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6483B1 - 자주체 구동 장치 및 게임 장치 - Google Patents
자주체 구동 장치 및 게임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06483B1 KR100806483B1 KR1020017013435A KR20017013435A KR100806483B1 KR 100806483 B1 KR100806483 B1 KR 100806483B1 KR 1020017013435 A KR1020017013435 A KR 1020017013435A KR 20017013435 A KR20017013435 A KR 20017013435A KR 100806483 B1 KR100806483 B1 KR 1008064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rging
- self
- delete delete
- model
- propel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14—Racing games, traffic games, or obstacle games characterised by figures moved by action of the players
- A63F9/143—Racing games, traffic games, or obstacle games characterised by figures moved by action of the players electric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8/00—Highways or trackways for toys; Propulsion by special interaction between vehicle and track
- A63H18/14—Drives arranged in the track, e.g. endless conveying means, magnets, driving-disc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3/00—Toy boats; Floating toys; Other aquatic toy devices
- A63H23/02—Boats; Sailing boat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250/00—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 A63F2250/04—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containing a liquid
- A63F2250/0407—Water
- A63F2250/0414—Water in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주행면에 자주체를 인접시킨 상태로 또는 주행면에서 자주체를 떨어뜨리지 않고 자주체상의 축전지를 충전시킬 수 있는 자주체 구동 장치 및 게임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자주체(50)에 축전지가 탑재되며 상기 축전지의 전력에 의해 상기 자주체(50)가 자주할 수 있는 자주체 구동 장치로, 상기 자주체의 주행면상의 대기 위치에 충전기(70)가 배치되며 상기 자주체(50)는 상기 주행면에서 떨어지지 않고 상기 충전기(70)에 의해 충전되는 것이다.
자주체, 축전지, 충전기, 충전 상황 검출 수단, 대기 위치
Description
본 발명은 게임 장치 또는 게임 설비에 이용되는 자주체(自走體)에 탑재된 축전지를 충전시키도록 된 자주체 구동 장치 및 게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축전지를 탑재한 종래의 게임용 자주체에서는, 이 축전지에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 게임 장치로부터 상기 자주체를 꺼내고, 이 자주체에 축전지를 탑재한 상태로 충전기에 접속하여 충전을 수행하거나 자주체로부터 축전지를 분리시키고 충전기에 접속하여 충전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상기 자주체는 주행면의 하방에 배치되며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이 자주체를 외부로 꺼내는 것은 번잡하고 곤란하여 충전에 많은 수고와 시간이 필요하였다.
또한, 게임 장치내에 상기 자주체가 수납되어 있으면 충전이 필요한지 아닌지를 미리 알 수 없기 때문에 게임중에 자주체가 자주할 수 없게 되기 이전에 미리 충전을 수행하여야 함에따라 충전 횟수에 제한이 있는 축전지의 수명이 짧아진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난점을 극복한 것으로, 그 목적은 충전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자주체에 축전지가 탑재되고, 상기 축전지의 전력에 의해 상기 자주체가 자주할 수 있는 자주체 구동 장치로, 상기 자주체가 자주하는 대기 위치에 충전기가 배치되고, 상기 자주체는 주행면에 인접하거나 또는 상기 주행면에서 떨어지지 않고 상기 충전기에 의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자주체가 밀폐 공간내에 수납되거나 혹은 각종 부재로 둘러쌓여 있어도 상기 자주체를 그 주행면으로부터 밖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꺼내지 않고 상기 축전지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자주체가 자주하는 대기 위치에 충전기를 배치하고, 상기 자주체를 주행면에 인접시키거나 또는 상기 주행면에서 떨어지지 않게 상기 충전기로 자동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충전기를 통해 상기 축전지를 충전함으로써, 주행을 마친 상기 주행체를 자동적으로 상기 충전기로 이동시켜 용이하게 상기 축전지를 충전시킬 수 있다.
아울러, 자주체가 자주하는 대기 위치에 충전기를 배치하고, 상기 자주체를 주행면에 인접시키거나 또는 상기 주행면에서 떨어지지 않게 상기 주행체를 충전기로 자동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충전기를 통해 자동적으로 충전함으로써, 상기 충전기로 이동한 상기 자주체의 축전지에 자동적으로 충전시킬 수 있어 상기 충전을 극히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자주체를 자주 모형으로 구성함에 따라 상기 자주 모형이 밀폐 공간내에 수납되거나 혹은 각종 부재로 둘러쌓여 있어도 상기 자주 모형을 그 주행면으로부터 밖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꺼내지 않고 용이하게 고능률로 상기 축전지를 충 전시킬 수 있다.
아울러, 자주체를 모형과 결합하고, 상기 모형을 주행시키는 자주 주행체로 구성함에 따라 상기 자주 주행체가 밀폐 공간내에 수납되거나 혹은 각종 부재로 둘러쌓여 있어도 상기 자주 주행체를 그 주행면으로부터 밖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꺼내지 않고 용이하게 고능률로 상기 축전지를 충전시킬 수 있다.
또한, 주행판을 사이에 두고 상하에 모형 및 자주 주행체를 배치하고, 상기 모형을 상기 자주 주행체에 흡인 자력을 통해 결합하고, 상기 자주 주행체의 주행에 추종하여 상기 주행판상을 주행시키도록 구성함에 따라, 주행판의 하방에 위치한 자주 주행체를 상기 주행판의 하방 공간으로부터 꺼내지 않고 용이하게 고능률로 상기 축전지를 충전시킬 수 있다.
아울러, 자주체가 소정의 자주 시간 또는 자주 거리를 주행한 경우에 상기 축전지를 상기 충전기를 통해 자동적으로 충전하도록 자주체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자주체가 소정 시간 또는 소정 거리를 주행하면 특별한 충전 상태 검출 수단을 이용하지 않아도 충전이 필요한 상태에 가까운 상태에서 자동적으로 상기 축전지를 충전할 수 있기 때문에, 충전 횟수에 제한이 있는 축전지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축전지의 충전이 필요한지 여부의 충전 상황을 검출하는 충전 상황 검출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충전 상황 검출 수단에 의해 충전이 필요한 상황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대기 위치에 복귀한 자주체상의 축전지를 충전기를 통해 충전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충전이 필요한 상태를 확실하게 파악하여 자동적으로 상기 축 전지를 충전할 수 있기 때문에 충전 횟수에 제한이 있는 축전지의 수명을 최대한으로 연장시킬 수 있어 코스트 다운을 꾀할 수 있다.
아울러, 자주체를 주행면측에 설치된 주행 제어 수단을 통해 주행 제어하고, 상기 충전 상황 검출 수단에서 검출된 충전이 필요하다는 충전 정보가 상기 주행 제어 수단에 무선으로 전달된 경우에는, 상기 자주체를 상기 충전기로 이동시키는 주행 제어 신호를 상기 주행 제어 수단을 통해 상기 자주체로 송신하고, 상기 자주체를 상기 충전기로 이동시켜 상기 자주체내의 축전지를 상기 충전기를 통해 충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자주체가 주행 경로의 규제없이 자유롭게 주행할 수 있는 것이어도 상기 자주체는 자동적으로 충전기로 이동하고, 이 자주체의 축전지는 자동적으로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자주체가 주행면상을 주행한 이후에 충전기의 설치 장소인 대기 위치로 복귀하고, 충전 상황 검출 수단에 의해 충전이 필요한 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충전기의 단자와 상기 자주체의 축전지 단자가 접속되어 충전이 수행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주행체가 일정한 주행 시간 또는 일정한 주행 거리를 주행하여도 상기 축전지의 충전 횟수를 되도록 삭감하여 상기 축전지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아울러, 자주체가 주행면상을 주행한 이후에 충전기의 설치 장소인 대기 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자주체가 장시간 운전을 정지한 경우에는, 상기 자주체내의 전원 회로가 차단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자주체의 운전 정지중의 상기 축전지의 방전을 되도록 억제하여 상기 축전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자주체에 그 전원 회로의 단속을 수행하는 전원 스위치와, 그 축전지 의 충전 단자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축전지의 충전 단자와 접촉 및 분리가능하게 접속되는 접속 단자를 설치하고, 상기 자주체가 자주하여 상기 축전지의 충전 단자와 충전기의 접속 단자가 접속된 상태에서는 상기 전원 스위치를 차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충전기에 상기 축전지가 접속된 상태에서는 상기 축전지의 충전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접속 상태에서 방전이 종료된 이후에는 상기 축전지의 방전을 제어하여 충전 1회당의 충전량을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축전지의 충전 단자와 충전기의 접속 단자를 3쌍으로 구성하고, 그중의 1쌍의 단자를 충전용 단자로 하고, 다른 1쌍의 단자를 자주체에 탑재된 축전지의 충전 잔량 데이터 송신용 단자로 하며, 나머지 1쌍의 단자를 상기 충전용 단자 및 충전 잔량 데이터 송신용 단자의 어스 단자로 함으로써, 상기 충전기를 통해 상기 축전지를 충전할 때의 축전지의 충전 잔량을 확실하게 파악하여 적정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형이 앞을 다투어 소정의 코스의 외측 또는 통과점의 내외 어느 한쪽을 주행하며 골인 지점에서 그 레이스 도착 순위를 다투는 게임 장치에서, 상기 모형을 주행면을 따라 주행시키고, 상기 자주 모형에 주행 전원용 축전지를 탑재하고, 상기 자주 모형의 대기 위치에 상기 자주 모형의 각각에 대응하는 충전기 접속부를 배치하며, 상기 자주 모형을 상기 주행면에 인접시키거나 또는 상기 주행면에서 떨어지지 않게 상기 주행 전원용 축전지를 충전기를 통해 충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모형이 앞을 다투어 소정의 코스의 외측 또는 통과점의 내외 어느 한쪽을 주행하며 골인 지점에서 그 레이스 도착 순위를 다투는 게임 장치에 서, 상기 자주체가 밀폐 공간내에 수납되거나 혹은 각종 부재로 둘러쌓여도 상기 자주체를 그 주행면으로부터 밖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꺼내지 않고 상기 축전지를 충전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모형이 앞을 다투어 소정의 코스의 외측 또는 통과점의 내외 어느 한쪽을 주행하며 골인 지점에서 그 레이스 도착 순위를 다투는 게임 장치에서, 상기 모형을 주행면을 따라 자주하는 자주 주행체에 결합하여 상기 주행면상을 주행시키고, 상기 자주 주행체에 주행 전원용 축전지를 탑재하고, 상기 모형의 대기 위치에 대응하는 자주 주행체의 대기 위치에 충전기를 배치하며, 상기 자주 주행체의 상기 대기 위치에서 상기 주행 전원용 축전지를 상기 충전기를 통해 충전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복수의 모형이 앞을 다투어 소정의 코스의 외측 또는 통과점의 내외 어느 한쪽을 주행하며 골인 지점에서 그 레이스 도착 순위를 다투는 게임 장치에서, 게임 종료후의 대기 상태에서 상기 축전지를 충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형이 앞을 다투어 소정의 코스의 외측 또는 통과점의 내외 어느 한쪽을 주행하며 골인 지점에서 그 레이스 도착 순위를 다투는 게임 장치에서, 상기 모형을 주행면을 따라 자주시키고, 상기 주행 모형에 주행 전원용 축전지를 탑재하고, 상기 자주 모형의 대기 위치에 상기 자주 모형의 각각에 대응하는 충전기 접속부를 배치하며, 상기 주행 모형을 상기 주행면에 인접시키거나 또는 상기 주행면으로부터 떨어지지 않게 상기 충전기로 자동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충전기를 통해 상기 축전지를 충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주행을 마친 상기 자주체를 자동적으로 상기 충전기로 이동시켜 용이하게 상기 축전지를 충전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모형이 앞을 다투어 소정의 코스의 외측 또는 통과점의 내측의 어느 한쪽을 주행하며 골인 지점에서 그 레이스 도착 순위를 다투는 게임 장치에서, 상기 모형을 주행면을 따라 주행시키고, 상기 자주 모형에 주행 전원용 축전지를 탑재하고, 상기 자주 모형의 대기 위치에 상기 자주 모형의 각각에 대응하는 충전기 접속부를 배치하며, 상기 자주 모형을 상기 주행면에 인접시키거나 또는 상기 주행면으로부터 떨어뜨리지 않고 상기 충전기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충전기를 통해 상기 축전지를 자동적으로 충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충전기를 향해 이동한 상기 자주체의 충전지를 자동적으로 충전시킬 수 있어 충전을 매우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축전지에 대하여 충전이 필요한지 여부의 충전 상황을 검출하는 충전 상황 검출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충전 상황 검출 수단에 의해 충전이 필요한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대기 위치에 복귀한 자주 모형 또는 자주 주행체의 축전지를 상기 축전기를 통해 충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모형이 앞을 다투어 소정의 코스의 외측 또는 통과점의 내외 어느 한쪽을 주행하며 골인 지점에서 그 레이스 도착 순위를 다투는 게임 장치에서, 충전이 필요한 상태를 확실하게 파악하고 자동적으로 상기 축전지를 충전하기 때문에, 충전 횟수에 제한이 있는 축전지의 수명을 최대한으로 연장시킬 수 있어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아울러, 자주 모형 또는 자주 주행체를 복수의 레이스에 각각 참가하는 데에 필요한 개수를 합산한 개수로 준비하고, 레이스에 참가하지 않는 자주 모형 또는 자주 주행체를 상기 대기 위치에 대기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레이스에 참가하지 않는 자주 모형 또는 자주 주행체의 축전지를 충전할 수 있기 때문에 레이스를 장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게임 장치에서, 상기 주행 모형 또는 자주 주행체를 각종 레이스마다의 군으로 묶고, 그 군의 자주 모형 또는 자주 주행체중 하나의 자주 모형 또는 자주 주행체의 축전지의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그 군의 자주 모형 또는 자주 주행체의 축전지를 모두 일제히 상기 대기 위치에서 충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레이스마다로 묶여진 군 단위로 상기 자주 모형 또는 자주 주행체를 충전시킬 수 있어 그 충전 관리를 대폭 간략화할 수 있다.
아울러, 자주 모형 또는 자주 주행체는 각종 레이스 중 가장 참가수가 많은 레이스의 참가수보다 많은 개수로 준비하고, 충전이 필요한 자주 모형 또는 자주 주행체의 축전지를 상기 대기 위치에서 충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충전이 필요한 축전지만을 충전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각 충전지의 수명을 최대한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형을 보트 모형으로 구성함에 따라 다른 전력 공급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보트 모형을 주행시킬 수 있어 모형 구동계를 대폭 간략화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모형을 경마 모형으로 구성함에 따라 경마 모형을 주행시킬 수 있어 모형 구동계를 대폭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형이 필드를 따라 이동하며 게임을 수행하는 게임 장치에서, 상기 모형을 주행면을 따라 자주시키고, 상기 주행 모형에 주행 전원용 축전지를 탑재하고, 상기 자주 모형의 대기 위치에 상기 자주 모형에 각각 대응하는 충전기 접속부를 배치하며, 상기 자주 모형을 상기 주행면에 인접시키거나 또는 주행면으로부터 떨어지지 않게 상기 충전기를 통해 상기 축전지를 자동적으로 충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필드를 따라 모형을 대기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 위치에서 축전지를 충전하므로 충전을 단시간내에 종료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모형이 필드를 따라 이동하며 게임을 수행하는 게임 장치에서, 상기 모형을 주행면을 따라 자주하는 자주 주행체에 결합하고 상기 주행면상을 주행시키고, 상기 자주 주행체에 주행 전원용 축전지를 탑재하고, 상기 모형의 대기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자주 주행체의 대기 위치에 충전기를 배치하며, 상기 자주 주행체의 축전지를 상기 대기 위치에서 상기 축전기를 통해 자동적으로 충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게임 종료후의 대기 상태에서 상기 축전지를 충전할 수 있다.
그리고, 축전지에 대하여 충전이 필요한지 여부의 충전 상황을 검출하는 충전 상황 검출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충전 상황 검출 수단에 의해 충전이 필요한 상황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대기 위치로 복귀한 자주 모형 또는 자주 주행체의 축전지를 상기 충전기를 통해 충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주행을 마친 상기 주행체를 자동적으로 상기 충전기로 이동시켜 용이하게 상기 축전지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형이 앞을 다투어 소정의 코스의 외측 또는 통과점의 내외 어느 한쪽을 주행하며 골인 지점에서 그 레이스 도착 순위를 다투는 게임 장치에서, 상기 모형이 주행하는 주행면의 외주 상방에 투명판을 장설(帳設)함으로써, 모형 주행면이 수면인 경우에 시야를 가리지 않으며 모형 주행에 동반되는 물보라로 물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출원 발명을 경정(競艇) 게임기에 적용한 제1 실시 형태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2는 경정 게임기의 수조의 요부 확대 측면도이다.
도3은 경정 게임기의 주행판을 제거한 상태의 경정 게임기의 평면도이다.
도4는 주행체의 측면도이다.
도5는 주행체의 평면도이다.
도6은 주행체의 저면도이다.
도7은 주행체의 배면도이다.
도8은 주행체의 정면도이다.
도9는 모터 보트 모형 및 예항체(曳航體)의 측면도이다.
도10은 도9의 평면도이다.
도11은 예항체의 평면도이다.
도12는 모터 보트 모형, 선수 모형, 예항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3은 도10의 XIII-XIII선을 따라 재단한 종단 측면도이다.
도14는 도10의 XIV-XIV선을 따라 재단한 횡단면도이다.
도15는 모터 보트 모형이 부상한 상태의 모터 보트 모형 및 예항체의 측면도이다.
도16은 모터 보트 모형 및 예항체의 항행시의 정면도이다.
도17은 충전 장치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18은 충전 장치의 전체 정면도이다.
도19는 충전 장치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20은 도18의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21은 경정 게임기 전체의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 도1 내지 도2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경정 게임기(1)의 상부에 설치되는 수조(4)는 길이 약 330cm, 폭 약 130cm, 깊이 약 5cm의 크기를 가지며, 청구항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길이 약 8cm, 폭 약 3.2cm의 크기의 모형인 모터 보트 모형(2)은 자주 주행체(50)와 결합되며, 다음에서 설명되듯이 수조(4)에 충진되어 있는 물(5) 위를 항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 모형인 모터 보트 모형(2)이 이용되는 경정 게임기(1)에서는 모터 보트 모형(2)상에 탑승 모형으로 선수 모형(3)이 탑승하고 있으며, 모의 경정장인 직사각형의 액조(液槽)인 수조(4)에는 액체인 물(5)이 채워지는데, 이 수조(4)의 길이 방향 양단 근처이며 또한 폭방향 중앙에는 턴 마크(6)가 위치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조(4)의 양측부의 스탠드 위치에 각각 4석의 세터라이트(7)가 배치되는데, 이 각 세터라이트(7)에는 표시 화면부(8)가 설치되는 동시에 그 앞측에 조작 패널(9), 코인 투입구(10) 및 코인 반출구(11)가 부설되며, 조작 패널(9)을 조 작하면 예상되는 입상정(入賞艇)에 단식 혹은 복식으로 투표할 수 있다.
아울러,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정 게임기(1)에는 수조(4)의 일단측에서 비스듬히 상방을 지향하는 지지부(12)의 상단에 천정(13)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천정(13)의 하면에 스피커(14) 및 조명 장치(15)가 배치되는 동시에 지지부(12)의 수조(4)측의 면에 디스플레이(16)가 배치되며, 이 디스플레이(16)에는 선수 모형(3)의 소개, 정번(艇番), 틀번호 및 내기율 등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4)의 저부에 두께 약 1cm의 주행판(17)이 장설되고, 이 주행판(17)의 상면에는 보는 방향이 달라지면 농담(濃淡)이 변화하는 홀로그램 시트가 장설되며, 이 홀로그램 시트의 하면에는 금 또는 은과 같은 금색 또는 은색으로 반사되는 금속 등이 증착되고, 상기 주행판(17)의 외주연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된 측벽(18)의 상부모서리(18a)가 수평으로 형성되어 수조(4)의 액위를 약 1cm로 설정하는데, 이 상부모서리(18a)에 의해 설정되는 액위를 넘는 액은 이 측벽(18)의 외주에 설치된 배수홈(19)으로 흐른다. 수조(4)에 뚫린 주수구(20)와 배수홈(19)에 뚫린 배수구(21)는 도시되지 않은 펌프를 통해 연통되며 수조(4)내의 수위(5a)가 측벽(18)의 상연(18a)보다 저하되면 도시되지 않은 수위 센서의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펌프가 가동되어 배수홈(19)내의 물(5)을 배수구(21)를 통해 흡입하고 주수구(20)를 통해 수조(4)내로 주수하여 수조(4)내의 수위(5a)가 측벽(18)의 상부모서리(18a)와 일치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주수구(20), 펌프 및 수위 센서는 액체 보충 수단을 구성한다.
아울러, 측벽(18)의 상부모서리(18a)에서 상방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투명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물방울 비산 방지 부재(22)가 배치되고, 또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판(17)의 하방에 소정 거리를 두고 주행판(17)의 하면과 거의 평행하게 지지면(23)이 평판 또는 대(臺) 등에 의해 형성되며, 그 외주도 도시되지 않은 측벽으로 둘러쌓여 주행판(17)과 지지면(23)의 사이에는 밀폐 공간(24)이 구성된다.
또한, 도9 및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형은 길이 약 8cm, 폭 약 3.2cm, 높이 약 3.5cm의 모터 모트 모형(2)과 예항체(25) 및 연결 수단(26)을 구비하는데, 수조(4)내의 주행판(17)상에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만든 예항체(25)가 적재되며 모터 보트 모형(2)과 예항체(25)는 연결 수단(26)을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밀폐 공간(24)내에 예항체(25)의 구동원인 자주 주행체(50)가 배치되고, 상기 예항체(25)에는 예항체측의 자력 결합 부재인 영구 자석(27)이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자주 주행체(50)의 선단부의 상기 영구 자석(27)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주행체측의 자력 결합 부재인 영구 자석(51)이 배치되며, 상기 영구 자석(27)의 하방 자극과 영구 자석(51)의 상방 자극은 각각 서로 다른 극이 되도록 설정되고, 영구 자석(27)간 및 영구 자석(28)간의 흡인 자력에 의해 예항체(25)와 자주 주행체(50)가 서로 결합되어 자주 주행체(50)의 주행에 추종하여 예항체(25)가 주행판(17)상을 주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9 내지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보트 모형(2)은 상호 결합되는 선체(28)와 갑판(29)을 구비하는데, 갑판(29)에는 하우징(30)과 윈도우(31)가 장착되어 있다. 하우징(30)은 우하우징 반체(30R)와 좌하우징 반체(30L)가 압입 결합 되어 구성되고, 양측 하우징 반체(30R, 30L)의 전방부의 사이에는 선수 모형(3)이 장착되는데, 상기 선수 모형(3)의 좌우 양측으로 연장된 지지축(3a)이 양측 하우징 반체(30R, 30L)의 구멍에 각각 저어널됨에 따라 모터 보트 모형(2)의 좌우 방향의 축선 둘레에 회동 자재로 지지되며, 아울러 양측 하우징 반체(30R, 30L)의 후부의 사이에는 정번 표시 부재(33)가 고정된다. 또한, 윈도우(31)는 갑판(29)의 구멍을 관통하는 윈도우(31)의 장착축(31a)이 선체(28)에 나사 고정됨으로써 선체(28) 및 갑판(29)에 고정된다.
수중에 잠기는 갑판(29)의 후단부의 하면에 양력 블레이드(34)가 설치되어 있다. 양력 블레이드(34)는 지지판(35)을 통해 갑판(29)에 고착되는데, 이들은 투명한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며 거의 삼각형상인 양력 블레이드(34)의 후방 모서리는 보다 크게 하방으로 경사져서 양력을 발생하기 쉬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수조내의 주행판(17)상을 주행하는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예항체(25)의 하면에 형성된 원주형의 오목부(36)에 수용되는 영구 자석(27)은 오목부(36)의 중심에 위치하며 예항체(25)와 일체로 성형된 유지축(38)에 회전 불능의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예항체(25)는 그 전단 부분이 서서히 두꺼워지는 형상으로, 아울러 영구 자석(27)을 오목부(36)내에 수용할 수 있는 범위에서 얇게 형성한 편평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영구 자석(27)의 하면측에는 저마찰 계수를 갖는 플라스틱, 예를 들면 4불화에틸렌수지로 제작된 커버(39)가 덮이는데, 이 커버(39)가 유지축(38)에 나사 고정됨에 따라 영구 자석(27)은 유지축(38)에 대하여 축방향 및 둘레 방향으로 이동 불능 상태로 예항체(25)에 고정된다.
영구 자석(27)을 덮는 예항체(25)의 활주 부재인 커버(39)는 예항체(25)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소정량 돌출되어 있고, 이 커버(39)와 주행판(17)의 저마찰 상태의 접촉에 의해 예항체(25)는 주행판(17)상을 미끄러져 주행할 수 있도록, 즉 활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주행판(17)과 접촉되는 커버(39)의 하면에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9)와 주행판(17)의 밀착 방지 수단인 격자형의 홈(39a)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커버(39)의 하면과 주행판(17)의 상면과의 사이에 약간의 물(5)의 유입 및 유출이 허용되어 커버(39)가 주행판(17)에 밀착되어 예항체(25)의 원활한 주행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 홈(39a)의 폭 및 깊이는 실험 등을 통해 적정하게 결정된다.
또한, 예항체(25)와 모터 보트 모형(2)을 연결하는 연결 수단(26)은 보트 지지축(40) 및 지지 부재(41)를 구비하며 모터 보트 모형(2)과 예항체(25)가 연결된 상태로 모터 보트(2)의 전단이 예항체(25)의 전단에 의해 전방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L자형 보트 지지축(40)은 예항체(25)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된 기부(40a)와, 그 상단이 전방으로 직각으로 절곡된 절곡부(40b)를 가지며, 기부(40a)의 하단이 예항체(25)의 후부에 고착되어 있다.
지지 부재(41)는 모터 보트 모형(2)의 선체(28)와 갑판(29)에 의해 구성되는 공간내에 배치되며 선체(28)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피벗지지부에서 피벗되는데, 지지 부재(41)는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추축(樞軸)(42), 지지 부재(41)와 모터 보트 모형(2)과의 상대 회동을 허용하는 간극을 두고 윈도우(31)의 장착축(31a)이 관통하는 원형 구멍(43), 선수 모형(3)의 동작을 제어하는 탑승 모형 제어 수단인 선수 모형 조작부(44), 보트 지지축(40)의 기부(40a)의 상단부 및 절곡부(40b)가 끼워지는 블록(45) 및 스프링 받이(46)가 설치되어 있다.
추지부는 선체(28)의 전방부에 설치된 좌우 1쌍의 돌출부에 각각 설치되는데, 추축(42)의 양단을 수용하는 홈(28a)과 추축(42)이 홈(28a)에서 이탈되는 방지하기 위하여 홈(28a)의 개구에 대향하는 부분인 갑판(29)의 하면에 형성된 좌우 1쌍의 볼록부(29a)로 구성된다. 따라서, 지지 부재(41)에 대하여 모터 보트 모형(2)이 추축(42)을 중심으로 그 좌우 방향의 축선 둘레에 회동 자유롭게, 즉 전후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블록(45)은 지지 부재(41)와 일체로 형성된 우블록 반체(45R)와 좌블록 반체(45L)가 압입 결합되어 구성되며, 각 블록 반체(45R, 45L)에는 보트 지지축(40)의 기부(40a)의 상단부 및 절곡부(40b)가 수용되는 결합구멍(47)을 형성하는 홈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보트 지지축(40)이 블록(45)의 결합구멍(47)에 계합되며 또한 모터 보트 모형(2) 및 지지 부재(41)가 후술되는 것처럼 양력 블레이드(34)에 작용하는 양력에 의해 일체화된 상태로 보트 지지축(40)에 대하여 모터 보트 모형(2)이 그 좌우 방향의 축선 둘레의 설정 범위에서 회동 자유롭게 피치 운동할 수 있도록, 그리고 그 전후 방향의 축선 둘레의 설정 범위에서 회동 자유롭게 롤 운동할 수 있도록 결합구멍(47)에는 결합구멍(47)과 보트 지지축(40)의 사이에 피치 운동 방향의 간극(47a)(도13 참조) 및 롤 운동 방향의 간극(47b)(도14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선수 모형 조작부(44)는 하우징(30)에 대하여 회동 자유로운 선수 모형(3)과 접촉하는 돌기로 이루어지는데, 지지 부재(41)에 대한 모터 보트 모형(2)의 회동에 따라 선수 모형 조작부(44)는 선수 모형(3)과 접촉하여 비조종 자세(도9 참조) 및 조종 자세(도15 참조)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선수 모형 조작부(44)는 선수 모형(3)의 지지축(3a)에 의해 형성되는 회동 중심보다 전방 위치에서 선수 모형(32)과 접촉하고, 아울러 선수 모형(3)의 중심은 그 회동 범위에서 항상 상기 회동 중심보다 전방에 위치함에 따라 선수 모형(3)은 항상 선수 모형 조작부(44)와 접촉된다.
또한, 지지 부재(41)의 후단부의 스프링 받이(46)와 하우징(30)에 고정된 정번 표시 부재(33)의 하면에 설치된 스프링 받이(33a)의 사이에 코일 스프링(48)이 압축 상태로 장착되는데, 그 스프링력에 의해 모터 보트 모형(2)이 거의 수평 상태로 있는 상태(도15 참조)에서는 모터 보트 모형(2)의 자중으로 인한 추축(42) 둘레의 시계 방향의 모멘트보다 작은 크기의 반시계 방향의 모멘트가 발생된다. 이로인해 모터 보트 모형(2)의 항행시, 양력 블레이드(34)에 작용하는 양력이 모터 보트 모형(2)의 자중으로 인한 시계 방향의 모멘트와 코일 스프링(48)의 스프링력으로 인한 반시계 방향의 모멘트와의 차를 능가하는 반시계 방향의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크기가 되면, 모터 보트 모형(2)이 추축(42)을 중심으로 지지 부재(41)에 대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도15에 도시되는 거의 수평 자세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 보트 모형(2)이 정지하고 있을 때에는 모터 보트 모형(2)은 자중으로 코일 스프링(48)을 압축하며 양력 블레이드(34)가 주행판(17)에 접촉하고 지지 부재(41)에 대한 모터 보트 모형(2)의 회동이 제한되는 상태인 도9에 도시된 경사 위치를 잡는데, 이때 선수 모형 조작부(44)는 선수 모형(3)의 접촉부인 팔에 접촉하여 선수 모형(3)을 비조종 자세로 위치시킨다. 이 비조종 자세에 있을 때에 선수 모형(3)의 일부는 지지 부재(41)의 선수 모형 조작부(44)와 블록(45)의 사이에 형성된 원형 구멍(49)에 수용된다.
모터 보트 모형(2)이 항행하고 있을 때에는 그 항행 속도의 증대에 따라 양력 블레이드(34)에 양력이 발생하는데, 코일 스프링(48)의 스프링력이 양력 블레이드(34)에 작용하는 양력으로 인한 모터 보트 모형(2)의 반시계 방향의 회동을 지원하듯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모터 보트 모형(2)이 수조의 수면(5a)상을 항행하는 정도의 항행 속도라도 양력 블레이드(34)에 작용하는 양력에 의해 모터 보트 모형(2)은 지지 부재(41)에 대하여 추축(42)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그리고, 양력이 충분히 커지면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판(29)의 후단이 지지 부재(41)의 후단에 접촉하여 지지 부재(41)에 대한 모터 보트 모형(2)의 반시계 방향의 회동을 제한함에 따라 모터 보트 모형(2)은 거의 수평 상태가 되고, 모터 보트 모형(2)과 지지 부재(41)가 일체적으로 움직이는 동시에 선수 모형 조작부(44)에 의해 선수 모형(3)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조종 자세를 취하게 된다.
다음에는 도4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자주 주행체(50)에 대하여 설명한다.
길이 약 10cm, 폭 약 4.5cm, 높이 약 12cm의 자주 주행체(50)는 롤러(53)와 승강대(54)로 분리되어 있는데, 주행체 본체인 롤러(53)의 전후좌우 4 모서리에 승강 안내축(55)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승강 안내축(55)에 각각 압박 수단인 압박 코일 스프링(56)이 헐겁게 끼워지며, 상기 승강 안내축(55)의 선단으로부터 승강대(54)가 승강 자유롭게 끼워맞춰지고, 승강대(54)는 압박 코일 스프링(56)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방, 즉 주행판(17)의 하면을 향해 압박되며, 이 압박력에 의해 다음에 설명되는 주행 후차륜(61)과 주행판(17)의 하면에 소정의 마찰력이 작용하며 자주 주행체(50)는 소요의 구동력을 가지고 주행된다. 그리고, 이 압박 코일 스프링(56)에는 스프링 정수가 작은 것이 사용되어 소정의 스프링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주행판(17)의 하면과 지지면(23)의 간격이 변화하는 경우에도 승강대(54)를 압박하는 스프링력의 변화는 작게 된다.
또한, 롤러(53)의 전방부 하면에는 캐스터 전차륜(57)이 수직축을 중심으로 선회 자유롭게 피벗지지되고, 롤러(53)의 후부 하면에 후차륜(58)이 피벗부착되며, 롤러(53)의 전방부 상방에 리튬 이온 전지(59)가 측방으로부터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이 리튬 전지(59)는 전지 본체 뿐만 아니라 충방전할 때에 전지 본체내에 큰 이상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보호 회로를 구비한다.
아울러, 승강대(54)의 전방부 상면에 캐스터 주행 전차륜(60)이 수직륜을 중심으로 선회 자재로 피벗지지되고, 승강대(54)의 후부 상면에 좌우 한쌍의 구동 차 륜인 주행 후차륜(61)이 피벗지지되며, 그 하방에 좌우 한쌍의 주행 모터(62)가 배치되는데, 상기 주행 모터(62)의 회전축과 주행 후차륜(61)의 회전축은 각각 감속 기어 기구(63)(도5에서 일부 표시됨)를 통해 접속되고, 주행 모터(62)의 동력에 의해 주행 후차륜(61)이 회전 구동되며, 좌우 한쌍의 모터(62)의 회전 속도차를 통해 자주 주행체(50)는 소정의 방향으로 방향을 제어하며 주행시킬 수 있다.
또한, 영구 자석(51)과 주행 전차륜(60)의 중간에 위치하는 승강대(54)에 보트 회전 모터(64)가 배치되는데, 상기 보트 회전 모터(64)는 감속 기어 기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영구 자석(51)에 접속되며, 보트 회전 모터(64)에 의해 승강대(54)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는 영구 자석(51)이 회전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트 회전 모터(64)에 의해 영구 자석(51)이 회전 구동되면 흡인 자력에 의해 영구 자석(27)이 회전하고, 또한 예항체(25), 보트 지지축(40), 블록(45), 선체(28) 및 갑판(29)을 통해 모터 보트 모형(2)이 예항체(25) 및 자주 주행체(50)에 대하여 회전된다.
아울러, 롤러(53)의 후단 하면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충전용 단자(65)가 설치되는 동시에 그 상방의 롤러(53)의 후단 상면에도 b접점 전원 스위치(66)가 설치되며, 상기 충전용 단자(65)에 인접하게 리튬 이온 전지(59)의 충전 상황을 송신하는 적외선 송신기(67)가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롤러(53)의 4모퉁이에 위치하며 다음에 설명될 LED(86)로부터의 주행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기(68)가 설치되고, 아울러 자주 주행체(50)의 위치를 발신하는 발진 코일(69)이 전후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3개의 충전용 단자(65)중 1개의 충전용 단자는 다음에 설명될 충전 장치(70)로부터 리튬 이온 전지(59)로 충전 전압을 인가하며 충전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정극 단자이고, 다른 1개의 충전용 단자는 리튬 이온 전지(59)내의 충전 상황 데이터를 충전 장치(70)로 송신하기 위한 신호 송신 단자이며, 또 따른 하나의 충전용 단자는 상기 정극 단자 및 신호 송신 단자에 대한 어스 단자이다.
다음에는 지지면(23)상의 일단(도3에서 좌단)에 배치되는 충전 장치(7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3 및 도17 내지 도21에서, 기판(71)의 전방(도3, 도17에서는 우방)에 자주 주행체(50)의 폭보다 약간의 간격을 갖는 7개의 가이드편(72)이 돌출되어 있는데, 상기 가이드편(72)의 양측{단부의 가이드편(72)에서는 내측}에는 가이드 판 스프링(73)이 설치되며, 각 충전 장치(70)에 6개의 자주 주행체(50)가 가이드편(72) 사이에 헐겁게 끼워져서 대기 위치에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가이드편(72)의 기부의 중앙에 상기 전원 스위치(66)를 오프시키는 스트라이커(74)가 설치되는 동시에 그 하방에 상기 3개의 충전용 단자(65)와 각각 접속되는 접속 단자(75)가 설치되는데, 상기 접속 단자(75)에 인접하게 상기 적외선 송수신기(67)의 충전 상황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송수신기(76)가 설치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경정 게임기(1)의 제어 장치(80)에 대하여 도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경정 게임기(1)의 본체내인 주행판(17)의 하방에 게임 보드(81), 캐리어 제어 유니트(82), 전원(83), 디지타이저 처리 유니트(84), 위치 검출용 디지타이저 처리 유니트(85), 주변 제어 유니트(87), 충전 제어 유니트(88) 및 분수용 펌프(89)가 설치되는데, 경정 게임기(1)의 본체 밖의 세터라이트(7)로부터 메달의 투입 정보, 모터 보트 모형(2)의 입상정에 단식 혹은 복식으로 투표된 투표 정보가 게임 보드(81)로 입력되며 게임 종료후의 배당 정보가 게임 보드(81)로부터 세터라이트(7)로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6)에는 게임 보드(81)에서 계산 처리된 모터 보트 모형(2)의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시합에 참가한 6척의 모터 보트 모형(2)의 확대 화면 정보가 송신되는 동시에 투표 결과에 따른 배율 정보나 게임 종료후의 배당 정보가 송신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게임 보드(81)에서는 각 모터 보트 모형(2)에 승선하는 각 선수 모형(3)의 과거의 바람, 파도 등의 각 기상 조건에서의 선수 모형(3)의 타임, 착순 등의 데이터에 의거하여 오즈(odds)가 산출되며, 이 오즈에 대응하는 확률을 가지고 모터 보트 모형(2)의 착순을 미리 결정한다.
그리고, 게임 보드(81)에서는 모터 보트 모형(2)이 일제히 도움닫기를 하면서 스타트 라인을 동시에 통과하도록 모터 보트 모형(2)의 항행 개시 시각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의 각 모터 보트 모형(2)의 위치 데이터가 산출되고, 이 산출 위치 데이터는 게임 보드(81)로부터 캐리어 제어 유니트(82)로 송신되며, 또한 이 시각에서의 각 모터 보트 모형(2)의 검출 위치 데이터가 캐리어 제어 유니트(82)로 부터 게임 보드(81)로 송신되는데, 이 산출 위치 데이터와 검출 위치 데이터가 소정 시간마다 차례 차례 송신되며, 모터 보트 모형(2)이 스타트 라인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이러한 송신이 반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이후, 게임 보드(81)에서는 각 모터 보트 모형(2)의 특징, 즉 선행형, 추격형 등에 따라 스타트 라인 통과후의 각 모터 보트 모형(2)의 각 시각마다의 위치 데이터가 차례 차례 산출되며, 골인 지점에서 미리 결정된 순위로 모터 보트 모형(2)이 도달하도록 게임 보드(81)에서는 그 후의 각 모터 보트 모형(2)의 각 시각마다의 위치 데이터가 차례 차례 산출되고, 이 산출 위치 데이터가 게임 보드(81)로부터 캐리어 제어 유니트(82)로 송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밀폐 공간(24)내의 지지면(23)에 경정 게임기(1)의 길이 방향(X) 및 경정 게임기(1)의 폭 방향(Y)을 따라 격자형으로 전선이 배치되는데, 자주 주행체(50)의 발진 코일(69)로부터 발신되는 위치 신호를 이 격자 전선을 통해 X, Y방향의 디지타이저 처리 유니트(84, 85)가 수신하고, 캐리어 제어 유니트(82)를 통해 게임 보드(81)로 자주 주행체(50)의 X, Y방향 위치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게임 보드(81)에서는 게임 전개중의 각 모터 보트 모형(2), 즉 각 자주 주행체(50)의 현재 설정 위치와 디지타이저 처리 유니트(84, 85)로부터 송신되는 현재 검출 위치와의 어긋남이 없도록 캐리어 제어 유니트(82)로 위치 지령 데이터를 송신하고, 캐리어 제어 유니트(82)에서는 LED(86)로 자주 주행체(50)로 송신할 지령 신호가 송신되는데, 상기 LED(86)는 적외선 캐리어 지령을 발신하는 동 시에 모터 보트 모형(2)을 드리프트시키기 위한 선회 지령 신호를 발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캐리어 제어 유니트(82)로 송신된 각 모터 보트 모형(2), 즉 자주 주행체(50)의 산출 위치 데이터는 직렬로 LED(86)로부터 밀폐 공간(24)내로 적외선 신호로서 발신되고, 각 자주 주행체(50)는 자기의 산출 위치 데이터만을 각각 선택하여 수신하며, 좌우의 주행 후차륜(61)을 각각 소요의 회전 속도로 회전시켜 소요의 산출 위치로 자주 주행체(50)를 주행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모터 보트 모형(2)의 항행중에 선회 부분에 접어들었을 때에 게임 보드(81)로부터 드리프트 신호를 수신하면 모터 보트 모형(2)을 드리프트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게임 보드(81)로부터 주변 제어 유니트(87)로 충전, 분수 등을 제어하는 지령 신호가 발신되는 동시에 이러한 데이터가 주변 제어 유니트(87)로부터 게임 보드(81)로 송신되고, 상기 주변 제어 유니트(87)에서 분수용 펌프(89) 및 턴 마크(6)의 동작·비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충전 제어 유니트(88)는 주변 제어 유니트(87)와 지령이나 데이터의 교신을 수행하며 자주 주행체(50)에 탑재된 리튬 이온 전지(59)로의 충전을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게임 보드(81)는 레이스 종료후의 모터 보트 모형(2), 즉 자주 주행체(50)를 경정 게임기(1)의 일단(도3, 도21에서는 좌단)의 대기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캐리어 제어 유니트(82)를 통해 LED(86)로 주행 신호를 발신하도록 구성되어 있 다.
또한, 게임 보드(81)로부터 캐리어 제어 유니트(82)와 LED(86)를 통해 발신된 주행 제어 신호에 의해 경정 게임기(1)의 대기 위치로 복귀한 자주 주행체(50)는 충전 장치(70)의 가이드편(72)의 사이로 진입하는데, 자주 주행체(50)의 충전 단자(65)가 충전 장치(70)의 접속 단자(75)에 접근하면 자주 주행체(50)의 주행이 정지되고, 이 정지 위치에서 자주 주행체(50)에 탑재된 리튬 이온 전지(59)의 충전 잔량이 자주 주행체(50)의 적외선 송수신기(67)로부터 충전 장치(70)의 적외선 송수신기(76)로 적외선 신호로서 송신되며, 리튬 이온 전지(59)의 충전 잔량이 30%이상인 경우에는 충전이 필요하지 않아 그 정지 위치에서 자주 주행체(50)는 정지하며 다음 레이스의 출전에 대비하여 대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리튬 이온 전지(59)의 충전 잔량이 30%이하인 경우에는 충전이 필요하여 다음에 설명될 충전 상태가 되고, 대기중인 다른 그룹의 6척의 모터 보트 모형(2)이 다음 레이스에 참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충전 상태에서는 게임 보드(81)로부터 캐리어 제어 유니트(82)와 LED(86)를 통해 발신되는 후퇴 신호에 따라 자주 주행체(50)는 충전 장치(70)를 향해 더욱 후퇴하여 접근하는데, 자주 주행체(50)의 충전 단자(65)가 충전 장치(70)의 접속 단자(75)에 접속되는 동시에 자주 주행체(50)의 전원 스위치(66)의 레버(66a)가 충전 장치(70)의 스트라이커(74)에 눌려 전원 스위치(66)가 오프되면 자주 주행체(50)는 정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충전 상태에서는 리튬 이온 전지(59)의 충전 잔량, 밧데리 단자 전압, 밧데리 온도 등의 데이터가 3개의 충전 단자(65)내의 신호 송신 단자 및 어스 단자와, 이에 접속되는 접속 단자(75)를 통해 충전 제어 유니트(88)로 송신되며, 이 충전 데이터에 의거하여 충전 제어 유니트(88)로부터 충전 전압이 3개의 충전 단자(65)내의 정극 단자와 어스 단자 및 이들 충전 단자(65)의 단자에 접속되는 접속 단자(75)를 통해 리튬 이온 전지(59)의 전극에 인가된다.
이 충전 전압은 리튬 이온 전지(59)의 설정 전압보다 낮은 예비 충전 전압과 이 설정 전압보다 높은 급속 충전 전압의 2단계로 나누어지는데, 초기 단계에서는 예비 충전 전압으로 소정 기간 충전이 수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리튬 이온 전지(59)의 전압이 소정 전압에 도달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이 정지되거나, 또는 리튬 이온 전지(59)로의 충전 전류가 소정 전류치에 도달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이 정지되는 등의 충전 방법으로 리튬 이온 전지(59)로의 충전이 수행된다.
아울러, 충전 장치(70)에 의한 리튬 이온 전지(59)로의 충전이 완료된 이후에 그 값으로 대기 상태가 되고, 교대한 다른 자주 주행체(50)군의 충전 잔량이 30%이하가 되면 대기중인 자주 주행체(50)군과 레이스중인 자주 주행체(50)군이 교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리튬 이온 전지(59)의 충전 잔량은 리튬 이온 전지(59)의 충전량에서 자주 주행체(50)의 주행에 동반되는 소비 전력량을 차례로 감산하여 구해지거나 혹은 전지 전압치로 추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충전 상태가 되면 충전 장치(70)의 접속 단자(75)로부터 자주 주행체(50)의 충전용 단자(65)를 통해 리튬 이온 전지(59)로 충전 전류가 공급되고, 리튬 이온 전지(59)가 충전되어 소요의 충전 완료 상태가 되면 자동적으로 충전이 정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경정 게임기(1)의 설치 장소의 개점에 앞서 경정 게임기(1)로 전원이 투입되면 각 자주 주행체(50)는 각각의 충전 위치로 이동하며 충전잔량이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고, 충전이 필요하다고 검출된 자주 주행체(50)만이 후방으로 이동하며 단자를 접촉하여 리튬 이온 전지를 충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1 내지 도21에 도시된 실시 형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경정 게임기(1)로 전원이 투입되면 조명 장치(15)가 점등되는 동시에 디스플레이(16)에 경정의 실황 상황이 표시되고, 아울러 스피커(14)로부터 팡파르나 선수 소개 등이 아나운스되며, 6척의 모터 보트 모형(2)이 스타트 부근에 모인다.
경정 게임기(1)의 게임 보드(81)로부터 출력되는 바람, 파도의 상황, 모터 보트 또는 경정 선수의 과거의 데이터 등이 디스플레이(16)에 표시되는 동시에 이들 데이터에 의거한 오즈가 게임 보드(18)에서 산출되어 디스플레이(16)에 표시되며, 또한 이 오즈에 대응하는 확율로 착순이 산출 결정된다{이 착순은 당연히 디스플레이(16)에는 표시되지 않는다}.
한편, 플레이어는 각 세터라이트(7)의 앞에 서서 메달을 투입한 후에 디스플레이(16)에 표시된 오즈나 그 이외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어느 모터 보트 모형(2) 또는 선수 모형(3)이 입상할지를 메달의 투입 장수에 따라 투표하고 스타트를 기다 린다.
스타트 시기가 되면 6척의 모터 보트 모형(2)이 스타트 라인을 향해 도움닫기하며 스타트 신호가 떨어진 이후에 스타트 라인을 넘어 항행하는데, 각 모터 보트 모형(2)의 선행형, 추격형 등의 특징에 따라 게임 보드(81)로부터 산출된 위치 데이터가 캐리어 제어 유니트(82) 및 LED(86)를 통해 자주 주행체(50)로 송신되고, 각 자주 주행체(50)는 직렬로 자신에게 송신된 산출 데이터에 의거한 좌우의 주행 후차륜(61)의 회전 속도로 산출 위치를 향해 각각 주행한다.
그 결과, 각 모터 보트 모형(2)은 여러 가지 코스를 지나며 쫓고 쫓기면서 실제 경정과 동일한 레이스 전개를 전개함에 따라 플레이어는 경정에서 관전한 것과 같은 스릴을 맛볼 수 있다.
투표가 끝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레이스가 개시되면 각 모터 보트 모형(2)은 일제히 스타트하여 게임 보드(81)에서 미리 설정된 레이스 전개에 의거하여 쫓고 쫓기는 경주를 수행한다.
6척의 모터 보트 모형(2)이 골인했을 때에 스피커(14)로부터 팡파르가 울리고, 디스플레이(16)에 도착 순위가 표시되는 동시에 배당금이 표시되며, 당첨된 세터라이트(7)에는 그 배당금이 가산된다.
그리고, 게임을 종료한 모터 보트 모형(2)의 하방의 자주 주행체(50)는 경정 게임기(1)의 밀폐 공간(24)내의 일단에 설치된 충전 장치(70)로 되돌아가며, 가이드편(72)의 사이를 뒤로 주행하고, 스트라이커(74), 접속 단자(75), 적외선 송수신기(76)에 접근하면 정지한다.
이 정지 위치에서 자주 주행체(50)의 적외선 송수신기(67)와 충전 장치(70)의 적외선 송수신기(76)간에는 자주 주행체(50)에 탑재된 리튬 이온 전지(59)의 충전 정보의 교신이 이루어지는데, 충전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위치에서 자주 주행체(50)는 대기하나,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그 정보가 충전 제어 유니트(88)로부터 주변 제어 유니트(87)를 통해 게임 보드(81)로 보내지고, 상기 게임 보드(81)로부터 캐리어 제어 유니트(82)를 통해 LED(86)로 후퇴 주행 제어 신호가 송신되며, 상기 후퇴 주행 제어 신호를 자주 주행체(50)의 적외선 수신기(68)가 수신하여 자주 주행체(50)가 후퇴하면 자주 주행체(50)의 충전용 단자(65)가 충전 장치(70)의 접속 단자(75)에 접촉하여 접속되는 동시에 자주 주행체(50)의 전원 스위치(66)는 충전 장치(70)의 스트라이커(74)에 의해 오프된다. 그리고, 충전 장치(70)로부터 접속 단자(75) 및 자주 주행체(50)의 충전용 단자(65)를 통해 리튬 이온 전지(59)로 충전 전류가 공급되며, 충전이 완료되면 자동적으로 충전 장치(70)는 충전 동작을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는 전원 스위치(66)가 오프되기 때문에 경정 게임기(1)가 장기간 또는 장시간 가동 상태를 정지하여도 리튬 이온 전지(59)의 자연 방전은 저지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6대 1조의 자주 주행체(50)중의 어느 1대 또는 복수대의 자주 주행체(50)의 리튬 이온 전지(59)가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 다른 자주 주행체(50)의 리튬 이온 전지(59)도 동시에 충전이 실시되기 때문에 1조의 자주 주행체(50)의 리튬 이온 전지(59)의 충전 상태가 항상 균일에 가까운 상태로 유지되어 레이스의 전개에 지장을 주지 않으며 또한 충전 관리가 간단하다.
레이스에 참가하는 모터 보트 모형(2)의 자주 주행체(50)가 연속하여 주행하는 경우, 이 자주 주행체(50)의 리튬 이온 전지(59)가 만충전 상태에서 30% 잔량충전 상태에 도달하는 데에 필요한 시간보다 대기 위치에서 충전 장치(70)로부터 30% 잔량충전 상태의 자주 주행체(50)의 리튬 이온 전지(59)가 충전되어 만충전 상태에 달하는 데에 필요한 시간이 더 짧기 때문에 경정 게임기(1)를 연속적으로 가동시키는 경우에도 12개의 자주 주행체(50)의 리튬 이온 전지(59)가 1개라도 충전이 부족하지는 않다.
또한, 모든 리튬 이온 전지(59)가 항상 30% 이상의 잔량충전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경정 게임기(1)가 설치된 게임장이 야간 개점하고, 그 이후 수일간 휴점하여 장기간에 걸쳐 게임장 전원이 차단되어도 리튬 이온 전지(59)가 과방전되어 손상되는 일은 피할 수 있다.
리튬 이온 전지(59)의 본체 자체의 자기 방전량은 극히 낮으며, 이 리튬 이온 전지(59)에 부설되는 보호 회로의 소비 전력이 근소하기 때문에 전술과 같은 과방전으로 인한 리튬 이온 전지(59)의 손상을 확실하게 저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자주 주행체(50)에는 발진 코일(69)이 전후 2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자주 주행체(50)의 위치 뿐만 아니라 방향도 확실하게 검출되어 모터 보트 모형(2)의 항행을 보다 고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6대 1조의 자주 주행체(50)중의 어느 1대 또는 복수대의 자주 주행체(50)의 리튬 이온 전지(59)가 충전이 필요한 경우, 그 충전이 필요한 리튬 이온 전지(59)만을 충전하여도 되는데, 이렇게 하면 충전이 필요하지 않는 리튬 이 온 전지(59)의 충전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사용 조건에서 충전 횟수를 줄여 리튬 이온 전지(59)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로서, 충전이 필요한 자주 주행체(50)의 리튬 이온 장치(59)만을 충전하여도 되는데, 이 경우에 남은 1조의 자주 주행체(50)중의 1대의 자주 주행체(50)를 대신에 레이스에 참가시켜도 된다면 다른 조의 자주 주행체(50)가 레이스에 참가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레이스 종료 이후에 자동적으로 충전 장치(70)을 향해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수동 원격 제어로 자주 주행체(50)를 충전 장치(70)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아울러, 충전 장치(7)에 접근한 자주 주행체(50)의 리튬 이온 전지(59)가 수동 제어를 통해 충전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 자주체는 자주 주행체(50)이며 상기 자주 주행체(50)의 주행에 추종하여 모터 보트 모형(2)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모터 보트 모형(2)이 자주 주행체로서 축전지를 탑재한 것이어도 좋은데, 이 경우에 모터 보트 모형(2)은 관객에게 보이지 않도록 차단물로 덮인 수조(4)의 물로부터 상방으로 떨어진 장소로 유도되어 충전 장치(70)에 의해 충전되도록 구성하면 된다.
아울러, 모터 보트 모형(2) 대신에 경마 모형으로 구성하여도 되는데, 이 경주마 모형은 도시한 실시 형태와 같이 주행판(17)의 상방에 배치되는 자주 주행체(50)에 추종하여 주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되고, 또한 경주마 모형 의 하방에 자주 주행체(50)를 일체적으로 설치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자주 주행체(50)에 탑재된 리튬 이온 전지(59)의 충전 상태를 검출하여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 충전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었으나, 자주 주행체(50)가 소정 시간 주행하거나 혹은 소정 거리 주행한 것을 검출하고, 이 검출에 따라 자주 주행체(50)의 리튬 이온 전지(59)의 충전을 자동적으로 혹은 수동 제어를 통해 수행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아울러,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충전을 수행하는 경우에 자주 주행체(50)의 전원 회로를 자동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었으나, 충전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도 장시간 또는 장기간 경정 게임기(1)의 가동이 정지하는 경우에 자주 주행체(50)를 충전 장치(70)로 후퇴시켜 스트라이커(74)를 통해 자주 주행체(50)의 전원 스위치(66)를 오프시키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모터 보트 모형(2)이 착순을 다투는 경쟁 게임 장치였으나, 축구, 폴로 등 필드상을 플레이어가 달려서 경쟁하는 스포츠를 모의한 게임 장치에도 본 출원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레이스 전개중인 전 모터 보트 모형(2)의 주행 제어를 게임 보드(81)가 각 시각마다 집중해서 연산 처리하고, 각 모터 보트 모형(2)의 산출 위치 데이터를 캐리어 제어 유니트(82)로 송신하며, 각 모터 보트 모형(2)의 검출 위치 데이터와 각 모터 보트 모형(2)에서 검출되는 검출 위치 데이터에 의거하여 캐리어 제어 유니트(82)가 계산하고, 각 모터 보트 모형(2)에 있어서의 좌우 1쌍의 주행 후차륜(61)의 회전 속도를 각 모터 보트 모형(2)으로 송신하여 각 모터 보트 모형(2)을 각각 주행시키나, 자주 주행체(50)에 CPU와 메모리를 탑재하고, 이 CPU의 처리 능력 및 메모리의 기록 능력이 현저히 높은 경우에는 각 모터 보트 모형(2)의 주행 지시 데이터를 각 모터 보트 모형(2)의 메모리에 각각 기록하고, CPU의 동작으로 각각의 게임 보드(81)에서 각 모터 보트 모형(2)으로 주어지는 주행 패턴을 따라 각 모터 보트 모형(2)이 각각 자율적으로 주행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모터 보트 모형(2) 및 자주 주행체(50)가 모두 평면형 주행판(17) 및 지지면(23)상을 따라 주행하나, 기(起)형이 있는 주행판이나 지지자(支持者)상을 모터 보트 모형(2) 및 자주 주행체(50)가 주행하도록 구성하여도 되는데, 이 경우에 자주 주행체(50)에 부설되는 영구 자석(51)을 펑크 그래프 등을 통해 신축 자재로 승강시켜 예항체(25)의 영구 자석(27)에 항상 접근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게임 전개가 게임 보드(81)에서 그 때마다 위치 데이터를 산출하고 최종적으로는 미리 결정된 착순으로 골인하도록 구성되어 있었으나, 미리 결정된 착순으로 골인하는 게임 전개를 미리 몇 종류 준비하고, 이를 게임 보드(81)에서 무작위로 선정하며, 이 게임 전개에 따라 각 모터 보트 모형(2)을 항행시키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모터 보트 모형(2)과 별체의 자주 주행체(50)에 리튬 이온 밧데리(59)를 착탈 자유롭게 설치하나, 자주 주행체(50)에 말모형 등의 모형을 착탈 자유롭게 설치하는 동시에 이 자주 주행체 또는 모형에 리튬 이온 밧데리 를 착탈 자유롭게 설치하여도 되는데, 이와 같이 구성하면 수명이 서로 다른 자주 주행체, 모형 및 리튬 이온 밧데리를 수명이 다한 순서대로 순차 교환하면 이 3개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모형을 자주 주행체에 일체로 형성하면 코스트가 싸지고 강성이 높아지며 아울러 주행판을 사이에 두고 모형과 자주 주행체를 배치하지 않기 때문에 기(起)형이 있는 주행자를 자유롭게 주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게임 장치 또는 게임 설비에 이용되는 자주체에 탑재된 축전지를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도록 된 자주 구동 장치 및 게임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27)
- 자주체(50)는 지지면(23) 상에서 지지면을 따라 자주체를 자주시키기 위한 축전지(59)를 갖고, 자주체가 지지면(23)을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충전 장치(70)가 제공되고, 자주체(50)가 지지면(23)에 인접하거나 또는 지지면으로부터 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축전지(59)가 충전 장치(70)에 연결되어 충전 장치(70)에 의해 충전되게 하는, 게임 장치용 자주체 구동 장치에 있어서,상기 지지면(23)은 게임이 끝난 후에 자주체(50)가 주행할 수 있게 하는 대기 위치를 갖고,상기 자주체 구동 장치는,자주체(50)가 상기 대기 위치에 도달했을 때 축전지(59)의 충전 잔량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자주체 상에 제공된 출력 수단(67)과,자주체(50)가 상기 대기 위치에 있을 때 출력 수단(67)으로부터 충전 잔량의 상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충전 장치(70)에 제공된 입력 수단(76)과,충전 잔량의 신호가, 축전지(59)의 충전 잔량이 소정량보다 적음을 지시할 때 충전이 필요하다는 것을 결정하고, 충전이 필요하다는 것을 결정할 때 자주체(50) 상의 충전 단자(65)가 축전지(59)의 충전을 수행하도록 충전 장치(70)의 접속 단자(75)에 접속되는 방식으로 자주체(50)가 상기 대기 위치에서 상기 충전 장치(70)로 이동하게 하는 충전 제어 유니트(8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체 구동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자주체(50)는 자주체(50)가 이동되어 자주체(50) 상의 충전 단자(65)가 충전 장치(70)의 접속 단자(75)와 접속될 때 자주체(50)를 정지시키도록 끊어지는 전원 스위치(6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체 구동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단자(65) 및 상기 접속 단자(75)는 3세트의 단자를 형성하고, 단자들 중 제1 세트는 충전용 단자이고, 제2 세트는 축전지(59) 내의 충전 잔량을 송신하기 위한 단자이고, 제3 세트는 상기 제1 세트 및 제2 세트의 단자들을 위한 어스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체 구동 장치.
- 도착 순서를 다투기 위해 목표 지점을 향해 코스를 따라 주행하는 복수의 모형(2)을 갖고, 각각의 상기 모형(2)은 자주체(50) 상의 축전지(59)에 의해 지지면 상에서 지지면(23)을 따라 자주하는 자주체(50)에 의해 주행되고, 자주체가 지지면(23)을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충전 장치(70)가 제공되고, 자주체(50)가 지지면(23)에 인접하거나 또는 지지면으로부터 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축전지(59)가 충전 장치(70)에 연결되어 충전 장치(70)에 의해 충전되게 하는, 게임 장치에 있어서,상기 지지면(23)은 게임이 끝난 후에 자주체(50)가 주행할 수 있게 하는 대기 위치를 갖고,상기 게임 장치는,자주체(50)가 상기 대기 위치에 도달했을 때 축전지(59)의 충전 잔량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자주체 상에 제공된 출력 수단(67)과,자주체(50)가 상기 대기 위치에 있을 때 출력 수단(67)으로부터 충전 잔량의 상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충전 장치(70)에 제공된 입력 수단(76)과,충전 잔량의 신호가, 축전지(59)의 충전 잔량이 소정량보다 적음을 지시할 때 충전이 필요하다는 것을 결정하고, 충전이 필요하다는 것을 결정할 때 자주체(50) 상의 충전 단자(65)가 축전지(59)의 충전을 수행하도록 충전 장치(70)의 접속 단자(75)에 접속되는 방식으로 자주체(50)가 상기 대기 위치에서 상기 충전 장치(70)로 이동하게 하는 충전 제어 유니트(8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0-00046566 | 2000-02-23 | ||
JP2000046566 | 2000-02-2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113825A KR20010113825A (ko) | 2001-12-28 |
KR100806483B1 true KR100806483B1 (ko) | 2008-02-21 |
Family
ID=18568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7013435A KR100806483B1 (ko) | 2000-02-23 | 2001-02-23 | 자주체 구동 장치 및 게임 장치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6872141B2 (ko) |
EP (1) | EP1197249B1 (ko) |
KR (1) | KR100806483B1 (ko) |
CN (1) | CN1228117C (ko) |
DE (1) | DE60101439D1 (ko) |
TW (1) | TWI247620B (ko) |
WO (1) | WO200106235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M266618U (en) * | 2004-07-19 | 2005-06-01 | Behavior Tech Computer Corp | Multiple output connection head with wireless data collection capability |
JP5083521B2 (ja) * | 2007-08-06 | 2012-11-28 | 株式会社セガ | ゲーム装置 |
US9559545B2 (en) * | 2013-08-06 | 2017-01-31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Automated charging |
EP3060324A4 (en) * | 2013-10-25 | 2017-08-02 | Mathew Peter Mowbray | Method of contactless charging of aquatic toy, toy and tank therefor |
USD789955S1 (en) | 2014-11-04 | 2017-06-20 | Teenage Engineering Ab |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
USD914047S1 (en) | 2014-11-04 | 2021-03-23 | Teenage Engineering Ab |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
US11181438B2 (en) * | 2017-12-15 | 2021-11-23 | Tankbots, Inc. | Methods for performing tasks in a tank containing hazardous substances |
DE102018105622A1 (de) * | 2018-03-12 | 2019-09-12 | Ralf Mühle | Magnetisches Antriebssystem |
KR102288956B1 (ko) * | 2019-07-22 | 2021-08-11 | (주)케이시크 | 자율주행장치 레이싱게임 제공방법과 레이싱장치 및 시스템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47497U (ja) | 1984-03-12 | 1985-09-30 | 小島 一紘 | 充電式作動玩具 |
JPH08271868A (ja) * | 1995-04-03 | 1996-10-18 | Pilot Corp:The | 液晶ボードを備えた玩具セット |
JPH09205733A (ja) * | 1996-01-26 | 1997-08-05 | Nippon Steel Corp | 充電装置 |
JPH1190035A (ja) | 1997-09-17 | 1999-04-06 | Sega Enterp Ltd | 走行模擬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3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641638A (en) * | 1924-04-30 | 1927-09-06 | Mcdowell Mfg Co | Racing game |
US1709512A (en) * | 1928-01-11 | 1929-04-16 | Frederick E Alderdice | Racing game |
US2116767A (en) * | 1936-02-03 | 1938-05-10 | Ray Joseph | Racing game |
US3707804A (en) * | 1970-08-25 | 1973-01-02 | Mattel Inc | Grooved track for toy vehicles |
JPS5213474B2 (ko) * | 1972-12-31 | 1977-04-14 | ||
US3844557A (en) * | 1973-08-08 | 1974-10-29 | J Pompetti | Rocket motor driven model racing vehicle |
JPS5216863Y2 (ko) * | 1974-06-28 | 1977-04-15 | ||
US3986717A (en) * | 1975-01-31 | 1976-10-19 | Aurora Products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starting a model vehicle on a race track |
US4306375A (en) * | 1980-02-14 | 1981-12-22 | Adolph E. Goldfarb | Self-powered four wheel drive vehicle |
US4547166A (en) * | 1980-02-14 | 1985-10-15 | Adolph E. Goldfarb | Amphibious self-powered miniature car with unusual climbing capability |
US4522606A (en) * | 1982-11-02 | 1985-06-11 | Delmar K. Everitt | Self-powered miniature toy vehicle with treads and with unusual four-wheel-drive climbing capability |
US4545776A (en) * | 1983-06-24 | 1985-10-08 | Soma Traders Ltd. | Steering mechanism for self-powered vehicles and vehicles employing said steering mechanism |
US4817948A (en) * | 1983-09-06 | 1989-04-04 | Louise Simonelli | Reduced-scale racing system |
US4616829A (en) * | 1984-04-02 | 1986-10-14 | World Inventions | Apparatus for simulating running games |
US4774679A (en) * | 1986-02-20 | 1988-09-27 | Carlin John A | Stride evaluation system |
JPS646575U (ko) * | 1987-07-01 | 1989-01-13 | ||
JPH0265885A (ja) * | 1988-08-31 | 1990-03-06 | Sigma:Kk | 競争遊戯装置 |
US4937207A (en) * | 1989-02-03 | 1990-06-26 | Link Group International | Portable toy vehicle racing set |
JP3266371B2 (ja) * | 1993-06-30 | 2002-03-18 | 株式会社セガ | 遊戯装置および模型遊戯具 |
JP2544082B2 (ja) * | 1993-08-13 | 1996-10-16 | コナミ株式会社 | 立体レ―シングゲ―ム機 |
JP3647890B2 (ja) | 1993-08-31 | 2005-05-18 | 株式会社セガ | 走行体自走システム |
US5501455A (en) * | 1993-11-26 | 1996-03-26 | Konami Co., Ltd. | Racing game machine with varying track levels |
US5452893A (en) * | 1994-01-31 | 1995-09-26 | Faulk; John S. | Competitive, multi-lane vehicle racetrack |
JP2668343B2 (ja) * | 1995-02-21 | 1997-10-27 | コナミ株式会社 | 競争ゲーム装置 |
JP2814357B2 (ja) * | 1995-02-21 | 1998-10-22 | コナミ株式会社 | ゲーム装置 |
US5596567A (en) * | 1995-03-31 | 1997-01-21 | Motorola, Inc. | Wireless battery charging system |
JPH08294206A (ja) | 1995-04-21 | 1996-11-05 | Nippon Steel Corp | リモート制御装置 |
JP2659176B2 (ja) * | 1995-08-07 | 1997-09-30 | コナミ株式会社 | 競争ゲーム装置 |
JP3900553B2 (ja) * | 1995-09-13 | 2007-04-04 | 株式会社セガ | 走行模擬装置 |
US5676586A (en) * | 1996-05-28 | 1997-10-14 | James; David Eric | Model car race track |
US5928058A (en) * | 1996-06-07 | 1999-07-27 | Francis; Geoffrey V. | Slot car and mechanism for guiding same |
JP3870493B2 (ja) * | 1996-08-02 | 2007-01-17 | 株式会社セガ | 競争ゲーム装置 |
US5970882A (en) * | 1997-11-05 | 1999-10-26 | Smith; David | Interactive slot car systems |
US6608688B1 (en) * | 1998-04-03 | 2003-08-19 | Image Guided Technologies, Inc. | Wireless optical instrument for position measurement and method of use therefor |
US6473070B2 (en) * | 1998-11-03 | 2002-10-29 | Intel Corporation | Wireless tracking system |
US6380714B1 (en) * | 2001-03-21 | 2002-04-30 | Shin Jiuh Corp. | Charger for wireless product |
US6498458B1 (en) * | 2001-11-01 | 2002-12-24 | Cliff Chen | Battery charger for charging a wireless signal source and detachable receiver |
-
2001
- 2001-02-23 DE DE60101439T patent/DE60101439D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1-02-23 KR KR1020017013435A patent/KR10080648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1-02-23 EP EP01906274A patent/EP1197249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1-02-23 US US09/959,124 patent/US6872141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02-23 CN CNB018003036A patent/CN1228117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02-23 TW TW090104298A patent/TWI247620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1-02-23 WO PCT/JP2001/001377 patent/WO2001062357A1/ja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47497U (ja) | 1984-03-12 | 1985-09-30 | 小島 一紘 | 充電式作動玩具 |
JPH08271868A (ja) * | 1995-04-03 | 1996-10-18 | Pilot Corp:The | 液晶ボードを備えた玩具セット |
JPH09205733A (ja) * | 1996-01-26 | 1997-08-05 | Nippon Steel Corp | 充電装置 |
JPH1190035A (ja) | 1997-09-17 | 1999-04-06 | Sega Enterp Ltd | 走行模擬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362890A (zh) | 2002-08-07 |
EP1197249A4 (en) | 2002-06-05 |
US20020137568A1 (en) | 2002-09-26 |
KR20010113825A (ko) | 2001-12-28 |
TWI247620B (en) | 2006-01-21 |
CN1228117C (zh) | 2005-11-23 |
DE60101439D1 (de) | 2004-01-22 |
EP1197249A1 (en) | 2002-04-17 |
EP1197249B1 (en) | 2003-12-10 |
US6872141B2 (en) | 2005-03-29 |
WO2001062357A1 (fr) | 2001-08-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06483B1 (ko) | 자주체 구동 장치 및 게임 장치 | |
JP4431662B2 (ja) | 遊技機 | |
EP0728501B1 (en) | A game machine | |
CN103566579B (zh) | 一种智能飞行棋机器人系统及实现该飞行棋机器人的方法 | |
CN100470430C (zh) | 自控行走装置系统 | |
JP2006043237A (ja) | パチンコ遊技機 | |
JP6019328B2 (ja) | 封入式遊技機 | |
JP6175621B2 (ja) | 封入式の弾球遊技機 | |
EP1031362B1 (en) | An intermediate moving body for moving a running body and a game machine | |
JP5813318B2 (ja) | 赤外線通信機能付き玩具自動車 | |
JP3428110B2 (ja) | 景品獲得ゲーム装置 | |
JP5230036B2 (ja) | ユニット化球払出機構 | |
JP5830947B2 (ja) | 遊技機 | |
JP2940860B2 (ja) | ゲーム装置 | |
CN112369768B (zh) | 一种腕带设备及vr系统 | |
JP2732864B2 (ja) | 弾発遊技機 | |
JP4754810B2 (ja) | 遊技機 | |
CN111939543B (zh) | 网球场网球循环系统 | |
WO2022085805A1 (ko) | 디봇의 복구가 가능한 협업형 자율주행 카트 | |
JP5630846B2 (ja) | ユニット化球払出機構 | |
JP4754809B2 (ja) | 遊技機 | |
KR20230126542A (ko) | 골프연습장 볼수거용 볼봇 시스템 | |
JP5630847B2 (ja) | ユニット化球払出機構 | |
KR200276674Y1 (ko) | 게임용 로봇의 자동충전장치 | |
CN117695603A (zh) | 网球训练机器人以及训练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