로 매립 고정된 지주(12)와; 상기 지주(12)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 연결대(14)와; 상기 연결대(14)의 양측에 서로 대향하도록 중첩되게 고정 설치되는 금속 파형판재(Corrugate - plate)의 레일(11a)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레일(11a)은 그 상단이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맞추어 본 발명의 제1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도 5, 6에서는 브라켓(4A)의 지지면(42) 양측을 경사상으로 절곡하여 상기 레일(11a)의 상단 경사면과 일치되는 고정부(44)가 고정공(45)과 함께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지지면(42)에 차광판재(3)의 삽입부(35)를 끼워 체결공(36,41)을 체결 고정시키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제2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도 7, 8에서는 일측에 지지면(42)을 절곡 형성시킨 브라켓(4B)의 고정면(46) 양측에 경사상으로 절곡된 고정부(44)를 고정공(45)과 함께 형성시켜 줌으로써, 상기 지지면(42)에 차광판재(3)의 삽입부(35)를 끼워 체결공(36,41)을 체결 고정시키도록 구성하였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 차광판(2)을 구성하는 브라켓(4C)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그 설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러한 제3변형 실시예 에서는 적정 길이와 높이 및 두께를 갖도록 콘크리트재로 형성되고 1열로 배열 설치되어 소위 강성 방호책으로 지칭되는 이동형 중앙분리대(1B)에 적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제3변형 실시예의 브라켓(4C)은, 중앙분리대(1B)의 상면에 앵커 등으로 고정되는 고정공(45)을 구비한 고정부(44)와; 상기 고정부(44)의 일측에 절곡 형성되어 차광판재(3) 하단의 고정면(37)이 체결 고정되도록 체결공(41)을 형성시킨 지 지면(42); 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 설치된 본 발명 차광판(2)은 브라켓(4,4A,4B,4C)에 의해 표준형 중앙분리대(1)나 종래 중앙분리대(1A) 또는 이동형 중앙분리대(1B)의 상면에 견고히 고정 설치된다.
또한,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는 차량의 교행 또는 태풍 등으로 인한 차광판재(3)의 휨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차광판재(3)의 중앙과 양측에 세로 방향의 보강 절곡부(32,33)가 형성되고, 중앙의 보강 절곡부(32) 양측에는 가로 방향의 보강 돌기부(3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적극적으로 휨강도가 향상됨에 기인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 차광판재(3)에는 다수의 통기공(31)들이 적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공기 저항의 최소화에 의한 차광판(2)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며, 아울러, 과도하지 않은 정도의 빛이 통기공(31)을 통해 투과되므로 전방 차량을 육안 확인할 수 있으므로 최대한의 안전운전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 차광판(2)은, 하나의 판재로 차광판재(3)를 구성하되 보강 절곡부(32,33)와 보강 돌기부(34) 및 통기공(31)을 구비하여 휨강도 향상과 공기저항 최소화에 의해 자체손상을 근본적으로 배제할 수 있으므로 제작과 시공 및 유지관리의 용이함에 의한 원가절감을 적극 구현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 및 규격의 중앙분리대(1,1A,1B)에 맞추어 브라켓(4,4A,4B,4C)의 교환만으로 신속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규격 표준화를 도모할 수 있는 등의 광범위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중앙분리대(1)에 적정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차광판(2)이, 바람에 의한 손상변형을 방지하면서 상대측 차량의 전조등 불빛을 막아주는 차광판재(3)와;
    상기 차광판재(3)의 하부에 조립되어 다양한 규격과 형태의 중앙분리대(1, 1A, 1B)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4, 4A, 4B, 4C); 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차광판재(3)가, 필요 규격으로 절단된 단일판재로 형성되며, 중앙과 양측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수직방향 휨강도를 보강하는 보강 절곡부(32, 33)와;
    상기 보강 절곡부(32) 양측 복수개소에 상, 하 적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수평방향 휨강도를 보강하는 보강 돌출부(34)와;
    상기 보강 절곡부(32)의 하단에 절개 형성되어 브라켓(4)에 끼워지는 삽입부(35)와;
    상기 삽입부(35)에 의해 그 양측에 형성되며 중앙에 체결공(36)을 구비한 고정면(3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판재(3)의 전면에, 등간격으로 분포되도록 형성되어 공기저항을 감소시키는 통기공(31)을 더 갖추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4)이, 차광판재(3)의 체결공(36)에 대응하는 체결공(41)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면(37)과 접촉하도록 삽입부(35)에 삽입되는 지지면(42)과;
    상기 지지면(42)의 양측단에 절곡 형성되어 표준형 중앙분리대(1)를 구성하는 레일(11)에 체결 고정되도록 고정장공(43)을 구비한 고정부(44);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4A)이, 차광판재(3)의 체결공(36)에 대응하는 체결공(41)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면(37)과 접촉하도록 삽입부(35)에 삽입되는 지지면(42)과;
    상기 지지면(42)의 양측단에 경사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종래 중앙분리대(1A)를 구성하는 레일(11a)에 체결 고정되도록 고정공(45)을 구비한 고정부(44);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4B)이, 차광판재(3)의 체결공(36)에 대응하는 체결공(41)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면(37)과 접촉하도록 삽입부(35)에 삽입되는 지지면(42)과;
    상기 지지면(42)의 일측에 수평으로 절곡 형성시킨 고정면(46)과;
    상기 고정면(46)양측에 경사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종래 중앙분리대(1A)를 구성하는 레일(11a)에 체결 고정되도록 복수개의 고정공(45)을 구비한 고정부(44);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4C)이, 차광판재(3)의 체결공(36)에 대응하는 체결공(41)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면(37)과 접촉하도록 삽입부(35)에 삽입되는 지지면(42)과;
    상기 지지면(42)의 일측에 수평으로 절곡 형성되고 이동형 중앙분리대(1B)의 상면에 앵커 등으로 고정되는 고정공(45)을 구비한 고정부(44);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KR1020070003942A 2007-01-12 2007-01-12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KR100816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3942A KR100816058B1 (ko) 2007-01-12 2007-01-12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3942A KR100816058B1 (ko) 2007-01-12 2007-01-12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6058B1 true KR100816058B1 (ko) 2008-03-21

Family

ID=39411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3942A KR100816058B1 (ko) 2007-01-12 2007-01-12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605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648B1 (ko) * 2010-07-14 2013-04-15 세기하이테크건설 주식회사 도로용 차광판 등에 간접조명 기능을 추가하여 시인성을 개선하는 교통안전시설물
EP2924168A4 (en) * 2012-11-20 2015-11-18 Three S Co Ltd SAFETY SLIDER FOR VEHICLE
KR20170131882A (ko) * 2016-05-23 2017-12-01 정도산업 주식회사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및 그의 설치방법
KR101998490B1 (ko) * 2017-12-29 2019-07-09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 선택형 헤드레스트 조립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8926A (ja) 1998-12-15 2000-06-27 Yoshiaki Hagiwara 眩光防止用標識
KR200224001Y1 (ko) 2000-12-06 2001-05-15 주식회사삼원안전 도로의 가드 레일용 차광판 체결대
KR20020026333A (ko) * 2002-03-09 2002-04-09 희 철 남 중앙분리대 차광판
KR200301393Y1 (ko) 2002-10-16 2003-01-24 주식회사 넥시즈 도로 중앙분리대용 방현판
KR200361176Y1 (ko) 2004-06-21 2004-09-07 태산금속주식회사 중앙분리대용 방현판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8926A (ja) 1998-12-15 2000-06-27 Yoshiaki Hagiwara 眩光防止用標識
KR200224001Y1 (ko) 2000-12-06 2001-05-15 주식회사삼원안전 도로의 가드 레일용 차광판 체결대
KR20020026333A (ko) * 2002-03-09 2002-04-09 희 철 남 중앙분리대 차광판
KR200301393Y1 (ko) 2002-10-16 2003-01-24 주식회사 넥시즈 도로 중앙분리대용 방현판
KR200361176Y1 (ko) 2004-06-21 2004-09-07 태산금속주식회사 중앙분리대용 방현판 결합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648B1 (ko) * 2010-07-14 2013-04-15 세기하이테크건설 주식회사 도로용 차광판 등에 간접조명 기능을 추가하여 시인성을 개선하는 교통안전시설물
EP2924168A4 (en) * 2012-11-20 2015-11-18 Three S Co Ltd SAFETY SLIDER FOR VEHICLE
KR20170131882A (ko) * 2016-05-23 2017-12-01 정도산업 주식회사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및 그의 설치방법
KR101987718B1 (ko) * 2016-05-23 2019-06-11 정도산업 주식회사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및 그의 설치방법
KR101998490B1 (ko) * 2017-12-29 2019-07-09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 선택형 헤드레스트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6058B1 (ko)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KR101178175B1 (ko) 건축외장재용 트러스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내진 블럭
KR101406873B1 (ko) 경량 골조를 이용한 터널형 방음벽
KR100894405B1 (ko) 투명 방음벽
KR200465927Y1 (ko) 투명 방음벽
KR101030093B1 (ko) 투명 방음벽
RU96124061A (ru) Конструкция листовой обшивки, основанная на решетчатой системе, и метод для ее установки
KR20170073687A (ko) 시트 금속 루프 및 유리 루프를 포함하는 적어도 2 개 유형들의 차량 세트
JP6201194B2 (ja) 道路用吸音板
CN217133939U (zh) 格栅屏面罩及格栅屏
KR102119837B1 (ko) 도로용 방음벽 및 방음터널용 지주
KR101419264B1 (ko) 경사 방향 결합용 방음판을 갖는 방음벽
KR101987718B1 (ko)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및 그의 설치방법
KR101015424B1 (ko) 각도 조절 조립식 도로 표지판
EP0962593A1 (en) Sound-damping wall for arrangement alongside a railroad or highway
KR102215879B1 (ko) 연결브라켓 교체형 창호프레임
KR100901346B1 (ko) 신호등용 통합지주
CN209469095U (zh) 建筑用可拆卸式围挡
CN113184668A (zh) 一种横档结构
KR102647500B1 (ko) 교체 용이성을 갖는 방음패널 및 이를 구비한 방음벽
KR101963719B1 (ko) 환기용 루버 설치구조
KR102507989B1 (ko) 슬라이드 슬랫 방식의 유지보수형 방음패널
KR100956562B1 (ko) 투명방음판용 프레임 및 다수의 투명방음판이 적층 설치되어진 방음벽
KR100908491B1 (ko) 방음벽
KR200175890Y1 (ko) 조립식 방음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