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1652A - 하.폐수처리설비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하.폐수처리설비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1652A
KR20030041652A KR1020010072576A KR20010072576A KR20030041652A KR 20030041652 A KR20030041652 A KR 20030041652A KR 1020010072576 A KR1020010072576 A KR 1020010072576A KR 20010072576 A KR20010072576 A KR 20010072576A KR 20030041652 A KR20030041652 A KR 20030041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control
data
internet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2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6250B1 (ko
Inventor
조욱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림바이오스
환경관리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림바이오스, 환경관리공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림바이오스
Priority to KR10-2001-0072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6250B1/ko
Publication of KR20030041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1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2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8Safety, monito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4Plc safety
    • G05B2219/14006Safety, monitoring in genera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4Plc safety
    • G05B2219/14084Remote diagno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소규모의 하.폐수처리설비의 제어성능을 향상시키고 인터넷을 통한 원격 제어가 가능하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유입되는 하.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오염물질을 기 설정된 수준 이하로 제거하는 하수처리설비(1)와; 전문가제어시스템(Expert control system)을 적용하여 숙련된 조업자의 전문성과 경험적 지식을 바탕으로 상기 하수처리설비(1)에 대한 이상진단 및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피엘씨 장치(2)와; 하수처리장에 위치하여 상기 피엘씨 장치(2)로부터 상기 하수처리설비(1)의 실시간 현장 데이터를 전달받아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전문가제어시스템을 적용하여 숙련된 조업자의 전문성과 경험적 지식을 바탕으로 이상진단 및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피씨(3)와; 상기 피엘씨 장치(2)를 통해 상기 하수처리설비(1)의 실시간 현장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를 초고속의 인터넷(5)을 통해 원격관리자용 피씨(6A),(6B),(6C)에 전송하는 인터넷 데이터 센터(4)와; 상기 인터넷(5) 및 웹을 통하여 상기 하수처리설비(1)의 실시간 현장 데이터를 전달받아 원격지에서 현장의 조업 현황을 동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조업상에 이상 발견시 제어값을 피드백하여 조업모드 혹은 조건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원격관리자용 피씨(6A),(6B),(6C)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하.폐수처리설비의 제어 장치{CONTROL APPARATUS FOR SEWAGE AND WASTEWATER EQUIPMENT}
본 발명은 중소규모의 하·폐수처리설비의 제어성능을 향상시키고 인터넷을 통한 원격 제어가 가능하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폐수처리설비에 전문가제어시스템을 적용하여 자동으로 숙련된 조업자 수준의 제어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웹 기반형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에서 감시·제어할 수 있도록 한 하·폐수처리설비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폐수처리설비와 같은 환경기초시설의 실제 조업운영 상황을 살펴보면, 소위 3D 시설로 여겨지는 그릇된 인식 때문에 많은 민원의 발생소지가 있으며, 현장 조업자의 잦은 자리이동, 조업의 안정성 및 운영효율의 저하, 적정설계의 미흡, 표준작업관리체계의 부재 등 많은 기술적 애로사항이 산재하여 전반적으로 조업 및 운영효율이 저조한 상황이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하·폐수처리설비에 있어서는 반드시 현장에서 조업자에 의해 운영되게 되어 있어 조업자의 운영 미숙으로 인하여 안정성 및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원격지에서 원격 감시는 가능하나 진단 및 제어가 불가능하여 이상 발생시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폐수처리설비에 전문가제어시스템을 적용하여 자동으로 숙련된 조업자 수준의 제어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웹 기반형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에서 감시·제어가 가능한 하·폐수처리설비의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하·폐수처리설비의 제어 장치의 전체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수처리장 설비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하·폐수처리공정의 전문가제어프로그램의 예시도.
도 4는 각 조업별 필요 데이터 및 설비신호를 보인 표.
도 5는 유입수 COD값에 따른 모드 선택 예시도.
도 6은 각 모드별 호기/혐기 시간과 반응조 DO값 설정표.
도 7은 반응조에서의 호기시간 결정 및 계기의 오동작 판단 처리과정을 보인 신호 흐름도.
도 8은 호기의 신호 변화 판단을 위한 표.
도 9는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메인 홈페이지 화면의 예시도.
도 10a-10c는 DO,MLSS,PH 제어용 운전모드 화면의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통합운영센터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수처리설비2 : 피엘씨장치
3 : 피씨4 : 인터넷데이터센터
5 : 인터넷 6A-6C : 원격관리자용 피씨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하·폐수처리설비의 제어 장치의 전체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되는 하·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오염물질을 기 설정된 수준 이하로 제거하는 하수처리설비(1)와; 전문가제어시스템(Expert control system)을 적용하여 숙련된 조업자의 전문성과 경험적 지식을 바탕으로 상기 하수처리설비(1)에 대한 이상진단 및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피엘씨 장치(2)와; 하수처리장에 위치하여 상기 피엘씨 장치(2)로부터 상기 하수처리설비(1)의 실시간 현장 데이터를 전달받아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전문가제어시스템을 적용하여 숙련된 조업자의 전문성과 경험적 지식을 바탕으로 이상진단 및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피씨(3)와; 상기 피엘씨 장치(2)를 통해 상기 하수처리설비(1)의 실시간 현장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를 초고속의 인터넷(5)을 통해 원격관리자용 피씨(6A),(6B),(6C)에 전송하는 인터넷데이터센터(4)와; 상기 인터넷(5) 및 웹을 통하여 상기 하수처리설비(1)의 실시간 현장 데이터를 전달받아 원격지에서 현장의 조업 현황을 동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조업상에 이상 발견시 제어값을 피드백하여 조업모드 혹은 조건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원격관리자용 피씨(6A),(6B),(6C)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한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수처리설비(1)의 유입수와 배출수의 성상 감시 및 관리를 위하여 유입구와 방류구에 각 필레코 시스템(9A),(9B)을 설치하였는데, 이들은 설치대상 지점으로부터 수질시료를 정량펌프에 의해 연속적으로 채취하여 대표적인 수질항목(COD,SS,pH,탁도,CID 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피엘씨 장치(2)를 통해 실시간으로 피씨(3) 및 인터넷데이터센터(4)측으로 전송한다.
즉, 상기 필레코 시스템(9A),(9B)은 규제농도 이상의 오염물질이 배출될 때 시료를 자동으로 채취하여 증거물을 확보하는 실시간 원격수질측정 및 무인자동시료채취 통합장비로서 유입수에 대해서는 COD,SS,pH,EC 4가지의 항목을 측정한다. 통상적으로, 하수처리설비(1)의 설치를 완료한 후 측정 데이터를 평가해 보면 pH,EC의 측정 데이터는 비교적 안정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반면, COD,SS는 UV로 측정해야 하므로 반복적인 분석 데이터를 근거로 교정작업을 실시하여야 실측 데이터의 오차를 줄일 수 있다.
폭기조공법에서는 한 대의 멀티미터와 6대의 측정센서가 센서부(8A),(8A)에 분리 설치되어 있다. 입구 부분에는 DO,ORP 센서가 설치되고, 중앙 부분에는 MLSS,TEMP 센서가 설치되며, 배출부에 DO,ORP,pH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센서부(8A),(8B)에 의해 검출된 값이 피엘씨 장치(2)를 통해 피씨(3)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인터넷데이터센터(4)측으로 전송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계기 이상 및 문제점을 감시 진단하여 적절한 제어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조업지원용 전문가제어시스템(Expert controlsystem)을 하수처리설비(1)의 현장에 설치하였다. 즉,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분야의 하나인 전문가제어시스템(Expert control system)을 적용하여 숙련된 조업자의 전문성과 경험적 지식을 바탕으로 이상진단 및 제어알고리즘을 작성하여 피엘씨 장치(2)에 구축하였다.
혐기/호기시간의 최적조건을 도출하는 것이 간헐폭기 방식에 의한 공정운전에 있어서 가장 중요시 되는 사항이기 때문에 유입수의 성상에 따라 최적의 혐기/호기시간이 유지되도록 제어되고 룰(rule)이 구현되도록 전문가제어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하·폐수처리공정의 전문가제어프로그램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한 사이클의 시간은 240분이다.
도 4는 하·폐수처리공정별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에 필요한 센서의 데이터 및 계기의 신호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수처리장의 처리공법은 단일반응조 내에서 호기조건과 혐기조건을 번갈아 반복하여 질산화 및 탈진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호기적 고형물 체류시간 개념을 도입하여 하수중의 질소 및 인의 처리를 향상시킨 공법이다. 이때, 반응조 내의 호기조건과 혐기조건을 반복하여 유지하기 위해서는 공기가압 브로워의 가동을 실행하거나 중단하게 되며, 용존산소를 측정하여 조절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공법에서 간헐폭기의 시간의 설정은 유입수의 성상에 따라 결정된다.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유입부하와 미생물 활성의 변화에 따라 DO가 변하고, 산소전달속도도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기 때문에 DO의 동적인 특성은 시간에 따라 계속적으로 변하게 된다. 따라서 처리하고자 하는 폐수에 적합한 미생물이 잘 성장할 수 있도록 적정 수준으로 DO 농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적정 DO 농도유지는 활성슬러지 공정에서의 동력비중 대부분이 DO 공급을 위한 모터와 펌프, 송풍기 등이 차지하고있기 때문에 비용절감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처리장은 하수의 유입으로 유입수의 성상이 폐수의 유입시와는 많은 변화가 있어 유입수의 COD가 100mg/L를 넘기기가 어려운 것을 예로 한다. 도 5는 필레코시스템(9A),(9B)의 COD값을 기준으로 간헐폭기의 운전 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유입수의 COD값이 30ppm 보다 작을 시는 제1모드(Mode 1)를 선택하여 운영하게 된다. 그리고 제1모드(mode 1)와 제2모드(mode 2)는 같은 농도라 하여도 시간에 따른 유량의 차이로 인하여 운전mode의 차이로 두었다. 공단지역에서 유입되는 폐수유량의 일간변화와 일반 하수의 일간변화가 다르므로 저녁부터(16:00) 새벽까지는 같은 농도라도 폭기의 시간을 30분 더 설정하였다.
다음은 프러덕션 룰(Production Rule)을 IF ∼ THEN 으로 표현한 것이다.
*유입수 COD 판단 모드
유입수 COD data = CODin
IF 30 ≤CODin ≤ 50 THEN Mode 1 ( 단 04:00 ~ 16:00 )
IF 30 〈 CODin ≤ 50 THEN Mode 2 ( 단 16:00 ~ 04:00 )
IF 50 〈 CODin ≤ 70 THEN Mode 3
IF 70 〈 CODin THEN Mode 4
IF CODin 〈 30 THEN 경보 :Sensor 점검 및 수리 →Mode 1 작동
*DO값 설정치와 호기·혐기시간 결정
Mode 1 → blower on ⇒ 90분
blower off ⇒ 150분
DO 설정치 DO= 2 ㎎/ℓ
Mode 2 → blower on ⇒ 120분
blower off ⇒ 120분
DO 설정치 DO= 2 ㎎/ℓ
Mode 3 → blower on ⇒ 120분
blower off ⇒ 120분
DO 설정치 DO= 3 ㎎/ℓ
Mode 4 → blower on ⇒ 120분
blower off ⇒ 120분
DO 설정치 DO= 4 ㎎/ℓ
도 6은 각 모드별 호기/혐기의 설정시간과 반응조의 DO값의 설정치를 나타낸 것으로, 입수의 성상이 높을수록 호기의 시간과 DO값의 설정치가 올라가는 것을 알 수 있다.
송풍시간제어는 활성슬러지가 용해성 및 부유 유기물질을 산화, 흡착시켜 침강성의 플록(floc)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DO를 최적으로 유지하는데에 있다.
송풍의 목적은 ① 플록형성(미생물, 즉 활성슬러지 덩어리)을 위한 동력을 제공, ② 슬러지 침강방지를 위한 동력제공, ③ 산소, 유기물질, 미생물의 혼합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폭기조내의 DO를 측정해서 그 값과 목표치와의 편차에 대응해서 송풍시간을 제어한다. 도 7은 각각의 모드에따라 호기/혐기시간과 반응조 DO 설정값이 정해지면 반응조 송풍시간의 결정 및 계기의 오작동을 판단하는 제어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반응조에서 호기시간이 시작되어 약 60분 후 DO값의 상승 폭을 비교하여 설정된 DO값을 변화시키고 블로워의 송풍시간의 증감을 통하여 유입수 농도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제어 룰을 작성하였다. 즉, 60분 동안 반응조의 DO값과 설정된 DO값을 비교·판단하여 DO 설정치와 송풍시간을 바꾸어 반응조의 DO값(제어목표 수준)을 유지하게 된다. 만약 설정된 호기·혐기의 시간비가 2 hr/2 hr 이었다 하더라도 반응조 내 DO값의 유지상태를 분석함으로 운전시간의 변화를 가변적으로 줄 수 있도록 제어 로직을 구성하여 안정된 처리수질을 얻을 수 있게끔 하였다. 또한 DO값과 ORP 값의 상호 비교를 통하여 계기(센서류)의 오작동 여부를 파악하여 블로워를 제어하는 룰을 동시에 작성하였다.
다음은 프러덕션 룰을 IF ∼ THEN 으로 표현한 것이다.
*계기 오작동 판단
0분 data : DO = D1ORP = O1
60분 data : DO = D2ORP = O2
THEN 정상모드(결정된 mode 유지)
Else : ① 계기 오작동 경보 → Rule # 1 (센서 점검 및 수리)
② 정상모드(결정된 모드 유지)
*호기시간의 변화 판단
유입수에 따른 DO 설정치 = D0
IF D2≥ D0THEN Rule # 2 (정상작동: 선택된 모드 유지)
else : Rule # 3 →도 8
한편, 상기 인터넷데이터센터(4)는 상기 피엘씨 장치(2)를 통해 상기 하수처리설비(1)에서의 실시간 현장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를 초고속의 인터넷(5)을 통해 원격관리자용 피씨(6A),(6B),(6C)에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원격관리자는 원격지에서 현장의 조업 현황을 동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업상에 이상 발견시 제어값을 피드백하여 조업모드 혹은 조건을 변화시킬 수 있다.
즉, 환경기초시설의 원격관리를 위한 인터넷데이터센터(4)를 설치하여 원격감시제어시스템에 설치한 전문가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이상 상황에 대한 원격무인 제어가 가능하므로 손쉽게 이상 상황을 제어 할 수 있고, 웹을 통하여 상시 데이터를 손쉽게 받아 볼 수 있으며 년간,월간,주간,일간 환경 상황 리포트를 인터넷을 통하여 웹 문서와 이메일 형태로 받아 볼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인터넷을 통하여 부하변화의 분석 자료를 받아 볼 수 있으며, 현장의 이상유무를 즉시 확인하여 적절한 조업지시를 전문가제어프로그램에 따른 자동 또는 수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웹서버 접속으로 메인 홈페이지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홈페이지에서는 공정관리, 측정된 데이터의 저장, 영상감시, 관리자등록, 주요공정흐름도, 관리자 일지등을 담당하게 되며, 공정관리에서 현장의 측정된 데이터의 실시간 통신으로 데이터의 흐름 및 트렌드(trend)를 구성할 수 있고 측정된 데이터를 통해 비정상적인 조업과 정상적인 조업 과정에서 일어나는 계기의 이상 및 문제점을 감시, 진단, 제어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상기 원격관리자용 피씨를 통한 DO,MLSS,PH 제어용 화면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 관리자가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즉, 관리자는 원거리에서 하수처리장을 감시, 확인하고 필요시 인터넷 상에서 설정값 및 운전방식을 변경하여 원활한 제어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면 11은 향후 본 발명의 확대 적용예를 나타낸 것이다. 기존 하수처리장의 관리를 무인 자동화하여 불요불급의 인력을 제외한 관리인력의 최소화 및 마을 단위의 원격지에 배치가 어려운 전문인력의 비상주를 실현함에 따라 하수처리장의 시설관리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전국에 산재되어 있는 단위 하수처리시설의 무인자동제어관리 뿐만 아니라 단위기초시설을 통합하여 인터넷 관리가 가능하여, 전국적인 시설 관리망을 저렴한 운영관리체계로 구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폐수처리설비에 전문가제어시스템을 적용하여 자동으로 숙련된 조업자 수준의 제어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하고, 웹 기반형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에서 감시·제어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보다 저렴한 운용비용을 사용하면서도 보다 안정되고 효율적으로 하·폐수처리설비를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유입되는 하·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오염물질을 기 설정된 수준 이하로 제거하는 하수처리설비(1)와; 전문가제어시스템을 적용하여 숙련된 조업자의 전문성과 경험적 지식을 바탕으로 상기 하수처리설비(1)에 대한 이상진단 및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피엘씨 장치(2)와; 현장에서 상기 피엘씨 장치(2)로부터 상기 하수처리설비(1)의 실시간 데이터를 전달받아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전문가제어시스템을 적용하여 이상진단 및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피씨(3)와; 상기 피엘씨 장치(2)를 통해 상기 하수처리설비(1)의 실시간 현장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를 초고속의 인터넷(5)을 통해 원격관리자용 피씨(6A),(6B),(6C)에 전송하는 인터넷데이터센터(4)와; 상기 인터넷(5) 및 웹을 통하여 상기 하수처리설비(1)의 실시간 현장 데이터 및 부하변화의 분석 자료를 전달받아 원격지에서 현장의 조업 현황을 동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조업상에 이상 발견시 원격관리자에 의한 제어값을 피드백하여 조업모드 혹은 조건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원격관리자용 피씨(6A),(6B),(6C)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처리설비의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하수처리설비(1)하수처리설비(1)의 유입수와 배출수의 성상 감시 및 관리를 위하여 유입구와 방류구에 필레코 시스템(9A),(9B)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처리설비의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레코 시스템(9A),(9B)은 규제농도 이상의 오염물질이 배출될 때 시료를 자동으로 채취하여 증거물을 확보하는 실시간 원격수질측정 및 무인자동시료채취 통합장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처리설비의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문가제어시스템은 유입수의 성상에 따라 최적의 혐기/호기시간이 유지되도록 제어되고 룰이 구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처리설비의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인터넷데이터센터(4)는 인터넷(5) 및 웹을 통하여 상기 원격관리자용 피씨(6A),(6B),(6C)측으로 상시 데이터를 제공함과 아울러, 년간,월간,주간,일간 환경 상황 리포트를 웹 문서와 이메일 형태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처리설비의 제어 장치.
KR10-2001-0072576A 2001-11-21 2001-11-21 하.폐수처리설비의 제어 장치 KR100446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576A KR100446250B1 (ko) 2001-11-21 2001-11-21 하.폐수처리설비의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576A KR100446250B1 (ko) 2001-11-21 2001-11-21 하.폐수처리설비의 제어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784U Division KR200269586Y1 (ko) 2001-11-29 2001-11-29 하.폐수처리설비의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652A true KR20030041652A (ko) 2003-05-27
KR100446250B1 KR100446250B1 (ko) 2004-09-01

Family

ID=29570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2576A KR100446250B1 (ko) 2001-11-21 2001-11-21 하.폐수처리설비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6250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631B1 (ko) * 2002-01-29 2005-01-27 노진희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정수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01439B1 (ko) * 2005-06-27 2007-03-30 (주)대우건설 마을 하수 처리 시설 통합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82582B1 (ko) * 2006-09-01 2007-12-06 한창기전주식회사 복합 측정장치 관리 시스템
KR100810090B1 (ko) * 2007-11-19 2008-03-05 일호기전(주) 웹기반의 총인 및 총질소 분석장치
KR100813608B1 (ko) * 2006-09-25 2008-03-17 한국전력공사 피엘씨 기술을 활용한 물관리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및 그방법
CN102455698A (zh) * 2011-04-20 2012-05-16 靳其兵 基于树状结构的自控率、平稳率监控系统及监控方法
KR101248842B1 (ko) * 2010-01-27 2013-03-29 주식회사 맥스포 오염수 수집시스템
CN106054847A (zh) * 2016-07-29 2016-10-26 湖南永清水务有限公司 一种污水厂生产设备信息管理系统及方法
CN107986349A (zh) * 2017-12-13 2018-05-04 柳州市睿亿联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印染废水自动化控制过滤装备
KR102162632B1 (ko) * 2020-04-28 2020-10-07 주식회사 한일환경테크 지능화 상하수도 원격감시제어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 방법
CN111899818A (zh) * 2020-07-28 2020-11-06 王艳捷 一种智慧型污水生物处理活性污泥监测技术及方法
KR102181623B1 (ko) * 2020-04-28 2020-11-24 주식회사 한일환경테크 지능화 상하수도 원격감시제어 시스템
CN112180858A (zh) * 2020-09-21 2021-01-05 河南华东工控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多污染源废水分类处理系统的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939B1 (ko) 2010-06-01 2010-08-30 효림산업주식회사 복합오염 지하수 정화처리 원격 모니터링 및 자동제어장치
KR102657600B1 (ko) * 2023-05-15 2024-04-16 청정테크주식회사 하폐수 재이용 시설 통합 원격관리 시스템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631B1 (ko) * 2002-01-29 2005-01-27 노진희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정수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01439B1 (ko) * 2005-06-27 2007-03-30 (주)대우건설 마을 하수 처리 시설 통합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82582B1 (ko) * 2006-09-01 2007-12-06 한창기전주식회사 복합 측정장치 관리 시스템
KR100813608B1 (ko) * 2006-09-25 2008-03-17 한국전력공사 피엘씨 기술을 활용한 물관리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810090B1 (ko) * 2007-11-19 2008-03-05 일호기전(주) 웹기반의 총인 및 총질소 분석장치
KR101248842B1 (ko) * 2010-01-27 2013-03-29 주식회사 맥스포 오염수 수집시스템
CN102455698A (zh) * 2011-04-20 2012-05-16 靳其兵 基于树状结构的自控率、平稳率监控系统及监控方法
CN106054847A (zh) * 2016-07-29 2016-10-26 湖南永清水务有限公司 一种污水厂生产设备信息管理系统及方法
CN107986349A (zh) * 2017-12-13 2018-05-04 柳州市睿亿联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印染废水自动化控制过滤装备
KR102162632B1 (ko) * 2020-04-28 2020-10-07 주식회사 한일환경테크 지능화 상하수도 원격감시제어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181623B1 (ko) * 2020-04-28 2020-11-24 주식회사 한일환경테크 지능화 상하수도 원격감시제어 시스템
CN111899818A (zh) * 2020-07-28 2020-11-06 王艳捷 一种智慧型污水生物处理活性污泥监测技术及方法
CN112180858A (zh) * 2020-09-21 2021-01-05 河南华东工控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多污染源废水分类处理系统的控制方法
CN112180858B (zh) * 2020-09-21 2024-04-26 河南华东工控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多污染源废水分类处理系统的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6250B1 (ko) 2004-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6250B1 (ko) 하.폐수처리설비의 제어 장치
CN107357243B (zh) 基于云端数据监控的污水处理系统
KR102172981B1 (ko) 스마트 하폐수 처리 운영시스템
US5013442A (en) Aerobic wastewater treatment with alkalinity control
KR100455654B1 (ko) 부유물질 농도 분석기와 소프트웨어 센서기술을 이용한수처리시설 방류수 유기물질농도 예측시스템
CN110188946B (zh) 一种污水参数的预测方法及污水预测系统
CN109879475B (zh) 动态调节式污水工况处理方法
CN101364083A (zh) 污水处理控制设备和方法及污水处理系统
KR20090090188A (ko) 생물반응조 자동수질측정장비
EP1992946A1 (en) Automated sampler device to carry out analytical experiments, particularly in waste water treatment plants
CN106290763A (zh) 一种污水处理运行参数趋势分析方法及系统
CN114578008A (zh) 一种用于污水厂水质风险管理的决策支持系统及方法
CN111708339A (zh) 一种污水厂人工智能控制系统、方法及其应用
KR20020032787A (ko) 원격 수처리 시스템
CN117049744A (zh) 一种模块化污水处理的智能管理系统
CN113716813A (zh) 水厂系统
JP2003245653A (ja) 処理装置の運転支援方法、水処理装置の運転支援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269586Y1 (ko) 하.폐수처리설비의 제어 장치
KR100387362B1 (ko) 원거리 수질오염원의 실시간 수질관리 및 자동시료채취통합시스템
KR100519694B1 (ko) 소규모의 하ㆍ폐수처리설비
KR20020029730A (ko) 환경설비의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시스템
CN216155703U (zh) 水厂系统
RU2763132C1 (ru) Система мониторинга концентрации загрязняющих веществ, в том числе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в сточных водах и управления работой очистных сооружений предприятий
Schlegel et al. Requirements with respect to on-line analyzers for N and P
CN210313784U (zh) 一种智慧污水处理用综合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