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409B1 - 유도등 - Google Patents

유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409B1
KR100913409B1 KR1020090004562A KR20090004562A KR100913409B1 KR 100913409 B1 KR100913409 B1 KR 100913409B1 KR 1020090004562 A KR1020090004562 A KR 1020090004562A KR 20090004562 A KR20090004562 A KR 20090004562A KR 100913409 B1 KR100913409 B1 KR 100913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induction
light
billboard
low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4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성현
Original Assignee
승리하이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승리하이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승리하이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4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34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06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eans of optical elements, e.g. films, filters or screens, being rolled up around a roll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the light source being enclosed in a box forming the character of the sig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2013/05Constructional details indicating exit way or orien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측 광고부와 하부측 광고부로 양분되도록 분리 형성된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상기 유도등의 상, 하부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각종 정보 및 문양 등으로 형성된 안내문이 각각 표시되어 하나의 유도등으로도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유도등의 하부측 광고부에 발광부의 빛이 비춤에 따라 상기 유도등의 외관이 미려함은 물론 심미적 효과가 상승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유도등의 상부 외곽 테두리에는 상기 유도등의 전, 후면에 각각 상부 광고판을 설치하도록 하는 상부측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유도등의 하부 외곽 테두리에는 상기 상부측 프레임과 결합됨과 함께 상기 발광부에서 발하는 빛이 조사되는 하부 광고판을 설치하도록 하는 하부측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측 프레임과 하부측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상, 하부 광고판을 각각 결합하도록 하는 분리 프레임이 설치된 것이다.
유도등, 상,하부측 광고부, 상,하부측 프레임, 분리프레임

Description

유도등{guidance light}
본 발명은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유도등을 상부와 하부로 분리 형성하여 상기 유도등의 상, 하부 각각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방향 표시 및, 광고나 홍보 문구 등의 각종 정보 또는, 그림이나 글씨와 같은 문양을 각각 형성함에 따라 하나의 유도등으로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각각 표시할 뿐만 아니라 상기 분리 형성된 유도등의 상부와 하부로 발광수단의 빛이 각각 비춰줌에 따라 상기 유도등의 전체적인 외관이 미려하도록 하는 유도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도등(誘導燈)은 상기 유도등의 전면이나 후면에 전달하고자 하는 방향 안내하는 표시 및 각종 정보 또는 문양 등을 내부에 설치된 발광수단에서 발하는 빛에 의해 상기의 내용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표시하는 장치이다.
상기의 유도등은 철도, 지하철이나 버스 정류소 및 개찰구, 대합실 또는 유도램프 등이 포함된 도로 등에 사용되는 교통신호용 및 은행이나 관공서 및 아파트 등에서 정보를 전달하거나 방향 등을 안내하는 등에 사용되는 정보 및 메시지용 또는, 실내 또는 실외에 사용되거나 컬러 또는 듀얼 컬러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광고상업용, 메인 스타디움이나 경마장, 축구장, 야구장 또는 수영장 등에 사용되는 경 기장용 그리고, 회의장, 소극장, 경마중계 또는 차량탑재용 등에 사용되는 멀티비젼용 및 주가시세판이나 주식상황판 등의 증권시장용, 도착이나 출발을 알리는 공항용, 환경오염상태를 나타내는 환경정보용, 생산현황 등을 나타내는 공장용, 사무실용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되어 각종 정보 및 광고, 홍보를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한편, 유도등에 표시된 광고, 홍보 문구 등의 각종 정보 또는 기호나 문자 등과 같은 문양 등으로 사람들의 시선을 집중시켜 많은 사람들이 상기의 정보 등을 쉽게 확인 및 볼 수 있도록 건물 출입구나 천장 또는 건물의 옥상 및 지하철, 버스 정류장 등의 상측에 설치한다.
여기서는, 상기 유도등의 외면에 형성된 기호나 문자 및 그림, 글씨 등의 정보 및 방향 등을 유도등 내부에 설치된 발광수단 즉, 엘이디 램프의 빛에 의해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유도등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의 유도등은 건물의 출입구 및 천장 등에 설치하고, 상기 유도등의 외면 즉, 유도등의 전면과 후면에 숫자나 방향 기호 및 문양을 형성하여 상기 사람들이 상기 유도등에 형성된 숫자나 방향 기호 등을 보고 상기 유도등에 표시된 정보에 따라 찾아가고자 하는 곳을 보다 용이하게 찾아가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유도등은 상기 유도등의 전면이나 후면에 숫자나 방향 기호 및 문양 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유도등은 다양한 형태의 정보 및 방향 기호, 숫자 또는 문양 등을 다양하게 표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다양한 정보 및 방향 기호, 숫자, 문양 등을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많은 수의 유도등을 설치하여야 함에 따라 상기 유도등 설치를 위한 넓은 공간이 필요함은 물론 상기 유도등을 설치하기 위한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상기 유도등이 설치된 장소는 많은 유도등에 의해 복잡다단하여 사람들이 오히려 유도등에 표시된 정보를 잘못 인식하여 헷갈림에 따라 길을 헤맬 수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다양한 정보와 방향 기호, 숫자 또는 문양을 하나의 유도등에 표시하기 위해서는, 상기 유도등의 크기를 크게 제작하여야 하는데, 이렇게 되면 상기 유도등을 제작하는 비용이 상승될 뿐만 아니라 상기 유도등의 한 면에 너무 많은 정보나 방향 기호, 숫자 및 문양을 표시하게 되면 도리어 상기 유도등에 의해 전달하고자 하는 각종 정보를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상기 유도등에 표시되는 각종 정보 및 방향 기호, 숫자 그리고 문양 등 하나만 형성함에 따라 상기 유도등은 단순한 정보 및 방향 기호, 숫자 또는 문양 등만을 보여주게 됨에 따라 상기 유도등의 전체적인 미관이 미려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주변 시설과의 부조화로 인한 주변환경이 미려하지 않은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유도등을 상부와 하부로 각각 분리 형성하고 상기 유도등의 상, 하부에 방향 기호나 숫자 및 각종 정보 또는 그림이나 글씨와 같은 문양을 서로 다르게 표시 및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유도등의 상, 하부에 서로 다르게 표시 및 형성된 내용으로 인하여 상기 하나의 유도등으로도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 하부로 분리 형성된 유도등의 하부에는 음각형태로 그림이나 글씨 등과 같은 문양이 새겨진 투명 아크릴판을 형성하도록 하여 야간에도 상기 유도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발광부의 빛이 유도등의 하부로 전달되어 아크릴판에 새겨진 음각형태의 문양을 비춰줌에 따라 상기 유도등의 외관이 미려함은 물론 부드러우면서 심미적 효과가 상승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의 안내문을 표시 및 광고하도록 상기 안내문에 새겨진 광고판과, 상기의 안내문이 야간에도 확인하도록 빛을 발하는 발광부와, 각종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유도등에 있어서, 상기 유도등의 상부측 전, 후면에서 안내문을 광고하기 위하여 상기 유도등의 상부에는 상기 유도등의 상부 외곽 테두리 전, 후면에 각각 절곡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 절곡부와 상기 각 상부 프레임 절곡부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출부 및 상기 각 상부 프레임 절곡부와 각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측 삽입홈부로 이루어진 상부측 프레임과, 상기 상부측 프레임에 결합되도록 상기 상부측 프레임의 각 상부측 삽입홈부에 상면이 각각 삽입 고정되는 상부 광고판으로 구성되는 상부측 광고부가 구비되고, 상기 유도등의 하부측에서 안내문을 광고하기 위하여 상기 유도등의 하부에는 상기 유도등의 하부 외곽 테두리 전, 후면에 각각 절곡 형성되는 하부 프레임 절곡부와 상기 각 하부 프레임 절곡부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는 안착돌부로 이루어진 하부측 프레임과, 상기 하부측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하부측 삽입홈부와 상기 하부측 삽입홈부에 대응되는 결합돌부를 갖는 하측패널과, 상기 하측패널에 결합되도록 상기 하측패널의 하부측 삽입홈부에 하면이 삽입 고정되는 하부 광고판으로 구성되는 하부측 광고부가 구비되며, 상기 유도등의 상, 하부를 양분함은 물론 상기 양분된 상, 하부에 설치된 상, 하부측 광고부를 서로 연결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측 광고부와 하부측 광고부 사이에는 상기 상부측 광고부 내에 위치되어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됨과 함께 제2발광부가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하부 광고판의 상면을 지지 고정하도록 연결결합부를 갖는 한 쌍의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분리 프레임 본체와, 상기 한 쌍의 연결부의 각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제1발광부 설치됨과 함께 상기 상부 광고판의 하면이 삽입 고정되는 결합홈부를 갖는 분리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분리 프레임이 설치되어, 상기 분리 프레임에 의해 유도등은 상부측 광고부와 하부측 광고부로 서로 분리 형성됨과 함께 상기 서로 분리 형성된 상, 하부측 광고부의 각 상, 하부 광고판에 새겨진 서로 다른 내용의 안내문을 각각 표시 및 확인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이 제공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은, 하부 광고판으로 빛을 모아 비춰주기 위하여 분리 프레임 본체의 한 쌍의 연결부는, 지지부의 하부에서 하방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다가 한 쌍의 연결부 소정위치에 형성된 연결결합부에서부터 다시 분리 프레임 본체의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면서 폭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이 제공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방향 표시 등과 같은 기호, 숫자 및, 그림이나 문자와 같은 문양 또는, 광고나 홍보 문구의 각종 정보 등의 안내문이 새겨진 상부 광고판이 결합되는 상부측 프레임과 상기의 안내문이 새겨진 하부 광고판이 결합되는 하부측 프레임 및 상기 상부측 프레임과 하부측 프레임을 양분하도록 하는 분리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유도등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유도등은 상부측 광고부와 하부측 광고부로 각각 분리 형성될 뿐만 아니라 상기 유도등의 상부측 광고부와 하부측 광고부에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안내문 즉, 방향 표시, 숫자, 문양, 각종 정보 등을 각각 표시하므로 인해 상기 하나의 유도등으로도 보다 많은 안내문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하나의 유도등에 방향을 안내하거나 위치를 표시 및 아름다운 형상의 문양 또는, 각종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안내문이 새김에 따라 상기 유도등을 설치하는 설치수량을 줄임에 따라 상기 유도등의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협소한 공간에서도 유도등의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많은 수의 유도등이 필요치 않음에 따라 상기 유도등이 설치된 장소의 공간이 단순해지면서도 주변환경이 깔끔해지고, 주변 시설물과도 자연스럽게 조화되어 주변환경이 미려해지는 효과도 있다.
또한, 하나의 유도등에 다양한 형태의 안내문 즉, 방향 표시와 같은 기호 및 숫자, 그림이나 글씨 등의 문양 또는 각종 정보를 분리하여 표시 및 형성함에 따라 상기 하나의 유도등으로도 사람들에서 정보의 전달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므로 인해 상기 유도등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와 더불어, 다양한 방향 표시, 숫자 및 각종 정보나 문양 등의 안내문을 유도등에 분리 형성하므로 인해, 상기 다양한 안내문이 새겨진 유도등의 구조를 단순화함에 따라 상기 유도등의 제작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도 있다.
한편, 상, 하부측 광고부로 분리 형성된 유도등의 하부측 광고부에는 하부 광고판 즉, 투명 아크릴판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아크릴판의 전면에 음각형태로 음각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유도등에 설치된 발광부(엘이디(LED)램프)에서 발하는 빛이 아크릴판으로 조사되고, 상기 조사된 빛은 아크릴판의 음각부에서 간섭되면서 반사됨에 따라 상기 유도등의 하부측 광고부에 형성된 아크릴판에 새겨진 안내문을 야간에도 확실하게 표시 및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에 의해 아크릴판이 밝고 환해짐에 따라 상기 전체적인 유도등의 외관이 미려함은 물론 부드러우면서 심미적 효과가 상승하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유도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유도등을 정면에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유도등을 단면한 상태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사람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방향 표시 등과 같은 기호 및 숫자 또는 그림이나 글씨와 같은 문양 그리고 광고나 홍보문구 등과 같은 각종 정보 등의 안내문을 표시하도록 출입구 또는 건물 천장 등에 설치되는 유도등(10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유도등(100) 내에는 상기의 유도등(100)에 새겨진 안내문이 야간에도 사람이 확인할 수 있도록 빛을 발하는 발광부가 내장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유도등(100) 내에는 전원을 인가 및 차단하거나 또는 발광부 등의 각종 장치를 컨트롤 및 제어하는 제어부(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도등(100)은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광고판(40)이 결합된 상부측 광고부(110)와 하부 광고판(50)이 결합된 하부측 광고부(120)로 양분되도록 서로 분리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상부측 광고부(110)는 도 1과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도 등(100)의 상부 외곽 테두리 즉, 상부측 광고부(110)의 상부 외곽 테두리에는 상기 유도등(100)의 전면과 후면에 안내문이 새겨진 상부 광고판(40)이 각각 설치하도록 하는 상부측 프레임(1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측 프레임(10)의 테두리 전면과 후면에는 상부 프레임 절곡부(11)가 상기 유도등(100)의 하방측으로 각각 절곡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상부 프레임 절곡부(11)의 내측인 상기 상부측 프레임(10)의 내측방향에는 상기 유도등(100)의 상부 전, 후면에 각각 위치하는 상부 광고판(40)의 상면과 좌, 우측면을 고정하도록 하는 돌출부(1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 절곡부(11)와 돌출부(12)에 의해 상기 상부 광고판(40)의 상면과 좌, 우측면이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상부측 삽입홈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측 프레임(10)의 상면에는 유도등(100)을 출입문 및 건물의 천장에 매달아놓기 위해 상기 천장에 연결된 연결줄과 연결 결합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14)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의 하부측 광고부(120)는 도 1과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도등(100)의 하부 외곽 테두리 즉, 하부측 광고부(120)의 하부 외곽 테두리에는 상기 발광부에서 발하는 빛이 조사되어 상기 조사된 빛을 반사시켜 안내문을 표시 및 확인하도록 상기 안내문이 새겨진 하부 광고판(50)을 설치하는 하부측 프레임(20)과 하측패널(2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측 광고부(120)의 하부측 프레임(20)에는 상기 유동등(100)의 하부 외곽 테두리 즉, 하부측 프레임(20)의 외곽 테두리 전, 후면에는 하부 프레임 절곡부(21)가 상기 유도등(100)의 상방측으로 각각 절곡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하부 프레임 절곡부(21)의 내측에는 상기 하부측 프레임(20)에 결합되는 하측패널(22)의 결합위치를 잡아줌은 물론 보다 견고하게 결합고정하도록 하는 안착돌부(24)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 절곡부(21)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하부측 프레임(20)의 상부에 결합됨은 물론 상기 하부 광고판(50)의 하면과 좌, 우측면을 고정하도록 하는 하측패널(22)에는 상기 하측패널(22)의 상면는 상기 하부 광고판(50)의 하면과 좌, 우측면이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하부측 삽입홈부(2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측 삽입홈부(23)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하부측 삽입홈부(23)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하부측 프레임(2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삭제
상기 하부측 프레임(20)의 하부 프레임 절곡부(21)와 하측패널(22) 그리고, 하부측 프레임(20)의 안착돌부(24)와 하측패널(22)의 결합돌부(25)는 열융착에 의한 결합방식 및 접착제에 의한 결합방식, 볼트에 의한 결합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되는데, 이는 하부측 프레임(20)과 하측패널(22)의 결합이 용이하면서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는 결합방식이라면 어떠한 결합방식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측 프레임(10)과 하부측 프레임(20) 사이에는 상기 유도등(100)을 상부와 하부로 분리 형성되는 상기 상부측 광고부(110)와 하부측 광고부(120)의 상, 하부측 프레임(10,20)에 각각 설치된 광고판(40,50)에 새겨진 안내문의 내용을 각각 표시 및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유도등(100)을 상부측과 하부측 으로 양분하는 분리 프레임(30)이 결합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리 프레임(30)은 도 1과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 하부측 광고부(110,120)에 각각 위치하는 각 광고판(40,50)의 하면과 상면을 각각 지지 결합함과 함께 상기 분리 프레임(30)의 외관을 형성하는 분리 프레임 본체(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리 프레임 본체(31)는 지지부(32)와 한 쌍의 연결부(33)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지지부(32)는 상기 유도등(100)의 상부측 광고부(110) 내에 위치하여 상기 유도등(1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연결부(33)는 상기 상부 광고판(40)과 상기 하부 광고판(50)을 각각 결합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분리 프레임(30)의 전, 후면측 즉, 분리 프레임 본체(31)의 전, 후면측인 상기 지지부(32)의 하부에서 상기 하부측 광고부(120) 방향인 유도등(100)의 하방측을 향하도록 상기 지지부(32)의 하면으로부터 연이어지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리 프레임 본체(31)의 하부 양측부 즉, 상기 분리 프레임 본체(31)의 지지부(32)로부터 연이어진 한 쌍의 연결부(33) 각 단부에는 상기 상부측 광고부(110)의 상부 광고판(40) 하면을 결합하도록 하는 분리 결합부(3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리 결합부(34)에는 상기 각 상부 광고판(40)을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각 상부 광고판(40)의 하면이 삽입되는 결합홈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리 프레임 본체(31)의 하부측 소정위치 즉, 상기 분리 프레임 본체(31)의 지지부(32)로부터 연이어진 한 쌍의 연결부(33) 소정위치에는 상기 하부 측 광고부(120)의 하부 광고판(50) 상면이 삽입 및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되도록 하는 연결결합부(3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분리 프레임 본체(31)의 지지부(32)로부터 연이어진 한 쌍의 연결부(33)는 상기 하부 광고판(50)으로 빛을 모아 비춰주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32)의 하부에서 상기 지지부(32)의 하방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다가 상기 한 쌍의 연결부(33)의 소정위치에서 다시 분리 프레임 본체(31)의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면서 폭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연결부(33)는 상기 지지부(32)의 하면으로부터 연결결합부(36)의 형성위치인 한 쌍의 연결부(33) 소정위치까지 상기 유도등(100)의 하방으로 갈수록 상기 하부 광고판(50) 상면과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기 한 쌍의 연결부(33)의 간격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결합부(36)의 형성위치인 한 쌍의 연결부(33) 소정위치에서부터 분리 결합부(34)의 형성위치인 상기 한 쌍의 연결부(33)의 각 단부까지 상기 유도등(100)의 하방으로 갈수록 상기 각 상부 광고판(40) 하면과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기 한 쌍의 연결부(33)의 간격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리 프레임(30)의 한 쌍의 연결부(33) 단부에 각각 형성된 분리 결합부(34)의 결합홈부(35) 하방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각 분리결합부(34) 내에는 상기 상부 광고판(40)으로 빛을 보내어 상기 상부 광고판(40)에 새겨진 안내문을 야간에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의 빛을 발하는 제1발광부(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 프레임 본체(31)의 지지부(32) 내에는 상기 하부 광고 판(50)으로 빛을 보내어 상기 하부 광고판(50)에 새겨진 안내문을 야간에도 외부에서 확인가능함은 물론 상기 하부 광고판(50)이 아크릴 재질인 경우에는 빛을 간섭 및 반사함에 따라 상기 하부 광고판(50)의 미관이 미려하도록 상기의 빛을 발하는 제2발광부(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발광부의 제1발광부(2)와 제2발광부(3)는 LED(light-emitting diode 발광 소자)를 사용하며, 또한 상기 제1,2발광부(2,3)는 일정 시간 경과하면 빛의 색상이 수시로 변화하도록 하여 상기 유도등(100)의 미관을 더욱 미려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측 프레임(10)과 상기 상부측 프레임(10)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측 프레임(20)의 결합은 상기 각 프레임(10,20)의 양단부에서 각각 결합되는 결합작업이 이루어지고, 상기 상, 하부측 프레임(10,20)과 분리 프레임(30)의 결합은 상기 각 프레임(10,20)의 양단부 또는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 분리 프레임(30)의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결합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상기의 결합작업은 열융착에 의한 결합 및 접착제의 의한 결합방식, 볼트에 의한 결합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으므로 이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각 프레임(10,20,30)을 결합하면 된다.
상기 상부측 광고부(110)의 각 상부 광고판(40)은 도 3에서와 같이 표면에 안내문이 새겨진 판형형상으로 형성하거나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각 상부 광고판(40)은 표면에 안내문이 새겨진 시트지(41)로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각 상부 광고판(40)은 도 5에서와 같이 판형형상의 광고판(40)을 형성하고 상기 판형의 상부 광고판(40)의 전면에 안내문이 새겨진 시트지(41)를 부착 형성한다.
이는, 상기 유도등(100)에서 상부측 광고부(110)의 사용목적이나 광고 효과 및 구매자의 요구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유도등(100)을 구비하기 위함이다.
상기 하부측 광고부(120)의 하부 광고판(50)은 표면에 안내문이 새겨진 투명 아크릴판(50)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도 3에서와 같이 발광부(1)에서 발하는 빛이 비춰지는 투명 아크릴판(50)의 형성함과 함께 상기 투명 아크릴판(50)의 전면과 후면 중 어느 한 면에는 상기 비춰지는 빛이 반사되면서 하부측 광고부(120) 측이 밝고 환해지면서 보다 용이하게 안내문을 표시 및 확인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안내문이 음각형태로 새겨진 음각부(51)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도등(100)의 상부측 광고부(110)에 설치되는 상부측 프레임(10)의 테두리 전, 후면에 각각 형성된 상부 프레임 절곡부(11)와 각 돌출부(12)에 의해 형성된 상부측 삽입홈부(13)에 상부 광고판(40)의 상면과 좌, 우측면을 삽입 결합한다.
상기 상부 광고판(40)의 하면에 분리 프레임(30)을 위치시킨 후 상기 분리 프레임(31)의 지지부(32) 하부로부터 연이어지는 한 쌍의 연결부(33) 각 단부에 형성된 분리 결합부(34)의 결합홈부(35)에 상기 각 상부 광고판(40)의 하면을 삽입 결합한다.
그러면, 상기 유도등(100)의 전, 후면에 각각 상부 광고판(40)이 위치 결합됨에 따라 상기 유도등(100)의 상부측 광고부(1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도등(100)의 하부측 광고부(120)에 설치되는 하부측 프레 임(20)의 하부 프레임 절곡부(21) 내에 위치된 상태로 삽입되는 하측패널(22)을 결합하고 나서 상기 하측패널(22)에 형성된 하부측 삽입홈부(23)에 투명 아크릴판의 하부 광고판(50) 하면과 좌, 우측면을 삽입 결합한다.
그런 다음, 상기 하부측 프레임(20)이 결합된 상태로 하부 광고판(50)을 분리 프레임(30)의 하방에 위치시키고 나서 상기 하부 광고부(40)의 상면을 분리 프레임(30)의 한 쌍의 연결부(33) 소정위치에 형성된 연결결합부(36)에 삽입 결합함에 따라 상기 유도등(100)의 하부측 광고부(12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측 프레임(10)과 하부측 프레임(20) 및 분리 프레임(30)과의 결합에 의해 상기 유도등(100)은 상, 하부로 양분되도록 분리 형성됨은 물론 상기 상, 하부로 양분된 유도등(100)에 상, 하부 유도등(40,50)을 각각 결합하므로 인해 상기 유도등(100)에는 상, 하부측 광고부(110,120)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유도등(100)의 상부와 하부를 양분하여 상부측 광고부(110)와 하부측 광고부(120)로 분리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상, 하부측 프레임(10,20)과 분리 프레임(30) 및 상, 하부 광고판(40,50) 등의 결합순서 및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결합순서 및 방법으로 유도등(100)을 제작할 수 있고, 상기와 또 다른 방식의 결합순서 및 결합방법으로 유도등(100)을 제작할 수도 있는데, 이는 상기 유도등(100)을 제작하는 목적이나 효과 및 작업의 편리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상기 유도등(100)을 제작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제작된 유도등(100)의 상부측 프레임(10) 상면에 설치된 각 연결부재(140)와 출입구 및 건물의 천장 등에 연결 설치된 연결줄을 연결 결합하여 상 기 유도등(100)을 출입구 및 건물의 천장 등 상기 유도등(100)의 설치가 필요한 곳에 설치 고정한다.
상기의 유도등(100)은 상기 유도등(100)의 각 상, 하부 광고판(40,50) 표면에 새겨진 안내문은 육안으로 확인가능하지만, 상기 주간이라고 하더라도 상기 유도등(100)이나 상기 유도등(100)이 설치된 장소가 어둡거나 야간인 경우에는 상기 상, 하부 광고판(40,50)에 새겨진 안내문을 육안으로 확인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므로, 상기 유도등(100)이 밝고 환하도록 상기 설치 고정된 유도등(100)에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이 인가하게 되면, 상기 유도등(100) 내에 설치된 제어부(1)에서는 이를 제어하여 상기 유도등(100) 내에 설치된 발광부 즉, 상기 분리 프레임(30)의 각 결합홈부(35) 내에 각각 설치된 제1발광부(2)와 상기 분리 프레임 본체(31)의 지지부(32) 내에 설치된 제2발광부(3)에서 빛이 발하게 된다.
상기 제1발광부(2)에서 발하는 빛은 상기 상부 광고판(40) 측으로 보내져 상기 상부 광고판(40)을 비춰주게 되고, 상기 제2발광부(3)는 상기 하부 광고판(50) 측으로 보내져 상기 하부 광고판(50)을 비춰주게 된다.
그러면, 상기 각 상, 하부 광고판(40,50)의 표면에 새겨진 방향 표시 등과 같은 기호 및 숫자 또는 그림이나 글씨와 같은 문양 그리고, 광고나 홍보 문구 등의 각종 정보 등의 안내문에 의해 투과율이 서로 다름에 따라 상기 서로 다른 투과율에 따라 상기 제1,2발광부(2,3)의 빛은 상기 각 상, 하부 광고판(40,50)을 통과하여 상기 각 상부 광고판(40,50)에 새겨진 안내문이 외부에서 보여진다.
이 때, 상기 각 상부 광고판(40)은 도 3에서와 같이 판형으로 형성하거나 도 4에서와 같이 시트지(41)로 형성하거나 또는, 도 5에서와 같이 판형의 광고판(40)에 시트지(41)를 부착 형성한 형태 등 다양한 구조를 갖는 광고판(40)을 구비한다.
상기 제2발광부(3)에서 발하는 빛은 상기 분리 프레임(30)의 한 쌍의 연결부(33)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유도등(100)의 하부측 광고부(120)에 설치된 하부 광고판(50)을 비춰주게 된다.
이 때, 상기 하부 광고판(50)은 표면에 안내문이 새겨진 투명 아크릴판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투명 아크릴판의 전면이나 후면 중 어느 한 면에 새겨진 안내문이 음각형태인 음각부(51)를 형성하므로 상기 발광부(1)의 빛에 의해 투명 아크릴판인 하부 광고판(50)은 밝고 환해지면서 상기 투명 아크릴판인 하부 광고판(50)에 새겨진 안내문이 외부에서 잘 보여진다.
또한, 상기 투명 아크릴판에 형성된 음각부(51)에서는 상기 하부 광고판(50)을 비춰주는 상기 발광부(1)의 빛이 분산 및 반사됨에 따라 상기 음각형태의 안내문은 음각부(51)에 의해 잘 표현되므로 인해 상기의 안내문은 외부에서 잘 보여진다.
즉, 상기의 유도등(100)을 상부측 광고부(110)와 하부측 광고부(120)로 상하로 양분되도록 분리 형성함으로써, 상기 상, 하부측 광고부(110,120)에는 서로 다른 방향 표시 등과 같은 기호 및 숫자, 또는 그림이나 글씨와 같은 문양 그리고, 광고나 홍보 문구 등의 각종 정보 등의 안내문이 각각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하나의 유도등(100)으로도 보다 많은 안내문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상기 하부측 광고부(120)의 하부 광고판(50)을 투명 아크릴 판으로 형성하고 상기 안내문을 음각형태인 음각부(51)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발광부(1)에서 조사되는 빛에 의해 하부 광고판(50)이 밝고 환해짐에 따라 야간에도 안내문을 확실하게 표시 및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전체적인 유도등(100)의 외관이 미려함은 물론 부드러우면서 심미적 효과가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유도등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유도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유도등을 정면에서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유도등을 단면한 상태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유도등을 단면한 상태로 나타낸 다른 제1실시예.
도 5는 본 발명 유도등을 단면한 상태로 나타낸 다른 제2실시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상부측 프레임 11: 상부 프레임 절곡부
12: 돌출부 13: 상부측 삽입홈부
20: 하부측 프레임 21: 하부 프레임 절곡부
22: 하측 패널 23: 하부측 삽입홈부
24: 안착돌부 25: 결합돌부
30: 분리 프레임 31: 분리프레임 본체
32: 지지부 33: 연결부
34: 분리결합부 35: 결합홈부
36: 연결결합부 40: 상부 광고판
41: 시트지 50: 하부 광고판
51: 음각부 100: 유도등
110: 상부측 광고부 120: 하부측 광고부

Claims (11)

  1.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의 안내문을 표시 및 광고하도록 상기 안내문에 새겨진 광고판(40,50)과, 상기의 안내문이 야간에도 확인하도록 빛을 발하는 발광부(2,3)와, 각종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1)가 구비된 유도등(100)에 있어서,
    상기 유도등(100)의 상부측 전, 후면에서 안내문을 광고하기 위하여 상기 유도등(100)의 상부에는 상기 유도등(100)의 상부 외곽 테두리 전, 후면에 각각 절곡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 절곡부(11)와 상기 각 상부 프레임 절곡부(11)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출부(12) 및 상기 각 상부 프레임 절곡부(11)와 각 돌출부(12)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측 삽입홈부(13)로 이루어진 상부측 프레임(10)과, 상기 상부측 프레임(10)에 결합되도록 상기 상부측 프레임(10)의 각 상부측 삽입홈부(13)에 상면이 각각 삽입 고정되는 상부 광고판(40)으로 구성되는 상부측 광고부(110)가 구비되고,
    상기 유도등(100)의 하부측에서 안내문을 광고하기 위하여 상기 유도등(100)의 하부에는 상기 유도등(100)의 하부 외곽 테두리 전, 후면에 각각 절곡 형성되는 하부 프레임 절곡부(21)와 상기 각 하부 프레임 절곡부(21)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는 안착돌부(24)로 이루어진 하부측 프레임(20)과, 상기 하부측 프레임(20)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하부측 삽입홈부(23)와 상기 하부측 삽입홈부(23)에 대응되는 결합돌부(25)를 갖는 하측패널(22)과, 상기 하측패널(22)에 결합되도록 상기 하측패널(22)의 하부측 삽입홈부(23)에 하면이 삽입 고정되는 하부 광고판(50)으로 구성되는 하부측 광고부(120)가 구비되며,
    상기 유도등(100)의 상, 하부를 양분함은 물론 상기 양분된 상, 하부에 설치된 상, 하부측 광고부(110,120)를 서로 연결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측 광고부(110)와 하부측 광고부(120) 사이에는 상기 상부측 광고부(110) 내에 위치되어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됨과 함께 제2발광부(3)가 설치되는 지지부(32)와 상기 지지부(32)의 하부에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하부 광고판(50)의 상면을 지지 고정하도록 연결결합부(36)를 갖는 한 쌍의 연결부(33)로 이루어지는 분리 프레임 본체(31)와, 상기 한 쌍의 연결부(33)의 각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제1발광부(2)가 설치됨과 함께 상기 상부 광고판(40)의 하면이 삽입 고정되는 결합홈부(35)를 갖는 분리 결합부(34)로 이루어지는 분리 프레임(30)이 설치되어,
    상기 분리 프레임(30)에 의해 유도등(100)은 상부측 광고부(110)와 하부측 광고부(120)로 서로 분리 형성됨과 함께 상기 서로 분리 형성된 상, 하부측 광고부(110,120)의 각 상, 하부 광고판(40,50)에 새겨진 서로 다른 내용의 안내문을 각각 표시 및 확인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 광고판(50)으로 빛을 모아 비춰주기 위하여 분리 프레임 본체(31)의 한 쌍의 연결부(33)는, 지지부(32)의 하부에서 하방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다가 한 쌍의 연결부(33) 소정위치에 형성된 연결결합부(36)에서부터 다시 분리 프레임 본체(31)의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면서 폭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90004562A 2009-01-20 2009-01-20 유도등 KR100913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562A KR100913409B1 (ko) 2009-01-20 2009-01-20 유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562A KR100913409B1 (ko) 2009-01-20 2009-01-20 유도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3409B1 true KR100913409B1 (ko) 2009-08-21

Family

ID=41210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562A KR100913409B1 (ko) 2009-01-20 2009-01-20 유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34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4315A (ja) * 1992-01-23 1993-08-13 Tatsuno Co Ltd 表示装置
KR200408174Y1 (ko) * 2005-11-23 2006-02-07 (주)루멘스 발광 표시장치
JP2007041622A (ja) 2006-11-02 2007-02-15 Fujiden Keiso Kk 照明装置
KR100809959B1 (ko) * 2006-06-08 2008-03-06 이경자 발광부를 구비한 광고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4315A (ja) * 1992-01-23 1993-08-13 Tatsuno Co Ltd 表示装置
KR200408174Y1 (ko) * 2005-11-23 2006-02-07 (주)루멘스 발광 표시장치
KR100809959B1 (ko) * 2006-06-08 2008-03-06 이경자 발광부를 구비한 광고장치
JP2007041622A (ja) 2006-11-02 2007-02-15 Fujiden Keiso Kk 照明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0629B2 (en) Solid transparent acrylic letters
KR101970997B1 (ko) 투명 led 필름을 이용한 부착/삽입형 난간 광고 장치
Sultanova Artistic Means of Agitation and Propaganda in Urban and Architectural Space of Modern Uzbekistan
KR200464047Y1 (ko) 발광 간판
KR101106152B1 (ko) 주야 변환형 사인보드
KR100913409B1 (ko) 유도등
KR200451775Y1 (ko) 광고간판
KR100566372B1 (ko) 광고용 간판
KR200390832Y1 (ko) 발광체를 이용한 광고 표시 장치
KR20090001569U (ko) 엘이디 조명 아크릴 간판
KR102141402B1 (ko) 아크릴 광고판 엘이디 조명장치
KR100814120B1 (ko) 측광 및 후광을 이용한 문자나 도형 광고용 간판
KR200356965Y1 (ko) 발광다이오드 발광소자를 이용한 반투명 전자간판
KR200243449Y1 (ko) 자외선을 가지는 led발광소자를 이용한 사인보드
KR200492871Y1 (ko) 건축물용 입체 간판 구조체
KR20100072136A (ko) 배경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는 조립식 프레임 광고간판
KR102321179B1 (ko) Led 네온 조합형 led 채널 간판
KR200450549Y1 (ko) 저철분 유리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400147Y1 (ko) 철도 여객정보 안내용 광고전시대
KR20100112028A (ko) 이미지 표시장치
KR101873160B1 (ko) 기능성 el표지판
KR200282893Y1 (ko) 광고기능을 겸비한 버스터미널 안전펜스
KR100989784B1 (ko) 광고판
KR200430941Y1 (ko) 엘이디 모듈을 결합한 글자 틀이 내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된간판
KR200396133Y1 (ko) 라이팅패넬을 이용한 광고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