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8508B1 - 롤형 이음 김을 제조하기 위한 접착액 도포수단 - Google Patents

롤형 이음 김을 제조하기 위한 접착액 도포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8508B1
KR100808508B1 KR1020070118327A KR20070118327A KR100808508B1 KR 100808508 B1 KR100808508 B1 KR 100808508B1 KR 1020070118327 A KR1020070118327 A KR 1020070118327A KR 20070118327 A KR20070118327 A KR 20070118327A KR 100808508 B1 KR100808508 B1 KR 100808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iquid
roller
laver
adhesive
absor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8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강
Original Assignee
정재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강 filed Critical 정재강
Priority to KR1020070118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85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8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8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1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loose unpacked materials
    • A23L3/18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loose unpacked materials while they are progressively transported through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밥 자동화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롤형 이음 김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 낱장의 김 표면에 접착액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수단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이음 김 제조장치의 본체에 장착되는 접착액 도포수단은 별도의 접착액 공급통으로부터 접착액이 자동으로 간헐 공급되게 하고, 그 접착액은 다수의 배출노즐을 통해 균일 배출되게 하며 배출되는 접착액은 확산판을 통해 하부의 흡수로울러로 고르게 제공되는 것이며, 그 흡수로울러의 하부에 위치하는 도포로울러에는 일측으로 돌출된 흡수부재를 형성하여 상기 도포로울러의 회전을 통해 낱장 김의 표면에 접착액이 도포되게 함으로써, 낱장 김의 이동 경로 상에 설치되어 그 낱장 김의 이동과 동시에 표면에 접착액을 도포하므로 접착액을 빠르게 도포하여 이음 김의 생산 속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며, 접착액의 도포로울러에 그 접착액이 직접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확산판과 흡수로울러를 통해 간접 공급되므로 더욱 균일한 확산 공급이 이루어져 접착액의 도포 품질이 극히 양호함에 따라 낱장 김의 접착 효과가 우수하여 이음 김의 끊김이나 들뜸 등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고품질의 이음 김을 고속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것이다.
낱장 김, 이음 김, 접착액, 도포로울러, 확산판, 확산로울러, 흡수로울러

Description

롤형 이음 김을 제조하기 위한 접착액 도포수단 {Adhessive-applying means for producing spliced laver}
본 발명은 김밥을 자동화 시스템에 의해 대량 생산하기 위해 필수적인 롤형 이음 김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 낱장의 김 표면에 접착액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수단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균일 간격으로 연속 공급되는 낱장의 김 말미 표면에 휘발성 액체로 된 접착액을 고속으로 도포할 수 있게 하여 이를 통해 연속의 이음 김을 고속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게 한 접착액 도포수단에 관한 것이다.
김밥이란, 평면 사각형태의 김에 밥과 여러 가지 재료를 넣고 말아 싼 음식으로서, 소풍이나 나들이를 갈 때 도시락으로 이용하거나 간식 등으로 먹는다.
특히, 김밥은 여러 가지 재료와 밥을 김에 싸서 만든 형태이므로 별도의 반찬 등이 필요 없어 간편한 아침 식사 대용으로 각광받고 있는 것이며, 남녀노소 누구나 즐겨하는 음식이므로 그 소비량은 점차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근자에 들어서는 일일이 수작업에 의해 생산하던 재래의 김밥 제 조방법에서 탈피하여 기계화 시스템에 의한 자동 생산방식을 택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자동화 시스템에 의한 김밥 제조방법은 균일한 정량의 김밥을 대량으로 고속 생산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어 김밥의 제조원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으면서도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뛰어난 경제성을 갖춘 것이며, 품질과 맛이 균일하여 소비자의 구매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김밥 자동생산 장치는 연속으로 공급되는 김과 각종 재료들을 특정의 공정과 단계를 거쳐 롤 형태의 김밥 또는 절단된 상태의 김밥으로 제조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김밥 자동생산 장치에 사용되는 김은 통상적으로 널리 유통되고 있는 평면상 정,직사각 형태의 김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전기한 바와 같은 김밥 자동생산 장치는 개개로 분리된 낱장의 김을 사용하게 되므로 이들 낱장의 김을 세팅하여 사용하는데에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기계요소들이 적용되는 것으로,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김의 형태는 제조특성 또는 김이 갖는 물리적 성질에 의해 부득이하게 균일 크기의 사각 형태로만 제작되는 특수성을 갖고 있으므로 부득이 상기한 사각 형태의 김을 사용하여 김밥을 제조하여야 하는 곤란함을 겪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보편적인 형태의 낱장 김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김밥을 제조하는 경우에도 상당한 곤란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작은 크기의 김밥이나 충무김밥과 같이 극히 소형의 김밥을 만들고자 하는 경우에는 온전한 크기의 김을 별도로 절단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며, 작은 크기의 김밥은 별도의 김밥 제조장 치를 새로이 제작하여야 하거나 재래의 방법인 수작업에 의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근자에 들어서는 낱장의 김을 일일이 수작업에 의해 이어 연결한 형태롤 롤형 이음 김을 제작하여 이를 김밥 자동생산 장치에 투입함에 따라 자동화 시스템에 의한 김밥의 고속 생산을 가능케 하고 있으나, 이는 단순히 김밥을 제조하는 공정에서만 시간 단축이 이루어질 뿐 김밥을 제조하기 위한 낱장 김의 사전 수작업 이음 처리공정에서 많은 작업시간을 요구되므로 실질적인 경제적 이득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또한, 이와 같은 김밥 자동생산 장치에 적용할 수 있게 한 롤형 연속 김의 제조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김의 원재료인 해태를 직접 투입하여 이를 도포 및 건조하여 생산하는 방식이므로 그 생산 시간이 매우 길고 복잡하여 경제적 실효성이 지극히 낮은 것이며, 역시 다양한 폭을 갖는 롤형 연속 김을 제작하는데에는 기술적 한계가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근자에 들어서는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낱장의 김을 연속적으로 이어 붙이는 형태의 이음 김 제조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것인데, 이와 같은 이음 김 제조장치는 낱장 김의 공급수단과 낱장 김의 정렬이송수단 및 접착액 도포수단, 가열압착수단, 배출수단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이음 김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접착액 도포수단은 지극히 수동적인 구조를 갖고 있어 연속의 이음 김을 고속 생산하는데 상당한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인데,
낱장의 김 표면에 접착액을 도포하기 위해서는 로울러 형태 또는 브러쉬 형태의 도포수단이 사용되는 바, 이와 같은 도포로울러 혹은 도포브러쉬에 지속적으로 접착액을 공급하여야 하는 기술적 어려움이 뒤따를 뿐만 아니라, 상기한 도포로울러 또는 도포브러쉬를 통해 낱장의 김 표면에 도포되는 접착액이 고르고 안정적으로 도포되게 하여야 하는 기술적 숙제를 안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다양한 방법 및 구조로 된 접착액 도포수단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지극히 단순한 슬라이딩 또는 회전방식을 통한 도포과정이 수행되므로 상기한 낱장 김의 표면에 그 접착액이 고르게 도포되지 아니하므로 이음 김이 단절된 상태로 생산되거나 접착 부분의 들뜸이나 구겨짐 등이 발생하여 품질 안정성에 심각한 저해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대부분의 접착액 도포수단은 그 접착액을 도포하는 동안 낱장 김의 이송이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접착액의 도포시간 역시 상당하므로 그에 따른 이음 김의 생산 속도가 크게 저하되어 생산성 저하는 물론 작업시간의 과다로 인한 인건비와 제반 비용의 증가로 연결되어 매우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 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음 김 제조장치의 본체에 장착되는 접착액 도포수단은 별도의 접착액통으로부터 전자변에 의해 그 접착액이 자동으로 간헐 공급되게 하고, 그 접착액은 다수의 배출노즐을 통해 균일 배출되게 하며 배출되는 접착액은 확산판을 통해 하부의 흡수로울러로 고르게 제공되는 것이며, 그 흡수로울러의 하부에 위치하는 도포로울러에는 일측으로 돌출된 흡수부재를 형성하여 상기 도포로울러의 회전과 동시에 흡수부재와 흡수로울러 간의 접촉을 통한 접착액을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도포로울러의 하측에서 이동하는 낱장 김의 표면에 그 접착액이 빠르고 안정적으로 도포될 수 있게 한 롤형 이음 김을 제조하기 위한 접착액 도포수단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 롤형 이음 김을 제조하기 위한 접착액 도포수단은, 낱장 김의 이동 경로 상에 설치되어 그 낱장 김의 이동과 동시에 표면에 접착액을 도포하게 되므로 접착액을 빠르게 도포하여 이음 김의 생산 속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며, 접착액의 도포로울러에 그 접착액이 직접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확산판과 흡수로울러를 통해 간접 공급되므로 더욱 균일한 확산 공급이 이루어 져 접착액의 도포 품질이 극히 양호함에 따라 낱장 김의 접착 효과가 우수하여 이음 김의 끊김이나 들뜸 등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고품질의 이음 김을 고속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액 도포수단이 장착된 이음 김 제조장치의 전체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액 도포수단이 장착된 이음 김 제조장치의 전체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액 도포수단이 장착된 이음 김 제조장치의 요부 확대 작동도이다.
본 발명 접착액 도포수단이 장착되는 이음 김의 제조장치는, 도시와 같이 작업장 내부에 설치되는 본체(100)의 내측에 본 발명 제조장치의 전체 동력원인 구동수단(101)이 내장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동수단(101)은 모터 혹은 엔진 등을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단일의 모터 회전력을 이용하여 체인이나 벨트 등의 동력 전달수단을 통해 동시에 다양한 각각의 수단을 회전비 조정을 통해 구동되게 할 수도 있고, 각기 단계별 수단에 대응하는 회전력을 갖는 모터를 개별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동수단(101)을 갖는 본체(100)의 상부에는 그 일측으로부터 낱장공급수단(10)과 정렬이송수단(20) 및 접착액 도포수단(30), 가열압착수단(40), 절단 배출수단(50), 분할권취수단(60)이 순차적으로 나열되어 있는 것으로서,
낱장공급수단(10)은 트레이 내부에 많은 량으로 적층되어 있는 평면상 사각 형태의 김을 낱장 형태로 연속적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정렬이송수단(20)은 낱장공급수단(10)으로부터 제공되는 낱장 김을 일정한 속도 및 간격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접착액 도포수단(30)은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 운반되는 낱장 김의 말미 상부에 휘발성 접착액을 도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접착액 도포수단(30)에 의해 단부 말미의 표면에 휘발성 접착액이 도포된 낱장 김은 그 접착액에 의해 김의 원료가 느슨해지며 해태 특유의 접착성을 갖게 된다.
또한, 가열압착수단(40)은 말미에 접착액이 도포된 선행의 낱장 김과 후행의 낱장 김 선단을 서로 중첩시킨 상태에서 그 중첩부를 가열 압착하여 접착과 동시에 수분의 증발을 유도하여 건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낱장으로 연속 이송되는 낱장 김을 간헐 이송을 통해 선두와 말미를 중첩시킴과 동시에 접착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절단배출수단(50)은 연속적으로 이어진 형태의 이음 김을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음 김이 소용되는 목적에 따라 온전한 폭을 갖는 이음 김의 배출 또는 온전한 폭으로부터 절반으로 절단되는 2등분의 이음 김 형성 또는 3등분이나 4등분 된 이음 김을 회전컷터에 의해 자동으로 분할 컷팅 및 배출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어, 상기한 절단배출수단(50)으로부터 배출되는 이음 김은 본체(100) 일측 의 분할권취수단(60)을 통해 롤 형태로 감겨 완성되는 것이다.
이때의 분할권취수단(60)에는 등분되는 이음 김의 분할 개수에 알맞은 권취드럼을 장착할 수 있어 이들 권취드럼에 의해 분할되는 이음 김을 각기 개별적으로 동시 권취시켜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접착액 도포수단(30)은 도 4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본체(100)의 상부 일측에 장착된 접착액공급통(31)으로부터 정종 또는 소주와 같이 휘발성을 갖는 다양한 접착액을 공급받아 낱장 김의 표면에 도포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접착액공급통(31)으로부터 배출되는 접착액은 우선 배출관(32)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접착액공급통(31)에는 별도의 전자변(31a)이 장착되어 있어 그 전자변(31a)에 의해 배출로의 개폐 정도 또는 간헐 개폐시간 등을 조절함으로써 배출되는 접착액의 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접착액공급통(31)으로부터 그 접착액을 공급받는 배출관(32)은 횡방향의 투명 관체로 이루어져 있고 그 배출관(32)의 일측에는 연속하여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배출노즐(3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배출노즐(32a)은 배출관(32) 내의 접착액이 그 배출관(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확산 배출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배출노즐(32a)의 형성 개수에 따라 배출되는 지점 및 위치가 세분화되므로 넓은 폭으로 고르게 그 접착액이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배출노즐(32a)을 통해 하부로 낙하되는 접착액은 그 배출관(32) 하부의 확산판(36)으로 떨어지게 되는 것인데, 배출노즐(32a)을 통해 낙하되는 접착액은 물줄기 또는 방울 형태이므로 이와 같은 접착액이 넓은 절곡판 형태로 된 확산판(36)으로 떨어지면서 넓게 퍼지게 되므로 그 확산판(36)의 표면 전체로 접착액이 확산되면서 더욱 균일한 접착액의 배출 형태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한 확산판(36)의 하부에는 회전 가능한 확산로울러(37)가 형성되어 있고 그 확산로울러(37)의 하측에는 서로 맞닿은 상태의 흡수로울러(33)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확산판(36)으로부터 낙하하는 접착액은 확산로울러(37)의 표면으로 그 접착액이 제공되게 하는 것이며, 확산로울러(37) 표면에 고르게 분포된 접착액은 다시 흡수로울러(33)로 이동하여 스펀지 등의 재질로 된 흡수로울러(33)가 그 접착액을 머금고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흡수로울러(33)의 하측에는 상기 흡수로울러(33)로부터 접착액을 공급받아 낱장 김의 표면에 그 접착액이 도포되게 하는 도포로울러(35)가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한 도포로울러(35)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흡수도포재(34)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흡수도포재(34)는 스펀지 등과 같이 수분의 흡수 및 발수가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도포로울러(35)의 흡수도포재(34)는 그 도포로울러(35)의 회전시 상기한 흡수도포재(34)가 상부의 흡수로울러(33)와 간섭되는 것으로서, 흡수로울러(33)의 부드러운 탄력성과 흡수도포재(34)의 부드러운 탄력성에 의해 서로 간섭이 발생하게 되면 지속적으로 접착액이 공급되는 상태의 흡수로울러(33)로부터 그 흡수도포재(34)로 접착액이 전달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5의 도시와 같이 접착제 공급수단(30)의 하부 일측으로부터 낱장의 김이 일정 간격으로 공급되면 도포로울러(35)의 회전속도는 그 낱장 김의 이동 속도와 비례하여 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며, 도 6의 도시와 같이 도포로울러(35)의 회전에 의해 돌출된 흡수도포재(34)와 낱장 김의 표면이 서로 맞닿으면서 그 흡수도포재(34)가 머금고 있는 접착액을 낱장 김의 표면에 도포시키게 된다.
또한, 계속하여 이동하는 낱장 김은 접착제 공급수단(30)의 타측으로 이동하여 선행의 낱장 김과 접착되는 공정을 갖게 되고, 도 7의 도시와 같이 계속하여 회전하는 도포로울러(35)는 그 상부의 흡수로울러(33)와 접촉하며 재차 접착액을 제공받게 된다.
특히, 상기한 흡수로울러(33)와 확산로울러(37)는 상,하로 유동 가능한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인데, 상기한 흡수로울러(33)와 확산로울러(37)의 양단은 그 본체(100)로부터 수직 입설된 지지블럭(39) 상에 안치되어 있으며, 그 지지블럭(39)에는 수직의 로울러삽입홈(38)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한 로울러의 단부가 그 로울러삽입홈(38)을 통해 안치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8의 도시와 같이 흡수로울러(33)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도포로울러(35)가 회전을 하게 되어 돌출된 상태의 흡수도포재(34)와 흡수로울러(33)가 서로 간섭하게 되면 상측으로의 유동이 가능한 흡수로울러(33) 및 확산로울러(37)를 상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흡수도포재(34)의 회전력에 의해 그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회전력을 갖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전기한 바와 같이 지속적으로 접착액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의 흡수로울러(33)로부터 흡수도포재(34)로 접착액이 제공되면서 결국 그 도포로울러(35)의 하측에서 이동하는 낱장 김의 표면에 그 흡수도포재(34)의 회전에 의해 접착액이 도장을 찍듯 도포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상부 표면 말미에 접착액이 도포되면 가열압착수단(40)에 의해 선행의 낱장 김과 후행의 낱장 김을 대향 단부를 서로 중첩시켜 가압을 통해 접착되게 하면 연속의 이음 김이 완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액 도포수단에 의할 경우 연속하여 이동하는 낱장 김의 표면에 빠르고 신속하며 안정적으로 그 접착액을 도포할 수 있어 낱장 김을 이용한 이음 김의 생산성이 크게 증대함은 물론 그 품질 안정성이 극히 뛰어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액 도포수단이 장착된 이음 김 제조장치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액 도포수단이 장착된 이음 김 제조장치의 전체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액 도포수단이 장착된 이음 김 제조장치의 요부 확대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액 도포수단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액 도포수단의 작동설명도로서, 낱장 김이 진입하는 상태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액 도포수단의 작동설명도로서, 진입된 낱장 김의 표면에 접착액을 도포하는 상태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액 도포수단의 작동설명도로서, 접착액이 도포된 낱장 김이 이동하여 중첩 부착되는 상태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액 도포수단의 흡수로울러가 상하 유동되게 한 다른 실시예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낱장공급수단 20 : 정렬이송수단
30 : 접착액 도포수단 31 : 접착액공급통
32 : 배출관 33 : 흡수로울러
34 : 흡수도포재 35 : 도포로울러
36 : 확산판 37 : 확산로울러
38 : 로울러삽입홈 39 : 지지블럭
40 : 가열압착수단 50 : 절단배출수단
60 : 분할권취수단
100 : 본체 101 : 구동수단

Claims (8)

  1. 연속 공급되는 낱장 김의 말미와 선단을 연속하여 이어 붙인 이음 김을 제조함에 있어 그 낱장 김의 표면에 접착액을 도포하기 위한 수단은,
    접착액이 수용되는 접착액공급통(31)과, 그 접착액공급통(31)으로부터 접착액을 공급받아 배출하는 배출관(32)과, 배출관(32)으로부터 제공되는 접착액을 흡수하는 흡수로울러(33)와, 흡수로울러(33)와 간섭하여 접착액을 제공받는 흡수도포재(34)가 돌출 형성된 도포로울러(35)로 이루어져,
    도포로울러(35)의 하측으로 이동하는 낱장 김의 표면에는 도포로울러(35)의 회전에 의한 흡수도포재(34)와의 간섭을 통해 접착액이 균일 도포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롤형 이음 김을 제조하기 위한 접착액 도포수단.
  2. 제 1항에 있어서,
    접착액공급통(31)에는 별도의 전자변(31a)을 장착하여 그 전자변(31a)의 개폐를 통해 접착액공급통(31) 내부의 접착액이 간헐 정량 배출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롤형 이음 김을 제조하기 위한 접착액 도포수단.
  3. 제 1항에 있어서,
    배출관(32)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배열된 배출노즐(32a)을 장착하여 상기 배출노즐(32a)을 통해 배출관(32) 내부의 접착액이 분산 배출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롤형 이음 김을 제조하기 위한 접착액 도포수단.
  4. 제 1항에 있어서,
    배출관(32)의 하부에는 하향 경사 형태로 된 확산판(36)을 장착하여 상기 배출관(32)으로부터 제공되는 접착액이 그 확산판(36)의 표면을 따라 확산 제공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롤형 이음 김을 제조하기 위한 접착액 도포수단.
  5. 제 4항에 있어서,
    확산판(36)의 하측에는 흡수로울러(33)의 상부와 면접하는 확산로울러(37)를 장착하여, 그 확산판(36)으로부터 제공되는 접착액이 확산로울러(37)를 통해 흡수로울러(33)로 제공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롤형 이음 김을 제조하기 위한 접착액 도포수단.
  6. 제 1항 있어서,
    흡수로울러(33)는 로울러삽입홈(38)을 갖는 지지블럭(39)에 의해 그 로울러 양단이 로울러삽입홈(38) 내에 삽입 안치되게 하되,
    그 흡수로울러(33)는 하부 도포로울러(35)와의 간섭이 발생하면 로울러삽입홈(38)을 따라 상향 이동하며 마찰 간섭의 저하와 동시에 흡수로울러(33)와 흡수도포재(34) 간의 접지면을 증대시켜 흡수로울러(33)가 함유하고 있는 접착액이 그 흡수도포재(34)에 고르게 제공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롤형 이음 김을 제조하기 위한 접착액 도포수단.
  7. 제 1항에 있어서,
    흡수로울러(33)는, 액체를 머금을 수 있는 스펀지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롤형 이음 김을 제조하기 위한 접착액 도포수단.
  8. 제 1항에 있어서,
    도포로울러(35)의 흡수도포재(34)는 액체를 머금을 수 있는 스펀지재로 이루어지고, 그 흡수도포재(34)는 도포로울러(35)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도포로울러(35)을 회전을 통해 흡수로울러(33)와 흡수도포재(34)의 상호 간섭에 되게 하여, 그 액상의 접착제가 흡수로울러(33)로부터 흡수도포재(34)로 전달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롤형 이음 김을 제조하기 위한 접착액 도포수단.
KR1020070118327A 2007-11-20 2007-11-20 롤형 이음 김을 제조하기 위한 접착액 도포수단 KR100808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327A KR100808508B1 (ko) 2007-11-20 2007-11-20 롤형 이음 김을 제조하기 위한 접착액 도포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327A KR100808508B1 (ko) 2007-11-20 2007-11-20 롤형 이음 김을 제조하기 위한 접착액 도포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8508B1 true KR100808508B1 (ko) 2008-02-29

Family

ID=39383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8327A KR100808508B1 (ko) 2007-11-20 2007-11-20 롤형 이음 김을 제조하기 위한 접착액 도포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85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6556A1 (zh) * 2018-04-12 2019-10-17 连云港市海贡海苔食品有限公司 紫菜片张自动接合装置及采用该装置的夹心海苔烤制机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450B1 (ko) * 1992-06-08 1995-02-24 황철 두루마리식 식용 건조해조류의 저장용기
KR200319054Y1 (ko) 2003-04-01 2003-07-04 강창윤 롤형 김 제조장치
KR100737675B1 (ko) 2005-02-26 2007-07-09 윤길림 롤김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450B1 (ko) * 1992-06-08 1995-02-24 황철 두루마리식 식용 건조해조류의 저장용기
KR200319054Y1 (ko) 2003-04-01 2003-07-04 강창윤 롤형 김 제조장치
KR100737675B1 (ko) 2005-02-26 2007-07-09 윤길림 롤김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6556A1 (zh) * 2018-04-12 2019-10-17 连云港市海贡海苔食品有限公司 紫菜片张自动接合装置及采用该装置的夹心海苔烤制机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50006A (zh) 用于将粘合剂涂抹到基板上的设备和方法
KR100808508B1 (ko) 롤형 이음 김을 제조하기 위한 접착액 도포수단
CN111055580B (zh) 一种复合机及应用复合机生产的摇粒绒
RU257114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борочного беспереналадочного нанесения клеев
CN205628481U (zh) 一种板材涂胶装置
CN113894886B (zh) 一种板材制造自动化层压成型加工装置
KR100537696B1 (ko) 지관용 왁스 자동 코팅장치
CN107931010B (zh) 自动涂胶液设备
KR102493766B1 (ko) 종이빨대 및 그 제작장치
CN213137119U (zh) 一种胶合机
CN105730044A (zh) 一种专用于精装书籍书背的上胶装置
CN107364218B (zh) 多层瓦楞纸板的黏合装置
CN218190633U (zh) 一种硅酸钙板用涂胶设备
CN216033064U (zh) 一种双层薄膜贴合装置
JP3336496B2 (ja) コーティング装置における塗料区分構造並びにこれを用いた平行多色塗り方法
CN220700554U (zh) 一种环保型纸板涂胶压合装置
JP3536026B2 (ja) 製本用背糊付け装置
JPS582808B2 (ja) 塩化ビニ−ル化粧シ−トの連続貼着方法
CN219007197U (zh) 一种全自动粘箱机的涂胶装置
CN210652094U (zh) 一种蜂窝板面纸与芯纸共享胶辊的装置
CN215843855U (zh) 芯板涂胶装置
CN219442236U (zh) 一种在线涂胶装置
CN213472494U (zh) 用于电缆复合无纺布材料生产线的聚酯薄膜递送刮胶装置
CN213501342U (zh) 一种能够涂抹均匀的覆胶机
CN211968586U (zh) 一种具有固定机构的瓦楞纸箱上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