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9835Y1 - 광고표시부가 포함된 축광 표지판 - Google Patents

광고표시부가 포함된 축광 표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835Y1
KR200379835Y1 KR20-2005-0000508U KR20050000508U KR200379835Y1 KR 200379835 Y1 KR200379835 Y1 KR 200379835Y1 KR 20050000508 U KR20050000508 U KR 20050000508U KR 200379835 Y1 KR200379835 Y1 KR 2003798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
display unit
signs
advertising
advertis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05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위수
Original Assignee
강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위수 filed Critical 강위수
Priority to KR20-2005-00005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8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8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8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19/228Ground signs, i.e. display signs fixed on the groun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3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in pavemen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5Fire evacuation rout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고표시부가 포함된 축광 표지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철이나 다중 시설물에 사용되는 축광 표지판에 광고를 표시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여 기업체의 광고를 게재하고, 광고비를 표지판의 제작이나 설치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저렴하게 대량으로 안전 표지판을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광고표시부가 포함된 축광 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지하도나 지하철 역사가 정전이나 화재로 인하여 어두워진 경우에도 안전하게 대피시설과 방향을 안내할 수 있는 축광성 표지판을 설치할 수 있고, 상기 표지판에 기업체 등의 광고를 게재하고 이에 따른 광고비 수익으로 표지판의 제작과 설치비용을 충당함으로써, 보다 많은 지역에 축광표지판을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광고표시부가 포함된 축광 표지판{LIGHT STORAGE SIGNBOARD WITH ADVERTISEMENT}
본 고안은 광고표시부가 포함된 축광 표지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철이나 다중 시설물에 사용되는 축광 표지판에 광고를 표시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여 기업체의 광고를 게재하고, 광고비를 표지판의 제작이나 설치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저렴하게 대량으로 안전 표지판을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광고표시부가 포함된 축광 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하철, 철도와 같이 다중(多衆)이 이용하는 교통수단에서 인명 피해 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는데, 특히 2003년 2월에 발생한 대구 지하철 참사사고는 엄청난 희생자의 규모와 사고현장의 참혹함으로 인해 전국민에게 큰 충격을 안겨준 바 있다. 주지하다시피, 대구 지하철 참사사고는 지하철 전동차내의 화재에 대해 초기에 적절한 대처만 이루어졌더라면 가벼운 사고로 끝날 수 있었던 것이었으나, 초기에 적절한 대처가 부족하였고 무엇보다 정전과 화재로 인한 연기 때문에 승객들이 전동차의 출입문을 열지 못하거나 비상구를 찾지 못하여 인명피해가 커지게 된 것이었다.
현대 사회의 교통수단이 대형화, 고도화 및 복잡화되어 있는 관계로 사고의 위험을 완전히 제거하기는 어렵다고 하더라도, 지하철과 같이 비상시 대형 재난의 우려가 있는 지하시설물에 대해서는 사전에 어둠속에서 비상탈출통로로 인도할 수 있는 특수조명시설 및 축광성 비상안내표지를 충분히 갖추었더라면 이와 같은 대형참사는 피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점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깊은 아쉬움을 주고 있다. 이미 유럽공동체(EC) 국가들은 1994년 7월 1일부터 모든 건축물에 축광재료를 이용한 비상탈출경로(Escape Route System)를 갖출 것을 의무화한 바 있으며, 우리나라 소방법은 비상탈출경로로서 축광을 택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축광(蓄光)이라 함은 태양빛 또는 전등빛 등의 빛의 자극을 받아 에너지를 흡수한 후 이를 가시광으로 환원하여 어두운 곳에서 발광하는 성질을 말하며, 이러한 축광성을 가진 물질은 빛이 소진되면 재축광하여 반복 사용할 수 있으며, 충분한 성능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오랫동안 잔광휘도를 낼 수 있는 장잔광성(長殘光性) 형광체가 필요하다.
현재 축광물질이 도포된 지하철용 표지판이 개시되어 있으며, 지하철 역사내의 불빛으로부터 에너지를 축적하여 정전시 또는 화재시에 자체적으로 빛을 내면서 승객들의 안전하 탈출을 유도할 수 있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들에 있어서는 축광판에 방향이나 탈출정보만을 기재하여 표시하게 됨으로써 축광판의 설치에 필요한 막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법이 없으며, 이로 인하여 과다한 시설비용이 소요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충분한 양의 축광판을 설치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만약 지하철공사 등이 축광판과 같은 안전시설물의 제작이나 설치에 드는 비용을 보조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훨씬 저렴하게 표지판을 제작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보다 많은 안전시설물을 설치하여 이용자들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나, 종래의 표지판으로는 새로운 수익을 창출하여 비용절감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하철 역사내의 계단이나 벽면, 천장 등에 부착되는 축광표지판에 기업체나 상품을 선전할 수 있는 광고표시부를 형성하므로써 광고표시부에 표시되는 광고에 대한 광고비 수익을 이용하여 표지판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광고표시부가 포함된 축광 표지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나사나 못,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계단, 벽면, 천장 등에 용이하게 표지판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광고표시부가 포함된 축광 표지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화재나 비상시에 이용자에게 대피장소 등을 안내함에 있어서 일정한 기준 이상의 발광효과와 경고효과를 낼 수 있도록 표지판 전체의 면적에서 광고표시부의 면적을 30% 이내로 제한하는 광고표시부가 포함된 축광 표지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축광성 물질이 도포되어 야간이나 정전으로 인한 소등시에 발광작용을 하는 평판형 표지판으로서, 방향 또는 거리를 나타내는 도형이나 문자가 상기 축광성 물질로 인쇄된 안내표시부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광고가 표시되는 광고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지판의 전체 면적에서 상기 광고표시부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이 30%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지판은 금속, 플라스틱, 세라믹 중의 어느 하나로 제작되며, 상기 표지판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표지판이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강화유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지판에는 계단, 벽 또는 천장에 상기 표지판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가 관통하도록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표시부와 광고표시부는 서로 다른 색깔의 축광성 물질로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고표시부는 상기 표지판의 표면에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표지판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2 내지 도4는 본 고안의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표시부가 포함된 축광 표지판(이하 "표지판"이라 함)을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표지판은 장방형, 원형, 삼각형 등의 형상을 가진 판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설치장소나 환경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지판의 구성을 나타낸 구조도이며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표지판(100)에는 비상사태시 대피방향이나 거리, 대피장소 등을 문자나 도형으로 표시하는 안내표시부(102), 기업명이나 상품명, 기타 광고문안이 인쇄되어 다수의 사람들에게 광고효과를 내는 광고표시부(106)가 포함된다. 안내표시부(102)에는 안내문구(104)가 문자나 도형으로 인쇄되는데, 안내표시부(102)에서 안내문구(104)를 제외한 부분만 축광성 물질로 인쇄될 수도 있고, 그 반대로 안내문구(104)만 축광성 물질로 인쇄될 수도 있다. 그러나 화재나 정전으로 인한 소등시에 승객들에게 대피정보를 주기 위해서는 안내표시부(102)를 축광성 물질로 인쇄하고, 안내문구(104)만 비 축광성 물질로 인쇄하거나 안내표시부(102)와 다른 색깔의 축광성 물질로 인쇄하여 보다 뚜렷이 문자나 도형이 인식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광고표시부(106)에는 기업체명이나 상품명 등의 광고문안(108)이 표시된다. 광고문안(108) 역시 안내문구(104)와 마찬가지로 비 축광성 물질로 인쇄될 수도 있고, 다른 색깔의 축광성 물질로 인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축광성 물질이란 빛을 받으면 물질내부의 전자에 빛 에너지가 흡수되었다가 어두워졌을 때 다시 빛을 방출하는 성질을 가진 물질을 말하며, 야광과 동일한 원리에 의하여 발광작용을 하는 물질을 말한다.
본 고안에 사용되는 축광성 물질은 종래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으로 하며, 인체에 해로운 방사선이나 유해물질이 방출되지 않는 것을 사용하며, 단시간 빛을 받아도 장시간 발광작용을 하는 물질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표지판의 구성을 나타낸 구조도이며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표지판(200)에는 안내표시부(202)의 내부에 광고표시부(206)가 포함되고, 광고표시부(206) 내부에 광고문안(208)이 인쇄된다. 그리고 안내표시부(202)의 외부에 안내문구(204)가 인쇄된다.
축광성 물질이 도포되어 있어서 야간이나 소등시에 빛을 내면서 사람들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부분을 안내표시부(202)라고 보면, 제2실시예에 따른 표지판(200)에서는 발광부의 내부에 광고문안(208)이 인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광고표시부(206)가 안내표시부(202) 내부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주의를 좀 더 효과적으로 끌 수 있어서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안내문구(204)와 광고문안(208)은 비 축광성 물질로 인쇄하거나 서로 다른 색깔의 축광성 물질로 인쇄할 수 있을 것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표지판의 구성을 나타낸 구조도이며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표지판(300)은 장방형의 판형으로 제작되며, 사용자의 대피장소 등을 용이하게 알려줄 수 있도록 바닥이나 벽을 따라 길게 설치된다. 그리고 표지판(300)의 중앙이나 양측단에 화살표와 같은 안내문구(302)가 축광성 물질로 인쇄되어 비상시에 위험을 회피할 수 있는 대피장소를 알려주게 된다. 그리고 표지판(300)의 중앙 일부분에 광고표시부(304)가 위치하고, 광고표시부(304)의 내부에는 광고문안(306)이 축광성 물질이나 비 축광성 물질로 인쇄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광고문안(306)은 안내문구(302)의 색깔과 다른 색깔의 물질로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는 본 고안의 표지판(100, 200, 300)을 시설물에 고정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표지판(100, 200, 300)에는 다수의 체결공(402)이 형성되며, 나사나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404)가 체결공(402)을 관통하여 벽이나 바닥에 표지판(100, 200, 300)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표지판(100, 200, 300)을 고정시킬 수 있는 별도의 브라켓(도면 미도시)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사용장소에 따라 적절한 방법으로 표지판(100, 200, 300)을 고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6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표지판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지하철 역사나 승강장의 바닥면(506)에 표지판(502)을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이용자들이 밟고 지나가면서 표지판(502)이 파손되지 않도록 두꺼운 강화유리(504)를 상부에 설치한다. 그리고 바닥면(506)에는 표지판(502)의 형상과 동일한 형태의 삽입홈(508)을 형성하여 강화유리(504)와 결합된 표지판(502)이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강화유리(504)는 표지판(502)로부터 발생되는 빛이 용이하게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8㎜ 이상의 두께를 가지고 있어서 큰 충격에도 표지판(502)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표지판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는 범위에도 그 권리가 미친다.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표지판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표지판(502)아래쪽에 동판(509)를 삽입하게 되는데 동판(509)를 삽입함으로써 표지판이 바닥면의 영향을 받아 부식을 막고 물이 차게 하지 않음으로써 오랫동안 보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지하도나 지하철 역사가 정전이나 화재로 인하여 어두워진 경우에도 안전하게 대피시설과 방향을 안내할 수 있는 축광성 표지판을 설치할 수 있고, 상기 표지판에 기업체 등의 광고를 게재하고 이에 따른 광고비 수익으로 표지판의 제작과 설치비용을 충당함으로써, 보다 많은 지역에 축광표지판을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표지판의 일정 부분 이상은 이용자에 대한 안내표지 부분으로 구성함으로써 비상시의 경고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표지판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지판의 구성을 나타낸 구조도.
도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표지판의 구성을 나타낸 구조도.
도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표지판의 구성을 나타낸 구조도.
도5는 본 고안의 표지판을 시설물에 고정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6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표지판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7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지판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Claims (5)

  1. 축광성 물질이 도포되어 야간이나 정전으로 인한 소등시에 발광작용을 하는 평판형 표지판으로서,
    방향 또는 거리를 나타내는 도형이나 문자가 상기 축광성 물질로 인쇄된 안내표시부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광고가 표시되는 광고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지판의 전체 면적에서 상기 광고표시부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이 30%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표시부가 포함된 축광 표지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판은 금속, 플라스틱, 세라믹 중의 어느 하나로 제작되며,
    상기 표지판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표지판이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강화유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표시부가 포함된 축광 표지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판에는
    계단, 벽 또는 천장에 상기 표지판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가 관통하도록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표시부가 포함된 축광 표지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표시부와 광고표시부는 서로 다른 색깔의 축광성 물질로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표시부가 포함된 축광 표지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표시부는 상기 표지판의 표면에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표시부가 포함된 축광 표지판.
KR20-2005-0000508U 2005-01-07 2005-01-07 광고표시부가 포함된 축광 표지판 KR2003798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508U KR200379835Y1 (ko) 2005-01-07 2005-01-07 광고표시부가 포함된 축광 표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508U KR200379835Y1 (ko) 2005-01-07 2005-01-07 광고표시부가 포함된 축광 표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835Y1 true KR200379835Y1 (ko) 2005-03-25

Family

ID=43681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508U KR200379835Y1 (ko) 2005-01-07 2005-01-07 광고표시부가 포함된 축광 표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8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5815B1 (ko) 2023-09-05 2024-02-08 김준영 축광형 시인성 표지판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5815B1 (ko) 2023-09-05 2024-02-08 김준영 축광형 시인성 표지판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5016A (en) Illuminated safety guide
EP1368799B1 (en) Afterglowing sign
AU2018309021B2 (en) Photoluminescent cover for indicator signs
JP2009146035A (ja) 協賛式避難誘導案内標示板
KR100808068B1 (ko) 축광도료를 이용해 무광시에만 비상안내 정보가 나타나도록제조된 광고수단 및 그 제조방법
KR200379835Y1 (ko) 광고표시부가 포함된 축광 표지판
JPH08338009A (ja) 盲人用歩道板
JP2008076577A (ja) 停電時避難誘導電柱
KR20110000610U (ko) 핸드레일
JP6763714B2 (ja) 蓄光材又は蛍光材を備える誘導標識を備える構造物
JP3110479U (ja) 誘導標識付き敷設材
JP2008165337A (ja) 洞道内における誘導灯
KR20050019609A (ko) 축광물질을 이용한 지하철 시설물용 비상안내표지
KR200318202Y1 (ko) 에스컬레이터의 비상용 안전 유도 표시구
KR200314483Y1 (ko) 유도 사인 구조물
KR200320423Y1 (ko) 안전유도 씰
ES2920284T3 (es) Cubierta fotoluminiscente para señales indicadoras
KR200339840Y1 (ko) 축광물질을 이용한 지하철 시설물용 비상안내표지
KR200355485Y1 (ko) 비상 유도등 겸용 광고 및 안내 패널
CN209729412U (zh) 一种路面指示牌
KR200314136Y1 (ko) 안내 표지판
KR100913409B1 (ko) 유도등
KR200314094Y1 (ko) 도피 유도용 점자블럭
KR200332889Y1 (ko) 축광 안내 표지 시트
KR100641304B1 (ko) 광고물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