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7599B1 - 유체 차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임시 유체 차단방법 - Google Patents

유체 차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임시 유체 차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7599B1
KR100797599B1 KR1020060008880A KR20060008880A KR100797599B1 KR 100797599 B1 KR100797599 B1 KR 100797599B1 KR 1020060008880 A KR1020060008880 A KR 1020060008880A KR 20060008880 A KR20060008880 A KR 20060008880A KR 100797599 B1 KR100797599 B1 KR 100797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valve
main pipe
shutoff device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8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8533A (ko
Inventor
이상록
Original Assignee
이상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록 filed Critical 이상록
Priority to KR1020060008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7599B1/ko
Publication of KR20070078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8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4Tapping pipe walls, i.e. making connections through the walls of pipes while they are carrying fluids; Fit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2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by introducing into the pipe a member expandable in situ
    • F16L55/128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by introducing into the pipe a member expandable in situ introduced axially into the pipe or hose
    • F16L55/132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by introducing into the pipe a member expandable in situ introduced axially into the pipe or hose the closure device being a plug fixed by radially deforming the packing
    • F16L55/134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by introducing into the pipe a member expandable in situ introduced axially into the pipe or hose the closure device being a plug fixed by radially deforming the packing by means of an inflatable p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차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임시 유체 차단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차단밸브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배관라인의 일정 위치에서 작업 등의 이유로 유체를 임시 차단하는 경우 외부로의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본관에 스톱핑 새들을 설치하고, 본관의 유체를 에어백으로 차단하며,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스톱핑 새들에 플러그를 결합하도록 하는 유체 차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임시 유체 차단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는 유체가 유동되는 본관(200)에서 분기된 스톱핑 새들(300)의 상부에 결합된 개폐밸브(400)에 하단부가 고정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단부에 밀폐캡(13)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밸브(400)를 관통해 상기 본관(200)의 내부에 위치되고, 양측에 관통공(21)이 형성된 분리대(20)와, 상기 밀폐캡(13)에 관통하여 설치되고, 외측에서 질소 또는 공기가 주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관(31) 및 상기 연결관(31)의 단부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분리대(20)의 관통공(21)을 관통해 상기 본관(200)에 위치되어 상기 연결관(31)에서 주입된 질소 또는 공기에 의해 상기 본관(200)의 유체를 차단하는 에어백(32)으로 이루어진 차단수단(30)을 포함하는 유체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내,외측관(11)(12)의 이중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외측관(11)의 하부가 상기 개폐밸브(400)에 고정되고, 상기 내측관(12)의 내경에 상기 분리대(20)가 결합되며, 상기 외측관(11)에 대해 상기 내측관(12)의 높이가 조절되는 높이조절수단(40)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유체가 유동되는 본관(200)에 스톱핑 새들(300)을 안착시킨 후 용접하는 단계와, 상기 스톱핑 새들(300)의 상부에 개폐밸브(400)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개폐밸브(400)의 상부에 천공기(500)를 설치하고, 상기 개폐밸브(400)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본관(200)에 연통공(210)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천공기(500)를 분리하고, 유체 차단장치(100)를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유체 차단장치(100)의 내부에 설치된 에어백(32)에 질소 또는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본관(200)의 유체를 차단하는 단계와, 상기 유체 차단장치(100)의 내부에 설치된 에어백(32) 사이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와, 상기 에어백(32)을 상기 개폐밸브(400)의 상측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개폐밸브(400)를 폐쇄시키는 단계와, 상기 개폐밸브(400)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상기 유체 차단장치(100)를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유체 차단장치(100)를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개폐밸브(400) 상측으로 플러그 잠금장치(700)를 결합한 후 상기 스톱핑 새들(300)의 내부를 플러그로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플러그 잠금 장치(700) 및 개폐밸브(400)를 분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체, 분리대, 차단수단

Description

유체 차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임시 유체 차단방법{Fluid isolation device and temporary fluid isolation method utilizing thereof}
도 1은 종래에 따른 본관에서 임시로 유체를 차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차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차단장치가 본관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차단장치가 본관에 설치된 상태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차단장치를 이용한 임시로 유체를 차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본관에 개폐밸브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5에서 개폐밸브에 천공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에서 본관 내부에 칩 제거기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에서 개폐밸브에 유체 차단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에서 에어백이 팽창되어 본관의 유체를 차단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9에서 에어백 사이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에서 에어백을 개폐밸브의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단계를 설명하 기 위한 도면.
도 12는 도 11에서 유체 차단장치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12에서 개폐밸브 상측에 플러그 잠금 장치를 결합한 후 스톱핑 새들에 플러그 잠금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도 13에서 플러그 잠금 장치 및 개폐밸브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유체 차단장치 10: 본체
11: 외측관 12: 내측관
13: 밀폐캡 20: 분리대
21: 관통공 22: 격벽
30: 차단수단 31: 연결관
32: 에어백 40: 높이조절수단
41: 제1플랜지 42: 제2플랜지
43: 나사부재 44: 핸들
200: 본관 210: 연통공
220: 플러그 300: 스톱핑 새들
400: 개폐밸브 500: 천공기
600: 칩 제거기 700: 플러그 잠금장치
본 발명은 유체 차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임시 유체 차단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단밸브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배관라인의 일정 위치에서 작업 등의 이유로 유체를 임시 차단하는 경우 외부로의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유체 차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임시 유체 차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관 또는 수도관 등은 도시개발에 의해 본관이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데 일정위치에서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배관라인 상에 설치된 차단밸브를 차단한 후 유체를 차단한 상태에서 작업을 하게 된다.
그러나, 차단밸브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배관라인에서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임시로 본관의 유체를 차단할 필요가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본관에서 임시로 유체를 차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본관의 유체를 임시로 차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상 부호 1은 본관, 부호 2는 새들(saddle), 부호 3은 천공기, 부호 4는 에어백, 부호 5는 플러그를 나타내고 있다.
제1단계는 유체가 유동되는 본관(1)의 일측에 새들(2)을 안착시키고 용접을 하게 된다.
상기 새들(2)이 본관(1)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본관(1)과 새들(2)은 연통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새들(2)의 내,외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단계는 상기 새들(2)의 상부에 천공기(3)를 결합하고, 상기 새들(2)과 본관(1)을 연통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천공기(3)를 설치하기 전에 별도의 개폐밸브(미도시)를 천공기(3)와 새들(2) 사이에 설치할 수도 있다.
제3단계는 천공기(3)를 새들(2)에서 분리하고, 에어백(4)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본관(1)의 유체를 차단하게 된다.
이때 작업과정에서 누설되는 유체는 작업자의 손을 이용하여 임시로 막으면서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유체의 누설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는 것이다.
제4단계는 작업자의 원하는 작업이 완료된 후 다시 유체를 유동시키기 위해서는 에어백(4)을 본관(1)에서 분리한 후 새들(2)의 상부에 플러그(5)를 결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새들(2)에 플러그(5)를 설치하게 되면, 설치과정에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기계장치로 하지 않고 작업자의 손으로 누설되는 유체를 차단하기 때문에 안전 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 적은 차단밸브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배관라인의 일정 위치에서 작업 등의 이유로 유체를 임시 차단하는 경우 외부로의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본관에 스톱핑 새들을 설치하고, 본관의 유체를 에어백으로 차단하며,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스톱핑 새들에 플러그를 결합하도록 하는 유체 차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임시 유체 차단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체가 유동되는 본관에서 분기된 스톱핑 새들의 상부에 결합된 개폐밸브에 하단부가 고정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단부에 밀폐캡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밸브를 통해 상기 본관의 내부에 위치되고, 양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분리대와, 상기 밀폐캡에 관통하여 설치되고, 외측에서 질소 또는 공기가 주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의 단부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분리대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본관에 위치되어 상기 연결관에서 주입된 질소 또는 공기에 의해 상기 본관의 유체를 차단하는 에어백으로 이루어진 차단수단을 포함하는 유체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외측관의 이중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외측관의 하부가 상기 개폐밸브에 고정되고, 상기 내측관의 내경에 상기 분리대가 결합되며, 상기 외측관에 대해 상기 내측관의 높이가 조절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삭제
또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내,외측관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1,2 플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플랜지를 관통하여 설치된 나사부 재와, 상기 제1플랜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나사부재를 회전시키는 핸들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외측관에 대해 상기 내측관이 동심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져 상기 내측관의 연결된 분리대의 관통공이 유체방향에 일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밀폐캡 상에는 상기 에어백의 팽창에 의해 상기 본관의 유체가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에어백 사이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충진되어진 유체를 배출하도록 배출밸브가 설치된 것이다.
또한, 유체가 유동되는 본관에 스톱핑 새들을 안착시킨 후 용접하는 단계와, 상기 스톱핑 새들의 상부에 개폐밸브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개폐밸브의 상부에 천공기를 설치하고, 상기 개폐밸브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본관에 연통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천공기를 분리하고, 유체 차단장치를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유체 차단장치의 내부에 설치된 에어백에 질소 또는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본관의 유체를 차단하는 단계와, 상기 유체 차단장치의 내부에 설치된 에어백 사이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와, 상기 에어백을 상기 개폐밸브의 상측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개폐밸브를 폐쇄시키는 단계와, 상기 개폐밸브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상기 유체 차단장치를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유체 차단장치를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개폐밸브 상측으로 플러그 잠금장치를 결합한 후 상기 스톱핑 새들의 내부를 플러그로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플러그 잠금 장치 및 개폐밸브를 분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천공기를 분리한 후 상기 본관 내부의 칩을 제거하도록 상기 개 폐밸브에 칩 제거기를 결합하여 상기 본관 내부의 칩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차단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부호 100은 유체 차단장치의 전체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유체 차단장치(100)는 유체가 유동되는 본관(200)에서 임시로 유체를 차단하여 작업을 하기 위한 장치로서, 본체(10), 분리대(20) 및 차단수단(30)으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는 유체가 유동되는 본관(200)에 연결된 스톱핑 새들(300)의 상부에 결합된 개폐밸브(400)에 하단부가 고정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단부에 밀폐캡(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내,외측관(11)(12)의 이중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외측관(11)의 하부가 상기 개폐밸브(400)에 고정되고, 상기 내측관(12)의 내경에 상기 분리대(20)가 결합되며, 상기 외측관(11)에 대해 상기 내측관(12)의 높이가 조절되는 높이조절수단(4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높이조절수단(40)은 상기 내,외측관(11)(12)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1,2 플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41)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플랜지(42)를 관통하여 설치된 나사부재(43)와, 상기 제1플랜지(41)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나사부재(43)를 회전시키는 핸들(44)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높이조절수단(40)에 의해 상기 스톱핑 새들(300)에 고정된 외측관(11)에 대해 내측관(12)이 상하로 승하강하면서, 본관(200) 내부에 분리대(20)가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수단(40)의 반대측에는 가이드 봉(45)이 설치되어 상기 외측관(11)에 대해 내측관(12)의 상하 유동을 안내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외측관(11)에 대해 상기 내측관(12)이 동심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져 상기 내측관(12)에 연결된 분리대(20)의 관통공(21)이 유체방향에 일치하도록 하여 상기 관통공(21)을 통해 본관(200)에 위치되는 에어백(32)이 본관(200)의 유체흐름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밀폐캡(13) 상에는 상기 에어백(32)의 팽창에 의해 상기 본관(200)의 유체가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에어백(32) 사이 및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충진되어진 유체를 배출하도록 배출밸브(14)가 더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리대(20)는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밸브(400)를 통해 상기 본관(200)의 내부에 위치되고, 양측에 관통공(21)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분리대(20)의 내부에는 중앙에 격벽(22)이 고정되어 내부 공간을 좌,우로 구획하고, 상기 구획된 공간부를 통해 각각 에어백(32)의 본관(200) 좌,우측으로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차단수단(30)은 상기 밀폐캡(13)에 관통하여 설치되고, 외측에서 질소 또는 공기가 주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관(31) 및 상기 연결관(31)의 단부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분리대(20)의 관통공(21)을 통해 상기 본관(200)에 위치되어 상기 연결관(31)에서 주입된 질소 또는 공기에 의해 상기 본관(200)의 유체를 차단하는 에어백(32)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본관(200)에 결합되는 개폐밸브(400)는 유체를 개폐하는 구조이면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지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판상의 디스크가 전,후진하면서 신속하게 유로를 폐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체 차단장치를 이용한 임시 유체 차단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1단계: 스톱핑 새들 용접단계
제1단계는 유체가 유동되는 본관(200)에 스톱핑 새들(300)을 안착시킨 후 용접하는 단계이다.
제2단계: 개폐밸브 설치단계
제2단계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톱핑 새들(300)의 상부에 개폐밸브(40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개폐밸브(400)는 핸들에 의해 내부의 디스크가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체를 개폐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제3단계: 천공단계
제3단계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밸브(400)의 상부에 천공기(500)를 설치하고, 상기 개폐밸브(400)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본관(200)에 연통공(21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천공기(500)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세한 구조는 생략한다.
또한, 이 단계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천공기(500)를 분리한 후 상기 본관(200) 내부의 칩을 제거하도록 상기 개폐밸브(400)에 칩 제거기(600)를 결합하여 상기 본관(200) 내부의 칩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칩 제거기(600)는 봉 형태로 이루어져 본관(200) 내부의 칩을 제거하도록 자석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단계: 유체 차단장치 결합단계
제4단계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천공기(500)를 분리하고, 본 발명의 유체 차단장치(100)를 결합하는 단계로서,상기 유체 차단장치(100)의 본체(10) 중 외측관(11)을 개폐밸브(400)에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내측관(12)은 개폐밸브(400)의 외측에 위치되어진 상태이며, 개폐밸브(400)를 개방함과 아울러 높이조절수단(40)을 사용하여 내측관(12)이 개폐밸브(400)를 통해 본관(20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제5단계: 본관의 유체 차단단계
제5단계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체 차단장치(100)의 내부에 설치된 에어백(32)에 질소 또는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본관(200)의 유체를 차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에어백(32)은 본관(200)의 분리대(20)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하고, 만약 분리대(20)의 관통공(21)이 유체 흐름방향으로 위치되지 않으면 에어백(32)의 팽창 의 효과를 얻을 수 없으므로 분리대(20)가 결합되어진 내측관(12)을 회전시켜 분리대(20)의 관통공(21)을 유체 흐름방향에 일치시키게 된다.
제6단계: 에어백 사이의 유체 배출단계
제6단계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체 차단장치(100)의 내부에 설치된 에어백(32) 사이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로서, 유체 차단장치(100)의 밀폐갭(13)에 형성된 배출밸브(14)를 개방함으로서, 에어백(32) 사이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본관의 유체를 임시로 차단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제7단계: 개폐밸브 폐쇄단계
제7단계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백(32)을 상기 개폐밸브(400)의 상측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개폐밸브(400)를 폐쇄시키는 단계로서, 이는 작업자가 원하는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는 본체(10)의 외측관(11)에 대해 내측관(12)을 상측으로 이송시키게 되는데, 이는 높이조절수단(40)의 핸들(44)을 회전시키게 되면 외측관(11)의 제2플랜지(42)에 관통되어진 나사부재(43)가 회전되면서 내측관(12) 및 분리대(20)가 상측으로 상승하게 되어 개폐밸브(400) 상측으로 이동됨과 아울러 에어백(32)도 상측으로 이동된다.
상기에서 에어백(32)은 탄성이 있으므로 상측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압축되면서 이동가능한 것이다.
제8단계: 유체 차단장치 분리단계
제8단계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밸브(400)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상기 유체 차단장치(100)를 분리하는 단계이다.
제9단계: 플러그 잠금 단계
제9단계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체 차단장치(100)를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개폐밸브(400) 상측으로 플러그 잠금 장치(700)를 결합한 후 상기 스톱핑 새들(300)의 내부를 플러그 잠금하는 단계이다.
상기 플러그 잠금 장치(700)는 하부에 플러그(220)가 고정된 상태이며, 상기 개폐밸브(400)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부의 핸들을 회전시키게 되면 하부에 설치된 플러그(220)가 스톱핑 새들(300)의 내경에 결합되어 플러그가 고정되는 것이다.
제10단계: 플러그 잠금 장치 및 개폐밸브를 분리하는 단계
제10단계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 잠금 장치(700) 및 개폐밸브(400)를 분리하는 단계로서, 스톱핑 새들(300)에 플러그(220)가 결합된 상태에서 개폐밸브(400) 등을 분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플러그(220)의 상측에는 안정을 위해 플러그 캡(230)을 더 씌울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유체 차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임시 유체 차단방법은 본관에 스톱핑 새들을 설치하고, 본관의 유체를 유체 차단장치의 에어백으로 차단하며,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스톱핑 새들에 플러그를 결합하도록 함으로서, 차단밸브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배관라인의 일정 위치에서 작업 등의 이유로 유체를 임시 차단하는 경우 외부로의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7)

  1. 유체가 유동되는 본관(200)에서 분기된 스톱핑 새들(300)의 상부에 결합된 개폐밸브(400)에 하단부가 고정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단부에 밀폐캡(13)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밸브(400)를 관통해 상기 본관(200)의 내부에 위치되고, 양측에 관통공(21)이 형성된 분리대(20)와, 상기 밀폐캡(13)에 관통하여 설치되고, 외측에서 질소 또는 공기가 주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관(31) 및 상기 연결관(31)의 단부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분리대(20)의 관통공(21)을 관통해 상기 본관(200)에 위치되어 상기 연결관(31)에서 주입된 질소 또는 공기에 의해 상기 본관(200)의 유체를 차단하는 에어백(32)으로 이루어진 차단수단(30)을 포함하는 유체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내,외측관(11)(12)의 이중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외측관(11)의 하부가 상기 개폐밸브(400)에 고정되고, 상기 내측관(12)의 내경에 상기 분리대(20)가 결합되며, 상기 외측관(11)에 대해 상기 내측관(12)의 높이가 조절되는 높이조절수단(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차단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40)은 상기 내,외측관(11)(12)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1,2 플랜지(41)(42)와, 상기 제1플랜지(41)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플랜지(42)를 관통하여 설치된 나사부재(43)와, 상기 제1플랜지(41)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나사부재(43)를 회전시키는 핸들(4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차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관(11)에 대해 상기 내측관(12)이 동심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져 상기 내측관(12)에 연결된 분리대(20)의 관통공(21)이 유체방향에 일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차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캡(13) 상에는 상기 에어백(32)의 팽창에 의해 상기 본관(200)의 유체가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에어백(32) 사이 및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충진되어진 유체를 배출하도록 배출밸브(1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차단장치.
  6. 유체가 유동되는 본관(200)에 스톱핑 새들(300)을 안착시킨 후 용접하는 단계와,
    상기 스톱핑 새들(300)의 상부에 개폐밸브(400)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개폐밸브(400)의 상부에 천공기(500)를 설치하고, 상기 개폐밸브(400)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본관(200)에 연통공(210)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천공기(500)를 분리하고, 유체 차단장치(100)를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유체 차단장치(100)의 밀폐캡(13)에 관통하여 설치되고, 외측에서 질소 또는 공기가 주입되는 연결관(31)의 단부에 에어백(32)이 설치되어 상기 본관(200)의 유체를 차단하는 단계와,
    상기 유체 차단장치(100)의 내부에 설치된 에어백(32) 사이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와,
    상기 에어백(32)을 상기 개폐밸브(400)의 상측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개폐밸브(400)를 폐쇄시키는 단계와,
    상기 개폐밸브(400)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상기 유체 차단장치(100)를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유체 차단장치(100)를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개폐밸브(400) 상측으로 플러그 잠금장치(700)를 결합한 후 상기 스톱핑 새들(300)의 내부를 플러그로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플러그 잠금 장치(700) 및 개폐밸브(400)를 분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유체 차단장치를 이용한 임시 유체 차단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기(500)를 분리한 후 상기 본관(200) 내부의 칩을 제거하도록 상기 개폐밸브(400)에 칩 제거기(600)를 결합하여 상기 본관(200) 내부의 칩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유체 차단방법.
KR1020060008880A 2006-01-27 2006-01-27 유체 차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임시 유체 차단방법 KR100797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880A KR100797599B1 (ko) 2006-01-27 2006-01-27 유체 차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임시 유체 차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880A KR100797599B1 (ko) 2006-01-27 2006-01-27 유체 차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임시 유체 차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533A KR20070078533A (ko) 2007-08-01
KR100797599B1 true KR100797599B1 (ko) 2008-01-24

Family

ID=38599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8880A KR100797599B1 (ko) 2006-01-27 2006-01-27 유체 차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임시 유체 차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75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629B1 (ko) * 2008-05-20 2010-06-22 강남현 유체관 라인 스토핑 장치
CN109707322A (zh) * 2018-12-08 2019-05-03 深圳市勘察研究院有限公司 一种溶洞隔离装置及应用该装置的溶洞隔离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2077A (en) * 1994-03-31 1995-10-31 Brooklyn Union Gas Co. Apparatus and method for shutting off fluid flow in a pipe main
KR20010036350A (ko) * 1999-10-07 2001-05-07 황정용 무단수 작업을 위한 제수장치
KR200275990Y1 (ko) * 2002-02-08 2002-05-18 주식회사 삼천리 에어백을 이용한 가스배관 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2077A (en) * 1994-03-31 1995-10-31 Brooklyn Union Gas Co. Apparatus and method for shutting off fluid flow in a pipe main
KR20010036350A (ko) * 1999-10-07 2001-05-07 황정용 무단수 작업을 위한 제수장치
KR200275990Y1 (ko) * 2002-02-08 2002-05-18 주식회사 삼천리 에어백을 이용한 가스배관 차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533A (ko) 200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8089B2 (en) Pipe interruption fitting
US10801657B2 (en) Detachable system to shut off pressure flow in pipes
JP4938479B2 (ja) ガス配管のガス遮断方法
KR100797599B1 (ko) 유체 차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임시 유체 차단방법
US3688801A (en) Method for replacing gas mains
CA2303756A1 (en) Plumbing testing device
JP2018178529A (ja) 凍結管及び凍結工法
KR100778553B1 (ko) 관로용 수밀시험장비
KR200275990Y1 (ko) 에어백을 이용한 가스배관 차단장치
GB211510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outing between pipes
EP00988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outing between pipes
KR101729735B1 (ko) 차집관거 물돌리기 공법용 수위상승장치
KR20060013616A (ko) 가스관 차단용 가스백 투입장치
JP3681363B2 (ja) 切替弁を用いた凍結管
KR100834859B1 (ko) 배관 유체 차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시공 방법
JPS60146606A (ja) 流体封止装置付穴明け治具
KR900008934B1 (ko) 지하 유체 저장용 공동의 충수 수밀 시공방법
KR101123124B1 (ko)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
EP0886099A1 (en) Method for shutting off the gas supply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such method
US4960155A (en) Device for permitting a first length of previously commissioned main to be extended by connecting a second length of main thereto
JP3108165U (ja) 配管の流路遮断装置
JPH03272391A (ja) 不断流無噴出で配管に閉止弁を装着する構造及び工法
JP2022170099A (ja) 枝管止水工法
JPH0124958B2 (ko)
JPH07233895A (ja) 導管遮断工法及びその実施に使用する遮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