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8068B1 - 축광도료를 이용해 무광시에만 비상안내 정보가 나타나도록제조된 광고수단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축광도료를 이용해 무광시에만 비상안내 정보가 나타나도록제조된 광고수단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8068B1
KR100808068B1 KR1020060085432A KR20060085432A KR100808068B1 KR 100808068 B1 KR100808068 B1 KR 100808068B1 KR 1020060085432 A KR1020060085432 A KR 1020060085432A KR 20060085432 A KR20060085432 A KR 20060085432A KR 100808068 B1 KR100808068 B1 KR 100808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luminescent
layer
emergency
paint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5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원
Original Assignee
박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원 filed Critical 박종원
Priority to KR1020060085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80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8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8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12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using a transparent mirror or other light reflecting surface transparent to transmitted light whereby a sign, symbol, picture or other is visible only when illumin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2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indicating emergency ex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2013/05Constructional details indicating exit way or orient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5Fire evacuation rout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광도료를 이용해 무광시에만 비상안내 정보가 나타나도록 제조된 광고수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정전, 화재, 야간 등의 무광상태의 비상 또는 위험상황에서 사용되도록 주간이나 빛이 있는 평상시에는 일반적인 광고나 관광안내 등을 표시하는 광고수단으로 사용되고, 빛이 없을 경우에는 주간에 나타난 정보와 다른 비상안전 관련된 표식 또는 문자정보가 나타나도록 한 광고수단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축광도료를 이용한 정보전달 수단에 있어서, 야간(비조명시)용 비상표식 또는 비상문자 등의 정보가 도안되고 축광도료가 도포된 축광용지층과; 상기 축광용지층과 하부 또는 동일층에 배치되어 접착되는 축광용지층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을 가진 인쇄용지층과; 상기 축광용지층과 인쇄용지층에 주간(조명시)시의 광고 도안이 인쇄되되, 도안 인쇄면은 일정크기를 가지는 동일 크기의 천공부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하부 색상이 보이도록 한 광고도안인쇄층으로 구성된 광고수단과 그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축광, 축광도료, 주간광고, 야간 표식, 비상안내, 광고수단, 이중정보

Description

축광도료를 이용해 무광시에만 비상안내 정보가 나타나도록 제조된 광고수단 및 그 제조방법{Advertisement means manufactured to display emergency sign only in lightless state using luminescent pai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수단의 한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수단에 도안 또는 인쇄된 광고 및 비상표식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라 제조된 광고수단이 주간(조명시)에 보이는 정보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따라 제조된 광고수단이 야간(비조명시)에 보이는 정보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수단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인쇄용지 층 (2) : 축광용지층
(2') : 축광인쇄층 (3) : 광고도안인쇄층
(5) : 접착제 보호층 (4) : 양면접착층
(6) : 비닐보호층 (31) : 천공부
본 발명은 축광도료를 이용해 무광시에만 비상안내 정보가 나타나도록 제조된 광고수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주간에 나타나는 정보와 야간 또는 무광시 나타나는 정보가 다르게 제조하여 일반적인 광고수단에 사용하여 비상안내정보가 곳곳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 광고수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공항이나 지하철역 등의 승강장이나 통행로 또는 주택가, 빌딩, 공원(국립, 도립, 시립공원 등등) 등의 공공장소에는 각종 사고에 대비하여 안전관리법규에 의해 비상구표시등과 같은 안전시설이 설치되어 있는데, 대부분의 안전시설로 설치되는 비상구표시등은 전원을 연결하여 전구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화재와 같은 비상사태가 발생하였을 때 비상구표시등의 전원도 함께 단전되기 쉬워, 결과적으로 비상 대피하는 혼란만 초래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전력낭비 등의 폐단이 있었다.
물론 이러한 비상구표시등은 평상시에 일반 전원을 이용하게 되고 유사시에 는 별도로 내장되어 있는 축전지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정전으로 인한 사고에 대비하고는 있으나, 실제 유사시에 축전지의 훼손 등으로 인하여 전원 및 축전원의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아 심각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무광시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축광을 이용한 안내 표지 등이 속속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종래의 안전관리법규에 의해 비상구표시등과 축광을 이용한 안내표지 등은 안전관리법규에 따라 최소한도의 지점마다 설치될 뿐이라는 설치위치 및 설치 수량의 문제점이 있다. 즉, 현실적으로 비상구, 소화기, 소화전, 절벽, 수영금지구역 등등의 위치 또는 이와 연결되는 주요 경로상의 벽, 보행로, 산책로 등과 같은 한정된 장소에서만 볼 수 있지 그 외 지점에서는 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화재나 지진 등의 비상사태시 전원이 나가게 되는 경우 대량 인명 사고가 날수 있는 다중이용시설(백화점, 지하철, 지하 상가 등등)과 같이 내부에 많은 물건과 복잡한 광고물들, 기타 설치물들이 있을 경우, 또는 야간 공원등과 같이 어두운 곳에서는 상기한 비상표식이나 문자 등을 발견하기가 쉽지 않았다.
더구나 다중이용시설일 경우 화재발생시 매연 등으로 인해 사람들의 가시거리는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는데 이 경우 지금까지와 같이 한정된 장소에 부착되거나 설치된 비상안전표식 또는 문자 등은 무용지물이 되게 된다.
이로 인해 비상안전관련 표식 또는 문자와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 방향감각을 잃어 화재 초기에 위험 지역으로부터 탈출하지 못해 대형 인명 피해사고 등이 발생하게 된다.
만약 상기와 같은 사고를 막기 위해 축광물질로 된 비상안전관련 표식 또는 문자를 내부 공간 곳곳 또는 위험요소가 있는 곳마다 설치되어 있었다면 이러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백화점, 지하철, 지하상가 등의 다중이용시설과 공원등의 주요지점등의 수익목적을 위해 상업용 광고가 부착되어 있거나 공원안내문이나 경고문 등이 세워지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그러한 공간이나 위치에 비상안전관련 표식 또는 문자를 배치한다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물론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한 상업용 광고수단이나 안내문등에 비상안전관련 표식이나 문자를 함께 표시하면 되나, 이 역시 현실적으로 비상안전관련 표식이나 문자가 항시 광고수단, 안내수단 및 경고수단에 포함되어 있으면 통일된 광고 또는 안내와 같은 고유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운 점이 있어 광고주들이나 공원관리주체자 등이 선호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현재까지는 축광물질을 이용하여 비상시나 무광시 안전을 위한 손쉽게 접할 수 있는 다수의 비상안전관련 표식이나 문자를 설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전, 화재, 야간 등의 무광상태의 비상 또는 위험상황에서 사용되도록 주간이나 빛이 있는 평상시에는 일반적인 광고나 관광안내 등을 표시하는 광고수단으로 사용되고, 빛이 없을 경우에는 주간에 나타난 정보와 다른 비상안전 관련된 표식 또는 문자정보가 나타나도록 한 광고수단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축광도료를 이용한 정보전달 수단에 있어서, 야간(비조명시)용 비상표식 또는 비상문자 등의 정보가 도안되고 축광도료가 도포된 축광용지층과; 상기 축광용지층과 하부 또는 동일층에 배치되어 접착되는 축광용지층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을 가진 인쇄용지층과; 상기 축광용지층과 인쇄용지층에 주간(조명시)시의 광고 도안이 인쇄되되, 도안 인쇄면은 일정크기를 가지는 동일 크기의 천공부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하부 색상이 보이도록 한 광고도안인쇄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축광도료를 이용한 정보전달 수단에 있어서, 축광도료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을 가진 인쇄용지층과; 상기 인쇄용지층 상부에 야간(비조명시)용 비상표식 또는 비상문자 등의 정보가 도안되어 축광도료로 도포되는 축광인쇄층과; 상기 축광인쇄층과 인쇄용지층에 주간(조명시)시의 광고 도안이 인쇄되되, 도안 인쇄면은 일정크기를 가지는 동일 크기의 천공부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하부 색상이 보이도록 한 광고도안인쇄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수단의 제조공정은 광고물 크기에 따라 인쇄용지를 재단하는 단계와; 재단된 인쇄용지에 축광도료를 이용하여 도안된 야간(비조명시)용 비상표식이나 문자 등의 정보를 형성하는 축광부 형성 단계와; 이후 인쇄용지 및 축광부 상부에 천공부가 형성되는 주간 광고용 도안을 인쇄하여 야간(비조명)시 천공부를 통해 축광부가 발광토록 하는 주간 광고용 도안을 인쇄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수단의 한 실시예를 보인 구조도인데, 그 구성은 최하층을 이루는 접착제 보호층(5)과; 그 상부에 접착된 양면접착층(4)과; 양면접착층(4) 상부에 접착된 인쇄용지층(1)과; 인쇄용지층(1) 상부에 접착되는 비상표식이나 문자등의 정보가 도안되어 재단된 축광용지층(2)과; 상기 축광용지층과 인쇄용지층(1)에 인쇄되는 주간용(또는 조명용) 광고도안인쇄층(3)과; 상기 광고도안인쇄층(3)을 보호하도록 최상층에 코팅되는 비닐보호층(6)으로 구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상기 광고도안인쇄층(3)은 도안 인쇄시 인쇄면에 일정크기를 가지는 동일 크기의 천공부(31)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하부 색상이 보이도록 인쇄된다. 따라서 주간(조명시)에 천공부(31)를 통하여 인쇄용지층(1)과 축광용지층(2) 하부에 도색된 동일한 색깔이 보임으로써 광고수단을 보는 사람이 인쇄용지층(1)과 축광용지층(2)을 구별 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별을 못하게 구성한 이유는 일반 상업용 광고 또는 공공 안내 광고등의 광고수단에 비상시에만 사용되는 표식이나 문자가 항시 인식되게 되면 광고수단의 1차 기능인 광고 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주간에도 비상표식이나 문자가 항시 보이도록 구성한 광고수단 등은 이미 다수의 건이 출원된 바 있는데 본원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개선하여 1차적인 광고목적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2차적으로 야간이나 비조명시와 같은 비상상황하에서만 일반 광고부착물들이 비상표식 이나 문자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이용하여 야간(비조명시)시의 비상 표식 도안을 주간(조명시) 광고물 속에 삽입한 것이다. 즉, 천공부(31)를 통해 보이는 색깔은 동일하지만 실제로는 인쇄용지층(1)의 색깔은 일반도료로서 야간(비조명시)에 아무것도 보이지 않게 되고, 축광용지층(2)의 색깔은 축광도료로서 야간(비조명시)에 축광된 빛이 발광하면서 축광용지층(2)의 색깔이 인식되게 된다.
상기 천공부(31)를 가진 도안층은 유색도안 단위면적 중에서 천공부(31)의 면적이 10%~30%정도 가지도록 인쇄한다. 천공부(31)의 형상은 규격화된 정사각형 또는 원형이면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인쇄품질상 원형이 좋다.
광고수단을 보는 사람의 거리마다 차이가 있지만 인쇄물의 품질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축광도료가 보이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수치가 적당하다.
즉, 10% 보다 적으면 인쇄품질이 좋지만 축광도료가 보이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고, 30%보다 크면 축광도료의 축광성능이 좋아 비상시 시인성이 좋아지지만 광고품질이 떨어지고, 특히 주간과 야간의 교체시점에서 약한 광 환경하에서 야간용 정보가 노출되어 이중 정보가 간섭될 염려가 있다는 단점이 있어서 1차적인 광고물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광고로서의 생명력을 잃게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도안면에 대한 천공부(31)의 면적 수치 구간을 만족하면서도 절대적인 천공부(31) 크기의 하한수치는 직경(또는 대각선) 길이가 0.12mm가 되도록 한다. 즉, 상한 수치는 상기 인쇄용지 크기에 따라 도색되는 광고도안인쇄층의 면적에 따라 10%~30%를 만족하는 길이이면 된다. 하지만 하한수치를 이와 같이 한정한 이유는 이 수치보다 작을 경우 거리에 상관없이 축광도료의 발광량이 너무 적어 비상 표식이나 문자가 보일질 않아 본연의 역할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기 축광용지층(2)은 용지에 축광도료가 입혀진 구조인데, 이러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축광도료는 시판되는 상용의 축광도료를 사용하는 것으로 본원발명은 축광도료 자체의 조성, 물성등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본원 발명에서는 필요로 하는 축광용지층(2)의 색깔은 상용의 축광도료에 색을 첨가하여 만들거나, 특정색 으로 만들어진 축광도료를 사다가 사용하면 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층은 전술된 바와 같이 접착제로 고정하거나 일체로 하여 열융착하여 일체화할 수도 있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조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기본 구조는 도1a와 동일하다. 다만 광고수단의 표면이 축광용지층(2)에 의해 단차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축광용지층(2)을 축광인쇄층(2')으로 한 것이다. 즉, 축광도료가 입혀진 축광용지를 사용하지 않고, 축광도료를 직접 인쇄용지층(1)에 인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광고수단의 상품성이 높아지고 혹 조명에 의한 발생할 수 있는 주간광고부분과 야간 비상표식 부분의 경계가 감춰지게 된다.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조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기본 구조는 도1a와 동일하다. 다만 광고수단의 표면에 축광용지층(2)에 의해 단차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인쇄용지층(1)에 축광용지층(2)의 도안에 해당하는 부분을 도려내 이 부분에 축광용지층(2)을 삽입시켜 단차를 없앤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광고수단의 상품성이 높아지고 혹 조명에 의한 발생할 수 있는 주간광고부분과 야간 비상표식 부분의 경계가 감춰지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수단에 도안 또는 인쇄된 광고 및 비상표식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라 제조된 광고수단이 주간(조명시)에 보이는 정보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따라 제조된 광고수단이 야간(비조명시)에 보이는 정보를 나타낸 예시도인데,
제작시 이중으로 인쇄되어 제작된 정보가 주간(조명시)에는 일반적인 상업 광고나 공공광고가 나타나고, 야간(비조명시)에는 비상표시나 문자만 나타나는 것임을 알 수 있어 본원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이중 정보 전달이 일어남을 알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본 발명의 광고수단은 다중이용시설, 공원, 산책로 등의 광고물 뿐만 아니라 일잔적인 건물의 도색부에도 적용하여 이중적인 정보 전달이 가능하다. 즉, 광고도안인쇄층 대신에 축광용지층 또는 축광인쇄층과 동일한 색상으로 천공부를 가지도록 인쇄하면 단일도색부에도 야간(비조명시) 비상 안내 표식이나 문자등이 나오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수단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물 크기에 따라 인쇄용지를 재단하는 단계(S100)와; 재단된 인쇄용지에 축광도료를 이용하여 도안된 야간(비조명시)용 비상표식이나 문자 등의 정보를 형성하는 축광부 형성 단계(S200)와; 이후 인쇄용지 및 축광부 상부에 천공부가 형성되는 주간 광고용 도안을 인쇄하여 야간(비조명)시 천공부를 통해 축광부가 발광토록 하는 주간 광고용 도안을 인쇄하는 단계(S3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후 인쇄용지 하부에 양면접착층 및 비닐보호층을 추가접착하는 단계(S400)와; 주간 광고용 도안 상부에 도안 보호용 비닐을 추가 접착(또는 코팅)하는 단계(S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축광부 형성 단계는 축광도료를 축광용지에 칠한 후 재단하여 인쇄용지 상부에 접착하는 방법, 재단된 축광용지에 해당하는 부분의 인쇄용지를 도려내어 인쇄용지와 축광용지를 일체화 하는 방법 또는 인쇄용지에 직접 축광도료를 인쇄하는 방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방법을 이용하여 축광부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주간(조명사용시)에는 광고수단(매체)로써의 기능을가지며 야간(또는 비조명, 정전등의 비상상황)에는 비상용 방향표지 등의 정보를 전달하는 복합적인 기능을 가진다는 장점과,
또한 야간과 주간에 전혀 다른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서로 간의 정보가 그 반대상황(주간 또는 야간)에서 노출되지 않아, 광고내용이 상호보완적이지 않고, 상호 간섭하지 않는 독립적인 정보전달이 가능하여 동일공간에서 두가지 정보가 전달된다는 공간활용상의 장점과,
또한 하나의 매체에 두가지 광고를 통합적으로 제조함에 따른 광고매체 제작비 절감에 따른 경제적인 이점과,
또한 야간과 주간에 각각 서로 다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야간(또는 비조명, 정전등의 비상상황)에 활용되는 비상안내 표식 등이 종래와 같이 한정된 장소가 아닌 일반광고매체 등이 부착된 장소에서도 그와 같은 비상 안전 기능을 담당케 함으로써 종래보다 현저하게 증가된 비상안내 매체 제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10)

  1. 축광도료를 이용한 정보전달 수단에 있어서,
    야간(비조명시)용 비상표식 또는 비상문자 등의 정보가 도안되고 축광도료가 도포된 축광용지층과; 상기 축광용지층과 하부 또는 동일층에 배치되어 접착되는 축광용지층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을 가진 인쇄용지층과; 상기 축광용지층과 인쇄용지층에 주간(조명시)시의 광고 도안이 인쇄되되, 도안 인쇄면은 일정크기를 가지는 동일 크기의 천공부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하부 색상이 보이도록 한 광고도안인쇄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도료를 이용해 무광시에만 비상안내 정보가 나타나도록 제조된 광고수단.
  2. 축광도료를 이용한 정보전달 수단에 있어서,
    축광도료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을 가진 인쇄용지층과; 상기 인쇄용지층 상부에 야간(비조명시)용 비상표식 또는 비상문자 등의 정보가 도안되어 축광도료로 도포되는 축광인쇄층과; 상기 축광인쇄층과 인쇄용지층에 주간(조명시)시의 광고 도안이 인쇄되되, 도안 인쇄면은 일정크기를 가지는 동일 크기의 천공부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하부 색상이 보이도록 한 광고도안인쇄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도료를 이용해 무광시에만 비상안내 정보가 나타나도록 제조된 광고수단.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용지층 하부에 최하층을 이루는 접착제 보호층과; 상기 광고도안인쇄층을 보호하도록 최상층에 코팅되는 비닐보호층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도료를 이용해 무광시에만 비상안내 정보가 나타나도록 제조된 광고수단.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를 가진 광고도안인쇄층은 유색도안 단위면적 중에서 천공부의 면적이 10%~30%정도 가지도록 인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도료를 이용해 무광시에만 비상안내 정보가 나타나도록 제조된 광고수단.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 하한수치는 직경(또는 대각선) 길이가 0.1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도료를 이용해 무광시에만 비상안내 정보가 나타나도록 제조된 광고수단.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광용지층과 동일층에 배치되어 접착되는 축광용지층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을 가진 인쇄용지층은, 축광용지층의 도안에 해당하는 부분을 도려내 이 부분에 축광용지층을 삽입시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도료를 이용해 무광시에만 비상안내 정보가 나타나도록 제조된 광고수단.
  7. 축광도료를 이용한 정보전달 수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광고물 크기에 따라 인쇄용지를 재단하는 단계와; 재단된 인쇄용지에 축광도료를 이용하여 도안된 야간(비조명시)용 비상표식이나 문자 등의 정보를 형성하는 축광부 형성 단계와; 이후 인쇄용지 및 축광부 상부에 천공부가 형성되는 주간 광고용 도안을 인쇄하여 야간(비조명)시 천공부를 통해 축광부가 발광토록 하는 주간 광고용 도안을 인쇄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도료를 이용해 무광시에만 비상안내 정보가 나타나도록 제조된 광고수단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용지 하부에 양면접착층 및 비닐보호층을 추가접착하는 단계와; 주간 광고용 도안 상부에 도안 보호용 비닐을 추가 접착(또는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도료를 이용해 무광시에만 비상안내 정보가 나타나도록 제조된 광고수단의 제조방법.
  9. 제 7항 또는 8항에 있어서,
    상기 축광부 형성 단계는 축광도료를 축광용지에 칠한 후 재단하여 인쇄용지 상부에 접착하는 방법, 재단된 축광용지에 해당하는 부분의 인쇄용지를 도려내어 인쇄용지와 축광용지를 일체화 하는 방법 또는 인쇄용지에 직접 축광도료를 인쇄하는 방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방법을 이용하여 축광부를 형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도료를 이용해 무광시에만 비상안내 정보가 나타나도록 제조된 광고수단의 제조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주간 광고용 도안을 인쇄하는 단계는 유색도안 단위면적 중에서 천공부의 면적이 10%~30%정도 가지도록 인쇄하되, 천공부 크기의 하한수치는 직경(또는 대각선) 길이가 0.12mm가 되도록 인쇄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도료를 이용해 무광시에만 비상안내 정보가 나타나도록 제조된 광고수단의 제조방법.
KR1020060085432A 2006-09-06 2006-09-06 축광도료를 이용해 무광시에만 비상안내 정보가 나타나도록제조된 광고수단 및 그 제조방법 KR100808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432A KR100808068B1 (ko) 2006-09-06 2006-09-06 축광도료를 이용해 무광시에만 비상안내 정보가 나타나도록제조된 광고수단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432A KR100808068B1 (ko) 2006-09-06 2006-09-06 축광도료를 이용해 무광시에만 비상안내 정보가 나타나도록제조된 광고수단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8068B1 true KR100808068B1 (ko) 2008-02-28

Family

ID=39383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432A KR100808068B1 (ko) 2006-09-06 2006-09-06 축광도료를 이용해 무광시에만 비상안내 정보가 나타나도록제조된 광고수단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806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961B1 (ko) 2008-12-04 2011-05-11 양충렬 색 변환 표지판
KR101044595B1 (ko) 2011-04-07 2011-06-29 주식회사 다인그룹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축선 표시판
KR200487971Y1 (ko) * 2018-08-01 2018-11-28 한윤석 소화기 표시장치
CN109208385A (zh) * 2017-07-03 2019-01-15 镇江市睿泽文化传播有限公司 一种可发光广告纸
KR20210000633U (ko) * 2014-10-01 2021-03-16 주식회사 이음파트너스 비상구 유도 기능을 갖는 안내표지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098Y1 (ko) 2003-12-29 2004-03-26 주식회사 글로얀 축광블록
KR200364377Y1 (ko) 2004-07-05 2004-10-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축광성 발광시트
KR200387138Y1 (ko) 2005-01-08 2005-06-17 주식회사 경성엔터프라이즈 축광 표시를 이용한 비상탈출 안내표시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098Y1 (ko) 2003-12-29 2004-03-26 주식회사 글로얀 축광블록
KR200364377Y1 (ko) 2004-07-05 2004-10-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축광성 발광시트
KR200387138Y1 (ko) 2005-01-08 2005-06-17 주식회사 경성엔터프라이즈 축광 표시를 이용한 비상탈출 안내표시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961B1 (ko) 2008-12-04 2011-05-11 양충렬 색 변환 표지판
KR101044595B1 (ko) 2011-04-07 2011-06-29 주식회사 다인그룹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축선 표시판
KR20210000633U (ko) * 2014-10-01 2021-03-16 주식회사 이음파트너스 비상구 유도 기능을 갖는 안내표지판
KR200494749Y1 (ko) * 2014-10-01 2021-12-16 주식회사 이음파트너스 비상구 유도 기능을 갖는 안내표지판
CN109208385A (zh) * 2017-07-03 2019-01-15 镇江市睿泽文化传播有限公司 一种可发光广告纸
KR200487971Y1 (ko) * 2018-08-01 2018-11-28 한윤석 소화기 표시장치
WO2020027592A1 (ko) * 2018-08-01 2020-02-06 한윤석 소화기 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56017B1 (ja) 協賛式避難誘導案内標示板
JP6311909B2 (ja) 避難誘導用の多機能看板装置およびその表示作動方法
KR100808068B1 (ko) 축광도료를 이용해 무광시에만 비상안내 정보가 나타나도록제조된 광고수단 및 그 제조방법
US20070209747A1 (en) Photoluminescent Adhesive, Signs, Using Photoluminescent Adhesives and Method of Making a Photoluminescent Adhesive
EP1368799B1 (en) Afterglowing sign
AU2018309021B2 (en) Photoluminescent cover for indicator signs
US20060197784A1 (en) Instruction plate and signage using photo luminescent porcelain enamel
JP2009151210A (ja) 消防・防災・安全用標識プレートおよび消防・防災・安全用標識プレート作成キット
JP2009157201A (ja) 避難地図看板
JP2008165203A (ja) 案内標識
JP2008076577A (ja) 停電時避難誘導電柱
JP2004163621A (ja) 表示用シート、床面付着シート及び壁面付着シート
JP2019038986A (ja) 蓄光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79835Y1 (ko) 광고표시부가 포함된 축광 표지판
JP3243056U (ja) 方位盤
JP3124199U (ja) 誘導標識付き敷設材
JP2007322585A (ja) 誘導シール及び誘導シールの製造方法
CN201446754U (zh) 一种具有发光和反光功能的聚碳酸酯薄膜或者片材
JP3140719U (ja) 協賛式避難誘導案内標示板
KR200332889Y1 (ko) 축광 안내 표지 시트
EP3646312B1 (en) Photoluminescent cover for indicator signs
KR200314483Y1 (ko) 유도 사인 구조물
CN2310353Y (zh) 消防栓标识牌
JP2011164559A (ja) 蓄光式誘導シート
JP3038825U (ja) 点字付表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