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9840Y1 - 축광물질을 이용한 지하철 시설물용 비상안내표지 - Google Patents

축광물질을 이용한 지하철 시설물용 비상안내표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9840Y1
KR200339840Y1 KR20-2003-0026756U KR20030026756U KR200339840Y1 KR 200339840 Y1 KR200339840 Y1 KR 200339840Y1 KR 20030026756 U KR20030026756 U KR 20030026756U KR 200339840 Y1 KR200339840 Y1 KR 2003398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photoluminescent material
oxide
material layer
sub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67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철
Original Assignee
한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철 filed Critical 한상철
Priority to KR20-2003-00267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98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98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98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축광물질을 이용한 지하철 시설물용 비상안내표지는,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스트론튬(SrO), 산화유로피움(Eu2O3) 및 산화디스프로시움(Dy2O3)을 각각 65.0~72.0 중량%, 25.0~33.0 중량%, 0.5~1.5 중량% 및 0.5~1.5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가열 소성함으로써 취득한 축광물질을 소정의 두께의 막으로 성형한 축광물질층(2), 및 상기 축광물질층(2) 위에 첨착되어 형성된 투명한 합성수지의 막으로서 그 내부에 투입된 불투명 물질의 패턴에 의하여 문자 또는 그림을 표현하는 투명수지층(1)으로 구성된다. 아크릴 판형 비상안내표지(10)는 상기 축광물질층(2)의 밑면에 형성된 아크릴판(3)의 밑면에 접착제(4)를 도포한 후 이형지(5)가 부착되고, 스티커형 비상안내표지(20)는 상기 축광물질층(2)의 밑면에 접착제(4)를 도포한 후 이형지(5)가 부착된다. 본 고안에 의한 비상안내표지를 지하철 역사 내 통로, 계단 및 비상구의 표시, 전동차 궤도 통로내의 대피경로의 표시 및 전동차 내부의 비상문 표시와 비상콕크 커버의 안내문에 사용하면, 정전 또는 화재시 연기로 인하여 앞이 보이지 않는 캄캄한 상황에서도 비상탈출 경로 및 출입문의 개폐법과 소화기의 사용법을 선명하게 보여주므로 안전한 비상탈출을 가능하게 하여 인명을 구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축광물질을 이용한 지하철 시설물용 비상안내표지{Escape route guidance signs using luminescence material for subway facilities}
본 고안은 축광물질을 이용한 지하철 시설물용 비상안내표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연광(태양광) 또는 인공 조명에 의하여 조사된 빛을 축적하였다가 빛이 사라지면 발광하는 축광성질을 가진 물질을 이용하여 비상안내표지를 만듦으로써 지하철 등 지하건축 시설물내의 정전 또는 화재사고 발생시 암흑상태하에서 비상구 및 탈출경로의 방향을 유도함으로써 대피하는데 최대한 편리를 제공하고, 소화기 및 비상문 수동개폐장치의 작동방법 등을 안내할 수 있는 비상안내표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하철, 철도와 같이 다중(多衆)이 이용하는 교통수단에서 인명 피해 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는데, 특히 2003년 2월에 발생한 대구 지하철 참사사고는 엄청난 희생자의 규모와 사고현장의 참혹함으로 인해 전국민에게 큰 충격을 안겨준 바 있다. 주지하다시피, 대구 지하철 참사사고는 지하철 전동차내의 화재에 대해 초기에 적절한 대처만 이루어졌더라면 가벼운 사고로 끝날 수 있었던 것이었으나, 초기에 적절한 대처가 부족하였고 무엇보다 정전과 화재로 인한 연기 때문에 승객들이 전동차의 출입문을 열지 못하거나 비상구를 찾지 못하여 인명피해가 커지게 된 것이었다.
현대 사회의 교통수단이 대형화, 고도화 및 복잡화되어 있는 관계로 사고의위험을 완전히 제거하기는 어렵다고 하더라도, 지하철과 같이 비상시 대형 재난의 우려가 있는 지하시설물에 대해서는 사전에 어둠속에서 비상탈출통로로 인도할 수 있는 특수조명시설 및 축광성 비상안내표지를 충분히 갖추었더라면 이와 같은 대형참사는 피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점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깊은 아쉬움을 주고 있다. 이미 유럽공동체(EC) 국가들은 1994년 7월 1일부터 모든 건축물에 축광재료를 이용한 비상탈출경로(Escape Route System)를 갖출 것을 의무화한 바 있으며, 우리나라 소방법은 비상탈출경로로서 축광을 택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축광(蓄光)이라 함은 태양빛 또는 전등빛 등의 빛의 자극을 받아 에너지를 흡수한 후 이를 가시광으로 환원하여 어두운 곳에서 발광하는 성질을 말하며, 이러한 축광성을 가진 물질은 빛이 소진되면 재축광하여 반복 사용할 수 있으며, 충분한 성능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오랫동안 잔광휘도를 낼 수 있는 장잔광성(長殘光性) 형광체가 필요하다.
축광재료는 20세기에 들어서야 비로소 공업적으로 생산되어 일상생활에 이용되기 시작하였는데, 주로 CaS:Bi, ZnS:Cu, ZnCdS:Cu 등과 같은 황화물계의 형광체가 주류를 이루었다. 이중, CaS 계는 내습성(耐濕性)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어 공기중에서의 사용이 거의 불가능하며, ZnCdS는 공해물질인 카드뮴(Cd)을 사용하기 때문에 현재 전혀 이용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황화아연(ZnS:Cu) 만이 시계 등의 야광문자판에 실용화되어 있는 정도이나, 이 또한 잔광시간이 짧고 입자를 미세화시켜 도료 또는 잉크로서 사용할 경우 잔광휘도가 급격히 저하하는 결점이 있어 지하철 등의 비상안내표지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지하철과 같이 비상시 재난의 위험이 큰 지하시설물의 비상구, 복도의 바닥, 벽면 및 계단과 승강장 바닥에 아크릴판, 스티커 또는 타일 형태로 부착하여 비상탈출경로를 유도하고, 전동차내의 적당한 장소에 아크릴 판 또는 스티커의 형태로 부착하여 소화기의 사용법 및 출입문 수동개폐방법을 설명할 수 있는 축광물질을 이용한 지하철 시설물용 비상안내표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a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축광물질을 이용한 아크릴 판형 지하철 시설물용 비상안내표지(10)의 단면도이고, 도1b는 도1a의 단면을 가진 소화기 사용법 안내표지의 사시도이다.
도2a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축광물질을 이용한 스티커형 지하철 시설물용 비상안내표지(20)의 단면도이고, 도2b는 도2a의 단면을 가진 스티커형 비상안내표지가 롤(Roll) 형태로 감겨진 것을 도시한다.
도3, 도4 및 도5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비상안내표지를 지하철 역사내의 통로, 전동차 궤도 통로 및 지하철 역사내의 계단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6 및 도7은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축광물질을 이용한 비상안내표지를 전동차내의 출입문 비상콕크 안내표지(51) 및 비상문 개방법 안내표지(61)로서 사용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8a, 도8b 및 도8c는 본 고안에 따른 축광물질을 이용한 비상안내표지를 비상구 안내 표지(36a)로서 적용한 경우를 도시하며, 도9는 본 고안에 따른 축광물질을 도포한 축광타일(46,72)을 지하철 역사 내에 설치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10은 본 고안에 따른 축광물질을 이용한 안내표지를 횡단보도표시선(100),횡단보도표지판(110), 갈매기표지판(120), 델리네이터(130) 및 도로표지병(140) 등의 각종 도로교통안전표지 시설물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투명수지층 2: 축광물질층
3: 아크릴판 4: 접착제
5: 이형지 10: 아크릴 판형 비상안내표지
20: 스티커형 비상안내표지 21: 축광부분
22: 화살표 30: 벽면
31: 벽형 피난유도표지 32: 피난방향 안내표지
33: 돌출부 안내표지 35: 비상구
36, 36a: 비상구 안내표지 37: 방향안내표지
40: 복도 41: 바닥형 피난유도표지
45: 계단 46: 계단형 피난유도표지
50: 의자 51: 비상콕크 커버
60: 출입문 61: 출입문 개방법 안내표지
70: 승강장 71: 바닥
72: 궤도 100: 횡단보도
110: 횡단보도 표지판 120: 갈매기 표지판
130: 델리네이터(Delinator) 140: 도로표지병(Cat's Eye)
T: 전동차 E: 에스컬레이터
R: 도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해 제공된 축광물질을 이용한 지하철 시설물용 비상안내표지는,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스트론튬(SrO), 산화유로피움(Eu2O3) 및 산화디스프로시움(Dy2O3)을 각각 65.0~72.0 중량%, 25.0~33.0 중량%, 0.5~1.5 중량% 및 0.5~1.5 중량% 의 비율로 혼합하여 가열 소성함으로써 취득한 축광물질을 소정의 두께의 막으로 성형한 축광물질층(2); 상기 축광물질층(2) 위에 첨착되어 형성된 투명한 합성수지의 막으로서, 그 내부에 투입된 불투명 물질의 패턴에 의하여 문자 또는 그림을 표현하는 투명수지층(1); 상기 축광물질층(2)의 하부에 첨착되며 상기 축광물질층과의 접촉면의 반대면에 접착제(4)가 도포된 아크릴판(3); 및 상기 아크릴판(3)의 접착제 도포면에 부착되며 사용시 제거될 수 있는 이형지(5);를 구비하여, 지하철 역사 내 통로, 계단 및 비상구의 표시, 전동차 궤도 통로내의 대피경로의 표시 및 전동차 내부의 비상문 표시와 비상콕크 커버의 안내문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해 제공된 축광물질을 이용한 지하철 시설물용 비상안내표지는, 상기 축광물질을 소정의 두께의 막으로 성형하고 밑면에 접착제(4)가 도포된 축광물질층(2); 상기 축광물질층(2) 위에 첨착되어 형성된 투명한 합성수지의 막으로서, 그 내부에 투입된 불투명 물질의 패턴에 의하여 문자 또는 그림을 표현하는 투명수지층(1); 및 상기 축광물질층(2)의 접착제 도포면에 부착되며 사용시 제거될 수 있는 이형지(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해 제공된 축광물질을 이용한 지하철 시설물용 비상안내표지는, 상기 축광물질을 분쇄하여 입자화한 후 유약과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타일 위에 입힌 후 1,000~1,300℃의 온도에서 2~3시간 소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축광물질을 이용한 지하철 시설물용 비상안내표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a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축광물질을 이용한 아크릴(Acryl) 판형 비상안내표지의 단면도이고, 도1b는 도1a의 단면구조를 가진 아크릴판형 비상안내표지(10)로서 특히 지하철 전동차내에 부착되어 빛이 없는 경우에도 소화기 사용법을 안내할 수 있는 것이다.
도1a를 참고하면, 아크릴 판형 비상안내표지(10)는 산화물계 축광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한 축광물질층(2), 상기 축광물질층(2)의 위에 첨착되어 형성되며 그내부에 투입된 불투명 물질의 패턴에 의하여 문자 또는 그림을 표현하는 투명수지층(1), 상기 축광물질층(2)의 하부에 첨착되며 그 밑면에 접착제(4)가 도포된 아크릴판(3), 및 상기 아크릴판(3)의 접착제 도포면(4)에 부착되고 사용시 제거될 수 있는 이형지(5)로 구성된다.
이때, 축광물질은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스트론튬(SrO), 산화유로피움(Eu2O3) 및 산화디스프로시움(Dy2O3)을 각각 65.0~72.0 중량%, 25.0~33.0 중량%, 0.5~1.5 중량% 및 0.5~1.5 중량% 의 비율로 혼합하여 가열 소성함으로써 취득하며, 이러한 축광물질을 용제에 섞은 후 아크릴판(3)위에 소정의 두께로 도포한다.
한편, 본 고안의 축광물질을 이용한 비상안내표지에 있어 최적의 잔광휘도 및 내후성(耐朽性)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산화알루미늄 68.0 중량%, 산화스트론튬 30.0 중량%, 산화유로피움 1.0 중량% 및 산화디스프로시움 1.0 중량%의 배합비율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a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축광물질을 이용한 스티커(Sticker)형 지하철 시설물용 비상안내표지의 단면도이고, 도2b는 도2a의 단면을 가진 스티커형 비상안내표지(20)가 롤(Roll) 형태로 감겨진 것을 도시한다.
도2a와 도1a를 비교하면, 스티커형 비상안내표지(20)의 단면구조는 아크릴형 비상안내표지(10)의 경우와 달리 축광물질층(2)의 밑면에 곧바로 접착제(4)가 도포되고 이형지(5)가 접착제층(4)을 덮고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도2b의 스티커형 비상안내표지(20)는 긴 테이프 형태로 제작되어 지하철 역사의 복도 또는 바닥에 부착될 수 있으며, 중간 중간에 넣은 화살표 문양에 의해 정전 또는 화재 등의 비상사태 발생시 승객들에게 비상대피경로의 방향을 보다 확실하게 안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3, 도4 및 도5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비상안내표지를 지하철 역사내의 통로, 전동차 궤도 통로 및 지하철 역사내의 계단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3을 참고하면, 좌측 그림은 지하철 역사내의 복도 통로에서 정상적인 조명이 있는 밝은 상태를 나타내고 우측 그림은 반대로 조명이 전혀 없는 어두운 상태를 나타낸다. 복도(40)의 바닥에는 바닥형 피난유도표지(41)를 설치하며, 좌우 벽면(30)에는 벽형 피난유도표지(31) 및 피난방향 안내표지(32)를 설치하고, 특히 돌출된 코너 부분에는 돌출부 안내표지(33)를 부착하여 대피자가 코너에 부딪혀 쓰러지는 일을 예방한다. 이때, 바닥형 피난유도표지(41), 벽형 피난유도표지(31) 및 돌출부 안내표지(33)로는 스티커형 비상안내표지(2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중 특히 바닥형 피난유도표지(41)에는 후술하는 축광타일(도9 참조)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피난방향 안내표지(32)에는 아크릴판형 비상안내표지(도1a 참조)와 스티커형 비상안내표지(20)가 모두 적용 가능하다.
도4는 전동차 궤도 통로 중에 비상대피경로 안내표지(36,37)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좌우의 그림을 비교하면, 전원이 모두 차단되어 어두운 상태(우측 그림)에서도 안내표지(36,37)는 그전까지 축광물질에 축적된 빛 에너지를 발산함으로써 대피방향 및 대피장소까지의 거리를 선명하게 보여줄 수 있다.
도5는 지하철 역사내의 계단(45)을 따라 비상안내표지(46)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비록 조명이 없는 어두운 상태(우측 그림)에서도 계단의 형태 및 대피방향이 보이므로 승객들을 계단위로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도3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각 종의 비상안내표지들(31,32,33,36,37,41,46)을 사용하면 정전 또는 화재발생시의 연기로 인하여 앞을 분간할 수 없는 캄캄한 상황에서도 승객들에게 비상구 및 비상대피경로를 확실히 안내하여 인명피해를 막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6 및 도7은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축광물질을 이용한 비상안내표지를 전동차내의 출입문 비상콕크 안내표지(51) 및 비상문 개방법 안내표지(61)로서 사용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6의 도면부호 50은 의자이며, 60은 전동차의 출입문을 나타낸다.
도8a, 도8b 및 도8c는 본 고안에 따른 축광물질을 이용한 비상구 안내표지(36a)를 거리표시별로 나타낸 것으로서, 이와 같이 비상구 방향과 비상구까지의 거리를 표시한 비상구 안내표지(36a)를 비상대피경로 중의 벽면 등에 여러 차례 반복적으로 부착하면 대피자 스스로가 앞으로 고통을 견뎌야 시간 및 거리를 대강 가늠할 수 있게 되므로 대피중에 생기는 공포심을 어느 정도는 막을 수 있다.
도9는 본 고안에 따른 축광물질을 도포한 축광타일(46,72)을 지하철 역사내의 승강장 통로 바닥(71) 및 계단(45)에 설치한 경우를 도시한다.
축광타일에 적용되는 축광물질은, 상기 아크릴 판형 비상안내표지(10) 및 스티커형 비상안내표지(20)에 사용된 축광물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스트론튬(SrO), 산화유로피움(Eu2O3) 및 산화디스프로시움(Dy2O3)을 각각 65.0~72.0 중량%, 25.0~33.0 중량%, 0.5~1.5 중량% 및 0.5~1.5 중량% 씩 배합한 후 가열 소성하여 얻은 것이다. 이러한 축광물질을 분쇄하여 입자화한 가루를 유약과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통상의 타일 위에 바른 다음 약 1,000~1,300℃의 온도에서 2~3시간 소성하면 축광타일이 완성된다.
축광타일형 비상안내표지(46,72)는 일반 비상안내표지(10,20) 보다 제작원가가 높은 단점은 있지만, 열에 강하여 화재시의 고온에도 파괴되지 않고 축광물질층이 두꺼워 상대적으로 높은 휘도와 긴 잔광시간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승강장 및 복도통로의 바닥에 사용하면 좋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10은 본 고안에 따른 축광물질을 횡단보도표시선(100), 횡단보도표지판(110), 갈매기표지판(120), 델리네이터(Delinator; 130), 도로표지병(Cat's Eye; 140) 등의 각종 도로교통 안전표지 시설물에 도포하여 착색시킴으로써 조명이 없는 상황에서도 축광에 의해 교통안전표지의 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도시한다.
야간에 빛이 없거나 가로등이 정전된 상태에서 차량이 주행할 경우 차량의 전조등이 비치는 반사구역내에 설치된 횡단보도표시선(100), 횡단보도표지판(110), 갈매기 표지판(120), 델리네이터(130) 및 도로표지병(140)은 전조등 불빛에 의하여 재귀반사가 이루어짐으로써 운전자가 이를 쉽게 식별할 수 있으며, 전조등이 비치지 않는 반사구역 외의 구역에서는 이러한 표지판에 도포된 축광물질층이 주간에일광 또는 전조등에 의한 빛을 축적하여 두었다가 어두운 상태에서 자연발광함으로써 야간 운행중 운전자의 전방시계 확보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축광물질을 이용한 지하철 시설물용 비상안내표지에 의하면 지하철과 같이 비상시 재난의 위험이 큰 지하시설물의 비상구, 복도의 바닥, 벽면 및 계단과 승강장 바닥에 아크릴판, 스티커 또는 타일 형태의 비상안내표지를 부착하여 비상탈출경로를 유도하고, 전동차내의 적당한 장소에 아크릴 판 또는 스티커의 형태로 소화기의 사용법 및 출입문 수동조작개폐법에 관한 설명을 부착함으로써 정전 또는 화재시 연기로 인하여 앞을 분간할 수 없는 캄캄한 상황에서도 비상구로의 대피를 용이하게 하여 인명을 구조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스트론튬(SrO), 산화유로피움(Eu2O3) 및 산화디스프로시움(Dy2O3)을 각각 65.0~72.0 중량%, 25.0~33.0 중량%, 0.5~1.5 중량% 및 0.5~1.5 중량% 의 비율로 혼합하여 가열 소성함으로써 취득한 축광물질을 소정의 두께의 막으로 성형한 축광물질층(2);
    상기 축광물질층(2) 위에 첨착되어 형성된 투명한 합성수지의 막으로서, 그 내부에 투입된 불투명 물질의 패턴에 의하여 문자 또는 그림을 표현하는 투명수지층(1);
    상기 축광물질층(2)의 하부에 첨착되며 상기 축광물질층(2)과의 접촉면의 반대면에 접착제(4)가 도포된 아크릴판(3); 및
    상기 아크릴판(3)의 접착제 도포면(4)에 부착되며 사용시 제거될 수 있는 이형지(5);를 구비하여, 지하철 역사 내 통로, 계단 및 비상구의 표시, 전동차 궤도 통로내의 대피경로의 표시 및 전동차 내부의 비상문 표시와 비상콕크 커버의 안내문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물질을 이용한 지하철 시설물용 비상안내표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알루미늄, 산화스트론튬, 산화유로피움 및 산3화디스프로시움의 혼합비율은 각각 68.0 중량%, 30.0 중량%, 1.0 중량% 및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물질을 이용한 지하철 시설물용 비상안내표지.
  3.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스트론튬(SrO), 산화유로피움(Eu2O3) 및 산화디스프로시움(Dy2O3)을 각각 65.0~72.0 중량%, 25.0~33.0 중량%, 0.5~1.5 중량% 및 0.5~1.5 중량% 의 비율로 혼합하여 가열 소성함으로써 취득한 축광물질을 소정의 두께의 막으로 성형하고 밑면에 접착제(4)가 도포된 축광물질층(2);
    상기 축광물질층(2) 위에 첨착되어 형성된 투명한 합성수지의 막으로서, 그 내부에 투입된 불투명 물질의 패턴에 의하여 문자 또는 그림을 표현하는 투명수지층(1); 및
    상기 축광물질층(2)의 접착제 도포면(4)에 부착되며 사용시 제거될 수 있는 이형지(5);를 구비하여, 지하철 역사 내 통로, 계단 및 비상구의 표시, 전동차 궤도 통로내의 대피경로의 표시 및 전동차 내부의 비상문 표시와 비상콕크 커버의 안내문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물질을 이용한 지하철 시설물용 비상안내표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알루미늄, 산화스트론튬, 산화유로피움 및 산화디스프로시움의 혼합비율은 각각 68.0 중량%, 30.0 중량%, 1.0 중량% 및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물질을 이용한 지하철 시설물용 비상안내표지.
  5. 삭제
KR20-2003-0026756U 2003-08-20 2003-08-20 축광물질을 이용한 지하철 시설물용 비상안내표지 KR2003398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756U KR200339840Y1 (ko) 2003-08-20 2003-08-20 축광물질을 이용한 지하철 시설물용 비상안내표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756U KR200339840Y1 (ko) 2003-08-20 2003-08-20 축광물질을 이용한 지하철 시설물용 비상안내표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7491A Division KR20050019609A (ko) 2003-08-20 2003-08-20 축광물질을 이용한 지하철 시설물용 비상안내표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9840Y1 true KR200339840Y1 (ko) 2004-01-28

Family

ID=49423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6756U KR200339840Y1 (ko) 2003-08-20 2003-08-20 축광물질을 이용한 지하철 시설물용 비상안내표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984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5764A (ko) * 2004-06-09 2004-06-26 이병화 축광 유리판으로 된 비상구 표시판
KR102339580B1 (ko) * 2021-02-10 2021-12-16 이순석 안전용품 식별용 시트지
KR102635815B1 (ko) 2023-09-05 2024-02-08 김준영 축광형 시인성 표지판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5764A (ko) * 2004-06-09 2004-06-26 이병화 축광 유리판으로 된 비상구 표시판
KR102339580B1 (ko) * 2021-02-10 2021-12-16 이순석 안전용품 식별용 시트지
KR102635815B1 (ko) 2023-09-05 2024-02-08 김준영 축광형 시인성 표지판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10013185A1 (en) Illuminated safety guide
CA2586025C (en) Photoluminescent exit device
JP3789038B2 (ja) 情報表示装置
EP0522785A2 (en) Phosphorescent panel
US20050238911A1 (en) Non-powered luminous panels and devices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050019609A (ko) 축광물질을 이용한 지하철 시설물용 비상안내표지
KR200339840Y1 (ko) 축광물질을 이용한 지하철 시설물용 비상안내표지
JPH08338009A (ja) 盲人用歩道板
KR20000066844A (ko) 도로표지구용 축광반사지
JPH10252110A (ja) 消火栓用夜光鉄蓋
JP6763714B2 (ja) 蓄光材又は蛍光材を備える誘導標識を備える構造物
JP2008280720A (ja) 凹凸ブロックの凹部貼付用積層シート
JP3110479U (ja) 誘導標識付き敷設材
EP0293348B1 (en) Phosphorescent device
JP3578607B2 (ja) 発光式情報表示装置
JPH10102443A (ja) 発光表示用路面部材
KR20170122473A (ko) 내구성이 향상된 차열 및 축광 도료 조성물
US20050271897A1 (en) Non-powered luminous panels and device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060012972A1 (en) Non-powered elongate luminous devices and non-powered elongate luminous devices with mating connectors
KR200379835Y1 (ko) 광고표시부가 포함된 축광 표지판
JPS63265387A (ja) 建造物等に用いる避難誘導装置
JP2000331295A (ja) 屋外駐車場における自動誘導方法、および、同じく自動誘導装置
KR200314488Y1 (ko) 축광특성을 갖는 안내표시구
JPH11117211A (ja) 舗装用舗石
JP2003043957A (ja) Ledを用いた標識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