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0142B1 - 캔 파쇄기 - Google Patents

캔 파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0142B1
KR100810142B1 KR1020060085221A KR20060085221A KR100810142B1 KR 100810142 B1 KR100810142 B1 KR 100810142B1 KR 1020060085221 A KR1020060085221 A KR 1020060085221A KR 20060085221 A KR20060085221 A KR 20060085221A KR 100810142 B1 KR100810142 B1 KR 100810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agnetic roller
container
tin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5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진식
조옥래
Original Assignee
주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식 filed Critical 주진식
Priority to KR1020060085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01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02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6Feeding or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30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캔을 파쇄할 때 나오는 알루미늄부스러기와 양철부스러기를 분리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캔 파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쇄실 하측의 배출호퍼 하측에 자석롤러를 회전되게 설치하고, 자석롤러의 외주면 일측에는 자석롤러에 붙은 양철부스러기를 긁어내리는 분리판을 근접하게 설치하며, 자석롤러 하측에는 알루미늄수거통과 양철수거통을 배치하여 파쇄실에서 잘게 파쇄되어 하측으로 배출되는 캔부스러기를 알루미늄부스러기와 양철부스러기로 분리수거할 수 있도록 하고, 파쇄장치부를 감싸는 외부커버의 내면에는 차음패드를 설치하여 캔을 파쇄할 때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면 상하부에 투입구도어(4)와 수거통도어(3)가 설치된 외부커버(1)의 내측 하부에 파쇄실(11)에서 파쇄된 캔부스러기가 담기는 수거통(10)이 설치되고, 수거통(10)의 상부에는 상측에 투입구도어(4)와 통하는 투입관부(13)를 구비한 하우징(12)이 설치되며, 이 하우징(12)의 내측 상부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카타(17)가 설치되고, 회전카타(17)와 근접한 하우징(12)의 양측 내벽에는 회전카타(17)에 대응하는 고정카타(21)가 설치되며, 회전카타(17) 하측의 하우징(12) 내부에는 걸름망(22)이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수거통(10)은 전방과 상측 후방이 개방된 수거통본체(7) 내부에 삽입 설치되면서 알루미늄수거통(8)과 양철수거통(9)으로 분리되어 수거통도어(3)를 통하여 출입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2)의 하단부는 수거통본체(7)의 상측 개방된 부분에 결합 설치되며, 상기 회전카타(17)의 회전축(14)은 하우징(12)의 전후방으로 노출되어 하우징(12)의 전방으로 노출된 전방측 회전축(14)에 모터축이 축 결합되고, 하우징(12)의 후방으로 노출된 후방측 회전축(14)에는 구동스프라켓(20)이 설치되며, 상기 걸름망(22) 하측의 하우징(12) 내부에는 배출호퍼(23)가 설치되고, 배출호퍼(23) 하측의 하우징(12) 내측 하부에는 자석롤러(24)를 설치하되, 자석롤러(24)의 회전축(25)이 하우징(12)의 후방으로 관통되어 하우징(12)의 후방으로 관통된 회전축(25)에는 종동스프라켓(26)이 설치되고, 이 회전축(25)과 회전카타(17)의 구동스프라켓(20) 사이에는 체인(27)이 감겨지게 설치되며, 하우징(12) 하단에는 자석롤러(24)의 외부면에 달라붙은 양철부스러기(30)를 양철수거통(9)으로 긁어내리는 분리판(32)이 자석롤러(24)의 외주면 하측과 근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외부커버(1)의 내부 전체면에는 차음패드(5)가 부착되고, 상기 외부커버(1)의 투입구도어(4) 상부에는 광고장치부(2)가 설치되고, 상기 자석롤러(24)는 중공축(28)의 내부에 자석(29)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캔, 파쇄기, 회전카타, 고정카타, 걸름망, 자설롤러, 차음패드

Description

캔 파쇄기{A can crush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캔 파쇄기의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부분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부커버 2 : 광고장치부 3 : 수거통도어
4 : 투입구도어 5 : 차음패드 6 : 파쇄장치부
7 : 수거통본체 8 : 알루미늄수거통 9 : 양철수거통
10 : 수거통 11 : 파쇄실 12 : 하우징
13 : 투입관부 14 : 회전축 15 : 칼날설치대
16 : 절삭날 17 : 회전카타 18 : 모터설치대
19 : 모터 20 : 구동스프라켓 21 : 고정카타
22 : 걸름망 23 : 배출호퍼 24 : 자석롤러
25 : 회전축 26 : 종동스프라켓 27 : 체인
28 : 중공축 29 : 자석 30 : 양철부스러기
31 : 알루미늄부스러기 32 : 분리판
본 발명은 캔을 파쇄할 때 나오는 알루미늄부스러기와 양철부스러기를 분리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캔 파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쇄실 하측의 배출호퍼 하측에 자석롤러를 회전되게 설치하고, 자석롤러의 외주면 일측에는 자석롤러에 붙은 양철부스러기를 긁어내리는 분리판을 근접하게 설치하며, 자석롤러 하측에는 알루미늄수거통과 양철수거통을 배치하여 파쇄실에서 잘게 파쇄되어 하측으로 배출되는 캔부스러기를 알루미늄부스러기와 양철부스러기로 분리수거할 수 있도록 하고, 파쇄장치부를 감싸는 외부커버의 내면에는 차음패드를 설치하여 캔을 파쇄할 때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도 여러 종류의 캔 파쇄기가 특허 및 실용신안으로 출원된 것이 있으나, 본 발명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캔 파쇄기는 찾을 수가 없었다.
그런데, 본 발명과 유사한 구조를 부분적으로 구성하고 있는 폐 페트병 파쇄기는 존재하고 있는데, 이 폐 페트병 파쇄기는 실용신안등록 제246775호, 실용신안등록 제349565호, 특허등록 제540768호가 존재하고 있다.
상기 3건의 선 등록건의 공통된 구조는, 상측으로 페트병이 투입되는 파쇄공간부의 내부에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카타가 설치되고, 이 파쇄공간부의 양측 내벽에는 회전카타와 근접하게 고정카타가 고정되게 설치되며, 파쇄공간부의 하부에는 타공망 형태의 걸름망이 설치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폐 페트병 파쇄기는 회전카타가 회전하는 상태에서 상측의 투 입구로 페트병을 삽입시키게 되면, 회전카타가 고정카타와 틈새를 두고 지나는 과정에서 회전카타의 절삭날과 고정카타의 절삭날과의 틈새에서 페트병이 파쇄되게 되고, 이처럼 회전카타와 고정카타의 계속적인 파쇄에 의해 페트병조각의 크기가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되고, 상기와 같이 작게 파쇄되는 페트병조각은 걸름망을 통과하여 하측의 수거통에 수거됨에 따라 페트병에 대한 파쇄작업이 완료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도 위와 같이 파쇄공간부의 내부에 회전카타가 설치되고, 이 파쇄 공간부의 양측 내벽에는 회전카타와 근접하게 틈새를 둔상태로 고정카타가 고정되게 설치되며, 파쇄공간부의 하부에는 타공망 형태의 걸름망이 설치되어 캔을 파쇄하는 것은 동일하다.
그러나, 캔 파쇄기에는 알루미늄캔과 양철캔이 파쇄되므로 양철부스러기와 알루미늄부스러기가 나오게 되고, 이렇게 파쇄되어 나오는 양철부스러기와 알루미늄부스러기를 분리하여 수거해야만 효율적을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양철부스러기와 알루미늄부스러기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수단이 마련되어야 바람직하다.
그런데, 종래의 캔파쇄기에는 양철부스러기와 알루미늄부스러기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알루미늄캔과 양철캔을 별도로 파쇄하거나, 알루미늄캔과 양철캔을 함께 파쇄한 뒤에 별도로 알루미늄부스러기와 양철부스러기를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운 후 공정을 거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위와 같은 캔 파쇄기는 금속재질로 된 알루미늄캔 및 양철캔을 금속재질로 된 회전카타와 고정카타로 파쇄하게 되므로, 알루미늄캔과 양철캔을 파쇄할 때 매우 시끄러운 소음이 크게 발생하여 소음공해를 비롯한 캔파쇄기 주변의 사람에게 불안감을 주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쇄실 하측의 배출호퍼 하측에 자석롤러를 회전되게 설치하고, 자석롤러의 외주면 일측에는 자석롤러에 붙은 양철부스러기를 긁어내리는 분리판을 근접하게 설치하며, 자석롤러 하측에는 알루미늄수거통과 양철수거통을 배치하여 파쇄실에서 잘게 파쇄되어 하측으로 배출되는 캔부스러기를 알루미늄부스러기와 양철부스러기로 분리수거할 수 있도록 하고, 캔파쇄장치를 감싸는 외부커버의 내면에는 차음패드를 설치하여 캔을 파쇄할 때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 상하부에 투입구도어와 수거통도어가 설치된 외부커버의 내측 하부에 파쇄실에서 파쇄된 캔부스러기가 담기는 수거통이 설치되고, 수거통의 상부에는 상측에 투입구도어와 통하는 투입관부를 구비한 하우징이 설치되며, 이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카타가 설치되고, 회전카타와 근접한 하우징의 양측 내벽에는 회전카타에 대응하는 고정카타가 설치되며, 회전카타 하측의 하우징 내부에는 걸름망이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수거통은 전방과 상측 후방이 개방된 수거통본체 내부에 삽입 설치되면서 알루미늄수거통과 양철수거통으로 분리되어 수거통도어를 통하여 출입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는 수거통본체의 상측 개방된 부분에 결합 설치되며, 상기 회전카타의 회전축은 하우징의 전후방으로 노출되어 하우징의 전방으로 노출된 전방측 회전축에 모터축이 축 결합되고, 하우징의 후방으로 노출된 후방측 회전축에는 구동스프라켓이 설치되며, 상기 걸름망 하측의 하우징 내부에는 배출호퍼가 설치되고, 배출호퍼 하측의 하우징 내측 하부에는 자석롤러를 설치하되, 자석롤러의 회전축이 하우징의 후방으로 관통되어 하우징의 후방으로 관통된 회전축에는 종동스프라켓이 설치되고, 이 회전축과 회전카타의 구동스프라켓 사이에는 체인이 감겨지게 설치되며, 하우징 하단에는 자석롤러의 외부면에 달라붙은 양철부스러기를 양철수거통으로 긁어내리는 분리판이 자석롤러의 외주면 하측과 근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외부커버의 내부 전체면에는 차음패드가 부착되고, 상기 외부커버의 투입구도어 상부에는 광고장치부가 설치되고, 상기 자석롤러는 중공축의 내부에 자석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캔 파쇄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캔 파쇄기는, 외부커버(1)의 전면 상하부에 광고장치부(2)와 수거통도어(3)가 각각 설치되며, 광고장치부(2) 하측에는 투입구도어(4)가 설치되고, 이 외부커버(1)의 내부 전체면에는 외부커버(1)의 내부에 설치되는 파쇄장치부(6)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차단하는 차음패드(5)가 부착 설치된다.
상기 파쇄장치부(6)는 전면과 상측 후방이 개방된 수거통본체(7)가 외부커버(1)의 내측 하부에 삽입 설치되고, 이 수거통본체(7)의 내측에는 수거통(10)이 설치되는데, 이 수거통(10)은 알루미늄수거통(8)과 양철수거통(9)이 분리된 상태로 수거통도어(3)를 통하여 외측으로 출입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수거통본체(7)의 개방된 상부에는 상하부가 개방되며 내측에 파쇄 실(11)을 형성하는 하우징(12)이 결합 설치되며, 이 하우징(12)의 개방된 상부에는 투입구도어(4)와 통하는 투입관부(13)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2)의 내측 상부에는 회전축(14)이 하우징(12)의 전후방으로 노출되게 회전카타(17)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카타(17)는 회전축(14)의 외주연에 방사상으로 2~4개의 칼날설치대(15)가 외향 설치되고, 이 각각의 칼날설치대(15)에는 각각의 절삭날(16)이 볼트에 의해 방사상으로 출몰길이를 조정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2)의 전방으로 노출된 회전축(14)의 선단부에는 하우징(12)의 전방외측에 구비된 모터설치대(18)에 설치된 모터(19)의 모터축과 축 결합되고, 하우징(12)의 후방으로 노출된 회전축(14)의 후단부에는 구동스프라켓(2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카타(17) 외측의 하우징(12) 양측 내벽에는 회전카타(17)의 절삭날(16)의 선단부와 대응되게 소정의 틈새를 유지하는 상태로 고정카타(21)가 내향 설치되며, 하우징(12) 내측의 회전카타(17) 하부에는 타공판 형태의 걸름망(22)과, 그 하측에 배출호퍼(23)가 설치된다.
그리고, 배출호퍼(23) 하측의 하우징(12) 내측 하부에는 자석롤러(24)를 설치하되, 자석롤러(24)의 회전축(25)이 하우징(12)의 후방으로 관통되어 하우징(12)의 후방으로 관통된 회전축(25)에는 종동스프라켓(26)이 설치되고, 이 회전축(25)과 회전카타(17)의 구동스프라켓(20) 사이에는 체인(27)이 감겨지게 설치된다.
상기 자석롤러(24)는 중공축(28)의 내부에 자석(29)이 삽입되어 있으며, 하 우징(12) 하단에는 자석롤러(24)의 외부면에 달라붙은 양철부스러기(30)를 양철수거통(9)으로 긁어내리는 분리판(32)이 자석롤러(24)의 외주면 하측과 근접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자석롤러(24)는 회전축의 외주면에 자석을 부착시킬 수 도 있음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광고장치부(2)는 공지된 것으로 엘씨디모니터를 설치한 것이나, 상하롤러사이에 광고문구가 인쇄된 광고시트가 롤 타잎으로 상하이동하는 것과, 내면에 광고문구가 표시된 광고공간부에 램프를 설치한 것과 같은 통상의 광고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 부호중 미설명부호 "33"은 외부커버(1)의 하측에 설치되는 바퀴이고, "34"는 알루미늄수거통(8)과 양철수거통(9)의 하측에 설치되는 바퀴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 관계를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캔 파쇄기를 이용하여 캔을 파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커버(1)의 전면 상부에 설치된 투입구도어(4)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투입관부(13)로 폐 캔을 삽입시키면, 투입구도어(4)의 내부에는 하우징(12)의 상부와 연결된 투입관부(13)가 하향 설치되어 있어서, 투입관부(13)로 삽입시킨 폐 캔(이하, 캔이라 약칭함)은 하향 경사진 투입관부(13)에 안내되면서 회전카타(17) 상측의 파쇄실(11)로 투입이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외부커버(1)의 전면 소정위치에 설치된 스위치버튼(도시생략)을 누르면 모터(19)가 회전하면서 모터(19)의 모터축과 축 결합된 회전카타(17)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모터(19)의 구동을 상기 스위치버튼 외에도 투입구도어(4)를 열면 리미트스위치가 투입구도어(4)의 동작을 감지하여 모터를 일정시간동안 구동하게 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이 회전카타(17)가 회전하게 되면서 파쇄실(11) 내로 삽입된 캔을 회전하는 회전카타(17)가 아래로 쳐 내리게 되면서 회전카타(17)의 절삭날(16)과 고정카타(21)의 선단 절삭날 사이에서 캔을 찢으면서 캔이 절단되게 되는데, 상기 회전카타(17)가 고속으로 계속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고정카타(21)와 회전카타(17)의 사이에서 캔이 파쇄 되게 된다.
위와 같은 파쇄과정을 거치면서 파쇄되는 캔은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캔과, 양철로 제작된 캔, 양철과 알루미늄이 함께 포함된 캔 들이 투입되면서 파쇄되어 알루미늄부스러기(31)와 양철부스러기(30)가 걸름망(22) 상측의 파쇄실(11)에 혼재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렇게 알루미늄부스러기(31)와 양철부스러기(30)가 파쇄실(11)의 내측에 혼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알루미늄부스러기(31)와 양철부스러기(30)의 입자크기가 걸름망(22)을 빠져나갈 수 있을 만큼의 작은 크기로 파쇄되게 되면, 이들 알루미늄부스러기(31)와 양철부스러기(30)는 걸름망(22)을 빠져나가게 되는데, 이 걸름망(22)의 하측에는 배출호퍼(23)가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배출호퍼(23)에 안내되면서 배출호퍼의 좁은 배출구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배출호퍼(23)의 배출구 하부에는 자석롤러(2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자석롤러(24)의 종동스프라켓(26)에는 회전카타(17)의 구동스프라켓(20)과 체인(27)으로 연결되어서 회전카타(17)와 동일하게 회전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렇게 배출호퍼(23)의 좁은 배출구로 알루미늄부스러기(31)와 양철부스러기(30)가 배출되는 상황에서 그 하측에 자석롤러(24)가 회전하고 있음에 따라 알루미늄부스러기(31)와 양철부스러기(30)가 혼재한 상태로 자석롤러(24)의 외측 상면으로 흘러내려오게 되어 자석에 달라붙는 양철부스러기(30)는 자석롤러(24)의 외주면에 달라붙게 되고, 알루미늄부스러기(31)는 자석에 붙지 않기 때문에 자석롤러(24)에 달라붙지 않고 자석롤러(24) 하방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처럼 알루미늄부스러기(31)가 낙하하는 쪽의 수거통본체(7) 내에는 알루미늄수거통(8)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알루미늄부스러기(31)는 알루미늄수거통(8)에 담겨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자석롤러(24)의 외주면에 달라붙은 양철부스러기(30)는 자석롤러(24)의 외주면에 달라붙은 상태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 자석롤러(24)의 외측 하방에는 자석롤러(24)와 근접하게 분리판(32)이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자석롤러(24)에 달라붙은 양철부스러기(30)가 분리판(32)에 긁히면서 자석롤러(24)로부터 이탈되어 하측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렇게 분리판(32)에 긁히면서 하측으로 낙하하는 수거통본체(7) 내의 분리판(32) 직 하방에는 양철수거통(9)이 배치되어 있음에 따라 양철부스러기(30)만 양철수거통(9)에 담겨서 본 발명의 캔파쇄기에서는 알루미늄부스러기(31)와 양철부스 러기(30)를 효과적으로 분리수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알루미늄수거통(8)과 양철수거통(9)에 알루미늄부스러기(31)와 양철부스러기(30)가 각각 분리되어 담기면서 많은 량이 담겨지게 되면, 외부커버(1)의 전면 하측에 설치된 수거통도어(3)를 열고 각각의 알루미늄수거통(8)과 양철수거통(9)을 외측으로 꺼내어 그 내부에 담겨진 알루미늄부스러기(31)와 양철부스러기(30)를 쏟아서 자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폐 캔 조각이 파쇄될 때 소음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외부커버(1)의 내부 전체면에는 캔을 파쇄할 때 발생하는 시끄러운 소음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흡수하여 차단하는 차음패드(5)가 설치되어서, 상기 소음이 외부커버(1)의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자석롤러(24)의 외주면에 양철부스러기가 달라붙는 것은, 금속관으로 된 중공축(28) 내에 설치된 자석(29)의 자력이 상기 금속관으로 된 중공축(28)에 작용하므로, 자석에 잘 달라붙는 강자성체인 양철부스러기가 자석롤러(24)의 외주면에 달라붙게 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캔 파쇄기는, 파쇄실 하측의 배출호퍼 하측에 자석롤러를 회전되게 설치하고, 자석롤러의 외주면 일측에는 자석롤러에 붙은 양철부스러기를 긁어내리는 분리판을 근접하게 설치하며, 자석롤러 하측에는 알루미늄수거통과 양철수거통을 배치하여 파쇄실에서 잘게 파쇄되어 하측으로 배출되는 캔부스러기를 알루미늄부스러기와 양철부스러기로 효과적으로 분리수거할 수 있는 장점과, 캔파쇄장치를 감싸는 외부커버의 내면에는 차음패드를 설치하여 캔을 파쇄할 때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광고장치부를 설치함에 따라 버려지는 캔을 양철부스러기와 알루미늄부스러기로 분리수거하여 자원을 재활용함에 따라 얻어지는 경제적이익에 광고수익까지 추가할 수 있는 매우 현실성이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삭제
  2. 전면 상하부에 투입구도어(4)와 수거통도어(3)가 설치된 외부커버(1)의 내측 하부에 파쇄실(11)에서 파쇄된 캔부스러기가 담기는 수거통(10)이 설치되고, 수거통(10)의 상부에는 상측에 투입구도어(4)와 통하는 투입관부(13)를 구비한 하우징(12)이 설치되며, 이 하우징(12)의 내측 상부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카타(17)가 설치되고, 회전카타(17)와 근접한 하우징(12)의 양측 내벽에는 회전카타(17)에 대응하는 고정카타(21)가 설치되며, 회전카타(17) 하측의 하우징(12) 내부에는 걸름망(22)이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수거통(10)은 전방과 상측 후방이 개방된 수거통본체(7) 내부에 삽입 설치되면서 알루미늄수거통(8)과 양철수거통(9)으로 분리되어 수거통도어(3)를 통하여 출입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2)의 하단부는 수거통본체(7)의 상측이 개방된 부분에 결합 설치되며,
    상기 회전카타(17)의 회전축(14)은 하우징(12)의 전후방으로 노출되어 하우징(12)의 전방으로 노출된 전방측 회전축(14)과 모터축이 축 결합되고, 하우징(12)의 후방으로 노출된 후방측 회전축(14)에는 구동스프라켓(20)이 설치되며,
    상기 걸름망(22) 하측의 하우징(12) 내부에는 배출호퍼(23)가 설치되고,
    배출호퍼(23) 하측의 하우징(12) 내측 하부에는 자석롤러(24)를 설치하되, 자석롤러(24)의 회전축(25)이 하우징(12)의 후방으로 관통되어 하우징(12)의 후방으로 관통된 회전축(25)에는 종동스프라켓(26)이 설치되고, 이 회전축(25)과 회전카타(17)의 구동스프라켓(20) 사이에는 체인(27)이 감겨지게 설치되며,
    하우징(12) 하단에는 자석롤러(24)의 외부면에 달라붙은 양철부스러기(30)를 양철수거통(9)으로 긁어내리는 분리판(32)이 자석롤러(24)의 외주면 하측과 근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외부커버(1)의 내부 전체면에는 차음패드(5)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파쇄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커버(1)의 투입구도어(4) 상부에는 광고장치부(2)가 설치되고, 상기 자석롤러(24)는 중공축(28)의 내부에 자석(29)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파쇄기.
KR1020060085221A 2006-09-05 2006-09-05 캔 파쇄기 KR100810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221A KR100810142B1 (ko) 2006-09-05 2006-09-05 캔 파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221A KR100810142B1 (ko) 2006-09-05 2006-09-05 캔 파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0142B1 true KR100810142B1 (ko) 2008-03-06

Family

ID=39397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221A KR100810142B1 (ko) 2006-09-05 2006-09-05 캔 파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014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46135A (zh) * 2014-03-17 2014-06-11 占行波 含铁粉末铁粉提取机
CN106378245A (zh) * 2016-10-31 2017-02-08 四川邑诚科技有限公司 一种煤矸石破碎机
CN106563546A (zh) * 2016-10-31 2017-04-19 四川邑诚科技有限公司 一种原料处理装置
CN108523699A (zh) * 2018-03-26 2018-09-14 林志宏 家用小型食品捣碎机
CN109351430A (zh) * 2018-11-13 2019-02-19 姚燊 一种工业用物料粉碎机械装置
CN109731659A (zh) * 2019-01-29 2019-05-10 许越 一种钢筋混凝土的粉碎机
CN116551455A (zh) * 2023-06-29 2023-08-08 江苏德湾数控机床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切削液用过滤回收装置及其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2530A (ja) * 1996-01-24 1997-07-29 Act Giken:Kk 空き缶シュレッダー装置の切断屑自動選別装置
KR200246987Y1 (ko) 2001-06-05 2001-10-22 박노화 캔 압착기
JP2002204979A (ja) 2001-01-12 2002-07-23 Iwatani Internatl Corp 廃棄ガス缶の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30042137A (ko) * 2001-11-21 2003-05-28 한국산업안전공단 분쇄기
KR100540768B1 (ko) 2004-10-14 2006-01-11 이종철 자동차용 폐 페트병 파쇄기
KR20070019781A (ko) * 2007-01-24 2007-02-15 조옥래 폐 캔 및 폐 페트병 파쇄수거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2530A (ja) * 1996-01-24 1997-07-29 Act Giken:Kk 空き缶シュレッダー装置の切断屑自動選別装置
JP2002204979A (ja) 2001-01-12 2002-07-23 Iwatani Internatl Corp 廃棄ガス缶の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246987Y1 (ko) 2001-06-05 2001-10-22 박노화 캔 압착기
KR20030042137A (ko) * 2001-11-21 2003-05-28 한국산업안전공단 분쇄기
KR100540768B1 (ko) 2004-10-14 2006-01-11 이종철 자동차용 폐 페트병 파쇄기
KR20070019781A (ko) * 2007-01-24 2007-02-15 조옥래 폐 캔 및 폐 페트병 파쇄수거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46135A (zh) * 2014-03-17 2014-06-11 占行波 含铁粉末铁粉提取机
CN103846135B (zh) * 2014-03-17 2016-06-29 占行波 含铁粉末铁粉提取机
CN106378245A (zh) * 2016-10-31 2017-02-08 四川邑诚科技有限公司 一种煤矸石破碎机
CN106563546A (zh) * 2016-10-31 2017-04-19 四川邑诚科技有限公司 一种原料处理装置
CN108523699A (zh) * 2018-03-26 2018-09-14 林志宏 家用小型食品捣碎机
CN108523699B (zh) * 2018-03-26 2020-01-21 泉州台商投资区双艺商贸有限公司 家用小型食品捣碎机
CN109351430A (zh) * 2018-11-13 2019-02-19 姚燊 一种工业用物料粉碎机械装置
CN109731659A (zh) * 2019-01-29 2019-05-10 许越 一种钢筋混凝土的粉碎机
CN116551455A (zh) * 2023-06-29 2023-08-08 江苏德湾数控机床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切削液用过滤回收装置及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0142B1 (ko) 캔 파쇄기
KR100918710B1 (ko) 음식물 쓰레기 선별 및 파쇄장치
KR100918711B1 (ko) 음식물 쓰레기 파쇄장치
CN107876125A (zh) 一种用于玻璃回收的玻璃破碎装置
CN203002442U (zh) 餐厨垃圾破碎分离装置
CN201524595U (zh) 旋转垃圾破碎机
CN206302789U (zh) 一种树枝粉碎机
CN201823578U (zh) 可回收用作饲料的餐厨垃圾的餐厨垃圾粉碎机
CN102031860B (zh) 可回收用作饲料的餐厨垃圾的粉碎收集冷藏系统
CN212702273U (zh) 一种垃圾粉碎装置
JP3246902B2 (ja) 回転式破砕選別機
JPH08309214A (ja) 竪型破砕機
CN201500542U (zh) 辊轮破碎机
JPH08150346A (ja) 竪型破砕機
KR200246793Y1 (ko) 어패류 폐각의 파쇄를 겸한 목줄 분리수거기
CN211160016U (zh) 一种金属物料的粉碎装置
KR200149926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207076516U (zh) 垃圾破袋分选一体机
CN207735103U (zh) 一种废旧轻薄金属撕碎后的破碎装置
CN216181946U (zh) 一种带有冷却装置的橡胶轮胎破胶机
CN217287324U (zh) 发动机缸盖切削料回收系统
KR20200133431A (ko) 음식물 처리기의 음식물 배출 구조
CN201835500U (zh) 可回收用作饲料的餐厨垃圾的粉碎收集冷藏系统
CN216685875U (zh) 一种垃圾分类资源回收装置
KR20130100519A (ko) 폐음식물용 파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