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490B1 - 선택형 헤드레스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선택형 헤드레스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490B1
KR101998490B1 KR1020170183367A KR20170183367A KR101998490B1 KR 101998490 B1 KR101998490 B1 KR 101998490B1 KR 1020170183367 A KR1020170183367 A KR 1020170183367A KR 20170183367 A KR20170183367 A KR 20170183367A KR 101998490 B1 KR101998490 B1 KR 101998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art
body portion
bracket
hole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원
공용식
Original Assignee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3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4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3Head-rests fix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6Panel lik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택형 헤드레스트 조립체에 관한 발명으로, 시트백 프레임 및 시트백 프레임의 측부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리브를 포함하는 시트백 유닛, 고정형 브라켓 및 승하강형 브라켓을 포함하는 브라켓 유닛 및 고정 유닛을 포함하고, 브라켓 유닛 중 어느 하나의 브라켓을 선택하여 리브에 맞물린 뒤, 고정 유닛을 동시에 관통시켜 브라켓 유닛과 시트백 유닛이 결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종래와는 달리 시트백 프레임의 금형 제작을 각 건 마다 별도로 할 필요가 없어 헤드레스트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선택형 헤드레스트 조립체{OPTIONAL HEADREST ASSEMBLY}
본 발명은 선택형 헤드레스트 조립체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백 프레임에 고정형 브라켓 또는 승하강형 브라켓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종래와는 달리 시트백 프레임의 금형 제작을 각 건마다 별도로 할 필요가 없어 헤드레스트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헤드레스트는 차량의 시트백에 고정되어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하면서 받쳐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차량 부품이다.
이러한 헤드레스트는 공개특허 제1999-0041545호를 비롯하여, 공개특허 제2011-0093769호 등 다수에 개시되어 있다.
예컨대, 도 1의 예시와 같이, 헤드레스트(3)는 착좌부(1)와 등받이(2)로 이루어진 차량시트에서 등받이(2)의 상단면에 폴(4)에 의해 끼워 고정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등받이(2)의 내부에는 시트백 프레임이 구비된다.
이때, 헤드레스트의 이동 여부를 기준으로, 시트백 프레임은 2개의 형태로 구분된다. 승하강 가능한 헤드레스트가 결합되는 시트백 프레임과 승하강 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는 헤드레스트가 결합되는 시트빅 프레임으로 구분된다.
도 2a,2b는 종래의 시트백 프레임의 후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의 시트백 프레임은 후방에 복수 개의 폴 가이드가 일체로 형성된다. 폴 가이드는 원통 형상으로, 중공부가 형성된다. 중공부에 헤드레스트 폴(4)이 결합되고, 헤드레스트 폴(4)이 승하강하여 헤드레스트가 이를 따라 승하강하게 된다.
도 2b의 시트백 프레임은 폴 가이드가 부재하고, 헤드레스트 프레임이 시트백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헤드레스트가 해당 위치에 고정되게 된다.
이때, 종래에는 헤드레스트가 승하강형인지, 고정형인지에 따라 각각 시트백 프레임을 성형해야 한다. 폴 가이드 및 헤드레스트 프레임이 시트백 프레임에 일체로 성형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금형에 대한 투자비가 상승하여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선택형 헤드레스트 조립체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백 프레임에 고정형 브라켓 또는 승하강형 브라켓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종래와는 달리 시트백 프레임의 금형 제작을 각 건 마다 별도로 할 필요가 없어 헤드레스트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선택형 헤드레스트 조립체는 시트백 프레임 및 시트백 프레임의 측부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리브를 포함하는 시트백 유닛, 고정형 브라켓 및 승하강형 브라켓을 포함하는 브라켓 유닛 및 고정 유닛을 포함하고, 브라켓 유닛 중 어느 하나의 브라켓을 선택하여 리브에 맞물린 뒤, 고정 유닛을 동시에 관통시켜 브라켓 유닛과 시트백 유닛이 결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택형 헤드레스트 조립체의 시트백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리브에는 고정 유닛이 관통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리브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택형 헤드레스트 조립체의 고정형 브라켓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소정의 높이를 지니는 제1 바디부, 제1 바디부의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2 바디부 및 제3 바디부, 제1 바디부의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 바디부를 포함하고, 제2 바디부 및 제3 바디부에는, 리브 홀과 동일한 직경을 지니되, 중심축을 공유하는 제2 바디부 홀 및 제3 바디부 홀이 형성되어, 고정 유닛이 제2 바디부 홀, 리브 홀 및 제3 바디부 홀을 순차적으로 관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택형 헤드레스트 조립체의 고정형 브라켓의 제2 바디부 및 제3 바디부 사이의 간격은, 리브의 높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택형 헤드레스트 조립체의 고정형 브라켓의 제2 바디부에는 폭 방향으로 복수 개의 보강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택형 헤드레스트 조립체의 승하강형 브라켓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소정의 높이를 지니는 제5 바디부, 제5 바디부의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6 바디부 및 제7 바디부, 제5 바디부의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중공부가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제8 바디부를 포함하고, 제6 바디부 및 제7 바디부에는 리브 홀과 동일한 직경을 지니되, 중심축을 공유하는 제6 바디부 홀 및 제7 바디부 홀이 형성되어, 고정 유닛이 제6 바디부 홀, 리브 홀 및 제7 바디부 홀을 순차적으로 관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택형 헤드레스트 조립체의 승하강형 브라켓의 제6 바디부 및 제7 바디부 사이의 간격은, 리브의 높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택형 헤드레스트 조립체의 승하강형 브라켓은 제8 바디부에 삽입 가능한 원통 형상의 폴 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택형 헤드레스트 조립체의 승하강형 브라켓 및 폴 가이드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인접한 한 쌍의 폴 가이드에 'U'형상의 헤드레스트 폴의 양단부가 동시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택형 헤드레스트 조립체의 헤드레스트 폴은 한 쌍의 폴 가이드를 따라 승하강 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립체의 구성으로 인해, 제조자는 needs에 따라 선택적으로 고정형 브라켓 또는 승하강형 브라켓을 시트백 프레임에 결합하여 차량의 헤드레스트 부분을 완성시킬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립체의 구성으로 인해, 승하강형 브라켓과 시트백 프레임의 고정력을 증대되어 헤드레스트 조립체의 내구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헤드레스트의 설치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2b는 종래의 시트백 프레임의 후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립체 중 고정형 브라켓이 시트백 유닛에 결합될 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고정형 브라켓이 결합된 후의 헤드레스트 조립체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립체 중 승하강형 브라켓이 시트백 유닛에 결합될 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승하강형 브라켓이 결합된 후의 헤드레스트 조립체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립체에 고정형 브라켓이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립체에 승하강형 브라켓이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립체 중 고정형 브라켓이 시트백 유닛에 결합될 때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고정형 브라켓이 결합된 후의 헤드레스트 조립체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립체 중 고정형 브라켓이 결합되는 경우를 알아본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립체는 시트백 유닛(100), 브라켓 유닛 및 고정 유닛(300)을 포함한다.
시트백 유닛(100)은 시트백 프레임(110), 리브(120) 및 리브 홀(130)을 포함한다.
시트백 프레임(110)은 사각형 형상의 일반적인 시트백 프레임으로, 공지의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리브(120)는 시트백 프레임(110)의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리브(120)가 시트백 프레임(110)의 측부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할 고정형 브라켓(200) 또는 승하강형 브라켓(400)이 결합되기 위함이다.
리브(120) 중, 시트백 프레임(110)의 상부에 형성된 리브(120)에는 리브(120)의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 복수 개의 리브 홀(130)이 형성된다. 후술에서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리브 홀(130)은 고정형 브라켓(200) 또는 승하강형 브라켓(400)에 형성되는 홀과 고정 유닛(300)을 통해 동시에 관통되고, 이러한 구조로 인해, 리브 홀(130)과 각 브라켓은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프레임 유닛은 고정형 브라켓(200) 및 승하강형 브라켓(400)을 포함한다. 먼저, 고정형 브라켓(200)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고정형 브라켓(200)은 제1 바디부(210) 내지 제4 바디부(240)를 포함한다.
제1 바디부(2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소정의 높이를 지니게 된다. 이때, 제1 바디부(210)는 리브(120)와 길이 방향으로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형 브라켓(200)이 리브(120)와 맞닿았을 때, 이격을 최소화 하기 위함이다.
제2 바디부(220) 및 제3 바디부(230)는 제1 바디부(210)의 상부 및 하부에서 각각 형성된다. 제2 바디부(220) 및 제3 바디부(230)는 제1 바디부(210)의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제2 바디부(220) 및 제3 바디부(230)는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 즉 높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때, 제2 바디부(220) 및 제3 바디부(230)는 리브(120)와 폭 방향으로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형 브라켓(200)이 리브(120)와 맞닿았을 때, 이격을 최소화 하기 위함이다.
제1 바디부(210) 내지 제3 바디부(230)를 통해, 측면에서 보았을 때, 'ㄷ'자 형태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바디부(210) 내지 제3 바디부(230)는 가이드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바디부(210) 내지 제3 바디부(230)를 통해 형성되는 가이드 홈은 리브(120)를 감쌀 수 있게 된다. 즉, 리브(120)가 가이드 레일 역할을, 제1 바디부(210) 내지 제3 바디부(230)가 가이드 홈 역할을 하여, 고정형 브라켓(200)이 리브(120)에 맞물릴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다.
이때, 제2 바디부(220) 및 제3 바디부(230)의 간격은 리브(120)의 높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형 브라켓(200)이 리브(120)에 맞물렸을 때, 이탈되지 않기 위함이다. 일 예로, 맞물렸을 때 고정형 브라켓(200)과 리브(120)는 끼워맞춤결합이 될 수 있다.
제1 바디부(210)의 후방에는 제4 바디부(240)가 형성된다. 제4 바디부(240)는 종래의 헤드레스트 프레임에 형성되는 형상과 동일하다.
제2 바디부(220) 및 제3 바디부(230)에는 각각 제2 바디부 홀(221) 및 제3 바디부 홀(231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 바디부 홀(221) 및 제3 바디부 홀(2311)은 리브 홀(130)과 동일한 직경을 지니되, 중심축을 공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고정형 브라켓(200)이 리브(120)에 맞물렸을 때, 제2 바디부 홀(221), 리브 홀(130) 및 제3 바디부 홀(2311)이 맞닿아 중공부를 형성하고, 고정 유닛(300)이 제2 바디부 홀(221), 리브 홀(130) 및 제3 바디부 홀(2311)을 순차적으로 관통할 수 있게 된다.
고정 유닛(300)은 볼트(310) 및 너트(320)를 포함한다. 다만, 볼트(310) 및 너트(320)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관통 및 관통 상태에서의 지지 역할을 할 수 있는 부품이면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고정형 브라켓(200)이 리브(120)에 고정 유닛(300)을 통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 유닛(300)은 탈거가 가능한 바, 고정 유닛(300) 탈거 후 승하강형 브라켓(400)으로 교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즉, 사용자의 needs에 따라 선택적으로 고정형 브라켓(200) 또는 승하강형 브라켓(400)을 프레임 유닛(100)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2 바디부 홀(221), 리브 홀(130) 및 제3 바디부 홀(2311)은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고정형 브라켓(200)에 관통되는 고정 유닛(300) 개수가 증대될수록 고정력이 증대되게 때문이다.
고정형 브라켓(200)은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 도 3과 같이 2개의 고정형 브라켓(200)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된다.
제3 바디부(230)에는 도 3과 같이 소정의 높이를 지니되, 상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볼록부(231)가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 바디부 홀(2311)은 볼록부(231) 및 제3 바디부(230)를 동시에 관통한다.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제2 바디부(220), 리브(120), 볼록부(231) 및 제3 바디부(23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된다.
볼록부(231)는 리브(120)와 제3 바디부(230)의 간격을 좁혀 시트백 유닛(100)과 고정형 브라켓(200)의 결합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바, 헤드레스트 조립체 전체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2 바디부(220)에는 폭 방향으로 복수 개의 보강 리브(2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2 바디부(220)의 강성을 보강하여 헤드레스트 조립체의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립체 중 승하강형 브라켓이 시트백 유닛에 결합될 때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승하강형 브라켓이 결합된 후의 헤드레스트 조립체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립체 중 승하강형 브라켓이 결합되는 경우를 알아본다.
승하강형 브라켓(400)은 제5 바디부(410) 내지 제8 바디부(440)를 포함한다.
제5 바디부(4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소정의 높이를 지니게 된다. 이때, 제5 바디부(410)는 리브(120)와 길이 방향으로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승하강형 브라켓(400)이 리브(120)와 맞닿았을 때, 이격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제6 바디부(420) 및 제7 바디부(430)는 제5 바디부(410)의 상부 및 하부에서 각각 형성된다. 제6 바디부(420) 및 제7 바디부(430)는 제5 바디부(410)의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제6 바디부(420) 및 제7 바디부(430)는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 즉 높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때, 제6 바디부(420) 및 제7 바디부(430)는 리브(120)의 폭 방향으로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승하강형 브라켓(400)이 리브(120)와 맞닿았을 때, 이격을 최소화 하기 위함이다.
제5 바디부(410) 내지 제7 바디부(430)를 통해, 측면에서 보았을 때, 'ㄷ'자 형태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5 바디부(410) 내지 제7 바디부(430)는 가이드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제5 바디부(410) 내지 제7 바디부(430)를 통해 형성되는 가이드 홈은 리브(120)를 감쌀 수 있게 된다. 즉, 리브(120)가 가이드 레일 역할을, 제5 바디부(410) 내비 제7 바디부(430)가 가이드 홈 역할을 하며, 승하강형 브라켓(400)이 리브(120)에 맞물릴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다.
이때, 제6 바디부(420) 및 제7 바디부(430)의 간격은 리브(120)의 높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승하강형 브라켓(400)이 리브(120)에 맞물렸을 때, 이탈되지 않기 위함이다. 일 예로, 맞물렸을 때 승하강형 브라켓(400)과 리브(120)는 끼워맞춤결합이 될 수 있다.
제6 바디부(420) 및 제7 바디부(430)에는 각각 제6 바디부 홀(421) 및 제7 바디부 홀(43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6 바디부 홀(421) 및 제7 바디부 홀(431)은 리브 홀(130)과 동일한 직경을 지니되, 중심축을 공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승하강형 브라켓(400)이 리브(120)에 맞물렸을 때, 제6 바디부 홀(421), 리브 홀(130) 및 제7 바디부 홀(431)이 맞닿아 중공부를 형성하고, 고정 유닛(300)이 제6 바디부 홀(421), 리브 홀(130) 및 제7 바디부 홀(431)을 순차적으로 관통할 수 있게 된다.
고정형 또는 승하강형에 따라 각각 별도로 프레임 유닛을 제작해야 했던 종래와는 달리, 제조자는 프레임 유닛(100)에 고정형 브라켓(200) 또는 승하강형 브라켓(400)을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어, 금형 제작에 사용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5 바디부(410)의 후방에는 제8 바디부(440)가 결합된다. 제8 바디부(440)는 중공부(441)가 형성되는 원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8 바디부(440)에는 원통 형상에 폴 가이드(500)가 삽입 가능하다. 폴 가이드(500)는 공지된 부품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와 같이, 승하강형 브라켓(400) 및 폴 가이드(500)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접한 한 쌍의 폴 가이드(500)에는 'U'형의 폴(600)의 양단부가 동시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승하강이 가능한 폴(600)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가 제작될 수 있다.
폴(600)은 프레임 유닛(100)에 복수 개 결합 가능하며, 일 예로, 도 5와 같이 2개가 결합된다. 따라서, 승하강형 브라켓(400) 및 폴 가이드(500) 쌍은 총 4쌍이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립체에 고정형 브라켓이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립체에 승하강형 브라켓이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립체의 고정형 브라켓(200) 및 승하강형 브라켓(40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립체와 동일하다.
다만, 프레임 유닛(100)의 후방에 지지부재(111)가 형성된다. 지지부재(111)의 상부에는 복수 개의 지지홈(1121)이 형성된다. 도 7 및 도 8에서는 일 예로, 한 쌍의 지지홈(1121)에 형성된다.
지지홈(1121)은 원통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승하강형 브라켓(400)이 끼워맞춤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과 같이 고정형 브라켓(200)을 프레임 유닛(100)에 결합하는 경우에는 일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도 8과 같이 승하강형 브라켓(400)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8 바디부(440)가 지지홈(1121)에 삽입되는 구조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로 인해, 프레임 유닛(100)과 승하강형 브라켓(400)의 결합력 및 지지력이 증대되고, 헤드레스트 조립체의 내구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시트백 유닛 110…시트백 프레임
120…리브 130…리브 홀
200…고정형 브라켓 210…제1 바디부
220…제2 바디부 221…제2 바디부 홀
230…제3 바디부 231…볼록부
2311…제3 바디부 홀 240…제4 바디부
300…고정 유닛 310…볼트
320…너트 400…승하강형 브라켓
410…제5 바디부 420…제6 바디부
421…제6 바디부 홀 430…제7 바디부
431…제7 바디부 홀 440…제8 바디부
441…중공부 500…폴 가이드
600…폴

Claims (10)

  1. 시트백 프레임 및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측부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리브를 포함하는 시트백 유닛;
    고정형 브라켓 및 승하강형 브라켓을 포함하는 브라켓 유닛; 및
    고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유닛 중 어느 하나의 브라켓을 선택하여 상기 리브에 맞물린 뒤, 상기 고정 유닛을 동시에 관통시켜 상기 브라켓 유닛과 상기 시트백 유닛이 결합가능하고,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리브에는 상기 고정 유닛이 관통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리브 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형 브라켓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소정의 높이를 지니는 제1 바디부;
    상기 제1 바디부의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2 바디부 및 제3 바디부;
    상기 제1 바디부의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부 및 제3 바디부에는,
    상기 리브 홀과 동일한 직경을 지니되, 중심축을 공유하는 제2 바디부 홀 및 제3 바디부 홀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 유닛이 제2 바디부 홀, 상기 리브 홀 및 상기 제3 바디부 홀을 순차적으로 관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형 헤드레스트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부 및 제3 바디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리브의 높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형 헤드레스트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부에는 폭 방향으로 복수 개의 보강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형 헤드레스트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형 브라켓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소정의 높이를 지니는 제5 바디부;
    상기 제5 바디부의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6 바디부 및 제7 바디부;
    상기 제5 바디부의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중공부가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제8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6 바디부 및 제7 바디부에는,
    상기 리브 홀과 동일한 직경을 지니되, 중심축을 공유하는 제6 바디부 홀 및 제7 바디부 홀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 유닛이 제6 바디부 홀, 상기 리브 홀 및 상기 제7 바디부 홀을 순차적으로 관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형 헤드레스트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바디부 및 제7 바디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리브의 높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형 헤드레스트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8 바디부에 삽입 가능한 원통 형상의 폴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선택형 헤드레스트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형 브라켓은 및 상기 폴 가이드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인접한 한 쌍의 상기 폴 가이드에 'U'형상의 헤드레스트 폴의 양단부가 동시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형 헤드레스트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 폴은 상기 한 쌍의 폴 가이드를 따라 승하강 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형 헤드레스트 조립체.
KR1020170183367A 2017-12-29 2017-12-29 선택형 헤드레스트 조립체 KR101998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367A KR101998490B1 (ko) 2017-12-29 2017-12-29 선택형 헤드레스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367A KR101998490B1 (ko) 2017-12-29 2017-12-29 선택형 헤드레스트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8490B1 true KR101998490B1 (ko) 2019-07-09

Family

ID=67261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367A KR101998490B1 (ko) 2017-12-29 2017-12-29 선택형 헤드레스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49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7095A (ja) * 1999-09-29 2001-04-10 Nippon Light Metal Co Ltd 自動車の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構造
KR100816058B1 (ko) * 2007-01-12 2008-03-21 복 성 김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KR20130017630A (ko) * 2011-08-11 2013-02-20 태드 주식회사 헤드레스트 지지브라켓
JP2014065337A (ja) * 2012-09-24 2014-04-17 Ts Tech Co Ltd ヘッドレスト支持構造及び車両用シート
KR20170136621A (ko) * 2015-04-17 2017-12-11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코부르크 차량좌석 등받이를 위한 구조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7095A (ja) * 1999-09-29 2001-04-10 Nippon Light Metal Co Ltd 自動車の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構造
KR100816058B1 (ko) * 2007-01-12 2008-03-21 복 성 김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KR20130017630A (ko) * 2011-08-11 2013-02-20 태드 주식회사 헤드레스트 지지브라켓
JP2014065337A (ja) * 2012-09-24 2014-04-17 Ts Tech Co Ltd ヘッドレスト支持構造及び車両用シート
KR20170136621A (ko) * 2015-04-17 2017-12-11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코부르크 차량좌석 등받이를 위한 구조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58628B (zh) 用于座椅靠背组件的内部托架模块
US9849817B2 (en) Composite seat structure
US9056560B2 (en) Seat assembly having a front cushion module
US20080224509A1 (en) Vehicle Seat Assembly
CN102328603B (zh) 车辆座椅框架的支撑结构
EP3279032B1 (en) Vehicle seat with ergonomic seat-back
KR20130128021A (ko) 차량용 시트 및 시트 백 보드
CN107791894B (zh) 一种车辆座椅总成及其制造方法
CN107791912B (zh) 用于模块化装配和支撑的横管附接钩部件
US20160137113A1 (en) Vehicle seat
US10640024B2 (en) Seat back frame
KR101393789B1 (ko) 헤드레스트 폴가이드
US9796310B1 (en) Composite one-piece cushion nose
US9387779B2 (en) Seat track assembly having selectable end stop positions
JP5956592B2 (ja) 車両用シート
CN109715438A (zh) 导轨及车辆座椅
US20120313418A1 (en) Vehicle seat
US9663009B2 (en) Conveyance seat
KR101998490B1 (ko) 선택형 헤드레스트 조립체
CA2647701C (en) Rocker-recliner base assembly having unitary cam members
US7165809B2 (en) Safety seat tether system
US6811221B2 (en) Cantilever supported height adjustable headrest
US10173565B2 (en) Vehicle seat and headrest with dynamic impact energy management system
US20090302653A1 (en) Support Structure for a Seat
JP2013147101A (ja) 車両用シートにおけるヘッドレストのロック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