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6535B1 - 저비점 용매 속에서 폴리이미드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저비점 용매 속에서 폴리이미드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6535B1
KR100806535B1 KR1020037004445A KR20037004445A KR100806535B1 KR 100806535 B1 KR100806535 B1 KR 100806535B1 KR 1020037004445 A KR1020037004445 A KR 1020037004445A KR 20037004445 A KR20037004445 A KR 20037004445A KR 100806535 B1 KR100806535 B1 KR 100806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rry
monomer
solution
diamine
dianhyd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4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3348A (ko
Inventor
호스레이든마이클씨
최진-오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베이클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베이클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베이클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63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5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57Polyimide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hydrogen, nitrogen or oxygen in the main chain
    • C08G73/106Polyimide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hydrogen, nitrogen or oxygen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03Preparatory processes
    • C08G73/1007Preparatory processes from tetra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and diamines
    • C08G73/1028Preparatory processes from tetra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and diamine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itself, e.g. steps, continuous
    • C08G73/1032Preparatory processes from tetra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and diamine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itself, e.g. steps, continuous characterised by the solvent(s) used

Abstract

본 발명은 디아민 단량체 및 이무수물 단량체로부터 폴리이미드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약 80 내지 약 160℃의 온도에서 비등하는 용매 속에서 단량체 중의 하나의 단량체의 용액 또는 슬러리가 제조된다. 당해 용액 또는 슬러리는 약 80 내지 약 160℃의 온도로 가열되고, 나머지 하나의 단량체는 용액 또는 슬러리에 서서히 가해진다. 형성된 폴리암산을 신속하게 이미드화하여, 폴리이미드를 형성한다.
폴리이미드, 저비점 용매, 디아민 단량체, 이무수물 단량체, 용액, 슬러리, 폴리암산, 폴리이미드실록산 용액, 이미드화.

Description

저비점 용매 속에서 폴리이미드를 제조하는 방법{Method of making a polyimide in a low-boiling solvent}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Low Temperature Bonding Adhesive Composition"이라는 명칭으로 제이 로젠펠드 등에 의해 동일자로 출원된 특허원 제_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저비점 용매 속에서 이무수물과 디아민을 반응시켜 폴리이미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단량체 중의 하나를, 폴리암산을 형성되는 즉시 완전히 이미드화하기에 충분한 온도로 가열된 저비점 용매 속에서 다른 단량체의 용액에 서서히 가함으로써 폴리이미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칩 규모의 패키징에서, 반도체 다이는 폴리이미드실록산 접착제 용액을 사용하여 FR4 또는 BT 기판에 부착된다. 정밀한 전자 소자를 보호하기 위해 150℃ 이하의 온도가 사용되어야 한다. 150℃ 이하에서 접착시키기 위해, 폴리이미드실록산 접착제 용액 중의 용매는 150℃ 이하의 온도에서 제거할 수 있어야 하고, 이는 202℃에서 비등하는 N-메틸 피롤리디논(NMP)과 같은 용매가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폴리이미드실록산은 이무수물을 용매 속에서 디아민과 반응시켜, 중간체 폴리암산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된다. 이 반응은 실온에서 발생한다. 이어서, 폴리암산 용액을 약 140 내지 약 150℃로 가열하여, 폴리암산을 이미드화한다. 중간체 폴리암산은 NMP와 같은 극성 용매에 대해서는 가용성이지만, 불행히도 저온 접착 용품 및 고무질 침전물 형태에 필요한 저비점 용매에 대해서는 불용성이다. 폴리이미드실록산은 고비점 용매, 예를 들어 NMP 중에서 제조하여, 물 속에서 침전시키고, 세척하고, 건조시킬 수 있고, 고체 폴리이미드실록산은 저비점 용매에 재용해시킨다. 그러나, 폴리이미드실록산을 저비점 용매 속에서 제조하는 것이 보다 더 편리하고, 더 저렴하며, 더 경제적이어서, 임시 증발 및 재용해 단계를 피할 수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자들은 저비점 용매 속에서 폴리이미드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을 밝혀냈었다. 본 발명에서, 용매 속에서 단량체 중의 하나의 용액 또는 슬러리가 먼저 제조된다. 이 용액을 약 80 내지 약 160℃로 가열하고, 다른 단량체를 서서히 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폴리이미드를 제조함으로써, 형성되는 불용성 폴리암산 중간체를 침전하기 전에 가용성 폴리이미드로 전환시킨다. 따라서, 폴리이미드는 사용되는 동일 용매 속에서 제조될 수 있고, 이를 제조하기 위한 하나의 용매 및 이를 사용하기 위한 상이한 용매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바람직한 양태의 설명
본 발명은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저비점 용매에 가용성인 폴리이미드에 적용가능하다.
폴리이미드는 방향족 이무수물을 디아민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분자량을 수득하기 위해 화학량론적 양의 디아민과 이무수물이 사용되지만, 이무수물 대 디아민의 당량 비는 1:2 내지 2:1의 범위일 수 있다.
적합한 방향족 이무수물의 예는 다음과 같다:
1,2,5,6-나프탈렌 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
1,4,5,8-나프탈렌 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
2,3,6,7-나프탈렌 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
2-(3',4'-디카복시페닐) 5,6-디카복시벤즈이미다졸 이무수물;
2-(3',4'-디카복시페닐) 5,6-디카복시벤족사놀 이무수물;
2-(3',4'-디카복시페닐) 5,6-디카복시벤조티아졸 이무수물;
2,2',3,3'-벤조페논 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
2,3,3',4'-벤조페논 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
3,3',4,4'-벤조페논 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BTDA);
2,2'3,3'-비페닐 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
2,3,3',4'-비페닐 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
3,3',4,4'-비페닐 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BPDA);
비사이클로-[2,2,2]-옥텐-(7)-2,3,5,6-테트라카복실산-2,3,5,6-이무수물;
티오-디프탈산 무수물;
비스(3,4-디카복시페닐)설폰 이무수물;
비스(3,4-디카복시페닐)설폭사이드 이무수물;
비스(3,4-디카복시페닐 옥사디아졸-1,3,4)파라페닐렌 이무수물;
비스(3,4-디카복시페닐) 2,5-옥사디아졸 1,3,4-이무수물;
비스 2,5-(3',4'-디카복시디페닐에테르) 1,3,4-옥사디아졸 이무수물;
비스(3,4-디카복시페닐)에테르 이무수물 또는 4,4'-옥시디프탈산 무수물(ODPA);
비스(3,4-디카복시페닐)티오에테르 이무수물;
비스페놀 A 이무수물(BPADA);
비스페놀 S 이무수물;
2,2-비스(3,4-디카복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이무수물 또는 5,5-[2,2,2-트리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리덴]비스-1,3-이소벤조푸란디온(6FDA);
하이드로퀴논 비스에테르 이무수물;
비스(3,4-디카복시페닐)메탄 이무수물;
사이클로펜타디에닐 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
사이클로펜탄 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
에틸렌 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
페릴렌 3,4,9,10-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PMDA);
테트라하이드로푸란 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 및
레조르시놀 이무수물.
이무수물은 이들의 테트라산 형태 또는 테트라산의 모노, 디, 트리 또는 테트라 에스테르로서 사용될 수 있지만, 이무수물 형태가 보다 더 반응성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이무수물은 ODPA인데, 이는 우수한 특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이다. 이무수물의 혼합물도 또한 고려된다. 추가량의 일무수물 또는 3작용성 이상의 무수물을 사용하여 분자량 또는 가교결합을 조절할 수 있다.
폴리이미드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디아민은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물질이고, 방향족 디아민이 최선의 특성을 제공한다. 방향족 디아민의 예는 다음과 같다:
m- 및 p-페닐렌디아민;
2,4-디아미노톨루엔(TDA);
2,5- 및 2,6-아미노톨루엔;
p- 및 m-크실렌디아민;
4,4'-디아미노비페닐;
4,4'-디아미노디페닐 에테르 또는 4,4'-옥시디아닐린(ODA);
3,4'-옥시디아닐린;
4,4'-디아미노벤조페논;
3,3',3,4' 또는 4,4-디아미노페닐 설폰 또는 m,m-, m,p- 또는 p,p-설폰 디아닐린;
4,4'-디아미노디페닐 설파이드;
3,3'-디아미노디페닐 설폰(APS);
3,3' 또는 4,4'-다아미노디페닐메탄 또는 m,m- 또는 p,p-메틸렌 디아닐린;
3,3'-디메틸벤지딘;
2,2'-비스[(4-아미노페닐)-1,4-디이소프로필]벤젠 또는 4,4'-이소프로필리덴디아닐린 또는 비스아닐린 P(BAP);
2,2'-비스[(4-아미노페닐)-1,3-디이소프로필]벤젠 또는 3,3'-이소프로필리덴디아닐린 또는 비스아닐린 M;
메틸렌 디아닐린;
1,4-비스(4-아미노페녹시)벤젠;
1,3-비스(4-아미노페녹시)벤젠;
1,3-비스(3-아미노페녹시)벤젠(APB);
4,4'-비스(4-아미노페녹시)비페닐;
2,4-디아미노-5-클로로톨루엔;
2,4-디아미노-6-클로로톨루엔;
2,2-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프로판(BAPP);
트리플루오로메틸-2,4-디아미노벤젠;
트리플루오로메틸-3,5-디아미노벤젠;
2,2-비스(4-아미노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6F 디아민);
2,2-비스(4-페녹시 아닐린)이소프로필리덴;
2,4,6-트리메틸-1,3-디아미노벤젠;
4,4'-디아미노-5,5'-트리플루오로메틸 디페닐옥사이드;
3,3'-디아미노-5,5'-트리플루오로메틸 디페닐옥사이드;
4,4'-트리플루오로메틸-2,2'-디아미노 비페닐;
2,5-디메틸-1,4-페닐렌디아민(DPD);
2,4,6-트리메틸-1,3-디아미노벤젠;
디아미노안트라퀴논;
4,4'-옥시비스[(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아민](1,2,4-OBABTF);
4,4'-옥시비스[(3-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아민];
4,4'-티오비스[(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아민];
4,4'-티오비스[(3-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아민];
4,4'-설폭실비스[(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아민];
4,4'-설폭실비스[(3-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아민];
4,4'-케토비스[(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아민];
4,4'-[(2,2,2-트리플루오로메틸-1-(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리딘)비스(3-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아민]; 및
4,4'-디메틸실릴비스[(3-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아민].
바람직한 방향족 디아민은 APB인데, 이는 우수한 특성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방향족 디아민의 혼합물도 또한 고려된다. 추가량의 모노아민 또는 3작용성 이상의 아민을 사용하여 분자량 또는 가교결합을 조절할 수 있다.
폴리이미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이미드실록산인데, 폴리이미드실록산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저비점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높기 때문이다. 폴리이미드실록산을 제조하기 위해, 실록산 그룹을 함유하는 디아민 또는 이무수물이 디아민 또는 이무수물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폴리이미드실록산은 실록산을 함유하는 단량체 약 1 내지 약 80중량%와 실록산을 함유하지 않는 단량체 약 20 내지 약 99.9중량%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이미드실록산은 실록산을 함유하는 단량체 약 20 내지 약 60중량%와 실록산을 함유하지 않는 단량체 약 40 내지 약 80중량%로부터 제조된다. 실록산을 함유하는 단량체는 방향족 또는 비방향족 단량체일 수 있지만, 쉽게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비방향족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사용될 수 있는 실록산 디아민의 예에는 화학식
Figure 112003010840246-pct00001
의 화합물이 포함된다.
사용될 수 있는 실록산 이무수물의 예에는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이 포함된다.
Figure 112003010840246-pct00002
상기 화학식에서,
R1, R2 및 R3은 각각 모노라디칼, 디라디칼 및 트리라디칼로서, 각각 독립적 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탄소수 1 내지 12의 지방족 그룹 및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탄소수 6 내지 10의 방향족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m은 평균 1 내지 200이다.
(본원에서 실록산 디아민은 "Gm"으로 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m은 1 내지 12이고, R1은 메틸이고, R2는 프로필인데, 이들 화합물이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고, 잘 작용하기 때문이다. 모노라디칼의 예에는 -CH3, -CF3, -CH=CH2, -(CH2)nCF3, -(CF2)nCF3, -C6H5, -CF2-CHF-CF3
Figure 112003010840246-pct00003
가 포함된다. 디라디칼의 예에는 -(CH2)n-, -CF2- 및 -C6H4-가 포함된다. 트리라디칼의 예에는 =CH-CH2-,
Figure 112003010840246-pct00004
가 포함된다. 실록산 단량체의 혼합물도 또한 고려된다. 실록산 디아민이 실록산 이무수물보다 바람직한데, 이는 이들이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저비점 용매에서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고 물질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디아민은 바람직하게는 실록산 그룹을 함유하지 않는 방향족 디아민 약 5 내지 약 55중량%와 실록산 그룹을 함유하는 지방족 디아민 약 45 내지 약 95중량%의 혼합물이다.
폴리이미드를 제조하기 위해, 각각 이무수물 단량체 또는 디아민 단량체의 슬러리 또는 용액이 저비점 유기 용매 속에서 형성된다. 이무수물이 일반적으로 디아민보다 덜 가용성이고, 불용성 이무수물을 디아민 용액에 첨가하는 것이 더 어렵기 때문에, 이무수물 단량체의 슬러리를 형성하고, 여기에 일부 저비점 용매 속에서 가온시킨 디아민 용액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아민은 바람직하게는 실록산 그룹을 함유하지 않는 방향족 디아민과 실록산 그룹을 함유하는 지방족 디아민의 혼합물이다. 블록 공중합체는 2개의 디아민 중의 하나를, 다른 디아민을 가하기 전에, 이무수물 슬러리에 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저비점 용매는 약 80 내지 약 160℃의 비점을 가져야 하는데, 비점이 더 높은 용매는 제거하기가 너무 어렵고 비점이 더 낮은 용매는 접착제로부터 너무 쉽게 증발하기 때문으로, 용매의 비점은 약 120 내지 약 150℃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폴리암산이 이미드화되는 온도 이하의 온도, 즉 통상적으로 약 140℃에서 불용성인 용매에 적용가능하다. 이러한 용매는 일반적으로 덜 극성이고, 즉 쌍극자 모멘트가 약 3.5 미만이다. 이러한 용매의 예에는 아니솔, 톨루엔, 크실렌, 사이클로헥산온, 사이클로펜탄온,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벤젠, 하이드로카본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아니솔, 톨루엔, 크실렌,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및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고, 아니솔이 특히 바람직한데, 이는 아니솔이 이미드로의 높은 전환률, 저건조 온도, 저비점, 및 낮은 독성을 갖기 때문이다. 톨루엔, 벤젠 및 크실렌은 물과 함께 이미드화 동안 축합되는 저비점 공비혼합물을 형성한다. 따라서, 또다른 저비점 용매와 함께 공비혼합성 용매를 가하여, 물과 함께 형성되는 이미드화 공비혼합물을 형성하고, 물이 증류 제거되는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비혼합성 용매의 양은 존재하는 모든 물과 함께 공비혼합물을 형성하기에 충분해야 하고, 총 용매를 기준으로 하여 공비혼합성 용매 약 5 내지 약 30중량%가 일반적으로 적당하다.
용매 중의 디아민 또는 이무수물의 용액 또는 슬러리를 폴리암산을 완전히 이미드화하는 온도 이상, 통상적으로 약 80 내지 약 160℃로, 바람직하게는 환류 가열한다. 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폴리암산은 침전될 수 있거나, 완전히 이미드화되지 않고, 보다 고온에서는 NMP와 같은 고비점 용매가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방법이 필요하지 않다. 바람직한 온도 범위는 약 120 내지 약 150℃이다. 보다 고온에서는 용액 또는 슬러리가 가압하에 존재할 경우 저비점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폴리이미드의 최종 용액의 고형분이 약 1 내지 약 40중량%일 수 있도록 충분한 용매가 사용되어야 한다. 적은 고형분은 너무 많은 용매를 처리할 필요가 있고, 높은 고형분은 너무 점성이다. 폴리이미드 용액의 고형분은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 35중량%이다. 이어서, 기타 단량체(즉, 이무수물 또는 디아민)를 바람직하게는 소량의 용매 중의 용액 또는 슬러리에 가한다. 이러한 첨가는 바람직하게는 응집을 피하고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이미드화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통상적으로 약 1시간 동안 수행한다. 이무수물 및 디아민은 쉽게 반응하여 폴리암산을 형성하고, 이는 거의 즉시 완전히(즉, 95% 초과) 이미드화된 폴리이미드로 전환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추가로 예시한다.
실시예 1
기계적 교반기, 온도계, 환류 응축기 및 딘-스타크(Dean-Strak) 트랩이 장착된 2ℓ들이 3구 플라스크에, ODPA 79.3g(0.2557mol), 아니솔 210g 및 톨루엔 61g을 충전시키고, 온도를 환류 가온시킨다. 70℃에서 아니솔 248g에 APB 37.4g(0.1279mol) 및 G9 110.5g을 용해시킨다. 적가 펀넬을 사용하여, 용액을 1시간 동안 환류 반응기에 서서히 가한다. 반응 중에 생성된 물을 딘-스타크로 제거한다. 첨가를 완료한 후, 약 135℃에서 3시간 동안 계속 환류시키고, 아니솔 205g, 톨루엔 및 물을 제거하여, 수지 함량 39.9중량%를 수득한다. 이미드화률은 98.8%였다.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 분석으로부터, Mw는 50,900g/mol이고, Mn은 28,400g/mol이고, 다분산도는 1.8이었다.
실시예 2- 비교용
기계적 교반기, 온도계, 환류 응축기 및 딘-스타크 트랩이 장착된 1ℓ들이 3구 플라스크에, 아니솔 350g, 톨루엔 63g, APB 37.23g 및 G9 108g을 가한다. 슬러리를 약 30℃로 약간 가온하여 APB를 완전히 용해시키고, ODPA 79.77g을 가한다. 중합은 실온에서 진행되지 않으므로, 반응기 온도를 30분 동안 환류 온도로 승온시키고, 물을 딘-스타크 트랩으로 수집한다. 온도가 약 70℃에 달하면, 폴리암산의 침전물이 용액 중에서 나타난다. 온도가 더 높아지면, 고체 폴리암산의 백색 괴상이 형성되고, 이는 이미드화가 진행됨에 따라 용해된다. 3시간 환류 후, 톨루엔 138g, 아니솔 및 물을 제거한다. 용액의 수지 함량은 34중량%였다. 폴리이미드실 록산의 이미드화률은 97.4%였고, GPC 분석으로부터, Mw는 42,500g/mol이고, Mn은 26,500g/mol이고, 다분산도는 1.6이었다.
실시예 3
기계적 교반기, 온도계, 환류 응축기 및 딘-스타크 트랩이 장착된 22ℓ들이 3구 플라스크에, ODPA 871.97g, 아니솔 2311g 및 톨루엔 676g을 가한다. 온도를 환류 가온시키고, 70℃에서 아니솔 2725g에 용해된 APB 410.7g 및 G9 1188.4g을 1시간 동안 APB 용액 속에서 혼합한다. 첨가를 완료한 후, 온도를 환류에서 3시간 동안 유지시키고, 아니솔 2,252g, 톨루엔 및 물을 제거하여, 수지 함량 39.7중량%를 수득한다. GPC 분석으로부터, Mw는 50,900g/mol이고, Mn은 28,400g/mol이고, 다분산도는 1.79였다.
실시예 4
교반기, 적가 펀넬, 딘-스타크 트랩 및 환류 응축기가 장착된 1ℓ들이 3구 플라스크에 질소 퍼징하에 ODPA 79.7g, 아니솔 300g 및 톨루엔 73g을 가하고, 온도를 환류 가온시킨다. 중합체 분자의 중간 부분에 실록산 분획이 풍부하도록 하기 위해, G9 108.5g을 먼저 30분 동안 가한다. 첨가를 완료한 후, 30분 동안 계속 환류시킨다. 이어서, 아니솔 238g 중의 APB 18.7g 및 G9 54.2g을 70℃로 가온시켜 APB를 완전히 용해시킨다. APB 및 G9 용액을 적가 펀넬을 사용하여 30분 동안 환류 용액에 가한다. 첨가를 완료한 후, 반응물을 2.5시간 동안 계속 환류시켜, 물, 톨루엔 및 아니솔을 제거한다. 고형분 함량은 약 40중량%였고, 이미드화률은 95%였고, 수지 함량은 39.6중량%였다. GPC 분석으로부터, Mw는 50,000g/mol이고, Mn은 31,000g/mol이고, 다분산도는 1.6이었다.
실시예 5
OPDA 79.7g, 아니솔 300g 및 톨루엔 73g을 사용하여 실시예 4를 반복한다. 중합체 분자의 중간 부분에 방향족 디아민이 풍부하도록 하기 위해, 70℃로 가온된 아니솔 237g 중의 APB 18.7g 및 G9 54.2g의 용액을 30분 동안 환류 반응기에 가한다. 이어서, G9 108g을 30분 동안 가하고, 2.5시간 동안 계속 환류시켜, 물, 톨루엔 및 아니솔을 증류 제거한다. 고형분 함량은 약 40중량%였고, 이미드화률은 94.7%였고, 수지 함량은 38.4중량%였다. GPC 분석으로부터, Mw 및 Mn은 각각 35,000g/mol 및 23,000g/mol이었고, 다분산도는 1.53이었다.

Claims (23)

  1. 디아민 단량체 및 이무수물 단량체 중의 하나의 단량체의 용액 또는 슬러리를 약 80 내지 약 160℃의 온도에서 비등하는 하나 이상의 용매 속에서 제조하는 단계(A),
    당해 용액 또는 슬러리를 약 80 내지 약 160℃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B) 및
    디아민 단량체 및 이무수물 단량체 중의 나머지 하나의 단량체를 용액 또는 슬러리에 서서히 가하여, 형성되는 폴리암산을 침전되기 전에 이미드화시킴으로써, 폴리이미드를 형성하는 단계(C)를 포함하여, 디아민 단량체 및 이무수물 단량체로부터 폴리이미드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이미드가 실록산 그룹을 함유하지 않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폴리이미드가 폴리이미드실록산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폴리이미드실록산이, 실록산 그룹을 함유하지 않는 단량체 약 20 내지 약 99중량%와 실록산 그룹을 함유하는 단량체 약 1 내지 약 80중량%로부터 제조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이무수물 단량체가 실록산 그룹을 함유하지 않는 방향족 단량체인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디아민 단량체가 실록산 그룹을 함유하지 않는 방향족 디아민 약 5 내지 약 55중량%와 실록산 그룹을 함유하는 지방족 디아민 약 45 내지 약 95중량%의 혼합물인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방향족 디아민이 1,3-비스(3-아미노페녹시)벤젠인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실록산 그룹을 함유하는 디아민이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인 방법.
    Figure 112003010840246-pct00005
    상기 화학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모노라디칼 및 디라디칼로서,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탄소수 1 내지 12의 지방족 그룹 및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탄소수 6 내지 10의 방향족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m은 평균 1 내지 200이다.
  9. 제1항에 있어서, 용매가 두 용매의 혼합물이고, 이중 하나가 물과 함께 저비점 공비혼합물을 형성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용매가 아니솔, 톨루엔, 크실렌,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1. 디아민 단량체 및 이무수물 단량체 중의 하나의 단량체의 용액 또는 슬러리를 약 80 내지 약 160℃의 온도에서 비등하는 하나 이상의 용매 속에서 제조하는 단계(A),
    당해 용액 또는 슬러리를 약 80 내지 약 160℃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B) 및
    디아민 단량체 및 이무수물 단량체 중의 나머지 하나의 단량체를 용액 또는 슬러리에 서서히 가하여, 형성되는 폴리암산을 침전되기 전에 이미드화시킴으로써, 폴리이미드를 형성하는 단계(C)를 포함하고,
    용매가 아니솔임을 특징으로 하여, 디아민 단량체 및 이무수물 단량체로부터 폴리이미드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단계(A)에서의 단량체가 이무수물인 방법.
  13. 이무수물 단량체의 용액 또는 슬러리를 약 80 내지 약 160℃의 온도에서 비등하는 하나 이상의 용매 속에서 제조하는 단계(A),
    당해 용액 또는 슬러리를 약 80 내지 약 160℃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B) 및
    제1 디아민 단량체와 제2 디아민 단량체를 용액 또는 슬러리에 서서히 가하여, 형성되는 폴리암산을 침전되기 전에 이미드화시킴으로써, 폴리이미드를 형성하는 단계(C)를 포함하고,
    제1 디아민 단량체와 제2 디아민 단량체 중의 하나를 슬러리에 가하고, 이어서 제1 디아민 단량체와 제2 디아민 단량체 중의 나머지 하나를 슬러리에 가함을 특징으로 하여, 제1 디아민 단량체, 제2 디아민 단량체 및 이무수물 단량체로부터 폴리이미드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
  14. 디아민 단량체 및 이무수물 단량체 중의 하나의 단량체의 용액 또는 슬러리를 약 80 내지 약 160℃의 온도에서 비등하는 하나 이상의 용매 속에서 제조하는 단계(A),
    당해 용액 또는 슬러리를 약 80 내지 약 160℃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B) 및
    디아민 단량체 및 이무수물 단량체 중의 나머지 하나의 단량체를 용액 또는 슬러리에 서서히 가하여, 형성되는 폴리암산을 침전되기 전에 이미드화시킴으로써, 폴리이미드를 형성하는 단계(C)를 포함하고,
    디아민을 가온시켜 이를 용매의 일부에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을 슬러리에 서서히 가함을 특징으로 하여, 디아민 단량체 및 이무수물 단량체로부터 폴리이미드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
  15. 디아민 단량체 및 이무수물 단량체 중의 하나의 단량체의 용액 또는 슬러리를 약 80 내지 약 160℃의 온도에서 비등하는 하나 이상의 용매 속에서 제조하는 단계(A),
    당해 용액 또는 슬러리를 약 80 내지 약 160℃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B) 및
    디아민 단량체 및 이무수물 단량체 중의 나머지 하나의 단량체를 용액 또는 슬러리에 서서히 가하여, 형성되는 폴리암산을 침전되기 전에 이미드화시킴으로써, 폴리이미드를 형성하는 단계(C)를 포함하고,
    이무수물 단량체가 비스(3,4-디카복시페닐)에테르 이무수물임을 특징으로 하여, 디아민 단량체 및 이무수물 단량체로부터 폴리이미드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
  16. 방향족 이무수물의 슬러리를 아니솔, 톨루엔, 크실렌,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고형분 함량이 약 1 내지 약 40중량%인 폴리이미드실록산 용액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는 용매 속에서 제조하는 단계(A),
    당해 슬러리를 약 120 내지 약 150℃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B) 및
    당해 슬러리에, 총 디아민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실록산 그룹을 함유하지 않는 방향족 디아민 약 5 내지 약 55중량%와 실록산 그룹을 함유하는 지방족 디아민 약 45 내지 약 95중량%로 이루어진 디아민을 서서히 가하여, 형성되는 폴리암산을 침전되기 전에 이미드화시키는 단계(C)를 포함하여, 폴리이미드실록산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
  17. 방향족 이무수물의 슬러리를 아니솔, 톨루엔, 크실렌,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고형분 함량이 약 1 내지 약 40중량%인 폴리이미드실록산 용액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는 용매 속에서 제조하는 단계(A),
    당해 슬러리를 약 120 내지 약 150℃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B) 및
    당해 슬러리에, 총 디아민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실록산 그룹을 함유하지 않는 방향족 디아민 약 5 내지 약 55중량%와 실록산 그룹을 함유하는 지방족 디아민 약 45 내지 약 95중량%로 이루어진 디아민을 서서히 가하여, 형성되는 폴리암산을 침전되기 전에 이미드화시키는 단계(C)를 포함하고,
    디아민 중의 하나를 슬러리에 가하고, 이어서 디아민 중의 나머지 하나를 슬러리에 가함을 특징으로 하여, 폴리이미드실록산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
  18. 방향족 이무수물의 슬러리를 아니솔, 톨루엔, 크실렌,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고형분 함량이 약 1 내지 약 40중량%인 폴리이미드실록산 용액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는 용매 속에서 제조하는 단계(A),
    당해 슬러리를 약 120 내지 약 150℃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B) 및
    당해 슬러리에, 총 디아민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실록산 그룹을 함유하지 않는 방향족 디아민 약 5 내지 약 55중량%와 실록산 그룹을 함유하는 지방족 디아민 약 45 내지 약 95중량%로 이루어진 디아민을 서서히 가하여, 형성되는 폴리암산을 침전되기 전에 이미드화시키는 단계(C)를 포함하고,
    용매가 톨루엔, 크실렌 및 벤젠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용매와 아니솔과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여, 폴리이미드실록산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
  19. 비스(3,4-디카복시페닐)에테르 이무수물의 슬러리를 톨루엔, 크실렌 및 벤젠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슬러리 중에서 물과 공비혼합물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는 용매와 아니솔과의 혼합물로서, 두 용매가 모두 고형분 함량이 약 20 내지 약 35중량%인 폴리이미드실록산 용액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는 용매 혼합물 속에서 제조하는 단계(A),
    당해 슬러리를 약 120 내지 약 150℃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B) 및
    당해 슬러리에, 총 단량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3-비스(3-아미노페녹시)벤젠 약 40 내지 약 80중량%와 하기 화학식의 지방족 디아민 약 20 내지 약 60중량%로 이루어진 디아민을 서서히 가하여, 형성되는 폴리암산을 침전되기 전에 이미드화시켜 폴리이미드를 형성하는 단계(C)를 포함하여, 폴리이미드실록산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112007055575930-pct00006
    상기 화학식에서,
    R1은 메틸이고,
    R2는 프로필이고,
    m은 평균 1 내지 12이다.
  20. 제19항에 있어서, 디아민 중의 하나를 슬러리에 가하고, 이어서 디아민 중의 나머지 하나를 슬러리에 가하는 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디아민 단량체 및 이무수물 단량체 중의 나머지 하나의 단량체를 용액 또는 슬러리에 서서히 가하는 단계가 당해 용액 또는 슬러리를 약 80 내지 약 160℃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디아민의 양이 화학량론적 양인 방법.
  23. 비스(3,4-디카복시페닐)에테르 이무수물의 슬러리를 톨루엔, 크실렌 및 벤젠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슬러리 중에서 물과 공비혼합물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는 용매와 아니솔과의 혼합물로서, 두 용매가 모두 고형분 함량이 약 20 내지 약 35중량%인 폴리이미드실록산 용액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는 용매 혼합물 속에서 제조하는 단계(A),
    당해 슬러리를 약 120 내지 약 150℃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B) 및
    당해 슬러리에, 총 단량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3-비스(3-아미노페녹시)벤젠 약 40 내지 약 80중량%와 하기 화학식의 지방족 디아민 약 20 내지 약 60중량%로 이루어진 디아민을 서서히 가하여, 형성되는 폴리암산을 침전되기 전에 이미드화시켜 폴리이미드를 형성하는 단계(C)를 포함하여, 폴리이미드실록산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112007055575930-pct00007
    상기 화학식에서,
    R1은 메틸이고,
    R2는 프로필이고,
    m은 평균 1 내지 12이다.
KR1020037004445A 2000-09-28 2001-09-06 저비점 용매 속에서 폴리이미드를 제조하는 방법 KR1008065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676,295 US6451955B1 (en) 2000-09-28 2000-09-28 Method of making a polyimide in a low-boiling solvent
US09/676,295 2000-09-28
PCT/US2001/042033 WO2002026866A2 (en) 2000-09-28 2001-09-06 Method of making a polyimide in a low-boiling solv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348A KR20030063348A (ko) 2003-07-28
KR100806535B1 true KR100806535B1 (ko) 2008-02-25

Family

ID=24713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4445A KR100806535B1 (ko) 2000-09-28 2001-09-06 저비점 용매 속에서 폴리이미드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451955B1 (ko)
JP (1) JP4656363B2 (ko)
KR (1) KR100806535B1 (ko)
CN (1) CN1313514C (ko)
WO (1) WO200202686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225B1 (ko) * 2000-03-13 2005-07-22 미쯔이카가쿠 가부시기가이샤 폴리이미드의 제조방법
US6451955B1 (en) * 2000-09-28 2002-09-17 Sumitomo Bakelite Company Limited Method of making a polyimide in a low-boiling solvent
US6852826B2 (en) * 2001-12-21 2005-02-08 Kanera Corporation Manufacturing method of polyamic acid, and polyamic acid solution
US6919422B2 (en) * 2003-06-20 2005-07-19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imide resin with reduced mold deposit
US8536298B2 (en) * 2005-05-25 2013-09-17 Sabic Innovative Platics Ip B.V. Precipitative process to prepare polyimides
US20090186295A1 (en) * 2006-03-03 2009-07-23 Maw Soe Win Photosensitive Ink Composition for Screen Printing and Method of Forming Positive Relief Pattern with Use Thereof
US8071693B2 (en) * 2006-06-22 2011-12-06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Polysiloxane/polyimide copolymers and blends thereof
WO2012081615A1 (ja) * 2010-12-17 2012-06-2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アミド酸粒子の製造方法、ポリイミド粒子の製造方法、ポリイミド粒子及び電子部品用接合材
WO2013039029A1 (ja) * 2011-09-12 2013-03-21 東レ株式会社 ポリイミド樹脂、これを用いた樹脂組成物および積層フィルム
JP5825652B2 (ja) * 2012-01-13 2015-12-02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電子素子用絶縁材
KR101362518B1 (ko) * 2012-01-13 2014-02-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자소자용 절연재
CN105579492B (zh) * 2013-09-26 2017-10-27 普立万公司 适用于3d打印工艺的芳族聚酰亚胺
US10020185B2 (en) 2014-10-07 2018-07-10 Samsung Sdi Co., Ltd. Composition for forming silica layer, silica layer, and electronic device
KR101837971B1 (ko) 2014-12-19 2018-03-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실리카계 막 형성용 조성물, 실리카계 막, 및 전자 디바이스
KR101833800B1 (ko) 2014-12-19 2018-03-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실리카계 막 형성용 조성물, 실리카계 막의 제조방법 및 상기 실리카계 막을 포함하는 전자 소자
KR20170014946A (ko) * 2015-07-31 2017-02-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실리카 막 형성용 조성물, 실리카 막의 제조방법 및 실리카 막
CN108997581A (zh) * 2018-09-12 2018-12-14 北京工商大学 一种含硅聚酰亚胺型高分子成炭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03157A (en) 1964-04-15 1967-02-07 Gen Electric Silylated polyamide-acids and compositions thereof
US3981847A (en) 1973-11-16 1976-09-21 Akzona Incorporate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olyamidocarboxylic acids
EP0274602A1 (en) * 1986-12-31 1988-07-20 General Electric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polyimides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1956A (en) * 1972-06-06 1975-01-21 First Jersey National Bank Release agents for adhesive tapes
US4454310A (en) * 1981-12-21 1984-06-12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Polyamide acid, process for producing same and polyimide obtained therefrom
JPS5968739A (ja) * 1982-10-12 1984-04-18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写真感光要素
US4569988A (en) * 1984-12-24 1986-02-11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Polyimides of 4,4'-(hexafluoroisopropylidene)bis(o-phthalic anhydride) and aliphatic diamines
US4847358A (en) * 1986-09-19 1989-07-11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Process for producing polyamide acid having siloxane bonds and polyimide having siloxane bonds and isoindoloquinazolinedione rings
US4826916A (en) * 1987-02-27 1989-05-02 General Electric Company Silicone polymides, and method for making
CA1299801C (en) * 1987-03-31 1992-04-28 Chung J. Lee Soluble polyimidesiloxane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and use
US4912197A (en) * 1987-08-14 1990-03-2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Highly soluble clear polyimides
US5077370A (en) * 1988-11-14 1991-12-31 Occidental Chemical Corporation Novel polyimidesiloxane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and use
US5206337A (en) * 1990-05-10 1993-04-27 Sumitomo Bakelite Company Limited Solvent-soluble polyimidesiloxane oligom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5209981A (en) * 1991-06-13 1993-05-11 Occidental Chemical Corporation Polyimidesiloxane extended block copolymers
US5262516A (en) * 1991-11-26 1993-11-16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preparing polyetherimide-polyamide copolymers
US5317049A (en) * 1993-06-21 1994-05-31 Occidental Chemical Corporation Polyimidesiloxane solution and method of coating substrates
US5955245A (en) * 1993-10-12 1999-09-21 Occidental Chemical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polyimide patterns on substrates
JPH07207024A (ja) * 1994-01-18 1995-08-08 Shin Etsu Chem Co Ltd ポリイミド樹脂組成物
JP2983827B2 (ja) * 1994-03-08 1999-11-29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高温時の物性が改良された樹脂組成物
US6218496B1 (en) * 1994-03-31 2001-04-17 Occidental Chemical Corporation Polyimidesiloxane adhesive
JPH0827428A (ja) * 1994-07-13 1996-01-30 Sumitomo Bakelite Co Ltd 耐熱性フィルム接着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3439262B2 (ja) * 1994-07-18 2003-08-25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高温時の物性が改良されたフィルム接着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2949568B2 (ja) * 1995-08-31 1999-09-13 株式会社巴川製紙所 新規なポリイミ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3594269B2 (ja) * 1996-04-05 2004-11-24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耐熱性の改良されたフィルム接着剤とその製造方法
JP3534151B2 (ja) * 1996-10-29 2004-06-07 宇部興産株式会社 ポリイミド前駆体組成物及びポリイミド膜
JPH11126855A (ja) * 1997-10-22 1999-05-11 Shin Etsu Chem Co Ltd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0982343B1 (en) * 1998-08-28 2004-08-04 Osaka Prefectural Government Polyamic acid and polyimide microfine particles and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US6252033B1 (en) * 2000-03-20 2001-06-26 Saehan Industries Incorporatio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polyamic acid and polymide useful for adhesives
US6451955B1 (en) * 2000-09-28 2002-09-17 Sumitomo Bakelite Company Limited Method of making a polyimide in a low-boiling solv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03157A (en) 1964-04-15 1967-02-07 Gen Electric Silylated polyamide-acids and compositions thereof
US3981847A (en) 1973-11-16 1976-09-21 Akzona Incorporate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olyamidocarboxylic acids
EP0274602A1 (en) * 1986-12-31 1988-07-20 General Electric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polyimi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348A (ko) 2003-07-28
WO2002026866B1 (en) 2003-01-09
CN1466607A (zh) 2004-01-07
JP4656363B2 (ja) 2011-03-23
CN1313514C (zh) 2007-05-02
JP2004517976A (ja) 2004-06-17
US6451955B1 (en) 2002-09-17
WO2002026866A3 (en) 2002-06-20
US20020188088A1 (en) 2002-12-12
US6780960B2 (en) 2004-08-24
WO2002026866A2 (en) 200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6535B1 (ko) 저비점 용매 속에서 폴리이미드를 제조하는 방법
US5554684A (en) Forming polyimide coating by screen printing
US5209981A (en) Polyimidesiloxane extended block copolymers
JP2760520B2 (ja) ポリイミド共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5804778B2 (ja) 新規ポリイミドワニス
US5942592A (en) Siloxane polyimide and heat-resistant adhesive containing the same
JPS5813087B2 (ja) シロキサン変性ポリイミド前駆体の製造方法
EP0689571B1 (en) Three-layer polyimidesiloxane adhesive tape
US5922167A (en) Bending integrated circuit chips
EP0880555B1 (en) Method of making free-standing polyimide film
JP2004511587A (ja) 低温結合性接着剤組成物
KR100196957B1 (ko) 기판위에 폴리이미드 패턴을 형성시키는 방법
CA2120272A1 (en) Polyimidesiloxane solution and method of coating substrates
EP0814138B1 (en) Tape comprising solvent-containing non-tacky, free-standing, fully imidized polyimide film
JP3208179B2 (ja) 液晶性ポリイミ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12882A (ja) ポリイミド樹脂組成物
AU667776C (en) Three-layer polyimidesiloxane adhesive tape
JPH07268097A (ja) 熱酸化安定性良好なポリイミ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348451A (ja) 低誘電率重合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