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2215B1 - 에어백을 이용한 가스배관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을 이용한 가스배관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2215B1
KR100812215B1 KR1020060092207A KR20060092207A KR100812215B1 KR 100812215 B1 KR100812215 B1 KR 100812215B1 KR 1020060092207 A KR1020060092207 A KR 1020060092207A KR 20060092207 A KR20060092207 A KR 20060092207A KR 100812215 B1 KR100812215 B1 KR 100812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pipe
airbag
pipe
main gas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2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묵
최낙배
배영춘
이기영
정대성
조대현
김용보
유성식
허창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천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천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천리
Priority to KR1020060092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22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2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2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2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by introducing into the pipe a member expandable in situ
    • F16L55/128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by introducing into the pipe a member expandable in situ introduced axially into the pipe or hose
    • F16L55/132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by introducing into the pipe a member expandable in situ introduced axially into the pipe or hose the closure device being a plug fixed by radially deforming the packing
    • F16L55/134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by introducing into the pipe a member expandable in situ introduced axially into the pipe or hose the closure device being a plug fixed by radially deforming the packing by means of an inflatable pa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 가스관의 천공(구멍)을 통하여 삽입된 한 쌍의 에어백을 확장시켜 메인 가스관 내부의 가스가 새어 나오는 것을 차단하여 가스관 수리작업을 보다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에어백을 이용한 가스배관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메인 가스관(100)에 용접된 소켓(1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소켓(110) 내부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는 제1샌드위치 밸브(120); 상기 제1샌드위치 밸브(12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에어백용 커버(400); 상기 에어백용 커버(400) 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하단에는 상기 메인 가스관(100)의 천공 내부로 삽입되는 에어백 보호관(411)이 설치된 유도관(410); 상기 에어백용 커버(400)의 상단에 설치된 제1에어백 주입관(420) 및 제2에어백 주입관(430); 상기 제1에어백 주입관(420) 및 제2에어백 주입관(430)에 각각 설치된 제1연장관(421) 및 제2연장관(431); 상기 메인 가스관(100)의 가스흐름을 차단할 수 있도록 제1에어백 주입관(420) 및 제2에어백 주입관(430)을 통하여 메인 가스관(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에어백(450) 및 제2에어백(460); 상기 제1에어백(450) 및 제2에어백(460)에 에어를 공급하는 제1주입관(451) 및 제2주입관(461)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에어백, 가스배관, 차단, 샌드위치 밸브, 천공

Description

에어백을 이용한 가스배관 차단장치{Apparatus by using air bag for preventing leaking of gases in gas pip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배관 차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배관 차단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배관 차단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메인 가스관 110 : 소켓
120 : 제1샌드위치 밸브 200 : 천공수단
210 : 천공용 커버 220 : 천공축
230 : 천공코어 300 : 이물질 제거수단
310 : 이물질 제거용 커버 320 : 투시창
330 : 이물질 제거축 340 : 이물질 부착구
400 : 에어백용 커버 410 : 유도관
411 : 에어백 보호관 420 : 제1에어백 주입관
421 : 제1연장관 430 : 제2에어백 주입관
431 : 제2연장관 440 : 제2샌드위치 밸브
450 : 제1에어백 451 : 제1주입관
460 : 제2에어백 461 : 제2주입관
510 : 플러그용 커버 520 : 플러그 축
530 : 플러그
본 발명은 메인 가스관의 수리를 위하여 메인 가스관 내부의 가스흐름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에어백을 이용한 가스배관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 가스관의 천공(구멍)을 통하여 삽입된 한 쌍의 에어백을 확장시켜 메인 가스관 내부의 가스가 새어 나오는 것을 차단하여 가스관 수리작업을 보다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에어백을 이용한 가스배관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도시 가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난방을 위한 연료로서 대부분의 건물 및 주택에서 도시 가스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사람이 거주하는 모든 도시 또는 마을의 땅속에는 도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관들이 거미줄처럼 배설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메인 가스관과, 가스를 필요로 하는 장소까지 설치된 분기 가스관을 가스공급의 중단 없이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배관을 천공한 후, 중압의 경우는 스토퍼 패킹을 저압에는 에어백이 장착된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메인 가스관을 수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가스의 흐름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위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이하, 메인 가스관의 천공 및 플러깅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메인 가스관의 중간에 소켓 하부 끝단을 용접하고, 소켓의 중간에 샌드위치 밸브를 설치한다.
샌드위치 밸브의 상부에 천공기를 설치하고, 샌드위치 밸브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천공 드릴을 하강시키고 회전시켜서 메인 가스관을 천공한다.
메인 가스관을 천공한 후, 천공 드릴을 원위치 시킴과 동시에 샌드위치 밸브를 폐쇄시켜서 천공부위를 밀폐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 가스관의 내부에 에어백을 삽입한 후 상기 에어백을 확장시키면 메인 가스관의 내부가 차단되는 것이므로 그 메인 가스관의 수리작업시 가스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가스관의 수리 작업이 완료된 후 가스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천공부위를 밀폐시켜야 하는 바, 우선 천공기 및 샌드위치 밸브를 해제하고, 소켓 상부에 플러깅 머신을 설치하여 소켓의 상부에 플러그를 틀어막는다.
이 상태에서, 메인 가스관의 수리 등을 위해서는 플러그를 제거하고 천공부분에 에어백을 삽입하여 가스흐름을 일시 차단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가스흐름을 차단하기 위하여, 소켓 안쪽으로 에어백을 투입하여 메인 가스관의 천공부위에 에어백을 삽입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가스가 공급되는 메인 가스관의 내부에만 에어백이 삽입되 므로 에어백에 의해서 차단된 메인 가스관에 공급된 가스가 천공부위로 누출되어 가스 폭발의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메인 가스관의 천공을 통하여 삽입된 한 쌍의 에어백을 메인 가스관 내부에서 확장시켜 메인 가스관 내부에서 외부로 새어 나오는 가스를 차단하여 가스관 수리 및 분기 작업을 보다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에어백을 이용한 가스배관 차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에어백을 이용한 가스배관 차단장치는 메인 가스관에 용접된 소켓의 상부에 설치되며 소켓 내부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는 제1샌드위치 밸브; 상기 제1샌드위치 밸브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에어백용 커버; 상기 에어백용 커버 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하단에는 상기 메인 가스관의 천공 내부로 삽입되는 에어백 보호관이 설치된 유도관; 상기 에어백용 커버의 상단에 설치된 제1에어백 주입관 및 제2에어백 주입관; 상기 제1에어백 주입관 및 제2에어백 주입관에 각각 설치된 제1연장관 및 제2연장관; 상기 메인 가스관의 가스흐름을 차단할 수 있도록 제1에어백 주입관 및 제2에어백 주입관을 통하여 메인 가스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에어백 및 제2에어백; 상기 제1에어백 및 제2에어백에 에어를 공급하는 제1주입관 및 제2주입관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배관 차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배관 차단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배관 차단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메인 가스관(100)에 용접 고정되는 소켓(110)이 마련되어 있고, 그 소켓(110)의 상부에는 상기 소켓(110)을 선택적으로 차단시키는 제1샌드위치 밸브(12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샌드위치 밸브(120)의 상부에는 에어백용 커버(400)가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어 있다.
상기 에어백용 커버(400)의 내부에는 상하로 이동되는 유도관(410)이 설치되어 있고, 그 유도관(410)의 하단부에는 메인 가스관(100)의 천공(101) 내부로 삽입되는 에어백 보호관(411)이 분리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유도관(410)의 상면에는 로드(412)가 결합되어 있고, 그 로드(412)의 상단에는 유도관(410)의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41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에어백용 커버(400)의 상단에는 제1에어백 주입관(420) 및 제2에어백 주입관(430)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에어백 주입관(420) 및 제2에어백 주입관(430)에는 제1연장관(421) 및 제2연장관(431)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에어백 주입관(420)의 상단에 제2샌드위치 밸브(44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에어백 주입관(420) 및 제2에어백 주입관(430)의 내부에는 상기 메인 가스관(100)의 가스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제1에어백(450) 및 제2에어백(460)이 각각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제1에어백(450) 및 제2에어백(460)에는 에어를 공급하는 제1주입관(451) 및 제2주입관(461)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또한, 메인 가스관(100)에 천공(101)을 형성하는 천공수단(200)이 마련되어 있되, 그 천공수단(200)에는 상기 제1샌드위치 밸브(120)의 상단에 분리결합 가능하게 천공용 커버(210)가 나사 결합되어 있고, 상기 천공용 커버(210)에는 천공축(220)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있으며, 상기 천공축(220)의 단부에는 천공코어(2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천공수단(200)에 의해서 형성된 천공(101) 주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수단(300)이 마련되어 있되, 상기 이물질 제거수단(300)에는 상기 제1샌드위치 밸브(120)의 상단에 분리결합 가능하게 이물질 제거용 커버(310)가 나사 결합되어 있고, 상기 이물질 제거용 커버(310)의 상면에는 그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32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투시창(320)에는 이물질 제거축(33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그 이물질 제거축(330)의 단부에는 이물질 부착구(34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메인 가스관(100)의 수리 및 교환 작업 후 그 메인 가스관(100)에 형성된 천공(101)을 차단하는 플러그 결합수단(500)이 마련되어 있되, 상기 플러그 결합수단(500)에는 상기 제1샌드위치 밸브(120)의 상단에 분리결합 가능하게 플러그용 커버(510)가 나사 결합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용 커버(510)에는 플러그 축(520)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있으며, 상기 플러그 축(520)의 단부에는 상기 메인 가스관(100)의 천공(101)에 나결합되는 플러그(530)가 분리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메인 가스관(100)에 소켓(110)을 용접 고정한 후 그 소켓(110)의 상단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샌드위치 밸브(120)를 결합한다. 상기 제1샌드위치 밸브(120)는 소켓(110) 내부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천공수단(200)을 이용하여 메인 가스관(100)에 천공(101)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에는 제1샌드위치 밸브(120)를 닫은 후 그 제1샌드위치 밸브(120)의 상단에 천공용 커버(210)를 결합 하는 것이며, 상기 천공용 커버(210)가 결합된 후 제1샌드위치 밸브(120)를 열고, 천공축(220)을 하부로 이동시키면, 그 천공축(220)의 단부에 설치된 천공코어(230)는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가스관(100)의 표면에 접촉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천공축(220)에 별도의 공구(도면 미도시)를 연결하여 회전시키면, 상기 천공코어(230)에 의해서 메인 가스관(100)에 천공(101)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과정을 통하여 천공(101)이 완료된 후 천공축(220)을 상부로 이동시키고, 제1샌드위치 밸브(120)를 닫으면, 소켓(110)이 차단되는 것이며, 이때 천공용 커버(210)에 설치된 천공용 밸브(211)를 열면, 상기 천공용 커버(210)에 충입된 가 스가 외부로 배출되므로 상기 천공용 커버(210)를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물질 제거수단(300)을 결합하여 천공 작업시 메인 가스관(100)의 표면 즉, 소켓(110)의 내부에 발생된 이물질(금속 칩)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때에는 제1샌드위치 밸브(120)를 닫은 후 그 제1샌드위치 밸브(120)의 상단에 이물질 제거용 커버(310)를 결합 하는 것이며, 상기 이물질 제거용 커버(310)가 결합된 후 제1샌드위치 밸브(120)를 열고, 이물질 제거축(330)을 하부로 이동시키면, 그 이물질 제거축(330)의 단부에 설치된 이물질 부착구(340)는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가스관(100)의 표면에 접촉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이물질 제거축(330)을 잡고, 투시창(320)을 통하여 이물질이 발생된 부분으로 이물질 부착구(340)를 이동시키면 상기 이물질은 이물질 부착구(340)에 부착되는 것이다.
상기 과정을 통하여 이물질 제거 작업이 완료된 후 이물질 제거축(330)을 상부로 이동시키고, 제1샌드위치 밸브(120)를 닫으면, 소켓(110)이 차단되는 것이며, 이때 이물질 제거용 커버(310)에 설치된 이물질 제거용 밸브(311)를 열면, 상기 이물질 제거용 커버(310)에 충입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므로 상기 이물질 제거용 커버(310)를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샌드위치 밸브(120)의 상단에는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백용 커버(400)를 결합하고, 상기 에어백용 커버(400)의 상단에 설치된 제1에어백 주입관(420) 및 제2에어백 주입관(430)에 제1연장관(421) 및 제2연장관(431)을 각각 결합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샌드위치 밸브(120)를 개방시킨 후 에어백용 커버(400)의 상부로 노출된 손잡이(413)를 잡고 하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손잡이(413)가 설치된 유도관(410)이 하부로 이동되는 것이며, 상기 유도관(410)의 단부에 설치된 에어백 보호관(411)은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공(101)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연장관(421) 및 제2연장관(431)의 내부를 통하여 제1에어백(450) 및 제2에어백(460)을 삽입하면,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에어백(450) 및 제2에어백(460)은 메인 가스관(10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다. 이때 제1연장관(421)에 설치된 제2샌드위치 밸브(440)를 개방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1에어백(450) 및 제2에어백(460)이 메인 가스관(100)으로 삽입시킨 후 제1에어백(450) 및 제2에어백(460)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면,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에어백(450) 및 제2에어백(460)이 메인 가스관(100)의 내부에서 팽창되면서 그 메인 가스관(100)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가스관(100)이 차단된 후 메인 가스관(100)의 절단 및 교환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며, 상기 메인 가스관(100)의 내부는 제1에어백(450) 및 제2에어백(460)에 의해서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가스가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메인 가스관(100)의 수리 작업이 완료된 후 플러그 결합수단(500)을 이용하여 천공(101)을 차단하는 것이다.
이때에는 제1샌드위치 밸브(120)를 닫은 후 그 제1샌드위치 밸브(120)의 상 단에 플러그용 커버(510)를 결합 하는 것이며, 상기 플러그용 커버(510)가 결합된 후 제1샌드위치 밸브(120)를 열고, 플러그 축(520)을 하부로 이동시키면, 그 플러그 축(520)의 단부에 설치된 플러그(530)는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가스관(100)의 표면에 접촉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플러그 축(520)을 회전시키면, 그 플러그 축(520)의 단부에 결합된 플러그(530)는 천공(101)에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천공(101)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메인 가스관(100)에 용접 고정된 소켓(110)을 제거하면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 가스관의 내부에 한 쌍의 에어백을 삽입하고 그 한 쌍의 에어백에 의해서 메인 가스관 내부를 차단하게 되므로 메인 가스관의 수리 및 교환 작업시 가스가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메인 가스관(100)에 용접된 소켓(1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소켓(110) 내부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는 제1샌드위치 밸브(120);
    상기 제1샌드위치 밸브(12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에어백용 커버(400);
    상기 에어백용 커버(400) 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하단에는 상기 메인 가스관(100)의 천공 내부로 삽입되는 에어백 보호관(411)이 설치된 유도관(410);
    상기 에어백용 커버(400)의 상단에 설치된 제1에어백 주입관(420) 및 제2에어백 주입관(430);
    상기 제1에어백 주입관(420) 및 제2에어백 주입관(430)에 각각 설치된 제1연장관(421) 및 제2연장관(431);
    상기 메인 가스관(100)의 가스흐름을 차단할 수 있도록 제1에어백 주입관(420) 및 제2에어백 주입관(430)을 통하여 메인 가스관(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에어백(450) 및 제2에어백(460);
    상기 제1에어백(450) 및 제2에어백(460)에 에어를 공급하는 제1주입관(451) 및 제2주입관(461);
    상기 제1샌드위치 밸브(120)의 상단에 분리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는 천공용 커버(210)와, 상기 천공용 커버(210)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천공축(220)과, 상기 천공축(220)의 단부에 설치된 천공코어(230)로 이루어진 천공수단(20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을 이용한 가스배관 차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에어백 주입관(420)의 상단에 제2샌드위치 밸브(440)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을 이용한 가스배관 차단장치.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샌드위치 밸브(120)의 상단에 분리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물질 제거용 커버(310)와, 상기 이물질 제거용 커버(310)의 상면에 설치된 투시창(320)과, 상기 투시창(320)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이물질 제거축(330)과, 상기 이물질 제거축(330)의 단부에 설치된 이물질 부착구(340)로 이루어진 이물질 제거수단(300)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을 이용한 가스배관 차단장치.
  5. 제 1 항에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샌드위치 밸브(120)의 상단에 분리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러그용 커버(510)와, 상기 플러그용 커버(510)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플러그 축(520)과, 상기 메인 가스관(100)의 천공(101)에 나결합되도록 상기 플러그 축(520)의 단부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설치된 플러그(530)로 이루어진 플러그 결합수단(500)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을 이용한 가스배관 차단장치.
KR1020060092207A 2006-09-22 2006-09-22 에어백을 이용한 가스배관 차단장치 KR100812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2207A KR100812215B1 (ko) 2006-09-22 2006-09-22 에어백을 이용한 가스배관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2207A KR100812215B1 (ko) 2006-09-22 2006-09-22 에어백을 이용한 가스배관 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2215B1 true KR100812215B1 (ko) 2008-03-13

Family

ID=39398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2207A KR100812215B1 (ko) 2006-09-22 2006-09-22 에어백을 이용한 가스배관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22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3688A (ja) * 2000-06-29 2002-01-18 Tokyo Gas Co Ltd ガス遮断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ガス遮断工法
KR200275990Y1 (ko) 2002-02-08 2002-05-18 주식회사 삼천리 에어백을 이용한 가스배관 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3688A (ja) * 2000-06-29 2002-01-18 Tokyo Gas Co Ltd ガス遮断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ガス遮断工法
KR200275990Y1 (ko) 2002-02-08 2002-05-18 주식회사 삼천리 에어백을 이용한 가스배관 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8479B2 (ja) ガス配管のガス遮断方法
KR100977807B1 (ko) 배관차단용 백
KR100812215B1 (ko) 에어백을 이용한 가스배관 차단장치
KR101191394B1 (ko) 핫 태핑 스토핑머신
KR200275990Y1 (ko) 에어백을 이용한 가스배관 차단장치
CN212107461U (zh) 一种多功能供水管道开孔堵漏装置
CA2590021A1 (en) Apparatus for re-entering an abandoned well
KR100748173B1 (ko) 가스배관 연결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장치
JP3824145B2 (ja) 配管遮断方法、および、配管遮断ケース体
JP4115310B2 (ja) 管内夾雑物の排出方法及び排出具
JP2006077956A (ja) 活管分岐工法
JP4642521B2 (ja) 既設流体管の不断水制水体設置装置
EP0886099A1 (en) Method for shutting off the gas supply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such method
JP4642522B2 (ja) 既設流体管の不断水制水体設置装置
JP2006194346A (ja) サドル分水栓の交換方法およびサドル分水栓とサドル分水栓交換器との組合体
JP2002013688A (ja) ガス遮断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ガス遮断工法
KR101453496B1 (ko) 가스 배관 응급복구용 천공장치
KR100741326B1 (ko) 배관용 유체 차단기 및 이를 이용한 유체 배관의 부단 이설방법
JP7403398B2 (ja) 配管加工装置
KR100797599B1 (ko) 유체 차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임시 유체 차단방법
KR100834859B1 (ko) 배관 유체 차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시공 방법
KR100570263B1 (ko) 압착식 가스 스토퍼
KR101029526B1 (ko) 유체 차단용 분기 티이 장치
JP2008281042A (ja) 活管分岐遮断工法
KR200251631Y1 (ko) 관로 작업용 유체 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