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1464B1 - 기호성이 우수한 가루녹차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기호성이 우수한 가루녹차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1464B1
KR100811464B1 KR1020060119453A KR20060119453A KR100811464B1 KR 100811464 B1 KR100811464 B1 KR 100811464B1 KR 1020060119453 A KR1020060119453 A KR 1020060119453A KR 20060119453 A KR20060119453 A KR 20060119453A KR 100811464 B1 KR100811464 B1 KR 100811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tea
stems
powdered
separated
comparative ex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9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환
라찬수
이범진
백주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60119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14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4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호성이 우수한 가루녹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녹차의 줄기를 분리한 후 배전 처리하여 혼합함으로써 종래 가루녹차가 지니는 독특한 청취와 쓰고 떫은 맛은 제거하고, 구수한 맛은 증진시킴으로써 기호성이 우수한 가루녹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녹차 줄기, 녹차 잎, 가루녹차, 배전 처리, 분쇄

Description

기호성이 우수한 가루녹차 제조 방법{A method of preparing a powder green tea with excellent taste}
본 발명은 기호성이 우수한 가루녹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녹차의 줄기를 분리한 후 배전 처리하여 혼합함으로써 종래 가루녹차가 지니는 독특한 청취와 쓰고 떫은 맛은 제거하고, 구수한 맛은 증진시켜 기호성이 우수한 가루녹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녹차는 동백나무과의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insis)의 싹이나 잎을 이용하여 차엽속에 존재하는 산화 효소를 화열(火熱)이나 증기로 처리함으로써 효소를 실활시켜 제조한 것이다. 녹차는 기원전부터 기호차로서 음용 되어왔을 뿐만 아니라 최근 들어 녹차에 함유된 여러 성분들의 약리적인 메커니즘이 점차 밝혀짐에 따라 그 가치가 재인식되고 있다. 폴리페놀, 카페인, 아미노산, 비타민 C 등의 유효 성분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숙취 및 니코틴 해독작용, 피로회복, 강심작용, 피부미용 등에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특히 녹차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폴리페놀에 의한 항산화작용, 항암작용, 혈중콜레스테롤 저하작용, 항노화작용, 중금속해독작용, 충치 예방 및 구취제거 작용 등의 효과들이 입증되면서 크게 주목 받고 있다.
이와 같이 녹차에 함유된 주요 성분들의 약리 메커니즘이 최근에 규명되고 그 효과가 입증됨에 따라 그 가치가 재인식되고 있고, 전세계적으로 웰빙(Well-Being)문화가 트랜드로 자리잡음에 따라 녹차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녹차의 음용 형태도 변화되어 왔다. 종래 녹차는 물에 우려내어 마시는 침출차의 형태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이 경우 녹차에 함유되어 있는 수용성 성분만 마시고 나머지는 그냥 버리었는데, 상기한 녹차의 우수한 효능들이 입증되면서, 녹차의 모든 성분, 예를 들어 토코페롤, 비타민A, 섬유질 등 수용성이 아닌 성분들도 섭취할 수 있도록 가루녹차가 제공되게 되었다.
이러한 가루녹차는 녹차를 분쇄장치로 분쇄하여 얻는다. 분쇄장치는 크게 파쇄기(crusher)와 분말기(grinder)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파쇄기는 큰 덩어리의 고체를 6∼250mm의 크기로 분쇄하는 장치이며, 장치의 예로서는 조크루셔(jaw crusher) 및 선동 파쇄기(gyratory crusher) 등이 있다. 분말기는 파쇄기에서 1차 분쇄된 분말을 1∼500㎛ 정도의 분쇄 생성물을 만들거나, 1차 분쇄 없이 미분말을 제조하는 장치로서 해머밀(hammer mill), 롤러밀(roller mill), 볼밀(ball mill), 마모밀(attrition mill) 및 기류식 분쇄기(air-flow type mill) 등이 이에 속한다. 녹차를 분쇄하여 가루녹차를 제조하는 경우에도 상기의 분쇄장치, 특히 전기맷돌, 볼밀 및 해머밀 등이 이용되고 있다.
가루로 제조된 녹차는 차로서 음용수에 분산시켜서 섭취하는 것 외에도 우유, 요쿠르트 및 아이스크림 등에 첨가하여 섭취하는 것뿐만 아니라, 제빵, 제면 및 제과 등의 여러 분야에도 응용될 수 있는 등 식품의 원료로서 용도가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한편, 몸에 유용한 녹차의 모든 성분을 섭취할 수 있는 가루녹차임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음용하는 방식인 음용수에 분산시켜 먹을 때, 가루녹차 특유의 청취, 쓰고 떫은 맛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그 음용에 거부감을 나타내고 있는 실정이다.
가루녹차 제조방법에 관한 주요 특허를 살펴보면, 한국 공개 특허 공보 2002-0093504(가루녹차의 제조방법)은 기류식 분쇄기를 사용하여 가루녹차의 색상과 품질이 우수한 가루녹차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한국 등록 특허 10-0465978(용출성과 분산성이 우수한 동결건조 녹차 및 그의 제조방법)은 가루녹차를 동결건조 시켜서 용출성과 분산성이 우수한 녹차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일본 특허 2006-204137(분말차 및 말차의 제조방법)은 1차 가공공정 중 증열 공정에 있어서 알칼리성의 물을 사용하고 분말차 제조공정의 미분쇄 공정에 있어서 기류식 분쇄기를 사용하여 수색과 목넘김이 좋은 분말차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5-168477(녹차미분말조성물) 및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3-092990(말차의 물성개선방법 및 물성개선된 말차제조)는 말차에 첨가물을 함유하여 분산성 및 녹색도 유지를 개선하는 방법을 특징한다. 이들 특허는 녹차의 향미에 관한 기호성이라기 보다는 품질 및 물성의 향상에 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한국 등록 특허 10-0259012(기호성이 우수한 혼합 말차의 제조방법)에서는 원적외선 드럼 배전기로 배전 처리한 녹차에 여러 가지 곡류, 식물잎, 생약재류를 혼합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데, 이것은 순수 녹차로만 제조된 것이 아닌 다른 원료가 혼합된 형태이기 때문에 순수 녹차만의 맛과 효능을 기대하는 사람들에게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누구나 부담 없이 단독으로 마실 수 있는 기호성이 향상된 가루녹차를 발명하고자 녹차의 잎과 줄기를 분리한 후 줄기만을 최적화된 배전 조건으로 배전 처리하여 분쇄·혼합한 결과, 기존 가루녹차보다 청취와 쓰고 떫은 맛은 감소되고 구수한 향미가 증대된 기호성이 우수한 가루녹차를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녹차 잎과 줄기를 분리하지 않은 채로 배전 처리해서 단독으로 제조하거나 혹은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된 가루녹차와 혼합하여 제조하여도 청취를 제거하여 미각적으로 기호도가 향상된 가루녹차를 제조할 수는 있다. 그러나, 녹차 잎과 줄기가 분리되지 않은 녹차를 배전 처리하게 되면, 화열(火熱)로 인하여 검변이 쉽게 일어나는 잎의 영향으로 가루녹차 색상이 검변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화열(火熱)로 인한 변색이 적은 녹차 줄기만을 선택적으로 분리, 배전, 분쇄, 혼합함으로써 시각적으로도 바람직한 품질의 가루녹차를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루녹차 고유의 청취와 쓰고 떫은 맛이 감소되고 구수한 맛이 증대된 기호성이 우수한 가루녹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공지의 방법으로 1차 가공된 녹차를 선별기를 이용하여 녹차의 잎과 줄기를 분리하는 1단계; 상기 1단계에서 분리된 녹차 줄기를 드럼 배전기로 배전 처리하는 2단계; 상기 배전 처리된 녹차 줄기를 마쇄, 체별하는 3단계; 및 상기 3단계에서 얻어진 녹차 줄기를 분쇄한 후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된 가루녹차와 혼합하거나 또는 상기 1단계에서 분리된 녹차 잎을 혼합하여 분쇄하는 4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루녹차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1차 가공된 녹차 잎과 줄기를 분리하여 녹차 줄기만을 배전 가공하고, 배전 가공된 줄기를 분쇄한 후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된 가루녹차와 혼합하거나, 또는 녹차 줄기와 선별기로 분리한 1차 가공된 녹차 잎을 배전 가공된 줄기와 혼합하여 분쇄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루녹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루녹차는, 상기 4단계에서 배전 처리된 녹차 줄기 조성물과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된 가루녹차 또는 1단계에서 분리된 녹차잎을 2:8~5:5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녹차는 채엽, 증열, 조유, 유념, 중유, 정유 및 건조의 공정으로 제조된 증제차; 채엽, 덖음, 유념 및 건조의 공정으로 제조된 덖음차; 또는 일반 차나무 잎을 차광하여 녹색도를 증가시킨 차잎을 증열, 냉각, 건조, 선 별 및 재건조의 공정으로 제조된 덴차;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된 녹차를 선별기를 이용하여 잎과 줄기를 분리한다. 이는 녹차의 잎과 줄기가 밀도, 정전기적 성질 및 색의 특성이 다름에 착안하여 원료의 무게 및 밀도 차이를 이용한 풍력 선별기, 정전기적 특성이 다름을 이용한 정전기 선별기 및 색 차이를 이용한 색차 선별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이용하여 줄기와 잎을 분리한다.
이어, 상기한 공정에서 분리한 줄기를 드럼 배전기로 110~150℃로 10~30분간 배전 처리한다.
이어, 상기한 공정에서 배전 처리한 줄기를 마쇄기를 통과시켜 마쇄한 후 체별을 통하여 일부 혼합되어 있는 녹차 잎을 제거한다. 이는 줄기와 잎의 물리적 성질이 다른 것에 착안한 것으로, 배전 했을 때 줄기에 비하여 쉽게 부서지는 잎은 마쇄기를 통과하면 분말화 되고, 이를 체별하면 분말화된 녹차 잎은 메쉬망을 통과하므로, 마쇄된 줄기만 선택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이 공정을 통해 잎의 분리 효율을 높이는 이유는 배전 처리하면 열화에 의해 줄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녹차 잎은 색이 쉽게 검변되며, 검변된 녹차 잎이 혼입되면 시각적으로 가루녹차의 품질 저하를 유발하기 때문이다. 또한 녹차 줄기는 잎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쓰고 떫은 맛의 주 성분인 카테킨류의 성분이 적고 감칠맛의 주 성분인 아미노산 함량이 많아서 맛이 좋아지기 때문에 잎의 분리 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이어, 상기 공정에서 얻어진 배전된 줄기를 기류식 분쇄기를 사용하여 100메 쉬(150㎛) 이하로 분쇄한 후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된 가루녹차와 혼합하거나, 혹은 배전 처리한 줄기와 상기 공정에서 분리한 녹차 잎을 혼합하여 분쇄하는 방법으로 본 발명에 의한 가루녹차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녹차줄기가루의 제조
<공정1> 녹차의 잎과 줄기의 분리 공정
실험에 사용된 녹차는 ㈜태평양 장원산업에서 제조한 녹차 100kg을 일본 시즈오카 기공에서 설계, 제작한 복합기를 사용하여 선별하여 녹차 잎과 줄기를 분리하였다. 이 복합기는 색체선별, 정전기선별, 풍력선별을 동시에 수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공정2> 녹차 줄기의 배전처리 공정
상기 공정 1에서 분리한 줄기를 드럼 배전기로 하기 표 1의 온도 및 시간 조건으로 배전 처리하였다.
<공정3> 녹차 줄기의 마쇄·체별 공정
상기 공정 2에서 배전처리한 줄기를 마쇄기로 마쇄한 후 20메쉬(900㎛) ~30메쉬(600㎛)로 체별하여 20메쉬~30메쉬 상단에서 얻어진 줄기만을 취하였다.
<공정4> 분쇄 공정
사이크론 분급기가 설치된 기류식 분쇄기(HTM-200, 현준 파우텍)를 이용하여 상기 공정 3에서 얻어진 녹차줄기 30kg을 투입한 후 분쇄기 회전수 8000rpm, 분급기 인버터 50Hz로 1시간 동안 녹차줄기를 분쇄하여 입자 크기가 100메쉬 이하가 되는 가루를 얻었다.
<관능검사>
상기 공정 4에서 얻은 녹차줄기 가루 0.4g을 7~10℃의 물 150ml에 넣어 충분히 저어준 후, 훈련된 10인의 전문패널에게 시음을 시킨 후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배전처리온도/시간(분) 5 10 15 20 25 30 35 40 45
100℃ + + + + + + + + +
110℃ + ++ ++ ++ +++ +++ +++ +++ ++
120℃ ++ ++ ++ +++ +++ +++ +++ +++ ++
130℃ ++ +++ +++ +++ +++ +++ ++ ++ +
140℃ ++ +++ +++ +++ +++ ++ ++ + +
150℃ ++ +++ +++ ++ ++ + + + +
(+++: 좋음, ++: 보통, +: 나쁨)
상기 표 1의 결과와 같이 온도 110~150℃에서 10~30분간 배전 처리하였을 때 기호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실시예 2] 색도기준으로 줄기가루 혼합시 만족 수준 결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녹차줄기가루를 비교예 1에서 얻어진 가루녹차에 각각 10%, 20%, 30%, 40%, 50%, 60%, 70%, 80%, 90% 중량비로 혼합하고 10인의 전문 패널에게 색도를 평가하게 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평가요원/ 줄기함량 10% 20% 30% 40% 50% 60% 70% 80% 90%
1 S S S S S S F F F
2 S S S S S S F F F
3 S S S S S S F F F
4 S S S S S S F F F
5 S S S S S F F F F
6 S S S S S F F F F
7 S S S S S F F F F
8 S S S S S F F F F
9 S S S S S F F F F
0 S S S S S F F F F
(S: Success, F: Fail)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가루녹차의 색도로서 가치가 있으면 S로, 가치가 없으면 F로서 표기하게 하였고, 녹차줄기가루 함량이 50% 이하의 중량비가 되었을 때가 가루녹차로서 바람직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1] 가루녹차의 제조
사이크론 분급기가 설치된 기류식 분쇄기(HTM-200, 현준 파우텍)를 이용하여 녹차 잎과 줄기를 분리하지 않고 1차 가공하고 분쇄하는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된 녹차 20kg을 투입한 후 분쇄기 회전후 8000rpm, 분급기 인버터 50Hz로 1시간 동안 녹차를 분쇄하여 입자 크기가 100메쉬(150㎛) 이하가 되는 가루녹차를 얻었다.
[실시예 3] 줄기가루 혼합 가루녹차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녹차 줄기가루와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된 가루녹차를 2:8의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3에서 녹차 줄기가루와 가루녹차를 3:7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3에서 녹차 줄기가루와 가루녹차를 4:6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3에서 녹차 줄기가루와 가루녹차를 5:5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3에서 녹차 줄기가루와 가루녹차를 1:9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공정 1과 공정 3을 제외하고 나머지 공정은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녹차 잎과 줄기를 분리하지 않은 채 배전 처리한 후 분쇄하여 분말을 제조하고, 이 분말을 비교예 1에서 제조한 가루녹차와 2:8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공정 1과 공정 3을 제외하고 나머지 공정은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녹차 잎과 줄기를 분리하지 않은 채 배전 처리한 후 분쇄하여 분말을 제조하고, 이 분말을 비교예 1에서 제조한 가루녹차와 3:7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공정 1과 공정 3을 제외하고 나머지 공정은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녹차 잎과 줄기를 분리하지 않은 채 배전 처리한 후 분쇄하여 분말을 제조하고, 이 분말을 비교예 1에서 제조한 가루녹차와 4:6으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상기 실시예 1에서 공정 1과 공정 3을 제외하고 나머지 공정은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녹차 잎과 줄기를 분리하지 않은 채 배전 처리한 후 분쇄하여 분말을 제조하고, 이 분말을 비교예 1에서 제조한 가루녹차와 5:5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시험예 1] 분말 색도 측정
실시예 3~ 6의 녹차 줄기 가루 혼합 분말과 비교예 1~6의 분말 11g을 각각 색차계(CR-40, 미놀타社)를 이용하여 색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L a b
실시예 3 56.44 -8.85 25.15
실시예 4 56.85 -8.25 25.11
실시예 5 57.12 -7.98 25.08
실시예 6 57.44 -7.75 25.04
비교예 1 55.87 -9.98 25.79
비교예 2 56.25 -9.37 25.38
비교예 3 55.79 -8.29 24.61
비교예 4 55.11 -8.04 24.47
비교예 5 54.83 -7.41 23.83
비교예 6 54.49 -7.13 23.44
(L: ligtness, a: green, b: yellow)
표 3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가 비교예에 비하여 L값이 상대적으로 컸으며 이것은 밝기가 더 밝음을 의미한다. 즉, 열화에 의해서 줄기의 검변이 적었으며 줄기의 색 자체가 밝기 때문이다. 또한 줄기의 분리 가공 여부의 차이만 있을 뿐 가루녹차와 동일한 중량비로 혼합한 실시예 3과 비교예 3; 실시예 4와 비교예 4; 실시예 5와 비교예 5; 실시예 6과 비교예 6 각각의 a값을 비교하면, 줄기를 분리하여 혼합한 실시예의 경우 각각이 비교예에 비하여 a값이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관능 평가
상기 실시예 3~실시예 6 및 비교예 1~비교예 6에서 제조된 분말을 7~10℃ 150ml의 냉수에 0.4g을 넣어 잘 저어준 후, 훈련된 전문패널 10명에게 시음을 시킨 후 9점 척도법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항목 검사요원 1 2 3 4 5 6 7 8 9 10 합계
청취 (풀냄새) 실시예 3 4 4 5 4 5 4 4 4 5 3 42
실시예 4 3 3 4 3 4 3 3 3 4 3 33
실시예 5 2 2 3 2 3 2 2 2 3 2 23
실시예 6 1 1 1 1 2 1 1 1 2 1 12
비교예 1 8 8 9 8 9 8 8 8 9 9 84
비교예 2 6 6 7 6 6 6 6 5 6 7 61
비교예 3 5 5 5 5 5 5 5 4 5 6 50
비교예 4 4 4 4 5 4 5 4 4 5 5 44
비교예 5 3 3 3 4 3 4 3 3 4 4 34
비교예 6 2 2 2 3 2 3 2 2 3 3 24
쓴 맛 실시예 3 4 4 4 3 4 4 4 4 4 4 39
실시예 4 3 3 3 2 3 3 3 2 3 3 28
실시예 5 2 2 2 3 3 2 3 2 3 2 24
실시예 6 2 2 2 2 2 2 2 2 2 1 19
비교예 1 6 6 6 7 7 7 6 6 7 6 64
비교예 2 5 5 5 6 6 5 5 5 5 5 52
비교예 3 5 6 6 6 6 6 6 6 5 6 58
비교예 4 4 5 5 5 5 5 5 5 4 5 48
비교예 5 4 4 4 4 4 4 4 4 3 4 39
비교예 6 3 3 3 3 3 3 3 3 1 3 28
떫은 맛 실시예 3 4 4 4 3 4 4 4 4 4 4 39
실시예 4 3 3 3 2 3 3 3 2 3 3 28
실시예 5 2 2 2 2 2 2 2 2 3 1 20
실시예 6 1 1 1 2 2 2 2 2 2 1 16
비교예 1 6 7 7 7 7 7 7 7 7 7 69
비교예 2 5 6 6 6 6 5 5 5 6 6 56
비교예 3 5 5 5 5 5 5 6 6 5 6 53
비교예 4 4 4 4 4 4 4 5 5 4 5 43
비교예 5 3 3 3 3 3 3 4 4 2 4 32
비교예 6 2 2 2 2 2 2 3 3 1 3 22
구수한 맛 실시예 3 3 4 4 4 4 4 5 2 3 3 36
실시예 4 5 5 5 5 5 5 6 5 6 6 53
실시예 5 6 7 7 6 6 6 7 7 7 7 66
실시예 6 7 8 8 8 8 8 8 8 8 8 79
비교예 1 0 0 0 0 0 0 1 1 0 0 2
비교예 2 2 3 3 3 3 2 4 3 2 2 27
비교예 3 3 4 3 3 4 3 5 3 3 3 34
비교예 4 4 5 4 4 5 4 6 4 5 4 45
비교예 5 5 6 5 5 6 5 6 5 6 5 54
비교예 6 6 7 6 6 7 6 7 7 7 7 66
상기에서 9점 척도법에 따라 자극의 정도가 강한 것을 9, 자극의 정도가 없는 것을 0으로 하였다.
상기 전문 패널에 의한 관능평가 결과, 실시예 3~6에 의해 제조된 가루녹차가 비교예 1~2에 의해 제조된 가루녹차에 비해 사람들이 선호하지 않는 청취, 쓴 맛, 떫은 맛이 적었으며,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선호하는 구수한 향미는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줄기의 분리 가공 여부의 차이만 있을 뿐 가루녹차와 동일한 중량비로 혼합한 실시예 3과 비교예 3; 실시예 4와 비교예 4; 실시예 5와 비교예 5; 실시예 6과 비교예 6 각각의 청취, 쓴 맛, 떫은 맛, 구수한 맛을 비교하면 줄기를 분리하여 혼합한 실시예의 경우 각각이 비교예에 비하여 사람들이 선호하지 않는 청취, 쓴 맛, 떫은 맛은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구수한 맛은 강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결과를 토대로 줄기만을 분리하여 배전 처리한 후 분쇄한 녹차 줄기가루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된 가루녹차를 2:8~5:5의 비율 범위로 혼합하면 기호성이 우수한 가루녹차를 제조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1차 가공된 녹차를 선별기를 이용하여 줄기와 잎을 분리하고, 분리된 줄기만을 배전처리한 후 마쇄 및 체별 공정을 통하여 줄기분리 효율을 높이고, 기류식 분쇄기로 분쇄한 분말을 가루녹차에 20~50% 중량비로 혼합함으로써, 기존의 가루녹차보다 청취 및 쓰고 떫은 맛은 감소되면서 구수한 맛은 증진되며, 가루녹차로서 바람직한 색상을 가지게 되어 기호성이 우수한 가루녹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차 가공된 녹차를 선별기를 이용하여 녹차의 잎과 줄기를 분리하는 1단계;
상기 1단계에서 분리된 녹차 줄기를 드럼 배전기로 배전 처리하는 2단계;
상기 2단계에서 배전 처리된 녹차 줄기를 마쇄, 체별하는 3단계; 및
상기 3단계에서 얻어진 녹차 줄기를 분쇄한 후 상기 녹차 줄기를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된 가루녹차 또는 상기 1단계에서 분리된 녹차 잎과 2:8~5:5의 비율로 혼합하여 분쇄하는 4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루녹차 제조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에서의 배전 처리는 드럼 배전기로 110~150℃에서 10~30분간 배전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루녹차 제조방법.
삭제
1차 가공된 녹차 잎과 줄기를 분리하여 녹차 줄기만을 배전 가공하고, 배전 가공된 줄기를 분쇄한 후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된 가루녹차와 혼합하거나, 또는 녹차 줄기와 선별기로 분리한 1차 가공된 녹차 잎을 배전 가공된 줄기와 혼합하여 분쇄함으로써 제조되고, 상기 배전 가공된 녹차 줄기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된 가루녹차 또는 분리된 녹차 잎을 2:8~5:5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가루녹차.
삭제
KR1020060119453A 2006-11-30 2006-11-30 기호성이 우수한 가루녹차 제조 방법 KR100811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453A KR100811464B1 (ko) 2006-11-30 2006-11-30 기호성이 우수한 가루녹차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453A KR100811464B1 (ko) 2006-11-30 2006-11-30 기호성이 우수한 가루녹차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1464B1 true KR100811464B1 (ko) 2008-03-07

Family

ID=39398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9453A KR100811464B1 (ko) 2006-11-30 2006-11-30 기호성이 우수한 가루녹차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14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9910A1 (en) * 2011-05-23 2012-11-29 Unilever Plc Process for manufacturing green tea
KR20190111460A (ko) 2018-03-23 2019-10-02 재단법인 하동녹차연구소 가루녹차 및 가루녹차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9498A (ja) 1998-01-05 1999-07-27 Rohto Pharmaceut Co Ltd 医薬製剤
KR100259012B1 (ko) 1997-12-12 2000-06-15 서경배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 말차의 제조방법
JP2001008623A (ja) 1999-06-29 2001-01-16 Uji Kadotaen:Kk ドリップ式ティーバッグ
KR20010099089A (ko) * 2001-08-28 2001-11-09 유연실 녹차 빙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9012B1 (ko) 1997-12-12 2000-06-15 서경배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 말차의 제조방법
JPH11199498A (ja) 1998-01-05 1999-07-27 Rohto Pharmaceut Co Ltd 医薬製剤
JP2001008623A (ja) 1999-06-29 2001-01-16 Uji Kadotaen:Kk ドリップ式ティーバッグ
KR20010099089A (ko) * 2001-08-28 2001-11-09 유연실 녹차 빙수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9910A1 (en) * 2011-05-23 2012-11-29 Unilever Plc Process for manufacturing green tea
CN103607902A (zh) * 2011-05-23 2014-02-26 荷兰联合利华有限公司 制备绿茶的方法
CN103607902B (zh) * 2011-05-23 2016-02-17 荷兰联合利华有限公司 制备绿茶的方法
EA025589B1 (ru) * 2011-05-23 2017-01-30 Унилевер Н.В.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зеленого чая
EA025589B9 (ru) * 2011-05-23 2017-08-31 Унилевер Н.В.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зеленого чая
KR20190111460A (ko) 2018-03-23 2019-10-02 재단법인 하동녹차연구소 가루녹차 및 가루녹차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71046B1 (en) Method for extracting pea proteins
CN104663996B (zh) 一种咖啡替代物及其制备方法
KR100448413B1 (ko) 구운 콩의 배축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수
ES2321619T3 (es) Productos de granos de cacao enteros.
KR100811464B1 (ko) 기호성이 우수한 가루녹차 제조 방법
KR20200081010A (ko) 메밀이 함유된 기능성 드립백 커피의 제조방법
KR101521015B1 (ko) 가바쌀 두부의 제조방법
KR101758346B1 (ko) 냉온수용 과립형 녹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54361A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커피원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70573B1 (ko) 콩이 함유된 아이스크림 및 그 제조방법
JP3414169B2 (ja) 飲食用素材及びその製造法
US20200296985A1 (en) Tea leaf powder
KR101967612B1 (ko) 클로렐라 함유 과립형 미숫가루의 제조방법
KR20130071695A (ko) 효소처리공법을 이용한 커피 추출방법 및 이를 활용한 커피음료 제조방법
KR101469207B1 (ko) 감귤착즙박 함유 양갱 및 이의 제조방법
JP6718241B2 (ja) 高香味の粉砕茶葉を含有する緑茶飲料
CN110063452A (zh) 一种小米复合即食冲调粉及其制备方法
KR102614234B1 (ko) 침향을 함유한 커피차 조성물
KR101535214B1 (ko) 다시마, 고대미 및 현미를 이용한 차 및 그 제조방법
JP3778891B2 (ja) 緑葉末の製造方法
KR20090050282A (ko) 녹차 식이섬유의 제조방법
KR102135781B1 (ko) 숙성 커피와 상기 숙성 커피를 이용한 된장, 간장 및 된장차의 제조방법
JP3801051B2 (ja) おから茶
KR20030051979A (ko) 녹차분을 이용한 녹차묵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의하여 제조된 녹차묵
KR100756546B1 (ko) 잎과 줄기의 분리가공을 통한 기호성이 우수한 녹차의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