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1807B1 - 도어록장치 및 도어록장치의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도어록장치 및 도어록장치의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1807B1
KR100811807B1 KR1020070007458A KR20070007458A KR100811807B1 KR 100811807 B1 KR100811807 B1 KR 100811807B1 KR 1020070007458 A KR1020070007458 A KR 1020070007458A KR 20070007458 A KR20070007458 A KR 20070007458A KR 100811807 B1 KR100811807 B1 KR 100811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ratchet
latch
base plat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7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8077A (ko
Inventor
마사카츠 요시쿠와
다카오 다가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긴조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긴조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긴조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78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8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8Mounting of individual lock elements in the lock, e.g.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2Lock ca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04Lock assembling or 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23Vehicle door latc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44Multiple head
    • Y10T292/1045Operating means
    • Y10T292/1047Clo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75Operating means
    • Y10T292/1082Motor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는 도어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래칫 회전축(26)은, 빠짐방지 플랜지부(261)를 가지는 기초끝측에 래칫 레버(27)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단부(262)와, 상기 제 1 단부(262)의 선단측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의 두께를 받는 제 2 단부(263)를 가지고, 제 1 단부(262)에 래칫 레버(27)를 삽입하고, 제 2 단부(263)에 베이스 플레이트(1)를 삽입한 형태로 제 2 단부(263)를 베이스 플레이트(1)에 대하여 코킹 고정하여 이루어진다. 이 결과, 래칫 회전축(26)을 베이스 플레이트(1)에 미리 설치함으로써 조립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록장치 및 도어록장치의 조립방법{DOOR LOCK DEVICE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도어록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도어록장치의 배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도어록장치의 좌측면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도어록장치의 우측면도,
도 5는 래치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
도 6은 래치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
도 7은 래치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
도 8은 래치기구의 해제조작을 나타내는 도어록장치의 정면도,
도 9는 록기구의 록상태를 나타내는 도어록장치의 정면도,
도 10은 록기구의 록상태를 나타내는 도어록장치의 정면도,
도 11은 도 1에 나타내는 도어록장치를 정면측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1에 나타내는 도어록장치를 배면측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13은 베이스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록 레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록 레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키 레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링크 레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8은 링크 레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9는 래칫 회전축의 조립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0은 록 레버와 키 레버의 조립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1은 록 레버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조립을 나타내는 배면도,
도 22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액츄에이터의 조립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3은 베이스 플레이트와 액츄에이터의 조립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4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액츄에이터의 조립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 플레이트 11 : 기판
111 : 래치 베어링 구멍 112 : 래칫 베어링 구멍
113 : 록 레버 베어링 구멍 113a : 삽입구멍부
113b : 베어링 구멍부 114 : 회동 규제구멍
12 : 측판 121 : 삽입편
121a : 제 1 삽입편 121b : 제 2 삽입편
122 : 나사 구멍 21 : 래치 바디
21a : 개구 211 : 수평 잘림홈
212 : 지지축 22 : 래치
221 : 맞물림홈 222 : 후크부
223 : 걸어멈춤부 23 : 래칫
231 : 걸어맞춤부 232 : 작용부
24 : 커버 플레이트 241 : 수평 잘림홈
25 : 래치 회전축 251 : 빠짐방지 플랜지부
252 : 제 1 단부 253 : 제 2 단부
26 : 래칫 회전축 261 : 빠짐방지 플랜지부
262 : 제 1 단부 263 : 제 2 단부
264 : 제 3 단부 27 : 래칫 레버
271 : 연결단부 272 : 작용단부
273 : 가압단부 274 : 베어링 구멍
31 : 오픈 레버 311 : 한쪽 오픈작용단부
311a : 축 구멍 312 : 다른쪽 오픈작용단부
32 : 링크 레버 321 : 제 1 연결축
321a : 걸어멈춤 돌기 322 : 제 2 연결축
322a : 걸어멈춤 돌기 322b : 걸어멈춤 포올
323 : 작동부 324 : 긴 구멍
33 : 인사이드 핸들 레버 33a : 베어링 구멍
331 : 연계단부 332 : 맞닿음단부
34 : 오픈 레버 스프링 35 : 오픈 로드
351 : 긴 구멍 36 : 레버 회전축
361 : 설치 나사 41 : 록 레버
411 : 록 레버 회전축 411a : 막대 형상부
411b : 플랜지부 411c : 축 구멍
412 : 걸어맞춤 구멍 413 : 걸어맞춤편
414 : 잘림홈 415 : 베어링
415b : 걸어멈춤편 415a : 지지편
416 : 규제 돌출부 42 : 키 레버
421 : 키 레버 회전축 421a : 막대 형상부
421b : 플랜지부 421c : 축 구멍
422 : 걸어맞춤편 423 : 돌기편
51 : 액츄에이터 511 : 록작동 레버
512 : 키조작 검출 레버 513 : 삽입구멍
514 : 홈부 A : 코킹구
S : 스트라이커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록장치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도어록장치에서는 래치와 래칫을 수용부의 개구부로부터 수용하고, 상기 수용부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커버와, 베이스와의 사이에서 수용부 를 끼우도록 하여 래치와 래칫의 축이 되는 각 샤프트를 통하여 코킹 고정하고 있다. 또 래칫의 샤프트에는 래칫에 걸어 맞추어져 따라 회전하는 래칫 레버가 설치되어 있다. 이 래칫 레버는, 베이스의 바깥쪽에 배치하고 있다.
종래에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래칫 샤프트의 중간부분에 플랜지부를 설치하고, 커버측과 베이스측의 양쪽으로부터 샤프트의 양쪽 끝을 코킹 고정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래칫 및 래칫 레버(특허문헌 1에서는, 록킹 플레이트)의 샤프트축방향의 유극을 억제하려고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11-2056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도어록장치에서는 래칫의 샤프트의 양쪽 끝을 코킹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장치를 뒤집으면서 조립이나 코킹 고정을 행하게 된다. 이 때문에 조립 작업성에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조립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는 도어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도어록장치는, 한쪽의 면이 개구하는 수용부에 래치 및 래칫을 수용하고 있고, 상기 수용부의 개구를 폐쇄하는 커버 플레이트와 수용부의 다른쪽 면을 붙인 베이스 플레이트와의 사이에서 수용부를 끼운 형태로 하여 래치를 지지하는 래치 회전축, 및 래칫을 지 지하는 래칫 회전축을 관통하고 있고, 또한 래칫과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래칫 레버를 베이스 플레이트의 바깥쪽의 위치에서 래칫 회전축에 지지한 도어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래칫 회전축은, 빠짐방지 플랜지부을 가지는 기초끝측에 상기 래칫 레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단부와, 상기 제 1 단부의 선단측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두께를 받는 제 2 단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단부에 래칫 레버를 삽입하고, 상기 제 2 단부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삽입한 형태로 상기 제 2 단부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코킹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한 도어록장치의 조립방법은, 한쪽 면이 개구하는 수용부에 래치 및 래칫을 수용하고 있고, 상기 수용부의 개구를 폐쇄하는 커버 플레이트와 수용부의 다른쪽 면을 붙인 베이스 플레이트와의 사이에서 수용부를 끼운 형태로 하여 래치를 지지하는 래치 회전축, 및 래칫을 지지하는 래칫 회전축을 관통하고 있고, 또 래칫과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래칫 레버를 베이스 플레이트의 바깥쪽의 위치에서 래칫 회전축에 지지한 도어록장치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래칫 레버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래칫 회전축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삽입하여 상기 래칫 회전축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코킹 고정하는 한편, 상기 래칫 회전축과 동일방향을 향하는 래치 회전축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붙이는 형태로 래칫 회전축 및 래치 회전축에 대하여 수용부를 삽입하고, 각 회전축에 래치와 래칫을 삽입한 후에 상기 수용부의 개구를 폐쇄한 커버 플레이트의 바깥쪽으로부터 각 회전축의 선단을 코킹 고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도어록장치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도어록장치는, 예를 들면 차량에 대하여 도어를 폐쇄상태로 유지하고, 또한 도어의 폐쇄상태를 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도어록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도어록장치의 배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도어록장치의 좌측면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도어록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예시하는 도어록장치는, 4륜 자동차의 오른쪽 앞좌석에 배치된 앞쪽 힌지의 도어에 설치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록장치는, 래치기구와 록기구가 베이스 플레이트(1)를 기초부로서 설치하고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는, 예를 들면 판금을 구부리거나 천공하여 형성한 것으로, 앞쪽(차량 본체의 앞쪽)에 대면하는 기판(11)과, 이 기판(11)의 측부에서 정면측으로 돌출하도록 대략 직각으로 구부린 측판(12)으로 이루어지고, 주단면이 대략 L 자형상을 하고 있다.
래치기구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성수지에 의하여 성형한 래치 바디(수용부)(21)를 가지고 있다. 래치 바디(2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면(한쪽 면)에 개구(21a)를 가지고, 상기 개구(21a)로부터 래치(22)와 래칫(23)을 수용하여 개구(21a)를 커버 플레이트(24)로 폐쇄하고 있다. 또 래치 바디(21)는, 대략 중앙이 되는 위치에, 차량 실내측을 향하여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잘림홈(211)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래치 바디(21)의 정면(다른쪽 면)은, 베이스 플레이트(1)의 기판(11)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커버 플레이트(24) 는, 래치 바디(21)와 마찬가지로 수평 잘림홈(241)을 가지고 있다.
래치(22) 및 래칫(23)은, 종전의 것과 마찬가지로, 4륜 자동차의 차량 본체측에 설치한 스트라이커(S)(도 5∼도 7참조)를 맞물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치(22)는 래치 바디(21)의 수평 잘림홈(211)보다 윗쪽이 되는 위치에, 차량 본체의 전후방향을 따라 대략 수평으로 연장하는 래치 회전축(25)을 거쳐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것으로, 맞물림홈(221), 후크부(22) 및 걸어 멈춤부(223)를 가지고 있다.
맞물림홈(221)은, 래치(22)의 바깥 둘레면으로부터 래치 회전축(25)을 향하여 형성한 것으로, 스트라이커(S)를 수용할 수 있는 폭으로 형성하고 있다.
후크부(22)는, 래치 회전축(25)을 중심으로 하여 래치(22)를 회동시켜 맞물림홈(221)을 아래쪽을 향하여 개구시킨 경우에, 상기 맞물림홈(221)보다 실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이 후크부(22)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치(2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 경우에 래치 바디(21)의 수평 잘림홈(211)을 가로지르는 위치(풀래치위치)에서 정지한다. 한편, 후크부(22)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치(22)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 경우에 수평 잘림홈(211)을 개방하는 위치(개방 위치)에서 정지한다.
걸어 멈춤부(223)는, 래치 회전축(25)을 중심으로 하여 래치(22)를 회동시키고, 맞물림홈(221)을 아래쪽을 향하여 개구시킨 경우에 상기 맞물림홈(221)보다 실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이 걸어 멈춤부(223)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치(22)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 경우에 수평 잘림홈(211)을 가로 지르고, 또한 상기 수평 잘림홈(211)의 안길이쪽(실외측)을 향하여 점차 윗쪽으로 경사지는 상태에서 정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면에는 명시하고 있지 않으나, 래치(22)와 래치 바디(21) 사이에는, 도 5∼도 7에서 래치(22)를 항상 시계방향을 향하여 가세하는 래치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래칫(23)은, 래치 바디(21)의 수평 잘림홈(211)보다 아래쪽에서, 또한 래치 회전축(25)보다 실내측이 되는 위치에, 차량 본체의 전후방향을 따라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래칫 회전축(26)을 거쳐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것으로, 걸어맞춤부(231) 및 작용부(232)를 가지고 있다.
걸어맞춤부(231)는, 래칫 회전축(26)으로부터 실외측을 향하여 지름 바깥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이 걸어맞춤부(231)는, 래칫(23)이 도 5 내지 도 7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 경우에 그 단면을 거쳐 상기한 래치(22)의 후크부(22) 및 걸어 멈춤부(223)에 걸어 맞추는 것이 가능하다.
작용부(232)는, 래칫 회전축(26)으로부터 실내측을 향하여 지름 바깥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이 작용부(232)는 래칫 레버(27)와 연결하고 있다. 래칫 레버(27)는 베이스 플레이트(1)의 기판(11)의 앞쪽(차량 본체의 앞쪽)에 설치하고 있고, 래칫 회전축(26)의 축심 주위로 회동하는 것이다. 즉, 래칫(23) 및 래칫 레버(27)는, 서로 일체가 되어 래칫 회전축(26)의 축심 주위로 회동한다. 또 도면에는 명시하고 있지 않으나, 래칫(23)과 래치 바디(21) 사이에는, 도 5 내지 도 7에서 래칫(23)[및 래칫 레버(27)]을 항상 반시계방향을 향하여 가세하는 래칫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래치기구에서는 도어가 차량 본체에 대하여 개방상태에 있는 경우,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치(22)가 개방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이 상태로부터 도어를 폐쇄동작시키면, 차량 본체측에 설치한 스트라이커(S)가 래치(22)의 걸어 멈춤부(223)에 맞닿게 된다. 이 결과, 래치(22)가 래치 스프링(도시 생략)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그 사이 래칫(23)은 래칫 스프링(도시 생략)의 탄성력에 의하여 걸어맞춤부(231)의 끝면이 래치(22)의 바깥 둘레면에 미끄럼 접촉하게 되고, 상기 래치(22)의 바깥 둘레면 형상을 따라 적절하게 래칫 회전축(26)의 축심 주위로 회동한다.
그리고 상기한 상태에서 다시 도어를 폐쇄동작하면, 수평 잘림홈(211)에 대한 스트라이커(S)의 진입량이 점차 증대하기 때문에, 스트라이커(S)에 밀린 래치(22)가 반시계방향으로 더욱 회동한다. 이윽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치(22)의 맞물림홈(221)이 래칫(23)의 걸어맞춤부(231)에 이른다. 이 상태에서는 래치(22)의 걸어 멈춤부(223)가 래칫(23)의 걸어맞춤부(231)의 끝면에 맞닿음게 되기 때문에, 래치 스프링(도시 생략)의 탄성 복원력에 저항하여 상기 래치(22)의 시계방향의 회동이 저지되게 된다. 또한 래치(22)의 후크부(22)가 수평 잘림홈(211)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후크부(22)에 의하여 스트라이커(S)가 수평 잘림홈(211)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태, 즉 도어의 차량 본체에 대한 개방동작이 저지되게 된다(하프 래치상태).
계속해서 하프 래치상태로부터 도어를 다시 폐쇄동작시키면 수평 잘림홈(211)을 진입하는 스트라이커(S)에 의하여 걸어 멈춤부(223)를 거쳐 래치(22)가 반시계방향으로 다시 회동한다. 이윽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S)가 수평 잘림홈(211)에 이른다. 그 사이 래칫(23)은 걸어맞춤부(231)의 상면에 래치(22)의 후크부(22)가 맞닿음으로써 래칫 스프링(도시 생략)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래치(22)의 후크부(22)가 통과한 시점에서 래칫 스프링(도시 생략)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즉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 결과,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치(22)의 후크부(22)가 래칫(23)의 걸어맞춤부(231)의 끝면에 맞닿게 되기 때문에, 래치 스프링(도시 생략)의 탄성 복원력에 저항하여 상기 래치(22)의 시계방향의 회동이 저지되게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도 래치(22)의 후크부(222)가 수평 잘림홈(211)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후크부(22)에 의하여 스트라이커(S)가 수평 잘림홈(211)의 안길이쪽(실외측)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태가 저지되게 되어, 결국 도어가 차량 본체에 대하여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풀래치상태).
또한 상기한 풀래치상태로부터 래칫 스프링(도시 생략)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래칫(23)의 작용부(232) 또는 래칫 레버(27)를 래칫 회전축(26)의 축심에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의하여 래치(22)의 후크부(22)와 래칫(23)의 걸어맞춤부(231)와의 맞닿음 걸어맞춤상태가 해제되고, 래치(22)가 래치 스프링(도시 생략)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결과,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 잘림홈(211)이 개방되고, 스트라이커(S)가 수평 잘림홈(211)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도어를 차량 본체에 대하여 개방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래칫 레버(27)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칫 회전축(26)을 거쳐 베이스 플레이트(1)의 기판(11)의 정면측에서 래칫 회전축(26)을 축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래칫(23)의 작용부(232)와 연결하는 연결단부(271)와, 해제수단에 관계되는 작용단부(272) 및 가압단부(273)를, 래칫 회전축(26)의 지름 바깥방향으로 연장하여 가지고 있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의 기판(11)의 앞쪽(차량 본체의 앞쪽)에는, 해제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해제수단은, 상기한 래칫 레버(27)를 도 5 내지 도 7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래치기구의 풀래치상태 또는 하프 래치상태를 해제하여 도어를 차량 본체에 대하여 개방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픈 레버(31), 링크 레버(32) 및 인사이드 핸들 레버(33)를 가지고 있다.
오픈 레버(3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의 기판(11)의 정면측에서 윗쪽에 설치하고 있다. 오픈 레버(31)는, 기판(11)에 대하여 래치 회전축(25)을 거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래치 회전축(25)에는 오픈 레버 스프링(34)이 권장되어 있다. 오픈 레버 스프링(34)은, 한쪽 끝이 베이스 플레이트(1)측에 걸어 맞춰져 있고, 다른쪽 끝이 오픈 레버(31)측에 걸어 맞춰져 있다. 이에 의하여 오픈 레버 스프링(34)은, 오픈 레버(31)를 도 1에서 항상 시계방향을 향하여 가세한다.
오픈 레버(31)는, 판금으로 이루어지고 한쪽의 오픈작용단부(311) 및 다른쪽의 오픈작용단부(312)를 가지고 있다. 한쪽의 오픈작용단부(311)는, 도 1에서 왼 쪽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이 한쪽의 오픈작용단부(311)는 도어의 바깥쪽(차량 실외측)에 배치한 도어 핸들로서의 아웃사이드 핸들(도시 생략)의 개방조작에 관계된다. 또 다른쪽의 오픈작용단부(312)는, 도 1에서 오른쪽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1)의 측판(12)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이 다른쪽의 오픈작용단부(312)는, 도어의 안쪽(차량 실내측)에 배치한 도어 핸들로서의 인사이드 핸들(도시 생략)의 개방조작에 관계된다. 또한 오픈 레버 스프링(34)에 의하여 가세된 오픈 레버(31)는, 다른쪽의 오픈작용단부(312)가 베이스 플레이트(1)측에 고정의 구성부[본 실시형태에서는 래치 바디(21)의 일부]에 맞닿은 상태에서 그 회동이 규제되고 있다.
링크 레버(32)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도 1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의 기판(11)의 왼쪽에서 윗쪽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직사각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링크 레버(32)의 상단부는, 오픈 레버(31)의 한쪽의 오픈작용단부(311)에 대하여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링크 레버(32)의 상단부의 정면(한쪽 면)에는, 제 1 연결축(321)이 설치되어 있다. 링크 레버(32)는, 제 1 연결축(321)을 거쳐 한쪽의 오픈작용단부(311)에 대하여 축 지지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크 레버(32)의 상단부의 배면(다른쪽 면)에는, 제 2 연결축(322)이 설치되어 있다. 링크 레버(32)는, 제 2 연결축(322)을 거쳐 아웃사이드 핸들(도시 생략)에 연계하는 오픈 로드(35)의 긴 구멍(351)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 맞추어져 있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크 레버(32)의 오른쪽부에는 작동부(323)가 옆쪽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이 작동부(323)는, 래칫 레버(27)의 작용단부(272) 및 가압단부(273)에 관계된다. 또 링크 레버(32)의 하 단부에는 호형상의 긴 구멍(324)이 설치되어 있다. 이 긴 구멍(324)은, 뒤에서 설명하는 록기구측에 걸어 맞춰져 있다.
인사이드 핸들 레버(33)는 판금으로 이루어지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의 측판(12)에 설치된 레버 회전축(36)의 축심 주위로 회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연계단부(331)와 맞닿음단부(332)를 가지고 있다. 연계단부(331)는, 도 3에서 윗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부분으로, 도시 생략한 케이블을 거쳐 인사이드 핸들(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맞닿음단부(332)는, 도 1에 나타내는 오픈 레버(31)의 다른쪽의 오픈작용단부(312)를 향하여 연장되는 부분으로, 인사이드 핸들 레버(33)가 도 3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한 경우에 다른쪽의 오픈작용단부(312)에 맞닿아 오픈 레버(31)를 도 1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해제수단은, 래치기구가 도 6에 나타내는 하프 래치상태 또는 도 7에 나타내는 풀래치상태에 있을 때, 아웃사이드 핸들이 개방조작되어 오픈 로드(35)가 도 1에서 아래쪽으로 밀린 경우, 또는 인사이드 핸들이 개방조작되어 인사이드 핸들 레버(33)가 도 3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한 경우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픈 레버(31)가 오픈 레버 스프링(34)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와 같이 오픈 레버(3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한쪽의 오픈작용단부(311)의 회동궤적을 따라 링크레버(32)가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링크 레버(32)는, 상단부가 제 1 연결축(321)에 의하여 한쪽의 오픈작용단부(311)에 축 지지되고, 또한 하단부의 긴 구멍(324)에 의하여 안내된 상태에서 아 래쪽을 향하여 평행이동한다. 이 이동에 따라 링크 레버(32)의 작동부(323)가 래칫 레버(27)의 작용단부(272)에 맞닿으면서 상기 래칫 레버(27)를 래칫 회전축(26)의 중심에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렇게 하면 래칫 레버(27) 및 래칫(23)이 일체로 회동하여,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치기구의 래치(22)의 후크부(22)와, 래칫(23)의 걸어맞춤부(231)와의 맞닿음 걸어맞춤상태를 해제하고, 도어를 차량 본체에 대하여 개방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아웃사이드 핸들이 개방조작되어 오픈 로드(35)가 도 1에서 아래쪽으로 밀린 경우,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픈 레버(3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나[도 8에서 오픈 로드(35)는 불작동], 이때 오픈 레버(31)의 다른쪽의 오픈작용단부(312)가 인사이드 핸들 레버(33)의 맞닿음단부(332)로부터 이간되도록 이동한다. 따라서 아웃사이드 핸들의 개방조작이 인사이드 핸들측에 영향을 미치는 사태를 방지하고 있다. 또 인사이드 핸들이 개방조작되어 인사이드 핸들 레버(33)가 도 3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한 경우,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픈 레버(3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나, 이때 오픈 로드(35)에 설치한 긴 구멍(351)에 의하여 오픈 레버(31)의 회동이 오픈 로드(35)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인사이드 핸들의 개방조작이 아웃사이드 핸들측에 영향을 미치는 사태를 방지하고 있다.
록기구는 상기한 해제수단의 작용을 래칫 레버(27)에 전달 불가능하게 하여 래치기구의 풀래치상태를 록(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 레버(41) 및 키 레버(42)를 가지고 있다.
록 레버(41)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의 기판(11)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다. 록 레버(41)는, 록 레버 회전축(411)을 가지고, 이 록 레버 회전축(411)을 기판(1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록 레버(41)는, 대략 L자형상을 하고 있고, 그 한쪽 끝이 도 1에서 오른쪽으로 연장되고, 다른쪽 끝이 대략 윗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록 레버(41)의 한쪽 끝에는 걸어맞춤구멍(41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걸어맞춤구멍(412)에 록작동 레버(511)가 삽입 걸어맞춰져 있다. 이 록작동 레버(511)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의 측판(12)에 고정한 액츄에이터(51)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도어의 안쪽(차량 실내측)에 설치한 록조작부(도시 생략)에 연계되어 있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 레버(41)의 다른쪽 끝에는 걸어맞춤편(413)이 설치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편(413)은 해제수단의 링크 레버(32)에 설치한 긴 구멍(324)에 삽입 걸어맞춰져 있다. 또한 도면에는 명시하지 않으나, 록 레버(41)는 도 1에서 록 레버 회전축(411)을 축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였을 때, 그 회동한 상태를 스프링에 의하여 유지하도록 가세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스프링에 래칫(23)[및 래칫 레버(27)]의 회동방향을 항상 가세하는 도시 생략한 래칫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다.
키 레버(42)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 레버(41)에 겹친 형태로 베이스 플레이트(1)의 기판(11)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다. 키 레버(42)는, 키 레버 회전축(421)을 가지고, 이 키 레버 회전축(421)을 록 레버(4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키 레버 회전축(421), 록 레버 회전축(411)과 동일 축심상에 배치되어 있다. 키 레버(42)는 도 1에서 왼쪽으 로 연장되는 한쪽 끝에, 도어의 바깥쪽(차량 실외측)에 설치한 도시 생략한 키 실린더에 연계하는 키 로드(도시 생략)가 연결되어 있다. 또 키 레버(42)는 도 1에서 오른쪽으로 연장되는 다른쪽 끝에 설치한 걸어맞춤편(422)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51)에 설치한 키 조작 검출 레버(512)가 연결되어 있다. 또 키 실린더(도시 생략)에는 키를 꽂는 키 구멍을 항상 소정의 방향(중립위치)으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연계하여 키 레버(42)는 도 1에 나타내는 소정의 회동위치가 되도록 규제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 레버(41)에는, 록 레버 회전축(411)의 축주위를 따라 잘림홈(414)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키 레버(42)에는 잘림홈(414)에 걸어 맞추는 돌기편(42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잘림홈(414)에의 돌기편(423)의 걸어맞춤은, 각 레버(41, 42)의 회동방향으로 소정의 유극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록기구는, 도어가 차량 본체에 대하여 폐쇄상태에 있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치기구가 풀래치상태에 있을 때, 도어의 안쪽(차량 실내측)으로부터 록조작부(도시 생략)의 조작 또는 액츄에이터(51)에 의하여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 레버(41)가 록 레버 회전축(411)을 축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한 경우에, 걸어맞춤편(413)의 회동궤적을 따라 링크 레버(32)가 회동한다. 링크 레버(32)는, 상단부가 제 1 연결축(321)에 의하여 한쪽의 오픈작용단부(311)에 축 지지되고, 또한 하단부의 긴 구멍(324)에 록 레버(41)의 걸어맞춤편(413)이 걸어맞춰진 상태에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연결축(321)을 축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링크 레버(3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링크 레버(32)의 작동부(323)가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해제수단을 동작시키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크 레버(32)가 평행 이동하나, 작동부(323)는 래칫 레버(27)의 작용단부(272)에 맞닿는 일이 없고, 래치(22)의 후크부(22)와 래칫(23)의 걸어맞춤부(231)의 맞닿음 걸어맞춤상태도 해제되지 않는다. 이 결과, 도어가 차량 본체에 대하여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게 되고, 차량을 자물쇠를 잠그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록상태). 또한, 도어의 바깥쪽(차량 실외측)으로부터 키의 조작에 의하여 키 레버(42)가 도 1에서 키 레버 회전축(421)을 축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한 경우에도 록 레버(41)가 록 레버 회전축(411)을 축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상기한 록상태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록상태로부터 도어의 안쪽(차량 실내측)에서 록조작부의 조작, 또는 액츄에이터(51)에 의하여 록 레버(41)가 록 레버 회전축(411)을 축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 경우에, 걸어맞춤편(413)의 회동궤적에 따라 링크 레버(32)가 회동한다. 링크 레버(32)는, 상단부가 제 1 연결축(321)에 의하여 한쪽의 오픈작용단부(311)에 축 지지되고, 또한 하단부의 긴 구멍(324)에 록 레버(41)의 걸어맞춤편(413)이 걸어맞춰진 상태에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연결축(321)을 축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링크 레버(32)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링크 레버(32)의 작동부(323)가 왼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해제수단을 동작시키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행 이동한 링크 레버(32)의 작동부(323)가 래칫 레버(27)의 작용단부(272)에 맞닿아 래치(22)의 후크부(22) 와 래칫(23)의 걸어맞춤부(231)의 맞닿음 걸어맞춤상태를 해제하고, 도어를 차량 본체에 대하여 개방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언록상태). 또한 도어의 바깥쪽(차량 실외측)으로부터 키의 조작에 의하여 키 레버(42)가 도 1에서 키 레버 회전축(421)을 축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 경우에도 연동하여 록 레버(41)가 록 레버 회전축(411)을 축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상기한 언록상태로 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서의 도어록장치에서는 도어가 차량 본체에 대하여 개방상태에 있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치(22)가 개방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록 조작부의 조작에 의하여 록기구를 록상태로 한다(도 9 참조). 여기서는 링크 레버(32)의 작동부(323)가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래칫 레버(27)의 가압단부(273)에 대면한다. 이 상태로부터 도어를 폐쇄동작시키면 스트라이커(S)에 맞닿은 래치(22)가 도 9에 나타내는 풀래치상태를 향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때문에 래칫(23)은 걸어맞춤부(231)의 끝면이 래치(22)의 바깥 둘레면에 미끄럼 접촉하여 도 9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래칫 레버(27)도 마찬가지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렇게 하면 래칫 레버(27)의 가압단부(273)가 링크 레버(32)의 작동부(323)를 왼쪽으로 밀리기 때문에 링크 레버(3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록 레버(4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록기구가 언록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즉, 키를 차량 실내에 둔 상태에서 록 조작부의 조작으로 록기구를 록상태로 하여도, 도어의 폐쇄동작으로 록기구가 언록상태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키를 차량 실내에 가두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셀프 캔슬기구). 한편 도어가 차량 본체 에 대하여 개방상태에 있고, 록조작부의 조작에 의하여 록기구를 록상태로 하였을 때(도 9 참조), 아웃사이드 핸들 또는 인사이드 핸들를 개방조작하여 해제수단을 동작시키면 링크레버(32)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행 이동하여, 작동부(323)가 래칫 레버(27)의 가압단부(273)로부터 이간된다. 이 상태로부터 도어를 폐쇄동작시킨 경우에는, 래칫 레버(27)의 가압단부(273)가 링크 레버(32)의 작동부(323)에 맞닿지 않기 때문에, 록상태 그대로 도어를 폐쇄상태로 할 수 있다(키 리스기구).
또한 록 레버(41)가 록 레버 회전축(411)을 축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였을 때, 록 레버(41)의 잘림홈(414)과 키 레버(42)의 돌기편(423)과의 걸어맞춤에 유극이 있기 때문에, 키 레버(42)가 록 레버(41)와 함께 회동하는 일은 없다. 이 결과, 도어의 안쪽(차량 실내측)으로부터 록 조작부의 조작, 또는 액츄에이터(51)에 의하여 록 레버(41)가 록 레버 회전축(411)을 축심으로 회동한 경우에, 키 실린더(도시 생략)의 키 구멍의 방향이 바뀌는 사태를 방지하고 있다.
이하, 상기한 도어록장치의 조립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도 1에 나타내는 도어록장치를 정면측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1에 나타내는 도어록장치를 배면측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13은 베이스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 및 도 15는 록 레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키 레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 및 도 18은 링크 레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9는 래칫 회전축의 조립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0은 록 레버와 키 레버와의 조립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1은 록 레버와 베이스 플레이트와의 조립을 나타내는 배면도, 도 22 내지 도 24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액츄에이터의 조립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여기서 도어록장치의 조립에 관한 주된 부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치 회전축(25)은, 빠짐방지 플랜지부(251)를 가지는 기초끝측에, 오픈 레버(31)의 두께를 받아 상기 오픈 레버(3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단부(252)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래치 회전축(25)은, 제 1 단부(252)의 선단측에 베이스 플레이트(1), 래치 바디(21) 및 커버 플레이트(24)를 적층한 두께를 받으면서, 래치 바디(21)와 커버 플레이트(24)의 사이에서 래치(2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단부(253)를 가지고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칫 회전축(26)은, 빠짐방지 플랜지부(261)를 가지는 기초끝측에, 래칫 레버(27)의 두께를 받아 상기 래칫 레버(27)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단부(262)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래칫 회전축(26)은, 제 1 단부(262)의 선단측에, 베이스 플레이트(1)의 두께를 받는 제 2 단부(263)를 가지고 있다. 또한 래칫 회전축(26)은, 제 2 단부(263)의 선단측에, 래치 바디(21) 및 커버 플레이트(24)를 적층한 두께를 받으면서 래치 바디(21)와 커버 플레이트(24) 사이에서 래칫(2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3 단부(264)를 가지고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는, 기판(11)에서 래치 회전축(25)을 삽입하는 래치 베어링 구멍(111)과, 래칫 회전축(26)을 삽입하는 래칫 베어링 구멍(l12)을 가지고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는, 기판(11)에서 록 레버(4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록 레버 베어링 구멍(l13)을 가지고 있다. 록 레버 베어링 구멍(l13)은 록 레버(41)의 록 레버 회전축(41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록 레버 베어링 구멍(113)은, 록 레버 회전축(411)을 삽입하는 삽입 구멍부(113a)와, 상기 삽입 구멍부(113a)에 연달아 설치하여 삽입 구멍부(113a)보다 내경이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어 록 레버 회전축(41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구멍부(113b)을 가지고 있다. 또 베이스 플레이트(1)는, 기판(11)에서 록 레버 베어링 구멍(113)의 근방에 록 레버(41)에 관계되는 회동 규제구멍(114)을 가지고 있다.
또,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는, 측판(12)에서 액츄에이터(51)를 설치하기 위한 삽입편(121)을 가지고 있다. 이 삽입편(121)은, 측판(12)의 끝가장자리로부터 기판(11)에 대하여 대략 평행이 되도록 기판(11)측으로 구부린 제 1 삽입편(121a)과, 상기 제 1 삽입편(121a)의 선단으로부터 다시 기판(11)에 대하여 대략 평행이 되도록 기판(11)측으로 연장한 한 쌍의 제 2 삽입편(121b)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는, 측판(12)에서 액츄에이터(51) 및 인사이드 핸들 레버(33)를 설치하기 위한 나사구멍(122)을 가지고 있다. 이 나사 구멍(122)은, 삽입편(121)이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방향으로 뒤에서 설명하는 체결부재를 이루는 설치 나사(361)를 비틀어 넣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 레버(41)는, 베이스 플레이트(1)에 대치하는 배면측에 록 레버 회전축(411)을 가지고 있다. 록 레버 회전축(411)은, 록 레버(41)에 일체로 연장하여 설치한 원주형상의 막대 형상부(411a)의 선단에 상기 막대형상부(411a)의 지름 바깥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411b)를 가지고 있다. 또 한 록 레버 회전축(411)은, 막대형상부(411a)의 중심(축심)을 따라 관통한 축 구멍(411c)을 가지고 있다. 또한 록 레버 회전축(411)의 플랜지부(411b)는, 베이스 플레이트(1)에서의 록 레버 베어링 구멍(113)의 삽입 구멍부(113a)에 삽입 가능한 외경을 이루고, 록 레버 회전축(411)의 막대형상부(411a)는, 록 레버 베어링 구멍(113)의 베어링 구멍부(113b)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외경을 이루고 있다.
또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 레버(41)는, 키 레버(42)가 대치하는 정면측에 베어링(415)을 가지고 있다. 이 베어링(415)은 키 레버(42)의 키 레버 회전축(421)을 자신의 록 레버 회전축(411)과 동일 축심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베어링(415)은 록 레버 회전축(411)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록 레버(41)에 일체로 배치한 갈고리형상체로서, 록 레버 회전축(411)의 축심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지지편(415a)과, 상기 지지편(415a)의 상단으로부터 축심을 향하여 연장된 걸어멈춤편(415b)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어링(415)은 축심에 직교하는 소정방향으로만 개방하는 형태로, 록 레버 회전축(411)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배치하고 있다. 또한 베어링(415)은 축심에 직교하는 소정방향으로만 개방하는 형태이면 록 레버 회전축(411)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 레버(41)는, 배면측을 향하여 연장된 규제 돌출부(416)를 가지고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키 레버(42)는 록 레버(41)에 대치하는 배면측 에 키 레버 회전축(421)을 가지고 있다. 키 레버 회전축(421)은, 키 레버(42) 일체로 연장하여 설치한 원주형상의 막대형상부(421a)의 선단에 상기 막대형상부(421a)의 지름 바깥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421b)를 가지고 있다. 또한 키 레버 회전축(421)은, 막대형상부(421a)의 중심(축심)을 따라 관통한 축 구멍(421c)을 가지고 있다. 이 축 구멍(421c)은, 록 레버(41)에 설치한 축 구멍(411c)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고 있다. 또한 키 레버 회전축(421)의 플랜지부(421b)는 록 레버(41)에서의 베어링(415)의 지지편(415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외경을 하고, 키 레버 회전축(421)의 막대형상부(421a)는 베어링(415)의 걸어멈춤편(415b)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외경을 하고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크 레버(32)는, 그 상단부의 정면(한쪽 면)에 제 1 연결축(321)이 설치되어 있다. 링크 레버(32)는, 제 1 연결축(321)을 거쳐 오픈 레버(31)의 한쪽의 오픈작용단부(311)에 대하여 축 지지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 1 연결축(321)의 선단에는 상기 제 1 연결축(321)의 축에 직교하면서 상반하는 지름 바깥방향으로 연장 돌출한 한 쌍의 걸어멈춤 돌기(321a)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오픈 레버(31)의 한쪽의 오픈작용단부(311)에는, 걸어멈춤 돌기(321a)를 포함하여 제 1 연결축(321)을 삽입하는 형상의 축 구멍(311a)(도 11 및 도 12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즉, 오픈 레버(31)와 링크 레버(32)를 연결할 때에는 제 1 연결축(321)을 축 구멍(311a)에 삽입하여 제 1 연결축(321)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걸어멈춤 돌기(321a)가 축 구멍(311a)의 둘레 가장자리에 걸어 맞춰진다.
또,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크 레버(32)는, 그 상단부의 배면(다른쪽 면)에, 제 1 연결축(321)과 동축에서 제 2 연결축(322)이 설치되어 있다. 링크 레버(32)는, 제 2 연결축(322)을 거쳐 아웃사이드 핸들(도시 생략)에 연계하는 오픈 로드(35)의 긴 구멍(351)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 맞추어져 있다. 또한 제 2 연결축(322)의 선단에는, 상기 제 2 연결축(322)의 축에 직교하면서 상반되는 지름 바깥방향으로 연장 돌출한 한 쌍의 걸어멈춤 돌기(322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연결축(322)의 측부에는, 걸어멈춤 포올(322b)이 설치되어 있다. 즉, 오픈 로드(35)와 링크 레버(32)를 연결할 때에는 제 2 연결축(322)을 긴 구멍(351)에 삽입하여 제 2 연결축(322)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걸어멈춤 돌기(322a)가 긴 구멍(351)의 둘레 가장자리에 걸어 맞춰진다. 또 제 2 연결축(322)을 긴 구멍(351)에 삽입하였을 때, 걸어멈춤 포올(322b)이 임시 빠짐방지가 된다.
여기서 도어록장치의 조립을 설명한다. 도어록장치의 조립은,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윗쪽을 향하는 래치 회전축(25) 및 래칫 회전축(26)의 선단측으로부터 각 부품을 삽입하여 상기 선단을 코킹 고정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래치 회전축(25) 및 래칫 회전축(26)의 기초끝을 적절하게 고정하고, 그곳에 각 부품을 삽입한다.
먼저 도 1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칫 회전축(26)의 제 1 단부(262)에 래칫 레버(27)의 베어링 구멍(274)을 삽입한 후, 제 2 단부(263)에 베이스 플레이트(1)의 래칫 베어링 구멍(112)을 삽입한다. 이때 제 2 단부(263)는, 베이스 플레 이트(1)의 면으로부터 돌출한 상태가 된다. 이어서 도 1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칫 회전축(26)의 선단측으로부터 덮이는 코킹구(A)를 사용하여 래칫 회전축(26)의 제 2 단부(263)를 베이스 플레이트(1)에 대하여 코킹 고정한다. 한편 래치 회전축(25)의 제 1 단부(252)에 오픈 레버(31)를 삽입하면서 베이스 플레이트(1)의 래치 베어링 구멍(111)을 삽입한다.
다음에 래치 회전축(25)의 제 2 단부(253) 및 래칫 회전축(26)의 제 3 단부(264)에 개구(21a)를 윗쪽을 향하여 래치 바디(21)를 삽입한다. 그리고 래치 회전축(25)의 제 2 단부(253)에 래치(22)를 삽입함과 동시에, 래칫 회전축(26)의 제 3 단부(264)에 래칫(23)을 삽입하여 래치(22) 및 래칫(23)을 래치 바디(21)에 수용한다. 또한 래칫(23)의 작용부(232)와 래칫 레버(27)의 연결단부(271)를 연결한다. 또 래치(22) 및 래칫(23)을 래치 바디(21)에 수용할 때에는 도시 생략한 래치 스프링 및 래칫 스프링을 각각 래치(22) 및 래칫(23)에 걸어 맞추게 하여 래치 바디(21)에 수용한다.
다음에 래치 바디(21)의 개구(21a)를 커버 플레이트(24)로 막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24)로부터 연장 돌출한 래치 회전축(25) 및 래칫 회전축(26)의 선단을 커버 플레이트(24)에 대하여 코킹 고정한다.
또한 래치 회전축(25) 및 래칫 회전축(26)에 래치 바디(21)를 삽입하기 이전에, 록 레버(41) 및 키 레버(42)를 미리 베이스 플레이트(1)에 장착하여 둔다. 이때 록 레버(41)와 키 레버(42)를, 미리 겹친 형태로 베이스 플레이트(1)에 장착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0(a) 및 도 2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 레버(41)의 베 어링(415)에 대하여 키 레버(42)의 키 레버 회전축(421)의 플랜지부(421b)를 걸어맞추게 한다. 그렇게 하면 록 레버(41)의 축 구멍(411c)과, 키 레버(42)의 축 구멍(421c)이 겹친 상태에서 키 레버(42)가 키 레버 회전축(421)을 중심으로 록 레버(4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겹친 록 레버(41) 및 키 레버(42)를 베이스 플레이트(1)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도 21(a)∼도 2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여기서는 키 레버(42)를 생략하고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에서의 록 레버 베어링 구멍(113)의 삽입 구멍부(113a)에 록 레버(41)에서의 록 레버 회전축(411)의 플랜지부(411b)를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록 레버(41)를 베어링 구멍부(113b)측으로 이동하여 록 레버 회전축(411)의 막대형상부(411a)를 베어링 구멍부(113b)에 걸어 맞춘다. 여기서 래치 회전축(25) 및 래칫 회전축(26)에 래치 바디(21)를 삽입하여 상기 래치 바디(21)를 베이스 플레이트(1)에 설치한다. 이때 래치 바디(21)에 일체로 설치한 지지축(212)(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다)을, 록 레버(41)의 축 구멍(411c) 및 키 레버(42)의 축 구멍(421c)에 삽입한다. 이에 의하여 록 레버(41)가 베이스 플레이트(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키 레버(42)가 록 레버(4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링크 레버(32)는, 제 2 연결축(322)에 오픈 로드(35)가 설치된 상태에서 제 1 연결축(321)이 오픈 레버(31)에서의 한쪽의 오픈작용단부(311)의 축 구멍(311a)에 삽입된다. 또한 링크 레버(32)는 긴 구멍(324)이 록 레버(41)의 걸어맞춤편(413)에 걸어 맞춰진다.
제일 마지막으로 액츄에이터(51)를 베이스 플레이트(1)에 설치한다. 이 경우에는 도 13에 나타내는 베이스 플레이트(1)에서의 측판(12)에 설치한 삽입편(121) 및 나사 구멍(122)을 거쳐 액츄에이터(51)를 설치한다. 액츄에이터(51)에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치 나사(361)를 삽입하는 삽입구멍(513)과, 삽입편(121)의 제 1 삽입편(121a) 및 제 2 삽입편(121b)을 삽입하여 걸어 맞추어 설치 나사(361)를 조이는 방향을 따르는 이동만을 허용하여 걸어맞추는 홈부(514)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설치 나사(361)는, 단붙임 나사로 구성되어 있고, 그 단부를 인사이드 핸들 레버(33)에 설치한 베어링 구멍(33a)에 삽입하여 인사이드 핸들 레버(33)의 지지축이 되는 단부를 레버 회전축(36)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액츄에이터(51)를 베이스 플레이트(1)에 설치할 때에는,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의 삽입편(121)에 액츄에이터(51)의 홈부(514)를 삽입한다. 이어서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사이드 핸들 레버(33)를 삽입한 설치 나사(361)를 베이스 플레이트(1)의 나사 구멍(122)에 조인다. 여기서는 액츄에이터(51)를 삽입편(121)에 삽입하는 방향과, 설치 나사(361)를 조이는 방향이 동일한 방향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도어록장치에서는 록 레버(41)를 베이스 플레이트(소정의 기초부)(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레버의 설치구조로서, 록 레버(41)에 일체로 연장하여 설치한 막대형상부(411a)의 선단에 상기 막대형상부(411a)의 지름 바깥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411b)를 가진 록 레버 회전축(411)과, 베이스 플레이트(1)에 설치하고 있고, 록 레버 회전축(411)을 그 축심에 직교하는 소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면서 이동한 위치에서 플랜지부(411b)에 걸어 맞춰져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의 록 레버 회전축(411)의 이동을 규제함과 동시에 록 레버 회전축(41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구멍(베어링)(113)과, 베이스 플레이트(1)에 고정하여 축심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록 레버 회전축(411)의 이동을 규제하는 지지축(규제부재)(212)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결과, 회전축에 볼트 등을 사용하지 않아 록 레버(41)의 설치 작업이 용이하고, 또한 외력에 저항하는 충분한 설치강도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축(212)은, 록 레버 회전축(411)의 축심을 따라 록 레버(41)에 설치한 축 구멍(411c)에 삽입하여 록 레버 베어링 구멍(113)과 함께 작용하여 록 레버 회전축(41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막대축으로 이루어진다. 이 결과, 록 레버(41)의 회전을 원활하게 한 상태에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록 레버(제 1 레버)(41) 및 키 레버(제 2 레버)(42)를 겹친 형태로 베이스 플레이트(소정의 기초부)(1)에 대하여 독립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의 설치구조로서 록 레버(41)에 일체로 연장하여 설치한 막대 형상부(411a)의 선단에 막대 형상부(411a)의 지름 바깥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411b)를 가진 록 레버 회전축(제 1 회전축)(411)과, 베이스 플레이트(1)에 설치되어 있고, 록 레버 회전축(411)을 그 축심에 직교하는 소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면서 이동한 위치에서 플랜지부(411b)에 걸어 맞추어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의 록 레버 회전축(411)의 이동을 규제함과 동시에 상기 록 레버 회전축(41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록 레버 베어링 구멍(제 1 베어링)(113)과, 키 레버(42)에 일체로 연장하여 설치한 막대 형상부(421a)의 선단에 상기 막대 형상부(421a)의 지름 바깥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421b)를 가진 키 레버 회전축(제 2 회전축)(421)과, 록 레버(41)에 설치되어 있고, 키 레버 회전축(421)을 그 축심에 직교하는 소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면서 이동한 위치에서 플랜지부(421b)에 걸어 맞춰져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의 키 레버 회전축(421)의 이동을 규제함과 동시에 상기 키 레버 회전축(421)을 록 레버 회전축(411)과 동일 축심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제 2 베어링)(415)과, 베이스 플레이트(1)에 고정하여 축심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록 레버 회전축(411) 및 키 레버 회전축(421)의 이동을 규제하는 지지축(규제부재)(212)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결과, 회전축에 볼트 등을 사용하지 않고 록 레버(41) 및 키 레버(42)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또한 외력에 저항하는 충분한 설치 강도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경우 키 레버 회전축(421)은 록 레버(41) 또는 키 레버(42) 중 어느 한쪽에 설치하고 있으면 좋고, 베어링(415)은 록 레버(41) 또는 키 레버(42) 중 어느 다른쪽에 설치하고 있으면 좋다.
또한 지지축(규제부재)(212)은, 록 레버 회전축(411)의 축심을 따라 록 레버(41)에 설치한 축 구멍(411c) 및 키 레버 회전축(421)의 축심을 따라 키 레버(42)에 설치한 축 구멍(421c)에 삽입하여, 록 레버 베어링 구멍(113) 및 베어링(415)과 함께 작용하여 록 레버 회전축(411) 및 키 레버 회전축(42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막대축으로 이루어진다. 이 결과, 록 레버(41) 및 키 레버(42)를 원활하게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오픈 레버(31)에 링크 레버(32)를 연결하고, 다시 아웃사이드 핸들에 연 락하는 오픈 로드(35)를 오픈 레버(31)에 연결하고, 아웃사이드 핸들의 조작을 오픈 레버(31)로부터 링크 레버(32)에 경유함으로써 래치기구를 해제하는 도어록장치로서, 오픈 레버(31)에 대하여 링크 레버(32)를 요동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제 1 연결축(321)과, 링크 레버(32)에 대하여 오픈 로드(35)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제 2 연결축(322)을 링크 레버(32)에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있다. 이 결과, 오픈 레버(31), 링크 레버(32) 및 오픈 로드(35)의 연결에 관하여 부품 점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1 연결축(321)은 링크 레버(32)의 한쪽의 면에 설치하고 있고, 제 2 연결축(322)은 링크 레버(32)의 다른쪽 면에 설치하고 있다. 이 결과, 링크 레버(32) 면의 영역 내에서의 한쪽의 면과 다른쪽 면에 오픈 레버(31), 링크 레버(32) 및 오픈 로드(35)의 연결부위를 집약하였기 때문에,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 연결축(321)과 제 2 연결축(322)을 동축상에 배치하고 있다. 이 결과, 아웃사이드 핸들의 조작을 오픈 레버(31)로부터 링크 레버(32)를 경유하는 조작력의 전달 부하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링크 레버(32)는 제 1 연결축(321) 및 제 2 연결축(322)을 따라 합성수지재에 의하여 성형되어 있다. 이 결과, 오픈 레버(31)나 오픈 로드(35)의 슬라이딩저항을 경감함과 동시에, 장치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 한쪽의 면이 개구하는 래치 바디(수용부)(21)에 래치(22) 및 래칫(23)을 수용하고 있고, 래치 바디(21)의 개구(21a)를 폐쇄하는 커버 플레이트(24)와 래치 바디(21)의 다른쪽 면을 붙인 베이스 플레이트(1)와의 사이에서 래치 바디(21)를 끼운 형태로 하여 래치(22)를 지지하는 래치 회전축(25) 및 래칫(23)을 지지하는 래칫 회전축(26)을 관통하고 있고, 또한 래칫(23)과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래칫 레버(27)를 베이스 플레이트(1)의 바깥쪽의 위치에서 래칫 회전축(26)에 지지한 도어록장치로서, 래칫 회전축(26)은, 빠짐방지 플랜지부(261)을 가지는 기초끝측에 래칫 레버(27)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단부(262)와, 상기 제 1 단부(262)의 선단측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의 두께를 받는 제 2 단부(263)를 가지고, 제 1 단부(262)에 래칫 레버(27)를 삽입하고, 제 2 단부(263)에 베이스 플레이트(1)를 삽입한 형태로 제 2 단부(263)를 베이스 플레이트(1)에 대하여 코킹 고정하여 이루어진다. 이 결과, 래칫 회전축(26)을 베이스 플레이트(1)에 미리 설치함으로써 래칫 레버(27)의 축방향의 유극을 억제하면서 조립 작업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한쪽의 면이 개구하는 래치 바디(21)에 래치(22) 및 래칫(23)을 수용하고 있고, 래치 바디(21)의 개구(21a)를 폐쇄하는 커버 플레이트(24)와 래치 바디(21)의 다른쪽 면을 붙인 베이스 플레이트(1)와의 사이에서 래치 바디(21)를 끼운 형태로 하여 래치(22)를 지지하는 래치 회전축(25) 및 래칫(23)을 지지하는 래칫 회전축(26)을 관통하고 있고, 또한 래칫(23)과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래칫 레버(27)를 베이스 플레이트(1)의 바깥쪽의 위치에서 래칫 회전축(26)에 지지한 도어록장치의 조립방법으로서, 래칫 레버(27)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래칫 회전축(26)에 베이스 플레이트(1)를 삽입하여 상기 래칫 회전축(26)을 베이스 플레이트(1)에 대하여 코킹 고정하는 한편, 래칫 회전축(26)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래치 회전축(25)에 베이스 플레이트(1)를 삽입하는 공정과, 베이스 플레이트(1)를 붙이는 형태로 래칫 회전축(26) 및 래치 회전축(25)에 대하여 래치 바디(21)를 삽입하여, 각 회전축(25, 26)에 래치(22)와 래칫(23)를 삽입한 후에 래치 바디(21)의 개구(21a)를 폐쇄한 커버 플레이트(24)의 바깥쪽으로부터 각 회전축(25, 26)의 선단을 코킹 고정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 결과, 래칫 회전축(26) 및 래치 회전축(25)을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코킹 고정하기 때문에, 래칫 레버(27)의 축방향의 유극을 억제하면서 조립 작업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래칫 회전축(26)만 베이스 플레이트(1)에 미리 설치하였으나, 마찬가지로 래치 회전축(27)도 베이스 플레이트(1)에 미리 설치하여도 좋다.
또, 액츄에이터(51)의 구동에 의하여 래치기구 또는 록기구를 작동시키도록 구성한 도어록장치로서, 래치기구를 설치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에 삽입편(121)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편(121)에 액츄에이터(51)의 홈부(514)를 삽입하여, 래치기구를 조작하는 인사이드 핸들 레버(33)의 지지축을 이루는 설치 나사(361)(체결부재)에 의하여 삽입편(121)으로부터의 이탈을 규제하면서 액츄에이터(51)를 베이스 플레이트(1)에 고정하고 있다. 이 결과, 삽입편(121) 및 홈부(514)와, 설치 나사(361)에 의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에 대하여 액츄에이터(51)가 설치되기 때문에, 액츄에이터(51)의 설치 작업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액츄에이터(51)의 구동에 의해서는 래치기구에서의 래치(22)와 래칫(23)의 맞물림 해제, 또는 록기구에서의 록상태, 언록상태로의 변환 작동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삽입편(121) 및 홈부(514)는 설치 나사(361)를 조이는 방향을 따르는 이동만을 허용하여 액츄에이터(51)를 베이스 플레이트(1)에 삽입한다. 이 결과, 베이스 플레이트(1)에의 액츄에이터(51)의 삽입방향과, 설치 나사(361)의 조임방향이 동일한 방향이 되기 때문에, 액츄에이터(51)의 설치 작업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설치 나사(361)는 인사이드 핸들 레버(3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나의 단부를 가지고 있다. 이 결과, 베이스 플레이트(1), 액츄에이터(51), 인사이드 핸들 레버(33)의 3개의 부재를 설치하면서 인사이드 핸들 레버(33)의 회전에 있어서 덜컥거림이나 지나친 조임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체결부재를 설치 나사(361)로 하였으나,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도어록장치는, 래칫 회전축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미리 설치함으로써 래칫 레버의 축방향으로의 유극을 억제하면서 조립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도어록장치의 조립방법은, 래칫 회전축 및 래치 회전축을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코킹 고정하기 때문에, 래칫 레버의 축방향으로의 유극을 억제하면서 조립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Claims (2)

  1. 한쪽의 면이 개구하는 수용부에 래치 및 래칫을 수용하고 있고, 상기 수용부의 개구를 폐쇄하는 커버 플레이트와 수용부의 다른쪽 면을 붙인 베이스 플레이트와의 사이에서 수용부를 끼운 형태로 하여 래치를 지지하는 래치 회전축, 및 래칫을 지지하는 래칫 회전축을 관통하고 있고, 또한 래칫과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래칫 레버를 베이스 플레이트의 바깥쪽의 위치에서 래칫 회전축에 지지한 도어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래칫 회전축은, 빠짐방지 플랜지부을 가지는 기초끝측에 상기 래칫 레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단부와, 상기 제 1 단부의 선단측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두께를 받는 제 2 단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단부에 래칫 레버를 삽입하고, 상기 제 2 단부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삽입한 형태로 상기 제 2 단부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코킹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장치.
  2. 한쪽의 면이 개구하는 수용부에 래치 및 래칫을 수용하고 있고, 상기 수용부의 개구를 폐쇄하는 커버 플레이트와 수용부의 다른쪽 면을 붙인 베이스 플레이트와의 사이에서 수용부를 끼운 형태로 하여 래치를 지지하는 래치 회전축, 및 래칫을 지지하는 래칫 회전축을 관통하고 있고, 또한, 래칫과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래칫 레버를 베이스 플레이트의 바깥쪽의 위치에서 래칫 회전축에 지지한 도어록장치 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래칫 레버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래칫 회전축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삽입하여 상기 래칫 회전축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코킹 고정하는 한편, 상기 래칫 회전축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래치 회전축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붙이는 형태로 래칫 회전축 및 래치 회전축에 대하여 수용부를 삽입하여 각 회전축에 래치와 래칫을 삽입한 후에 상기 수용부의 개구를 폐쇄한 커버 플레이트의 바깥쪽으로부터 각 회전축의 선단을 코킹 고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장치의 조립방법.
KR1020070007458A 2006-01-25 2007-01-24 도어록장치 및 도어록장치의 조립방법 KR100811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16644 2006-01-25
JP2006016644A JP4845519B2 (ja) 2006-01-25 2006-01-25 ドアロック装置およびドアロック装置の組み立て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077A KR20070078077A (ko) 2007-07-30
KR100811807B1 true KR100811807B1 (ko) 2008-03-10

Family

ID=37943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7458A KR100811807B1 (ko) 2006-01-25 2007-01-24 도어록장치 및 도어록장치의 조립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78846B2 (ko)
EP (1) EP1813745B1 (ko)
JP (1) JP4845519B2 (ko)
KR (1) KR100811807B1 (ko)
CN (1) CN1010082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77536B2 (ja) * 2008-09-25 2013-04-0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オープンルーフ開閉装置
US8128151B2 (en) 2009-09-11 2012-03-0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ethod and system for disengaging a drive rod in a door after an impact to the door
US8235451B2 (en) * 2009-11-16 2012-08-0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ethod and system for deforming a drive rod in a door after an impact to the door
US8079631B2 (en) 2009-11-18 2011-12-20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ethod and system for guiding a drive rod in a door after an impact to the door
CA2798465C (fr) * 2011-12-09 2015-06-30 Messier-Bugatti-Dowty Boitier d'accrochage a actionneur a came d'encombrement reduit
DE202012007326U1 (de) * 2012-07-31 2013-11-04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schloss
US9222288B2 (en) * 2012-09-01 2015-12-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Integrated hood latch keeper for a grill opening reinforcement structure
JP6024023B2 (ja) 2013-04-25 2016-11-09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JP6326673B2 (ja) * 2013-12-27 2018-05-23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JP6535919B2 (ja) * 2014-10-29 2019-07-03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および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の組立方法
MX2017006797A (es) * 2014-12-03 2018-01-18 Mitsui Kinzoku Act Corp Dispositivo de cerradura de puerta superior de vehiculo.
US11214989B2 (en) * 2015-10-02 2022-01-04 Kiekert Ag Motor vehicle lock
US20180073282A1 (en) * 2016-07-15 2018-03-15 Ansel Corporation Vehicle door lock apparatus
JP2018080496A (ja) * 2016-11-16 2018-05-24 株式会社アンセイ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CN107620529B (zh) 2016-07-15 2020-12-15 株式会社安成 车辆用门锁装置
JP6627672B2 (ja) 2016-07-20 2020-01-08 株式会社アンセイ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CN106014019B (zh) * 2016-07-20 2018-02-02 皓月汽车安全系统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自吸尾门锁
JP6627729B2 (ja) 2016-11-25 2020-01-08 株式会社アンセイ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6627920B2 (ja) 2018-06-26 2020-01-08 株式会社アンセイ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CN110872919B (zh) * 2018-09-03 2023-03-10 开开特股份公司 汽车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2918A (ko) * 1997-05-23 2001-02-26 메리토르 라이트 비히클 시스템즈(유케이) 리미티드 차량도어 래치
KR100332349B1 (ko) * 1999-08-20 2002-04-12 김상태 자동차용 도어래치의 스트라이커 고정장치
KR20020031795A (ko) * 2000-10-24 2002-05-03 이계안 해치백 차량의 테일게이트 잠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3448A (en) 1975-08-13 1977-02-22 Shinji Okumura Cloth feeding device for sewing machine
US4358141A (en) * 1979-04-07 1982-11-09 Mitsui Kinzoku Kogyo Kabushiki Kaisha Noise prevention device in an automobile locking apparatus
JPS60208583A (ja) * 1984-03-30 1985-10-21 株式会社 大井製作所 自動車用ドアロツク装置
JPS6216662A (ja) * 1985-07-15 1987-01-24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S62158067A (ja) * 1986-01-07 1987-07-14 Canon Inc 記録装置
JPS6378977A (ja) * 1986-09-22 1988-04-09 株式会社 安成工業 自動車用ドアロツクのボデイ−
US4763936A (en) * 1986-10-20 1988-08-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Power operated door latch
JPH063921Y2 (ja) 1987-11-25 1994-02-02 株式会社ユーシン ドアロック装置
US5169186A (en) * 1988-07-21 1992-12-08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Door lock device
JPH0723658B2 (ja) * 1988-12-21 1995-03-15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用ロック機構
US5564761A (en) * 1993-01-13 1996-10-15 Mitsui Kinzoku Kogyo Kabushiki Kaisha Door lock device with automatic closing mechanism
JP2729571B2 (ja) * 1993-11-30 1998-03-18 株式会社大井製作所 ドアロック装置
GB2300875B (en) 1995-05-13 1998-11-04 Rockwell Body & Chassis Syst Vehicle door latch assembly
JP3360157B2 (ja) * 1995-06-09 2002-12-24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US5709420A (en) * 1995-08-24 1998-01-20 Mitsui Kinzoku Kogyo Kabushiki Kaisha Vehicle door latch device
JPH09144408A (ja) * 1995-11-17 1997-06-03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車両ロック装置における盗難防止装置
US5649726A (en) * 1996-05-21 1997-07-22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closure latch
US5632517A (en) * 1996-05-21 1997-05-27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closure latch
JP3183625B2 (ja) * 1996-06-26 2001-07-09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用ロック装置におけるロックレバー軸止装置
JPH112056A (ja) * 1997-06-10 1999-01-06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US6168216B1 (en) * 1997-12-25 2001-01-02 Mitsui Kinzoku Kogyo Kabushiki Kaisha Vehicle door latch device
FR2789716B1 (fr) * 1999-02-16 2001-06-29 Valeo Securite Habitacle Serrure pour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a memorisation de decondamnation
JP3586159B2 (ja) * 1999-12-22 2004-11-1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開閉装置
DE10006765B4 (de) * 2000-02-15 2005-05-19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KG Kraftfahrzeug-Türschloß mit kompaktem Aufbau
JP4538939B2 (ja) 2000-10-26 2010-09-0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JP4136903B2 (ja) * 2003-11-12 2008-08-20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ラッチ装置
US7264283B2 (en) * 2003-12-10 2007-09-04 Intier Automotive Closures Inc. Vehicle latch with partially decoupled key cylinder lever
KR100559568B1 (ko) * 2004-06-21 2006-03-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잼 방지형 도어 래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2918A (ko) * 1997-05-23 2001-02-26 메리토르 라이트 비히클 시스템즈(유케이) 리미티드 차량도어 래치
KR100332349B1 (ko) * 1999-08-20 2002-04-12 김상태 자동차용 도어래치의 스트라이커 고정장치
KR20020031795A (ko) * 2000-10-24 2002-05-03 이계안 해치백 차량의 테일게이트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08298A (zh) 2007-08-01
US20070182165A1 (en) 2007-08-09
EP1813745A2 (en) 2007-08-01
EP1813745A3 (en) 2011-06-08
JP4845519B2 (ja) 2011-12-28
US7478846B2 (en) 2009-01-20
JP2007197973A (ja) 2007-08-09
KR20070078077A (ko) 2007-07-30
EP1813745B1 (en) 2012-09-26
CN101008298B (zh) 201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1807B1 (ko) 도어록장치 및 도어록장치의 조립방법
KR101334210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에서의 액추에이터
US8662545B2 (en) Vehicle door latch apparatus
US7475929B2 (en) Lid open-close apparatus
JP6155488B2 (ja) 複数パーツを備えた爪部を有するロック装置
EP1726754B1 (en) Door lock apparatus for a vehicle
US20090236863A1 (en) Electric door latch apparatus
US7302818B2 (en) Apparatus for locking and unlocking vehicle door
US20050206176A1 (en) Door handle device for vehicle
JP5279433B2 (ja) ドアロック装置
US20070114800A1 (en) Universal door lockset
US6634682B2 (en) Vehicle door lock apparatus
US20070200356A1 (en) Door Entry Latch
US20040113437A1 (en) Door lock device
GB2223533A (en) Door or the like handle/escutcheon assembly comprising unidirectional control rod/latch-bolt actuating mechanism
JP5150526B2 (ja) ドアラッチ装置
JP4928791B2 (ja) ドアロック装置
US11384563B2 (en) Spring retaining assembly for vehicle latch actuator mechanism
EP1245764A2 (en) Door latch operation device for vehicle
JP4928790B2 (ja) レバーの取付構造
KR200488916Y1 (ko) 푸시풀 도어 락 장치
EP0712985B1 (en) Vehicle door lock assembly
GB2299131A (en) Key cylinder device
US20220349218A1 (en) Operation relay device for motor-vehicle door latch
JP3358980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