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0609B1 - 장신구 조립체 - Google Patents

장신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609B1
KR101700609B1 KR1020160092358A KR20160092358A KR101700609B1 KR 101700609 B1 KR101700609 B1 KR 101700609B1 KR 1020160092358 A KR1020160092358 A KR 1020160092358A KR 20160092358 A KR20160092358 A KR 20160092358A KR 101700609 B1 KR101700609 B1 KR 101700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opening
hole
region
internal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2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호
김채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프
Priority to KR1020160092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6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3/00Connectible jeweller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3Jewellery holding or retaining articles, e.g. eyeglass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4Setting gems in jewellery; Setting-too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0/00General types of fasteners
    • A44D2200/10Details of construction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장신구 조립체가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보석 체결구조는 상기 장신구 조립체는 홀더 및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홀더는 일면의 적어도 일부-이하 제1개구부라 함- 및 타면의 적어도 일부-이하 제2개구부라 함-를 관통하는 제1내부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는 상기 홀더의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어 상기 홀더의 상기 제1개구부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이동한 후 멈춘 장신구를 고정 지지한다.
이 경우, 상기 홀더의 상기 제1개구부에 인접한 상기 제1내부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개구부에서 상기 제1개구부 방향-이하 기준방향이라 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1내부통로를 감싸는 상기 홀더의 내면에는 제1결속부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는 유입부를 가지며, 상기 유입부의 외면에는 상기 제1결속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2결속부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부는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결속부와 상기 제2결속부 사이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제1내부통로와 결속된다. 상기 장신구는 상기 홀더의 상기 제1개구부에 인접한 내면과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는 상기 유입부의 일면에 의하여 밀착되어 상기 제1내부통로에서 고정 지지된다.

Description

장신구 조립체{ornament assembly}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장신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구부를 가지는 홀더 및 홀더와 체결되는 지지부를 통하여 홀더 내부에 장신구를 고정 지지하고 개구부를 통하여 장신구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장신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관통홀을 가지는 물체의 관통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홀더 및 지지부를 배치하고 이를 서로 체결하는 과정을 통해 장신구 고정 지지할 수 있는 장신구 조립체 기술을 제공한다.
보석류를 활용한 반지, 목거리, 귀걸이 등의 다양한 장신구들이 세대를 막론하고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장신구는 일반적으로 반지의 링, 목걸이의 목줄, 귀걸이의 지지체 등과 같은 장신구 본체의 일측에 보석류를 안착할 수 있는 난집을 형성하고, 그 난집에 보석을 삽입한 후 난집 외주에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다리를 절곡하여 보석을 고정하는 방식을 취한다.
또한, 보석 등을 포함하는 장신구는 인테리어나 차별화된 미감을 제공하기 위한 용도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TV의 베젤, 안경테 등의 표면에 장신구를 부착하는 것 등이 좋은 예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TV의 베젤, 안경테 등의 표면에 장신구를 본딩 방식으로 부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종래의 고정구조의 경우에 보석을 한 번 체결한 이후에는 장신구의 교체나 분리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본딩 방식의 경우에 부착된 장신구를 분리할 경우에 부착면이 오염되거나 부착과정에서 장신구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한국등록실용 KR 제20-276872호 “반지”에서는 보석을 교체할 수 있는 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장신구로서 보석만을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분리 가능한 보석 지지체를 분리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선행기술의 방식을 따르더라도 종래의 기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보석만의 교체를 위해서는 교체과정에서 다수의 고정다리를 펴는 과정에서 보석 난집 주연부에 손상이 생기거나, 보석 표면에 손상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장신구 조립체는 장신구가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홀더와 지지부를 사용함으로써 장신구의 손상 없이 손쉽게 장신구를 장착 및 교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장신구 조립체는 홀더와 지지부를 통하여 장신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홀더의 개구부를 통하여 장신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어 교체가 용이하면서도 장신구의 미감을 제공해 줄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장신구 조립체가 개시(disclosure)된다. 상기 장신구 조립체는 홀더 및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홀더는 일면의 적어도 일부-이하 제1개구부라 함- 및 타면의 적어도 일부-이하 제2개구부라 함-를 관통하는 제1내부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는 상기 홀더의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어 상기 홀더의 상기 제1개구부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이동한 후 멈춘 장신구를 고정 지지한다.
이 경우, 상기 홀더의 상기 제1개구부에 인접한 상기 제1내부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개구부에서 상기 제1개구부 방향-이하 기준방향이라 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1내부통로를 감싸는 상기 홀더의 내면에는 제1결속부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는 유입부를 가지며, 상기 유입부의 외면에는 상기 제1결속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2결속부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부는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결속부와 상기 제2결속부 사이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제1내부통로와 결속된다. 상기 장신구는 상기 홀더의 상기 제1개구부에 인접한 내면과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는 상기 유입부의 일면에 의하여 밀착되어 상기 제1내부통로에서 고정 지지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장신구 조립체는 홀더의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는 장신구를 지지부를 통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홀더의 개구부를 통하여 장신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어 교체가 용이하면서도 장신구의 미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장신구 조립체는 홀더와 결합하는 유입부를 관통하는 제2내부통로가 형성되어 장신구 아래로부터 빛이 장신구에 제공될 수 있어 장신구가 반짝반짝 빛이 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장신구 조립체는 홀더 및 지지부의 체결을 통하여 일면에 형성되는 제1개구부, 타면에 형성되는 제2개구부 및 제1개구부와 제2개구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을 가지는 물체에 장신구의 교체가 용이하면서도 장신구를 안정적으로 체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장신구 조립체는 유입부의 구조로서 외력에 의하여 회전 상승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관통홀의 길이가 변경되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탄력적으로 장신구를 체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장신구 조립체는 장신구가 배치되는 지지부의 반대면에 추가적인 장신구를 체결할 수 있어 미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장신구 조립체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장신구 조립체가 제공하는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장신구 조립체의 여러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어지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에 배치" 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에 체결" 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체결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에 결합" 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결합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하는”이라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없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장신구 조립체의 개념도이다. 도 1의 (a)는 물체에 장신구 조립체를 통하여 장신구를 결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b)는 결합된 후의 장신구의 모습이며, (c)는 상면에서 본 물체에 결합된 장신구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장신구 조립체가 제공하는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a)는 제2내부통로를 통하여 전달되는 빛에 의한 장신구의 심미 효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b)는 지지부에 추가적인 장신구가 체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장신구 조립체(100)는 홀더(110) 및 지지부(120)를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장신구 조립체(100)는 선택적으로(optionally) 지지체(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장신구 조립체(100)는 선택적으로 추가적인 장신구(1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홀더(110)는 일면의 적어도 일부-이하 제1개구부(112a)라 함- 및 타면의 적어도 일부-이하 제2개구부(112b)라 함-를 관통하는 제1내부통로(114)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120)는 홀더(110)의 제2개구부(112b)를 통하여 제1내부통로(114)로 유입되어 홀더(110)의 제1개구부(112a)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이동한 후 멈춘 장신구(10)를 고정 지지한다. 장신구(10)로는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나, 예로서 빛이 투과될 수 있는 보석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홀더(110)의 제1개구부(112a)에 인접한 제1내부통로(114)의 적어도 일부는 제2개구부(112b)에서 제1개구부(112a) 방향-이하 기준방향이라 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형상을 가진다. 도면에는 상기 기준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테이퍼(taper) 형상을 가지는 홀더(110)의 제1개구부(112a)에 인접한 제1내부통로(114)의 상기 적어도 일부의 경우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제1내부통로(114)를 감싸는 홀더(110)의 내면에는 제1결속부(114a)가 형성된다.
지지부(120)는 제2개구부(112b)를 통하여 제1내부통로(114)로 유입되는 유입부(122)를 가지며, 유입부(122)의 외면에는 제1결속부(114a)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2결속부(122a)가 형성된다. 유입부(122)는 제1내부통로(114)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제1결속부(114a)와 제2결속부(122a) 사이의 결합에 의하여 제1내부통로(114)와 결속된다.
장신구(10)는 홀더(110)의 제1개구부(112a)에 인접한 내면과 제1내부통로(114)로 유입되는 유입부(122)의 일면에 의하여 밀착되어 제1내부통로(114)에서 고정 지지된다. 유입부(122)의 상기 일면은 상기 기준방향으로 유입부(122)가 제1내부통로(114)로 유입될 경우에 제1내부통로(114)와 대향하는 유입부(122)의 면에 해당된다. 일례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부(122)의 상기 일면은 유입부(122)의 상기 일면에 밀착되는 장신구(10)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장신구(10)로서의 보석은 외면이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세공된다. 장신구(10)에 밀착되는 유입부(122)의 상기 일면은 장신구(10)의 외면이 가지는 상기 소정의 각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유입부(122)의 상기 일면은 장신구(10)에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유입부(122)의 상기 일면에는 도 2의 (a)에서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와셔(122c)가 배치될 수 있다. 제2와셔(122c)의 소재로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유입부(122)의 상기 일면과 장신구(10)의 상기 외면은 제2와셔(122c)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밀착됨으로써 밀착과정에서 장신구(10)의 상기 외면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장신구(10)에 밀착되는 홀더(110)의 내면은 홀더(110)의 상기 내면에 밀착되는 장신구(10)의 외면이 가지는 상기 소정의 각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홀더(110)의 상기 내면은 장신구(10)에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장신구(10)의 상기 내면에는 도 2의 (a)에서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와셔(112c)가 배치될 수 있다. 제1와셔(112c)의 소재로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홀더(110)의 상기 내면과 장신구(10)의 외면은 제1와셔(112c)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밀착됨으로써 밀착과정에서 장신구(10)의 상기 외면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2의 (a)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부(122)에는 유입부(122)의 상기 일면의 적어도 일부-이하 제3개구부(124a)라 함-를 관통하여 외부와 연통되는 제2내부통로(124)가 형성될 수 있다. 장신구(10)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보석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외부에 존재하는 빛은 제2내부통로(124)를 통하여 장신구(10)에 전달되며, 장신구(10)에 전달되는 빛은 장신구(10)를 경유하여 제1개구부(112a)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장신구 조립체(100)는 홀더(110)와 결합하는 유입부(122)를 관통하는 제2내부통로(124)가 형성되어 장신구(10) 아래로부터 빛이 제2내부통로(124)를 통하여 장신구(10)에 제공될 수 있어 장신구(10)가 반짝반짝 빛이 나는 효과와 같은 심미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 한편, 도 2의 (b)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추가적인 장신구(10a)가 홀더(110)에 대향하는 지지부(120)의 면의 반대쪽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적인 장신구(10a)로는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나, 예로서 빛이 투과될 수 있는 보석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인 장신구(10a)는 본딩, 고정다리를 절곡하는 방식 등 일반적으로 장신구를 고정할 때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지지부(120)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장신구 조립체(100)는 장신구(10)가 배치되는 지지부(120)의 반대면에 추가적인 장신구(10a)를 체결할 수 있어 미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면에는 지지부(120)로서 제2내부통로(124)가 형성된 경우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으나, 지지부(120)로서 제2내부통로(124)가 형성되지 않은 막힌 형상의 지지부가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도 1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110) 및 지지부(120)는 관통홀(22)을 가지는 물체(20)의 관통홀(22)에 배치되어 관통홀(22) 및 제2개구부(112b)를 통하여 제1내부통로(114)로 유입된 장신구(10)를 고정 지지할 수 있다. 물체(20)는 예로서 나무판, 금속판, 합성수지판 등일 수 있으나, 반지의 링, 팔찌의 몸체, 안경테 등과 같이 관통홀을 형성할 수 있는 한 그 소재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관통홀(22)은 물체(20)의 일면(20a) 및 타면(20b)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홀더(110)는 제2개구부(112b)에서 제1개구부(112a) 방향을 기준으로 제1영역(110a)과 제2영역(110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영역(110a)과 제2영역(110b)이 접하는 지점에서 제2영역(110b)은 제1영역(110a)보다 큰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제1영역(110a)과 제2영역(110b)은 물체(20)의 관통홀(22)에 홀더(10)를 배치하는 과정에서 관통홀(22)에 삽입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영역(110a)은 관통홀(22)에 삽입되는 영역이며, 제2영역(110b)은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이다. 홀더(110)는 물체(20)의 일면(20a) 방향에서 관통홀(22)에 삽입되며, 제1영역(110a)과 제2영역(110b)이 접하는 상기 지점에서 제2영역(110b)은 제1영역(110a) 및 관통홀(22) 보다 큰 단면적을 가져 홀더(110)는 물체(20)의 일면(20a)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장신구(10)는 물체(20)의 타면(20b) 방향에서 제1내부통로(114)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부(122)는 물체(20)의 타면(20b) 방향에서 관통홀(22)을 경유하여 제1내부통로(114)로 유입될 수 있다. 제1내부통로(114)로 유입되는 유입부(122)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결속부(114a)와 제2결속부(122a) 사이의 결합에 의하여 제1내부통로(114)와 결속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홀더(110)와 지지부(120)는 서로 체결되며, 체결과정에서 홀더(110)의 상기 내면과 유입부(122)의 상기 일면은 각각 장신구(10)의 외면과 밀착됨으로써 장신구(10)는 제1내부통로(114)에서 고정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결속부(114a)와 제2결속부(122a) 사이의 결합에 의하여 홀더(110)와 지지부(120)가 체결되는 과정에서 홀더(110)와 지지부(120)가 물체(20)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지지부(120)에는 밀착턱(120a)이 형성될 수 있다. 또 한편, 제1결속부(114a)와 제2결속부(122a) 사이의 결합에 의하여 홀더(110)와 지지부(120)가 체결되는 과정에서 홀더(110)의 제1영역(110a)의 외면이 관통홀(22)의 내면을 강하게 압박하는 경우에는 밀착턱(120a)은 생략될 수 있다. 이때, 유입부(122)는 상기 기준방향을 기준으로 유입부(122)의 외주면의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결속부(114a)와 제2결속부(122a) 사이의 결합에 의하여 홀더(110)와 지지부(120)가 체결되는 과정에서 홀더(110)의 제1영역(110a)의 외면이 관통홀(22)의 내면을 보다 더 강하게 압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장신구 조립체(100)는 물체(20)의 관통홀(22)을 통하여 홀더(110)와 지지부(120)를 서로 체결할 수 있다. 홀더(110)의 제1내부통로(114)로 유입되는 장신구(10)는 지지부(120)를 통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홀더(110)의 제1개구부(112a)를 통하여 장신구(10)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장신구 조립체(100)는 장신구(10)의 교체가 용이하면서도 장신구(10)의 미감을 외부로 제공해 줄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한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장신구 조립체의 여러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나사결합을 통하여 홀더와 유입부가 체결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끼움결합을 통하여 홀더와 유입부가 체결되는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끼움결합을 통하여 홀더와 유입부가 체결되는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유입부를 회전 이동시키는 지지부를 통하여 홀더와 유입부가 체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b)는 유입부를 회전 이동시키는 지지부의 구조 및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a)는 도 6의 지지부의 동작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b)는 유입부의 이탈방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홀더(110)와 지지부(120) 즉, 유입부(122)와의 다양한 결합방식을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110)와 유입부(122)와의 결합은 나사결합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홀더(110)의 내면에는 제1결속부(114a)로서 나사산이 형성되며, 유입부(122)의 외면에 형성되는 제2결속부(122a)는 제1결속부(114a)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져 제1결속부(114a)와 제2결속부(122a)의 나사결합을 통하여 유입부(122)는 제1내부통로(114)와 결속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홀더(110)와 지지부(120)는 서로 결속되며, 장신구(10)는 제1내부통로(114)와 유입부(122) 간의 결속과정에서 제1내부통로(114)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도 4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110)와 유입부(122)와의 결합은 끼움결합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홀더(110)의 내면에는 제1결속부(114a)로서 적어도 하나의 제1걸림턱(114a-1)이 형성될 수 있다. 유입부(122)의 외면에는 제2결속부(122a)로서 탄성력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1탄성돌기(122a-1)가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제1결속부(114a)로서 상기 기준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제1걸림턱(114a-1)들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는 제2결속부(122a)로서 상기 기준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제1탄성돌기(122a-1)들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제1걸림턱(114a-1)은 상기 기준방향을 기준으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탄성돌기(122a-1)는 유입부(122)가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제1내부통로(114)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제1걸림턱(114a-1)과 접촉하여 압축되며, 제1걸림턱(114a-1)과의 접촉이 해제되면 복원력에 의하여 복원될 수 있다. 유입부(122)가 제1내부통로(114)로부터 상기 기준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 복원된 제1탄성돌기(122a-1)가 제1걸림턱(114a-1)에 걸리게 됨으로써, 유입부(122)는 상기 기준방향의 상기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제1내부통로(114)와 결속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홀더(110)와 지지부(120)는 서로 결속되며, 장신구(10)는 제1내부통로(114)와 유입부(122) 간의 결속과정에서 제1내부통로(114)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기준방향을 기준으로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1탄성돌기(122a-1)와 제1탄성돌기(122a-1)가 제1결속부(114a)와 접촉하는 과정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제2결속부(122a)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르게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달리, 제2결속부(122a)는 제1탄성돌기(122a-1)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상기 한 예시 이외에 제1결속부(114a)와의 접촉을 통하여 상기 기준방향으로 이동은 가능하나, 상기 기준방향의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는 한 제2결속부(122a)의 형상에는 그 제한이 없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홀더(110)와 유입부(122)와의 결합은 도 4에 도시한 개념과 반대되는 개념의 끼움결합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홀더(110)의 내면에는 제1결속부(114a)로서 탄성력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2탄성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부(122)의 외면에는 제2결속부(122a)로서 적어도 하나의 제2걸림턱(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턱은 상기 기준방향을 기준으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탄성돌기는 유입부(122)가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제1내부통로(114)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걸림턱과 접촉하여 압축되며, 상기 제2걸림턱과의 접촉이 해제되면 복원력에 의하여 복원될 수 있다. 유입부(122)가 제1내부통로(114)로부터 상기 기준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 복원된 상기 제2탄성돌기가 상기 제2걸림턱에 걸리게 됨으로써, 유입부(122)는 상기 기준방향의 상기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제1내부통로(114)와 결속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홀더(110)와 지지부(120)는 서로 결속되며, 장신구(10)는 제1내부통로(114)와 유입부(122) 간의 결속과정에서 제1내부통로(114)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도 5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110)와 유입부(122)와의 결합은 변형된 끼움결합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홀더(110)에는 제1결속부(114a)로서 홀더(110)를 절개하거나 홀더(110)의 내면을 소정의 깊이 함몰시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끼움홈(114a-3)이 형성될 수 있다. 유입부(122)의 외면에는 제2결속부(122a)로서 적어도 하나의 제1끼움부(122a-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끼움홈(114a-3)과 제1끼움부(122a-3)는 끼움결합 방식으로 서로 체결될 수 있다. 도면에는 제1결속부(114a)로서 홀더(110)의 내면을 소정의 깊이 함몰시켜 형성되는 하나의 제1끼움홈(114a-3)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는 제2결속부(122a)로서 하나의 제1끼움부(122a-3)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르게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달리, 제1결속부(114a)로서 홀더(110)를 절개하거나 홀더(110)의 내면을 소정의 깊이 함몰시켜 형성되며, 상기 기준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게 병렬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끼움홈(114a-3)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결속부(122a)로서 상기 기준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게 병렬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끼움부(122a-3)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복수의 제1끼움홈(114a-3)들 각각은 대응되는 복수의 제1끼움부(122a-3)들 각각과 끼움결합 방식으로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제1끼움홈(114a-3)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기준방향을 기준으로 단면적이 늘어났다가 줄어드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끼움부(122a-3)에는 탄성력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3탄성돌기(122a-3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끼움부(122a-3)의 제3탄성돌기(122a-3a)는 유입부(122)가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제1내부통로(114)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제1끼움홈(114a-3)에 끼워져 압축되며, 제1끼움홈(114a-3)의 상기 적어도 일부와 만날 경우에 복원력에 의하여 복원될 수 있다. 유입부(122)가 제1내부통로(114)로부터 상기 기준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 복원된 제3탄성돌기(122a-3a)가 제1끼움홈(114a-3)의 상기 적어도 일부에 걸리게 됨으로써, 유입부(122)는 상기 기준방향의 상기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제1내부통로(114)와 결속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홀더(110)와 지지부(120)는 서로 결속되며, 장신구(10)는 제1내부통로(114)와 유입부(122) 간의 결속과정에서 제1내부통로(114)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도면에는 유입부(122)의 상기 외면의 일부분을 잘라내어 형성된 제3탄성돌기(122a-3a)를 가지는 제1끼움부(122a-3)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르게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달리, 제3탄성돌기(122a-3a)를 가지는 제1끼움부(122a-3)는 유입부(122)의 상기 외면에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유입부(12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상기 한 예시 이외에 제1끼움홈(114a-3)과 끼움결합을 통하여 서로 체결되고 상기 기준방향으로 이동은 가능하나, 상기 기준방향의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는 한 제1끼움부(122a-3)의 형상에는 그 제한이 없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홀더(110)와 유입부(122)와의 결합은 도 5에 도시한 개념과 반대되는 개념의 변형된 끼움결합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홀더(110)의 내면에는 제1결속부(114a)로서 적어도 하나의 제2끼움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부(122)에는 제2결속부(122a)로서 유입부(122)를 절개하거나 유입부(122)의 상기 외면을 소정의 깊이 함몰시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끼움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끼움홈과 상기 제2끼움부는 끼움결합 방식으로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끼움홈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기준방향을 기준으로 단면적이 늘어났다가 줄어드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끼움부에는 탄성력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4탄성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끼움부의 상기 제4탄성돌기는 유입부(122)가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제1내부통로(114)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끼움홈에 끼워져 압축되며, 상기 제2끼움홈의 상기 적어도 일부와 만날 경우에 복원력에 의하여 복원될 수 있다. 유입부(122)가 제1내부통로(114)로부터 상기 기준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 복원된 상기 제4탄성돌기가 상기 제2끼움홈의 상기 적어도 일부에 걸리게 됨으로써, 유입부(122)는 상기 기준방향의 상기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제1내부통로(114)와 결속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홀더(110)와 지지부(120)는 서로 결속되며, 장신구(10)는 제1내부통로(114)와 유입부(122) 간의 결속과정에서 제1내부통로(114)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120)는 몸체(126) 및 가이드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26)는 유입부(122)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몸체(126)에는 유입부(122)가 상기 기준“‡향 또는 상기 기준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슬릿(126a, slit)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유입부(122)의 전부를 감싸는 관형의 몸체(126)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슬릿(126a)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으나, 유입부(122)가 상기 기준방향 또는 상기 기준방향의 상기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한 슬릿(126a)은 곡선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부(128)는 몸체(126)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내면에 나선형의 가이드 라인(128a)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몸체(126)의 전부를 감싸는 관형의 가이드부(128)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유입부(122)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22b)가 배치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2b)는 슬릿(126a)을 통하여 가이드 라인(128a)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외부 회전력이 몸체(126)에 인가되어 몸체(126)가 회전할 경우에 유입부(122)가 상기 기준방향 또는 상기 기준방향의 상기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몸체(126)에 상기 외부 회전력이 인가되면 몸체(126)는 회전하게 된다. 몸체(126)의 회전에 따라 슬릿(126a)도 회전하게 된다. 유입부(122)의 돌출부(122b)는 슬릿(126a)과의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력을 전달받게 된다. 이때, 돌출부(122b)는 나선형의 가이드 라인(128a)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돌출부(122b)와 가이드 라인(128a)과의 마찰력에 의하여 돌출부(122b)에 전달되는 회전력의 일부는 회전력으로 남고, 나머지 일부는 직진력으로 변화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돌출부(122b)는 상기 외부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이동하며, 돌출부(122b)와 연결된 유입부(122) 역시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돌출부(122b)와 가이드 라인(128a)의 슬라이딩 가능한 연결은 예로서 함몰 형상의 가이드 라인(128a)에 돌출부(122b)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이뤄지거나, 가이드 라인(128a)에 대향하는 돌출부(122b)의 외면에 형성된 함몰부에 돌출 형상의 가이드 라인(128a)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이뤄질 수 있다.
일례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110)의 내면에는 제1결속부(114a)로서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기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유입부(122)의 외면에 형성되는 제2결속부(122a)는 제1결속부(114a)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져 제1결속부(114a)와 제2결속부(122a)의 나사결합을 통하여 유입부(122)는 제1내부통로(114)와 결속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홀더(110)의 내면 자체 및 유입부(122)의 외면 자체가 각각 제1결속부(114a) 및 제2결속부(122a)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입부(122)는 유입부(122)의 상기 외면과 홀더(110)의 상기 내면과의 마찰력에 의하여 제1내부통로(114)와 결속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물체(20)의 크기는 다양하며, 물체(20)에 형성되는 관통홀(22)의 길이도 다양하다. 도 6과 관련하여 상술한 지지부(120)를 사용하여 장신구(10)를 홀더(110)의 내부에 고정할 경우에, 관통홀(22)의 길이가 서로 다른 물체(20)에 대해서도 동일한 지지부(120)를 활용하여 장신구(10)를 홀더(110)의 내부에 고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6과 관련하여 상술한 지지부(120)는 몸체(126)에 의하여 적어도 일부가 감싸지는 유입부(122)를 포함한다. 유입부(122)는 몸체(126)에 외부 회전력이 인가되는 방향에 따라 몸체(126)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몸체(126) 외부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도 6과 관련하여 상술한 지지부(120)는 몸체(126)에 외부 회전력을 인가함에 따라 지지부(120)의 전체 길이가 변화하는 구조이다. 유입부(122)는 몸체(126)로부터 회전하면서 제1내부통로(114)로 유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관통홀(22)의 길이가 서로 다른 물체(20)에 대해서도 동일한 지지부(120)를 활용하여 장신구(10)를 홀더(110)의 내부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 6과 관련하여 상술한 지지부(120)는 일면이 몸체(126)와 연결되어 몸체(126)를 지지하는 지지체(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회전력은 지지체(126)를 통하여 몸체(126)에 인가될 수 있다. 도 7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130)의 상기 일면은 가이드부(128)의 단부와 접할 수 있다. 지지체(130)의 상기 일면 및 가이드부(128)의 상기 단부에는 각각 제3결속부(130a) 및 제4결속부(128b)가 형성될 수 있다. 제3결속부(130a)는 몸체(126)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지지체(130)의 상기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결속부(130a) 및 제4결속부(128b)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져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결속부(130a) 및 제4결속부(128b) 중 어느 하나-이하 제5탄성돌기(130a-1)라 함-는 탄성을 가지는 돌기 형상을 가지며, 제3결속부(130a) 및 제4결속부(128b) 중 나머지 어느 하나-이하 제3걸림턱(128b-1)이라 함-는 함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5탄성돌기(130a-1) 및 제3걸림턱(128b-1)은 상기 기준방향으로 유입부(122)가 이동하도록 작용하는 상기 외부 회전력의 인가방향을 기준으로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유입부(122)가 상기 기준방향의 상기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 복원된 제5탄성돌기(130a-1)가 제3걸림턱(128b-1)에 걸리게 됨으로써, 유입부(122)는 상기 기준방향의 상기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제1내부통로(114)와 결속될 수 있다.
도 7에는 도면에는 상기 외부 회전력의 상기 인가방향을 기준으로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5탄성돌기(130a-1)와 제5탄성돌기(130a-1)가 제3결속부(130a)와 접촉하는 과정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제3결속부(130a)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르게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달리, 제3결속부(130a)는 제5탄성돌기(130a-1)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상기 한 예시 이외에 제4결속부(128b)와의 접촉을 통하여 상기 외부 회전력의 상기 인가방향으로 이동은 가능하나, 상기 외부 회전력의 상기 인가방향의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는 한 제3결속부(130a)의 형상에는 그 제한이 없다.
한편, 도 6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128)의 외면에는 이탈방지부(128c)가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128c)는 지지부(120)가 물체(20)의 관통홀(22)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관통홀(22)의 내면과 밀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외부 회전력에 의하여 몸체(126)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가이드부(128)는 관통홀(22)의 상기 내면에 밀착되어 외부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지 않음으로써 유입부(122)는 상기 기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또 한편, 관통홀(22)의 내면과 가이드부(128)의 외면이 서로 강하게 밀착되거나, 관통홀(22)의 내면 및 가이드부(128)의 외면이 다각형 형상을 가져 서로 맞물릴 경우에 관통홀(22)의 내면과 가이드부(128)의 외면 사이에는 상기 외부 회전력에 반발하는 강한 마찰력이 작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외부 회전력에 의하여 가이드부(128)가 관통홀(22) 내부에서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탈방지부(128c)는 생략될 수 있다.
돌출부(122b), 슬릿(126a) 및 가이드 라인(128a)을 통하여 유입부(122), 몸체(126) 및 가이드부(128)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몸체(126) 및 가이드부(128)의 연결을 강화하기 위하여 몸체(126)와 가이드부(128)는 도 6의 (a)에서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도면에는 유입부(122)의 상기 일면의 적어도 일부-이하 제3개구부(124a)라 함-를 관통하여 외부와 연통되는 제2내부통로(124)가 형성된 유입부(122)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장신구(10)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보석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외부에 존재하는 빛은 제2내부통로(124)를 통하여 장신구(10)에 전달되며, 장신구(10)에 전달되는 빛은 장신구(10)를 경유하여 제1개구부(112a)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장신구 조립체(100)는 홀더(110)와 결합하는 유입부(122)를 관통하는 제2내부통로(124)가 형성되어 장신구(10) 아래로부터 빛이 제2내부통로(124)를 통하여 장신구(10)에 제공될 수 있어 장신구(10)가 반짝반짝 빛이 나는 효과와 같은 심미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 한편, 도 2의 (b)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 3 내지 도 7의 지지부(120)의 경우에도 추가적인 장신구(10a)가 홀더(110)에 대향하는 지지부(120)의 면의 반대쪽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적인 장신구(10a)로는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나, 예로서 빛이 투과될 수 있는 보석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인 장신구(10a)는 본딩, 고정다리를 절곡하는 방식 등 일반적으로 장신구를 고정할 때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지지부(120)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장신구 조립체(100)는 장신구(10)가 배치되는 지지부(120)의 반대면에 추가적인 장신구(10a)를 체결할 수 있어 미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면에는 지지부(120)로서 제2내부통로(124)가 형성된 경우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으나, 지지부(120)로서 제2내부통로(124)가 형성되지 않은 막힌 형상의 지지부가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정리하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장신구 조립체(100)는 홀더(110) 및 지지부(120)의 체결을 통하여 일면에 형성되는 제1개구부(112a), 타면에 형성되는 제2개구부(112b) 및 제1개구부(112a)와 제2개구부(112b)를 관통하는 관통홀(22)을 가지는 물체(20)에 장신구(10)의 교체가 용이하면서도 장신구(10)를 안정적으로 체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장신구 조립체(100)는 유입부(122)의 구조로서 외력에 의하여 회전 상승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관통홀(22)의 길이가 변경되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탄력적으로 장신구(10)를 체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
10 : 장신구
10a : 추가적인 장신구
20 : 물체
20a : 물체의 일면
20b : 물체의 타면
22 : 관통홀
100 : 장신구 조립체
110 : 홀더
110a :제1영역
110b : 제2영역
112a : 제1개구부
112b : 제2개구부
112c : 제1와셔
114 : 제1내부통로
114a: 제1결속부
114a-1 : 제1걸림턱
114a-3 : 제1끼움홈
120 : 지지부
120a : 밀착턱
122 : 유입부
122a : 제2결속부
122a-1 : 제1탄성돌기
122a-3 : 제1끼움부
122a-3a : 제3탄성돌기
122b : 돌출부
122c : 제2와셔
124 : 제2내부통로
124a : 제3개구부
126 : 몸체
126a : 슬릿
128 : 가이드부
128a : 가이드 라인
128b : 제4결속부
128b-1 : 제3걸림턱
128c : 이탈방지부
130 : 지지체
130a : 제3결속부
130a-1 : 제5탄성돌기

Claims (13)

  1. 일면의 적어도 일부-이하 제1개구부라 함- 및 타면의 적어도 일부-이하 제2개구부라 함-를 관통하는 제1내부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홀더; 및
    상기 홀더의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어 상기 홀더의 상기 제1개구부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이동한 후 멈춘 장신구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홀더의 상기 제1개구부에 인접한 상기 제1내부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개구부에서 상기 제1개구부 방향-이하 기준방향이라 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내부통로를 감싸는 상기 홀더의 내면에는 제1결속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는 유입부를 가지며, 상기 유입부의 외면에는 상기 제1결속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2결속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부는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결속부와 상기 제2결속부 사이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제1내부통로와 결속되며,
    상기 장신구는 상기 홀더의 상기 제1개구부에 인접한 내면과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는 상기 유입부의 일면에 의하여 밀착되어 상기 제1내부통로에서 고정 지지되되,
    상기 홀더 및 상기 지지부는 관통홀을 가지는 물체의 상기 관통홀에 배치되어 상기 관통홀 및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된 상기 장신구를 고정 지지하되,
    상기 관통홀은 상기 물체의 일면 및 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홀더는 상기 제2개구부에서 상기 제1개구부 방향을 기준으로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분되되,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이 접하는 지점에서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며,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은 상기 물체의 상기 관통홀에 상기 홀더를 배치하는 과정에서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영역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영역이며, 상기 제2영역은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이며,
    상기 홀더는 상기 물체의 상기 일면 방향에서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며,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이 접하는 상기 지점에서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관통홀 보다 큰 단면적을 가져 상기 홀더는 상기 물체의 상기 일면에 안정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장신구는 상기 물체의 상기 타면 방향에서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며,
    상기 유입부는 상기 물체의 상기 타면 방향에서 상기 관통홀을 경유하여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되,
    상기 홀더의 상기 내면에는 상기 제1결속부로서 적어도 하나의 제1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부의 상기 외면에는 상기 제2결속부로서 탄성력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1탄성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제1걸림턱은 상기 기준방향을 기준으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탄성돌기는 상기 유입부가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걸림턱과 접촉하여 압축되며, 상기 제1걸림턱과의 접촉이 해제되면 복원력에 의하여 복원되며,
    상기 유입부가 상기 제1내부통로로부터 상기 기준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 복원된 상기 제1탄성돌기가 상기 제1걸림턱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유입부는 상기 기준방향의 상기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상기 제1내부통로와 결속되는 장신구 조립체.
  2. 일면의 적어도 일부-이하 제1개구부라 함- 및 타면의 적어도 일부-이하 제2개구부라 함-를 관통하는 제1내부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홀더; 및
    상기 홀더의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어 상기 홀더의 상기 제1개구부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이동한 후 멈춘 장신구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홀더의 상기 제1개구부에 인접한 상기 제1내부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개구부에서 상기 제1개구부 방향-이하 기준방향이라 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내부통로를 감싸는 상기 홀더의 내면에는 제1결속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는 유입부를 가지며, 상기 유입부의 외면에는 상기 제1결속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2결속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부는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결속부와 상기 제2결속부 사이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제1내부통로와 결속되며,
    상기 장신구는 상기 홀더의 상기 제1개구부에 인접한 내면과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는 상기 유입부의 일면에 의하여 밀착되어 상기 제1내부통로에서 고정 지지되되,
    상기 홀더 및 상기 지지부는 관통홀을 가지는 물체의 상기 관통홀에 배치되어 상기 관통홀 및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된 상기 장신구를 고정 지지하되,
    상기 관통홀은 상기 물체의 일면 및 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홀더는 상기 제2개구부에서 상기 제1개구부 방향을 기준으로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분되되,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이 접하는 지점에서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며,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은 상기 물체의 상기 관통홀에 상기 홀더를 배치하는 과정에서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영역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영역이며, 상기 제2영역은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이며,
    상기 홀더는 상기 물체의 상기 일면 방향에서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며,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이 접하는 상기 지점에서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관통홀 보다 큰 단면적을 가져 상기 홀더는 상기 물체의 상기 일면에 안정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장신구는 상기 물체의 상기 타면 방향에서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며,
    상기 유입부는 상기 물체의 상기 타면 방향에서 상기 관통홀을 경유하여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되,
    상기 홀더의 상기 내면에는 상기 제1결속부로서 탄성력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2탄성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부의 상기 외면에는 상기 제2결속부로서 적어도 하나의 제2걸림턱이 형성되되,
    상기 제2걸림턱은 상기 기준방향을 기준으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탄성돌기는 상기 유입부가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걸림턱과 접촉하여 압축되며, 상기 제2걸림턱과의 접촉이 해제되면 복원력에 의하여 복원되며,
    상기 유입부가 상기 제1내부통로로부터 상기 기준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 복원된 상기 제2탄성돌기가 상기 제2걸림턱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유입부는 상기 기준방향의 상기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상기 제1내부통로와 결속되는 장신구 조립체.
  3. 일면의 적어도 일부-이하 제1개구부라 함- 및 타면의 적어도 일부-이하 제2개구부라 함-를 관통하는 제1내부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홀더; 및
    상기 홀더의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어 상기 홀더의 상기 제1개구부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이동한 후 멈춘 장신구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홀더의 상기 제1개구부에 인접한 상기 제1내부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개구부에서 상기 제1개구부 방향-이하 기준방향이라 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내부통로를 감싸는 상기 홀더의 내면에는 제1결속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는 유입부를 가지며, 상기 유입부의 외면에는 상기 제1결속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2결속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부는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결속부와 상기 제2결속부 사이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제1내부통로와 결속되며,
    상기 장신구는 상기 홀더의 상기 제1개구부에 인접한 내면과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는 상기 유입부의 일면에 의하여 밀착되어 상기 제1내부통로에서 고정 지지되되,
    상기 홀더 및 상기 지지부는 관통홀을 가지는 물체의 상기 관통홀에 배치되어 상기 관통홀 및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된 상기 장신구를 고정 지지하되,
    상기 관통홀은 상기 물체의 일면 및 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홀더는 상기 제2개구부에서 상기 제1개구부 방향을 기준으로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분되되,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이 접하는 지점에서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며,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은 상기 물체의 상기 관통홀에 상기 홀더를 배치하는 과정에서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영역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영역이며, 상기 제2영역은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이며,
    상기 홀더는 상기 물체의 상기 일면 방향에서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며,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이 접하는 상기 지점에서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관통홀 보다 큰 단면적을 가져 상기 홀더는 상기 물체의 상기 일면에 안정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장신구는 상기 물체의 상기 타면 방향에서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며,
    상기 유입부는 상기 물체의 상기 타면 방향에서 상기 관통홀을 경유하여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되,
    상기 홀더에는 상기 제1결속부로서 상기 홀더를 절개하거나 상기 홀더의 상기 내면을 소정의 깊이 함몰시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부의 상기 외면에는 상기 제2결속부로서 적어도 하나의 제1끼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끼움홈과 상기 제1끼움부는 끼움결합 방식으로 서로 체결되되,
    상기 제1끼움홈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기준방향을 기준으로 단면적이 늘어났다가 줄어드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끼움부에는 탄성력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3탄성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끼움부의 상기 제3탄성돌기는 상기 유입부가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끼움홈에 끼워져 압축되며, 상기 제1끼움홈의 상기 적어도 일부와 만날 경우에 복원력에 의하여 복원되며,
    상기 유입부가 상기 제1내부통로로부터 상기 기준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 복원된 상기 제3탄성돌기가 상기 제1끼움홈의 상기 적어도 일부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유입부는 상기 기준방향의 상기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상기 제1내부통로와 결속되는 장신구 조립체.
  4. 일면의 적어도 일부-이하 제1개구부라 함- 및 타면의 적어도 일부-이하 제2개구부라 함-를 관통하는 제1내부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홀더; 및
    상기 홀더의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어 상기 홀더의 상기 제1개구부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이동한 후 멈춘 장신구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홀더의 상기 제1개구부에 인접한 상기 제1내부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개구부에서 상기 제1개구부 방향-이하 기준방향이라 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내부통로를 감싸는 상기 홀더의 내면에는 제1결속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는 유입부를 가지며, 상기 유입부의 외면에는 상기 제1결속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2결속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부는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결속부와 상기 제2결속부 사이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제1내부통로와 결속되며,
    상기 장신구는 상기 홀더의 상기 제1개구부에 인접한 내면과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는 상기 유입부의 일면에 의하여 밀착되어 상기 제1내부통로에서 고정 지지되되,
    상기 홀더 및 상기 지지부는 관통홀을 가지는 물체의 상기 관통홀에 배치되어 상기 관통홀 및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된 상기 장신구를 고정 지지하되,
    상기 관통홀은 상기 물체의 일면 및 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홀더는 상기 제2개구부에서 상기 제1개구부 방향을 기준으로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분되되,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이 접하는 지점에서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며,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은 상기 물체의 상기 관통홀에 상기 홀더를 배치하는 과정에서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영역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영역이며, 상기 제2영역은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이며,
    상기 홀더는 상기 물체의 상기 일면 방향에서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며,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이 접하는 상기 지점에서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관통홀 보다 큰 단면적을 가져 상기 홀더는 상기 물체의 상기 일면에 안정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장신구는 상기 물체의 상기 타면 방향에서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며,
    상기 유입부는 상기 물체의 상기 타면 방향에서 상기 관통홀을 경유하여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되,
    상기 홀더의 상기 내면에는 상기 제1결속부로서 적어도 하나의 제2끼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부에는 상기 제2결속부로서 상기 유입부를 절개하거나 상기 유입부의 상기 외면을 소정의 깊이 함몰시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끼움홈과 상기 제2끼움부는 끼움결합 방식으로 서로 체결되되,
    상기 제2끼움홈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기준방향을 기준으로 단면적이 늘어났다가 줄어드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끼움부에는 탄성력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4탄성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끼움부의 상기 제4탄성돌기는 상기 유입부가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끼움홈에 끼워져 압축되며, 상기 제2끼움홈의 상기 적어도 일부와 만날 경우에 복원력에 의하여 복원되며,
    상기 유입부가 상기 제1내부통로로부터 상기 기준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 복원된 상기 제4탄성돌기가 상기 제2끼움홈의 상기 적어도 일부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유입부는 상기 기준방향의 상기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상기 제1내부통로와 결속되는 장신구 조립체.
  5. 일면의 적어도 일부-이하 제1개구부라 함- 및 타면의 적어도 일부-이하 제2개구부라 함-를 관통하는 제1내부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홀더; 및
    상기 홀더의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어 상기 홀더의 상기 제1개구부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이동한 후 멈춘 장신구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홀더의 상기 제1개구부에 인접한 상기 제1내부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개구부에서 상기 제1개구부 방향-이하 기준방향이라 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내부통로를 감싸는 상기 홀더의 내면에는 제1결속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는 유입부를 가지며, 상기 유입부의 외면에는 상기 제1결속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2결속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부는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결속부와 상기 제2결속부 사이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제1내부통로와 결속되며,
    상기 장신구는 상기 홀더의 상기 제1개구부에 인접한 내면과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는 상기 유입부의 일면에 의하여 밀착되어 상기 제1내부통로에서 고정 지지되되,
    상기 홀더 및 상기 지지부는 관통홀을 가지는 물체의 상기 관통홀에 배치되어 상기 관통홀 및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된 상기 장신구를 고정 지지하되,
    상기 관통홀은 상기 물체의 일면 및 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홀더는 상기 제2개구부에서 상기 제1개구부 방향을 기준으로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분되되,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이 접하는 지점에서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며,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은 상기 물체의 상기 관통홀에 상기 홀더를 배치하는 과정에서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영역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영역이며, 상기 제2영역은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이며,
    상기 홀더는 상기 물체의 상기 일면 방향에서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며,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이 접하는 상기 지점에서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관통홀 보다 큰 단면적을 가져 상기 홀더는 상기 물체의 상기 일면에 안정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장신구는 상기 물체의 상기 타면 방향에서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며,
    상기 유입부는 상기 물체의 상기 타면 방향에서 상기 관통홀을 경유하여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되,
    상기 지지부는
    상기 유입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상기 유입부가 상기 기준방향 또는 상기 기준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슬릿(slit)이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내면에 나선형의 가이드 라인이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부의 상기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배치되거나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슬릿을 통하여 상기 가이드 라인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외부 회전력이 상기 몸체에 인가되어 상기 몸체가 회전할 경우에 상기 유입부가 상기 기준방향 또는 상기 기준방향의 상기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장신구 조립체.
  6. 제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에는 상기 유입부의 상기 일면의 적어도 일부-이하 제3개구부라 함-를 관통하여 외부와 연통되는 제2내부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장신구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보석을 포함하되,
    상기 외부에 존재하는 빛은 상기 제2내부통로를 통하여 상기 장신구에 전달되며, 상기 장신구에 전달되는 빛은 상기 장신구를 경유하여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장신구 조립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상기 내면에는 상기 제1결속부로서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기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상기 유입부의 상기 외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2결속부는 상기 제1결속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져 상기 제1결속부와 상기 제2결속부의 나사결합을 통하여 상기 유입부는 상기 제1내부통로와 결속되는 장신구 조립체.
  8. 제5항 또는 7항에 있어서,
    일면이 상기 몸체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 회전력은 상기 지지체를 통하여 상기 몸체에 인가되며,
    상기 지지체의 상기 일면은 상기 가이드부의 단부와 접하며,
    상기 지지체의 상기 일면 및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단부에는 각각 제3결속부 및 제4결속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3결속부는 상기 몸체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상기 지지체의 상기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3결속부 및 상기 제4결속부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져 서로 체결되되,
    상기 제3결속부 및 상기 제4결속부 중 어느 하나-이하 제5탄성돌기라 함-는 탄성을 가지는 돌기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3결속부 및 상기 제4결속부 중 나머지 어느 하나-이하 제3걸림턱이라 함-는 함몰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5탄성돌기 및 상기 제3걸림턱은 상기 기준방향으로 상기 유입부가 이동하도록 작용하는 상기 외부 회전력의 인가방향을 기준으로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유입부가 상기 기준방향의 상기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 복원된 상기 제5탄성돌기가 상기 제3걸림턱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유입부는 상기 기준방향의 상기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상기 제1내부통로와 결속되는 장신구 조립체.
  9. 제1항 내지 제5항 또는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에는 상기 유입부의 상기 일면의 적어도 일부-이하 제3개구부라 함-를 관통하여 외부와 연통되는 제2내부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장신구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보석을 포함하되,
    상기 외부에 존재하는 빛은 상기 제2내부통로를 통하여 상기 장신구에 전달되며, 상기 장신구에 전달되는 빛은 상기 장신구를 경유하여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장신구 조립체.
  10. 제1항 내지 제5항 또는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 대향하는 상기 지지부의 면의 반대쪽 면에 배치되는 추가적인 장신구를 더 포함하는 장신구 조립체.
  11. 일면의 적어도 일부-이하 제1개구부라 함- 및 타면의 적어도 일부-이하 제2개구부라 함-를 관통하는 제1내부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홀더; 및
    상기 홀더의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어 상기 홀더의 상기 제1개구부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이동한 후 멈춘 장신구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홀더의 상기 제1개구부에 인접한 상기 제1내부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개구부에서 상기 제1개구부 방향-이하 기준방향이라 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내부통로를 감싸는 상기 홀더의 내면에는 제1결속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는 유입부를 가지며, 상기 유입부의 외면에는 상기 제1결속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2결속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부는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결속부와 상기 제2결속부 사이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제1내부통로와 결속되며,
    상기 장신구는 상기 홀더의 상기 제1개구부에 인접한 내면과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는 상기 유입부의 일면에 의하여 밀착되어 상기 제1내부통로에서 고정 지지되되,
    상기 홀더에 대향하는 상기 지지부의 면의 반대쪽 면에 배치되는 추가적인 장신구를 더 포함하는 장신구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에는 상기 유입부의 상기 일면의 적어도 일부-이하 제3개구부라함-를 관통하여 외부와 연통되는 제2내부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장신구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보석을 포함하되, 상기 외부에 존재하는 빛은 상기 제2내부통로를 통하여 상기 장신구에 전달되며, 상기 장신구에 전달되는 빛은 상기 장신구를 경유하여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장신구 조립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및 상기 지지부는 관통홀을 가지는 물체의 상기 관통홀에 배치되어 상기 관통홀 및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된 상기 장신구를 고정 지지하되,
    상기 관통홀은 상기 물체의 일면 및 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홀더는 상기 제2개구부에서 상기 제1개구부 방향을 기준으로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분되되,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이 접하는 지점에서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며,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은 상기 물체의 상기 관통홀에 상기 홀더를 배치하는 과정에서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영역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영역이며, 상기 제2영역은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이며,
    상기 홀더는 상기 물체의 상기 일면 방향에서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며,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이 접하는 상기 지점에서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관통홀 보다 큰 단면적을 가져 상기 홀더는 상기 물체의 상기 일면에 안정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장신구는 상기 물체의 상기 타면 방향에서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며,
    상기 유입부는 상기 물체의 상기 타면 방향에서 상기 관통홀을 경유하여 상기 제1내부통로로 유입되는 장신구 조립체.
KR1020160092358A 2016-07-21 2016-07-21 장신구 조립체 KR101700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358A KR101700609B1 (ko) 2016-07-21 2016-07-21 장신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358A KR101700609B1 (ko) 2016-07-21 2016-07-21 장신구 조립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439A Division KR20180010936A (ko) 2016-10-17 2016-10-17 장신구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0609B1 true KR101700609B1 (ko) 2017-01-31

Family

ID=57990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358A KR101700609B1 (ko) 2016-07-21 2016-07-21 장신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06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9637A (ja) * 2006-06-02 2007-12-13 Ichiro Yamamori 嵌め込み型宝飾石着脱機能指輪
KR100812752B1 (ko) * 2006-11-24 2008-03-12 김홍용 장신구의 스톤 체결 구조
KR20110011475U (ko) * 2010-06-07 2011-12-14 최성환 보석의 고정 구조
KR101479441B1 (ko) * 2014-01-21 2015-01-05 김성한 보석체의 유동성을 갖는 반지의 세팅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9637A (ja) * 2006-06-02 2007-12-13 Ichiro Yamamori 嵌め込み型宝飾石着脱機能指輪
KR100812752B1 (ko) * 2006-11-24 2008-03-12 김홍용 장신구의 스톤 체결 구조
KR20110011475U (ko) * 2010-06-07 2011-12-14 최성환 보석의 고정 구조
KR101479441B1 (ko) * 2014-01-21 2015-01-05 김성한 보석체의 유동성을 갖는 반지의 세팅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341100A (ja) フレキシブルな接続部材に等間隔に配置されたリンクを有する宝飾品(ネックレス又はブレスレット)
JP2007160083A (ja) クラスプ
US7481075B2 (en) Jewelry piece with a replaceable-exchangeable setting and attachment mechanism and setting apparatus therefor
KR101700609B1 (ko) 장신구 조립체
KR20180010936A (ko) 장신구 조립체
KR101454767B1 (ko) 장식의 교체가 가능한 반지
FR3002653A1 (fr) Dispositif permettant de fixer une loupe, une plaque ou autre objet sur un support de type decoratif ou utilitaire tel que pendentif
KR102010763B1 (ko) 스톤 비드를 이용한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유닛
KR101974058B1 (ko) 장신구 결합체
KR20220002994U (ko) 귀걸이 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귀걸이
KR200385575Y1 (ko) 장신구의 보석결합구조
KR20150069149A (ko) 장식구 연결구조 및 장식용 클립
KR101698416B1 (ko) 스프링에 의한 복원력을 가지는 장식용 팔찌
JP2004223145A (ja) 装身具用連結具
KR101830084B1 (ko) 보석 회전이 가능한 장신구
KR102358960B1 (ko) 장신구용 체결구
KR200467928Y1 (ko) 장신구 모듈
KR20170011421A (ko) 보석 체결구조
KR200483175Y1 (ko) 악세사리
US20120279026A1 (en) Ornament lock with wide opening ornament clasp
JP3147797U (ja) 装身具の装飾体
KR100670811B1 (ko) 귀걸이의 보석집 결합구조
JP2015231439A (ja) 装飾用リング
KR101556571B1 (ko) 장식용 보석을 체결할 수 있는 안경
US20100260014A1 (en) Watch Ca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