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7807B1 - 배관차단용 백 - Google Patents

배관차단용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7807B1
KR100977807B1 KR1020090045834A KR20090045834A KR100977807B1 KR 100977807 B1 KR100977807 B1 KR 100977807B1 KR 1020090045834 A KR1020090045834 A KR 1020090045834A KR 20090045834 A KR20090045834 A KR 20090045834A KR 100977807 B1 KR100977807 B1 KR 100977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pipe
gas
fixing par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5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3801A (ko
Inventor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이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수 filed Critical 이정수
Publication of KR20090123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2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by introducing into the pipe a member expandable in situ
    • F16L55/128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by introducing into the pipe a member expandable in situ introduced axially into the pipe or h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inflatabl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4Tapping pipe walls, i.e. making connections through the walls of pipes while they are carrying fluids; Fitt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차단용 백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가스 배관 및 수도관 등 배관 공사시 가스 및 유체 등의 흐름을 차단하여 배관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배관차단용 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질소가스를 수용할 수 있는 일정공간을 가지고, 신축성이 있으며, 두겹이상으로 구비되는 백, 상기 백의 일측을 고정하고, 끝단에 배관 내부의 벽면과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베어링 및 외주면에 상기 백의 끝단과 결합하여 기밀성을 유지하는 복수개의 결합부재로 구성되는 제1 고정부, 상기 백의 타측을 고정하고, 상기 백의 타단과 결합하여 기밀성을 유지하는 복수개의 결합부재로 구성되는 제2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의 내측에 일단이 삽입되는 중심봉, 상기 중심봉의 타단과 결합되고, 상기 제2 고정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가스관, 상기 가스관의 타단에 결합되는 가스주입부 및 상기 가스주입부와 중심봉의 사이에는 상기 백의 팽창 및 수축의 속도를 조절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관 차단용 백에 의하면, 백이 여러 겹으로 구성되어 있어 배관작업 시 맨 겉에 구성된 백이 파손되더라도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고, 작업 후에도 폐기하지 않고 다른 작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경제성이 있는 큰 효과가 있는 것이다.
Figure R1020090045834
도시가스, 질소, 가스공사, 가스차단

Description

배관차단용 백{Bag for pipe isolation}
본 발명은 배관차단용 백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가스 배관 및 수도관 등 배관 공사시 가스 및 유체 등의 흐름을 차단하여 배관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배관차단용 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가스를 비롯하여 여러 분야에서 파이프로 구성되는 배관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가정에서는 도시 가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난방을 위한 연료로서 건물 및 주택에서 도시 가스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사람이 거주하는 모든 도시 또는 마을 땅속에는 도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관들이 거미줄처럼 배설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메인 가스관과, 가스를 필요로 하는 장소까지 설치된 분기 가스관을 가스공급의 중단 없이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배관을 천공한 후, 중압의 경우는 스토퍼 패킹을 저압에는 에어백이 장착된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메인 가스관을 수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가스의 흐름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위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이하, 메인 가스관의 천공 및 플러깅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메인 가스관의 중간에 소켓 하부 끝단을 용접하고, 소켓의 중간에 샌드위치 밸브를 설치한다.
샌드위치 밸브의 상부에 천공기를 설치하고, 샌드위치 밸브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천공 드릴을 하강시키고 회전시켜서 메인 가스관을 천공한다.
메인 가스관을 천공한 후, 천공 드릴을 원위치 시킴과 동시에 샌드위치 밸브를 폐쇄시켜서 천공부위를 밀폐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 가스관의 내부에 에어백을 삽입한 후 상기 에어백을 확장시키면 메인 가스관의 내부가 차단되는 것이므로 그 메인 가스관의 수리작업시 가스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가스관의 수리 작업이 완료된 후 가스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천공부위를 밀폐시켜야 하는 바, 우선 천공기 및 샌드위치 밸브를 해제하고, 소켓 상부에 플러깅 머신을 설치하여 소켓의 상부에 플러그를 틀어막는다.
이 상태에서, 메인 가스관의 수리 등을 위해서는 플러그를 제거하고 천공부분에 에어백을 삽입하여 가스흐름을 일시 차단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가스흐름을 차단하기 위하여, 소켓 안쪽으로 에어백을 투입하여 메인 가스관의 천공부위에 에어백을 삽입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가스가 공급되는 메인 가스관의 내부에만 에어백이 삽입되므로 에어백에 의해서 차단된 메인가스관에 공급된 가스가 천공부위로 누출되어 가스 폭발의 염려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에어백은 전량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1회용이기 때문에 자원낭비의 문제점이 있고, 폐기되는 에어백을 처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배관 공사 시 안전하게 공사를 할 수 있고, 여러 번 사용할 수 있어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배관 차단용 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질소가스를 수용할 수 있는 일정공간을 가지고, 신축성이 있으며, 두겹이상으로 구비되는 백, 상기 백의 일측을 고정하고, 끝단에 배관 내부의 벽면과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베어링 및 외주면에 상기 백의 끝단과 결합하여 기밀성을 유지하는 복수개의 결합부재로 구성되는 제1 고정부, 상기 백의 타측을 고정하고, 상기 백의 타단과 결합하여 기밀성을 유지하는 복수개의 결합부재로 구성되는 제2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의 내측에 일단이 삽입되는 중심봉, 상기 중심봉의 타단과 결합되고, 상기 제2 고정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가스관, 상기 가스관의 타단에 결합되는 가스주입부 및 상기 가스주입부와 중심봉의 사이에는 상기 백의 팽창 및 수축의 속도를 조절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의 최외측에는 상기 백과 결합부재 간의 결합을 더욱 완벽하게 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관 차단용 백에 의하면, 백이 여러 겹으로 구성되어 있어 배관작업 시 맨 겉에 구성된 백이 파손되더라도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고, 작업 후에도 폐기하지 않고 다른 작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경제성이 있는 큰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배관차단용 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관차단용 백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관차단용 백은, 질소가스를 수용할 수 있는 일정공간을 가지고, 신축성이 있으며, 두겹이상으로 구비되는 백(10)과, 상기 백(10)의 일측을 고정하는 제1 고정부(20)와, 상기 백(10)의 타측을 고정하는 제2 고정부(30)와, 상기 제1 고정부(20)의 내측에 일단이 삽입되는 중심봉(40)과, 상기 중심봉(40)의 타단과 결합되고, 상기 제2 고정부(30)의 내측에 구비되는 가스관(50)과, 상기 가스관(50)의 타단에 결합되는 가스 주입부(60)로 구성된다.
상기한 백(10)은 총 세 겹으로 구성되며, 상기 중심봉(40)의 외주면 측에서부터 제1 백(10a), 제2 백(10b), 제3 백(10c)로 각각 총 세 개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가스주입부(60)와 중심봉(40)의 사이에는 상기 백(10)의 팽창 및 수축의 속도를 조절하는 탄성부재(41)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41)는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중심봉(40)과 가스주입부(60)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백(10)의 팽창 및 수축의 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백(10)이 갑작스런 가스압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중심봉(40)은 유연성을 갖는 아스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배관(100)의 내부에서도 유연하게 휘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중심봉(40) 전체를 아스텔 재질로 하지 않고 중심에 중공으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중심봉(40)의 제조비 절감 및 더욱더 유연하게 휘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2 고정부(30)의 최외측에는 상기 백(10)과 결합부재(33) 간의 결합을 더욱 완벽하게 하기 위한 결합부재(70)가 더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재(70)는 가스관(70)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재(70)가 결합되기 전에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와셔(71)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가스관(50)의 외측면에는 상기 가스관(5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관(5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는 공사 또는 작업시 가스관(50)의 파손으로 외부로 유출되는 가스를 막기 위함이다.
도 3은 B-B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C"부분을 부분확대한 부분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E"부분을 부분확대한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배관 차단용 백의 형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골부(11)와 돌출부(12)를 구비하여 가스관의 직경에 따라 더 많은 팽창을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배관의 크기에 따라 "*" 형 또는 그 이상으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배관 차단용 백의 내부 구조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 고정부(20)는 끝단에 배관(100) 내부의 벽면과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베어링(24) 및 외주면에 상기 백(10)의 끝단과 결합하여 기밀성을 유지하는 복수개의 결합부재(21, 22, 23)가 결합된다.
또한, 제2 고정부(30)는 상기 백(10)의 타단과 결합하여 기밀성을 유지하는 복수개의 결합부재(31, 32, 33)가 결합된다.
상기한 제1 고정부(20)와 제2 고정부(30)는, 상기 제1 백(10a)의 양끝단과 결합부재(21, 31)로 결합되고, 상기 제2 백(10b)의 양끝단과 결합부재(22, 32)로 결합되고, 상기 제3 백(10c)의 양끝단과 결합부재(23, 33)로 결합된다. 상기 각각의 결합부재들은 너트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외에 결합수단에 의해서도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백(10a, 10b, 10c)의 표면에는 아주 미세한 크기의 천공(101a, 101b, 101c)이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백(10a, 10b, 10c)에 삽입되는 질소가스가 배관 작업이 끝나고 난 뒤에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6은 도 2의 "D"부분을 부분확대한 부분확대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백의 팽창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배관차단용 백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배관 차단용 백의 팽창에 관한 설명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사자는 배관(100)의 중간에 분기관을 만들거나 또는 파손된 배관을 수리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100)의 도중에 천공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배관(100)을 천공하게 되고, 유도관(101)을 결합한 후 상기한 배관차단용 백의 가스 주입부(60)에 질소관(103)이 구비되는 결합수단(102)를 결합하게 된다.
이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수단(102)을 가압하여 배관(100)의 내부로 밀어 넣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100)의 내부에 상기 백(10)이 안착이 되면, 질소관(103)을 통하여 상기 백(10)의 내부로 질소가스가 유입되고, 상기 배관(100)의 내경의 크기만큼 백(10)이 팽창을 하게 되면, 질소가스의 주입을 중지하는 것이다. 이후 배관(100)의 양단이 차단되면, 배관(100)을 분기하는 작업이나 파손된 배관(100)의 일부를 절개하여 새로운 관으로 접합하는 작업을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질소가스가 백(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은 상기한 질소관(103)을 통하여 가스 주입부(60)로 유입되고, 상기 가스관(50)을 통하여 유입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관(50)과 중심봉(40)의 틈으로 상기 백(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백(10)을 다중(10a, 10b, 10c)으로 하는 것은 배관(100)의 분기 작업이나 교체작업 시 용접 또는 절개 작업을 할 시 상기 백(10)의 불꽃이나 날카로운 공구에 의해 파손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백(10a)이 터지게 되더라도 내부에 제2 및 제3 백(10b. 10c)가 있으므로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배관 차단용 백은 배관공사가 끝난 후에도 내장된 질소가스를 배출한 후 다른 작업에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성이 큰 것이다.
또한, 상기 백(10)의 내부에 질소를 유입하는 것은 특히, 가스배관 작업 시 용접에 의한 불똥의 튀김으로 인해 가스가 연소하여 폭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 여 질소 가스를 주입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배관차단용 백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배관 차단용 백은 가스공사에 국한 되는 것이 아니라, 기체가 흐르는 모든 관에 널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관차단용 백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C"부분을 부분확대한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E"부분을 부분확대한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D"부분을 부분확대한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백의 팽창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배관차단용 백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백 10a : 제1 백
10b : 제2 백 10c : 제3 백
20 : 제1 고정부 30 : 제2 고정부
40 : 중심봉 50 : 가스관
60 : 가스주입부 70 : 마감부재
100 : 배관 101 : 유도관
102 : 결합수단 103 : 질소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질소가스를 수용할 수 있는 일정공간을 가지고, 신축성이 있으며, 세겹이상으로 구비되는 백(10);
    상기 백(10)의 일측을 고정하고, 끝단에 배관(100) 내부의 벽면과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베어링(24) 및 외주면에 상기 백(10)의 끝단과 결합하여 기밀성을 유지하는 세개 이상의 결합부재(21, 22, 23)가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고정부(20);
    상기 백(10)의 타측을 고정하고, 외주면에 상기 백(10)의 타단과 결합하여 기밀성을 유지하는 세개 이상의 결합부재(31, 32, 33)가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 고정부(30);
    상기 제1 고정부(20)의 내측에 일단이 삽입되는 중심봉(40);
    상기 중심봉(40)의 타단과 결합되고, 상기 제2 고정부(30)의 내측에 구비되는 가스관(50);
    상기 가스관(50)의 타단에 결합되는 가스주입부(60);
    상기 가스주입부(60)와 중심봉(40)의 사이에는 상기 백(10)의 팽창 및 수축의 속도를 조절하는 탄성부재(41) 및
    상기 제2 고정부(30)의 길이방향 최외측에는 상기 백(10)과 결합부재(33) 간의 결합을 더욱 완벽하게 하기 위한 결합부재(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차단용 백.
  5. 삭제
KR1020090045834A 2008-05-28 2009-05-26 배관차단용 백 KR100977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616 2008-05-28
KR20080049616 2008-05-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801A KR20090123801A (ko) 2009-12-02
KR100977807B1 true KR100977807B1 (ko) 2010-08-24

Family

ID=41685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834A KR100977807B1 (ko) 2008-05-28 2009-05-26 배관차단용 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78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885B1 (ko) * 2010-01-14 2010-04-12 이정수 가스배관차단 질소백조립체
CN103306313A (zh) * 2013-07-11 2013-09-18 江苏省苏中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封堵球
KR101389881B1 (ko) * 2013-08-13 2014-06-19 송은가스연구개발 주식회사 가스배관 차단 장치용 안전기능을 갖는 다기능 셈 백 및 그 제조방법
CN110185877A (zh) * 2019-05-10 2019-08-30 河北科技大学 一种可拆装式天然气管道在线堵漏装置
CN110762327B (zh) * 2019-10-21 2021-04-23 苏军 一种漏水管道修补用辅助堵水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8391A (ja) * 2000-11-29 2002-06-14 Osaka Gas Co Ltd 流体遮断用バッグ
JP2004293646A (ja) * 2003-03-26 2004-10-21 Osaka Gas Co Ltd 管内閉塞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8391A (ja) * 2000-11-29 2002-06-14 Osaka Gas Co Ltd 流体遮断用バッグ
JP2004293646A (ja) * 2003-03-26 2004-10-21 Osaka Gas Co Ltd 管内閉塞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801A (ko) 200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7807B1 (ko) 배관차단용 백
EA009188B1 (ru) Экран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выходом песка в стволе скважины
CA2779593C (en) Dual inflatable plug assembly
EA009070B1 (ru) Экран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притоком твердых частиц в ствол скважины
US10801657B2 (en) Detachable system to shut off pressure flow in pipes
KR20130090545A (ko) 비굴착보수장치 및 그 보수공법
KR101023265B1 (ko) 배관 내부의 유체 차단 장치
KR101191394B1 (ko) 핫 태핑 스토핑머신
KR101963941B1 (ko) 벌룬셔터 및 그를 포함하는 원격 배관설비 관리 시스템
US9052050B2 (en) Valve device for the assembly in in-service pipelines and the assembly procedure of said device
EP1776540B1 (en) Plugging device and method
KR200275990Y1 (ko) 에어백을 이용한 가스배관 차단장치
KR20090090670A (ko) 유선형 엠디에스 에어백
KR20190044161A (ko) 풍선 원리를 이용한 부단수 공법
KR20190120631A (ko) 유체 차단 장치
JP4115310B2 (ja) 管内夾雑物の排出方法及び排出具
JP5244573B2 (ja) 埋設パイプラインによる災害時ガス供給工法
KR102026883B1 (ko) 배관 내부 가스 유동 차단장치
KR100690957B1 (ko) 분기관 보수부재 및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KR20170101348A (ko) 부단수 차단 디스크형 헤드
KR100812215B1 (ko) 에어백을 이용한 가스배관 차단장치
KR101696844B1 (ko) 비굴착 관로 보수용 반전튜브 반전장치
JP2009127206A (ja) 流体輸送管路の凍結工法
CN102927404A (zh) 生产线上即时塞管装置及其方法
US9903521B2 (en) Upstream pipe plu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