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3241B1 - 왕복 내연기관 및 그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왕복 내연기관 및 그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3241B1
KR100803241B1 KR1020067012341A KR20067012341A KR100803241B1 KR 100803241 B1 KR100803241 B1 KR 100803241B1 KR 1020067012341 A KR1020067012341 A KR 1020067012341A KR 20067012341 A KR20067012341 A KR 20067012341A KR 100803241 B1 KR100803241 B1 KR 100803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ylinder
trough
fuel injection
gas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2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4986A (ko
Inventor
요르그 발라우프
요세 기에게르
마르틴 윈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훼브 모토렌테크니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훼브 모토렌테크니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94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4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3/00Other engines characterised by special shape or construction of combustion chambers to improve operation
    • F02B23/08Other engines characterised by special shape or construction of combustion chambers to improve operation with positive ignition
    • F02B23/10Other engines characterised by special shape or construction of combustion chambers to improve operation with positive ignition with separate admission of air and fuel into cylinder
    • F02B23/104Other engines characterised by special shape or construction of combustion chambers to improve operation with positive ignition with separate admission of air and fuel into cylinder the injector being placed on a side position of the cylinder
    • F02B23/105Other engines characterised by special shape or construction of combustion chambers to improve operation with positive ignition with separate admission of air and fuel into cylinder the injector being placed on a side position of the cylinder the fuel is sprayed directly onto or close to the spark plu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3/00Other engines characterised by special shape or construction of combustion chambers to improve operation
    • F02B23/08Other engines characterised by special shape or construction of combustion chambers to improve operation with positive ignition
    • F02B23/10Other engines characterised by special shape or construction of combustion chambers to improve operation with positive ignition with separate admission of air and fuel into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17/00Eng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effecting stratification of charge in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17/00Eng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effecting stratification of charge in cylinders
    • F02B17/005Eng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effecting stratification of charge in cylinders having direct injection in the 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3/00Other engines characterised by special shape or construction of combustion chambers to improve operation
    • F02B23/08Other engines characterised by special shape or construction of combustion chambers to improve operation with positive ignition
    • F02B23/10Other engines characterised by special shape or construction of combustion chambers to improve operation with positive ignition with separate admission of air and fuel into cylinder
    • F02B2023/106Tumble flow, i.e. the axis of rotation of the main charge flow motion is horizon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12Other methods of operation
    • F02B2075/125Direct injection in the combustion chamber for spark ignition engines, i.e. not in pre-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275/00Other engines, components or detail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02B2275/48Tumble motion in gas movement in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1/00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 F02B31/08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having multiple air inlets
    • F02B31/085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having multiple air inlets having two inlet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Method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린더(1)마다 가스 흡입 밸브(6)를 갖는 적어도 2개의 가스 흡입 포트(3), 가스 배출 밸브(7)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 배출 포트(4) 및 적어도 점화 장치(14), 및 실린더 헤드(2.1)와 피스톤(11)의 크라운(crown)(11.1)에 의하여 형성되는 연소실(1.1)을 가지며, 상기 피스톤(11)은 실린더(1) 내에서 왕복식으로 안내되며, 상기 연소실 내부로 가스 흡입 포트가 실린더 헤드(2.1)면에 대하여 45도 이하의 플랫 각도(flat angle)로 열리는, 왕복 내연기관에 있어서,
한쪽의 피스톤 크라운(11.1) 및 다른 한쪽의 실린더 헤드(2.1)의 종단면에서 실질적으로 루프(roof)-형상으로 되어 있고,
각각의 경우에 루프면 중 하나는 상기 가스 흡입 밸브(6)와 연관되며, 상기 루프면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가스 배출 밸브(7)와 연관되고, 상기 실린더 헤드(2.1)의 루프면의 방위는 상기 피스톤 크라운(11.1)의 루프면의 방위에 대응되며,
연료 분사 노즐(8)이 상기 가스 흡입 밸브(6)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스 흡입 포트(3)의 입구 영역 근처에서 실린더(1) 내로 개방되며,
상기 실린더 축(5)에 대하여 측정된, 상기 연료 분사 노즐(8)의 제트 축(jet axis)(9)의 각도는, 상기 가스 흡입 포트의 각도보다 크며,
점화 장치(14)가 상기 실린더 축(5)에 근접한 실린더 헤드(2.1)에 배치되며,
상기 피스톤 크라운(11.1)에 트로프-형상 리세스(trough-shaped recess)(12)가 제공되며, 상기 트로프-형상 리세스(12)는 트로프 베이스(trough base)(12.1) 및 측벽(16)에 의하여 경계를 이루고 있고, 상기 피스톤 크라운의 루프 리지(roof ridge)(11.2)와 교차하고 상기 루프면 양자의 영역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트로프 베이스(12.1)는 상기 연료 분사 노즐(8)을 향하여 경사져 있고, 상기 연료 분사 노즐(8)과 대향하는 측면에 상방으로 가파르게 연장되는 벽 영역(12.2)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트로프 베이스(12.1)와 상기 측벽(16) 사이의 전이 영역(transition zone)(15)은 그 평면도가 실질적으로 배럴-형상 외형(barrel-shaped contour)을 가지며, 상기 전이 영역(15)은 상기 가스 배출측(4)으로부터 양측으로 폭이 넓어진 후 상기 가스 흡입측(3)을 향하여 다시 폭이 좁아지며, 상기 전이 영역의 일단부는 가파르게 상방으로 연장되는 벽 영역(12.2)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내연기관을 제공한다.
내연기관, 트로프, 측벽, 실린더 헤드, 연료 분사 노즐, 흡입, 배출, 연소실

Description

흡입측에 배치된 인젝터에 의하여 연료가 직접 분사되는 왕복 내연기관{RECIPROCATING INTERNAL-COMBUSTION ENGINE WITH DIRECT FUEL INJECTION BY MEANS OF AN INJECTOR ARRANGED ON THE INTAKE SIDE}
본 발명은 흡입측에 배치된 인젝터에 의하여 연료가 직접 분사되는 왕복 내연기관에 관한 것이다.
불꽃 점화 및 직접 연료 분사식 왕복 내연기관에서, 연료는 인젝터(injector)에 의하여 기관의 연소실 내로 직접 분사된다. 분사 시기에 대하여, 2가지 기본 작동 모드가 있다.
소위 균질 작동(homogeneous operation)에서는, 연료는 대체로 연소 공기의 유입 동안, 즉 흡입 밸브가 열릴 때, 초기에 연소실 내로 분사된다. 이에 따라 연료/공기 혼합물의 양호한 균질화가 얻어진다. 이러한 작동 모드는 기관이 고부하에서 작동될 때 유리하다.
소위 성층 급기 작동(stratified-charge operation)에서는, 가스 흡입 밸브가 닫힌 후, 피스톤이 그 상승 운동 동안 상사점의 영역을 통과할 때까지는, 분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연료가 실린더 내에 포함된 신선한 공기의 일부와만 혼합되고, 점화 장치에 의하여 점화되기 전까지는 국소적으로 제 한된 방식으로만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작동 모드는 기관이 부분 부하 또는 무부하(no load)에서 작동될 때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장점은 기관은 흡입 공기를 스로틀(throttling)시키지 않고, 점화 장치의 근처에서는 공기-대-연료 비율이 신뢰할만한 점화가 이루어질 수 있을 정도로 희박하지 않은 상태로 작동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 모드에 대하여, 연료를 연소실 내부로 도입하고 혼합물을 형성하는 다양한 방법이 공지되어 있고 다음과 같이 2개의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다:
소위 제트-안내 방식(jet-guided methods)에서는, 분사 제트(injection jet)는 점화 장치에 직접 겨냥된다. 분사된 연료는 연소 공기와 혼합되고 점화 장치에 의하여 점화된다. 따라서, 점화 장치가 인젝터에 매우 근접하여 위치되는 경우에만, 확실한 성층-급기 작동이 보장된다. 이것은, 극히 작은, 작동점-특이적 점화창(operating-point-specific ignition window)만이 이용가능하며, 따라서 대규모 성능 특성 범위에 대하여 제트 확산(jet diffusion)의 조절이 중요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사용되는 인젝터는 매우 정밀하게 제작되어야 한다. 장기간 작동 동안 인제턱에 작은 허용 오차나 또는 변화라도 생기면, 점화에 대한 경계 조건(boundary conditions)이 불리하게 된다.
따라서 성층-급기 작동에서 점화 조건은 점화 장치와 분사 제트의 정밀한 기하학적인 구조 관계에 의하여만 보장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카테고리에서 공지된 방식은 한정된 급기 운동 또는 강한 급기 운동 없이 실시된다. 그러나, 균질 작동에서는, 연료/공기 혼합물의 균질화를 개선하는 운동이 결여되어 있어, 오염 물질의 배출이 상당히 증가됨에 따라, 출력 손실 및 연료 소비가 증가된다.
이러한 방식은 점화 장치로의 직접 분사에 의하여 발생되는 점화 장치의 마모 증가 및 수명 단축의 추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소위 벽-안내 방식(wall-guided mehtods)은, 성층-급기 작동 방식에서, 연료 분사 제트가 피스톤 크라운에 의하여 형성되는 연소실 벽의 일부에 의하여 점화 장치로 편향된다는 사실에 기초하고 있다. 이것은 강한 급기 운동에 의하여 보조된다. 이러한 방식은 점화 장치로의 직접 분사를 방지한다. 연료 인젝터의 허용 오차 및 작동 상태는 상기 설명된 제트-안내 방식의 경우에서보다 중요하지 않다.
이런한 방식의 단점은, 연료가 연소실 내로 직접 분사될 때, 연료가 연소실 벽, 특히 피스톤 크라운까지 이동되어, 어떤 작동 상태에서는, 불완전 연소를 발생시켜 미연소 탄화수소의 배출 증가 및 매연의 배출 증가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은, 흡기측에 위치하는 연료 인젝터에 의해 실시되고, 방위 및 회전의 방향의 관점에서, 분사 방향으로 실린더 급기의 특정 원통형 흐름의 형성에 의존하는데, 이는 피스톤 크라운을 통하여 점화 장치에 혼합 제트(mixed jet)를 안내한다. 이러한 패턴의 급기 운동은, 가파르게 직립한 흡입 포트(유럽 특허 EP 0 558 072 B1 및 독일 특허출원 DE 197 08 288 A1)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엔진의 전체 높이는 대응하여 더 커지게 된다. 다른 제안된 해결책에 따르면, 원하는 운동 패턴의 실린더 급기는, 흡입 시스템의 흐름 특성, 및 그에 따라 기관의 전부하(full-load) 작동에 불리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지라도, 흡입 포트의 특정 형상, 또는 예를 들면, 흡입 밸브의 시트 영역의 구조(유럽 특허 EP 0 463 613 B1)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들 두가지 경우에, 분사 제트는 피스톤 크라운의 리세스에 겨냥되어, 성층-급기 작동 동안, 여전히 액체인 연료가 피스톤 크라운에 부딪힌다. 또한 그곳에서 형성되는 혼합물은 피스톤 크라운의 벽과 접촉하는 점화 장치를 향하여 안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성층-급기 작동에 필요한 강한 급기 운동은, 균질 작동 동안 결과적으로 발생되는 귀에 거슬리는 연소 소음 및 증가된 벽 열 손실 때문에 불리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국제 공개 특허 WO 01/49996A는, 실린더마다 가스 흡입 밸브를 갖는 2개의 가스 흡입 포트, 가스 배출 밸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 배출 포트 및 적어도 하나의 점화 장치를 가지며, 실린더 내에서 왕복식으로 안내되는, 피스톤의 크라운과 실린더 헤드에 의하여 형성되는 연소실을 가지고, 상기 한쪽의 피스톤 크라운 및 다른쪽의 실린더 헤드는 종단면이 실질적으로 루프(roof) 형상으로 되어 있고, 각각의 경우에 루프면 중의 하나는 가스 흡입 밸브와 연관되고, 다른 루프면은 가스 배출 밸브와 연관되며, 상기 실린더 헤드의 루프면의 방위는 피스톤 크라운의 루프면의 방위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내연기관을 개시한다. 트로프(trough)-형상 리세스가 피스톤 크라운에 제공되어, 상기 피스톤 크라운의 루프 리지의 영역에 걸쳐서 양쪽 루프면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연료 분사 노즐은 가스 흡입 밸브에 인접한 가스 흡입 포트의 입구 영역 근처에서 실린더 내부로 개방된다. 점화 장치는 수직 실린더 축에 근접한 실린더 헤드에 배치된다.
실린더 헤드는 물론 피스톤 크라운의 루프-형상 형성 때문에, 매우 작은 틈 이 있는 연소실이 형성되어, 피스톤 크라운의 트로프-형상 리세스와 관련하여, 연료 분사 노즐을 향하여 실린더 급기의 운동이 발생된다. 가스 흡입 포트가 임의의 각도로 연소실 내로 개방되면, 텀블 흐름이 흡입 행정 동안 형성되고, 초기에 실린더 헤드를 따라 연소실 내부로 흐르며 또한 트로프-형상 리세스에 의하여 연료 분사 노즐을 향하여 다시 안내된다. 또한 상기 흐름은 압축 행정 동안 유지된다.
특히 성층-급기 작동 동안, 공기는 피스톤 크라운을 통하여 연료 분사 노즐쪽으로 안내되며, 또한 연료는 공기에 분사된다. 성층-급기 작동 동안, 연료 분사가, 흡입 밸브가 닫힌 후 피스톤이 그 상승 운동 동안 상사점에 근접할 때에 발생된다면, 가스 흡입 밸브의 바로 근처에서 개선된 혼합 조성이 얻어진다. 분사 밸브에서, 공기 흐름은 그 방향이 변화되어, 점화 장치로 안내된다. 감소된 연소실 체적에도 불구하고, 최적의 혼합물을 형성하는 긴 자유 제트 통로(free jet path)가 실린더 내에서 점화 장치를 향하는 공기 흐름의 방향의 연료에 대해서도 이용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실린더 벽에 대하여 연료가 약간만 코팅되는 현상을 발생시킨다. 연료 분사 노즐의 위치와 함께 연소실의 특정 형상은, 제트의 매우 편평한 안내를 가능하게 하여, 부채꼴로 펼쳐진 제트가 만족스러운 방식으로 피스톤 크라운을 거의 적시지 않고서, 또한 성층-급기 작동 동안, 피스톤 크라운의 트로프-형상 리세스의 영역에서 연소실로 들어갈 수 있게 하여, 최적의 연료/공기 혼합물이 점화 장치에 도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점화 조건, 특히 부분 부하에서의 추가 개량을 제공하고, 전술한 불꽃 점화 및 직접 분사 타입의 왕복 내연기관에서 오염물질의 배출을 감소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실린더마다 가스 흡입 밸브를 갖는 적어도 2개의 가스 흡입 포트, 가스 배출 밸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 배출 포트 및 적어도 점화 장치를 가지고, 실린더 헤드와 피스톤의 크라운에 의하여 형성되는 연소실을 가지며, 상기 피스톤은 실린더 내에서 왕복식으로 안내되며, 상기 연소실 내부로 가스 흡입 포트가 실린더 헤드면에 대하여 플랫 각도(flat angle)로 열리는, 왕복 내연기관에 있어서,
한쪽의 피스톤 크라운 및 다른 한쪽의 실린더 헤드의 종단면이 실질적으로 루프 형상으로 되어 있고,
각각의 경우에 루프면 중 하나는 상기 가스 흡입 밸브와 연관되며, 상기 루프면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가스 배출 밸브와 연관되고, 상기 실린더 헤드의 루프면의 방위는 상기 피스톤 크라운의 루프면의 방위에 대응되며,
연료 분사 노즐이 상기 가스 흡입 밸브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스 흡입 포트의 입구 영역 근처에서 실린더 내로 개방되며,
상기 실린더 축에 대하여 측정된, 상기 연료 분사 노즐의 제트 축(jet axis)의 각도는, 상기 가스 흡입 포트의 각도보다 크며,
점화 장치가 상기 실린더 축에 근접한 실린더 헤드에 배치되며,
상기 피스톤 크라운에 트로프-형상 리세스가 제공되며, 상기 트로프-형상 리세스는 트로프 베이스 및 측벽에 의하여 경계를 이루고 있고, 상기 피스톤 크라운의 루프 리지와 교차하고 상기 루프면 양자의 영역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트로프 베이스는 상기 연료 분사 노즐을 향하여 경사져 있고, 상기 연료 분사 노즐과 대향하는 측면에 상방으로 가파르게 연장되는 벽 영역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트로프 베이스와 상기 측벽 사이의 전이 영역은 그 평면도가 실질적으로 배럴-형상 외형을 가지며, 상기 전이 영역은 양측에서 상기 가스 배출측으로부터 폭이 넓어진 후 상기 가스 흡입측을 향하여 다시 폭이 좁아지며, 상기 전이 영역의 일단부는 가파르게 상방으로 연장되는 벽 영역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내연기관에 의하여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측벽의 배럴 형상 형성은 피스톤 트로프의 보다 많이 개방된 형상을 제공하는데, 이것은 분사 제트에 의하여 벽과 덜 접촉하게 하며, 따라서 오염물질의 배출을 더 감소시키며, 특히 균질 작동에서 매연 형성을 감소시키게 한다. 동시에, 개선된 연소 안정성이 성층-급기 작동에서 얻어지는데, 즉, 미점화(misfiring)가 감소된다.
피스톤 크라운의 트로프-형상 리세스가 채널의 방식으로 텀블 흐름을 보조하고 안내하면,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배럴-형상 외형은 메인 흐름 방향을 가로지르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피스톤 크라운의 근처에서, 텀블 흐름은 먼저 흐름 방향을 약간 가로질러 연장되고, 즉 약간 속도가 떨어지며, 그 다음 다시 강화되고, 즉 가파르게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벽 영역으로 전이하기 직전에 가속된다. 이와 같이, 텀블 흐름에 난류가 부여되는데, 이것은 공기 흐름 내에 분사되는 다량의 연료의 양호한 혼합을 초래하여, 그 결과 양호한 연소가 이루어지는 배출 가스에서의 오염물질, 특히 매연 입자를 상당히 감소시킨다. 이러한 효과는 균질 작동은 물론 성층-급기 작동에서도 발생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로프 베이스는 평면형 표면을 가지며, 배럴-형상 외형을 형성하는 상기 측벽이 상기 트로프 베이스를 접시-형상 방식으로 연결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로프 형상 리세스의, 상기 가스 배출측과 대면하는, 단부 영역은 상기 가스 흡입측과 대면하며 가파른 상기 벽 영역에 의하여 경계를 이루는 단부 영역보다 폭이 넓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이 실시예의 다음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된다.
도 1은 균질 작동 동안 압축 행정의 개시 시에 흡입 운동을 나타내는, 실린더의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성층-흡입 동작 중에 분사되는 실린더의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피스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의 피스톤 크라운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왕복 내연기관의 실린더(1)는, 실질적으로 서로 거울-대칭적으로 배치되는 2개의 경사지게 뻗어 있는 가스 흡입 포트(3) 및 2개의 가스 배출 포트(4)를 가지고 있는 실린더 헤드(2)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따른 종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스 흡입 포트(3) 및 상기 가스 배출 포트(4) 양자 모두는 실린더 헤드(2)에 배치되어 45°이하의 각도[실린더 헤드 평면(2.1)에 대하여 측정됨]로 연소실(1.1) 내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가스 흡입 포트(3)는 대응하는 가스 흡입 밸브(6)에 의하여 개폐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가스 배출 포트(4)는 대응하는 가스 배출 밸브(7)에 의하여 개폐가능하게 되어 있다.
연료 분사 노즐(8)은 가스 흡입 밸브(6)의 영역에서 실린더 헤드(2)에 배치되어 있고 커먼-레일 기술(common-rail technology)의 고압 직접 연료 분사 시스템의 일부분일 수 있다. 2개의 가스 흡입 포트(3)를 갖는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연료 분사 노즐(8)은 2개의 가스 흡입 밸브(6)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연료 분사 노즐(8)은 각각의 흡입 개구를 형성하는 밸브 시트 링(6.1)의 대략 하부 에지의 높이에서 연소실(1.1) 내로 개방된다. 상기 연료 분사 노즐(8)의 제트 축(jet axis)(9)은 실린더 축(5)을 향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실린더 축과 각도를 이루면서 뻗어 있고, 상기 각도는, 수직에 대하여 측정되는, 상기 가스 흡입 포트(3)의 입구 각도보다 크게 되어 있어, 제트 축은 매우 플랫 각도로 연소실 내로 뻗어 있다.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실린더 헤드(2.2) 및 피스톤(11)의 크라운(crown)(11.1)은 루프 형상(roof-shaped)으로 되어 있고, 대응하는 루프면은 상기 가스 흡입 밸브(6) 및 가스 배출 밸브(7)와 연관된다. 트로프-형상 리세스(trough-shaped recess)(12)는 연료 분사 노즐(8)을 향하며, 피스톤 크라운(11.1)에 제공되며, "루프면" 양자를 통하여 "루프 리지(roof ridge)"(11.2)를 가로질러 연장된다.
도 1은, 가스 흡입 밸브(6)가 열릴 때 피스톤(11)의 하강 운동 동안, 연료가 연료 분사 노즐(8)에 의하여 텀블 흐름(tumble flow)(화살표를 참조할 것)으로 배 출 측의 루프면을 따라 연소실 내로 흐르는 신선한 기류 내에 분사된 후, 균질 작동으로 압축 행정 중의 피스톤(11)의 위치를 도시한다.
균질 작동 동안, 즉 고 부하에서, 부채꼴 형상의 분사 제트(13)가 연료 분사 노즐(8)을 통하여 분사된다. 가스 흡입 밸브(6)가 닫힌 후, 텀블 흐름은 피스톤의 상승 운동 동안 균질한 연료/공기 혼합물을 형성하도록 실린더 급기(공기와 연료)를 안내하며, 또한 그 연소는 점화 장치(14)에 의하여 개시된다. 또한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배럴-형상 외형을 갖는 트로프-형상 리세스(12)의 효과는 이 작동 모드에서 중요하다. 근소할지라도, 배럴-형상 트로프에 의하여 직접 안내되는 연료/공기 혼합물에 인가되는 횡방향 운동은 개선된 조절에 이르게 하며, 이것은 개선된 연소에 이르게 한다. 특히, 매연 형성이 상당히 감소된다. 높은 비출력(specific output)에 필요한, 흡입 시스템의 고유량값이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연소실(1.1)의 텀블 흐름의 형성은 가스 흡입 포트(3)에 배치된 제어가능한 조절 부재(여기에 도시되지 않음)의 배치에 의하여 추가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조절 부재의 배치 및 위치에 따라, 보다 강하거나(성층-급기 작동을 위하여 닫힌 조절 부재로) 또는 보다 약한(균질 동작을 위하여 열린 조절 부재로) 텀블 흐름이 연소실(1.1)에 발생된다. 제어가능한 조절 부재의 효과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 흡입 포트(3)에서 실린더 축(5)을 가로질러 위치되는 칸막이(partition)의 배치에 의하여 추가로 증대될 수 있으며, 상기 칸막이는 가스 흡입 포트(3)를 상부 서브-포트(sub-port)와 하부 서브-포트로 분리한다.
도 2는 소위 성층-급기 작동, 즉 무부하로부터 부분 부하로의 작동을 위하여 분사 시기에 연소실(1.1)내에서 피스톤(11)의 위치 및 흐름 통로를 나타낸다. 이 경우, 연료 제트(13)는, 대응하는 노즐 구조에 의하여 부채꼴로 펼쳐지며, 닫힌 가스 교환 밸브(6, 7)로 인해 연료 분사 노즐(8)을 통하여 실린더 챔버 내로 분사된다. 흡입 행정에 의하여 발생되는 텀블 흐름은, 피스톤(11)의 상승 운동 동안 피스톤 크라운(11.1)의 트로프-형상 리세스(12)에 의하여 보조되어, 트로프 베이스(trough base)(12.1)를 가스 흡입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하여, 실린더 헤드를 향하고 연료 제트에 의하여 충돌되는 텀블 흐름의 상방향 성분은 압축 행정의 끝을 향하여 연료 분사 노즐(8)의 입구부의 앞쪽에서 유지된다. 리세스(12)의 배럴-형상 구조에 의하여 발생되는, 텀블 흐름에 대한 횡방향 작용이 적어도 유지된다.
이 경우, 연료 제트(13)는, 실질적으로 리세스(12)의 베이스와 직접 접촉하지 않고, 텀블 공기 흐름에 의하여 위쪽으로 올려지며, 따라서 가스 흡입 밸브(6)의 측면에 의하여 점화 장치(14)를 향하여 편향되어, 텀블 흐름에 점화성 혼합물을 형성하여, 점화된다. 압축 동안 늦은 분사 시기와 관련하여 제어된 급기 운동이 사용되어 국부적으로 제한된 방식으로 연료와 공기를 사전에 혼합하고 용이한 점화성 혼합물로서 점화 장치의 근처로 전달하도록 한다. 연소가 개시된 후, 급기의 인접 영역으로부터 오는 공기는 급기의 운동에 따라 연소를 보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 크라운의 형상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다. 트로프 베이스(12.1)는, 가스 배출측(참조 부호 4로 지시됨)으로부터 가스 흡입측(참조 부호 3으로 지시됨)을 향하여 수평에 대하여 대략 12°의 각도(α)로 경사져 있고, 연료 분사 노즐(8)과 대향하는 측면에 대하여 가파르게 상방으로 연장되는 벽 영역(12.2)까지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텀블 흐름은, 도 2에서 화살표로 지시된 바와 같이, 연료 분사 노즐(8)의 입구부에 도달하기 이전에 상방으로 급격하게 편향된다.
트로프-형상 리세스(12)는 도 4에 도시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 경우, 트로프 베이스(12)까지 전이 영역(transition region)(15)은, 평평한 표면을 가지며, 실질적으로 접시-형상 측벽(16)과 함께, 실질적으로 배럴-형상 외형을 형성하는데, 상기 배럴-형상 외형은 처음에 가스 흡입측(4)으로부터 양측으로 넓어지며 또한 가스 흡입측(3)을 향하여 다시 좁아진다.
상기 트로프-형상 리세스(12)의 가스 배출측(4)과 대면하는, 단부 영역(12.3)은 가스 흡입측(3)과 대면하는 단부 영역(12.4)보다 폭이 넓고, 가파른 벽 영역(12.2)에 의하여 경계를 이룬다. 두측면의 상부 경계 형상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평면도가 실질적으로 원형이며, 대략 25°의 각도(β)(트로프-형상 리세스의 길이 방향 축(L)에 대하여 측정됨)로 가파른 측벽 영역(12.2)까지 연장되어 있고, 그 상부 경계 에지(12.5)는 직선으로 연장된다.
상부 경계 형상의 최대 폭(A)은, 경계 에지(12.5)에 위치된 단부 영역에서 트로프의 폭(B)의 1.8 내지 1.9배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흡입측에 배치된 인젝터에 의하여 연료가 직접 분사되는 왕복 내연기관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3)

  1. 실린더(1)마다 가스 흡입 밸브(6)를 갖는 적어도 2개의 가스 흡입 포트(3), 가스 배출 밸브(7)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 배출 포트(4) 및 적어도 점화 장치(14), 및 실린더 헤드(2.1)와 피스톤(11)의 크라운(crown)(11.1)에 의하여 형성되는 연소실(1.1)을 가지며, 상기 피스톤(11)은 실린더(1) 내에서 왕복식으로 안내되며, 상기 연소실 내부로 가스 흡입 포트가 실린더 헤드(2.1)면에 대하여 플랫 각도(flat angle)로 열리는, 왕복 내연기관에 있어서,
    한쪽의 피스톤 크라운(11.1) 및 다른 한쪽의 실린더 헤드(2.1)의 종단면에서 실질적으로 루프(roof)-형상으로 되어 있고,
    각각의 경우에 루프면 중 하나는 상기 가스 흡입 밸브(6)와 연관되며, 상기 루프면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가스 배출 밸브(7)와 연관되고, 상기 실린더 헤드(2.1)의 루프면의 방위는 상기 피스톤 크라운(11.1)의 루프면의 방위에 대응되며,
    연료 분사 노즐(8)이 상기 가스 흡입 밸브(6)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스 흡입 포트(3)의 입구 영역 근처에서 실린더(1) 내로 개방되며,
    상기 실린더 축(5)에 대하여 측정된, 상기 연료 분사 노즐(8)의 제트 축(jet axis)(9)의 각도는, 상기 가스 흡입 포트의 각도보다 크며,
    점화 장치(14)가 상기 실린더 축(5)에 근접한 실린더 헤드(2.1)에 배치되며,
    상기 피스톤 크라운(11.1)에 트로프-형상 리세스(trough-shaped recess)(12)가 제공되며, 상기 트로프-형상 리세스(12)는 트로프 베이스(trough base)(12.1) 및 측벽(16)에 의하여 경계를 이루고 있고, 상기 피스톤 크라운의 루프 리지(roof ridge)(11.2)와 교차하고 상기 루프면 양자의 영역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트로프 베이스(12.1)는 상기 연료 분사 노즐(8)을 향하여 경사져 있고, 상기 연료 분사 노즐(8)과 대향하는 측면에 상방으로 가파르게 연장되는 벽 영역(12.2)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트로프 베이스(12.1)와 상기 측벽(16) 사이의 전이 영역(transition zone)(15)은 그 평면도가 실질적으로 배럴-형상 외형(barrel-shaped contour)을 가지며, 상기 전이 영역(15)은 양측에서 상기 가스 배출측(4)으로부터 폭이 넓어진 후 상기 가스 흡입측(3)을 향하여 다시 폭이 좁아지며, 상기 전이 영역의 일단부는 가파르게 상방으로 연장되는 벽 영역(12.2)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내연기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로프 베이스(12.1)는 평면형 표면을 가지며, 배럴-형상 외형을 형성하는 상기 측벽(16)이 상기 트로프 베이스(12.1)를 접시-형상 방식(dish-shaped manner)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내연기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로프 형상 리세스(12)의, 상기 가스 배출측(4)과 대면하는, 단부 영역(12.3)은 상기 가스 흡입측(3)과 대면하며 가파른 상기 벽 영역(12.2)에 의하여 경계를 이루는 단부 영역(12.4)보다 폭이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내연기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 측면의 상부 경계 형상은 그 평면도가 실질적으로 원형이며, 상기 트로프-형상 리세스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하여 측정된, 실질적으로 25°의 각도로 상기 가파른 벽 영역(12.2)까지 연장되며, 상기 두측면의 상부 경계 에지(12.5)는 직선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내연기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부 경계 형상의 최대 폭(A)은, 상기 경계 에지(12.5)에 위치된 단부 영역에서 트로프의 폭(B)의 1.8 내지 1.9배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내연기관.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흡입 포트는 45도 이하의 플랫 각도로 연소실 내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내연기관.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로프 베이스(12.1)는 상기 가스 배출측으로부터 상기 가스 흡입측을 향하여 수평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12°의 각도(α)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내연기관.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칸막이(partition)가 적어도 하나의 가스 흡입 포트(3)에서 상기 실린더 축(5)을 가로질러 위치되며, 상기 칸막이는 상기 가스 흡입 포트(3)를 상부 서브-포트(sub-port)와 하부 서브-포트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내연기관.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로프-형상 베이스(12.1)의, 상기 가스 배출측(4)과 대면하는, 단부 영역(12.3)은 상기 피스톤 크라운의 외측 상부 에지의 높이로부터 시작하여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내연기관.
  10. 실린더(1)마다 가스 흡입 밸브(6)를 갖는 적어도 2개의 가스 흡입 포트(3), 가스 배출 밸브(7)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 배출 포트(4) 및 적어도 점화 장치(14), 및 실린더 헤드(2.1)와 피스톤(11)의 크라운(crown)(11.1)에 의하여 형성되는 연소실(1.1)을 가지며, 상기 피스톤(11)은 실린더(1) 내에서 왕복식으로 안내되며, 상기 연소실 내부로 가스 흡입 포트가 실린더 헤드(2.1)면에 대하여 45도 이하의 플랫 각도(flat angle)로 열리는, 왕복 내연기관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한쪽의 피스톤 크라운(11.1) 및 다른 한쪽의 실린더 헤드(2.1)의 종단면에서 실질적으로 루프(roof)-형상으로 되어 있고,
    각각의 경우에 루프면 중 하나는 상기 가스 흡입 밸브(6)와 연관되며, 상기 루프면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가스 배출 밸브(7)와 연관되고, 상기 실린더 헤드(2.1)의 루프면의 방위는 상기 피스톤 크라운(11.1)의 루프면의 방위에 대응되며,
    연료 분사 노즐(8)이 상기 가스 흡입 밸브(6)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스 흡입 포트(3)의 입구 영역 근처에서 실린더(1) 내로 개방되며,
    상기 실린더 축(5)에 대하여 측정된, 상기 연료 분사 노즐(8)의 제트 축(jet axis)(9)의 각도는, 상기 가스 흡입 포트의 각도보다 크며,
    점화 장치(14)가 상기 실린더 축(5)에 근접한 실린더 헤드(2.1)에 배치되며,
    상기 피스톤 크라운(11.1)에 트로프-형상 리세스(trough-shaped recess)(12)가 제공되며, 상기 트로프-형상 리세스(12)는 트로프 베이스(trough base)(12.1) 및 측벽(16)에 의하여 경계를 이루고 있고, 상기 피스톤 크라운의 루프 리지(roof ridge)(11.2)와 교차하고 상기 루프면 양자의 영역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트로프 베이스(12.1)는 상기 연료 분사 노즐(8)을 향하여 경사져 있고, 상기 연료 분사 노즐(8)과 대향하는 측면에 상방으로 가파르게 연장되는 벽 영역(12.2)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트로프 베이스(12.1)와 상기 측벽(16) 사이의 전이 영역(transition zone)(15)은 그 평면도가 실질적으로 배럴-형상 외형(barrel-shaped contour)을 가지며, 상기 전이 영역(15)은 상기 가스 배출측(4)으로부터 양측으로 폭이 넓어진 후 상기 가스 흡입측(3)을 향하여 다시 폭이 좁아지며, 상기 전이 영역의 일단부는 가파르게 상방으로 연장되는 벽 영역(12.2)에 의하여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 크라운의 근처에서, 텀블 흐름이 먼저 흐름 방향을 약간 가로질러 연장되어, 약간 감속되며, 그 다음 다시 강화되어, 가파르게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벽 영역으로 전이하기 직전에 가속되어, 상기 텀블 흐름에 난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내연기관의 작동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은 균질 작동(homogeneous operation)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내연기관의 작동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 기관은 성층 급기 작동(stratified-charge operation)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내연기관의 작동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연료 제트(13)는, 실질적으로 상기 리세스(12)의 베이스와 직접 접촉하지 않고, 난류 공기 흐름에 의하여 위쪽으로 올려지며, 그 결과 가스 흡입 밸브(6)의 측면에 의하여 점화 장치(14)를 향하여 편향되어, 상기 텀블 흐름에 점화성 혼합물을 형성하여, 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내연기관의 작동 방법.
KR1020067012341A 2003-11-22 2004-11-19 왕복 내연기관 및 그 작동방법 KR1008032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54682.0 2003-11-22
DE10354682.0A DE10354682B4 (de) 2003-11-22 2003-11-22 Hubkolbenbrennkraftmaschine mit Kraftstoffdirekteinspritzung über einen einlaßseitig angeordneten Injek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4986A KR20060094986A (ko) 2006-08-30
KR100803241B1 true KR100803241B1 (ko) 2008-02-14

Family

ID=34585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2341A KR100803241B1 (ko) 2003-11-22 2004-11-19 왕복 내연기관 및 그 작동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95806B2 (ko)
EP (1) EP1848880A1 (ko)
JP (1) JP2007511704A (ko)
KR (1) KR100803241B1 (ko)
CN (1) CN1882767B (ko)
DE (1) DE10354682B4 (ko)
WO (1) WO20050546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8542B1 (ko) * 2003-12-30 2006-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직접 분사식 엔진
JP5240256B2 (ja) * 2010-08-23 2013-07-17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エンジンの燃焼室構造
EP2940019B1 (en) * 2012-12-27 2018-03-28 Japan Tobacco Inc. SUBSTITUTED SPIROPYRIDO[1,2-a]PYRAZINE DERIVATIVE AND MEDICINAL USE THEREOF AS HIV INTEGRASE INHIBITOR
KR101543154B1 (ko) * 2014-03-12 2015-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의 vcm 장치 및 그 진단 방법
DE202014009051U1 (de) * 2014-11-15 2016-02-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Kolben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und Verbrennungsmotor mit einem solchen Kolben
DE102015202361A1 (de) 2015-02-10 2016-08-11 Fev Gmbh Hubkolben-Brennkraftmaschine
JP6260795B2 (ja) * 2015-03-27 2018-01-17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燃料制御装置
DE102015006642A1 (de) * 2015-05-22 2016-11-24 Caterpillar Motoren Gmbh & Co. Kg Kolbenbodenbereitstellende baugruppe
KR20190029824A (ko) 2017-09-11 2019-03-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솔린 직접 분사 엔진
JP7118943B2 (ja) * 2019-11-21 2022-08-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
CN114165352A (zh) * 2021-12-17 2022-03-11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一研究所 活塞、燃烧室组件以及组织燃烧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97622A1 (fr) * 1998-10-30 2000-05-03 Renault Moteur à combustion interne à allumage commandé et à injection directe comportant un piston perfectionné
EP1069291A2 (en) * 1999-06-07 2001-01-17 Nissan Motor Co., Ltd. In-cylinder direct-injection spark-ignition engine
JP2003524729A (ja) * 1999-12-23 2003-08-19 エフ・エー・フアウ・モトーレンテヒニック・ゲゼルシヤフト・ミ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吸気側に配置した噴射装置によって燃料を噴射する往復ピストン式内燃機関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63613B1 (en) * 1990-06-27 1995-09-2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 two-stroke engine
US5115774A (en) * 1990-12-26 1992-05-2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305720A (en) * 1992-02-28 1994-04-26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982682B2 (ja) * 1996-02-29 1999-11-2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
AT2538U1 (de) * 1998-01-13 1998-12-28 Avl List Gmbh Brennkraftmaschine mit zumindest einer einspritzvorrichtung pro zylinder
US6223715B1 (en) * 1998-03-23 2001-05-01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Combustion chamber for direct injected engine
JP3812338B2 (ja) * 2001-01-05 2006-08-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筒内直接燃料噴射式火花点火エンジン
JP2002295260A (ja) * 2001-03-30 2002-10-09 Mazda Motor Corp 火花点火式直噴エンジン
US6494178B1 (en) * 2001-08-13 2002-12-17 General Motors Corporation Combustion chamber including piston for a spark-ignition, direct-injection combustion system
KR100471202B1 (ko) * 2001-09-26 2005-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솔린 직접 분사식 엔진
DE10159644A1 (de) * 2001-12-05 2003-07-03 Bayerische Motoren Werke Ag Brennverfahren mit Ladungsschichtung für eine direkteinspritzende, fremdgezündete Brennkraftmaschine
KR100588542B1 (ko) * 2003-12-30 2006-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직접 분사식 엔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97622A1 (fr) * 1998-10-30 2000-05-03 Renault Moteur à combustion interne à allumage commandé et à injection directe comportant un piston perfectionné
EP1069291A2 (en) * 1999-06-07 2001-01-17 Nissan Motor Co., Ltd. In-cylinder direct-injection spark-ignition engine
JP2003524729A (ja) * 1999-12-23 2003-08-19 エフ・エー・フアウ・モトーレンテヒニック・ゲゼルシヤフト・ミ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吸気側に配置した噴射装置によって燃料を噴射する往復ピストン式内燃機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354682A1 (de) 2005-06-16
JP2007511704A (ja) 2007-05-10
US20060260584A1 (en) 2006-11-23
CN1882767B (zh) 2010-05-26
DE10354682B4 (de) 2016-05-04
US7395806B2 (en) 2008-07-08
KR20060094986A (ko) 2006-08-30
CN1882767A (zh) 2006-12-20
WO2005054641A1 (en) 2005-06-16
EP1848880A1 (en) 200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5806B2 (en) Reciprocating internal-combustion engine with direct fuel injection by means of an injector arranged on the intake side
US6705275B2 (en) Incylinder direct injection spark ignition engine
KR100604300B1 (ko) 내연 기관의 흡기 시스템
US5878712A (en) System for the direct injection of fuel in internal-combustion engines
KR100471202B1 (ko) 가솔린 직접 분사식 엔진
JPS5950850B2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US6443122B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590645B1 (ko) 내연 기관의 흡기 시스템
US6799550B2 (en) Spark-ignition engine having direct fuel injection
JP2005195001A (ja) 直接噴射式エンジン
US6062192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spark ignition
US4844040A (en) Engines
US5890466A (en) Device for injecting fuel at the exhaust port of an engine cylinder
JP2003524729A (ja) 吸気側に配置した噴射装置によって燃料を噴射する往復ピストン式内燃機関
US4688532A (en) Intake system for direct fuel injection diesel engine
JPH04224231A (ja) 筒内噴射式内燃機関
JP3586963B2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KR100303979B1 (ko) 3밸브의직분식가솔린엔진
JPH11351012A (ja) 直接筒内噴射式火花点火機関
US6571764B1 (en) Direct injec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903200B2 (ja) 筒内噴射式火花点火内燃機関
JPH0518244A (ja) 筒内噴射式内燃機関
JPH0510137A (ja) 筒内噴射式内燃機関
JP2003239749A (ja) 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
JPH0476269A (ja) 筒内噴射エンジンの空気燃料噴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