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7600B1 - 하폐수 재이용 시설 통합 원격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하폐수 재이용 시설 통합 원격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7600B1
KR102657600B1 KR1020230062199A KR20230062199A KR102657600B1 KR 102657600 B1 KR102657600 B1 KR 102657600B1 KR 1020230062199 A KR1020230062199 A KR 1020230062199A KR 20230062199 A KR20230062199 A KR 20230062199A KR 102657600 B1 KR102657600 B1 KR 102657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powder
control information
valent iron
flow rate
zero val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2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진
나현주
Original Assignee
청정테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정테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정테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62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6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6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oag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3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02F2201/4613Inversing polar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가철 분말전극을 사용한 전기응집 공법으로 하폐수를 처리하는 각지의 하폐수처리장을 통합 원격관리하고, 원격으로 최적화하여 운영하는 하폐수 재이용 시설 통합 원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가철 분말전극을 설치 운용하는 순환식 반응조의 상태를 중점적으로 원격 모니터링하는데 특화됨은 물론이고, 수질을 정밀 측정하여 최적으로 운영하는 하폐수처리장의 운영 방식을 활용하여 수질을 정밀 측정하기 곤란한 다수의 소규모 하폐수처리장을 최적으로 운영하여, 소규모 하폐수처리장의 방류수 수질을 상황 변화에도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Description

하폐수 재이용 시설 통합 원격관리 시스템{REMOTE INTEFRATED MANAGEMENT SYSTEM FOR WASTEWOTER REUSING FACILITY}
본 발명은 영가철 분말전극을 사용한 전기응집 공법으로 하폐수를 처리하는 각지의 하폐수처리장을 통합 원격관리하고, 원격으로 최적화하여 운영하는 하폐수 재이용 시설 통합 원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농어촌 지역의 마을단위로 발생하는 하수나 농공단지의 입지로 인해 발생하는 폐수를 대규모 집단 하수처리장으로 이송하여 처리하는 것보다는 하폐수 발생지에 소규모 하폐수처리장을 설치하여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민국의 경우에는 오염원의 발생지 처리 우선 원칙에 따라 소규모 하폐수처리장 확충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설치하는 소규모 하폐수처리장은 발생하는 하폐수량에 따라 적절한 시설 규모와 공법을 채택하여 설치하므로, 그 다양성에 의해 체계적으로 유지 관리하기 어렵고, 우수 유입 등 주변 환경 영향을 받아 유입 하폐수량이 일정치 아니하여 방류수의 수질을 적합 수준으로 유지하며 운영하기 어렵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서, 출원인은 영가철 분말전극을 사용한 전기응집 공법으로 하폐수를 처리하는 등록특허 제10-2361906호의 기술을 개시하였다. 이 기술에 따르면, 하폐수량의 변동 및 하폐수 수질의 변동에 즉각적으로 반응하여 적합 수준의 방류 수질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전력 소비량도 절감할 수 있으며, 용출에 의해 소모되는 영가철 분말전극을 간편하게 교체하며 유지 관리할 수 있다.
그런데, 등록특허 제10-2361906호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소규모 하수처리장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영가철 분말전극을 설치한 반응조의 제어방식을 소규모 하수처리장별로 최적화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각지에 분산 설치된 소규모 하수처리장을 통합 관리하기도 어렵다.
즉, 등록특허 제10-2286436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하수처리장별 운영 조건을 도출하기 위한 계측정보를 얻기 위해 각 하수처리장별로 다양한 수질센서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그러한 수질센서를 처리용량이 적은 소규모 하수처리장에 설치 운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특히, 수질TMS와 같이 방류수 수질을 정밀 측정하여 반응조의 제어방식을 최적화하여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설치 운영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수질TMS는 일정 처리용량 이상의 하수처리장에 설치하고 있어서, 대부분의 소규모 하수처리장은 주기적으로 현장 관리하며 운영을 최적화하고 영가철 분말전극의 교체 여부를 판단하여야만 하는 어려움이 있다.
KR 10-2361906 B1 2022.02.08. KR 10-2286436 B1 2021.07.30.
따라서, 본 발명은 하폐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영가철 분말전극을 사용한 각지의 하폐수처리장을 통합적으로 원격 관리할 수 있고, 영가철 분말전극을 적기에 교체하고, 고가의 수질센서를 설치하지 아니한 소규모 하폐수처리장을 최적화 운영하여 하폐수처리를 안정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하폐수 재이용 시설 통합 원격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원수에서 협잡물 또는 침사물을 제거하는 전처리조(100); 협잡물 또는 침사물를 제거한 원수를 저장한 후 처리 유량을 조절하며 공급하되 pH 및 전기전도도 조절을 위한 약품을 공급 원수에 투입하는 유량조정조(200); 전류 제어하고 극성을 반전하며 운영하는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사이로 유량조정조(200)에서 공급하는 원수를 통과시켜 전기응집 반응을 일으키게 한 전기응집조(310)와, 전기응집조(310)의 처리수를 전기응집조(310)에 순환시키며 상등수를 배출되게 하는 반응수 순환조(340)가 이어지게 구성된 순환식 반응조(300); 반응수 순환조(340)에서 배출되는 상등수가 유입되며 pH 조절을 위한 약품이 투입되는 PH조정조(400); PH조정조(400)의 처리수가 유입되고 슬러지 침전을 일으키는 침전조(500); 침전조(500)의 처리수를 저장한 후 방류하는 방류조(600); 및 방류조(600)의 방류수를 여과하여 방류시키는 여과기(700);를 운영하고, 적어도 어느 한 곳에서는 방류수 수질을 측정하기 위한 TMS(710)를 설치 운영하는 복수의 하폐수처리장의 통합 원격관리를 위한 하폐수 재이용 시설 통합 원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TMS(710)를 설치하지 않은 복수의 하폐수처리장에 설치되어 사전 설정된 제어정보에 따라 하폐수처리장을 운영하고, 유입 원수 유량, 공급 원수 유량, pH, 전기전도도, 약품 투입량,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양극 사이 전압,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전류량, 순환식 반응조(300)에서의 순환수 유량, 및 방류수 유량을 포함하는 계측정보를 생성하는 제1 현장 제어장치(10); 방류수 수질을 측정하는 TMS(710)를 추가 설치하여 운영하는 하폐수처리장에 설치되어 사전 설정된 제어정보에 따라 하폐수처리장을 운영하되, 제어정보 중에 적어도 순환수 유량 및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전류량을 방류수 수질에 따라 가변시켜 운영하고, 상기 계측정보에 방류수 수질이 포함된 계측정보를 생성하는 제2 현장 제어장치(20); 및 제1,2 현장 제어장치(10, 20)을 통해 제어정보 및 계측정보를 수집하여 하폐수처리장을 원격관리하는 통합 관리 서버(30);를 포함한다.
상기 통합 관리 서버(30)는 계측정보 중에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전압에 따라 얻는 영가철 분말전극(320) 사이의 간격에 근거하여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용출에 따른 소모량을 분석하는 전극상태 분석부(32); 제어정보, 계측 정보 및 전극상태가 표시되는 공정 흐름도를 하폐수처리장별로 생성하여 출력하는 모니터링부(33); 및 제2 현장 제어장치(20)의 제어정보를 최적 제어정보로 선정하고, 최적 제어정보를 하폐수처리장의 시설규모, 처리 유량 또는 유입 원수 유량에 따라 제1 현장 제어장치(10)의 제어정보로 환산하여 수정한 후 제1 현장 제어장치(10)에 적용하게 하는 최적 제어정보 생성부(3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상기 최적 제어정보 생성부(34)는 유입 원수 유량의 변화에 따라 제1 현장 제어장치(10)의 제어정보를 초기 설정 제어정보로 복귀시킬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상기 최적 제어정보 생성부(34)는 상기 제2 현장 제어장치(20)가 복수개인 경우에, 계측정보를 비교하여, 방류수 수질이 상대적으로 좋은 조건 또는 유량으로 정규화한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소모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조건을 충족하는 제2 현장 제어장치(20)의 제어정보를 최적 제어정보로 선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상기 최적 제어정보 생성부(34)는 상기 제2 현장 제어장치(20)에 대해, 원수 유량 대비 순환수 유량을 원격 제어하여 가변하고, 방류수 수질이 기설정 적합 수질로 되게 하는 원수 유량 대비 순환수 유량의 값을 얻어 제어정보의 순환수 유량 제어값으로 적용하고, 상기 제1 현장 제어장치(20)를 위한 최적 제어정보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상기 최적 제어정보 생성부(34)는 상기 제2 현장 제어장치(20)에 대해, 영가철 분말전극(320)에 흐르는 전류량을 원격 제어하여 가변하고, 방류수 수질이 기설정 적합 수질로 되게 하는 전류량의 범위를 얻어 제어정보의 전류 제어값으로 적용하고, 상기 제1 현장 제어장치(20)를 위한 최적 제어정보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상기 전극상태 분석부(32)는 양극(+) 전압이 인가될 시의 누적 전류량을 영가철 분말전극(320)별로 산정하여,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총 소모량을 영가철 분말전극(320)별 누적 전류량의 비에 따라 나눠 영가철 분말전극(320)별 소모량을 얻고, 제어정보 중에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극성 변경에 대한 제어정보를 영가철 분말전극(32)별 소모량에 근거하여 수정한 후 하폐수처리장에서 적용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상기 제2 현장 제어장치(20)는 침전조(500) 처리수를 일부 취수하여 TMS(710)로 측정한 수질을 제어를 위한 방류수 수질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상기 전극상태 분석부(32)는 공급 원수 유량에 따른 누적 처리 원수량과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누적 소모량 사이의 기설정 상관 관계에 따라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교체시기를 추정하고, 방류수 수질에서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처리 대상인 유기화합물, SS(suspended solid), 총인 또는 음이온 형태로 거동하는 중금속의 잔존량 변화에 따라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이상 상태를 판정하며, 상기 모니터링부(33)는 추정한 교체시기 및 판정한 이상 상태를 공정 흐름도에 표시되게 한다.
본 발명은 하폐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영가철 분말전극을 사용한 각지의 하폐수처리장을 통합 원격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가철 분말전극의 소모량에 따라 적기에 교체 운영하여 방류수의 수질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원격으로 최적화할 수 있는 하폐수처리장의 제어정보에 따라 소규모 하폐수처리장을 최적화하며 운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폐수 재이용 시설 통합 원격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폐수 재이용 시설 통합 원격관리 시스템에서 하폐수처리장에 설치된 제1 현장 제어장치(10) 및 제2 현장 계측장치(20)를 보여주는 하폐수처리장 계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폐수 재이용 시설 통합 원격관리 시스템에서 모니터링부(33)에 의해 출력하는 공정흐름도의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다양한 예시들을 보여주며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통해 실시될 수 있음도 분명하므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잘 알려지거나 공지된 기술적 내용에 대해서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추가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자세히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형태는 부로 기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수 또는 폐수의 발생지에 각각 설치한 복수의 하폐수처리장에 대해 원격 모니터링, 제어 및 운영 최적화하기 위한 하폐수 재이용 시설 통합 원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의 블록 구성도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TMS(Tele-Monitoring System, 710)를 운용하지 않는 하폐수처리장에 설치하는 제1 현장 제어장치(10)와, TMS(Tele-Monitoring System, 710)를 운용하는 하폐수처리장에 설치하는 제2 현장 제어장치(20)와, 네트워크를 통해 제1,2 현장 제어장치(10, 20)와 연결되어 각 하폐수처리장을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하고 제1,2 현장 제어장치(10, 20)를 최적화 운영하게 하는 통합 관리 서버(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페수처리장은 영가철 분말전극을 이용한 전기응집 공법으로 하폐수를 처리한 후 방류하는 하폐수처리장으로서, 출원인의 등록특허 제10-2361906호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는바, 도 2를 참조하며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는 정도로 설명한다.
도 2는 TMS(710)를 운용하여 제2 현장 제어장치(20)가 설치되는 하폐수처리장의 계통도로서, 하폐수처리장에는 전처리조(100), 유량조정조(200), 순환식 반응조(300), PH조정조(400), 침전조(500), 방류조(600), 여과기(700) 및 슬러지농축조(800)가 설치 운영됨을 보여준다.
전처리조(100)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원수(하수 또는 폐수)에서 제진기 또는 침사지를 이용하여 협잡물 또는 침사물을 제거한다.
유량조정조(200)는 전처리조(100)에 의해 협잡물 및 침사물이 제거된 원수가 유입하여 저장된다. 유량조정조(200)에 저장된 원수는 수위계(210)로 측정한 원수량에 따라 펌프(211)를 가동하여 순환식 반응조(300)에 공급하되 유량계(212)로 감지 유량에 따라 적정 처리 유량으로 공급한다. 또한, 펌프(221)를 가동시켜 약품탱크(220)의 약품을 공급 원수에 투입하되, 약품 투입한 공급 원수의 pH(수소 이온 농도 지수) 및 전기전도도를 pH센서(213) 및 전기전도도센서(214)로 감지하여 적정량의 약품이 투입되게 한다. 여기서, 약품은 pH 및 전기전도도의 조절을 위한 염산이나 소금물을 사용할 수 있고, 이산화염소, 과산화수소 등의 산화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순환식 반응조(300)는 영가철 분말전극(320)을 이용하여 공급 원수에 전기응집 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서, 이어져 있어 원수가 순차적으로 통과되게 한 전기응집조(310) 및 반응수 순환조(340)로 구성된다.
전기응집조(310)에는 Monopolar방식이나 Bipolar 방식으로 배치한 복수의 영가철 분말전극(320)을 설치하여 공급 원수가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사이로 통과시킨 후 반응수 순환조(340)로 흘러가게 한다. 여기서, 영가철 분말전극(320)은 서로 다른 극성이 마주하도록 전원부(330)에 연결되고, 전원부(330)에서 흘려주는 전류에 의해서 공급 원수 속의 중금속, 유기물질, SS(Suspended Solid), 인 화합물 등을 반응시키고, 이 과정에서 양극(+) 전압이 인가된 것은 원수 속으로 용출하여 소모되므로, 부피가 점차 감소하고, 마주하는 것끼리의 간격도 점차 멀어지게 된다.
전원부(330)는 영가철 분말전극(320)에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하며 전력 공급하는 정전류원으로서 구성되어서, 제어된 전류 밀도의 전류를 영가철 분말전극(320)에 흐르게 할 수 있고, 마주하는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극성을 반전시킬 수 있게 되어 있어서, 복수의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소모량을 균일하게 할 수 있으며, 양극과 음극(또는 접지)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여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소모량을 감지하는데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위한 전원부(330)는 전류량을 기록하되, 각각 영가철 분말전극(320)에 대해서 양극(+) 전압이 인가될 시의 전류량을 추가 기록하여서, 현장 제어장치(10, 20)에 전달하게 한다.
반응수 순환조(340)는 전기응집조(310)에 이어진 부위와 대향하는 부위에 스컴 제거하며 상등수를 배출시키는 디켄터(350)를 설치하고, 디켄터(350)의 아래에서는 유입된 전기응집조(310) 처리수를 펌프(341) 가동으로 전기응집조(310)로 환수하여 공급 원수와 혼합하며 영가철 분말전극(320) 사이를 통과하게 한다. 즉, 원수를 순환시키며 영가철 분말전극(320)으로 전기응집 반응시키고 전기응집 반응이 충분히 이루어진 후 상등수로 배출되게 한다. 여기서, 펌프(341)에 의해 환수되는 원수 유량을 유량계(342)로 감지하여 순환 유량을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PH조정조(400)는 순환식 반응조(300)의 반응수 순환조(340)에서 배출되는 상등수가 유입되고, 약품탱크(420)의 약품을 펌프(421)로 투입하며 교반기(410)로 교반하여, 유입된 상등수의 pH를 조절하며, pH 조절한 상등수는 침전조(500)로 흘러가게 한다.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pH센서로 pH를 측정하여 PH조정조(400) 내의 pH를 조절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약품은 pH를 조절하거나 잔류 철이온의 제거를 위해 수산화나트륨(가성소다)을 사용할 수 있고, 침전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보조응집제(폴리머)도 사용할 수 있다.
침전조(500)는 PH조정조(400)에서 pH 조절된 상등수가 유입되고 전기응집 반응에 의해 응집된 오염물의 슬러지를 침전시킨다. 그리고, 침전조(500)의 상등수는 방류조(600)로 유입되게 한다.
방류조(600)는 침전조(500)의 상등수로 유입되는 처리수를 저장하고, 수위계(610)로 감지한 처리수의 저장량에 따라 펌프(611)를 가동하여 처리수를 방류한다.
여과기(700)는 방류조(600)의 방류수를 여과하여, 처리수에 잔존하는 입자가 큰 먼지, 녹, 잔여 슬러지를 비롯해 잔류하는 총유기탄소(TOC), 냄새, 색도, THMs 등을 최종 여과한 후 방류시킨다.
TMS(Tele-Monitoring System 710)는 여과기(700)를 통과하여 방류되는 방류수의 수질을 측정한다.
슬러지농축조(800)에는 순환식 반응조(300) 및 침전조(500)에서 발생하는 슬러지가 이송되어 농축되고, 농축된 슬러지를 슬러지 처리장치(810)로 수분을 저감하여 케이크 형태로 배출되게 하고, 이때 발생하는 탈리액은 유량조정조(200)로 반송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도 2의 하폐수처리장에서는 TMS(710)을 운용하므로, 상기 제2 현장 제어장치(20)가 설치된다.
한편, 처리용량이 적은 소규모의 하폐수처리장이어서 TMS(710)를 운용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제1 현장 제어장치(10)가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1 현장 제어장치(10)는 사전 설정된 제어정보에 따라 각 공정별 시설물을 제어하여 하폐수처리장을 운영하고, 운영 중에 측정한 각 측정값을 취합하여 계측정보를 생성하고, 제어정보 및 계측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통합 관리 서버(30)에 전송한다.
여기서, 제어정보는 유량조정조(200)의 원수를 공급할 기준이 되는 수위 정보, 원수 공급 유량, 공급 원수에 투입할 약품량, 영가철 분말전극(320)에 흘려줄 전류량, 순환식 반응조(300)에서의 순환수 유량, PH조정조에 투입할 약품량, 방류조(600)의 처리수를 방류할 시에 기준이 되는 수위 정보 등을 포함하며, 하폐수처리장의 시설 규모, 일일 처리유량, 사전 조사한 유입 유량 및 유입 원수 수질 자료 등에 따라 적정하게 설정하여 두어서, 하폐수처리장을 운영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계측정보는 유량조정조(200)의 수위계(210)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유입 원수 유량과, 각종 센서로 감지하는 유입 원수 유량, 공급 원수 유량, pH, 전기전도도, 순환식 반응조(300)에서의 순환수 유량 및 PH조정조의 pH와, 전원부(330)에서 얻는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양 극 사이 전압 및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전류량과, 약품탱크(220, 420)에서의 약품량 변화 또는 펌프(221, 421)의 가동시간으로 추정할 수 있는 약품 투입량과, 방류조(600)의 수위계(610)를 이용하거나 별도의 유량계를 설치하여 얻을 수 있는 방류수 유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현장 제어장치(20)는 상기 제1 현장 제어장치(10)와 마찬가지로 하폐수처리장의 시설 규모, 일일 처리 유량, 사전 조사한 유입 유량 및 유입 원수 수질 자료 등에 따라 적정하게 설정한 제어정보를 적용하여 하폐수처리장을 운영하고, 상기한 계측정보를 생성한다.
다만, 차이나는 점은 상기 제2 현장 제어장치(20)이 TMS(710)를 운용하는 하폐수처리장에 설치되므로, TMS(710)로 측정한 방류수 수질에 따라 제어정보를 수정하며 사용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어정보는 방류수 기준 수질과, 방류수 기준 수질을 초과할 경우에 가변할 제어대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대상은 적어도 순환식 반응조(300)에서 반응수의 순환을 위해 사용하는 펌프(341)와, 영가철 분말전극(320)에 전류를 흘려주는 전원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현장 제어장치(20)는 TMS(710)로 측정한 방류수 수질이 방류수 기준 수질을 초과할 경우에 순환식 반응조(300)의 순환수 유량 또는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전류량을 가변시켜서 방류수의 수질 기준을 맞추게 한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침전조(500) 처리수를 일부 취수하여 TMS(710)로 측정한 수질을 제어를 위한 방류수 수질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방류조(600)에 저장된 처리수와 섞이기 이전이며 여과기(700)로 여과하기 이전의 수질을 측정하여서, 방류수 수질 변화에 따라 신속하게 대응하며 수질을 맞출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어대상으로 약품 투입을 위한 펌프(221, 421)를 추가하여, 투입 약품량을 가변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방류수 수질이 방류수 기준 수질 이하로 되게 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방류수 기준 수질을 소정 범위로 설정하여 하한값을 갖게 하고, 방류수 수질이 하한값 미만이면 순환수 유량을 줄이거나 전류량을 낮춰서 방류수 수질이 하한값 이상으로 되게 할 수 있다. 이에, 처리 유량을 늘리면서 전력 소비량은 줄이고,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용출량을 줄여서 필요 이상으로 과도하게 소모되지 않게 한다.
상기 제2 현장 제어장치(20)는 초기 설정된 제어정보와, 수정한 제어정보와, 측정한 방류수 수질 정보를 포함시킨 계측정보를 상기 통합 관리 서버(30)에 전송한다.
아울러, 상기 제1 현장 제어장치(10)와 제2 현장 제어장치(20)는 상기 통합 관리 서버(30)의 지령에 따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통합 관리 서버(31)는 상기 제1 현장 제어장치(10)와 제2 현장 제어장치(20)에서 전송한 제어정보 및 계측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수집부(31)와, 각 하폐수처리장을 원격관리하기 위한 전극상태 분석부(32), 모니터링부(23) 및 최적 제어정보 생성부(34)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상태 분석부(32)는 각 하폐수처리장에서 사용하는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용출에 따른 소모량을 산정한다. 이때의 소모량은 계측정보 중에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전압에 따라 추정한 영가철 분말전극(320) 사이의 간격에 근거하여 분석한 결과로 얻는다.
전원부(330)는 전류를 가변할 수 있는 정전류원이므로,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양 극 사이 전압과 양 극 사이 간격의 상관성을 미리 정의하여 두어서, 전압에 따라 간격을 추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수질의 영향이 있지만, 수질이 대체로 비슷한 시간대를 이용하여 간격을 추정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간격 변화로부터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소모량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극상태 분석부(32)는 영가철 분말전극(320)별로 양극(+) 전압이 인가될 시에 기록한 전류량을 누적하여 영가철 분말전극(320)별 누적 전류량, 즉, 영가철 분말전극(320)이 용출될 시에 흐른 누적 전류량을 얻는다. 그리고, 상기에서 간격으로 얻은 양 극의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총 소모량을 영가철 분말전극(320)별 누적 전류량의 비에 따라 나눠 영가철 분말전극(320)별 소모량을 얻는다.
이때, 영가철 분말전극(320)별 소모량의 차이가 기설정값 이상인 하폐수처리장에 대해서는 설치된 현장 제어장치가 제1 현장 제어장치(10) 및 제2 현장 제어장치(20) 중에 어느 것이더라도 제어정보 중에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극성 변경에 대한 제어정보를 영가철 분말전극(32)별 소모량에 근거하여 수정한 후 전달하여서 전원부(330)를 제어하는데 적용되게 한다. 예를 들어, 소모량이 적은 쪽의 영가철 분말전극(32)에 양(+)의 극성 전압 인가 시간을 늘리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극상태 분석부(32)는 공급 원수 유량을 누적하여 누적 처리 원수량을 얻고, 상기에서 얻은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소모량을 누적하여 누적 소모량을 얻은 후, 누적 처리 원수량과 누적 소모량 사이의 기설정 상관 관계에 따라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교체시기를 추정한다.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소모량은 원수 수질의 영향을 받으므로, 여기서의 기설정 상관 관계는 각 하폐수처리장별로 사전 조사한 자료에 따라 얻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전극상태 분석부(32)는 방류수 수질의 계측정보를 제공하는 제2 현장 제어장치(20)에 대해서,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이상 상태를 감지한다. 출원인의 등록특허 제10-2361906호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영가철 분말전극(320)으로 처리할 오염물은 유기화합물, SS(suspended solid), 총인 또는 음이온 형태로 거동하는 중금속 등을 포함한다. 이에, 오염물의 잔존량을 방류수 수질에 따라 얻고, 오염물 잔존량의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이상 상태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잔존량이 급격하게 변하는 경우 전기응집 반응이 이상 상태이거나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누적 소모량이 커서 용출량이 급격히 적어진 상태일 수 있으므로, 점검이 필요한 이상 상태로 판정한다.
상기 모니터링부(23)는 제어정보, 계측 정보 및 전극상태(소모량, 전극별 소모량, 교체 시기 및 이상 상태 포함)를 매칭시켜 표시한 하폐수처리장의 공정 흐름도를 각 하폐수처리장별로 생성하여 화면 출력함으로써, 관리자가 원격 감시할 수 있게 한다.
도 3에 예시한 공정흐름도를 참조하면, 공정흐름도의 아래에 각 공정의 위치에 맞춰 유량, 수위 및 순환 유량의 측정값을 표출한다.
그리고, 그 아래에는 공급 원수의 pH 및 전기전도도(EC)의 측정값(51)과, 공급 원수에 투입한 약품량(52)과, PH조정조(400) 내의 상등수 pH 및 투입한 약품량(54)과, 침전조(500) 처리수(상등수) 및 방류수를 TMS(710)로 측정한 수질 정보(55, 56)를 표시하고, 아울러 영가철 분말전극(320)에 관련된 정보(53)도 표시한다.
여기서, 영가철 분말전극(320)에 관련된 정보(53)는 영가철 분말전극(320)에 관련하여 전류량 및 전압과, 상기 전극상태 분석부(32)에서 분석하여 얻은 영가철 분말전극(320) 사이의 간격과,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소모량을 나타내는 두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공정흐름도에 매칭시켜 표출하는 정보는 도 3에 예시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면, 설정된 제어정보, 수정된 제어정보, 시설 규모, 일일 처리 유량 등 다양한 정보일 수도 있다.
상기 최적 제어정보 생성부(34)는 제2 현장 제어장치(20)의 제어정보를 최적 제어정보로 선정한 후, 선정한 최적 제어정보를 환산하여 제1 현장 제어장치(10)의 수정된 제어정보를 얻는다.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 제2 현장 제어장치(20)가 설치된 하폐수처리장과 제1 현장 제어장치(10)가 설치된 하폐수처리장 사이의 시설규모, 일일 처리 유량, 유입 원수 유량 차이 등을 적용하여, 최적 제어정보를 제1 현장 제어장치(10)의 제어정보로 환산할 수 있다. 물론, 공통의 항목에 대해서 환산한다.
예를 들어, 제2 현장 제어장치(20)에서 방류수 수질에 따라 순환수 유량을 가변하면, 일일 처리 유량 대비 순환수 유량 변화량의 비율을 제1 현장 제어장치(10)의 순환수 유량에 적용하여 수정한 순환수 유량을 얻는다. 동일한 방식으로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전류량에 적용하여 수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약품 투입량에 대해서도 수정할 수 있다. 물론, 환산하는 방식은 시설규모, 일일 처리 유량, 유입 원수 유량 차이 등의 다양한 여건에 따라 적절한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정한 제1 현장 제어장치(10)의 제어정보는 제1 현장 제어장치(10)에 전송하여 하폐수처리장을 운영하는데 적용하게 한다.
이에, 수정한 제어정보를 적용함으로써 제1 현장 제어장치(10)에 의한 운영 최적화할 수 있고, 특히, 강우에 의한 우수 유입으로 거의 동일한 영향을 받는 제2 현장 제어장치가 설치된 하폐수처리장의 최적 제어정보를 사용하여서 최적 운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현장 제어장치(10)의 제어정보를 수정하여 사용하는 중에, 유입 원수 유량의 변화에 따라 초기 제어정보, 즉 하폐수처리장에 여건에 따라 설정하여 둔 제어정보로 복귀시켜, 수정 전의 제어정보를 적용하여 하폐수처리장을 운영하게 할 수 있다. 앞서 예를 들은 바와 같이 우수 유입이 감소하여 유입 원수 유량이 감소하면 초기 설정하여둔 제어정보를 사용하게 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제2 현장 제어장치(20)가 복수개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복수 제2 현장 제어장치(20)에서 수집한 계측정보를 비교하여, 방류수 수질이 상대적으로 좋은 조건, 및 순환식 반응조로 공급하는 원수 유량의 차이를 상쇄하기 위해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소모량을 동일 원수 유량에 대응되는 값으로 정규화한 후 상대적으로 적은 조건,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을 충족하는 제2 현장 제어장치(20)의 제어정보를 최적 제어정보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최적 제어정보 생성부(34)는 제2 현장 제어장치(20)가 설치된 하폐수처리장에 대해서, 방류수 수질을 이용하여 최적 운영을 위한 제어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현장 제어장치(20)를 통해 순환수용 펌프(341)를 원격 제어하여 원수 유량 대비 순환수 유량을 가변하며 방류수 수질을 모니터링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이 과정에서 방류수 수질이 기설정 적합 수질로 되게 하는 원수 유량 대비 순환수 유량의 값을 얻고, 이때 얻은 값을 제어정보의 순환수 유량 제어값으로 적용한다.
다른 예로서, 제2 현장 제어장치(20)를 통해 전원부(330)를 원격 제어하여 영가철 분말전극(320)에 흐르는 전류량을 가변하며 방류수 수질을 모니터링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이 과정에서 방류수 수질이 기설정 적합 수질로 되게 하는 전류량을 얻고, 이때 얻은 전류량을 제어정보의 전류 제어값으로 적용한다.
물론, 수정한 제어정보는 제2 현장 제어장치(20)에 전달하여 사용하게 한다.
한편, 상기 통합 관리 서버(30)는 각 하폐수처리장의 관리자 단말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관리자 단말(40)이 접속하여 상기 모니터링부(23)로 제공하는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최적 제어정보 생성부(34)의 기능을 원격으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수행하게 하는 것이 좋다.
10 : 제1 현장 제어장치
20 : 제2 현장 제어장치
30 : 통합 관리 서버
31 : 수집부 32 : 전극상태 분석부 33 : 모니터링부
34 : 최적 제어정보 생성부
40 : 관리자 단말
100 : 전처리조
200 : 유량조정조
210 : 수위계 211 : 펌프 212 : 유량계
213 : pH센서 214 : 전기전도도센서 220 : 약품탱크
221 : 펌프
300 : 순환식 반응조
310 : 전기응집조 320 : 영가철 분말전극 330 : 전원부
340 : 반응수 순환조 341 : 펌프 342 : 유량계
350 : 디켄터
400 : PH조정조
410 : 교반기 420 : 약품탱크 421 : 펌프
500 : 침전조
600 : 방류조
610 : 수위계 611 : 펌프
700 : 여과기
710 : TMS(Tele-Monitoring System)
800 : 슬러지농축조
810 : 슬러지 처리장치

Claims (8)

  1. 외부에서 유입되는 원수에서 협잡물 또는 침사물을 제거하는 전처리조(100);
    협잡물 또는 침사물를 제거한 원수를 저장한 후 처리 유량을 조절하며 공급하되 pH 및 전기전도도 조절을 위한 약품을 공급 원수에 투입하는 유량조정조(200);
    전류 제어하고 극성을 반전하며 운영하는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사이로 유량조정조(200)에서 공급하는 원수를 통과시켜 전기응집 반응을 일으키게 한 전기응집조(310)와, 전기응집조(310)의 처리수를 전기응집조(310)에 순환시키며 상등수를 배출되게 하는 반응수 순환조(340)가 이어지게 구성된 순환식 반응조(300);
    반응수 순환조(340)에서 배출되는 상등수가 유입되며 pH 조절을 위한 약품이 투입되는 PH조정조(400);
    PH조정조(400)의 처리수가 유입되고 슬러지 침전을 일으키는 침전조(500);
    침전조(500)의 처리수를 저장한 후 방류하는 방류조(600); 및
    방류조(600)의 방류수를 여과하여 방류시키는 여과기(700);
    를 운영하고, 적어도 어느 한 곳에서는 방류수 수질을 측정하는 TMS(710)를 설치 운영하는 복수의 하폐수처리장의 통합 원격관리를 위한 하폐수 재이용 시설 통합 원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TMS(710)를 설치하지 않은 복수의 하폐수처리장에 설치되어 사전 설정된 제어정보에 따라 하폐수처리장을 운영하고, 유입 원수 유량, 공급 원수 유량, pH, 전기전도도, 약품 투입량,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양극 사이 전압,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전류량, 순환식 반응조(300)에서의 순환수 유량, 및 방류수 유량을 포함하는 계측정보를 생성하는 제1 현장 제어장치(10);
    TMS(710)를 추가 설치하여 운영하는 하폐수처리장에 설치되어 사전 설정된 제어정보에 따라 하폐수처리장을 운영하되, 제어정보 중에 적어도 순환수 유량 및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전류량을 방류수 수질에 따라 가변시켜 운영하고, 상기 계측정보에 방류수 수질이 포함된 계측정보를 생성하는 제2 현장 제어장치(20); 및
    제1,2 현장 제어장치(10, 20)을 통해 제어정보 및 계측정보를 수집하여 하폐수처리장을 원격관리하는 통합 관리 서버(30);
    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 관리 서버(30)는
    계측정보 중에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전압에 따라 얻는 영가철 분말전극(320) 사이의 간격에 근거하여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용출에 따른 소모량을 분석하는 전극상태 분석부(32);
    제어정보, 계측 정보 및 전극상태가 표시되는 공정 흐름도를 하폐수처리장별로 생성하여 출력하는 모니터링부(33); 및
    제2 현장 제어장치(20)의 제어정보를 최적 제어정보로 선정하고, 최적 제어정보를 하폐수처리장의 시설규모, 처리 유량 또는 유입 원수 유량에 따라 제1 현장 제어장치(10)의 제어정보로 환산하여 수정한 후 제1 현장 제어장치(10)에 적용하게 하고, 유입 원수 유량의 변화에 따라 제1 현장 제어장치(10)의 제어정보를 초기 설정 제어정보로 복귀시킬 수 있게 한 최적 제어정보 생성부(34);
    를 포함하는
    하폐수 재이용 시설 통합 원격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제어정보 생성부(34)는
    상기 제2 현장 제어장치(20)가 복수개인 경우에, 계측정보를 비교하여, 방류수 수질이 상대적으로 좋은 조건 또는 유량으로 정규화한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소모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조건을 충족하는 제2 현장 제어장치(20)의 제어정보를 최적 제어정보로 선정하는
    하폐수 재이용 시설 통합 원격관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제어정보 생성부(34)는
    상기 제2 현장 제어장치(20)에 대해, 원수 유량 대비 순환수 유량을 원격 제어하여 가변하고, 방류수 수질이 기설정 적합 수질로 되게 하는 원수 유량 대비 순환수 유량의 값을 얻어 제어정보의 순환수 유량 제어값으로 적용하고, 상기 제1 현장 제어장치(20)를 위한 최적 제어정보로 사용하는
    하폐수 재이용 시설 통합 원격관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제어정보 생성부(34)는
    상기 제2 현장 제어장치(20)에 대해, 영가철 분말전극(320)에 흐르는 전류량을 원격 제어하여 가변하고, 방류수 수질이 기설정 적합 수질로 되게 하는 전류량의 범위를 얻어 제어정보의 전류 제어값으로 적용하고, 상기 제1 현장 제어장치(20)를 위한 최적 제어정보로 사용하는
    하폐수 재이용 시설 통합 원격관리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상태 분석부(32)는
    양극(+) 전압이 인가될 시의 누적 전류량을 영가철 분말전극(320)별로 산정하여,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총 소모량을 영가철 분말전극(320)별 누적 전류량의 비에 따라 나눠 영가철 분말전극(320)별 소모량을 얻고,
    제어정보 중에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극성 변경에 대한 제어정보를 영가철 분말전극(32)별 소모량에 근거하여 수정한 후 하폐수처리장에서 적용되게 하는
    하폐수 재이용 시설 통합 원격관리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현장 제어장치(20)는
    침전조(500) 처리수를 일부 취수하여 TMS(710)로 측정한 수질을 제어를 위한 방류수 수질로 사용하는
    하폐수 재이용 시설 통합 원격관리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상태 분석부(32)는
    공급 원수 유량에 따른 누적 처리 원수량과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누적 소모량 사이의 기설정 상관 관계에 따라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교체시기를 추정하고, 방류수 수질에서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처리 대상인 유기화합물, SS(suspended solid), 총인 또는 음이온 형태로 거동하는 중금속의 잔존량 변화에 따라 영가철 분말전극(320)의 이상 상태를 판정하며,
    상기 모니터링부(33)는
    추정한 교체시기 및 판정한 이상 상태를 공정 흐름도에 표시되게 하는
    하폐수 재이용 시설 통합 원격관리 시스템.
KR1020230062199A 2023-05-15 2023-05-15 하폐수 재이용 시설 통합 원격관리 시스템 KR102657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2199A KR102657600B1 (ko) 2023-05-15 2023-05-15 하폐수 재이용 시설 통합 원격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2199A KR102657600B1 (ko) 2023-05-15 2023-05-15 하폐수 재이용 시설 통합 원격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7600B1 true KR102657600B1 (ko) 2024-04-16

Family

ID=90882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2199A KR102657600B1 (ko) 2023-05-15 2023-05-15 하폐수 재이용 시설 통합 원격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6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250B1 (ko) * 2001-11-21 2004-09-01 주식회사 드림바이오스 하.폐수처리설비의 제어 장치
KR102286436B1 (ko) 2020-05-26 2021-08-09 (주)네이쳐 엔지니어링 데이터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처리 방법
KR102318530B1 (ko) * 2021-08-11 2021-10-29 주식회사 유앤유 IoT 기반 하수처리시설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361906B1 (ko) 2021-05-11 2022-02-15 청정테크주식회사 하폐수 처리 재이용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250B1 (ko) * 2001-11-21 2004-09-01 주식회사 드림바이오스 하.폐수처리설비의 제어 장치
KR102286436B1 (ko) 2020-05-26 2021-08-09 (주)네이쳐 엔지니어링 데이터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처리 방법
KR102361906B1 (ko) 2021-05-11 2022-02-15 청정테크주식회사 하폐수 처리 재이용 시스템
KR102318530B1 (ko) * 2021-08-11 2021-10-29 주식회사 유앤유 IoT 기반 하수처리시설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zturk et al. Treatment of slaughterhouse wastewater with the electrochemical oxidation process: Role of operating parameters on treatment efficiency and energy consumption
Hashim et al. Electrocoagulation as a green technology for phosphate removal from River water
Kumar et al. Composite wastewater treatment by aerated electrocoagulation and modified peroxi-coagulation processes
Hashim et al. Energy efficient electrocoagulation using a new flow column reactor to remove nitrate from drinking water–experimental, statistical, and economic approach
Hashim et al. Iron removal, energy consumption and operating cost of electrocoagulation of drinking water using a new flow column reactor
US9517954B2 (en) Chemical injection control method and chemical injection controller
Lacasa et al. Electrochemical phosphates removal using iron and aluminium electrodes
Safwat Treatment of real printing wastewater using electrocoagulation process with titanium and zinc electrodes
Li et al. Simultaneous removal of chemical oxygen demand, turbidity and hardness from biologically treated citric acid wastewater by electrochemical oxidation for reuse
Zaleschi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electrocoagulation and chemical coagulation processes applied for wastewater treatment.
Valero et al. Electrochemical treatment of wastewater from almond industry using DSA-type anodes: direct connection to a PV generator
CN1147802A (zh) 电解水处理
WO2016205944A1 (en) Process and device for the treatment of a fluid containing a contaminant
US20220411292A1 (en) Treatment of aqueous matrices using electrolysis to produce soluble tin metal
CN111646608A (zh) 一种电化学处理多种污水的撬装式系统
Canizares et al. Modelling of wastewater electrocoagulation processes: Part I. General description and application to kaolin-polluted wastewaters
Saad et al. Process modelling and techno economic analysis for optimal design of integrated electrocoagulation-membrane system for dye removal in wastewater
de Oliveira et al. Removal of natural organic matter from aqueous solutions using electrocoagulation pulsed current: optimization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dali Smart waste water treatment
Anuf et al. Optimization of electrocoagulation process for treatment of rice mill effluent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P2008149226A (ja) 廃水処理システム
KR102657600B1 (ko) 하폐수 재이용 시설 통합 원격관리 시스템
JP4900556B2 (ja) 排水処理プラントの運転管理方法
Rahman et al. Electrolysis of swine manure effluents using three different electrodes Fe-Fe, Al-Al and Fe-Al
JP2010158632A (ja) 上水施設の監視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