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2752B1 - 장신구의 스톤 체결 구조 - Google Patents

장신구의 스톤 체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2752B1
KR100812752B1 KR1020060117095A KR20060117095A KR100812752B1 KR 100812752 B1 KR100812752 B1 KR 100812752B1 KR 1020060117095 A KR1020060117095 A KR 1020060117095A KR 20060117095 A KR20060117095 A KR 20060117095A KR 100812752 B1 KR100812752 B1 KR 100812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base member
bolt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7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용
Original Assignee
김홍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용 filed Critical 김홍용
Priority to KR1020060117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27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2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2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44C17/0208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removable
    • A44C17/0233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removable using screws or screw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4Setting gems in jewellery; Setting-tools
    • A44C17/043Setting-tool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의 스톤 체결 구조는, 내주 면에 나사산(21)을 구비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된 체결공(20)과, 상기 체결공(20)의 외주 면 주변에서 서로 90ㅀ의 각을 가지도록 안착공(30)이 밀착 배열되어 있어, 하나의 체결공(20) 주변에 4개의 안착공(30)이 위치하고 있는 베이스 부재(10); 상기 안착공(30)에 안착 위치하는 스톤(40); 상기 체결공(20)과 나사산 결합을 이루는 볼트(50);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스톤(40)의 외주 면 부위를 상기 체결공(20)에 나사산 결합한 볼트(50)가 소정 압력을 가지도록 압박함으로 상기 스톤(40)이 상기 베이스 부재(10)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의 스톤 체결 구조에 따르면, 스톤에 구멍을 형성하지 않고 베이스 부재와 결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스크래치를 최소화하면서 접착제 내지 베이스 부재의 인장력을 이용하지 않고 볼트의 압박으로만 스톤이 베이스 부재에 결합할 수 있어 견고한 결합 관계를 이룸과 동시에 교체 및 대량생산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장신구의 스톤 체결 구조{STRUCTURE OF CONNECTING STONE FOR JEWELR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의 스톤 체결 구조의 기본적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장신구의 스톤 체결 구조의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의 스톤 체결 구조를 이루는 각 구성의 분해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장신구의 스톤 체결 구조를 이루는 각 구성의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부재 양 측에 추가 결합되는 사이드 링의 구조를 중점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사이드 링이 베이스 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의 스톤 체결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베이스 부재 52: 헤드 상단부
20: 체결공 53: 홈
30: 안착공 54: 헤드 하단부
40: 스톤 55: 경사부
41: 상단부 56: 로드
43: 경사부 60: 결합부
44: 하단부 70: 사이드 링
50: 볼트 72: 경사 돌출부
51: 헤드 21,57,61,71: 나사산
본 발명은 장신구의 스톤 체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천연 보석을 이루어져 장식적 기능과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배가하기 위해 장신구에 결합되는 스톤을 접착제의 이용이나 복잡한 가공 없이 베이스 부재에 견고하게 결합하여 추후 교체가 가능한 특성을 구비한 체결 구조 및 이러한 체결 주고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장신구(jewelry)는 천연 보석 내지 인조보석을 이용하여 신체의 각 부위에 치장을 하는 기구를 통칭한 것으로, 반지, 목걸이, 팔찌, 귀걸이, 펜던트, 시계 등 과 같이 착용 부위에 따라 그 형상의 특이성을 가질 뿐 아니라, 천연 보석 내지 인조 보석의 사용량에 따라 가격이 천차만별로 세분화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천연 보석을 이용한 장신구의 가격은 상당한 고가로 이루어져 있다보니, 장신구를 구성하는 각각의 천연 보석을 가공하는 작업에 정교한 기술을 요하고 정교함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아무래도 수 가공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었다.
현재의 값비싼 장신구를 살펴보면 단순히 하나의 단일 천연 보석의 표면에 디자인을 가미한 것(예를 들어 금반지의 표면에 디자인 세공을 한 경우)에서부터 단일 종의 복수 개의 천연 보석 내지 2 종 이상의 복수 개의 천연 보석을 조합하여 보석 배치에 따른 디자인과 고급스러움을 추구하는 경우로 구별이 가능한데, 특히 후자의 경우 베이스가 되는 천연 보석 표면에 일정 크기의 천연 보석이 결합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서 베이스가 되는 보석을 베이스 부재, 베이스 부재에 결합되는 보조적인 천연 보석을 스톤(stone)이라 한다.
즉, 반지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백금으로 이루어진 링 형상의 베이스 부재에 다이아몬드 재질의 특정 형상을 가진 스톤이 결합되어 있는 조합 구성을 의미하며 이렇게 베이스 부재에 스톤을 체결하는 방식은 현재 알려진 것에 의하면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방식과 베이스 부재의 인장력(tension)에 의하여 스톤을 물어주는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접착제에 의하여 스톤을 베이스 부재에 체결할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접착제의 접착력이 약화되어 스톤의 견고한 결합력이 서서히 손실될 뿐 아니라 고급스러움을 강조하는 값비싼 스톤 및 베이스 부재에 접착제를 이용한다는 개념 자체가 어울리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고 더불어 접착제에 의해 스톤이 결합되어 있는 경우 스톤을 베이스 부재에서 분리하여 다른 형상의 장신구로서 리모델링하는 작업이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베이스 부재의 인장력을 이용한 스톤 체결 방식은 베이스 부재에 일정 홈을 형성하고 이 사이 또는 홈 내부에 스톤을 안착한 다음 일정한 열처리 가공 등을 이용하여 베이스 부재가 스톤을 견고하게 물고 있도록 가공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는데, 이 경우 비록 베이스 부재의 기본 인장력을 적절히 활용하여 스톤을 견고하게 체결하고 있다는 점은 인정이 되나 모든 작업이 거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대량 생산 체계를 이루기 힘들고 더불어 베이스 부재 사이의 스톤을 분리하여 스톤을 다른 용도로 활용하고자 할 경우 분리를 위해 무리한 힘을 작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베이스 부재의 형상이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따른다.
즉, 상기 두 가지 가공 방식의 공통점은 스톤을 베이스 부재에서 분리하여 재활용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스톤을 베이스 부재에 패스너, 즉 볼트를 통하여 고정을 하는 방안이 강구될 수 있을 것이나 그렇다고 값비싼 스톤에 구멍을 형성하여 이를 볼트 체결하는 방식은 바림직하지 않고, 실제 볼트를 체결한 방식을 살펴보면 프랑스 까르띠에 사의 일명 '러브링'의 경우 단순히 볼트(스크류) 형상 디자인만을 반지에 형성한 것에 불과하고 또한 인조 보석의 경우 값이 싸기 때문에 스톤을 리모델링하는 경우가 없이 거의 1회용으로 사용하므로 직접적으로 인조 보석에 해당하는 스톤에 구멍(체결공)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볼트를 체결하여 베이스 부재와 결합하는 형태로만 사용되고 있었다.
따라서 볼트를 통하여 스톤을 베이스 부재에 견고하게 체결하되, 스톤의 형상에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교체가 가능한 새로운 스톤과 베이스 부재 및 볼트의 결합 구조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장신구에서 베이스 부재와 스톤을 결합할 때 볼트를 이용하되, 스톤에 구멍 형성 내지 스크래치 발생 없이 면 접촉을 이루어 볼트의 압박으로만 스톤이 베이스 부재에 결합할 수 있어 교체 및 대량생산이 용이한 장신구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볼트를 기준으로 4개의 스톤이 맞물리는 구조를 제시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스톤이 베이스 부재에 결합되는 방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히 반지, 펜던트와 같이 링 형상을 가진 베이스 부재가 사용될 경우 베이스 부재의 양 측에 사이드 링을 체결하여 보다 견고하고 안전한 스톤의 체결 구조를 이루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의 스톤 체결 구조는, 내주 면에 나사산(21)을 구비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된 체결공(20)과, 상기 체결공(20)의 외주 면 주변에서 서로 90°의 각을 가지도록 안착공(30)이 밀착 배열되어 있어, 하나의 체결공(20) 주변에 4개의 안착공(30)이 위치하고 있는 베이스 부재(10); 상기 안착공(30)에 안착 위치하는 스톤(40); 상기 체결공(20)과 나사산 결합을 이루는 볼트(50);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스톤(40)의 외주 면 부위를 상기 체결공(20)에 나사산 결합한 볼트(50)가 소정 압력을 가지도록 압박함으로 상기 스톤(40)이 상기 베이스 부재(10)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베이스 부재(10)가 링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베이스 부재(10)의 양 측으로 돌출되어 나사산(61)을 구비한 결합부(60)가 형성되어 있고, 내주 면에 나사산(71)이 형성되어 있는 링 형상의 사이드 링(70)이 상기 결합부(60)와 나사산 결합을 함으로써, 상기 사이드 링(70)의 결합 측 단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10)의 양 측에 위치한 상기 스톤(40)의 외주 면 외측 부위를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의 스톤 체결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은, 베이스 부재(10)에서 체결공(20)의 외주 면 주변에 서로 90°의 각을 가지도록 안착공(30)을 배치하여 하나의 체결공(20) 주변으로 4개의 안착공(30)이 위치하도록 하는 안착공(30)과 체결공(20)의 배치 단계; 베이스 부재(10)의 안착공(30)에 스톤(40)을 안착하는 안착 단계; 체결공(20)에 최초의 볼트(50)를 체결하되, 최초로 체결된 볼트(50)를 통해 스톤(40)에 가해진 압력 수치를 측정하는 압력 측정 단계; 나머지 체결공(20)에 후속 볼트(50)를 체결하되, 상기 압력 측정 단계의 압력 수치와 동일 압력을 이루도록 후속 볼트(50)의 체결을 위한 회전량을 조절하는 회전량 조절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의 스톤 체결 구조의 기본적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인 바, 특히 도 1, 2는 베이스 부재(10)가 다양한 장신구 중 팔찌와 같이 일정폭을 가진 상태에서 직선형으로 길게 늘어져 있는 형상을 가진 것을 예시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의 스톤 체결 구조는 먼저 베이스 부재(10) 상면의 중심부위에서 베이스 부재(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체결공(20)과 상기 체결공(20)의 외주 면을 따라 90°의 각을 두고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4개의 안착공(30)을 1 세트로 하여 이러한 1 세트가 베이스 부재(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체결공(20) 및 안착공(30)의 연장 라인을 이루도록 복수 개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10)의 형상 및 체결공(20)의 연장 라인은 도 1,2에서는 직선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시계 내지 펜던트와 같은 장신구에서는 곡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안착공(30)의 연장 라인 역시 곡선형으로 이루어진다.
체결공(20)은 일정 깊이를 가진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내측 벽에는 나사산(21)이 형성되어 있다.
안착공(30)은 전체적으로 입구 부위가 넓은 역 원추 형상을 이루어 있고 평면 구조는 원형 형상을 이루고 있다.
안착공(30)의 직경은 체결공(20)의 직경보다 크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이 스톤(40)에서 전방으로 드러나는 노출부위를 볼트(50)가 필요 이상으로 가리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부재(10)는 스틸 내지 귀금속으로 이루어져 일정 수준 이상의 강성을 가짐과 더불어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구사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볼트(50)는 상기 체결공(20)에 나사산 결합을 하는 것으로, 공지의 볼트와 마찬가지로 헤드(51)와 나사산(57)이 형성되어 있는 로드(56)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급스러움을 추구하기 위해 일반 볼트와 달리 금/ 백금 소재 내지 스틸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고, 이로써 스톤(40)과 더불어 장식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톤(40)은 안착공(30)에 삽입 안착되는 천연 보석으로서, 볼트(50)의 압박에 의하여 베이스 부재(10)에 고정 체결이 되어 장신구의 장식적 기능과 함께 고급스러움을 배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의 스톤 체결 구조는 베이스 부재(10)의 중심선을 따라 단일의 체결공(20) 연장 라인을 가져 이 주변에 4개 의 안착공(30)이 형성되는 구조를 기본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 부재(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2개의 체결공(20) 연장 라인을 구비하여 하나의 체결공(20) 당 4개의 안착공(30)이 역시 접촉됨으로, 총 2개의 체결공(20)과 6개의 안착공(30)을 1 세트로 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물론, 베이스 부재(10)의 폭이 보다 두껍다면 총 3개의 체결공(20) 및 8개의 안착공(30)을 1세트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를 보다 유추하여 정리하면 1세트를 이루는 체결공(20): 안착공(30)의 조합 비율은 n: 2(n+1)의 구조를 가지되, 체결공(20) 사이의 안착공(30)은 양 체결공(20)이 서로 공유하고 있다고 해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의 스톤 체결 구조를 이루는 각 구성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3,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볼트(50)를 통한 스톤(40)의 결합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스톤(40)은 전방으로 노출되는 부위로서 볼트(50)와 접촉하는 상단부(41)와, 안착공(30) 내에 수용되는 하단부(44)로 이루어져 있다.
우선 상단부(41)는 개략적으로 측면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상태에서 상부 면을 이루는 상면부(42)와 상기 하단부(44)와의 경계 면까지 연장되어 측 부의 연장 라인을 이루되 하방으로 벌어지게 경사져 있는 경사부(43)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하단부(44)는 안착공(30)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역 원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형상에 근거하여 하단부(44)는 안착공(30) 내에 타이트하게 안착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볼트(50)는 헤드(51)와 나사산(57)을 구비한 로드(56)로 나누어지고, 로드(56)는 체결공(20)의 직경과 동일하게 이루어진 원통 형상을 가져 체결공(20) 내의 나사산(21)과 함께 나사산 결합을 이루는 부위이다.
볼트(50)의 헤드(51)는 스톤(40)과 마찬가지로 상하로 이루어지는 헤드 상단부(52)와 헤드 하단부(54)로 구성되어 있는데, 헤드 상단부(52)의 상면에는 드라이버의 날이 삽입되는 홈(53)을 구비하고 있으며, 헤드 하단부(54)는 측면 형상이 역 사다리꼴로 형성되어 헤드 상단부(52)와의 경계 면에서 로드(56) 상단까지 이어져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경사진 경사부(55)를 구비하고 있다.
헤드(51)의 경사부(55)는 평면 기준으로 스톤(40)의 경사부(43)가 이루는 각도와 동일한 각도(도면상에서 θ 각)로 이루어져 있으며 경사부(55)를 이루는 길이 스톤(40)의 경사부(43)와 역시 동일하게 제작이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스톤(40)이 볼트(50)에 의하여 베이스 부재(10)에 체결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우선 안착공(30)에 스톤(40)을 안착하고 체결공(20)에 볼트(50)를 삽입하여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 내지 결합 기계를 홈(53)에 결합한 상태에서 회전한다. 이 때, 스톤(40)의 경사부(43)는 헤드(51)의 경사부(55)와 접촉이 되는데, 양 경사부(43,55)의 형성 각과 길이가 같기 때문에 스톤(50)과 볼트(50)는 서로 타이트한 면 접촉을 이루게 된다.
이다음, 볼트(50)를 좀 더 조이게 되면 스톤(40)의 경사부(43) 부위에 볼트(50)의 압박이 가중되며 소정의 압박을 가한 다음 볼트(50)의 조임을 완료하면 볼트(50)에 의하여 스톤(40)이 베이스 부재(10)에 고정 결합이 된다.
이 과정에서, 도 2의 구조에서 스톤(40)의 노출 부위 면적을 기준으로 볼 때 4개의 볼트(50)를 통해 하나의 스톤(40)을 압박하는 면적 비율은 20 내지 30%에 해당하는 바, 이러한 비율은 스톤(40)이 볼트(50)에 충분한 압박을 받으면서도 볼트(50)가 스톤(40)을 최소한으로 가리는 비율에 해당된다는 것을 본 발명자는 인식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합 구조에 의하여 스톤(40)은 볼트(50)에 의해 안정적이고 균형 있는 압력을 받게 되므로 스톤(40)이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부재(10) 양 측에 추가 결합되는 사이드 링(70)의 구조를 중점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사이드 링(70)이 베이스 부재(10)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의 구조에 의하면, 물론 상기 체결 구조 및 방식에 의하여 스톤(40)이 베이스 부재(10)에 견고하게 고정되는데 문제가 없으나 베이스 부재(10) 양 측단에 위치한 스톤(40)은 일 측의 볼트(50)에 의해서만 압박을 받기 때문에 타 측의 압박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특히 반지 내지 특정 펜던트과 같이 베이스 부재(10)가 링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경우에서, 베이스 부재(10)의 양 측에는 체결 공(20) 및 안착공(30)의 형성 위치보다 직경이 약간 작은 결합부(60)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결합부(60)의 표면에는 나사산(61)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부(60)에 사이드 링(70)이 체결되는 구조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링(70)은 베이스 부재(10)에서 스톤(40)과 볼트(50) 형성부위의 직경보다 약간 큰 링 형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부재(10)에 스톤(40)이 결합한 상태에서 베이스 부재(10)의 중심에서 스톤(40) 상면에 이르는 직경으로 이루어져 있고 내주 면에 나사산(71)을 구비하며 더불어 베이스 부재(10)와 결합되는 결합 측 단부에는 경사 돌출부(72)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러한 경사 돌출부(72)는 수평 면 기준으로 상기 스톤(40)의 경사부(43)와 동일 각도(도면상에서 θ 각)및 길이를 가지도록 이루어져, 사이드 링(70)이 베이스 부재(10)의 결합부(60)와 결합되었을 때 스톤(40)의 경사부(43)와 경사 돌출부(72)가 서로 타이트하게 면 접촉을 하게 된다.
이러한 사이드 링(70) 체결 과정을 통하여, 스톤(40)은 일 측에서는 볼트(50)의 경사부(55)에 의하여, 타 측에서는 사이드 링(70)의 경사 돌출부(72)에 의하여 동일 압박을 균형적으로 받을 수 있어 도 1 내지 4의 결합 구조 및 방법보다 견고한 스톤(40)의 베이스 부재(10) 내 결합 관계를 이룰 수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의 스톤 체결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의 스톤 체결 구조의 설명을 통하여 어느 정도 언급이 되었으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의 스톤 체결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을 다시금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베이스 부재(10)의 안착공(30)에 스톤(40)을 위치하고, 체결공(10)에 볼트(50)를 삽입 회전하여 베이스 부재(10)와 나사산 결합을 이루는 동시에 헤드(51)의 경사부(55)에 의하여 스톤(40)의 경사부(43) 상면을 압박하여 서로 면 접촉을 이룬다.
여기서, 안착공(30)에 스톤(40)을 위치하거나 볼트(50)를 회전 체결하는 과정은 모두 기계장치의 구동에 의하여 가능하다.
본 발명의 구조에 따르면, 하나의 스톤(40)에는 최대 4개의 볼트(50)가 압박 처리가 되도록 이루어져 있는데, 압력 측정기에 의하여 어느 하나의 스톤(40)에 최초로 압박되는 볼트(50)에 의한 압력을 측정하여 이를 기록하고 그 다음에 결합되는 후속 볼트(50)의 압력을 최초 볼트(50)에 의한 압력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나사산 결합을 위한 후속 볼트(50)의 회전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는, 스톤(40) 사방 부위에 체결되는 볼트(50)에 의한 압력이 균일하도록 하여 어느 일 측으로 압력이 높거나 낮아 균형적인 압박 관계를 이루지 못할 개연성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 다음, 특히 링 형상의 베이스 부재(10)에서 사이드 링(70)을 베이스 부재(10) 양 측으로 체결을 하여 경사 돌출부(72)에 의하여 스톤(40)의 경사부(43)와 면 접촉을 이루는데, 역시 이 과정에서도 기계장치에 의하여 사이드 링(70)은 베이스 부재(10)에 나사 결합을 할 수 있고, 또한 스톤(40)의 일 측(사이드 링 대향 측)에 기 결합된 볼트(50)의 압력과 동일한 압력이 경사 돌출부(72)에 의해 작용할 수 있도록 결합부(60)에 나사산 결합을 하기 위해 회전되는 사이드 링(70)의 회전량을 조절한다.
이 과정을 통하여, 스톤(40)의 각 부위에 압박되는 볼트(50) 내지 사이드 링(70)의 작용 압력은 동일하게 유지가 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스톤(40)이 베이스 부재(10)에 견고하고 안전하게 결합될 수 있는 상태를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결합 과정에서 스톤(40)과 볼트(50)는 서로 면 접촉을 이루므로 볼트(50)에 의하여 스톤(40)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고, 추후 볼트(50) 결합을 해제하여 스톤(40)을 베이스 부재(10)에서 분리한 다음 다른 장신구의 장식으로 리모델링할 수 있는 용이성을 가진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의 스톤 체결 구조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의 스톤 체결 구조에 따르면,
1) 스톤에 구멍을 형성하지 않고 베이스 부재와 결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스크래치를 최소화하면서 접착제 내지 베이스 부재의 인장력을 이용하지 않고 볼트의 압박으로만 스톤이 베이스 부재에 결합할 수 있어 견고한 결합 관계를 이룸과 동시에 교체 및 대량생산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고,
2) 링 형상을 가진 베이스 부재의 경우 사이드 링의 체결로 보다 안전하고 균일한 스톤의 결합력을 부가할 수 있으며,
3) 스톤에 압박되는 각 볼트 내지 사이드 링의 압력을 측정하고 이를 비교하여 볼트 내지 사이드 링 체결을 하기 때문에 어느 일 측으로 압력 량이 편중되는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6)

  1. 장신구의 스톤 체결 구조로서,
    내주 면에 나사산을 구비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된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의 외주 면 주변에서 서로 90˚의 각을 가지도록 안착공이 밀착 배열되어 있되, 하나의 체결공의 주변에 역 원추 형상으로 4개의 안착공이 위치하고 있으며, 베이스 부재의 양 측으로 돌출되어 나사산을 구비한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링 형상의 베이스 부재;
    상기 안착공에 안착 위치하되, 상단부와 상기 안착공의 형상에 상응하는 역 원추 형상을 가진 하단부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상단부는 상면을 이루는 상면부와, 상기 하단부와의 경계면까지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부로 이루어져, 상기 경사부가 헤드의 경사부와 서로 면 접촉하도록 하는 스톤;
    헤드와 나사산이 형성된 로드로 이루어져, 상기 헤드는 상면에 홈을 구비한 헤드 상단부와, 상기 헤드 상단부와의 경계 면에서 로드에 이르기까지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되 상기 스톤의 경사부와 동일 경사각과 길이를 가지는 경사부를 구비한 상태로, 상기 체결공과 나사산 결합을 이루는 볼트;
    내주 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결합부와 나사산 결합을 하되, 결합 측 단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양 측에 위치한 상기 스톤의 외주 면 외측 부위를 압박하는 사이드 링;으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스톤의 외주 면 일정 부위를 상기 체결공에 나사산 결합한 볼트가 소정 압력을 가지도록 압박함으로 상기 스톤이 상기 베이스 부재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링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상기 스톤이 결합한 상태의 직경과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되, 결합 측의 단부에 상기 스톤의 경사부와 동일 경사각과 길이를 가지는 경사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스톤의 경사부와 상기 경사 돌출부가 서로 면 접촉을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스톤 체결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60117095A 2006-11-24 2006-11-24 장신구의 스톤 체결 구조 KR100812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095A KR100812752B1 (ko) 2006-11-24 2006-11-24 장신구의 스톤 체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095A KR100812752B1 (ko) 2006-11-24 2006-11-24 장신구의 스톤 체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2752B1 true KR100812752B1 (ko) 2008-03-12

Family

ID=39398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7095A KR100812752B1 (ko) 2006-11-24 2006-11-24 장신구의 스톤 체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27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609B1 (ko) * 2016-07-21 2017-01-31 주식회사 이프 장신구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7198A (ko) * 1998-10-27 2000-05-15 송갑수 교체링을 구비한 조립식 반지
US6116054A (en) 1997-07-10 2000-09-12 Czupor; Stephen Francis Openable gem setting
US6415629B1 (en) 1999-11-19 2002-07-09 Continential Jewelry (Usa) Inc. Apparatus for setting precious gems in jewelry through the use of screws and other stabilizing mea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6054A (en) 1997-07-10 2000-09-12 Czupor; Stephen Francis Openable gem setting
KR20000027198A (ko) * 1998-10-27 2000-05-15 송갑수 교체링을 구비한 조립식 반지
US6415629B1 (en) 1999-11-19 2002-07-09 Continential Jewelry (Usa) Inc. Apparatus for setting precious gems in jewelry through the use of screws and other stabilizing mea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609B1 (ko) * 2016-07-21 2017-01-31 주식회사 이프 장신구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2177A (en) Gem stone mount
JP3493185B2 (ja) アクセサリーチェーン・紐体ストッパー
JP4333882B2 (ja) 宝石の不可視嵌合
JPH06165709A (ja) 装身具のはめこみ
US5671613A (en) Gem setting having notched prongs
KR102084208B1 (ko) 장식 요소 및 제조 방법
US57653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stones in jewelry
KR100812752B1 (ko) 장신구의 스톤 체결 구조
JP5089937B2 (ja) 宝石用台座
JP5303701B2 (ja) 装身具
TW200840506A (en) Piece of jewellery with mobile elements
JP2008517640A (ja) 宝石がはめられた支持台を保持および固定できる、宝飾品類の製作方法
US20040237587A1 (en) Interchangeable precious stone mounting arrangement
US6023947A (en) Jewel holding device
FR2883711A1 (fr) Piece d&#39;ornement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JPH068730Y2 (ja) 装身具用ファセットカット宝石の取り付け構造
CN210227162U (zh) 一种金饰品
CN210382922U (zh) 一种宝石饰品
CH709161A1 (fr) Pièce de bijouterie à maillons articulés, notamment un bracelet de montre, et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KR101496736B1 (ko) 원형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
JP3056360U (ja) ファセットカット宝石の宝石固定金具
KR200210879Y1 (ko) 초음파융착기에 의해 악세사리가 고정된 장신구
JP3220919U (ja) 宝飾品素材、装身具
KR102594997B1 (ko) 분해 가능 보석류 물품
JP3137955U (ja) 宝石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