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3882B1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3882B1
KR100803882B1 KR1020020030126A KR20020030126A KR100803882B1 KR 100803882 B1 KR100803882 B1 KR 100803882B1 KR 1020020030126 A KR1020020030126 A KR 1020020030126A KR 20020030126 A KR20020030126 A KR 20020030126A KR 100803882 B1 KR100803882 B1 KR 100803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back cover
auxiliary plate
crystal panel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0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7315A (ko
Inventor
닛또에이지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7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7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패널의 배면측에 설치되는 이면 덮개에 회로 기판 등을 배치하는 구성인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면 덮개에 변경을 수반하는 일 없이 각종 제어 기판에 대응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액정 패널(11)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가 설치된 제어 기판(19, 20)과, 액정 패널(11)의 배면측에 배치되는 이면 덮개(18A)와, 제어 기판(19, 20)을 이면 덮개(18A)에 부착하기 위한 보조판(21A)과, 이면 덮개(18A)의 기정 위치에 보조판(21A)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 기구[나사 고정 기구(35A), 관통 구멍(37A), 나사(38)]와, 제어 기판(19, 20)을 보조판(21A)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보스(39)를 설치한다.
이면 덮개, 보조판, 제어 기판, 액정 패널, 부착 보스, 광원 유닛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액정 표시 장치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액정 표시 장치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액정 표시 장치
11 : 액정 패널
12 : 화장판
13 : 광원 유닛
14 : 도광판
17 : 캐리지 프레임
18A 내지 18C : 이면 덮개
19 : 구동 제어 기판
20 : 백라이트 제어 기판
21A 내지 21C : 보조판
25 : 액정 패널 본체
26 : 드라이버
30 : 형광관
31 : 리플렉터
35A 내지 35C : 나사 고정 기구
37A 내지 37C : 관통 구멍
38 : 나사
39 : 부착 보스
40 : 절곡부
41 : 이면 커버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정 패널의 배면측에 설치되는 이면 덮개에 회로 기판 등을 배치하는 구성인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 표시 장치는 화상 및 문자 등을 출력하는 출력 장치로서 다양한 전자 기기, 전자 장치에 조립되어 있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에는 액정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용 기판이 배치되지만, 이 제어용 기판도 다양한 구성이 있다. 따라서, 제어용 기판의 구성이 다르더라도 이것을 효율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에 부착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 액정 표시 장치는 화상 및 문자 등을 출력하는 출력 장치로서 다양한 전자 기기, 전자 장치에 조립되어 있다. 이 액정 표시 장치는 통상 소정의 휘도를 실현하기 위한 백라이트 등의 조명 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 패널을 구동 제어하는 구동 제어 기판 및 백라이트의 휘도 제어를 행하는 백라이트 제어 기판은 통상 액정 표시 장치의 이면측에 배치된다. 이 각 제어 기판의 사양은 액정 표시 장치를 설치하는 전자 기기, 전자 장치마다 각양각색이며, 따라서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진 제어 기판이 존재한다.
즉, 동일 구성의 액정 패널일지라도 이것이 배치되는 전자 기기 등에 의해 액정 패널에는 크기 및 형상이 다른 다양한 제어 기판이 부착된다. 종래, 이 각 제어 기판을 액정 표시 장치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액정 표시 장치의 이면측에 배치되는 이면 덮개에 각 제어 기판을 나사 고정에 의해 고정하는 방법이 도입되고 있었다.
이 이면 덮개는 액정 패널의 이면을 씌우도록 배치됨으로써, 액정 패널의 기계적인 강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면 덮개는 필연적으로 액정 패널과 일체적으로 배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제어 기판의 부착 방법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가 배치되는 전자 기기, 전자 장치마다 각 제어 기판은 다양한 형상을 갖고 있으므로, 그에 따라서 이면 덮개의 변경이 필요해진다. 그리고, 이 변경을 행한 경우에는 변경한 이면 덮개의 형상에 의해 액정 표시 장치의 형식이 추가되어 버리므로 액정 표시 장치의 양산성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어 기판의 변 경에 대응시킨 이면 덮개를 다양하게 준비할 필요가 있어, 제품 비용이 상승해 버리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이면 덮개에 변경을 수반하는 일 없이 각종 제어 기판에 대응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다음에 서술하는 각 수단을 강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가 설치된 기판과,
상기 액정 패널의 배면측에 배치되는 이면 덮개와,
상기 기판을 상기 이면 덮개에 부착하기 위한 보조판과,
상기 이면 덮개의 기정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기정 위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판을 부착하도록 구성된 제1 부착 기구와,
상기 기판을 상기 보조판에 부착하기 위한 제2 부착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제1 부착 기구에 의해 보조판은 이면 덮개에 부착된다. 또한, 제2 부착 기구에 의해 기판은 보조판에 부착된다. 즉, 기판은 보조판을 거쳐서 이면 덮개에 부착되는 구성이 된다.
이 때, 제1 부착 기구는 이면 덮개의 기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보조 판의 형상이나 크기가 다르더라도 보조판의 부착 위치를 제1 부착 기구에 대응시킴으로써, 액정 패널과 일체적인 이면 덮개에 변경을 가하는 일 없이 기판을 이면 덮개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기판의 형상이나 크기에 변경이 발생하더라도 이면 덮개를 다양하게 준비할 필요는 없어져 액정 패널과는 별개가 된 보조판의 변경에 의해 이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기판의 변경이 용이하고, 또한 저비용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 구조는,
상기 이면 덮개에 설치된 나사 고정 기구와,
상기 보조판에 마련된 관통 구멍과,
상기 관통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나사 고정 기구에 나사 부착되는 나사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 기구는,
상기 이면 덮개에 마련된 관통 구멍과,
상기 보조판에 설치된 나사 고정 기구와,
상기 관통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나사 고정 기구에 나사 부착되는 나사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청구항 2 및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관통 구멍, 나사 및 나사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 고정 기구 등의 간단한 구성에 의해 제1 부착 기구를 실현할 수 있으므로, 기판의 변경에 대응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저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 기구는,
상기 나사의 나사 부착 방향이 상기 액정 패널의 패널면에 대해 평행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나사를 액정 표시 장치의 측면으로부터 나사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기판 면적이 커져 액정 표시 장치의 외형에 가까운 사이즈가 된 경우라도 보조판의 고정은 측면에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또한, 적어도 상기 기판을 상기 액정 패널의 배면측으로부터 씌우는 하우징을 설치하고,
상기 제1 부착 기구에 의해 상기 기판, 상기 이면 덮개 및 상기 보조판이 일괄적으로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제1 부착 기구에 의해 기판, 이면 덮개 및 보조판이 일괄적으로 하우징에 부착되므로, 액정 표시 장치의 조립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액정 표시 장치(10)를 도시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10)는 대략 액정 패널(11), 화장판(12), 광원 유닛(13), 도광판(14), 캐리지 프레임(17), 이면 덮개(18A), 보조판(21A), 구동 제어 기판(19) 및 백라이트 제어 기판(20)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액정 패널(11)은 문자 및 화상 등이 표시되는 액정 패널 본체(25)의 외주에 이 액정 패널 본체(25)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26)가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액정 패널(11)의 상부에는 화장판(12)이 설치된다.
화장판(12)은 스테인레스(SUS), 철 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 혹은 수지재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부(27)와 개구부(28)에 의해 이루어지는 상자 덮개형 형상으로 가공되어 있다. 이 화장판(12)은 액정 패널(11)을 보강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다.
프레임부(27)는 액정 패널 본체(25)에 배치된 드라이버(26)에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28)는 액정 패널(11)의 액정 패널 본체(25)와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캐리지 프레임(17)은 액정 패널(11)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 캐리지 프레임(17)은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 성형품 또는 SUS,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로 구성되어 있어 액정 패널(11)을 지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광원 유닛(13)은 형광관(30)과 리플렉터(3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광원 유닛(1)은 도광판(14)의 측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형광관(30)은 액정 표시 장치(10)의 광원이 되는 것으로, 리플렉터(31)에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리플렉터(31)는 SUS, 철 또는 알루미늄 등의 주로 금속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형광관(30)에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리플렉터(31)의 형광관(30)과 대향하는 면에는 은 증착층 또는 백색 반사층이 형성되어 있고, 형광관(30)으로부터의 빛을 효율적으로 반사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형광관(30)의 빛은 분산되는 일 없이 효율 좋게 도광판(14)으로 유도된다.
도광판(14)은 아크릴 등의 투명도가 높은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도광판(14)은 액정 패널(11)의 이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도광판(14)의 표면측[액정 패널(11)과 대향하는 측]에는 광학 시트(15)가 배치된다.
이 광학 시트(15)는 도광판(14)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집광 및 확산하여 액정 패널(11)로 효율 좋게 빛을 방출시키는 것이다. 또한, 도광판(14)의 이면측에는 반사 시트(16)가 배치되어 있다. 이 반사 시트(16)는 도광판(14)으로부터 누설된 빛을 반사시켜 다시 도광판(14)의 내부로 빛을 복귀시키는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이면 덮개(18A)는 상기한 리플렉터(13), 도광판(14), 광학 시트(15), 반사 시트(16) 등을 수납하는 것이다. 이 이면 덮개(18A)는 캐리지 프레임(17)과 마찬가지로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 성형품 또는 SUS,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면 덮개(18A)에는 나사 고정 기구(35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 고정 기구(35A)는 이면 덮개(18A)에 직접 나사 절단 가공한 것으로, 후술하는 나사(38)를 나사 결합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나사(38)를 나사 결합할 수 있는 구성이면, 간격 볼트를 부착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한편, 상기한 화장판(12)의 4 귀퉁이에는 고정부(29)가 형성되어 있고, 캐리지 프레임(17)의 4 귀퉁이에는 고정부(34)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이면 덮개(18A)의 4 귀퉁이에는 고정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각 고정부(29, 34, 36)는 설편 형상을 갖고 있고, 각각에는 도시하지 않은 나사를 삽통하는 삽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를 나사 고정함으로써 액정 패널(11), 화장판(12) 및 도광판(14) 등은 화장판(12)과 이면 덮개(18A) 사이에 고정된다.
구동 제어 기판(19)은 액정 패널(11)의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 기판이다. 또한, 백라이트 제어 기판(20)은 액정 패널(11)의 휘도(밝기)를 적정 휘도로 유지하기 위해, 광원 유닛(13)[형광관(30)]을 제어하기 위한 기판이다.
이 각 제어 기판(19, 20)의 4 귀퉁이 위치에는 끼워 넣음 구멍(45)이 형성되어 있다. 이 끼워 넣음 구멍(45)은 각 제어 기판(19, 20)의 회로에 영향이 없는 부위를 선정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제어 기판(19)과 백라이트 제어 기판(20)을 별개의 부재로 하고 있지만, 이 2개의 기판을 일체화하여 1매의 기판에 의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동 제어 기판(19) 및 백라이트 제어 기판(20)은 보조판(21A)에 부착된다. 이 보조판(21A)은 SUS,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 혹은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보조판(21A)은 각 제어 기판(19, 20)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 보스(39)(청구항에 기재된 제2 부착 기구에 상당함)가 설치되어 있다. 이 부착 보 스(39)를 각 제어 기판(19, 20)의 끼워 넣음 구멍(45)에 끼워 넣음으로써, 각 제어 기판(19, 20)은 보조판(21A)에 부착된다.
이 때, 부착 보스(3)로의 각 제어 기판(19, 20)의 부착은 완전한 고정이 아닌 착탈 가능한 것이다. 이에 의해, 각 제어 기판(19, 20)의 고장시에 있어서의 교환이 용이해져 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판(21A)의 4 귀퉁이 위치에는 설편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설편부에는 각각 관통 구멍(37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37A)의 형성 위치는 상기한 이면 덮개(18A)에 형성된 나사 고정 기구(35A)의 형성 위치와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판(21A)은 나사(38)를 관통 구멍(37A)에 삽통하여 나사 고정 기구(35A)에 나사 부착함으로써 이면 덮개(18A)에 고정된다.
이 때, 이면 덮개(18A)에 고정되기 전에 미리, 혹은 고정된 후에 부착 보스(39)에 각 제어 기판(19, 20)을 부착함으로써, 이 각 제어 기판(19, 20)도 보조판(21A)을 거쳐서 이면 덮개(18A)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한 나사 고정 기구(35A), 관통 구멍(37A) 및 나사(38)는 청구항에 기재된 제1 부착 기구를 구성한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보조판(21A)의 형상이나 크기가 다르더라도 보조판(21A)에 형성된 관통 구멍(37A)의 형성 위치를 나사 고정 기구(35A)에 대응시킴으로써, 액정 패널(11)과 일체적인 이면 덮개(18A)에 변경을 가하는 일 없이 보조판(21A)을 이면 덮개(18A)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부착 보스(39)의 형성 위치는 이면 덮개(18A)에 상관없이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구동 제어 기판(19), 백라이트 제어 기판(20)의 형상이나 크기에 변경이 발생해도 이에 대응하는 이면 덮개(18A)를 다양하게 준비할 필요는 없어진다.
따라서, 각종 크기 및 형상의 제어 기판(19, 20)에 대해 보조판(21A)의 변경만으로 대응할 수 있으므로, 제어 기판(19, 20)의 변경이 용이하면서도 저비용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10)의 기본 구성을 변경하는 일 없이 제어 기판(19, 20)의 변경에 대응 가능해지므로, 양산성이 우수한 액정 표시 장치(10)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이면 덮개(18A)에 나사 고정 기구(35A)를, 보조판(21A)에 관통 구멍(37A)을 형성하고, 보조판(21A)의 이면측으로부터 나사(38)를 관통 구멍(37A)으로 관통시켜 나사 고정 기구(35A)에 나사 부착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그러나, 이면 덮개(18A)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보조판(21A)에 나사 고정 기구를 설치하고, 나사(38A)를 이면 덮개(18A)의 표면측으로부터 이면 덮개(18A)를 관통시켜 보조판(21A)의 나사 고정 기구에 나사 부착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어떠한 구성으로 해도 나사 고정 기구(35A), 관통 구멍(37A) 및 나사(38) 등의 간단한 구성에 의해 제1 부착 구조를 실현할 수 있으므로, 액정 표시 장치(10)를 저비용으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액정 표시 장치의 이면 덮개(18B) 근방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2에 있어서 도1에 도시한 구성과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이면 덮개(18B)에 액정 패널(11), 화장판(12), 광원 유닛(13), 도광판(14) 등이 배치되지만, 이들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액정 표시 장치(10)와 동일 구성이므로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면 덮개(18B)의 양측부(본 실시예에서는 길이 방향의 양측부)에 절곡부(43)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절곡부(43)에 관통 구멍(37B)을 형성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보조판(21B)의 양측부에도 절곡부(40)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곡부(40)에는 나사 고정 기구(35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조판(21B)은 이면 덮개(18B)에 형성된 한 쌍의 절곡부(43) 사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또한 구동 제어 기판(19) 및 백라이트 제어 기판(20)은 보조판(21B)에 형성된 한 쌍의 절곡부(40) 사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보조판(21B)을 이면 덮개(18B)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나사 고정 기구(35B)와 관통 구멍(37B)은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장착 상태에 있어서, 나사(38)의 나사 부착 방향은 액정 패널(11)의 패널면에 대해 평행[즉, 이면 덮개(18B)의 면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나사(38)를 이면 덮개(18B)(액정 표시 장치)의 측면으로부터 나사 고정함으로써 보조판(21B)의 면적을 넓게 취하므로, 제어 기판(19, 20)이 크게 이면 덮개(18B)의 전체 영역을 씌우는 치수일지라도 액정 표시 장치의 외형을 초과하는 일 없이 보조판(21B)을 고정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액정 표시 장치의 이면 덮개(18C) 근방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3에 있어서도 도1에 도시한 구성과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하고, 또한 액정 패널(11), 화장판(12), 광원 유닛(13), 도광판(14) 등의 도시는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면 덮개(18C)를 하우징, 예컨대, 이면 커버(41)에 부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이면 커버(41)는 상자 덮개형 형상으로 되어 있고, 스테인레스(SUS), 철 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 혹은 수지재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이면 커버(41)는 구동 제어 기판(19) 및 백라이트 제어 기판(20)을 이면측으로부터 씌워 보호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면 덮개(18C)의 4 귀퉁이에 설편부가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고, 각 설편부에는 관통 구멍(37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조판(21C)의 4 귀퉁이 위치에도 직각으로 절곡된 설편부가 형성되어 있고, 각 설편부에는 나사 고정 기구(35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면 커버(41C)의 4 귀퉁이 위치에도 관통 구멍(42)이 형성되어 있다.
조립 순서로서는, 각 제어 기판(19, 20)을 보조판(21C)의 부착 보스(39)에 부착한 다음, 이것을 이면 커버(41)에 장착한다. 계속해서, 그 상부로부터 이면 덮개(18C)를 이면 커버(41)에 장착한다. 이 장착 상태에 있어서, 이면 덮개(18C), 보조판(21C) 및 이면 커버(41)는 외측으로부터 관통 구멍(42), 관통 구멍(37C), 나사 고정 기구(35C)의 순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면 커버(41)의 외측으로부터 나사(38)를 관통 구멍(42) 및 관통 구멍(37C)을 거쳐서 나사 고정 기구(35C)에 나사 부착함으로써, 이면 덮개(18C), 보조판(21C) 및 이면 커버(41)의 고정을 일괄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액정 표시 장치의 조립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나사(38)를 측면으로부터 나사 고정할 수 있으므로, 나사 고정 작업의 간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면 덮개(18C)와 보조판(21C)을 고정하는 제1 부착 기구를 그대로 이용하여 이면 커버(41)도 고정하고 있으므로, 이면 커버(41)와 액정 패널(11)의 부착 강도가 강해져 액정 표시 장치로서의 강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에 서술하는 다양한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르면, 기판의 형상이나 크기에 변경이 발생해도, 이면 덮개를 다양하게 준비할 필요는 없어져 액정 패널과는 별개의 부재가 된 보조판의 변경에 의해 이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기판의 변경에 용이하고 또한 저비용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 및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관통 구멍, 나사 및 나사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 고정 기구 등의 간단한 구성에 의해 제1 부착 기구를 실현할 수 있으므로, 기판의 변경에 대응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저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나사를 액정 표시 장치의 측면으로 부터 나사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기판 면적이 커져 액정 표시 장치의 외형에 가까운 사이즈가 된 경우라도 보조판의 고정은 측면에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제1 부착 기구에 의해 기판, 이면 덮개 및 보조판이 일괄적으로 하우징에 부착되므로, 액정 표시 장치의 조립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Claims (5)

  1. 액정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가 설치된 기판과,
    상기 액정 패널의 배면측에 배치되는 이면 덮개와,
    상기 기판을 상기 이면 덮개에 부착하기 위한 보조판과,
    상기 이면 덮개의 기정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기정 위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판을 부착하도록 구성된 제1 부착 기구와,
    상기 기판을 상기 보조판에 부착하기 위해 상기 보조판에 설치된 제2 부착 기구를 가지며,
    상기 제2 부착 기구는 상기 이면 덮개와 상관없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기판용 부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액정 패널, 상기 이면 덮개, 상기 보조판, 및 상기 기판은 상기 순번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 기구는,
    상기 이면 덮개에 설치된 나사 고정 기구와,
    상기 보조판에 마련된 관통 구멍과,
    상기 관통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나사 고정 기구에 나사 부착되는 나사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 기구는,
    상기 이면 덮개에 마련된 관통 구멍과,
    상기 보조판에 설치된 나사 고정 기구와,
    상기 관통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나사 고정 기구에 나사 부착되는 나사에 의 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 기구는 상기 나사의 나사 부착 방향이 상기 액정 패널의 패널면에 대하여 평행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기판을 상기 액정 패널의 배면측으로부터 씌우는 하우징을 설치하고,
    상기 제1 부착 기구에 의해 상기 기판, 상기 이면 덮개 및 상기 보조판이 일괄적으로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20030126A 2001-08-22 2002-05-30 액정 표시 장치 KR1008038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51721A JP4217394B2 (ja) 2001-08-22 2001-08-22 液晶表示装置
JPJP-P-2001-00251721 2001-08-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7315A KR20030017315A (ko) 2003-03-03
KR100803882B1 true KR100803882B1 (ko) 2008-02-14

Family

ID=19080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0126A KR100803882B1 (ko) 2001-08-22 2002-05-30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30038902A1 (ko)
JP (1) JP4217394B2 (ko)
KR (1) KR100803882B1 (ko)
CN (1) CN1270206C (ko)
TW (1) TW5674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536585B (zh) * 2003-04-08 2010-12-08 明基电通股份有限公司 具有可拆装背盖的显示器
KR101065654B1 (ko) 2004-06-15 2011-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CN104105372A (zh) * 2014-08-04 2014-10-15 奥捷五金(江苏)有限公司 信息家电产品的外壳及其加工方法
CN104390118B (zh) * 2014-09-18 2019-01-22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可弯曲显示装置的背板和曲面电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4314A (en) * 1995-10-11 1998-06-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chanical packaging and thermal management of flat mirror arrays
US5808707A (en) * 1995-03-01 1998-09-15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2368A (en) * 1989-05-31 1991-03-26 Poqet Computer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mounting structure
JP2885693B2 (ja) * 1996-04-23 1999-04-26 静岡日本電気株式会社 小型電子機器のlcd保持構造
JP4330764B2 (ja) * 2000-06-09 2009-09-16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8707A (en) * 1995-03-01 1998-09-15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apparatus
US5764314A (en) * 1995-10-11 1998-06-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chanical packaging and thermal management of flat mirror array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17394B2 (ja) 2009-01-28
JP2003066416A (ja) 2003-03-05
CN1270206C (zh) 2006-08-16
CN1402061A (zh) 2003-03-12
TW567451B (en) 2003-12-21
US20030038902A1 (en) 2003-02-27
KR20030017315A (ko) 200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323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reinforced side
JP4725116B2 (ja) 表示モジュール
KR100419043B1 (ko) 액정모듈 지지구조 및 이것을 탑재하는 휴대용 단말장치
US10409108B2 (en)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US7773171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20172B1 (ko) 보더리스 액정표시장치
US8212960B2 (en) Display apparatus
JP5303658B2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100803882B1 (ko) 액정 표시 장치
JP4548124B2 (ja) 液晶モジュール
JP2005222064A (ja) 液晶パネル用の位置可変式締結構造
JP6282663B2 (ja) 表示装置
JP4103477B2 (ja) 液晶表示装置
CN101471376B (zh) 背光单元及具有该背光单元的平板显示器
JP2014126740A (ja) 表示装置
KR20090047789A (ko) 액정표시장치의 프레임 결합구조
JP2006171378A (ja) 液晶表示装置
JP2002175023A (ja) 液晶表示装置
KR20070005052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1354599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60012859A (ko) 표시장치
KR20070103196A (ko)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060005162A (ko) 표시장치용 샤시, 인버터 커버 및 이들을 갖는 표시장치
KR20070001395A (ko) 액정모듈
KR20040043412A (ko) 평판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