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6333A - 중앙분리대 차광판 - Google Patents

중앙분리대 차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6333A
KR20020026333A KR1020020013653A KR20020013653A KR20020026333A KR 20020026333 A KR20020026333 A KR 20020026333A KR 1020020013653 A KR1020020013653 A KR 1020020013653A KR 20020013653 A KR20020013653 A KR 20020013653A KR 20020026333 A KR20020026333 A KR 20020026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late
spring
douser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3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희 철 남
Original Assignee
희 철 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희 철 남 filed Critical 희 철 남
Priority to KR1020020013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6333A/ko
Publication of KR20020026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6333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분리대 차광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의 중앙분리대의 상측에 설치되어 반대방향에서 오는 차량의 전조등 불빛을 차단하는 차광판을 탄력이 좋은 고무나 연질합성수지재로서 본체를 형성하고, 본체의 내부에는 스프링을 몰딩 성형함으로서,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에 차광판이 파손되지 않고 구부러졌다가 신속하게 원상태로 복귀하여 사고발생후에도 차광판을 다시 설치할 필요가 없고 사고발생시에 교통장애를 유발시키지 않도록 하는 중앙분리대 차광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로의 중앙분리대(1)의 상측에 설치되어 반대방향에서 오는 차량의 전조등불빛을 차단하는 차광판에 있어서, 볼트구멍(3)을 구비한 베이스판(4)의 상면에 스프링고정구(5)가 설치되고, 이 스프링고정구(5)에는 코일스프링(6)을 수직으로 설치하며, 베이스판(4)과 코일스프링(6)의 외부전체에 고무 또는 연질합성수지재등의 연질탄성체로 본체(7)를 플레이트 형태로 성형하고, 상기 본체(7)에는 다수개의 통공(8)을 형성하며, 본체(7)의 양면에는 반사체(9)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앙분리대 차광판{Shielding plate for median strip}
본 발명은 중앙분리대 차광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의 중앙분리대의 상측에 설치되어 반대방향에서 오는 차량의 전조등 불빛을 차단하는 차광판을 탄력이 좋은 고무나 연질합성수지재로서 본체를 형성하고, 본체의 내부에는 스프링을 몰딩 성형함으로서,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에 차광판이 파손되지 않고 구부러졌다가 신속하게 원상태로 복귀하여 사고발생후에도 차광판을 다시 설치할 필요가 없고 사고발생시에 교통장애를 유발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중앙분리대 차광판은 금속제로 제작된 것과, 합성수지재로서 제작된것을 도로의 중앙분리대에 설치하여 반대방향에서 오는 차량의 전조등 불빛을 차단하고 있으나, 차량이 충돌한 경우에 금속제로 제작된 것은 심하게 구부려져서 그 구부려진 차광판을 제거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교통장애를 일으키는 문제와, 금속제로된 차광판에 차량이 충돌시 차량에 커다란 충격을 주어 사고피해가 더 늘어나는 문제가 있고,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서 제작된 차광판의 경우에는 차량이 충돌시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차광판이 쉽게 파손되어 사고가 발생한 도로를 어지럽혀 그 부스러기를 정돈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교통장애를 일으키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광판들은 사고가 발생하면 금속제로 된 것이나 합성수지재로 된 것 모두 손상(파손)되므로 그 것을 재 설치하거나 보수가 불가능하여 새로운 것을 다시 설치해야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광판을 고무판과 같이 신축이 자유로운 연질탄성체로서 차광판 본체를 형성하고, 그 연질탄성체로 된 차광판 본체의 내부에는 코일스프링을 몰딩성형하여 사고발생시에도 차광판이 구부려졌다가 신속하게 원상복귀하여 차광판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로의 중앙분리대의 상측에 설치되어 반대방향에서 오는 차량의 전조등불빛을 차단하는 차광판에 있어서, 볼트구멍을구비한 베이스판의 상면에 스프링고정구가 설치되고, 이 스프링고정구에는 코일스프링을 수직으로 설치하며, 베이스판과 코일스프링의 외부전체에 고무 또는 연질합성수지재등의 연질탄성체로 본체를 플레이트 형태로 성형하고, 상기 본체에는 다수개의 통공을 형성하며, 본체의 양면에는 반사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앙분리대 차광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 측단면도.
도 4의 (가)(나)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앙분리대 2 : 차단판 3 : 볼트구멍
4 : 베이스판 5 : 스프링고정구 6 : 코일스프링
7 : 본체 8 :통공 9 : 반사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중앙분리대 차광판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앙분리대 차광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 측단면도이며, 도 4의 (가)(나)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중앙분리대 차광판은, 도로의 중앙분리대(1)의 상측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반대방향에서 오는 차량의 전조등불빛을 차단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중앙분리대 차광판은 차단판(2)을 중앙분리대(1)의 상부에 볼트로서 설치하게 되는 베이스판(4)은 통상 철판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합성수지재로서 스프링고정구까지 일체로 형성한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이러한 베이스판(4)은 볼트구멍(3)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고, 이 베이스판(4)의 상면에 스프링고정구(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고정구(5)에는 코일스프링(6)을 말단부를 견고하게 끼워 수직으로 설치한다. 이때 상기 코일스프링(6)의 하단부를 베이스판(4)에 견고하게 고정시켜야 하며, 이 코일스프링(6)은 코일경이 밀착된 코일스프링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일스프링(6)을 코일경끼리 서로 밀착된 것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한 것은, 코일경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있는 것보다 옆으로 구부려지는데 더 큰 하중이 가해져야 하므로 세찬 바람에도 쉽게 구부려지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베이스판(4)에 코일스프링(6)이 수직설치된 외부전체에 고무 또는 연질합성수지재등의 연질탄성체로서 본체(7)를 플레이트 형태로 몰딩 성형한다.
이때 코일스프링(6)이 설치된 본체(7)의 전후면 외부에는 코일스프링(6)의 외경 형상대로 원기둥 형태로 둥근형상이 나타나게 된다.
상기 본체(7)의 양면 스프링설치부 외부면에 둥글게 돌출된 부분에는 반사체(9)을 설치하고, 반사체(9)가 설치된 부위를 제외한 부분의 본체(7)에는 다수개의 통공(8)을 형성한다. 위에서 반사체(9)를 스프링설치부 외부면의 둥글게 돌출된 부분에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 부분이 아니라도 운전자가 야간에 쉽게 볼 수 있는 위치이면 무방하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서 본체(7)의 내부에 코일스프링(6)을 2개 설치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1개 또는 3개도 무방하며, 본체(7)의 형상을 우리나라의 국화인 무궁화를 도형화한 모양이나, 각 지방자치단체의 캐릭터 모양으로 제작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조립 및 작용 관계를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의 (가)(나)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단판(2)은 도로의 중앙분리대(1) 상부에 다수개가 수직하게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데, 도 4의 (가)와 같이 중앙분리대(1) 상부에 다수개의 차단판(2)을 옆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하거나, 또는 도 4의 (나)와 같이 차단판(2)을 앞뒤로 간격을 두고 설치할 수도 있다. 이때 베이스판(4)의 볼트구멍(3)으로 볼트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은 당연한 것 이다.
위에서와 같이 중앙분리대(1)의 상부에 다수개의 차단판(2)이 수직하게 설치됨에 따라 반대방향에서 오는 차량의 전조등 불빛이 다수개의 차단판(2)에 가려져 차단되는 것은 종래의 일반적인 차광판과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차단판(2)이 중앙분리대(1)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차량이 충돌하게 되면, 충격력에 의해 본체(7)가 고무 또는 연질합성수지재등의 연질탄성체로 형성되어 탄성이 있고, 그 본체(7)의 내부에는 코일스프링(6)이 수직하게 몰딩 성형되어 있어서, 차량의 충돌시 구부려졌다가 차량이나 적재물등의 물건이 접촉하지 않은 상태가 되면, 상기 코일스프링(6)의 탄력과 본체(7)의 탄력에 의해 스스로 수직하게 세워져 원상복귀가 되는 것이다.(도 3의 가상선참조)
그리고, 본 발명은 금속제로된 코일스프링(6)과 스프링고정구(5), 그리고 베이스판(4) 모두 전체가 고무등의 연질탄성체로서 몰딩되어 감싸여져 있어 녹이 스는 것(부식)을 방지한다. 심지어 베이스판(4)의 볼트구멍(3)에 까지 고무등의 연질탄성체가 몰딩되어 감싸고 있음을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단판(2)이 중앙분리대(1)에 설치되어 있을 때 바람에 의해 흔들릴 것으로 염려할 수 있겠으나, 코일스프링(6)이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코일경끼리 서로 밀착된 것을 사용하므로 커다란 외력에 의해서만 구부러지게 되는 것이며, 본체(7)의 전체면에 다수개의 통공(8)이 관통되게 형성되어서 통공(8)으로 바람이 통과하므로 세찬 바람에도 본 발명의 차단판(2)은 흔들리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본체(7)의 양면에 반사체(9)이 설치되어 있어서 야간에 전조등의 불빛이 반사되어 중앙분리대(1)와 차단판(2)의 위치를 확인시켜 주어 안전한 야간운전을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중앙분리대 차광판은 차광판을 탄력이 좋은 고무나 연질합성수지재로서 본체를 형성하고, 본체의 내부에는 스프링을 몰딩 성형함으로서,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에 차광판이 파손되지 않고 구부러졌다가 신속하게 원상태로 복귀하여 사고발생후에도 차광판을 다시 설치할 필요가 없는 경제적인 잇점과, 사고발생시에 종래와는 달리 차광판이 파손되어 도로를 어지럽히거나 금속제처럼 구부러진 차단판을 제거하는 작업을 하지 않으므로 교통장애를 유발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차단판은 탄력이 있으므로 사고차량의 피해가 증가되는 것을 예방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도로의 중앙분리대(1)의 상측에 설치되어 반대방향에서 오는 차량의 전조등불빛을 차단하는 차광판에 있어서,
    볼트구멍(3)을 구비한 베이스판(4)의 상면에 스프링고정구(5)가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고정구(5)에는 코일스프링(6)의 말단부가 끼워져 수직으로 설치되며, 베이스판(4)과 코일스프링(6)의 외부전체에는 고무 또는 연질합성수지재등의 연질탄성체로 본체(7)를 플레이트 형태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 차광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7)에는 다수개의 통공(8)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본체(7)의 양면에는 반사체(9)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 차광판.
KR1020020013653A 2002-03-09 2002-03-09 중앙분리대 차광판 KR200200263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653A KR20020026333A (ko) 2002-03-09 2002-03-09 중앙분리대 차광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653A KR20020026333A (ko) 2002-03-09 2002-03-09 중앙분리대 차광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755U Division KR200281821Y1 (ko) 2002-03-27 2002-03-27 중앙분리대 차광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6333A true KR20020026333A (ko) 2002-04-09

Family

ID=19719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3653A KR20020026333A (ko) 2002-03-09 2002-03-09 중앙분리대 차광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633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058B1 (ko) * 2007-01-12 2008-03-21 복 성 김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CN102002918A (zh) * 2010-12-27 2011-04-06 江西方兴科技有限公司 可倾倒并可自动复位的公路防眩板
CN112854045A (zh) * 2021-04-02 2021-05-28 姜晓明 一种市政道路桥梁施工用警示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058B1 (ko) * 2007-01-12 2008-03-21 복 성 김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CN102002918A (zh) * 2010-12-27 2011-04-06 江西方兴科技有限公司 可倾倒并可自动复位的公路防眩板
CN112854045A (zh) * 2021-04-02 2021-05-28 姜晓明 一种市政道路桥梁施工用警示装置
CN112854045B (zh) * 2021-04-02 2022-02-18 姜晓明 一种市政道路桥梁施工用警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87920A (en) Cellular energy absorbing bumper and lamp assembly mounted thereto
KR102158426B1 (ko) 도로용 탄성 볼라드
US3606434A (en) Resilient bumper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KR20020026333A (ko) 중앙분리대 차광판
KR200281821Y1 (ko) 중앙분리대 차광판
KR100644759B1 (ko) 도로 방호책의 델리네이터
US5022692A (en) Spring mounted molding for a vehicle
KR20060132423A (ko) 차선규제봉
CN102862534B (zh) 车辆的保险杠装置
US4145077A (en) Bumper covering for motor vehicles
KR100377803B1 (ko) 차량 통행 규제기구
US2858159A (en) Bumper, bumper-guards, and yieldable mounting therefor
KR200207038Y1 (ko) 충격완화용 중앙분리대
KR200284962Y1 (ko)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
US7360933B2 (en)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headlamp
KR100625287B1 (ko) 도로용 충격흡수대
KR100739413B1 (ko) 충격흡수 가드레일
KR200387103Y1 (ko) 차선규제봉
KR200343200Y1 (ko) 합성수지 델리니에이터
KR100769554B1 (ko) 교통안전 표시판
KR200267301Y1 (ko) 차선분리대
KR102077973B1 (ko) 중앙분리대 방현망용 델리네이터
KR200305613Y1 (ko) 도로용 반사구
KR200360000Y1 (ko) 도로용 반사체
KR100631921B1 (ko) 합성수지 델리니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