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0090B1 - 웹기반의 총인 및 총질소 분석장치 - Google Patents

웹기반의 총인 및 총질소 분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0090B1
KR100810090B1 KR1020070117741A KR20070117741A KR100810090B1 KR 100810090 B1 KR100810090 B1 KR 100810090B1 KR 1020070117741 A KR1020070117741 A KR 1020070117741A KR 20070117741 A KR20070117741 A KR 20070117741A KR 100810090 B1 KR100810090 B1 KR 100810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tal
total nitrogen
sample
nitrogen
phosphor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7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철
Original Assignee
일호기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호기전(주) filed Critical 일호기전(주)
Priority to KR1020070117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00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584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analys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기반의 총인 및 총질소 분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측정 샘플을 공급받아 총인(TP) 및 총질소(TN)의 측정을 위해 공급하는 샘플 공급부와; 상기 샘플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측정 샘플과 시약을 혼합한 후 자외선을 이용하여 산화시켜 총인을 측정하는 총인 측정부와; 상기 샘플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측정 샘플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산화시킨 후 냉각하여 총질소를 측정하는 총질소 측정부와; 상기 총인 측정부와 총질소 측정부로부터 배출되는 측정 샘플 및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조와; 상기 총인 측정부와 총질소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총인 및 총질소 측정값으로 환산하고,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총인 및 총질소 측정값을 디스플레이하고, 시스템의 각종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입력을 통해 각종 설정을 제어할 수 있는 키패드부와; 총인 및 총질소 측정값을 포함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고, 운영 체제의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도록 포트가 제공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총인 및 총질소 측정값을 웹상으로 직접 전송하는 웹 전송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총인 및 총질소의 실시간 계측값을 인터넷을 통해 직접 웹상에서 제공함으로써 인터넷이 가능한 원격지 어디서나 계측값 열람이 가능하여 관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또한, 총질소 분석시 고열 산화조를 통해 별도의 촉매를 사용하지 않고도 샘플의 완전 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계 적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유지 관리 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총인, 총질소, 분석, 계측, 웹

Description

웹기반의 총인 및 총질소 분석장치{TOTAL PHOSPHORUS AND TOTAL NITROGEN ANALYSIS APPARATUS OF WEB-BASED}
본 발명은 웹기반의 총인 및 총질소 분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총인 및 총질소의 실시간 계측값을 인터넷을 통해 직접 웹상에서 제공하도록 하는 웹기반의 총인 및 총질소 분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경수질분야에서 인(P)과 질소(N) 성분은 부영양화의 원인이 되어 하절기에 조류의 급성장의 주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부영양화(富榮養化)는 강, 하천, 호수 등지에 질산염, 암모니아, 인산염 등의 염류가 흘러들어 물속에 영양물질(질소, 인)을 방출하여, 영양물질이 풍부한 물에 식물성 플랑크톤의 성장과 번식이 매우 신속하게 진행되어 단기간 내에 대량의 식물성 플랑크톤이 자라나서 검 푸른색으로 변하게 되는 적조 현상을 야기한다.
이와 같은 부영양화는 부착조류의 증식으로 인하여 강 또는 하천의 미관상의 가치를 감소시키고, 강 또는 하천의 물을 수도원수로 사용하는 경우는 수돗물의 생산시에 여과지를 폐쇄시키고 이취미(異臭味)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고급 어종들이 소멸되고, 경제적 가치가 적은 어류가 많아지게 되며 대량의 조류나 수생식물들이 사멸될 때 급속히 분해되어 악취를 발생하고 다량의 용존산소를 소비하게 되며, 증식된 조류는 다른 생물에 영향을 미치는 저해물질을 생산하면서 수질을 악화시킨다.
상기 부영양화에 따른 조류나 수생생물 등의 증식에는 무기탄소 외에 질소(N), 인(P), 철(Fe), 마그네슘(Mg), 칼륨(K), 나트륨(Na), 유황(S), 칼슘(Ca) 등의 염류를 필요로 하며, 그외에 몰리브덴(Mo), 코발트(Co), 망간(Mn), 아연 (Zn), 구리(Cu) 등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으나, 상기 무기탄소를 제외하면 비교적 다량으로 필요로 하는 성분은 인(P)과 질소(N)이다.
따라서, 하천의 자정능력을 감안하여 지속적인 수질 관리를 위하여, 물속에 포함되어 있는 인(P)과 질소(N)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수질계측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총인(Total Phosphorus) 및 총질소(Total Nitrogen) 분석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종래의 총인 및 총질소 분석시 주입되는 시료는 회전방식의 밸브시스템에 의해 주입되었는데, 상기 회전방식의 밸브시스템은 각 유로의 접점마다 각각 펌프와 밸브가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각 펌프의 펌핑 용량이 상이한 경우 시료의 정량주입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상기 회전방식의 밸브시스템은 상기 각 펌프의 펌핑 용량 오차 발생시 각각의 펌프에 대한 보정이 이루어져야 하는 번거로움과, 각각의 유로마다 펌프를 구비하기 때문에 설치비용도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상기 총인 분석을 위해 주입되는 몰리브덴산 용액 및 아스코르빈산 용액은 1주일 이상 사용시 변질되기 때문에, 장시간 운영시 총인의 측정값에 오차가 발생하여 측정의 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특허등록 제10-0764872호(총인 및 총질소 온라인 분석장치)가 개발되었다.
상기 총인 및 총질소 온라인 분석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하고자 하는 측정대상(예컨데, 총인 및 총질소)에 대응되는 측정시료를 생성하기 위한 샘플시료 및 시약을 개별적이고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시료공급부(30)와, 상기 시료공급부(30)를 통해 이동하는 샘플시료 및 시약을 정량 유입시키는 포토인터럽터(50)와, 측정시료에서 총인 및 총질소의 농도를 선택적으로 측정하는 측정부(80)와, 그리고 제어부(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측정부(80)에서 측정된 총인 및 총질소의 농도는 변환부(110)를 통해 수치화된 농도값으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40)에 의해 표시된다.
상세히, 상기 총인 및 총질소 온라인 분석장치는 측정하고자 하는 측정대상(예컨데, 총인 또는 총질소)에 따라 샘플시료에 다양한 시약(예컨데, P-표준액, N-표준액, 과황산칼륨, 몰리브덴산 암모늄 등)을 적용하여 측정시료를 생성하고, 생성된 측정시료로부터 총인 및 총질소의 농도를 검출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수질분석기(10)와, 수질분석기(10)를 통하여 검출된 상기 총인 및 총질소의 농도를 연산 처리하여 수치화한 후 디스플레이하는 신호처리장치(1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수질분석기(10)에는 전처리조(20)가 구비되고, 상기 샘플시료의 부유물질은 상기 전처리조(20)를 거치면서 제거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샘플시료는 시료공급부(30)를 통하여 이동하며, 이때, 시약공급부(40)에 저장된 시약들 중 측정대상에 대응되는 시약들도 상기 시료공급부(30)를 통하여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시료공급부(30)는 측정하고자 하는 측정대상에 따라 그에 대응되도록 샘플시료 및 시약을 개별적이고 순차적으로 분배 공급하는 데, 예를 들어 측정시료에서 총인을 측정하는 경우, 샘플시료에는 시료공급부(30)를 거쳐 산화제로서 과황산칼륨이 첨가되고, 가열분해조(65)에서 소정의 온도로 30분간 가열되어 유기물 등이 분해되는 과정을 거치게 될 수 있으며, 시약공급부(40)에 저장되어 상기 시료공급부(30)로 유입되는 몰리브덴산 암모늄과 결합되어 모리브덴산 인 암모늄으로 생성되고, 다시 상기 시료공급부(30)로 유입되는 아스코르빈산으로 환원되어 몰리브덴블루인 화합물이 얻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총인 및 총질소 온라인 분석장치는 총질소 분석시 가열분해조의 온도가 높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시약(알칼리성 과황산칼륨)을 사용해야만 하는 데, 촉매 저장 및 공급에 따른 구조적 복잡함과, 시약의 가격이 고가여서 유지 관리 비용이 막대하게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총인 및 총질소 온라인 분석장치는 통신부를 통해 상위 시스템으로 운영정보가 제공되는 정도의 구성이기 때문에 웹 상에서 전혀 확인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총인 및 총질소의 실시간 계측값을 인터넷을 통해 직접 웹상에서 제공함으로써 인터넷이 가능한 원격지 어디서나 계측값 열람이 가능하여 관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웹기반의 총인 및 총질소 분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총질소 분석시 고열 산화조를 통해 별도의 촉매를 사용하지 않고도 샘플의 완전 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계적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유지 관리 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웹기반의 총인 및 총질소 분석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측정 샘플을 공급받아 총인(TP) 및 총질소(TN)의 측정을 위해 공급하는 샘플 공급부와; 상기 샘플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측정 샘플과 시약을 혼합한 후 자외선을 이용하여 산화시켜 총인을 측정하는 총인 측정부와; 상기 샘플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측정 샘플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산화시킨 후 냉각하여 총질소를 측정하는 총질소 측정부와; 상기 총인 측정부와 총질소 측정부로부터 배출되는 측정 샘플 및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조와; 상기 총인 측정부와 총질소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총인 및 총질소 측정값으로 환산하고,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총인 및 총질소 측정값을 디스플레이하고, 시스템의 각종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입력을 통해 각종 설정을 제어할 수 있는 키패드부와; 총인 및 총질소 측정값을 포함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고, 운영 체제의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도록 포트가 제공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총인 및 총질소 측정값을 웹상으로 직접 전송하는 웹 전송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샘플 공급부는 측정 샘플을 공급받아 총인의 측정을 위해 공급하는 총인 샘플 공급통과; 측정 샘플을 공급받아 총질소의 측정을 위해 공급하는 총질소 샘플 공급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총인 측정부는 시약이 저장되고, 시약을 공급하는 시약 공급조와; 상기 총인 샘플 공급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측정 샘플을 자외선 램프로 산화시킨 후 배출하는 자외선 산화조와; 상기 시약 공급조로부터 공급되는 시약과 상기 자외선 산화조로부터 공급되는 산화된 측정 샘플을 혼합하여 배출하는 혼합조와; 상기 혼합조로부터 공급되는 측정 샘플 내의 총인 측정하는 총인 측정기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 상기 시약 저장조는 다수의 시약통을 구비하여 각각의 시약을 별도로 저장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총질소 측정부는 운반 가스를 공급하는 운반 가스 공급기와; 상기 총인 샘플 공급통로부터 공급되는 측정 샘플과 상기 운반 가스 공급기로부터 공급되는 운반 가스를 공급받아 고온으로 가열하여 수분을 증발시키고, 니트로겐 성분을 산화질소(NO)로 변환시켜 운반 가스를 배출하는 고열 산화조와; 상기 고열 산화조에서 공급되는 산화 질소가 포함된 운반 가스를 냉각시켜 배출하는 냉각조와; 상기 냉각조로부터 공급되는 냉각된 운반 가스 내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를 통과하는 운반 가스 내의 총질소(TN)를 측정하는 총질소 측정기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 상기 고열 산화조는 600~1300℃의 온도로 가열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웹 전송부는 웹 상에서 관리자 로그-인시 이를 관리하고, 관리자로부터 계측값의 제공 요청시 상기 제어부와 통신을 통해 계측값을 제공받아 웹상으로 전송하는 중앙 처리 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에서 웹상으로 계측값을 전송하도록 인터넷망과 연결시켜주는 통신 장치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웹기반의 총인 및 총질소 분석장치에 따르면, 총인 및 총질소의 실시간 계측값을 인터넷을 통해 직접 웹상에서 제공함으로써 인터넷이 가능한 원격지 어디서나 계측값 열람이 가능하여 관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또한, 총질소 분석시 고열 산화조를 통해 별도의 촉매를 사용하지 않고도 샘플의 완전 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계적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유지 관리 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웹기반의 총인 및 총질소 분석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웹기반의 총인 및 총질소 분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웹기반의 총인 및 총질소 분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웹기반의 총인 및 총질소 분석장치(200)는, 샘플 공급부(210)와, 총인 측정부(220)와, 총질소 측정부(230)와, 배출조(240)와, 제어부(250)와, 디스플레이부(260)와, 키패드부(270)와, 데이터 저장부(280)와, 웹 전송부(290)로 구성된다.
먼저, 샘플 공급부(210)는 측정 샘플을 공급받아 별도로 저장하여 총인의 측정을 위해 공급하는 총인 샘플 공급통(211)과, 측정 샘플을 공급받아 별도로 저장하여 총질소의 측정을 위해 공급하는 총질소 샘플 공급통(213)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샘플 공급부(210)는 측정 샘플을 일정하게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펌프(미도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총인 측정부(220)는 시약 공급조(221)와, 자외선 산화조(223)와, 혼합조(225)와, 총인 측정기(227)로 구성된다.
시약 공급조(221)는 다수의 시약통이 구비되어 총인 측정에 필요한 각각의 시약(아스코르빈산, 과황산칼륨, 몰리브덴산 암모늄 등)이 별도로 저장되고, 하기에서 설명할 혼합조(225)로 시약을 공급한다. 여기에서, 시약 공급조(221)는 시약을 일정하게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펌프(미도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또한, 시약 공급조(221)의 시약통중 특정 시약통은 자외선 산화조(223)와 연결되어 특정 시약을 측정 샘플과 함께 자외선 산화조(223)에서 산화시킬 수도 있다.
자외선 산화조(223)는 내부에 자외선 램프(미도시)를 구비하여 총인 샘플 공급통(211)으로부터 공급되는 측정 샘플을 자외선 램프로 산화시킨 후 배출한다.
혼합조(225)는 시약 공급조(221)로부터 공급되는 시약과 자외선 산화조(223)로부터 배출되는 산화된 측정 샘플을 공급받아 이들을 혼합하여 배출한다. 여기에서, 혼합조(225)는 내부에 별도의 교반 날개(미도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총인 측정기(227)는 공지의 총인 측정기로서, 혼합조(225)로부터 공급되는 측정 샘플 내의 총인 측정하고, 측정 샘플을 하기에서 설명할 배출조(240)로 배출시킨다.
또한, 총질소 측정부(230)는 운반 가스 공급기(231)와, 고열 산화조(232)와, 냉각조(233)와, 필터(234)와, 총질소 측정기(235)로 구성된다.
운반 가스 공급기(231)는 에어 필터를 거쳐 불순물 및 수분이 제거된 운반 가스를 공급하고, 대기압으로 작동된다. 여기에서, 운반 가스 공급기(231)는 컴프레셔와 압력 게이지 및 체크 벨브(미도시) 등을 구비하여 일정 압력으로 일정량의 운반 가스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운반 가스 공급기(231)는 바이 패스 라인을 구비하여 운반 가스를 재활용할 수도 있다.
고열 산화조(232)는 전기 가열로로서, 내부에 운반 가스가 통과되도록 설계되어 총인 샘플 공급통(211)으로부터 공급되는 측정 샘플과 운반 가스 공급기(231)로부터 공급되는 운반 가스를 공급받아 고온으로 가열하여 수분을 증발시키고, 니트로겐 성분을 산화질소(NO)로 변환시켜 운반 가스를 배출한다. 여기에서, 고열 산화조(232)는 600~1300℃의 온도로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한 데, 1200℃ 이상을 유지하는 경우 측정 샘플의 암모니아성 질소, 유기 질소 등을 완전 산화시킬 수 있다.
냉각조(233)는 고열 산화조(232)로부터 배출되어 공급되는 산화 질소가 포함된 운반 가스를 냉각시켜 하기에서 설명할 필터(234)로 배출한다. 여기에서, 냉각조(233)는 냉각시 발생한 수분을 펌프(미도시)를 통해 배출조(240)로 배출시킨다.
필터(234)는 냉각조(233)로부터 배출되어 공급되는 냉각된 운반 가스 내의 불순물을 제거한다.
총질소 측정기(235)는 공지의 총질소 측정기로서, 필터(234)를 통과하는 운반 가스 내의 총질소를 측정하고, 운반 가스를 대기로 배출한다.
또, 배출조(240)는 총인 측정기(227)에서 배출되는 측정 샘플과 냉각조(233)에서 배출되는 수분 및 고열 산화조(232)에서 배출되는 운반 가스를 배출시킨다.
한편, 제어부(250)는 각 구성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특히 총인 측정부(120)와 총질소 측정부(230)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이용하여 총인 및 총질소 측정값으로 환산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260)는 LCD 모니터로서,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총인 및 총질소 측정값을 디스플레이하고, 시스템의 각종 상태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키패드부(270)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각종 설정을 제어할 수 있고, 특히 측정 주기, 셋팅 등을 변환할 수 있다.
또, 데이터 저장부(280)는 HDD, RAM, ROM으로서, 총인 및 총질소 측정값을 포함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고, 운영 체제의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도록 포트(281)가 제공된다.
한편, 웹 전송부(290)는 중앙 처리 장치(291)와, 통신 장치(293)로 구성된다.
중앙 처리 장치(291)는 웹 상에서 관리자 로그-인시 이를 관리하고, 관리자로부터 계측값의 제공 요청시 제어부(250)와 통신을 통해 계측값을 제공받아 웹상으로 전송한다.
통신 장치(293)는 랜카드, 모뎀 등의 통신 장치로서, 중앙처리장치(291)에서 웹상으로 계측값을 전송하도록 유무선 인터넷망과 연결시켜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웹기반의 총인 및 총질소 분석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웹기반의 총인 및 총질소 분석장치의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 관리자가 키패드부(270)를 통해 측정을 시작하거나 제어부(250)에 의해 측정 주기에 따라 측정이 시작된다.
그러면, 측정 샘플이 총인 샘플 공급통(211)과, 총질소 샘플 공급통(213)으로 각각 투입되어 측정 샘플이 총인 측정부(220)와, 총질소 측정부(230)로 공급된다.
한편, 총인 측정 과정을 살펴보면 총인 샘플 공급통(211)으로부터 배출되어 공급되는 측정 샘플이 자외선 산화조(223)을 거치면서 자외선에 의해 산화된 다음 배출되어 혼합조(225)로 공급되고, 시약 공급조(221)의 시약이 혼합조(225)로 공급된다.
혼합조(225)로 투입된 측정 샘플과 시약이 적절히 혼합된 다음, 총인 측정기(227)로 공급되어 총인이 측정된다.
또한, 총질소 측정 과정을 살펴보면 총인 샘플 공급통(211)으로부터 배출되는 측정 샘플은 공급 라인 상에서 운반 가스 공급기(231)로부터 공급되는 운반 가스와 혼합되어 고열 산화조(232)로 투입된다.
그러면, 고열 산화조(232)의 고온으로 인해 수분이 증발되고, 니트로겐 성분이 산화질소(NO)로 변환된 후 냉각조(233)와 필터(234)를 거쳐 총질소 측정기(235)로 투입되어 총질소가 측정된다.
한편, 총인 측정기(227)와 총질소 측정기(235)에서 측정된 신호는 제어부(250)를 통해 총인 및 총질소 측정값으로 환산되어 디스플레이부(260)되고, 데이터 저장부(280)에 저장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관리자가 웹 상에서 인터넷을 통해 웹 전송부(290)로 접속하여 측정값을 확인할 수 있는 데,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로그인하면, 중앙 처리 장치(291)는 제어부(250)를 통해 전송받은 총인 측정값 및 총질소 측정값을 실시간으로 웹 상에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총인 및 총질소 온라인 분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웹기반의 총인 및 총질소 분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웹기반의 총인 및 총질소 분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10 : 샘플 공급부 220 : 총인 측정부
230 : 총질소 측정부 240 : 배출조
250 : 제어부 260 : 디스플레이부
270 : 키패드부 280 : 데이터 저장부
290 : 웹 전송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측정 샘플을 공급받아 총인(TP)의 측정을 위해 공급하는 총인 샘플 공급통과, 측정 샘플을 공급받아 총질소(TN)의 측정을 위해 공급하는 총질소 샘플 공급통으로 이루어지는 샘플 공급부와; 다수의 시약통을 구비하여 각각의 시약을 별도로 저장하고, 시약을 공급하는 시약 공급조와, 상기 총인 샘플 공급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측정 샘플을 자외선 램프로 산화시킨 후 배출하는 자외선 산화조와, 상기 시약 공급조로부터 공급되는 시약과 상기 자외선 산화조로부터 공급되는 산화된 측정 샘플을 혼합하여 배출하는 혼합조와, 상기 혼합조로부터 공급되는 측정 샘플 내의 총인 측정하는 총인 측정기로 이루어지는 총인 측정부와; 상기 샘플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측정 샘플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산화시킨 후 냉각하여 총질소를 측정하는 총질소 측정부와; 상기 총인 측정부와 총질소 측정부로부터 배출되는 측정 샘플 및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조와; 상기 총인 측정부와 총질소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총인 및 총질소 측정값으로 환산하고,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총인 및 총질소 측정값을 디스플레이하고, 시스템의 각종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입력을 통해 각종 설정을 제어할 수 있는 키패드부와; 총인 및 총질소 측정값을 포함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고, 운영 체제의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도록 포트가 제공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웹 상에서 관리자 로그-인시 이를 관리하고, 관리자로부터 계측값의 제공 요청시 상기 제어부와 통신을 통해 계측값을 제공받아 웹상으로 전송하는 중앙 처리 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에서 웹상으로 계측값을 전송하도록 인터넷망과 연결시켜주는 통신 장치로 이루어지는 웹 전송부;로 이루어지는 웹기반의 총인 및 총질소 분석장치에 있어서,
    상기 총질소 측정부는,
    운반 가스를 공급하는 운반 가스 공급기와;
    상기 총인 샘플 공급통로부터 공급되는 측정 샘플과 상기 운반 가스 공급기로부터 공급되는 운반 가스를 공급받아 고온으로 가열하여 수분을 증발시키고, 니트로겐 성분을 산화질소(NO)로 변환시켜 운반 가스를 배출하는 고열 산화조와;
    상기 고열 산화조에서 공급되는 산화 질소가 포함된 운반 가스를 냉각시켜 배출하는 냉각조와;
    상기 냉각조로부터 공급되는 냉각된 운반 가스 내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를 통과하는 운반 가스 내의 총질소(TN)를 측정하는 총질소 측정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웹기반의 총인 및 총질소 분석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열 산화조는,
    600~1300℃의 온도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기반의 총인 및 총질소 분석장치.
  7. 삭제
KR1020070117741A 2007-11-19 2007-11-19 웹기반의 총인 및 총질소 분석장치 KR100810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741A KR100810090B1 (ko) 2007-11-19 2007-11-19 웹기반의 총인 및 총질소 분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741A KR100810090B1 (ko) 2007-11-19 2007-11-19 웹기반의 총인 및 총질소 분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0090B1 true KR100810090B1 (ko) 2008-03-05

Family

ID=39397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7741A KR100810090B1 (ko) 2007-11-19 2007-11-19 웹기반의 총인 및 총질소 분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00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465B1 (ko) 2011-10-07 2012-04-19 주식회사 이앤비 현장 분석용 하폐수의 인산염인 측정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인산염인 측정 방법
CN102636446A (zh) * 2012-05-09 2012-08-15 江南大学 臭氧紫外协同氧化消解检测总氮总磷的在线检测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1688A (ja) * 1993-11-30 1995-06-16 Shimadzu Corp 水中の窒素化合物及びリン化合物の分析方法並びに装置
KR20020008628A (ko) * 2000-07-24 2002-01-31 채종건 원격 수질 측정에 의한 감시 및 제어시스템
JP2002267653A (ja) * 2001-03-09 2002-09-18 Meidensha Corp 窒素濃度測定装置
KR20030041652A (ko) * 2001-11-21 2003-05-27 주식회사 드림바이오스 하.폐수처리설비의 제어 장치
KR100764872B1 (ko) 2007-07-12 2007-10-10 한국바이오시스템(주) 총인 및 총질소 온라인 분석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1688A (ja) * 1993-11-30 1995-06-16 Shimadzu Corp 水中の窒素化合物及びリン化合物の分析方法並びに装置
KR20020008628A (ko) * 2000-07-24 2002-01-31 채종건 원격 수질 측정에 의한 감시 및 제어시스템
JP2002267653A (ja) * 2001-03-09 2002-09-18 Meidensha Corp 窒素濃度測定装置
KR20030041652A (ko) * 2001-11-21 2003-05-27 주식회사 드림바이오스 하.폐수처리설비의 제어 장치
KR100764872B1 (ko) 2007-07-12 2007-10-10 한국바이오시스템(주) 총인 및 총질소 온라인 분석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465B1 (ko) 2011-10-07 2012-04-19 주식회사 이앤비 현장 분석용 하폐수의 인산염인 측정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인산염인 측정 방법
CN102636446A (zh) * 2012-05-09 2012-08-15 江南大学 臭氧紫外协同氧化消解检测总氮总磷的在线检测装置
CN102636446B (zh) * 2012-05-09 2013-11-20 江南大学 臭氧紫外协同氧化消解检测总氮总磷的在线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92670B (zh) 自动分析定量测量方法及自动分析定量测量设备
JP4305438B2 (ja) 分析用水溶液の計量・送液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水質分析装置
KR100927847B1 (ko) 총 유기탄소 분석기
CN101988900A (zh) 用于自动确定液体样品的化学需氧量的方法和设备
US9897549B2 (en) Analytical device for automated determination of a measured variable of a liquid sample
CN102066926A (zh) 水中游离氯的检测
CN112858271B (zh) 一种水质氨氮检测试剂、检测系统及检测方法
CN101907558A (zh) 总有机碳在线分析仪及分析总有机碳的方法
US10302552B2 (en) Apparatus, composition and method for determination of chemical oxidation demand
CN102498395A (zh) 通过光化学还原测定水中硝酸盐/亚硝酸盐浓度的方法
Chattopadhyay Chemical analysis of fish pond soil and water
KR100810090B1 (ko) 웹기반의 총인 및 총질소 분석장치
JP2010133783A (ja) 水質監視装置
CN201425581Y (zh) 根据现场情况确定消解时间的cod监测装置
CN201662575U (zh) 水质总氮在线自动监测装置
CN202083662U (zh) 生化需氧量bod在线测定仪
Amrita et al. Analysing the water quality parameters from traditional to modern methods in aquaculture
KR20200064967A (ko) 다종의 수질 측정 자동화 시스템 및 그의 자동화 방법
WO1996041160A1 (en) Manganese iii method for chemical oxygen demand analysis
CN101696938A (zh) 一种流动注射在线监测水中铜离子的方法
KR100764872B1 (ko) 총인 및 총질소 온라인 분석장치
JP2894237B2 (ja) 水質連続測定装置および水質連続測定方法
KR101354483B1 (ko) Bod 측정장치
CN107037040A (zh) 一种测定水质总有机碳的快速检测剂的制备与使用方法
Gray et al. Underway determination of alkalinity in estuarine waters by reagent-injection gas-diffusion flow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