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4999B1 -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4999B1
KR100804999B1 KR1020010078342A KR20010078342A KR100804999B1 KR 100804999 B1 KR100804999 B1 KR 100804999B1 KR 1020010078342 A KR1020010078342 A KR 1020010078342A KR 20010078342 A KR20010078342 A KR 20010078342A KR 100804999 B1 KR100804999 B1 KR 100804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lignment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s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8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6224A (ko
Inventor
호엘셀올프강
시윈스키풀피터
왈드보비진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20046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6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34, 134)는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6, 106)으로부터 신장하는 수형 터미널 또는 날(12, 112)을 정렬하기 위한 정렬판(42, 142)과 더불어 사용된다. 복합 암형 터미널 또는 리셉터클(16, 116)을 가진 플러그 커넥터(14, 114)는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34, 134) 및 정렬판(42, 142)의 보조 하에 날(12, 112)에 결합된다.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34, 134)은 날(12, 112)이 삽입되는 구멍(38, 138)을 가진 정지판(36, 136)을 포함한다. 정지판 구멍(38, 138)은 가동(可動) 정렬판(42, 142)에서 구멍(44, 144)과 정렬되고, 이렇게 정렬된 구멍들은 비록 날(12, 112)이 볼트(96)와 같은 기계적인 보조 장치에 의해 가해진 힘으로 인해 변형될 수 있을 지라도, 날(12, 112)이 리셉터클(16, 116)과 정렬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터미널, 하우징, 어셈블리

Description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 어셈블리{terminal position housing assembly}
도 1은 도 2에 도시된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 어셈블리에 정합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 어셈블리의 3차원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에 정합될 수 있는 하우징과 위치변경가능한 정렬판으로 구성된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 어셈블리의 3차원 도면이다.
도 3은 자동 전원 배전 센터 또는 접속함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격벽 내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에 위치설정된 도 2의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수형 터미널이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에 삽입되는 경우 정렬판과 하우징의 상대적인 위치를 보여준다.
도 4는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 상에 위치하는 도 2의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과 정합되는 도 2의 플러그 커넥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 어셈블리가 장착될 수 있는 격벽 인터페이스 플랜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격벽 인터페이스 플랜지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격벽 인터페이스 플랜지의 말단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의 정합면의 도면이다.
도 10은 수형 인쇄회로기판 터미널 또는 블레이드가 격벽 인터페이스,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 및 정렬판에 의해 점진적으로 정렬되는 방식을 설명하는 분해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의 3차원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난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 어셈블리의 일부로서 도 11의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이 사용될 수 있는 정렬판의 3차원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정렬판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정렬판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격벽, 벽 또는 덮개의 이면에 위치설정된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된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 어셈블리이 정합된 플러그 커넥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고, 또한 인쇄회로기판 상에 있는 터미널에 대한 전기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다접점 전기 커넥터에 대한 확실한 접속을 위한 인쇄회로기판 터미널의 정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및 모터 차량의 전자 부품들은 일반적으로 별도의 모듈 또는 서브어셈블리에 내장된다. 전형적으로 전자 부품들은 인쇄회로기판 상에 설치되고, 별도의 모듈들은 다수의 개별 전선들을 포함하는 배선 장치(wiring harness)에 의해 접속된다. 접속함 또는 전원 배전 모듈과 같은 모듈들은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에 용접되어 헤더 내에 장착된 핀 또는 블레이드(pin or blade)들을 가지며, 상기 수형 핀 또는 블레이드는 정합형 리셉터클(mating receptacle) 또는 암형 콘택트 또는 암형 터미널을 가진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된다. 다수의 터미널 또는 콘택트들이 동일 헤더 내에 장착되어, 정합력(mating force)은 상당히 높아질 수 있다. 캠 및 볼트와 같은 기계적인 보조 장치는 종종 이러한 힘을 극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정합하는 동안 다수의 암형 터미널과 수형 터미널을 정렬시키는 일반적인 어려움 외에도, 정합을 보조하기 위해 필요한 기계력은 하우징 또는 헤더를 굽히거나 또는 변형시키면서 인쇄회로기판 터미널을 편향시키며, 이는 더 심한 오정렬을 야기시킨다. 예를 들어, 배선 장치가 볼트를 사용하여 접속되는 종래의 전원 배전 센터에 있어서, 볼트에 인가된 힘은 인쇄회로기판의 이면에 위치하고 있는 격벽(bulkhead)을 편향시킬 수 있고, 이러한 격벽의 움직임은 이 후에 격벽의 구멍을 관통하여 연장하는 터미널 핀을 편향시킬 수 있다.
종래의 배선 대 배선 커넥터의 경우, 핀 정렬의 문제는 수형 터미널을 정합형 암형 터미널과 맞물리게 하는 가동(可動) 정렬판을 사용함으로써 해결되었다. 그러한 커넥터의 예는 미국 특허 제5,501,606호 및 제6,004,158호에 나타나 있다. 상기 특허 명세서에 개시된 볼트에 의해 작동되는 커넥터의 정렬판은 정합형 플러그 하우징과 정합형 리셉터클 하우징에 걸쳐지는 암형 터미널과 수형 터미털 사이의 결합을 돕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상기 특허 명세서에 제시된 정합형 커넥터들의 터미널은 한정된 범위에서 측면으로 자유롭게 움직이고, 정렬판들은 수형 터미널의 선행 단부(leading end)가 하우징 캐비티 입구와 상대 전기 커넥터의 암형 콘택트 도입부와 정렬하게 되는 것을 확보할 수 있는 충분한 측방 정렬을 제공한다.
미국 특허 제5,501,606호는 가동 정렬판이 직각형 인쇄회로기판 헤더에 사용되는 종래의 커넥터를 보여 준다. 그러나, 직각형 수형 핀 터미널은 헤더 하우징에 걸쳐지도록 나타나지 않고, 단지 정렬판만이 정합하는 동안 수형 터미널 선행 단부의 오정렬을 바로잡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커넥터가 인쇄회로기판에 정합하는 때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는 다수의 수형 터미널을 전기 커넥터 내의 암형 터미널에 정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장치 또는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장치는 정지판을 포함하고, 다수의 구멍 또는 홀은 상기 정지판을 관통한다. 상기 구멍들은 수형 터미널이 상기 구멍을 통해 삽입될 수 있도록 치수화되고, 상기 구멍들은 상기 터미널 또는 블레이드를 측방으로 정렬시킨다.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정지판을 향해 이동할 수 있고 수형 터미널 또는 블레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정렬판을 포함한다. 상기 정렬판은 정렬판을 관통하는 수형 터미널 또는 블레이드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치수화된 제2구멍들을 갖는다. 상기 정렬판은 상기 정지판에 대해 속박되어서, 상기 수형 터미널이 제1구멍을 통해 먼저 삽입된 다음 제2구멍을 통해 삽입될 때 상기 수형 터미널이 점진적으로 정렬되도록 한다. 상기 정렬판은 상기 수형 터미널이 2개의 이격 정렬하는 구멍을 통해 삽입되면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 어셈블리의 일부로서 연장 위치에 유지된다.
본 명세서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정지판과 정렬판은 인쇄회로기판 터미널들이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된 후 상기 인쇄회로기판 터미널들 위에 위치설정된다. 정렬판은 정지판을 포함하는 하우징의 캐비티 내에 배치된다. 정지판과 정렬판 모두는 인쇄회로기판 터미널의 베이스로부터 그리고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정지판과 정렬판은 오정렬된 터미널을 정합형 커넥터의 암형 터미널과 정합하는 위치에 더욱 근접하도록 이동시킨다. 다수의 인쇄회로기판 블레이드 또는 터미널이 정합형 플러그 커넥터의 다수의 암형 터미널 또는 리셉터클 터미널과 정합되는 때의 정합력을 극복하기 위해,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과 정렬판은 또한 볼트와 같은 기계적 보조 부재를 사용하는 플러그 커넥터와 함께 사용하기에도 적당하다. 이러한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 어셈블리는 자동차 및 모터 차량에서 사용되는 격벽 장착형 전자 모듈, 접속함 또는 전원 배전 센터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정지판과 가동 정렬판에는 또한 어레이상으로 위치설정된 터미널이 사용될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용접되거나 또는 부착된 터미널이 사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기에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1-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1-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0은 플러그 커넥터(14)에 접속된 하니스의 커넥터 배선을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6)로부터 연장된 수형 인쇄회로기판 터미널 또는 블레이드(12)에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 어셈블리의 제1실시예를 보여준다. 블레이드(12)들은 모두 동일한 크기일 필요는 없고, 대부분의 적용 시, 동일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6)에서는 하나 이상의 크기의 블레이드가 사용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6)는 격벽, 벽 또는 상자 덮개(2)의 이면에 위치설정된 2개의 인쇄회로기판(8, 10)을 포함한다. 블레이드는 격벽에 있는 개구(4)를 통해 연장하면서 다접점(multicontact) 플러그 커넥터(14)의 리셉터클 터미널(16)과 정합하기 위해 접속가능하다. 이러한 유형의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는 전형적으로 자동차와 차량에서 볼 수 있는 전원 배전 센터와 접속함 또는 기타 전자 모듈에서 찾아볼 수 있다. 도 11-17은 유사한 응용 제품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 제2실시예는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와 격벽 상에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을 장착하는 다른 방법을 보여준다.
이들 각각의 실시예는 플러그 커넥터(14)가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와 정합될 수 있도록 블레이드(12) 및 이에 대응하는 리셉터클 터미널(16) 사이의 정렬을 위치설정하고 유지한다. 각각의 경우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과 정렬판은, 인쇄회로기판에 이미 부착되거나 또는 용접된 어레이상의 블레이드 터미널을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과 가동 정렬판의 정렬된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 전자 부품 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가 연관된 격벽에 장착된다. 볼트 및 이와 관련된 나사선을 형성한 너트와 같은 기계적 보조부품이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에 플러그 커넥터를 정합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때,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과 가동 정렬판은 블레이드 특히 블레이드의 팁을 적절한 위치에 유지하여서, 비록 정합을 위해 가해진 기계력이 격벽, 인쇄회로기판 또는 블레이드 자체를 편향시키는 경향이 있다고 할지라도, 블레이드들이 사전에 규정된 패턴으로 대응하는 리셉터클 터미널과 정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과 도 4의 플러그 커넥터(14)는, 플러그 정합면(18)과 플러그 배면 사이에서 연장하는 터미널 캐비티(22)에 배치된 리셉터클 또는 암형 콘택트 또는 정합 터미널(16)들을 포함한다. 이들 터미널(16)은 일반적으로 구조가 재래식이고 커넥터의 이면으로부터 연장하는 하니스(미도시)의 배선에 압착되거나 접속되는 경향이 있다. 탄성 하우징 래치(24)는 하우징 캐비티(22)의 터미널(16)을 고정시키고 부수적인 자물쇠(26)는 측면에서 삽입될 수 있다. 배선 덮개(32)는 플러그 커넥터(14)의 배면에 장착된다. 볼트(96)는 배선 덮개(32)를 통해 접속 가능하고, 상기 볼트의 나사부는 플러그 정합면(18)을 넘어서 연장하여 플러그 커넥터(14)가 정합되는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34)의 상대 나사선이 있는 부재와 결합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있어서,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34)과 가동 정렬판 또는 유도판(42)은 플러그 커넥터(14)와의 정합동안 수형 인쇄회로기판 터미널 또는 블레이드(12)를 정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 어셈블리를 형성한다.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3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두 개의 인쇄회로기판(8, 10) 중의 하나에 미리 용접되거나 또는 장착된 터미널 또는 블레이드(12)의 위치에 부합하는 어레이상으로 위치하는 다수의 구멍(38)을 가진 베이스 또는 정지판(36)을 갖는다. 정렬판(42)은 또한 블레이드(12)의 위치에 일치하는 어레이상으로 위치하는 복수의 구멍(44)를 갖는다. 따라서, 정지판의 제1구멍(38)과 정렬판의 제2구멍(44)은 상호간에 정렬상태에 있고, 상기 정렬판이 상기 정지판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유지된 상태에서 블레이드(12)가 제1어레이상의 구멍으로 먼저 삽입된 후에 제2어레이상의 구멍으로 삽입되는 때, 블레이드들은 점진적으로 정렬하게 되어 블레이드(12)의 단부는 플러그 커넥터(14)의 암형 리셉터클 터미널(16)과 정합하기 위해 초기에 적절하게 위치설정된다. 정지판(36)과 정렬판(42)은 또한 격벽(2)을 변형시키거나 또는 굴곡시키는 경향이 있는 높은 정합력 또는 기계적 보조수단의 존재에서도, 리셉터클 터미널(16)과 블레이드(12)의 정합동안 블레이드(12)를 적절하게 정렬시키거나 또는 위치설정되도록 한다.
정렬판(42)은 정방형을 가진 성형된 플라스틱 부재이어서, 정렬판(42)은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34)의 정합면에 형성된 정방형 캐비티(66) 내에 끼워질 수 있다. 블레이드, 즉 터미널(12)이 삽입하여 통과할 수 있는 각각의 구멍(44)은 일반적으로 정방형 구조를 가지지면서, 일반적으로 평편한 판의 양 표면들 사이를 연장한다. 구멍(44)은 도 3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형 인입부(46)를 가져서, 블레이드(12)의 팁은 구멍(44)에 모여질 수 있다.
가이드 포스트(50, 52)는 정렬판(42)의 코너(48)에서 양방향으로 신장한다. 플러그 커넥터(14)가 인쇄회로기판 블레이드(12)에 정합하는 동안 정렬판(42)이 하우징(34) 및 인쇄회로기판(8, 10)에 대해 이동함에 따라서, 하단의 가이드 포스트(50)는 정렬판 구멍(44)과 정지판 구멍(38) 사이에서 적절한 정렬을 유지하기 위한 주요 유도 수단을 구성한다. 상단의 가이드 포스트(52)는 부수적인 유도 수단을 구성하면서 정합동안 플러그 커넥터(14)의 정합면의 개구 내에 수용되어서, 정렬판이 도 3에 도시된 초기 콘택트 정렬 위치에서 도 4에 도시된 완전히 정합된 위치까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정렬판이 적절하게 배향되면서 상대적인 측면 이동에 대해 제한되도록 유지한다.
정렬판(4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의 연장 위치 또는 정합전 위치에 상기 정렬판을 유지시키는 래칭 아암(54; latching arm)을 포함한다. 이러한 래칭 아암(54)은 플러그 커넥터(14)가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6)에 정합될 때 터미널 하우징(34)으로부터 결합해제된다. 이들 래칭 아암이 작용하는 방식은 본 명세서에 참조문헌으로 합체된 미국 특허 제5,501,606호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정렬판(42)을 도 3에 도시된 연장 위치에 유지하기 위하여, 정렬판은 또한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34)의 표면에 인접하지만, 어레이상의 블레이드(12)를 정지판(36)의 제1구멍(38)의 어레이에 먼저 삽입한 후 정렬판(42)의 제2구멍(44)의 어레이에 삽입시킴으로써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 어셈블리는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6)에 장착하게 된다.
구멍(44) 이외에, 정렬판(42)은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34)의 사일로(68)를 수용하도록 치수화된 중앙개구(56)를 갖고 있다. 십자형을 한 4개의 정렬 포스트 개구(58)는 사일로용 중앙개구(56)의 주변에 있는 4개의 분할면에 위치한다. 이들 정렬 포스트 개구(58)는 이후에 설명하는 방식으로 플러그 커넥터(14)를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 어셈블리 및 인쇄회로기판 블레이드(12)와 정렬시키도록 의도된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34) 상에 위치된 정렬 포스트(8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치수화된다.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34)은 정지판(36)의 형태인 베이스를 가진 일체형으로 성형된 플라스틱 부재이고, 4개의 외벽(60)은 플레이트의 모서리(6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여 캐비티(66)를 둘러싸는 외피를 형성한다. 정렬판(42)은 캐비티(66)에 위치설정되면서 도 3에 도시된 연장 위치로부터 도 4에 도시된 완전히 정합된 구조로 이동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34)은 어떠한 콘택트 또는 터미널(12)이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외피형 헤더의 형태이다. 정지판(36)의 구멍(38)의 어레이는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이 격벽(2) 또는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6)에 장착될 때 터미널 블레이드(12)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치수화된다. 그러나, 비록 구멍(38)의 측면이 블레이드(12)의 측면 이동을 제한하지만, 터미널(12)들은 구멍(38)에 고정되지 않고 블레이드(12)들을 정렬시키도록 작용한다.
가이드 포스트 개구(82)는 베이스 정지판(36)의 코너(64) 가까이에 위치한다. 이러한 개구들은 정렬판 상의 하단 가이드 포스트(50)와 정렬상태를 이루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완전히 결합된 구조로 정렬판(42)의 이동을 허용할 뿐 아니라, 정렬판(42)이 이러한 이동동안 비틀어지지 않거나 또는 오정렬하지 않는 것을 확실히 하도록 작용한다. 그러므로 제2구멍(44)들은 제1구멍(38)들과 정렬된 상태로 남아있게 된다.
상기 외벽(60) 이외에, 다른 구조체들은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34)의 정지 베이스 또는 정지판(36)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다. 십자형 형상을 각각 갖고 있는 4개의 정렬 포스트(80)는 외벽(60)의 상부 에지를 넘어서 상방으로 연장한다. 이러한 정렬 포스트(80)들은 정렬판(42) 내에 유사하게 형성된 개구(58)를 통하여 상방으로 연장한다. 또한, 이러한 정렬 포스트(80)들은 정합중에 플러그 커넥터(14)를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34) 및 터미널 블레이드(12)로 안내하거나 또는 정렬시키기 위하여 플러그 커넥터(14) 내의 정렬 포스트 개구(30)내로 수용된다.
연속적인 박막벽 형태의 사일로(68)는 정지판 또는 정지 베이스(36)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사일로는 내측에서 개방하면서 플러그 커넥터(14)에 유지된 정합 보조 볼트(96)의 수용을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볼트와 결합하기 위한 내측 에지를 갖는 너트 또는 링과 같은 암형 나사선 부재(72)의 형태인 조임쇠는 사일로(68) 내에 위치설정된다. 조임쇠 볼트(96)가 조임쇠 또는 너트(72)와 결합하는 경우, 볼트(96)를 회전시킴으로써 플러그 커넥터(14)는 정합저항력을 극복하여서 터미널 블레이드(12)와 완전하게 결합한다. 몇몇 종래의 볼트 체결형 격벽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중앙 위치에 인가된 이러한 힘은 격벽 또는 벽부의 변형을 야기시킨다. 벽부 또는 격벽이 이러한 방식에서 변형되는 경우, 상기 격벽을 통해 연장하는 터미널들은 상기 격벽이 변형됨에 따라서 측방으로 변위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인쇄회로기판 터미널들은 정합하게 되는 리셉터클 터미널과 더 이상 정렬하지 않게 된다.
도 1 내지 도 10의 실시예에서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34)은 플랜지 인터페이스(86)에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34)을 래칭시킴으로써 격벽(2)에 장착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러한 격벽 플랜지는 장방형이면서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34)이 삽입되는 장방형 중심 구획부(88)를 형성한다. 성형된 플렉시블 스냅 래치(molded flexibel snap latch; 84)는 하우징(34)의 측면으로부터 연장하고, 이러한 래치(84)는 플랜지(88) 내에서 래치 개구(94)로 스냅되어서 하우징(34)을 격벽(2)에 고정시킬 것이다. 볼트(96)는 터미널 하우징(34)의 너트(72)와 맞물리게 되므로, 볼트를 조임으로써 가해지는 힘은 이러한 중심 위치에서만 격벽에 전달되지 않는다. 그 대신 이러한 힘은 플랜지(86)를 통해 이전되고 그 힘은 다수의 스냅 래치(84)에 의해 플랜지 주변으로 전달된다. 플랜지(86)는 격벽(2)의 일부이다.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34)을 격벽(2)에 래칭시킴으로써,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을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6)에 직접 부착하는 대신에, 잠재적으로 중요한 인쇄회로기판 점유공간은 래칭에만 전용될 필요가 없다.
플랜지 인터페이스 베이스(90)는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6)가 격벽(2)에 장착되는 경우에 인쇄회로기판 블레이드(12)를 수용하도록 치수화된 베이스 터미널 구멍(92)의 어레이를 갖는다.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의 구멍(92)은 블레이드(12)를 먼저 정렬시키도록 작용할 수 있다. 이 후에,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34) 내 구멍(38)은 터미널 블레이드(12)를 훨씬 더 근접하게 정렬하도록 작용한다. 최종적으로, 정렬판(42)의 구멍(44)은 플러그 커넥터(14)의 리셉터클 콘택트(16)의 위치에 부합하는 진정 위치(true position)에 터미널 블레이드를 더욱 근접하게 정렬시키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각각의 터미널 블레이드(12)가 구멍(92, 38, 44)들에 의해서 점진적으로 정렬되므로, 각각의 테이퍼형 구멍들에 대한 진정위치 공차는 작아진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블레이드(12)의 팁은 블레이드의 하단부보다 더욱 정확하게 정렬하게 된다. 블레이드 팁의 위치는 블레이드가 정지판의 개구를 먼저 통과한 경우보다 정렬판 구멍을 통과하는 경우에 더욱 정확해지므로, 정지판은 블레이드가 정렬판 구멍으로 진입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정렬은 상대적으로 강성인 블레이드(12)가 사용될 때 특히 중요하며, 이는 강성인 블레이드가 정합하는 동안 부동(float)하는 경향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두 개의 정합형 커넥터의 정합 터미널들 모두가 측방으로 부동하는 경우, 정렬의 문제는 극복하기가 어렵지 않다.
도 11-17은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 어셈블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고, 여기에서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134)은 도 1-10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플랜지에 래치되는 대신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106)에 직접 볼트체결된다.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134)의 세부 사항은 도 11과 12에 도시되어 있다. 성형된 하우징(134)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 블레이드(112)를 수용하기 위한 제1구멍(138)을 가진 베이스 또는 정지판(136)을 갖고 있다. 하우징 외벽(160)은 캐비티(166)를 형성한다. 외부 장착 립(mounting lips; 162)은 하우징 외벽(160)에 의해 형성된 외피의 베이스에서 하우징(134) 주변으로 연장한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립(162)은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134)이 격벽 개구(104)를 통해 연장함에 따라 격벽(102) 하부에 끼워진다.
십자형 단면을 갖는 4개의 정렬 포스트(180)는 도 1-10의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하우징 정지판(136)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34)은 또한 정지판(136)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6개의 안티-스쿠핑 포스트(200; anti-scooping post)를 포함한다. 포스트(200)는 다양한 단면을 가지면서 포스트(200)를 둘러싸는 터미널 블레이드(112)에 손상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설치자가 우연히 정합형 플러그 커넥터를 소정 각도로 삽입하려 하거나 터미널 블레이드(112)을 파내려고 시도하는 경우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안티-스쿠핑 포스트(200)는 그러한 가능성으로부터 블레이드(112)를 보호한다. 연장 위치(결합되지 않은 위치)에 있는 안티-스쿠핑 포스트와 정렬판은 또한 터미널 블레이드를 우연히 타격할 수 있는 도구 또는 기타 장비에 의해 터미널 블레이드에 손상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정지판(136)의 중심부에서 상방으로 연장하는 사일로(168)는 정합형 플러그 커넥터로부터 연장하는 볼트와 맞물리는 나사선(미도시)이 있는 부재 또는 너트(172)를 포함하는 사일로의 중앙 부위 위로 연장하는 외부 스커트(170)를 포함한다. 이 스커트는 나사선이 있는 상기 부재의 손상을 방지할 뿐 아니라, 배선 또는 다른 품목이 나사선에 걸리지 않게 한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134)은 두 개의 인쇄회로기판(108, 110)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106)에 위치설정되어서, 정지판(136)은 상부 인쇄회로기판(108)으로부터 이격된다. 다시 말해, 블레이드(112)의 길이부의 일부는 정지판(136)과 인쇄회로기판(108) 사이에서 연장하므로, 구멍(138)은 인쇄회로기판(108) 및 블레이드(112)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블레이드(112)를 정렬시킨다. 터미널 하우징(134)은 도 12,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판(136)의 바닥으로부터 연장하는 4개의 장착 포스트(174)를 포함한다. 이러한 장착 포스트(174)들은 정지판(136)의 상부로부터 연장하는 정렬 포스트(180)와 실질적으로 축정렬 상태를 이루지만, 이러한 축정렬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또한, 중앙 지지부(176)는 사일로(168)의 하단에 위치한다. 배향 키(178; orienting key)는 중앙 지지부(176)로부터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4개의 장착 포스트(174) 중 2개로부터 연장한다. 이러한 키(178)들은 상부 인쇄회로기판(108)의 구멍 내에 끼워져서 상기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을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106)에 정렬시키고 고정하여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134)이 적절한 배향으로 장착되는 것을 확보한다.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134)의 캐비티(166) 내에 끼워지는 정렬판(142)은 도 13-16에 나타나 있다. 이러한 정렬판(142)은 도 2-4에 도시된 정렬판(42)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정렬판(142)은 정지판 구멍(138)과 정렬된 제2구멍(144)의 어레이; 정렬 포스트 개구(158); 사일로(168)용 중앙 개구(156); 가이드 포스트(150, 152); 및 래칭 아암(154)을 포함한다. 정렬판(142)은 또한 안티-스쿠핑 포스트(200)용 4개의 개구(202)를 포함한다.
도 16과 도 17은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 어셈블리가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 (106)에 장착되는 방식을 나타내고, 여기에서 플러그 커넥터(114)가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 어셈블리의 도움을 받아 인쇄회로기판 블레이드(112)에 결합됨에 따라서 정렬판(142)은 시프트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은 중앙 사일로(168)의 베이스에 있는 장착 볼트(198)에 의해 상부 인쇄회로기판(103)에 직접 볼트체결된다. 정지판(136)에 있는 구멍(138)과 가동 정렬판(144)에 있는 구멍(144)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블레이드(112)를 측방으로 지지하고 정렬한다. 이 후에, 플러그 커넥터(114)는 도 1-10의 실시예와 실제로 같은 방식으로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134)과 가동 정렬판(142)의 도움을 얻어 인쇄회로기판 블레이드(112)에 결합하게 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114)는 플러그 커넥터(14)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면서, 터미널 캐비티(122)에 위치하고 터미널 래치(124)에 의해 제위치에 고정된 암형 터미널(116)을 포함한다. 비록 도 17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플러그 커넥터(114)는 또한 정렬 포스트(180)를 수용하기 위한 정렬 포스트 개구 뿐만 아니라 정렬판(142) 상의 상부 가이드 포스트(152)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한다. 플러그 커넥터(114)는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134)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안티-스쿠핑 포스트(200)용 개구를 포함하므로, 플러그 커넥터(114)는 완전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두 개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은 하나의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34 또는 134)와 하나의 정렬판(42 또는 142)의 도움을 받아 인쇄회로기판 블레이드(12 또는 112)에 정합되는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14 또는 114)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법은 특히 인쇄회로기판 블레이드(12, 112)에 다중 플러그 커넥터(14 또는 114)를 결합시키는 데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다중 커넥터의 활용은 개별적인 플러그 커넥터 각각을 정합시키는 데 필요한 힘의 양을 제한하고 더 나아가 정합하는 동안 격벽, 인쇄회로기판 또는 블레이드(12 또는 112)의 잠재적인 변형을 제한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두 개의 실시예들은 단지 대표적이거나 또는 기타 유사한 실시예이다. 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인쇄회로기판 터미널과 더불어 사용된다고 할지라도,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과 정렬판은 그러한 용도에 국한되지 않는 것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격벽의 다른 면에 부착된 정합 전기 커넥터에 삽입된 터미널의 배열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두 개의 실시예의 대표적인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 어셈블리는 터미널, 특히 수형 터미널 핀 또는 블레이드가 더욱 정확하게 정렬되거나 위치설정되는 것을 허용하므로, 격벽의 개구만이 사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대신 하기의 청구항에 의해 명백하게 정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 커넥터가 인쇄회로기판과 정합하는 때 암형 터미널이 전기 커넥터에 장착된 상태에서,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는 다수의 수형 터미널을 정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장치 또는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어레이상의 다수의 수형 터미널을 전기 커넥터의 암형 터미널에 정합하는 동안, 상기 다수의 수형 터미널을 상기 전기 커넥터의 암형 터미널과 정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다수의 제1구멍을 가진 정지판 -상기 제1구멍은 상기 제1구멍을 통해서 상기 어레이상의 수형 터미널이 삽입될 수 있도록 치수화되고, 상기 정지판은 하우징 어셈블리의 일부를 구성함- 과;
    상기 전기 커넥터의 암형 터미널이 인쇄회로기판 상의 상기 수형 터미널과 정합될 때, 상기 정지판을 향해서 그리고 상기 수형 터미널에 대해서 이동가능한 정렬판 -상기 정렬판은 제2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2구멍은 상기 어레이상의 수형 터미널이 상기 제2구멍을 통해 삽입될 수 있도록 치수화됨- 과;
    상기 터미널의 어레이에 대한 고정위치에 상기 정지판을 장착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는 상기 전기 커넥터를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에 정합된 구조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기 커넥터 상의 보조 조임 수단에 의해 결합가능한 조임쇠 -상기 조임 수단은 볼트로 구성되고, 상기 조임쇠는 암형 나사선 부재로 구성됨- 를 포함하며, 상기 암형 나사선 부재는 상기 정지판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사일로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상기 사일로는 상기 사일로를 지나서 상방으로 연장하는 스커트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정렬판이 상기 정지판으로부터 이격될 때 상기 정렬판은 상기 정지판에 대해 속박되어서 상기 수형 터미널이 먼저 상기 제1구멍을 통해 삽입된 다음 상기 제2구멍을 통해 삽입됨에 따라서 상기 수형 터미널은 점진적으로 정렬되는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정합하는 동안 상기 전기 커넥터와 결합할 수 있는 노출 위치까지 상기 정지판으로부터 상기 정렬판을 통과하여 상방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정렬 포스트를 더 포함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판의 에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외벽-상기 외벽은 상기 수형 터미널의 정합부가 연장하는 캐비티를 형성함-을 더 포함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멍은 블레이드 형태의 상기 수형 터미널을 수용하기 위한 정방형 구멍으로 구성되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격벽에 장착가능하고 상기 격벽을 넘어서 연장하는 별도의 하우징 서브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장치.
  11. 삭제
KR1020010078342A 2000-12-11 2001-12-11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 어셈블리 KR1008049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734,088 US6409525B1 (en) 2000-12-11 2000-12-11 Terminal position housing assembly
US09/734,088 2000-12-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224A KR20020046224A (ko) 2002-06-20
KR100804999B1 true KR100804999B1 (ko) 2008-02-20

Family

ID=24950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8342A KR100804999B1 (ko) 2000-12-11 2001-12-11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 어셈블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09525B1 (ko)
EP (1) EP1213799A1 (ko)
JP (1) JP4127612B2 (ko)
KR (1) KR100804999B1 (ko)
AR (1) AR031652A1 (ko)
BR (1) BR010599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3847B2 (ja) * 2001-05-15 2006-06-07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カバー
US6837751B2 (en) * 2002-07-25 2005-01-04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incorporating terminals having ultrasonically welded wires
DE10301003B3 (de) 2003-01-13 2004-09-30 Siemens Ag Modulares Installationsgerät
US7077702B2 (en) * 2003-08-05 2006-07-1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Terminal position assurance with forward interlocking face keying
US6821135B1 (en) * 2003-08-06 2004-11-2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Alignment plate for aligning connector terminals
TWM257527U (en) * 2004-05-07 2005-02-21 Delta Electronics Inc A guiding connector
JP4413718B2 (ja) * 2004-09-01 2010-02-10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US7800823B2 (en) 2004-12-06 2010-09-21 Moxtek, Inc. Polarization device to polarize and further control light
US7570424B2 (en) 2004-12-06 2009-08-04 Moxtek, Inc. Multilayer wire-grid polarizer
US7961393B2 (en) 2004-12-06 2011-06-14 Moxtek, Inc. Selectively absorptive wire-grid polarizer
US7371129B2 (en) * 2005-04-27 2008-05-13 Samtec, Inc. Elevated height electrical connector
US8755113B2 (en) 2006-08-31 2014-06-17 Moxtek, Inc. Durable, inorganic, absorptive, ultra-violet, grid polarizer
US7591653B2 (en) * 2006-09-08 2009-09-22 Aees, Inc. Modular power distribution center
US7179136B1 (en) * 2006-09-19 2007-02-20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US7524386B2 (en) 2006-11-01 2009-04-28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Method for wet mixing cementitious slurry for fiber-reinforced structural cement panels
CN201029148Y (zh) * 2007-02-08 2008-02-2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组件定位配合结构
US7789515B2 (en) 2007-05-17 2010-09-07 Moxtek, Inc. Projection device with a folded optical path and wire-grid polarizer
JP4950797B2 (ja) * 2007-07-31 2012-06-13 矢崎総業株式会社 可動ガイド部材付きコネクタ
US7491096B1 (en) * 2007-07-31 2009-02-17 Phoenix Contact Development & Manufacturing Inc. Modular terminal block
US7799991B1 (en) * 2007-10-31 2010-09-21 Yazaki North America, Inc. Bus bar position assurance device
CN102171894B (zh) * 2008-08-06 2013-04-24 富加宜汽车控股公司 具有端子保护和对中装置的电连接器
JP5401972B2 (ja) * 2008-12-18 2014-01-29 ソニー株式会社 プラグ、プラグ受け、および電力供給システム
DE102009056184B4 (de) * 2008-12-22 2012-10-04 Sumitomo Wiring Systems, Ltd. Verbinder
JP2010205552A (ja) * 2009-03-03 2010-09-16 Yazaki Corp ロックアーム付き樹脂成形部品、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及び、ロックアーム付き樹脂成形部品の成形方法
US8248696B2 (en) 2009-06-25 2012-08-21 Moxtek, Inc. Nano fractal diffuser
US8760878B2 (en) 2010-08-17 2014-06-24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Floating circuit board alignment
US8611007B2 (en) 2010-09-21 2013-12-17 Moxtek, Inc. Fine pitch wire grid polarizer
US8913321B2 (en) 2010-09-21 2014-12-16 Moxtek, Inc. Fine pitch grid polarizer
SG180052A1 (en) * 2010-10-28 2012-05-30 Rockwell Automation Asia Pacific Business Ctr Pte Ltd Programmable controller component with assembly alignment features
WO2012105652A1 (ja) 2011-02-04 2012-08-09 株式会社フジクラ コネクタ組立体
US8651901B2 (en) 2011-05-04 2014-02-1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 position assurance
US8873144B2 (en) 2011-05-17 2014-10-28 Moxtek, Inc. Wire grid polarizer with multiple functionality sections
US8913320B2 (en) 2011-05-17 2014-12-16 Moxtek, Inc. Wire grid polarizer with bordered sections
EP2573881A1 (en) * 2011-09-20 2013-03-27 Delphi Technologies, Inc. Improved connector assembly having low coupling force retractable stabilizer
US9005794B2 (en) * 2011-10-21 2015-04-1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Battery connector system
US8922890B2 (en) 2012-03-21 2014-12-30 Moxtek, Inc. Polarizer edge rib modification
US8758040B2 (en) * 2012-11-29 2014-06-24 Eat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ligning and connecting electrical components
US9282655B2 (en) * 2012-12-11 2016-03-08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
JP5655914B1 (ja) * 2013-08-30 2015-01-21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のハウジングおよび電気コネクタ並びにコネクタ端子の装着方法
US9354374B2 (en) 2013-10-24 2016-05-31 Moxtek, Inc. Polarizer with wire pair over rib
JP6213583B2 (ja) * 2016-01-27 2017-10-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084253B2 (en) 2016-03-24 2018-09-25 Lear Corporation Electrical unit and header retention system therefor
JP6932930B2 (ja) * 2017-01-13 2021-09-0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JP2020080267A (ja) * 2018-11-14 2020-05-2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21021567A1 (en) * 2019-07-26 2021-02-04 Merck Sharp & Dohme Corp. Methods and assemblies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lyospheres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6985U (ko) * 1987-01-26 1988-07-28
JPH07220811A (ja) * 1994-02-03 1995-08-18 Amp Japan Ltd コネクタ
US5501606A (en) * 1993-04-01 1996-03-26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tact guide member
US5993255A (en) * 1997-12-17 1999-11-30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mbination terminal guide and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US6004158A (en) * 1997-03-27 1999-12-21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secondary locking plate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7694A (en) 1975-06-24 1978-03-07 Amp Incorporated Circuit board connector
US4220383A (en) * 1979-04-06 1980-09-02 Amp Incorporated Surface to surface connector
US4797116A (en) 1987-01-26 1989-01-10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movable contact guide and lance-maintaining member
DE8890026U1 (ko) * 1987-03-31 1989-05-24 Flexicon Systems Ltd., Cambridge, Gb
US5071369A (en) 1990-12-05 1991-12-10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US5068601A (en) * 1991-02-11 1991-11-26 Credence Systems Corporation Dual function cam-ring system for DUT board parallel electrical inter-connection and prober/handler docking
US5207587A (en) * 1992-05-27 1993-05-04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
JP3032932B2 (ja) * 1994-03-08 2000-04-17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保護板を備えたねじ締め型コネクタ
US5558526A (en) 1994-03-29 1996-09-24 The Whitaker Corporation Connector with a contact-aligning device
JP3214284B2 (ja) * 1995-03-10 2001-10-02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箱
JP3087614B2 (ja) * 1995-06-30 2000-09-11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箱
US5743756A (en) 1996-03-29 1998-04-28 The Whitaker Corporation Sealed electrical connector with jack screw
US5879174A (en) 1997-08-06 1999-03-09 General Motors Corporation Dimensional variance spring
DE19835517C1 (de) * 1998-08-06 2000-12-14 Mannesmann Vdo Ag Kontakteinrichtung
JP2001203033A (ja) * 2000-01-20 2001-07-27 Thomas & Betts Corp <T&B>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6985U (ko) * 1987-01-26 1988-07-28
US5501606A (en) * 1993-04-01 1996-03-26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tact guide member
JPH07220811A (ja) * 1994-02-03 1995-08-18 Amp Japan Ltd コネクタ
US6004158A (en) * 1997-03-27 1999-12-21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secondary locking plates
US5993255A (en) * 1997-12-17 1999-11-30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mbination terminal guide and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409525B1 (en) 2002-06-25
AR031652A1 (es) 2003-09-24
JP4127612B2 (ja) 2008-07-30
US20020072268A1 (en) 2002-06-13
BR0105999A (pt) 2002-08-06
EP1213799A1 (en) 2002-06-12
KR20020046224A (ko) 2002-06-20
JP2002222679A (ja) 200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4999B1 (ko) 터미널 포지션 하우징 어셈블리
US5137462A (en) Adapter for stacking connector assembly
EP0519264B1 (en) Electrical connector
US6126458A (en) Bussed electrical center assembly with connector pre-set
US5000693A (en) Electric junction box
EP1063730B1 (en) Circuit board mounted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JP2654436B2 (ja) 電気コネクタ
US6305990B1 (en) Sealed electrical connector with secondary locking
US6821135B1 (en) Alignment plate for aligning connector terminals
US6435891B1 (en) Mechanically assisted blind mate electrical connector
JPH10275650A (ja) 電気コネクタ
EP2149936B1 (en) Connector
JPH09511865A (ja) 低背電気コネクタ
EP1248322A2 (en) Mounting structure of connector for use with curcuit board
US20020173201A1 (en) Plug connector for electronic devices
US20100210144A1 (en) Electrical connector
US6183299B1 (en) Automotive cellular phone connector assembly
US7874858B2 (en) Connector
CN113161819A (zh) 高功率型板对板浮动连接器
JP3422380B2 (ja) コネクタ構造
JPS62502716A (ja) モジユ−ル式コネクタ方式
KR100332036B1 (ko) 전기핀필드
CN218569303U (zh) 连接器
EP0510229B1 (en) An electrical connector with positive latch
IE55573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tacts which have receptacles that conform to inserted p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