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4136Y1 - 안내 표지판 - Google Patents

안내 표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4136Y1
KR200314136Y1 KR20-2003-0005812U KR20030005812U KR200314136Y1 KR 200314136 Y1 KR200314136 Y1 KR 200314136Y1 KR 20030005812 U KR20030005812 U KR 20030005812U KR 200314136 Y1 KR200314136 Y1 KR 2003141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sign
present
front surfac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58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선영
정경태
Original Assignee
고구려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구려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고구려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20-2003-00058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41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41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41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내 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빛을 흡수하여 축적한 후 빛의 차단시 발광하는 축광안료를 이용하여, 정전으로 실내가 어두워진 경우에도 탑승자가 소화기나 비상구의 위치 및 사용방법등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안내 표지판을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전방측 표면에 문자표시부가 형성된 부착판으로 구성되는 안내 표지판에 있어서, 상기 부착판의 전방측 표면으로 축광안료가 코팅된 발광층을 형성하고, 상기 문자표시부는 일반안료가 코팅된 표시층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안내 표지판을 제공함으로써 본 고안은 종래와는 달리 정전으로 실내가 어두워진 경우에도 탑승자가 소화기나 비상구의 위치 및 사용방법등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으므로, 화재등의 사고발생시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안내 표지판{A guide board}
본 고안은 안내 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나 지하철등의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소화기의 위치 및 사용방법등을 탑승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안내 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나 지하철등의 차량내부에는 화재등의 사고 발생시 탑승자가 그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소화기나 망치등의 각종 안전장구가 비치되어있으며, 안전한 탈출을 위해 비상구나 도어를 수동을 개폐할 수 있는 수동개폐기등이 설치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때, 차량의 내부에는 탑승자가 소화기나 비상구등의 위치나 사용방법등을 용이하게 식별하여 숙지할 수 있도록 안내문구가 표시된 안내 표지판이 부착되어 있는데, 종래의 안전 표지판은 정전이 발생하여 실내가 어두워진 경우에는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으며, 특히 화재등의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탑승자들이 소화기나 비상구등의 위치를 식별하지 못하여 적시에 효과적인 대응을 할 수 없으므로, 많은 인명피해가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빛을 흡수하여 축적한 후 빛의 차단시 발광하는 축광안료를 이용하여, 정전으로 실내가 어두워진 경우에도 탑승자가 소화기나 비상구의 위치 및 사용방법등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안내 표지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고안은 전방측 표면에 문자표시부가 형성된 부착판으로 구성되는 안내 표지판에 있어서, 상기 부착판의 전방측 표면으로 축광안료가 코팅된 발광층을 형성하고, 상기 문자표시부는 일반안료가 코팅된 표시층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A부 단면도.
도 3a,b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내 표지판
10 : 부착판 11 : 발광층
12 : 체결공
20 : 문자표시부 21 : 표시층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A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표지판(1)은 전방측 표면에 문자표시부(20)가 형성되고 공지의 부착수단에 의해 벽체에 고정되는 부착판(1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부착판(10)은 통상적으로 경도가 높고 부식에 강한 스테인레스나 알루이늄 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문자표시부(20)는 안내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명칭이나 사용방법등을 나타낸 문자나 도형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문자표시부(20)는 그 대상물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가능하다.
또한, 부착판(10)의 전방측 표면에는 축광안료가 코팅된 발광층(11)이 형성되고, 문자표시부(20)는 일반안료가 코팅된 표시층(21)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축광안료는 빛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이전에 받은 광에너지에 의해 축적된 에너지가 일정한 시간동안 다시 광에너지로 방출되는 성질을 갖는 특수안료의 일종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빛의 차단시 부착판(10)의 발광층(11)이 축적한 빛을 발광하여, 일반안료로 코팅된 표시층(21)을 상대적으로 부각시킴으로써, 정전으로 실내가 어두워진 경우에도 탑승자가 안내 표지판의 위치 및 문자표시부의 내용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부착판(10)은 공지의 부착수단에 의해 벽체에 고정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착판(10)의 외측 테두리부로 다수개의 체결공(12)을 형성하여 볼트나 리벳등을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또한, 문자표시부(20)를 양각으로 형성하여 입체감을 부가하면, 그 식별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매우 바람직하다.
도 3a,b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로서, 도 3a는 철도차량의 내부에 비치된 소화기의 위치 및 사용방법을 안내하는 안내 표지판을 보인 것이고, 도 3b는 비상구의 방향을 안내하는 안내 표지판을 보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표지판(1)은 안내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따라 문자표시부를 변경하여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축광안료에 의한 발광효과에 의해 빛이 차단되고 환기성이 열악한 터널이나 지하에서 화재가 발생된 경우, 소화기를 이용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거나 비상구로 신속히 대피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인명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빛의 차단시 별도의 전력소모없이 축적된 빛을 발광하는 축광안료를 이용하여, 종래와는 달리 정전으로 실내가 어두워진 경우에도 탑승자가 소화기나 비상구의 위치 및 사용방법등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으므로, 화재등의 사고발생시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문자표시부를 양각으로 형성하여 입체감을 부가함으로써, 그 식별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전방측 표면에 문자표시부(20)가 형성된 부착판(10)으로 구성되는 안내 표지판에 있어서,
    상기 부착판(10)의 전방측 표면으로 축광안료가 코팅된 발광층(11)을 형성하고, 상기 문자표시부(20)는 일반안료가 코팅된 표시층(21)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표지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판(10)의 외측 테두리부로 다수개의 체결공(1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표지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표시부(20)는 양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표지판.
KR20-2003-0005812U 2003-02-27 2003-02-27 안내 표지판 KR2003141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812U KR200314136Y1 (ko) 2003-02-27 2003-02-27 안내 표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812U KR200314136Y1 (ko) 2003-02-27 2003-02-27 안내 표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4136Y1 true KR200314136Y1 (ko) 2003-05-22

Family

ID=49407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5812U KR200314136Y1 (ko) 2003-02-27 2003-02-27 안내 표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413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5764A (ko) * 2004-06-09 2004-06-26 이병화 축광 유리판으로 된 비상구 표시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5764A (ko) * 2004-06-09 2004-06-26 이병화 축광 유리판으로 된 비상구 표시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26850B1 (en) Sign
CA2586025C (en) Photoluminescent exit device
AU770761B2 (en) Emergency lighting in elevator cabins by means of phosphorescent materials
KR100602371B1 (ko) 비상구 유도등
US10083637B1 (en) Photoluminescent cover for indicator signs
KR200390209Y1 (ko) 발광기능을 구비한 바닥 통로 유도등
EP1249012A1 (en) Emergency lighting
KR200314136Y1 (ko) 안내 표지판
KR20110000610U (ko) 핸드레일
KR100808068B1 (ko) 축광도료를 이용해 무광시에만 비상안내 정보가 나타나도록제조된 광고수단 및 그 제조방법
KR200366139Y1 (ko) 비상시용 강화유리 파괴장치
WO2011029999A1 (en) Illuminated sign and illuminated sign system
JP3110479U (ja) 誘導標識付き敷設材
KR200379835Y1 (ko) 광고표시부가 포함된 축광 표지판
KR20100030042A (ko) 비상구 안내 장치
KR200355485Y1 (ko) 비상 유도등 겸용 광고 및 안내 패널
KR200346659Y1 (ko) 축광특성을 갖는 안내 표시판
KR200346058Y1 (ko) 방향 표시 블록
KR200318202Y1 (ko) 에스컬레이터의 비상용 안전 유도 표시구
KR200314094Y1 (ko) 도피 유도용 점자블럭
KR20230122723A (ko) 음성 및 축광기능을 갖는 안내 표지 장치
KR200320432Y1 (ko) 안내표시구
KR200320423Y1 (ko) 안전유도 씰
KR200385078Y1 (ko) 안내 및 옥내광고물 겸용 피난구유도등
KR200329654Y1 (ko) 감온 발색되는 표시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