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0557B1 - 음료 냉각기 - Google Patents

음료 냉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0557B1
KR100810557B1 KR1020060033559A KR20060033559A KR100810557B1 KR 100810557 B1 KR100810557 B1 KR 100810557B1 KR 1020060033559 A KR1020060033559 A KR 1020060033559A KR 20060033559 A KR20060033559 A KR 20060033559A KR 100810557 B1 KR100810557 B1 KR 100810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absorbing
tube
pipe
chamber
absorb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3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1994A (ko
Inventor
이재혁
Original Assignee
마케팅솔루션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케팅솔루션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마케팅솔루션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3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0557B1/ko
Publication of KR20070101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1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F25D31/003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with immersed cool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58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 B67D1/0861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acting through an intermediate heat transfer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05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combined with heat ex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의 판매시에 사용하는 음료의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중첩되게 권회되어 이루어지며,양단부가 주입부 및 배출부를 이루는 튜브로 된 음료유통관체와;냉매가 순환하는 다수의 인접한 미세관부로 구획된 판체 형상이고 측면에 박판형상의 흡열핀이 부착된 복수의 다지관이 결합된 흡열관체와, 복수의 다지관의 양단부를 각각 연통하게 각각 연결하며 냉매 유입부와 유출부를 가지는 한 쌍의 헤드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위의 음료유통관체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흡열판체와; 상기 흡열판체와 음료 유통관체가 장착되고 내부에 축냉매체가 채워진 챔버; 를 포함하여 구성된 음료 냉각기를 제공하며, 음료의 냉각효율을 향상시켜, 필요전력량이 낮고 염가인 음료 냉각기를 제공할 수 있다.
흡열판, 흡열관체, 미세관부, 헤드파이프

Description

음료 냉각기{An apparatus for cooling beverage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음료 냉각기의 내부 사시도,
도 2는 도1의 음료 냉각기에 사용되는 다지관의 사시도,
도 3a는 도1의 흡열판체의 제1변형예의 사시도,
도 3b는 도1의 흡열판체의 제2변형예의 사시도,
도 3c는 도1의 흡열판체의 제3변형예의 사시도,
도 4a는 도1의 흡열판체에 사용된 흡열핀의 확대 사시도,
도 4b는 도1의 흡열판체의 흡열핀의 변형예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음료냉각기의 내부 사시도,
도6은 종래의 맥주 냉각기의 일례를 나타낸 내부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음료 냉각기 챔버 20:음료 유통관
21:음료 주입부 22:음료 배출부
30:흡열판체 31:다지관
32:미세관부 33:흡열핀
34:흡열관체 35:제1 헤드파이프
35a:냉매 유입부 35'a:제1유입 헤드파이프
35":제1결합 헤드파이프 35'b:제1유출 헤드파이프
36:제2 헤드파이프 36a:냉매 유출부
36":제2결합 헤드파이프 36"a:제2일측 결합 헤드파이프
36"b:제2타측 결합 헤드파이프 36'b:제2유출 헤드파이프
37:냉매 분배부 38: 냉매 회수부
본 발명은 음료 냉각기,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를 판매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음료 냉각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도6과 같이, 냉각기 챔버(CH)의 내벽을 따라 냉매가 순환하는 흡열파이프(CP)가 수회 권회되고, 챔버의 내부공간에는 맥주의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가지는 맥주유통관(BFT)이 중첩하여 권회되어 있으며, 챔버의 나머지 공간에는 물 이나 알코올등의 축냉매체가 충전되어 있는 맥주 냉각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맥주 냉각기의 경우, 챔버의 내벽을 따라 설치되는 흡열 파이프(CP)를 통한 열흡수만으로 필요한 냉각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비교적 많은 회수로 흡열파이프를 권회해야만 했고, 열교환 면적을 크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챔버의 부피를 크게 하고 흡열 파이프의 권회수를 늘리지 않으면 아니되었으며, 챔버의 부피가 커지면 쳄버내에 충진되는 축냉매체의 양도 상당히 많이 소요되어 더 많은 전력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열교환효율 및 냉각효과가 우수한 음료 냉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소요전력량이 적고 염가인 음료 냉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챔버와; 튜브가 권회되어 이루어지며, 양단부가 주입부 및 배출부를 이루며 위의 챔버에 장착된 음료유통관체와; 냉매가 순환하는 다수의 인접한 미세관부로 구획된 판체 형상이고 측면에 박판형상의 흡열핀이 부착된 복수의 다지관이 결합된 흡열관체와, 복수의 흡열관체의 다지관의 양단부를 연통하게 각각 연결하며 냉매 유입부와 유출부를 가지는 한 쌍의 제1 및 제2 헤드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위의 챔버내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흡열판체와; 상기 흡열판체와 음료유통관체가 장착된 챔버 내부공간에 채워진 축냉매체; 를 포함하여 구성된 음료 냉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음료 냉각기는 음료 유통관체가 중첩되게 권회되어 생기는 내부공간은 물론 외부공간 즉, 챔버의 내벽과 음료 유통관체의 사이에도 흡열판이 설치될 수 있다.
음료 유통관체는 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타원형 등의 여러가지 형상으로중첩하여 권회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주름 또는 나선형 홈이 형성된 튜브를 사용하여 열교환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한편, 흡열관체의 다지관의 측면에 부착된 흡열핀은 지그재그형상으로 굴곡된 박판 또는 평행하게 결합된 복수의 박판으로 구성될 수 있고, 열교환 면적을 크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맥주 냉각기의 챔버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도2는 도1의 다지관의 사시도이다.
도1에는 플라스틱제 챔버(10)와; 스테인레스 스틸 튜브(ST)로 만들어지고 원형을 이루도록 중첩하게 권회되고 양단부의 맥주의 주입부(21) 및 배출부(22)를 가지며 챔버(1)내부에 설치된 맥주 유통관체(20)와; 측면에 다수의 흡열핀(33)이 층을 이루어 밀집하게 옆방향으로 부착되고 내부에 다수의 미세관부(32)가 인접하게 형성된 복수의 다지관(31)이 결합된 흡열관체(34)와, 이 복수의 다지관(31)의 다수의 미세관부의 일단인 상부와 연통하게 연결되며 냉매의 유입부(35a)가 형성된 제1 헤드파이프(35)와, 다지관(31)의 다수의 미세관부의 타단인 하부가 연통하게 연결되며 냉매의 유출부(36a)가 형성되며 제1 헤드파이프(35)와 평행하게 연결된 제2 헤드파이프(36)로 구성되며 맥주 유통관체(20)에 의해 형성된 원통형 공간부내에 설치된 알루미늄제 흡열판체(30); 맥주 유통관체(20)와 흡열판체(30)가 장착된 내부공간에 채워진 축냉매체인 물(W);로 구성된 맥주 냉각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2는 도1의 다지관(31)의 확대 사시도로서, 단면이 직사각형인 8개의 미세관부(32)가 나란히 형성되어 있고, 미세관부(32)를 흐르는 냉매의 관벽과의 접촉면 적이 매우 넓기 때문에 일반적이 튜브에 비해 열교환효율이 월등하게 높으며, 도2는 가로가 약 5cm 세로가 약 1.4mm 의 단면을 가진 다지관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 다지관(31)은 단면이 직사각형인 판체 형상이며, 다지관(31)의 내부는 격벽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미세관부(32)로 구획되어 있어 열교환면적이 증대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다지관(31)은 압출성형등의 방법으로 제작된다.
흡열관체(30)에 사용되는 다지관(31) 및 흡열관체(34)의 개수는 냉각시킬 맥주의 양과 냉각소요시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현재 주점에서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맥주 냉각기의 맥주 유통관체의 내부공간의 직경이 약 20cm 인 것을 감안하면 4 내지 10개의 다지관(31)으로 구성된 흡열판체(30)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 헤드파이프(35,36)는 다지관의 단면형상에 걸맞는 연통구를 형성하고 브레이징에 의해 다지관(31)에 결착한다.
또한, 음료 유통관체(20) 및 흡열판체(30)를 제외한 챔버(10)의 내부에 충전되는 축냉매체는 물 외에 알코올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액도 사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맥주 냉각기는, 응축기 및 팽창기등과 연결된 냉매 유입부(35a)을 통과하여 유입된 냉매가 흡열판체(30)의 제1 헤드파이프(35)를 거쳐 다지관(31)내의 미세관부(32)에 분산,통과하며, 이 과정에서 다지관(31)의 다수의 흡열핀(33)을 경유하여 챔버(10)내의 물과, 맥주 유통관체(20)의 맥주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증발한 상태로 제2 헤드파이프(36)의 일단부에 형성된 냉매 유출부(36a) 를 통해 빠져 나가게 된다.
도3a는 도1의 흡열판체(30)의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3a의 흡열판체(30)는 측면에 다수의 흡열핀(33)이 층을 이루어 밀집하게 옆방향으로 부착되고 내부에 다수의 미세관부(32)가 인접하게 형성된 6개의 다지관(31)이 각각 결합된 한 쌍의 흡열관체(34)와; 위의 2개중 하나의 흡열관체(34)의 6개의 다지관(31)의 상단부와 연통되고 유입부(35a)가 형성된 제1유입 헤드파이프(35'a)와, 2개중 나머지 하나의 흡열관체(34)의 6개 다지관(31)의 상부와 연통되고 유출부(35b)가 형성된 제1유출 헤드파이프(35'b)로 이루어진 제1헤드파이프(35)와; 위의 한 쌍의 흡열관체(34)의 12개의 다지관(31)의 하부와 연통된 제2 헤드파이프(36);로 구성되어 있다.
도3a의 흡열판체(30)에서, 냉매의 유입부(35a)와 연통된 하나의 흡열관체(34)의 6개의 다지관(31)에서는 냉매가 하측으로 흘러서 제2 헤드파이프(36)를 통해 다른 흡열관체(34)의 6개의 다지관(31)을 거쳐 상측으로 흘러서 냉매 유출부(35b)로 흘러 나간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35b는 제1유출헤드파이프(35'b)에 형성된 냉매 유출부이다.
냉매 유입부(35a) 및 유출부(35b)가 같은 방향에 형성되어 냉매가 U자형으로 순환하도록 하는 것 이외의 헤드파이프(35,36)와 다지관(31)의 연결방법 및 흡열핀(33)의 형상에 관해서는 도1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도3b는 도1의 흡열판체(30)의 다른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3b의 흡열판체(30)는 측면에 다수의 흡열핀(33)이 층을 이루어 밀집하게 옆방향으로 부착되고 내부에 다수의 미세관부(32)가 인접하게 형성된 12개의 다지관(31)과; 4개의 다지관(31)의 미세관부(32)의 일단부와 연통되고 냉매 유입부(35a)가 형성된 제1유입 헤드파이프(35'a)와, 인접하는 나머지 8개의 다지관(31)의 미세관부(32)의 타단과 연통하는 제1결합 헤드파이프(35")로 이루어진 제1헤드파이프(35)와; 위의 제1유입 헤드파이프(35'a)와 연통하는 4개의 다지관(31)을 포함하여 8개의 다지관(31)의 미세관부(32)의 타단부와 연통하는 제2결합 헤드파이프(36")와, 인접하는 4개의 다지관(31)의 미세관부(32)의 타단부와 연통하며 냉매 유출부(36b)가 형성된 제2유출 헤드파이프(36'b)로 이루어진 제2헤드파이프(36); 로 구성되어 있다.
도3b의 흡열판체에서, 냉매는 유입부(35a),제1유입 헤드파이프(35'a)와 4개의 다지관(31)의 미세관부(32)를 거치고, 제2일측 결합헤드파이프(36")를 통해 방향을 바꾸어 인접하는 4개의 다지관(31)의 미세관부(32)를 따라 상측으로 흐르며, 또다시 제1결합 헤드파이프(35")를 통해 방향을 바꾸어 하측으로 흘러 나머지 4개의 다지관(31)의 미세관부(32)를 통해 제2유출 헤드파이프(36'b) 및 유출부(36b)를 거쳐 빠져 나간다.
도3c는 도1의 흡열판체(30)의 다른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3c의 흡열판체(30)는 12개의 다지관과; 유입부(35a)가 형성되고 3개의 다지관의 미세관부의 일단과 연통하는 제1유입 헤드파이프와,인접하는 6개의 다지관의 미세관부의 일단과 연통하는 제1결합 헤드파이프와, 나머지 3개의 다지관의 미세관부의 일단과 연통하며 유출부가 형성된 제1유출 헤드파이프로 이루어진 제1헤드파이프와; 제1유입 헤드파이프와 연통된 다지관의 미세관부를 포함하여 6개의 다지관의 미세관부의 타단 과 연통하는 제2일측결합 헤드파이프와, 인접하는 나머지 6개의 다지관의 미세관부의 타단과 연통하는 제2타측결합 헤드파이프로 이루어진 제2헤드파이프; 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냉매가 W 자형으로 흐르도록 한 것이다.
도4a는 도1의 맥주 냉각기의 흡열판체(30)의 중첩형 흡열핀(33)을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4b는 도1의 흡열판체(30)의 변형예의 사시도로서, 흡열핀(33)의 형상을 변화시켜 박판인 흡열핀(33)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연속 절첩시켜 다지관(31)의 측면에 부착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맥주 냉각기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5의 맥주 냉각기는 알루미늄제인 챔버(10)와; 스테인레스튜브(ST)가 직사각형 단면을 갖도록 중첩되게 다수회 권회되어 있고 양단이 주입부(21) 및 배출부(22)가 되는 맥주 유통관체(20)와; 맥주 유통관체(20)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설치된 하나의 흡열판체(30)와 챔버(10)의 내벽과 맥주 유통관체(20)의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 2개의 도3의 흡열판체(30); 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도5에 있어서, 냉각기내에 별도의 냉매 분배부(37)를 마련하여 분기된 3개의 관이 각각의 흡열판체(30)에 형성된 유입부(35a)와 연결되고, 3개의 각 흡열판체(30)에 형성된 냉매 유출부(35b)와 각각 연결된 냉매 회수부(38)가 구비되어 있다.
도5의 맥주 냉각기에 있어서, 액상 냉매는 분배부(37)를 거쳐 각 흡열판체(30)의 유입부(35a)로 흘러 들어가 다지관(31)을 순환하고 제2 헤드파이프(36)를 거쳐 제1유출 헤드파이프(35'b)의 유출부(35b)를 거치면서 증발한 냉매는 수렴 부(38)를 통해 냉각기를 빠져 나가며, 이러한 구조에 의한 맥주 냉각 작용은 도1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고, 냉각속도 및 냉각효율이 높은 점만이 다르다.
위의 분배부(37) 또는 회수부(38)의 사용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그 위치도 달리 할 수 있다.
위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맥주 냉각기에 관한 것이나, 이를 다른 음료의 냉각기에 적용,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흡열관체의 다지관의 수, 다지관의 크기 및 그 미세관부의 형상과 수가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도 또한 같다. 예를 들어, 흡열판체를 음료 유통관체에 의해 형성된 중앙의 공간부에 복수로 배치할 수 있고, 음료 유통관체의 외부와 챔버의 내벽면 사이에 적절한 수로 배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음료 냉각기는 냉매와의 열교환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냉각효율이 우수하며, 냉각속도가 빠르고, 효율적인 냉각효과로 인한 소요 전력량을 줄일 수 있고, 흡열판체의 개수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필요한 온도 및 시간으로 음료를 냉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하나의 챔버(10)와; 냉매가 순환하는 다수의 인접한 미세관부(32)로 구획되고 측면에 흡열핀(33)이 부착된 하나 이상의 다지관(31)으로 된 흡열관체(34)와, 상기 흡열관체(34)의 다지관(31)의 미세관부(32)의 양단부를 각각 연통하게 연결하고 유입부 또는 유출부가 형성된 한 쌍의 제1,제2 헤드파이프(35,36)로 이루어지고 상기 챔버(10)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흡열판체(30)와;
    튜브가 상하로 중첩되게 권회되어 형성되고 ,양단부가 주입부(21) 및 배출부(22)를 이루고 상기 챔버(10)에 장착된 음료유통관체(20)와;
    상기 흡열판체(30)와 음료유통관(20)이 장착된 상기 챔버(10)에 채워진 축냉매체;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흡열판체(30)가 복수의 상기 다지관(31)의 2분의 1의 미세관부(32)의 일단부와 연통하며 냉매 유입부(35a)를 가지는 제1유입 헤드파이프(35'a)와, 상기 다지관(31)의 나머지 2분의 1의 미세관부(32)의 일단부와 연통하며 냉매 유출부(35b)를 가지는 제1유출 헤드파이프(35'b)와, 상기 복수의 다지관(31)의 모든 미세관부(32)의 타단부와 연통하는 제2 헤드파이프(3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냉각기.
  4. 하나의 챔버(10)와; 냉매가 순환하는 다수의 인접한 미세관부(32)로 구획되고 측면에 흡열핀(33)이 부착된 하나 이상의 다지관(31)으로 된 흡열관체(34)와, 상기 흡열관체(34)의 다지관(31)의 미세관부(32)의 양단부를 각각 연통하게 연결하고 유입부 또는 유출부가 형성된 한 쌍의 제1,제2 헤드파이프(35,36)로 이루어지고 상기 챔버(10)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흡열판체(30)와;
    튜브가 상하로 중첩되게 권회되어 형성되고 ,양단부가 주입부(21) 및 배출부(22)를 이루고 상기 챔버(10)에 장착된 음료유통관체(20)와;
    상기 흡열판체(30)와 음료유통관(20)이 장착된 상기 챔버(10)에 채워진 축냉매체;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흡열판체(30)가 복수의 상기 다지관(31)의 3분의 1의 미세관부(32)의 일단부와 연통하며 냉매 유입부(35a)를 가지는 제1유입 헤드파이프(35'a)와, 상기 흡열판체(30)의 나머지 3분의 2의 미세관부(32)의 일단부와 연통하는 제1결합 헤드파이프(35")와, 상기 제1유입 헤드파이프(35'a)가 부착된 상기의 복수의 다지관(31)의 3분의 1을 포함하는 3분의 2의 다지관의 미세관부(32)의 타단부와 연통하는 제2결합 헤드파이프(36")와, 나머지 3분의1의 다지관(31)의 미세관부(32)의 타단부와 연통하며 냉매 유출부(36b)를 가지는 제2유출 헤드파이프(36'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냉각기.
  5. 하나의 챔버(10)와; 냉매가 순환하는 다수의 인접한 미세관부(32)로 구획되고 측면에 흡열핀(33)이 부착된 하나 이상의 다지관(31)으로 된 흡열관체(34)와, 상기 흡열관체(34)의 다지관(31)의 미세관부(32)의 양단부를 각각 연통하게 연결하고 유입부 또는 유출부가 형성된 한 쌍의 제1,제2 헤드파이프(35,36)로 이루어지고 상기 챔버(10)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흡열판체(30)와;
    튜브가 상하로 중첩되게 권회되어 형성되고 ,양단부가 주입부(21) 및 배출부(22)를 이루고 상기 챔버(10)에 장착된 음료유통관체(20)와;
    상기 흡열판체(30)와 음료유통관(20)이 장착된 상기 챔버(10)에 채워진 축냉매체;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흡열판체(30)가 상기 복수의 다지관(31)의 4분의 1의 미세관부(32)의 일단부와 연통하며 냉매 유입부(35a)를 가지는 제1유입 헤드파이프(35'a)와, 인접한 상기 복수의 다지관(31)의 2분의 1의 미세관부(32)의 일단부와 연통하는 제1결합 헤드파이프(35")와, 상기 복수의 다지관(31)의 나머지 4분의 1의 미세관부(32)의 일단부와 연통하며 냉매 유출부(35b)를 가지는 제1유출 헤드파이프(35'b)와, 상기 제1유입 헤드파이프(35'a)가 부착된 다지관(31)을 포함하는 2분의 1의 다지관(31)의 미세관부(32)의 타단부와 연통하는 제2일측 결합 헤드파이프(36"a)와, 나머지 2분의 1의 다지관(31)의 미세관부(32)의 타단부와 연통하는 제2 타측 결합 헤드파이프(36"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냉각기.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판체(30)가 알루니늄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냉각기.
  7.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흡열판체(30)가 상기 음료 유통관체(20)에 의해 형성된 중앙공간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냉각기.
  8.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흡열판체(30)가 상기 챔버(10)의 내벽면과 상기 음료 유통관체(20)의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냉각기.
  9.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흡열판체(30)가 상기 음료 유통관체(20)에 의해 형성된 중앙공간부, 그리고 상기 챔버(10)의 내벽면과 상기 음료 유통관체(20)의 사이에 각각 하나 이상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냉각기.
  10.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유통관체(20)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냉각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유통관체(20)가 나선형관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냉각기.
KR1020060033559A 2006-04-13 2006-04-13 음료 냉각기 KR100810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559A KR100810557B1 (ko) 2006-04-13 2006-04-13 음료 냉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559A KR100810557B1 (ko) 2006-04-13 2006-04-13 음료 냉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994A KR20070101994A (ko) 2007-10-18
KR100810557B1 true KR100810557B1 (ko) 2008-03-18

Family

ID=38817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559A KR100810557B1 (ko) 2006-04-13 2006-04-13 음료 냉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05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7321A (ko) * 2010-12-30 2012-07-10 김영귀 애노다이징 처리된 쿨러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음용수의 순간 냉각장치
CN115077152B (zh) * 2022-07-12 2024-02-13 苏州惟新传热科技有限公司 一种重力式充冷的冷藏蓄冷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0661U (ko) * 1990-12-28 1992-08-31
JP2000304489A (ja) 1999-04-15 2000-11-02 Denso Corp 熱交換器及び放熱器
JP2002181462A (ja) 2000-12-12 2002-06-26 Daikin Ind Ltd 空気熱交換器
JP2003139458A (ja) 2001-11-01 2003-05-14 Toshiba Electric Appliance Co Ltd 冷水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0661U (ko) * 1990-12-28 1992-08-31
JP2000304489A (ja) 1999-04-15 2000-11-02 Denso Corp 熱交換器及び放熱器
JP2002181462A (ja) 2000-12-12 2002-06-26 Daikin Ind Ltd 空気熱交換器
JP2003139458A (ja) 2001-11-01 2003-05-14 Toshiba Electric Appliance Co Ltd 冷水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994A (ko) 200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4541B2 (en) Plate for heat exchanger
US7546867B2 (en) Spirally wound, layered tube heat exchanger
GB2250336A (en) Heat exchanger
US20080184734A1 (en) Flat Tube Single Serpentine Co2 Heat Exchanger
US20130240177A1 (en) Nested heat exchanger
CN101532757A (zh) 一种平行流式壳管换热器
KR100810557B1 (ko) 음료 냉각기
JP2011247579A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及び冷凍空調装置
KR20190006781A (ko) 증발식 응축기
JP2003166797A (ja) 熱交換器
JP2015059669A (ja) 積層型熱交換器
US20240011713A1 (en) Spiral heat exchang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4879292B2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及び冷凍空調装置
JP2003139478A (ja) 熱交換器
KR100494185B1 (ko) 실리콘 카바이드 튜브가 구비된 열교환기
JP2001133076A (ja) 熱交換器
CN208476047U (zh) 换热组件
JP4313605B2 (ja) 流体冷却器
KR101437055B1 (ko) 축냉 열교환기
JP2927006B2 (ja) 熱交換器
KR100535201B1 (ko) 정수기용 냉각장치
JP4328411B2 (ja) 熱交換器
CN216620274U (zh) 换热器和空调器
KR20050077703A (ko) 다단 판형 폐수 열교환기
KR200347516Y1 (ko) 다단 판형 폐수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