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4301B1 - 케이블 커플링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커플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4301B1
KR100814301B1 KR1020027004998A KR20027004998A KR100814301B1 KR 100814301 B1 KR100814301 B1 KR 100814301B1 KR 1020027004998 A KR1020027004998 A KR 1020027004998A KR 20027004998 A KR20027004998 A KR 20027004998A KR 100814301 B1 KR100814301 B1 KR 100814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leeve
conductor
shaped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4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0955A (ko
Inventor
실프버베르크킴
Original Assignee
워터캡 악티에볼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워터캡 악티에볼라그 filed Critical 워터캡 악티에볼라그
Publication of KR20020060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0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4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4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2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using a crimping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70Insulation of connections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케이블 (1) 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통로를 구비하는 커플링 몸체 (22) 를 포함하는 케이블 커플링 장치. 상기 몸체는 컵-형상의 전기 접촉물을 수용하며, 상기 접촉물의 가장자리는 압착 링을 형성하는데, 상기 압착 링은 소직경부 (23) 를 단단히 감싼다. 무피복 컨덕터 요소 (11) 가 상기 전기적 접촉물과 소직경부 (23)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압착 링은 상기 통로의 벽을 상기 케이블 피복에 접하여 밀봉하기 위해 상기 몸체 (22) 를 압박한다. 밀봉 슬리브 (50) 가, 각각 케이블 (1) 에 연결되고 각각의 전기적 접촉물을 통해 전도적으로 연결된 두개의 몸체 (22) 를 연결한다. 상기 슬리브 (50) 가, 상기 슬리브 및 상기 몸체 (22) 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 내의 케이블의 상호 연결된 부분을 밀봉 포위한다.

Description

케이블 커플링 장치 {A CABLE COUPLING DEVICE}
본 발명은 제 1 청구항의 서두로부터 파악되는 종류의 케이블 커플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로 케이블 컨덕터가 가혹한 환경에 노출되거나 부식될 수 있기 때문이지만, 케이블의 일 단부 및 결합된 커넥터 간의 커플링 부위는, 상기 케이블과 커넥터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손상시키거나 끊어버릴 수 있는 몇가지 관점에서 볼때 파손되기 쉽다.
물과 가스가 케이블 피복과 이 피복으로 감싸진 컨덕터(들) 사이에서 상기 케이블 단부 내로 축선방향으로 스며들 위험이 있다. 만약 상기 컨덕터가 피복된 와이어 또는 그의 기술적 동등물을 포함할 경우, 주위의 가스 및 액체는 당연히 상기 피복과 와이어 사이에서 축선방향으로 스며들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상기 피복된 컨덕터가 한 묶음의 와이어를 포함할 경우, 가스 및 액체는 당연히 상기 와이어들 사이에서 축선방향으로 스며들어 상기 케이블 내에 부식을 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커플링 부위의 손상 정도는 물론 주위 환경에 또한 지배될 것이다. 커플링이 육지 또는 물의 옥외 환경에 있을 경우 특히 손상되기 쉽다.
비록 케이블 단부와 커넥터 사이의 커플링 부위 전체를 밀봉적으로 감싸는 것이 공지되었으나, 이러한 공지된 해결 방법은 성가실 뿐만 아니라 복잡하며, 값비싸고 설치가 곤란하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케이블 컨덕터와 커플링 수단 간의 바람직한 연결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될 수 있으며 설치가 용이한 단순한 구조로 케이블 단부와 커플링 사이의 상기 커플링 영역을 신뢰성 있게 봉입할 수 있고 안전한 전기적 연결을 이룰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첨부되는 제 1 청구항에 따른 장치에 의해 성취된다.
상기 장치의 추가적인 실시형태는 첨부되는 종속항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블에 대응하는 채널 또는 통로를 구비하는 커플링 몸체를 관통하여 각각의 케이블 단부를 꿰며, 상기 케이블 내에 제공된 전기 컨덕터의 노출된 단부를 상기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는 개념에 기초한다. 상기 몸체는 가요성 탄성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커플링 장치는 상기 케이블 단부를 수용하는 일반적으로 컵 형상인 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단부는 압착되어 상기 몸체가 상기 컨덕터의 피복 둘레에 그리고 그에 접하여 상기 압착의 방사상 내부를 밀봉적으로 체결할 것이다. 상기 압착력은 상기 피복을 상기 컨덕터 와이어에 접하여 가압하며 그 원주 둘레를 밀봉하기 위해 전달된다. 상기 컨덕터가 와이어 묶음을 포함할 경우, 상기 묶음을 관통하는 축선방향의 누수가 곤란하도록 상기 와이어 묶음을 압축할 것이다.
압착 슬리브는, 몸체에 적용되며, 채널 배출 단부를 밀봉적으로 차폐하며 또한 상기 케이블-단부 및 상기 컨덕터 와이어의 노출된 단부를 밀봉적으로 감싸는 밀봉 햇 (hat) 을 형성하며, 상기 단부는 압착에 의해 상기 압착 슬리브와 전기 전도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상기 압착 슬리브는 수 전기 접촉물을 형성하거나 또는 암 전기 접촉물이 제공되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일반적으로 컵-형상의 압착 슬리브가 밀봉적으로 끼워지는 가요성 탄성 몸체를 중심으로 관통하여 신장하며 각각 단일 케이블을 수용하는 두개 또는 그 이상의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밀봉 슬리브에는, 두개의 상호 협동작용하는 몸체의 외주면과 밀봉 접촉하며 상기 몸체를 밀봉 연결할 수 있는 내경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실시예 및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 장치의 개략적 축선방향 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서 Ⅱ-Ⅱ 선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에서 Ⅲ-Ⅲ 선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변형예를 따라 취한 도 2 에 상응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변형예를 따라 취한 도 3 에 상응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6 은 상기 커플링 장치의 또다른 실시형태의 축선방향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6 에 도시된 커플링 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 은 상기 커플링 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 는 상기 전기 접촉물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 은 도 9 에 따른 실시예의 변형예이다.
도 1 내지 도 3 은 두개의 케이블 (1) 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다. 간단함을 위해, 각 케이블 (1) 은 와이어 (11) 로 구성되거나, 또는 피복된 컨덕터 (11, 12) 를 형성하기 위해 피복 (12) 에 의해 견고하게 덮혀지는 상기 와이어의 기술적 동등물로서 구성된 것으로 가정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1) 의 단부는, 일 단부(소직경부)(23) 의 직경이 작은 회전방향 대칭 몸체 (22) 내에서 중앙 통로 (21) 를 관통하고 있다. 상기 피복 (12) 은 상기 와이어 (11) 의 단부에서 박피되었으며, 상기 와이어의 박피된 단부는 상기 소직경부 (23) 의 외부에 접하도록 뒤로 접혀진다. 압착 링 (30) 이 상기 소직경부 (23) 주위에 그리고 상기 와이어 (11) 위에 끼워지며, 변형가능 물질이 포함된 상기 소직경부 (23) 가 상기 피복 (12) 의 주위에 완전히 접하여 밀봉 체결되도록 압착 링 (30) 이 압착된다. 상기 피복은 변형가능하므로, 상기 압착으로 상기 피복 (12) 의 내면과 상기 와이어 (11) 사이에 단단한 밀봉 접촉이 이루어질 것이다. 상기 피복된 컨덕터 (11, 12) 의 경우, 와이어 묶음이 포함되었으므로, 상기 묶음 내의 와이어는 또한 방사상으로 압축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통로 (21) 는 상기 피복 (12) 의 외면과의 접촉을 통해 밀봉 차폐될 것이다. 상기 케이블의 단부는, 상기 케이블의 내부를 관통하여 축선방향으로 유체가 통과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상기 소직경부 (23) 에서 압축된다. 상기 압착은 상기 소직경부 (23) 의 단부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압착 링 (30) 은, 내부에 연결된 와이어 등의 노출된 단부를 감싸는 컵-형상의 요소 (도 6 참조) 의 주위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복된 컨덕터 및 부분적으로 쐐기-형상인 요소 사이의 접촉 위치는, 부분적으로는 압착 링에 접한 상기 소직경부 (23) 의 외주 주위에서, 또한 부분적으로는 상기 통로의 벽 (21) 및 상기 와이어 (11) 각각에 접한 상기 피복 (12) 의 원주 주위에서, 상기 소직경부 (23), 상기 요소, 및 상기 압착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상기 밀봉 수단에 의해 차폐된다.
도 1 은 암 접촉 요소 (31) 에 연결된 일 몸체의 압착 링 (30) 을 도시하며, 상기 암 접촉 요소는 또다른 몸체 (22) 의 압착 링 (30) 에 연결된 수 접촉 요소 (32) 를 축선방향으로 수용하고 있다.
각 몸체 (22) 는 O-링 (42) 을 수용하는 주위 또는 원주 홈 (41) 을 포함하며, 밀봉 슬리브 (50) 가 상기 두개의 O-링 (42) 을 연결하며 그곳에 접하여 밀봉한다. 축선방향 장벽 효과가 성취될 수 있도록 상기 슬리브 (50) 에는 상기 O-링 (42) 을 수용하는 링-형상의 홈 (51) 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주위 또는 원주 홈 (41) 과 O-링 (42) 및 링-형상의 홈 (51) 의 상호간의 협동작용에 의해, 상기 몸체 (22) 에 대한 축선방향 변위에 대해 상기 슬리브 (50) 가 단계적인(stepped) 저항을 나타내는 위치인 정확한 상대적 축선방향 위치가 한정된다. 상기 슬리브의 단부는 내부 경사부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통로 (21) 역시 상기 케이블 (12) 의 관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안내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커플링 장치는 단일 피복 컨덕터를 포함하는 케이블 (1) 용, 즉 피복 (12) 에 의해 덮혀진 와이어 (11) 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 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효과적인 전기적 연결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수 접촉 요소 (32) 및 암 접촉 요소 (31) 는 어느 정도의 일치성을 구비하면서 방사상으로 탄력적일 수 있다. 상기 수 접촉 요소 (32) 및 상기 암 접촉 요소 (31) 는 상기 연결을 이룰 경우 서로에 대해 소정의 회전 위치를 점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2 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피복된 와이어 (11) 가 상기 압착 링 (30) 과 양호한 전기적 접촉을 할 수 있으며, 상기 통로 (21) 의 벽이 그 전체 주위 둘레에서 상기 피복 (12) 과 밀봉 접촉하여 상기 통로 (21) 를 축선방향으로 관통하는 유체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 (22) 는 상기 압착 링에 의해 방사상으로 압축된다. 일 변형예에서, 도 4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케이블 (1) 은 몇몇의 컨덕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압착 링 (30) 의 개별 전도성 부분 (34, 35, 36) 과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피복된 컨덕터 내의 와이어 (11) 가 상기 소직경부 (23) 의 외주 또는 주위 둘레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수 접촉 요소 (32) 및 상기 암 접촉 요소 (31) 가 서로에 대해 소정의 회전 위치를 차지하므로, 상기 암 접촉 요소 (31) 의 전기 전도성 부분 (34, 36) 은 상기 수 접촉 요소 (32) 상의 대응하는 부분 (34', 35' 및 36') 과 전도성 접촉을 할 수 있다.
도 6 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보다 개선된 실시예에서, 상기 수 접촉물을 구비하는 압착 링은 접시-형상의 금속제 요소 (70) 로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요소의 가장자리부 (71) 는 상기 압착 링 (30) 에 대응하는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요소의 바닥부 (72) 는 상기 암 접촉물 (31) 에 대응하는 부분을 형성한다. 상기 압착 작용에 의해, 상기 케이블의 단부를 감싸며 그 통로를 차폐하면서, 상기 요소 (70) 는 상기 소직경부 (23) 를 단단히 둘러쌀 수 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또 다른 소직경부 (23) 는 또한 전기적 전도성 물질이 포함된 관상 (tubular) 요소 (80) 를 포함한다. 상기 관상 요소 (80) 는 반대 방향으로 두 개의 물동이-형상 공동을 형성하는 내부 분리벽 (81) 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의 단부를 감싸며 상기 통로 (21) 를 차폐하면서, 상기 공동 중의 하나는 상기 소직경부 (23) 를 감싸며 그 가장자리부는 상기 압착 링 (30) 에 대응하는 부분을 형상하고, 상기 소직경부 (23) 둘레로 밀봉될 수 있다. 상기 요소 (80) 의 다른 물동이-형상 공동은 상기 암 접촉물 (31) 에 대응한다.
도 6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 (50) 는 종방향으로 신장하는 두 개의 관상 종측 부분 (50', 50'') 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관상 종측 부분은 상호간에 겹침 결합부 (54) 으로서 단부-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단부 결합은 밀봉 수단, 및 상기 부분들을 파지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하나의 주둥이부 (56) 상에서 원주 방향으로 신장하는 비드 (55) 및 다른 주둥이부 (58) 상의 대응 홈 (57) 형태의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겹침 결합은 금속제 압착 링 또는 열 수축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압착 링으로 선택적으로 강화될 수 있다.
상기 관상 종측 부분 (50', 50'') 의 단부는 상기 몸체 (22) 의 단부를 지나 신장하는 걸림 수단 (52) 를 보유할 수 있으며, 상기 겹침 결합부 (54) 는 상기 전기적 접촉물 (31, 32) 이 뜻하지 않게 당겨져 분리되는 것을 어렵게 한다.
상기 걸림 수단 (52) 는, 상기 슬리브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케이블 (1) 을 좁은 틈을 두고 감싸는 관상 요소 (53) 로 교체되거나 또는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관상 요소 (53) 에 변형가능 물질이 포함될 경우, 예를 들어 기계적 압착을 위해 금속으로 제조된 감싸는 압착 링에 의해서 또는 상기 관상 요소가 (열) 수축성일 경우 상기 관상 요소를 수축시킴으로써 상기 케이블 둘레에 상기 관상 요소가 밀봉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변형예에서, 도 6 의 왼편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원칙적으로, 압착 링과 결합된 상기 몸체 (22) 및 전기적 접촉물은 서로 유사할 수 있으며, 상기 몸체에 접하여 밀봉하기 위해 슬리브 (50''') 는 양단에서 상기 몸체 (22) 의 둘레의 형상에 보족 (complementary) 되는 내부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슬리브 (50''') 는 그 내부에서 상기 요소 (70) 를 수용하는 관상 컨덕터 (88) 를 구비한다.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상기 케이블은 피복 (12) 에 의해 덮혀진 하나의 단일 와이어 및 상기 몸체 (2) 와 동축인 소직경부 (23) 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케이블 (1) 은 와이어 (11), 또는 피복 (12) 에 의해 파지되는 몇몇 기술적 동등물을 각각 포함하는 몇몇의 피복된 컨덕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각 컨덕터 (11, 12) 는 통로 (21) 및 상기 소직경부 (23) 를 관통하여 신장하고, 도 6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 부분 상에서 물동이-형상 또는 컵-형상의 요소 (70, 80) 가 압착되어 있다.
도 8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블 (1) 을 수용하는 보다 큰 통로 (121) 를 일 단부에 구비하는 몸체 (22) 를 포함하는 커플링에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블은, 상기 몸체를 감싸는 외부 압착 링 (122) 에 의해 상기 통로 (121) 의 벽에 접하여 밀봉하여 압착될 수 있는 감싸는 피복 (122) 을 구비할 수 있다. 도 8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은, 각각 개별 통로 및 개별 소직경부 (23) 를 관통하여 신장하는 두개의 컨덕터 (12) 를 포함한다. 상기 컨덕터는 상기 소직경부 (23) 의 단부에서 일반적으로 컵-형상인 압착 슬리브 (70) 에 의해 덮혀지는데, 한편으로 상기 소직경부 (23) 의 외주에 직접 접하여,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된 바와 같이 상기 통로의 벽과 상기 와이어 또는 그와 유사한 컨덕터 (12) 사이에서 링 밀봉을 이루기 위해, 상기 압착 슬리브의 가장자리 부분은 상기 피복된 컨덕터 상에서 압착된다. 상기 감싸는 케이싱 (122) 은 상기 케이블 피복과 상기 통로 (121) 의 벽 사이에서 원주 밀봉을 형성한다.
도 8 은 종래의 220 V 출력에서 사용가능한 종류의 전기적 접촉 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몸체 (22) 로부터 평행하게 신장하는 소직경부 (23) 를 도시하는데, 상기 케이블 (1) 은 두개의 피복된 컨덕터를 포함하는 피복 (12) 을 구비하고 있다.
도 9 는 상기 전기적 접촉물 (70, 80) 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9 의 실시형태와 상기 도 6 의 실시형태 사이의 차이점은, 도 9 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와이어 (11) 의 단부가 상기 소직경부 (23) 에 접하여 뒤로 굽혀지지 않고 곧바로 앞으로 신장한다 (고주파수 응용의 경우에 필요할 수 있을 것이다) 는 점이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전기적 접촉물 (70) 은, 상기 피복된 컨덕터의 단부를 또한 수용하며 상기 컨덕터와 전기적 접촉을 이루기 위해 압착될 수 있는 일반적으로 좁은 컵-형상의 암 접촉 요소 (31') 를 구비한다. 상기 전기적 접촉물 (80) 은 대응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접촉물 (80) 은 상기 소직경부 (23) 를 수용하는 좁은 컵-형상 부분의 관상 중앙 신장물을 구비한다. 상기 신장물은 상기 피복된 컨덕터 (11) 의 굽혀지지 않은 단부를 수용하며, 그것과 함께 전기적 접촉을 이루기 위해 압착될 수 있다. 상기 신장물의 자유단은 상기 접촉물 (70) 상의 수 커플링 요소를 수용하는 암 커플링 요소를 형성한다. 상기 신장물은 상기 신장물 내에서 상기 통로를 밀봉적으로 차폐하는 분리벽을 포함한다.
도 10 은 도 9 에 따른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9 의 실시형태와 도 10 의 실시형태 사이의 차이점은, 가요성 플라스틱 물질로 제조된 상기 몸체 (22) 가, 비교적 얇은 벽을 구비하고 그 외측 단부에 축선방향으로 신장하는 슬롯 (90) 을 구비하는 외부 (28) 를 포함하는데, 휨 하중의 케이블 (1) 을 안정시키는 수단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외부는 상기 슬리브 (50) 의 외부에 놓이게 된다는 점이다. 또한, 상기 컨덕터의 무피복 단부 (11) 를 수용하는, 상기 접촉물 (70/80) 의 좁은 통로부 (90) 는 두꺼운 벽 부분 (92) 을 구비한다. 상기 부분 (92) 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황동, 베릴륨-청동 또는 상응하는 금속과 같은, 상기 커넥터와 동일한 물질로서 구성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상기 통로 (90) 는 예를 들어, 대략 2.5 ㎟ 의 횡단면적을 구비할 수 있으며, 대응하는 횡단면적 (2.5 ㎟) 의 컨덕터 (11) 를 수용한다. 상기 부분 (92) 의 벽 두께가 커지면, 동일한 접촉물 내에서 압착에 의해 예를 들어 1.5 ㎟ 의 횡단면적을 가지는 매우 좁은 컨덕터를 정확히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부분 (92) 의 외경과 내경 사이의 비율은 대략 2:1 - 6:1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대략 3:1 - 5:1 이며, 상기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대략 4:1 이다. 그러므로, 상기 부분의 벽 두께로 인해, 상대적으로 얇은 컨덕터 (11) 의 경우에도 상기 전기적 접촉물에 대해 정확한 압착 연결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슬리브 (50) 의 내부에서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전기적 접촉물 (70/80) 을 보유하며 밀봉 연결하는 슬리브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상기 슬리브는 원칙적으로, 여러 쌍의 전기적 접촉물 (70/80) 들을 수용하기 위한 통로를 구비하는 연결 몸체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통로는 전기적 접촉물이 관통하는 벽에 의해 차폐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 요소의 단부는 상기 접촉물 (70/80) 의 연결 형성물 (31/32) 과 상호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 (50) 를 관통하는 통로의 밀봉 폐쇄는, 상기 슬리브 (50) 를 관통하는 통로의 벽 내의 대응하는 원형 홈 (99) 과 결합하는 상기 전기적 접촉물 상의 원형 비드 (98) 에 의하거나 또는 대응하는 홈과 결합하는 원형 비드를 상기 몸체 (22) 에 제공하거나 또는 대응하는 밀봉 링을 끼움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전기적 접촉물 (70/80) 을 케이블의 일 단부에 설치할 경우, 상기 와이어 (11) 의 단부는 피복되지 않으며, 몸체 (22) 는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끼워진다. 그리고나서, 상기 무피복 와이어 (11) 가 상기 통로 내로 삽입되며 상기 컨덕터/케이블의 피복된 부분이 상기 몸체 (22) 의 소직경부 (23) 와 함께 전기적 접촉물의 컵 형상의 단부 (97) 내로 삽입된다. 이후 상기 접촉물의 벽이 압착된다. 일반적으로 컵-형상의 벽 부분 (97) 이 상기 소직경부 (23) 둘레로 압착되며 상기 케이블 (1) 의 단부가 그 내부에 위치된다. 이후 상기 전기적 접촉물이 상기 슬리브 (50) 내로 삽입된다.

Claims (8)

  1. 내부에 컨덕터 (11) 를 갖는 케이블을 내부에 수용하는 관통 케이블-수용 통로 (21) 를 갖는 몸체 (22),
    통로부 (90) 및 상기 몸체 (22) 의 단부 (23) 상으로 끼워지는 일반적으로 컵-형상의 부분 (97) 을 가져서, 상기 통로 (21) 가 상기 일반적으로 컵-형상의 부분 내로 개방되고, 상기 케이블의 컨덕터 (11) 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통로부 (90) 도 상기 일반적으로 컵-형상의 부분 (97) 내로 개방되게 하는 전기적 접촉물 (70, 80) 을 포함하는 케이블 커플링 장치로서,
    전기전도적 연결을 위해서, 상기 통로부 (90) 의 내벽을 상기 컨덕터 (11) 에 대해 압착하기 위해, 상기 통로부 (90) 가 두꺼운 벽 부분 (92) 에 의해 둘러싸이고,
    습기가 상기 컵-형상의 부분 (97) 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전기적 접촉물 (70, 80) 의 상기 컵-형상의 부분 (97) 을 상기 몸체 부분 (23) 주위에 밀봉적으로 압착함으로써 상기 통로 (21) 의 벽이 그 내부에 삽입되는 케이블의 외주에 접하여 밀봉되도록, 상기 몸체 부분 (23) 이 적어도 상기 압착되는 영역에서 가요성 물질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플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케이블 (1) 각각이, 전기적 접촉물 (70, 80) 을 가지는 각각의 몸체 (22) 에 연결되며, 일 몸체의 전기적 접촉물에는 암 커넥터 요소가 제공되며 또다른 몸체의 전기적 접촉물에는 상기 암 커넥터 요소와 전기 전도적으로 협동작용하기 위한 수 커넥터 요소가 제공되며, 관상 밀봉 슬리브 (50) 가 상기 몸체들을 연결하며 상기 몸체 (22) 의 원주 주위를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플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 커넥터 요소 및 상기 암 커넥터 요소는 각각의 컵-형상의 전기적 접촉물 (70, 80) 과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플링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50) 및 상기 몸체 (22) 는, 상기 몸체 (22) 에 대한 축선방향 변위에 대해 상기 슬리브 (50) 가 단계적인 (stepped) 저항을 나타내는 위치인 정확한 상대적 축선방향 위치를 한정하는 상호간에 협동작용하는 주위 또는 원주 홈 (41) 과 O-링 (42) 및 링-형상의 홈 (51) 을 구비하며,
    상기 주위 또는 원주 홈 (41) 은 상기 몸체 (22) 에 형성되고 상기 링-형상의 홈 (51) 은 상기 슬리브 (50) 에 형성되며 O-링 (42) 은 상기 원주 홈 (41) 과 상기 링-형상의 홈 (51)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플링 장치.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50) 가, 결합부 (54) 를 통해 축선방향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는 두개의 관상 종측 부분 (50', 50'') 을 포함하며, 각 종측 부분은, 상기 결합부 (54) 로부터의 말단에, 인접하는 상기 몸체 (22) 의 단부 뒤에서 결합하는 걸림 수단 (52)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플링 장치.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 커넥터 요소는, 상기 몸체 상에 압착되는 가장자리부를 갖는 일반적으로 컵-형상의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플링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50) 의 두 종측 부분의 단부에는, 좁은 틈을 두고 각각의 케이블을 감싸는 관상 신장물이 제공되며, 상기 신장물은 감싸는 압착 링을 통해 상기 케이블에 밀봉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플링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덕터가 몇몇의 또는 다수의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컨덕터가 밀봉되어 유체의 축선방향 침입이 방지되도록, 상기 전기적 접촉물의 컵-형상 부분의 압착에 의해 상기 컨덕터가 상기 부분 (23) 및 케이블 피복을 통해 방사상으로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플링 장치.
KR1020027004998A 1999-10-21 2000-10-19 케이블 커플링 장치 KR1008143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903800A SE9903800L (sv) 1999-10-21 1999-10-21 Kabelkopplingsanordning
SE9903800-2 1999-10-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955A KR20020060955A (ko) 2002-07-19
KR100814301B1 true KR100814301B1 (ko) 2008-03-18

Family

ID=20417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4998A KR100814301B1 (ko) 1999-10-21 2000-10-19 케이블 커플링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638107B1 (ko)
EP (1) EP1222716B1 (ko)
JP (1) JP2003512707A (ko)
KR (1) KR100814301B1 (ko)
CN (1) CN1258246C (ko)
AT (1) ATE451735T1 (ko)
AU (1) AU774032B2 (ko)
CA (1) CA2387763C (ko)
DE (1) DE60043510D1 (ko)
RU (1) RU2258289C2 (ko)
SE (1) SE9903800L (ko)
WO (1) WO200102993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446B1 (ko) 2010-07-30 2012-06-01 한국전력공사 실링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319043D0 (en) * 2003-08-13 2003-09-17 Anglo Europ Design Engineers L Electrochemical gas sensors
US7186929B2 (en) * 2005-07-08 2007-03-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ealing member for an entry port
US7544105B2 (en) * 2005-08-23 2009-06-09 Utilx Corporation Cable and cable connection assembly
US7399924B2 (en) 2006-11-21 2008-07-15 General Electric Company Submersible device sealing system and method
WO2009007806A2 (en) * 2007-07-10 2009-01-15 Clipper Windpower Technology, Inc. Safety plug for sealing bus bar end connections
CN101656371B (zh) * 2008-08-22 2012-01-04 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 一种同轴水密连接器
ES1069768Y (es) * 2008-10-07 2009-08-21 Simon Sa Tecla de embornado rapido para mecanismos electricos con enclavamiento de seguridad
JP2013041739A (ja) * 2011-08-15 2013-02-28 Azbil Corp ケーブル取り出し構造および光電センサ
FR2989524B1 (fr) * 2012-04-17 2015-05-22 Souriau Systeme de connexion monovoie rapide
DE102012111270B4 (de) * 2012-11-22 2018-11-22 R.Stahl Schaltgeräte GmbH Explosionsgeschützte Anordnung mit einer Kabelverbindungseinrichtung und einem Kabel
CN103727337B (zh) * 2014-01-27 2015-12-09 济南同日数控设备有限公司 一种内置式消防多媒介快速接头
DE102015012906A1 (de) * 2015-02-27 2016-09-01 Gentherm Gmbh Hülse, Kontaktier-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Schweißen von dünnen strangförmigen Leitern mittels Ultraschall
CN105356147B (zh) * 2015-11-28 2018-02-06 惠安佳瑞汽车销售服务有限公司 接插卡
WO2019212526A1 (en) * 2018-04-30 2019-11-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tention devices
GB2614729A (en) * 2022-01-14 2023-07-19 Siemens Energy Global Gmbh & Co Kg Connector arrange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1184A (en) * 1992-09-04 1995-03-28 Lynx Enterprises, Inc. Face plate for securing a waterproof connection between electrical plug and receptacle
WO1997037402A1 (en) 1996-04-03 1997-10-09 Kim Silfverberg A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54817A (ko) * 1959-08-13
US4269472A (en) * 1979-10-26 1981-05-26 Amp Incorporated Electrical terminal
US4936798A (en) * 1988-07-21 1990-06-26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GB8830167D0 (en) * 1988-12-23 1989-02-22 Amp Gmbh Electrical terminal which has means to provide a reliable electrical connection
GB9002629D0 (en) * 1990-02-06 1990-04-04 Raychem Pontoise Sa Electrical connection
US5017160A (en) * 1990-03-28 1991-05-21 W. L. Gore & Associates, Inc. Replaceable seal for electrical cables in a severe environment
US5035638A (en) * 1990-08-16 1991-07-30 Amp Incorporated Electrical terminal which has means to provide a reliable electrical connection
US5532433A (en) * 1991-11-13 1996-07-02 Yazaki Corporation Waterproof-type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H0644047U (ja) * 1992-11-24 1994-06-10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H06302352A (ja) 1993-04-19 1994-10-28 Yazaki Corp 防水コネクタ
JPH078970U (ja) * 1993-07-06 1995-02-07 住友電装株式会社 ゴム栓付き端子圧着電線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1184A (en) * 1992-09-04 1995-03-28 Lynx Enterprises, Inc. Face plate for securing a waterproof connection between electrical plug and receptacle
WO1997037402A1 (en) 1996-04-03 1997-10-09 Kim Silfverberg A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446B1 (ko) 2010-07-30 2012-06-01 한국전력공사 실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87763C (en) 2008-09-02
KR20020060955A (ko) 2002-07-19
SE9903800L (sv) 2001-04-22
RU2258289C2 (ru) 2005-08-10
CA2387763A1 (en) 2001-04-26
CN1382315A (zh) 2002-11-27
WO2001029932A1 (en) 2001-04-26
ATE451735T1 (de) 2009-12-15
EP1222716A1 (en) 2002-07-17
SE9903800D0 (sv) 1999-10-21
JP2003512707A (ja) 2003-04-02
US6638107B1 (en) 2003-10-28
AU1183901A (en) 2001-04-30
EP1222716B1 (en) 2009-12-09
AU774032B2 (en) 2004-06-17
CN1258246C (zh) 2006-05-31
DE60043510D1 (de) 2010-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4301B1 (ko) 케이블 커플링 장치
US5315065A (en) Versatile electrically insulating waterproof connectors
US4684201A (en) One-piece crimp-type connector and method for terminating a coaxial cable
EP0432662B1 (en) Waterproof wire connectors
US4842553A (en) Method and assembly for terminating a conductive polymer-shielded coaxial electrical cable
EP0391520A1 (en) Shield connections for electrical cable connector
US5496968A (en) Shielded cable connecting terminal
EP2299545B1 (en) Cable and cable connection assembly
CN110521075B (zh) 用于保持屏蔽电缆的保持设备
RU2002113293A (ru) Устройство соединения для кабеля
CN107919537A (zh) 导电电路
US3377422A (en) Splice assembly to connect cable ends together
KR20100007644U (ko) 케이블 접속장치 및 케이블 접속장치 조립체
JP2003223943A (ja) 無機絶縁ケーブルの連結スリーブおよび接続方法
KR102046412B1 (ko) 밀폐형 고전압 전선 조인트 클립
US2148392A (en) Electrical connection seal
JPH11176527A (ja) コネクタの接続構造
US6077129A (en) Connector for making and sealingly enclosing an electrical connection
JP4024916B2 (ja) 防水栓
US6203023B1 (en) Cable inlet
SU1495890A1 (ru) Узел соединени коаксиальных кабелей
JPH0245976Y2 (ko)
JP6202055B2 (ja) シールド線のドレン線止水構造
EP0008984A1 (fr) Dispositif étanche de raccordement pour conducteurs électriques
KR19980018326A (ko) 전기 전선의 시일드 단부를 금속성 케이스 내에 삽입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