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2784B1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2784B1
KR100802784B1 KR1020070010545A KR20070010545A KR100802784B1 KR 100802784 B1 KR100802784 B1 KR 100802784B1 KR 1020070010545 A KR1020070010545 A KR 1020070010545A KR 20070010545 A KR20070010545 A KR 20070010545A KR 100802784 B1 KR100802784 B1 KR 100802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dishwasher
hose
lea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0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9918A (ko
Inventor
마모루 이케시마
유타카 다니구치
요시카즈 신치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79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9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2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2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 A47L15/241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the dishes moving in a horizont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식기 세척기(40)는, 하우징(5)과 급수 호스(3)와 급수 밸브(4)를 갖고, 급수 호스(3)는 하우징(5)으로부터 인출되어 급수 배관(18)에 접속되고, 급수 밸브(4)는 급수 호스(3)와 급수 배관(18)과의 접속 부분(46)에 마련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급수관로로부터의 누수 발생이 최소한으로 억제된 식기 세척기(40)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WASH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에 이용되는 배관 접속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의 식기 세척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식기 세척기 본체 2 : 세정조
3 : 급수 호스 4 : 급수 밸브(급수전)
5 : 하우징 7 : 세정 노즐
8 : 히터 9 : 피세정물
10 : 식기 바구니 11 : 도어(door)
12 : 배수 펌프 13 : 배수 호스
15 : 제 1 누수 센서 16 : 배관 접속 부재
17 : 지수전(止水栓) 18 : 급수 배관
22 : 제 2 누수 센서 31 : 물 수용기
32 : 상부 덮개 40 : 식기 세척기
46 : 관로 접속 부위
본 발명은, 식기 등의 피세정물에 세정수를 분사하여 세정하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도 4를 이용하여, 종래의 식기 세척기(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식기 세척기(100)는, 식기 세척기 본체(120)와 급수 호스(103)와 배수 호스(11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식기 세척기 본체(120)는, 하우징(105)과 하우징(105)의 내부에 마련된 세정조(102)를 갖는다. 식기 바구니(110)가 세정조(102) 내에 배치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식기 등의 피세정물(109)이, 식기 바구니(110)에 담겨져 있다. 급수 호스(103)와 배수 호스(113)는, 하우징(105)으로부터 식기 세척기 본체(120)의 외부로 인출되어 있다. 식기 세척기(100)가 소정 장소에 설치될 때에, 급수 호스(103)가, 수도관로 등의 급수 배관(118)에 접속된다. 동시에, 배수 호스(113)가 배수 배관(119)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식기 세척기(100)는 사용 가능한 상태로 된다. 식기 세척기 본체(120)는, 급수 호스(103) 로부터 급수되는 냉수 또는 온수를 이용하여, 식기 등의 피세정물(109)을 세정한다. 그리고, 피세정물(109)의 세정에 의해 생긴 오탁수(汚濁水)가, 배수 호스(113)를 지나서 배수 배관(119)으로 배출된다.
급수 밸브(104)가 개폐 제어됨으로써, 소요량의 물(도시하지 않음)이, 소요의 타이밍에 급수 호스(103)를 통하여 공급되어, 세정조(102)에 급수된다. 급수에 의해서 세정조(102)의 바닥부에 저류된 물은, 세제(도시하지 않음)가 혼합되는 동시에, 히터(108)에 의해 세정에 적합한 온도로 가열된다. 이에 따라, 물은 세정수(도시하지 않음)로서 피세정물(109)을 세정하는 용도로 제공된다. 세정수는 세정 펌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빨아 올려져, 회전하는 세정 노즐(107)로부터 피세정물(109)에 분사된다. 세정 노즐(107)로부터 분사되어, 피세정물(109)을 세정한 세정수가 다시 세정조(102)의 바닥부로 되돌아온다. 이러한 세정수 순환에 의해 피세정물(109)의 세정이 이루어진다.
세정 노즐(107)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가 효과적으로 피세정물(109)에 분사되도록, 피세정물(109)은 식기 바구니(110) 위에 얹어져 있다. 세정조(102)의 전면(前面)을 개폐하는 도어(111)가 개방됨으로써, 식기 바구니(110)가 식기 세척기(100)의 전면 외부로 인출 가능하다. 식기 바구니(110)가 식기 세척기(100)의 전면 외부로 인출됨으로써, 피세정물(109)의 출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급수 호스(103)가, 세정조(102) 내에 개구되는 토출구(121)는, 식기 세척기(100)의 일수면(溢水面)에 대하여 일정 이상의 높이가 필요하다. 이 때문에,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수 호스(103)가 하우징(105)으로부터 인출되는, 급수 호스(103)의 인출구(122)는 하우징(105)의 상방에 마련되고, 인출구(122)의 내측에 급수 밸브(10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배수 호스(113)에 대해서도, 세정조(102) 내에 저류된 세정수가 외부로 빠져 나가는 일이 없도록, 저류 수면보다 상방에 관로가 위치하도록 세워진 형상을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5)으로부터의 인출 부분은 하우징(105)의 상방에 설정되어 있다. 급수 호스(103)의 선단은 급수 배관(118)의 단부에 마련된 지수전(止水栓)(117)에 배관 접속 부재(116)를 이용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배수 호스(113)의 선단은 배수 배관(119)에 접속되어 있다. 또, 이러한 종래의 식기 세척기는 일본 특허 공개 제 2003-210378 호 공보(특허 문헌 1)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식기 세척기(100)의 급배수관로의 구성에 있어서, 급배수관로의 접속 상태의 불량, 또는 호스의 손상 등이 있는 경우, 누수가 발생하는 일이 있다. 누수에 의해, 식기 세척기(100)를 구성하는 금속 재료에 녹(rust)이 생기거나, 또는, 식기 세척기(100)가 설치된 마루면에 손상을 주는 등의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누수를 방지하는 동시에 누수가 발생했을 때에도 누수를 검출하는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급수관로로부터의 누수를 검지하기 위한 장치가 마련된 식기 세척기가, 일본 특허 공개 제 1997-038013 호 공보(특허 문헌 2) 등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의 식기 세척기는, 하우징의 배면에 마련된 급수 밸브에 급수 호스가 접속되어 있다. 급수 밸브와 급수 호스와의 접속 부분의 하방에 물고임 케이스가 마련되어 있다. 접속 부분으로부터 발생한 누수가 물고임 케 이스에 저류되고, 물고임 케이스 내의 저류 수위가 이상 수위에 도달했을 경우에, 이상 수위 검지 장치에 의해 누수가 검지되는 구성이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 2003-210378 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 1997-038013 호 공보
본 발명은, 급수관로로부터의 누수에 의한 영향이 억제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하우징과 급수 호스와 급수 밸브를 갖고, 급수 호스는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어 급수 배관에 접속되며, 급수 밸브는 급수 호스와 급수 배관의 접속 부분에 마련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급수관로로부터의 누수 발생이 최소한으로 억제된 식기 세척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기(40)는, 주방의 키친 카운터(kitchen counter)(도시하지 않음) 아래에 설치되는 빌트인 타입(built-in type) 등의 식기 세척기로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식기 세척기(40)는, 식기 세척기 본체(1)와 식기 세척기 본체(1)로부터 인출된 급수 호스(3)와 배수 호스(13)를 갖는다. 식기 세척기 본체(1)는 하우징(5)을 갖고, 세정조(2)가 하우징(5) 내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식기 바구니(10)가 세정조(2) 내에 마련되어 있다. 식기 세척기 본체(1)의 전면(前面)은, 도어(door)(11)에 의해 개폐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도어(11)를 열면, 식기 바구니(10)를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다. 식기 등의 피세정물(9)이 식기 바구니(10)에 담겨지고, 식기 바구니(10)가 세정조(2) 내로 밀어 넣어져서, 도어(11)가 닫히게 된다. 이에 따라, 피세정물(9)이 세정 가능한 상태로 된다. 또한, 조작 패널(도시하지 않음)이, 식기 세척기의 전면에 마련되며, 조작 패널이 조작됨에 따라서, 식기 세척기(40)가 피세정물(9)의 세정을 개시한다.
또한, 급수 호스(3)와 배수 호스(13)가 하우징(5)의 배면으로부터 인출되어 있다. 급수 호스(3)가, 세정조(2) 내에 개구되는 토출구(41)는, 식기 세척기(40)의 일수면(溢水面)에 대하여 일정 이상의 높이가 필요하다. 이 때문에, 급수 호스(3)가 하우징(5)으로부터 인출되는, 급수 호스(3)의 인출구(42)는 하우징(5)의 상방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배수 호스(13)에 대해서도, 세정조(2) 내에 저류된 세정수가 외부로 빠져 나가는 일이 없도록, 저류 수면보다 상방에 관로가 위치하도록 세워진 형상이다. 이 때문에, 하우징(5)으로부터의 인출 부분(43)은 하우징(5)의 상방에 설정되어 있다.
하우징(5)으로부터 인출된 급수 호스(3)는, 수도관로 등의 급수 배관(18)에 접속되어 있다. 하우징(5)으로부터 인출된 배수 호스(13)는 배수 배관(19)에 접속되어 있다. 급수 호스(3)는 일단이 세정조(2) 내에 개구되고, 타단이 급수 밸브(4)와 지수전(17)을 거쳐 급수 배관(18)에 접속되어 있다. 급수 밸브(4)는, 전 기 배선(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식기 세척기 본체(1)에 마련된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 장치에 의해, 급수 밸브(4)의 개폐 조작이 제어된다. 배관 접속 부재(16)는, 급수 밸브(4)와 지수전(17)을 접속하기 위한 부재이다. 지수전(17)은, 식기 세척기(40)의 설치 공사 중의 시운전시, 또는, 식기 세척기(40)의 점검 또는 수리시에, 급수되는 물의 급수를 멈추기 위하여 이용된다. 또한, 지수전(17)은, 식기 세척기(40)가 장기간에 걸쳐서 사용되지 않을 때 등에, 급수 배관(18)으로부터 급수되는 물의 급수를 멈출 수도 있다. 또, 배관 접속 부재(16)는, 반드시, 단독의 배관 접속 부재(16)일 필요는 없으며, 예컨대, 급수 밸브(4), 또는 지수전(17)과 일체적인 구조이어도 좋다. 또한, 지수전(17)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공공 수도를 이용하여 급수 배관(18)이 구성되는 경우, 공공 수도의 수도관으로부터 급수 배관(18)까지의 경로 중에 다른 지수전이 마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40)의 설치는, 지정된 공사업자에 의해 시공된다. 급수 호스(3)와 배수 호스(13)의 관로 접속이 설치 장소의 벽면 또는 마루면에 설치된 배관로에 접속된다. 또한, 전원 코드와 접지선과의 전기적 접속이 설치 장소의 벽면 또는 마루면에 마련된 콘센트 등에 접속된다. 이들의 접속 작업 후, 키친 카운터 아래 등의 소정의 설치 장소에 식기 세척기 본체(1)가 고정된다. 이에 따라, 식기 세척기(40)의 설치가 완료된다.
조작 패널로부터 운전 개시의 조작이 행해지면, 급수 밸브(4)가 열리고, 냉수 또는 온수가 급수 배관(18)으로부터 공급된다. 급수 배관(18)으로부터 공급되 는 냉수 또는 온수가 지수전(17), 급수 밸브(4), 급수 호스(3)를 통해 세정조(2) 내에 급수된다. 급수된 냉수 또는 온수가 세정조(2)의 바닥부에 소정량으로 저류되면, 급수 밸브(4)가 닫힌다. 저류된 물은 히터(8)에 의해 적정 온도로 가열된다. 이와 동시에, 세제(도시하지 않음)가, 저류된 냉수 또는 온수에 혼입되어, 세정수로서 피세정물(9)에 분사된다.
세정수가 세정 펌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세정 노즐(7)에 공급되고, 회전하는 세정 노즐(7)로부터 분사된다. 세정 노즐(7)로부터 분사된 세정수는, 식기 바구니(10)에 실린 피세정물(9)에 골고루 분사된다. 이에 따라, 피세정물(9)에 부착되어 있던 오염이 씻겨져 나가, 세정조(2)의 바닥부에 떨어진다. 동시에, 세정 노즐(7)로부터 분사된 세정수가 세정조(2)의 바닥부로 되돌아온다. 이렇게 하여, 세정수의 순환이 반복되고, 피세정물(9)은 반복 세정된다.
또한, 피세정물(9)의 세정에 의해 생긴 오탁수는, 배수 펌프(12)가 기동됨에 따라, 배수 호스(13)를 지나 배수 배관(19)으로 배출된다. 오탁수가 배수된 후, 다시 급수 밸브(4)가 열리고, 급수 호스(3)를 지나 세정조(2) 내에 냉수 또는 온수가 도입된다. 도입된 냉수 또는 온수를 이용하여, 피세정물(9)의 헹굼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피세정물(9)의 세정이 완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식기 세척기(40)에 있어서, 급수 밸브(4)가 급수 배관(18)의 근방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급수 밸브(4)가 급수 배관(18)의 근방 위치에 마련됨에 따라서, 급수 밸브(4)가 열려 급수 동작이 행해지고 있을 때 이외에는, 급수 밸브(4)보다 하류측[식기 세척기(40)측]에는 수류(水流)나 수압(水壓)이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예컨대, 급수 호스(3)의 접속 부분에 불량이 생기거나, 급수 호스(3)에 손상이 생기거나 하더라도, 누수의 발생이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또한, 식기 세척기(40)가 사용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누수는 발생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식기 세척기(40)가 설치될 때에, 식기 세척기(40)의 급수와 배수의 관로 접속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40)의 설치 공사는 공사업자의 손에 맡겨진다. 식기 세척기(40)가 정상으로 기능하고, 동작하고 있더라도, 설치 공사에 불비(不備)가 있을 경우, 식기 세척기(40)에 불량이 생기게 된다. 예컨대, 급수의 관로 접속에 불비가 있는 경우, 급수관로에는 항상 수압이 가해지고 있기 때문에, 누수가 발생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누수의 발생은, 식기 세척기(40)의 고장뿐만 아니라, 식기 세척기(40)가 설치된 건물에 피해를 줄 수도 있는 문제이다. 또한, 누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부위가, 식기 세척기(40)의 배면측이기 때문에, 식기 세척기(40)의 사용자가 누수를 알아차리기가 어렵다. 따라서, 설령 관로 접속에 불비가 발생했다고 하더라도, 관로 접속의 불비에 부수되는 피해의 발생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대책을 강구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의 구성과 같이,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40)에 있어서, 급수 밸브(4)가, 급수 호스(3)와 급수 배관(18)의 접속 부분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관로 접속에 불비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누수의 발생은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또한, 급수 호스(3)에 손상이 생겼다고 하더라도, 누수의 발생이 최소한으로 억제된 다. 또한, 식기 세척기(40)가 사용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누수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수전(4)은, 급수 호스(3)의 단부에 마련되고, 급수전(4)이 급수 호스(3)와 지수전(17)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급수전(4)은, 반드시 급수 호스(3)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급수 호스(3)의 단부에 접속된 급수전(4)으로부터, 제 2 급수 호스(도시하지 않음)를 더 거쳐서, 지수전(17), 급수 배관(18)에 접속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즉, 급수전(4)으로부터 급수 배관(18)까지의 배관 경로가 짧으면 짧을수록, 누수가 발생할 확률이 낮게 억제된다.
또, 바람직하게는, 누수 검지 장치인 제 1 누수 센서(15)가 하우징(5)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으면 좋다. 제 1 누수 센서(15)가 마련되는 것에 의해, 식기 세척기 본체(1)의 내부에서 누수가 있는 경우에, 누수가 조기에 검지된다. 이에 따라, 누수된 물이 하우징(5)으로부터 식기 세척기 본체(1)의 외부 또는 마루면으로 흘러나오기 전에, 누수가 검지된다. 그리고, 만일, 누수가 검지되면, 조작 패널 등에 마련된 경보 장치 등(도시하지 않음)이 작동하여, 식기 세척기(40)의 사용자 등에게 누수의 발생을 알린다. 식기 세척기 본체(1)의 내부의 누수란, 예컨대, 세정조(2), 또는 급수 호스(3), 배수 호스(13) 등의 물이 통과하는 경로로부터의 누수이다. 또한, 식기 세척기 본체(1)의 내부의 누수란, 급수 호스(3), 배수 호스(13)가 다른 부재, 예컨대, 세정조(2), 배수 펌프(12) 등에 접속되는 개소로부터의 누수이다.
또,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누수 검지 장치로서의 제 2 누수 센서(22)가 급수 밸브(4)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급수 밸브(4)와 급수 호스(3)와의 접속 부분, 또는, 급수 밸브(4)와 지수전(17)과의 접속 부분에 불량이 생겨서 누수가 발생한 경우에도, 누수의 발생이 조속히 검지된다. 또한, 급수 호스(3)에 균열 등의 불량이 생겨서 누수된 경우, 급수 호스(3)의 균열로부터의 누수가 급수 호스(3)의 표면을 타고, 급수 밸브(4)에 도달한다. 이에 따라, 제 2 누수 센서(22)가 누수의 발생을 조속히 검지한다. 만일, 누수가 검지되면, 경보 장치 등이 작동하여, 식기 세척기(40)의 사용자 등에게 누수의 발생을 조속히 알린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2 누수 센서(22)가 지수전(17)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제 2 누수 센서(22)가 지수전(17)에 마련됨에 따라, 보다 상류측에서 누수의 검지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류측이란, 식기 세척기(40)에서 보아, 급수 배관(18) 측이다. 또한, 제 2 누수 센서(22)가 급수 밸브(4)와 지수전(17)의 양쪽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수 밸브(4)와 지수전(17)이 접속되는 위치에 제 2 누수 센서(22)가 마련되면 좋다. 즉, 급수 호스(3)와 급수 배관(18)과의 접속 부분이, 가장 누수 발생의 원인이 되기 쉽다. 따라서, 급수 호스(3)와 급수 배관(18)과의 접속 부분인 관로 접속 부위(46)의 하부에 제 2 누수 센서(22)가 마련되어 있어, 누수가 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수 밸브(4)는, 연결통(4a)과 호스 접속통(4b) 을 갖는다. 연결통(4a)에는, 플랜지부(4d)가 형성되어 있다. 지수전(17)은, 일단이 급수 배관(18)의 단부에 접속되고, 타단에 나사구(17a)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구(17a)는, 외주에 나사홈(17d)이 형성되어 있다. 급수 호스(3)의 단부(3a)가 호스 접속통(4b)의 외주 상에 압입되어 있다. 또한, 급수 호스(3)와 호스 접속통(4b)과의 접속 부분에 있어서, 급수 호스(3)의 단부(3a)의 외주가 호스 밴드(hose band) 등의 체결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나사구(17a)의 단면과 연결통(4a)의 단면과의 접속 부분에, 링 형상의 밀봉 부재(29)가 끼워져 있다. 또한, 나사구(17a)와 연결통(4a)의 접속 부분의 외주가 배관 접속 부재(16)에 의해 덮여 있다. 즉, 배관 접속 부재(16)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홈(도시하지 않음)이 나사구(17a)의 나사홈(17d)에 나사 결합된다. 이에 따라, 배관 접속 부재(16)의 내면 볼록부(16d)가 플랜지부(4d)를 지수전(17) 측으로 가압한다. 이 결과, 밀봉 부재(29)가 압축되어 변형되고, 지수전(17)과 급수 밸브(4)가 수밀 구조로 연결된다. 이러한 접속 구조에 의해, 급수 배관(18)으로부터 지수전(17), 급수 밸브(4), 급수 호스(3)를 통한 세정조(2)로의 급수관로가 형성된다.
또한, 급수 호스(3)로부터 급수 배관(18)에 도달하는 관로 접속 부위(46)가 물 수용기(31)에 의해 덮여져 있다. 관로 접속 부위(46)는, 급수 호스(3)의 단부(3a)와 급수전(4)과 배관 접속 부재(16)와 지수전(17)을 갖는다. 물 수용기(31) 중의 하부에 제 2 누수 센서(22)가 마련되어 있다. 관로 접속 부위(46)의 관로 접속의 불비에 수반되는 누수, 또는, 급수전(4) 또는 지수전(17)으로부터의 누수가 있으면, 누수된 물은 물 수용기(31) 내로 떨어진다. 물 수용기(31) 내로 떨어진 누수는, 누수 센서(22)에 의해 조속히 검지된다. 만일, 누수가 검지되었으면, 경보 장치 등이 작동하여, 식기 세척기(40)의 사용자 등에게 누수의 발생을 조속히 알린다.
또한, 물 수용기(31)의 상방은, 상부 덮개(32)에 의해 덮여 있다. 상부 덮개(32)는, 물 수용기(31)의 외부로부터 물 수용기(31)의 내부로, 물, 또는 이물, 먼지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부 덮개(32)는, 누수 센서(22)의 오동작 방지에 유효하다. 또한, 지수전(17)은, 식기 세척기(40)의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거의 조작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식기 세척기(40)의 점검, 수리 등을 할 때에는, 지수전(17)을 개폐 조작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지수전(17) 등을 덮는 상부 덮개(32)는,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급수관로로부터의 누수 발생이 최소한으로 억제된 식기 세척기를 얻을 수 있다.

Claims (6)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고, 급수를 위해 마련된 급수 배관에 접속되는 급수 호스와,
    상기 급수 호스와 상기 급수 배관과의 접속 부분에 마련된 급수 밸브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누수를 검지하는 누수 검지 장치를 더 구비한
    식기 세척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 검지 장치는 상기 급수 밸브에 마련된
    식기 세척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배관의 단부에 마련된 지수전과,
    상기 지수전에 마련된 누수 검지 장치를 더 구비한
    식기 세척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호스와 상기 급수 배관과의 상기 접속 부분에 마련된 누수 검지 장치를 더 구비한
    식기 세척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분을 덮는 용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누수 검지 장치는 상기 용기의 하부에 마련된
    식기 세척기.
KR1020070010545A 2006-02-03 2007-02-01 식기 세척기 KR1008027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26435 2006-02-03
JP2006026435A JP4676347B2 (ja) 2006-02-03 2006-02-03 食器洗い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918A KR20070079918A (ko) 2007-08-08
KR100802784B1 true KR100802784B1 (ko) 2008-02-12

Family

ID=38482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0545A KR100802784B1 (ko) 2006-02-03 2007-02-01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676347B2 (ko)
KR (1) KR100802784B1 (ko)
CN (1) CN1010112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30498B2 (ja) * 2008-12-11 2012-05-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機
ITTO20090981A1 (it) * 2009-12-14 2011-06-15 Bitron Spa Accessorio integrato per l'alimentazione di una macchina lavastoviglie o lavabiancheria
CN107095632B (zh) * 2017-05-15 2019-12-31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用水家用电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1461U (ko) * 1987-12-04 1989-06-15
JPH07334A (ja) * 1993-06-18 1995-01-06 Toshiba Corp 食器洗浄機
JP2002306396A (ja) 2001-04-12 2002-10-22 Sanyo Electric Co Ltd 食器洗い機
JP2006314602A (ja) 2005-05-13 2006-11-24 Rinnai Corp 食器洗浄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52998A (ja) * 1991-05-31 1992-1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洗濯機
JP2003325366A (ja) * 2002-05-14 2003-11-18 Mym Corp 漏水用水受容器
JP2003325420A (ja) * 2002-05-17 2003-1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い機の給水接続方法
JP4084694B2 (ja) * 2003-04-22 2008-04-30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JP2005106773A (ja) * 2003-10-02 2005-04-21 Hibiya Eng Ltd 水圧テストポンプ用接続ホースの連結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1461U (ko) * 1987-12-04 1989-06-15
JPH07334A (ja) * 1993-06-18 1995-01-06 Toshiba Corp 食器洗浄機
JP2002306396A (ja) 2001-04-12 2002-10-22 Sanyo Electric Co Ltd 食器洗い機
JP2006314602A (ja) 2005-05-13 2006-11-24 Rinnai Corp 食器洗浄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76347B2 (ja) 2011-04-27
CN101011230A (zh) 2007-08-08
JP2007202876A (ja) 2007-08-16
KR20070079918A (ko) 2007-08-08
CN101011230B (zh) 201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2785B1 (ko) 식기 세척기
US20050236019A1 (en) Dish was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802784B1 (ko) 식기 세척기
JP4753208B2 (ja) 食器洗浄機
KR101437180B1 (ko) 식기 세척기의 자가세척 방법
KR100796088B1 (ko) 식기 세척기
KR20100000205A (ko) 식기세척기
JP4607085B2 (ja) 食器洗浄機
KR101740505B1 (ko)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배수 시스템 및 방법
KR102595650B1 (ko) 워터재킷 및 그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JP4760528B2 (ja) 食器洗い機
JP4780791B2 (ja) 食器洗い機
JP3281764B2 (ja) 洗浄機
JP2001204673A (ja) 食器洗浄機
JP4614360B2 (ja) 食器洗い機
JPH0938602A (ja) 洗浄機
KR100280605B1 (ko) 드럼세탁기의 급수밸브 고장시 세탁수를 배수시키는 방법
JP5909652B2 (ja) 食器洗い機
JP2001204677A (ja) 食器洗浄機
KR100463768B1 (ko) 식기 세척기
KR20090029874A (ko)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
JPH11104057A (ja) 食器洗浄機
KR101104542B1 (ko) 식기 세척기의 섬프 구조
JP3109513B2 (ja) 食器洗い機
JP2007202933A (ja) 食器洗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