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8174Y1 - 발광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발광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8174Y1
KR200408174Y1 KR2020050033091U KR20050033091U KR200408174Y1 KR 200408174 Y1 KR200408174 Y1 KR 200408174Y1 KR 2020050033091 U KR2020050033091 U KR 2020050033091U KR 20050033091 U KR20050033091 U KR 20050033091U KR 200408174 Y1 KR200408174 Y1 KR 2004081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frame structure
light guide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30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재
안도환
김성헌
윤영민
Original Assignee
(주)루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루멘스 filed Critical (주)루멘스
Priority to KR20200500330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81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81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81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F21S4/2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 F21S4/28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rigid, e.g. LED ba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20Controlling the colour of the ligh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원의 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고품질의 광원을 제공하고, 광고물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한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어 광고용 화면을 이루는 프레임 구조물과, 이 프레임 구조물의 전면과 후면에 설치되고 전 영역에 걸쳐 빛을 균일하게 확산시키기 위한 패턴이 구비된 도광판, 상기 프레임 구조물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각 도광판의 측선단에 위치하여 도광판의 측선단으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발광부, 상기 도광판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도광판의 빛을 되반사시키기 위한 반사시트, 상기 도광판의 외측면에 개재되는 광고시트, 상기 광고시트를 덮는 보호판, 상기 프레임 구조물에 설치되어 상기 보호판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프레임 구조물, 발광다이오드, 도광판, 반사시트, 커버

Description

발광 표시장치{DEVICE FOR BACK LIGHTING}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발광부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프레임구조물 11 : 상프레임
12 : 하프레임 13,14 : 측면프레임
15 : 브라켓 20 : 발광부
21 : 피시비기판 22 : 발광다이오드
27 : 커넥터 30 : 도광판
31 : 반사시트 32 : 광고시트
33 : 보호판 40 : 커버
41 : 탄성부재 42 : 회전축
43 : 공간부 60 : 컨트롤러
본 고안은 각종 광고표시를 위한 면 발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고안은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양면을 광고기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된 발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고용 간판이나 안내판과 같은 각종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발광장치는 광원으로서 다수개의 FL(형광램프) 또는 CCFL(냉음극형광램프)을 사용하여 광고판의 전면에 필요한 빛을 조사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최근들어서는 고효율, 저전력의 발광다이오드(LED;Light Emitting Diode)가 출현됨에 따라 기존의 형광램프 대신 월등히 긴 수명의 LED가 각종 표시장치의 발광원으로서 대체되는 추세에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면 발광장치는 평면상의 도광판을 구비하고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를 설치하여 발광다이오드의 빛이 도광판 상으로 확산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면 발광 표시장치의 경우에는 발광다이오드의 빛을 도광판에 적절하게 혼합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반사판 등과 같은 별도의 요소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설비가 커지고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구조의 경우 발광 표시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는 광고물의 교체가 용이하지 않고 단순히 일면을 통해서만 광고물이 개재되는 구조로 활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원의 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고품질의 광원을 제공함으로서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된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프레임의 구조를 개선하여 광고물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한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양면에 광고물을 개재할 수 있도록 된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양면의 광고물에 서로 상이한 색상의 빛을 조사하여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된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발광 표시장치는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어 광고용 화면을 이루는 프레임 구조물과, 이 프레임 구조물의 전면과 후면에 설치되고 전 영역에 걸쳐 빛을 균일하게 확산시키기 위한 패턴이 구비된 도광판, 상기 프레임 구조물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각 도광판의 측선단에 위치하여 도광판의 측선단으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발광부, 상기 도광판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도광판의 빛을 되반사시키기 위한 반사시트, 상기 도광판의 외측면에 개재되는 광고시트, 상기 광고시트를 덮는 보호판, 상기 프레임 구조물에 설치되어 상기 보호판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프레임구조물의 양면에 광고물을 개재하여 서로 상이한 색상의 빛을 조사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상기 개폐부를 통해 보호판을 용이하게 개방하 여 광고시트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구조물은 사각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양 측면 프레임과 상,하프레임을 포함하여 각 프레임이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브라켓을 매개로 연결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측면에 설치되도록 길게 연장되고 회로 패턴이 형성된 바형태의 피시비기판과, 이 피시비기판에 간격을 두고 실장되고 내부에 적색, 녹색, 청색의 칩이 내장되어 삼원색의 빛을 조합하여 발산하는 발광다이오드, 상기 피시비기판의 일측단에 설치되어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적색, 녹색, 청색(R,G,B)의 칩이 내부에 삼각형태로 배치되어 각각의 칩이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 구동되어 빛을 조사함으로서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백색을 포함한 단색의 발광 다이오드가 사용될 수 있으며, 구동되는 프로그램에 따라 빛의 세기를 조절하여 색의 밝고 어둠을 요구되는 형태에 따라 구동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발광다이오드는 대량 생산과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표면 실장형(SMD type)의 고휘도 발광다이오드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적은 수량의 발광 다이오드로 많은 수량의 저휘도 발광 다이오드의 사용을 줄이기 위함이다.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는 밝기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왓트급의 발광 다이오드가 사용되었으며, 두께가 약 0.55mm 인 표면실장형 (SMD;Surface Mount Device) 구조로 이루어져, 기존의 5mm이상의 왓트급 발광 다이오드에 비해 현저히 두께를 줄일 수 있으며, 이는 전체 표시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고안을 위한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는 그 크기가 한정되어 있지는 않다.
한편, 상기 개폐부는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일측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보호판의 에지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커버와, 상기 프레임 구조물과 상기 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커버 회동시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를 개방하게 되면 보호판의 구속이 해제되고 커버를 닫게 되면 탄성부재에 의해 커버가 눌려져 보호판의 에지부를 구속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발광부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실시예의 발광 표시장치는 상,하프레임(11,12)과 양 측면프레임(13,14) 및 각 프레임의 모서리부를 연결하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전면과 후면에 광고용 화면을 형성하는 프레임 구조물(10)과, 상기 프레임구조물(10)의 상,하프레임(11,12)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20), 상기 프레 임구조물(10)의 전면과 후면에 설치되고 전 영역에 걸쳐 빛을 균일하게 확산시키기 위한 패턴이 형성되어 상,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발광부(20)로부터 빛을 받아들여 전면으로 방출시키기 위한 도광판(30), 상기 도광판(3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도광판(30)의 빛을 되반사시키기 위한 반사시트(31), 상기 도광판(30)의 외측면에 개재되는 광고시트(32), 상기 광고시트(32)를 덮는 보호판(33), 상기 상,하프레임(11,12)에 형성된 공간부(43) 내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보호판(33)의 에지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커버(40)와, 상기 상,하 프레임(11,12)의 내측과 상기 상,하 프레임 내측으로 연장되는 커버(40)의 선단 사이에 탄성설치되어 상기 커버(40) 회동시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부재(41)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구조물(10)을 이루는 각 프레임(11,12,13,14)은 서로 직각으로 배치되며 서로 접하는 모서리부에는 직각으로 절곡된 브라켓(15)이 위치하고 렌치 또는 볼트로 조여져 각 프레임(11,12,13,14)을 연결 고정하게 된다.
이에 양 측면프레임(13,14)과 상,하프레임(11,12)이 하나로 연결되어 사각형태의 프레임 구조물(10)을 이루게 된다.
상기 프레임구조물(10)은 중앙을 기준으로 전면과 후면이 대칭을 이루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전,후면에 대해서는 도 1에서 전면에 도시된 면을 전면이라고 하고 그 반대쪽 면을 후면이라고 정의하며, 양 면은 서로 대칭을 이루므로 이하 설명에서는 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도광판(30)은 상기 프레임구조물(10)의 전면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져 상기 프레임구조물(10) 내에 삽입 설치된다. 또한 표면에는 측면으로 유 입된 발광다이오드의 빛을 전면으로 전 영역에 걸쳐 고르게 발산시키기 위한 패턴이 형성 또는 부착된다.
상기 도광판(30)은 아크릴 등과 같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기 프레임구조물(10)의 내부를 향하는 도광판(30)의 내측면에는 도광판(30)의 내측면으로 빠져 나가는 빛을 전면으로 돌려보내기 위한 반사시트(31)가 더욱 부착설치된다.
따라서 도광판(30)으로 조사된 빛은 도광판(30)의 전면으로 모두 발산시킬 수 있게 되어 광고시트(32)를 더욱 밝고 선명하게 비출 수 있게 된다.
상기 광고시트(32)는 비닐지 등에 광고안이 인쇄된 통상의 광고용 시트로서 상기 도광판(30)과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져 도광판(30) 외측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판(33)은 상기 광고시트(32)를 덮어 고정하고 이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도광판(30)과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지고 광고시트(32)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도록 아크릴 등의 투명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보호판(33)은 프레임구조물(10)에 고정되어 최종적으로 광고시트(32)를 보호함과 더불어 필요시 프레임구조물(10)로부터 분리되어 광고시트(32)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레임구조물(10)에 설치된 커버(40)를 선택적으로 회동시켜 보호판(33)의 선단을 누르거나 개방시킴으로서 보호판(33)을 프레임구조물(10)에 고정/분리시키게 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40)는 보호판(33)의 선단부를 덮을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의 판재로 이루어지며 프레임구조물(10)의 상단과 하단(또는/및 양 측단)을 이루는 프레임(11,12)에 축결합됨으로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가 프레임구조물의 상단과 하단에 설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측면프레임(13,14)에도 물론 설치될 수 있으며, 상,하프레임(11,12)와 측면프레임(13,14)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40)는 회전축(42)을 중심으로 상기 커버(40)의 외측 선단은 언급한 바와 같이 보호판(33)의 선단을 덮게 되며, 내측 선단은 외측 선단에 대해 각도를 두고 절곡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1,12)이 외벽 등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커버(40)가 개폐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12)의 선단부에는 회동되어 들어올려지는 커버(40)가 진입되는 공간부(43)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커버(40)가 프레임(11,12)에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회동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40)의 내측 선단과 상기 상,하 프레임(11,12) 사이에 상기 커버(40)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커버(40)를 보호판(33)쪽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탄성부재(41)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재(41)는 탄성스프링과 같이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는 구조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40)의 외측선단이 보호판(33)쪽으로 회동되어 보호판(33)에 접하게 되면 탄성부재(41)는 커버(40)의 내측선단에 탄성력을 부가함으로서 커버(40)의 외측선단이 보호판(33)을 눌러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발광부(20)를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패턴이 짜여진 피시비기판(21)과, 상기 피시비기판(21) 상에 간격을 두고 실장되어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빛을 발산하는 발광다이오드(22), 상기 피시비기판(21) 상에 실장되고 상기 피시비기판(21)을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27), 상기 커넥터(27)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각 발광다이오드를 제어작동시키기 위한 컨트롤러(60)를 포함한다.
상기 피시비기판(21)은 메탈 피시비기판으로 알루미늄이나 동 또는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한편, 왓트급의 발광 다이오드가 아닌 일반 발광 다이오드가 사용될 경우 FR4 피시비 등의 일반 피시비도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피시비기판(21)은 메탈 피시비기판 이외에 알루미나, 질화 알루미늄 또는 이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세라믹 피시비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더 나아가 메탈과 세라믹을 브레이징으로 연결한 피시비기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열 방출에 우수한 재질의 경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삼원색의 빛을 발산하는 발광다이오드(22)는 피시비기판(21)을 따라 간격을 두고 차례대로 배열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내부에 청색, 녹색, 적색의 빛을 발산하는 3개의 칩이 삼각형태로 배치된 구조로 표면실장형(SMD)형태로 피시비기판에 실장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발광다이오드(22) 상에는 빛을 혼합하여 분산시키기 위한 렌즈나 에폭시가 더욱 구비된다. 이에 각 발광다이오드에서 발광된 빛은 렌즈 또는 에폭시를 통해 혼합분산되어 필요한 경우 백색으로 방출된다.
한편, 상기 커넥터(27)는 수커넥터 또는 암커넥터로 특별히 한정없이 사용되며, 피시비기판(21) 상의 회로 패턴을 통해 상기 각 발광다이오드(22)와 연결된다.
상기 컨트롤러(60)는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개별적 또는 복합적으로 온/오프 제어하거나 펄스폭 제어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되어 있어서 다양한 색상과 패턴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60)는 본 발광장치의 양면에 위치한 각 발광다이오드를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서 양면에 위치한 광고물에 각각 상이한 색상의 빛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살펴보면, 프레임구조물(10)이 벽 등의 고정물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작업자는 상기 프레임구조물(10)로부터 커버(40)를 회동시킴으로서 간단히 광고시트(32)를 개재하거나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커버(40)를 외측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커버(40)는 회전축(42)을 중시으로 회동되면서 외측 선단이 공간부(43)로 진입되어 충분히 원하는 각도로 회동하게 되며, 커버(40)의 내측 선단은 탄성부재(41)를 가압하여 탄성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40)의 외측 선단은 바깥으로 벌어지면서 보호판(33)은 그 고정상태가 해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호판(33)을 프레임구조물(10)로부터 이탈시킴으로서 프레임구조물(10)을 벽으로부터 해체하지 않은 상태에서 용이하게 보호판(33)과 도광판(30)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광고시트(32)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새로운 광고시트(32)를 개재한 후에는 보호판(33)을 광고시트(32) 위에 덮고 외측으로 벌려져 있던 커버(40)를 보호판(33) 쪽으로 눌러줌으로서 간단히 보호판(33)을 프레임구조물(1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버(40)가 보호판(33)쪽으로 회동되면 커버(40)의 내측선단과 프레임구조물(10)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41)가 커버(40)의 내측 선단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커버(40)가 보호판(33)을 눌러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광고시트(32)가 개재된 상태에서 컨트롤러(60)를 통해 본 발광표시장치를 작동시키게 되면 컨트롤러(60)는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피시비기판(21)에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피시비기판(21)에 실장되어 있는 발광다이오드(22)를 제어작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발광다이오드(22)를 통해 삼원색이 조합된 다양한 색상의 빛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각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발광된 빛은 도광판(30)의 측단으로 조사되고 상기 도광판(30)은 받아들여진 빛을 전면으로 발산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광판(30)의 후면으로 발산되는 빛은 도광판(30) 후면에 설치된 반사시트(31)에 의해 전방으로 되반사된다.
따라서 도광판(30) 전면에 개재된 광고시트(32) 전면에 다양한 색상의 빛을 조사하여 원하는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60)는 발광다이오드의 온/오프시키고 발광다이오드에 내장된 삼원색 칩 중 특정 색상의 칩만을 작동시키거나 삼원색 칩의 조합을 통해 다양한 색상의 다양한 색상의 빛을 양면의 도광판(30)에 조사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고안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광고물의 개재가 용이하고 프레임구조물을 해체하지 않은 상태에서 보다 용이하게 양면의 광고물만을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프레임의 양면에 광고물을 개재하여 사용함으로서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넥터를 포함하여 발광다이오드를 모듈화함으로서 컨트롤러를 통해 발광다이오드의 제어가 용이하고 다양한 색상과 원하는 패턴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어 광고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양면에 배치된 광고물에 서로 상이한 색상의 빛을 조사시킬 수 있게 되어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반사시트를 통해 빛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발광다이오드의 효율을 높이고 선명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어 양면이 광고용 화면을 이루는 프레임 구조물과,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전면과 후면에 설치되고 전 영역에 걸쳐 빛을 균일하게 확산시키기 위한 패턴이 구비 도광판,
    상기 프레임 구조물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각 도광판의 측선단에 위치하여 도광판의 측선단으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발광부,
    상기 각 도광판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도광판의 빛을 되반사시키기 위한 반사시트,
    상기 각 도광판의 외측면에 개재되는 광고시트,
    상기 각 광고시트를 덮는 보호판,
    상기 프레임 구조물에 설치되어 상기 보호판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개폐부
    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물은 양 측면 프레임과 상,하프레임, 각 프레임이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브라켓을 매개로 연결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적어도 일 측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 어 상기 보호판의 에지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커버와, 상기 프레임 구조물과 상기 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커버 회동시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측면에 설치되도록 길게 연장되고 회로 패턴이 형성된 바형태의 피시비기판과, 이 피시비기판에 간격을 두고 교대로 실장되고 내부의 적색, 녹색, 청색의 빛을 발산하는 칩이 내장되어 삼원색의 빛을 조합하여 발산하는 발광다이오드 또는 백색을 포함한 단색의 발광다이오드, 상기 피시비기판의 일측단에 설치되어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각 발광다이오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표시장치.
KR2020050033091U 2005-11-23 2005-11-23 발광 표시장치 KR2004081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091U KR200408174Y1 (ko) 2005-11-23 2005-11-23 발광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091U KR200408174Y1 (ko) 2005-11-23 2005-11-23 발광 표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3247A Division KR100660122B1 (ko) 2005-10-31 2005-10-31 발광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8174Y1 true KR200408174Y1 (ko) 2006-02-07

Family

ID=44481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3091U KR200408174Y1 (ko) 2005-11-23 2005-11-23 발광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817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409B1 (ko) * 2009-01-20 2009-08-21 승리하이텍 주식회사 유도등
KR101205796B1 (ko) 2011-01-20 2012-11-29 한도광고산업(주) 엘이디를 이용한 콤팩트형 안내표지판
KR101341779B1 (ko) 2012-08-22 2013-12-13 박상준 휴대폰 보호케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409B1 (ko) * 2009-01-20 2009-08-21 승리하이텍 주식회사 유도등
KR101205796B1 (ko) 2011-01-20 2012-11-29 한도광고산업(주) 엘이디를 이용한 콤팩트형 안내표지판
KR101341779B1 (ko) 2012-08-22 2013-12-13 박상준 휴대폰 보호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2221B2 (en) Light emitting diode light source
KR101252846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0780205B1 (ko)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JP3937644B2 (ja) 光源及び照明装置並びにその照明装置を用いた液晶装置
JP2011243410A (ja) 照明装置
JP2011044348A (ja) 照明器具及び照明装置
KR100949194B1 (ko) Led 조명장치
JP2011034674A (ja) 面状光源および電飾看板
KR200408174Y1 (ko) 발광 표시장치
KR100660122B1 (ko) 발광 표시장치
KR101055177B1 (ko) Led 조명장치
KR101055176B1 (ko) Led 조명장치
KR100900926B1 (ko) 표시장치
KR200461056Y1 (ko) 병풍형 조명장치
KR20090095366A (ko) 면 발광장치
KR100983923B1 (ko)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는 표시 장치
JP2004094031A (ja) フィルム観察装置
KR20070051079A (ko) 스크래치보드 광고판
US20040070964A1 (en) Automobile instrument panel lighting fixture
JP3910563B2 (ja) Led式歩行者用信号灯器
JP2006318789A (ja) 商品陳列棚
KR200387500Y1 (ko) 광색 변화되는 광고판
KR101616818B1 (ko) 엘이디 조명 타일 및 그 조립체
KR101357080B1 (ko) 용적발광형 조명장치
KR200415351Y1 (ko) 백라이트 모듈의 개량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12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